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찬송시의 수령 우상화와 무의식적 신화 유형

        권성훈 국제한인문학회 2020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28

        본고는 1950년 한국 전후 시기 이후 북한시의 송가와 찬가를 김일성 주체 사상을 강화시키기 위한 수령 우상화 방법으로 보고, 찬송시에 나타난 ‘심장’을 중심으로 심리학자 융이 주장한 무의식적 심리에 관한 신화적 유형으로 파악하는 데 있다. 살펴본 북한 찬송시편들은 ‘김일성 주체사상’을 선동하는 ‘수령 우상화’과정으 로 영웅 신화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찬송시에서 공통적으로 두드러 지는 중심 시어는 ‘심장’으로 파악되는데, 여기서 심장은 김일성을 우상화하기 위한 핵심 키워드로, 신화적 상상력과 함께 구현되고 있다. 이로써 찬송시는 무 의식적으로 당의 지배 이념과 통치 논리를 ‘인민’들에게 교양시키는 이데올로기 의 장치로써 주체사상과 더불어 김일성을 영원불멸한 신화적 영웅으로 재구성하 고 있다. 나아가 찬송시는 김일성이라는 ‘역사적 영웅’을 ‘민족적 태양’으로 개인 에 대한 위대성의 표현이 아니라 집단적 무의식의 산물로 ‘신화적 영웅’을 노래 하고 있다. 거기에 주체사상을 창시한 김일성의 사회주의 혁명위업을 강조하며 수령이 당을 대표하는 것뿐만 아니라 당을 함의하는 존재로서 그 자체가 당을 있 게 한 절대적 존재라는 점이다. 찬송시에서 수령의 위대한 영웅적 힘은 무의식적으로 집단적 신화로 재구성되 어 인민에게 삼투되어 인민의 신화적 영웅으로 파급된다. 이는 인민들에게 김일 성을 무의식적으로 신과 동격으로 보게 하는데, 수령을 신격화하면서 무지한 인 민들을 각성시켜 혁명의 주체로 인식하게 한다. 거기에 찬송시에 핵심 단어인 ‘심 장’을 주입시켜 생명의 공급원으로써 김일성을 ‘민족의 태양’으로 구체화하는 모 티브로 구현된다. 이처럼 북한의 역사는 민족의 태양인 수령에 의해 탄생되었으 며, 역사의 주인인 김일성만이 민족 해방과 구원의 유일한 존재로 표방되고 있다. 이 글에서 찬송시는 저항할 수 없는 무의식과 함께 김일성 영웅 신화를 집단적 으로 받아들이며 심미적으로 찬양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그러면서 자신의 삶을 신성에 참여하는 고유한 의미의 주체로서 주체사상과 통합하고 조화시키려고 하 는 것에 당위성을 두며 유일한 지도자 수령에게 응답하는데 삶의 최우선 가치를 가진다. 융은 이러한 신화 유형을 “신화적, 집단적, 심미적”으로 분리시켜 해명 하고 있는데, 이를 본고의 주된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여 북한의 찬송시에 나타난 시편들을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이를 토대로 찬송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심장을 중심으로 첫째 수령에의 충성과 민족 영웅, 둘째 사회주의 건설과 집단적 원형성, 셋째 예술적인 근원과 심미적 역동성 등으로 신화 유형을 밝혔다. North Korea’s odes and hymns have been regarded as the idolization method to strengthen the self-reliance ideology of Kim Il-sung, the first leader of North Korea, since the 1950 Korean Wa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ssert that based on the image of “heart” that appeared in the hymns, the odes to the leader of North Korea are a mythological type of unconscious psychology claimed by Carl Gustav Jung. The North Korean hymns we have examined are the process of forming a heroic myth as an unconscious expression to “Kim Il-sung’s self-reliance ideology” and “the idolization of the leader.” In particular, a central poetic word in North Korea’s odes to the leader is “heart.” “Heart” is a keyword for idolizing Kim Il-sung, which is being implemented with mythical imagination. This is the fact that hymn is unconsciously a device of ideology that cultures the ruling ideology and governing logic of the party to the “people” and reconstructs Kim Il-sung as an immortal mythical hero along with the self-reliance ideology. Furthermore, the North Korea’s hymns sing the “mythical hero” of Kim Il-sung as the “National Sun,” not as an expression of greatness to the individual, but as a product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On top of that, emphasizing the revolutionary feats of Kim Il-sung, who established the self-reliance ideology, the leader is not only a representative of the party but also a mythical hero who formed the party itself. The great heroic power of the leader shown in the hymn poetry is unconsciously reconstructed into a collective myth, osmotic to the people and spilling into the mythical hero of the people. This makes the people see Kim Il-sung unconsciously with God, deifies the leader and awakens the ignorant people to recognize him as the main body of the revolution. It is embodied as a motif to embody Kim Il-sung as “the Sun of the People” as a source of life by injecting the keyword “heart” into the hymn poetry. As such, the history of North Korea was created by the leader, “the Sun of the People”, and Kim Il-sung, the master of history, is the only mythical hero of national liberation and salvation. These hymns start with a sense of irresistible unconsciousness, collectively accepting the Kim Il-sung as a mythical hero and glorifying him aesthetically. In the meantime, he has the highest priority in responding to the sole leader, having justification in trying to integrate and harmonize his life with the self-reliance ideology as the main body of meaning that participates in the divinity. Jung explains this type of myth by separating it into “mythical, collective, and aesthetic,” which analyzed the psalms presented in North Korea's hymn in three different types as the main research method. Based on this, the heart image, which stands out in the hymn poetry, was firstly revealed as loyalty to the leader and national hero, secondly as socialist construction and collective symbolism, and lastly as artistic source and aesthetic prototype.

      • KCI등재

        북한 찬송시의 수령 우상화와 무의식적 신화 유형

        권성훈 국제한인문학회 2020 국제한인문학연구 Vol.28 No.-

        본고는 1950년 한국 전후 시기 이후 북한시의 송가와 찬가를 김일성 주체 사상을 강화시키기 위한 수령 우상화 방법으로 보고, 찬송시에 나타난 ‘심장’을 중심으로 심리학자 융이 주장한 무의식적 심리에 관한 신화적 유형으로 파악하는 데 있다. 살펴본 북한 찬송시편들은 ‘김일성 주체사상’을 선동하는 ‘수령 우상화’과정으 로 영웅 신화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찬송시에서 공통적으로 두드러 지는 중심 시어는 ‘심장’으로 파악되는데, 여기서 심장은 김일성을 우상화하기 위한 핵심 키워드로, 신화적 상상력과 함께 구현되고 있다. 이로써 찬송시는 무 의식적으로 당의 지배 이념과 통치 논리를 ‘인민’들에게 교양시키는 이데올로기 의 장치로써 주체사상과 더불어 김일성을 영원불멸한 신화적 영웅으로 재구성하 고 있다. 나아가 찬송시는 김일성이라는 ‘역사적 영웅’을 ‘민족적 태양’으로 개인 에 대한 위대성의 표현이 아니라 집단적 무의식의 산물로 ‘신화적 영웅’을 노래 하고 있다. 거기에 주체사상을 창시한 김일성의 사회주의 혁명위업을 강조하며 수령이 당을 대표하는 것뿐만 아니라 당을 함의하는 존재로서 그 자체가 당을 있 게 한 절대적 존재라는 점이다. 찬송시에서 수령의 위대한 영웅적 힘은 무의식적으로 집단적 신화로 재구성되 어 인민에게 삼투되어 인민의 신화적 영웅으로 파급된다. 이는 인민들에게 김일 성을 무의식적으로 신과 동격으로 보게 하는데, 수령을 신격화하면서 무지한 인 민들을 각성시켜 혁명의 주체로 인식하게 한다. 거기에 찬송시에 핵심 단어인 ‘심 장’을 주입시켜 생명의 공급원으로써 김일성을 ‘민족의 태양’으로 구체화하는 모 티브로 구현된다. 이처럼 북한의 역사는 민족의 태양인 수령에 의해 탄생되었으 며, 역사의 주인인 김일성만이 민족 해방과 구원의 유일한 존재로 표방되고 있다. 이 글에서 찬송시는 저항할 수 없는 무의식과 함께 김일성 영웅 신화를 집단적 으로 받아들이며 심미적으로 찬양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그러면서 자신의 삶을 신성에 참여하는 고유한 의미의 주체로서 주체사상과 통합하고 조화시키려고 하 는 것에 당위성을 두며 유일한 지도자 수령에게 응답하는데 삶의 최우선 가치를 가진다. 융은 이러한 신화 유형을 “신화적, 집단적, 심미적”으로 분리시켜 해명 하고 있는데, 이를 본고의 주된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여 북한의 찬송시에 나타난 시편들을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이를 토대로 찬송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심장을 중심으로 첫째 수령에의 충성과 민족 영웅, 둘째 사회주의 건설과 집단적 원형성, 셋째 예술적인 근원과 심미적 역동성 등으로 신화 유형을 밝혔다. North Korea’s odes and hymns have been regarded as the idolization method to strengthen the self-reliance ideology of Kim Il-sung, the first leader of North Korea, since the 1950 Korean Wa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ssert that based on the image of “heart” that appeared in the hymns, the odes to the leader of North Korea are a mythological type of unconscious psychology claimed by Carl Gustav Jung. The North Korean hymns we have examined are the process of forming a heroic myth as an unconscious expression to “Kim Il-sung’s self-reliance ideology” and “the idolization of the leader.” In particular, a central poetic word in North Korea’s odes to the leader is “heart.” “Heart” is a keyword for idolizing Kim Il-sung, which is being implemented with mythical imagination. This is the fact that hymn is unconsciously a device of ideology that cultures the ruling ideology and governing logic of the party to the “people” and reconstructs Kim Il-sung as an immortal mythical hero along with the self-reliance ideology. Furthermore, the North Korea’s hymns sing the “mythical hero” of Kim Il-sung as the “National Sun,” not as an expression of greatness to the individual, but as a product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On top of that, emphasizing the revolutionary feats of Kim Il-sung, who established the self-reliance ideology, the leader is not only a representative of the party but also a mythical hero who formed the party itself. The great heroic power of the leader shown in the hymn poetry is unconsciously reconstructed into a collective myth, osmotic to the people and spilling into the mythical hero of the people. This makes the people see Kim Il-sung unconsciously with God, deifies the leader and awakens the ignorant people to recognize him as the main body of the revolution. It is embodied as a motif to embody Kim Il-sung as “the Sun of the People” as a source of life by injecting the keyword “heart” into the hymn poetry. As such, the history of North Korea was created by the leader, “the Sun of the People”, and Kim Il-sung, the master of history, is the only mythical hero of national liberation and salvation. These hymns start with a sense of irresistible unconsciousness, collectively accepting the Kim Il-sung as a mythical hero and glorifying him aesthetically. In the meantime, he has the highest priority in responding to the sole leader, having justification in trying to integrate and harmonize his life with the self-reliance ideology as the main body of meaning that participates in the divinity. Jung explains this type of myth by separating it into “mythical, collective, and aesthetic,” which analyzed the psalms presented in North Korea's hymn in three different types as the main research method. Based on this, the heart image, which stands out in the hymn poetry, was firstly revealed as loyalty to the leader and national hero, secondly as socialist construction and collective symbolism, and lastly as artistic source and aesthetic prototype.

      • KCI등재

        중국 캉바 가극 공연예술의 교육 심미적 특징

        왕슈아이(Shuai W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3

        중국의 티베트 가극은 높은 수준의 종합성을 갖춘 연극 형식으로, 서양 연극의 현실성과 중국 연극의 사의(写意)뜻을 결합한 교육 미학적 특징을 지닌다. 구체적인 표현 형식으로는 가면극, 마당극, 의식극, 종교극의 형식을 겸하고 있다. 티베트 가극은 지방극의 한 종류로 높은 연구 가치를 지니는데, 이는 교육적 미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세계 3대 희곡은 인도의 법극, 고대 그리스의 희곡, 중국의 희곡으로 이들은 각각 다른 표현 형식과 교육 미학적 특징을 갖고 있다. 티베트 전통극은 발원지의 특수성 때문에 이 3대 희곡의 부분 표현 형식을 종합적으로 이어왔다. 고대 그리스 비극은 디오니소스 제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초기 의식적 동작의 공연에서 남자들이 탈을 쓰고 연기했으며, 티베트 연극인 아체라모에서도 남자들이 탈을 쓰고 배역을 맡았다. 그 가면은 민간의 짐승 토템 동작과 종교적 무언극이자 액땜의식인 창무(羌姆)에서 유래하였다. 인도의 법극은 그 역사가 길기 때문에 <무론(舞论)>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구체적인 공연 형태는 이미 알 수 없지만 <무론(舞论)>에 관한 기록과 관련, 티베트 가극의 시작 부분에서“온바”, “자루”, “라무”이 세 인물의 활용은 법극의‘개념 인물극’이 지닌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티베트 가극은 민간 설창이야기를 각본으로 한 가무를 공연 형식으로 진행하고, 신에게 제사 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중국희곡의 교육 심미적 특징을 계승하는 것으로 중국전통 희곡의 중요한 한 부분을 구성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캉바 가극 공연에서 가면이 지닌 교육적 의미, 캉바 가극 공연의 의식 생성, 캉바 가극 공연의 반주에 맞추어 노래하고 춤추는 것 등 3가지 교육심미적 특징에 관해 서술한다. Chinese Tibetan Opera is a highly comprehensive drama type, which combines the educational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realism of Western drama and the freehand of Chinese opera, including mask play, square play, ritual play and religious play. Tibetan opera, as a kind of local drama, has high research value, which is determined by its educational aesthetic characteristics. The world’s three major dramas include Sanskrit dramas in India, tragic-comedies in ancient Greece and Chinese dramas, which have different forms of expression and educational aesthetic characteristics. Because of the particularity of its birthplace, Tibetan Opera inherits some of the three forms of the above three dramas. Ancient Greek tragedies originate from the sacrificial ritual of the god of wine. In the early ceremonial action performances, the actors were all men and needed to wear masks to perform. In Tibetan opera, men also play a role in masks, which are originated from the folk totem dance and religious pantomime music and dance. Due to the long history of Indian Sanskrit drama, except for the relevant records in dance theory, the specific performance form can not be verified. However, according to the relevant records in dance theory, the three characters “Wenba”, “Jialu” and “Lamu” in the opening play of Tibetan opera are similar to the "concept character play" in Sanskrit opera. Tibetan Opera is a very important part of traditional Chinese opera, which inherits the educational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opera.

      • KCI등재

        서정주의 동양 인식과 친일의 논리

        남기혁 ( Nam Ki-hyeog ) 국제어문학회 2006 국제어문 Vol.37 No.-

        이 논문은 일제말기 미당 서정주의 친일문학 작품에 나타난 동양 인식과 친일의 논리를 밝혀내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주지하듯이 미당은 『화사집』에 수록된 초기시 창작을 통해 경험 세계로 환원되지 않는 심미적 주체를 정립하려 했고 그것을 통해 근대 문명에 대한 부정의식을 표출하였다. 하지만 미당은 1930년대 후반에 들어와 점차 서구지향적 미의식에서 벗어나 전통주의, 혹은 동양주의의 노선으로 전회하게 된다. 그러니까 근대에 대한 심미적 부정을 위해서 서양 대신에 동양 혹은 조선을 내세우게 된 것이다. 이러한 동양회귀가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바로 국민시론과 친일시 창작이다. 이러한 친일적 글쓰기는 미당 문학의 동양주의적·전통주의적 전회가 어떤 논리적 기반을 지니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지닌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친일시 창작 단계에서 미당이 보여준 동양적 전통 회귀(전통주의)는 역사를 심미화하는 파시즘적 상상력에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그는 `國民詩`論을 통해 한자를 중심으로 하는 일환의 문화, 즉 동양문화로의 회귀를 주창하면서 당대 시인들에게 일본의 전적에 대한 교양과 그것의 미적 전유를 요구한 바 있다. 피식민 주체의 분열된 자의식을 결코 발견할 수 없는 이러한 친일의 논리는 친일시 창작을 통해 보다 구체화되었다. 그는 일본제국주의가 강요하는 전쟁동원 논리에 함몰된 채, 국가의 부름에 자발적으로 응하는 `국민`의 목소리를 표출하였다. 특히 친일시의 시적 주체는 한편으로는 공동체를 위해 개인을 희생해야 한다는 파시즘적 논리를 뒷받침할 목적으로 죽음의 심미화를 감행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피식민 주체를 동양이라는 상상의 공동체에 접합시킴으로써 피식민 주체의 타자성을 부정하였다. 이와 같이 미당은 제국주의적 전쟁의 폭력성을 고발하는 대신 오히려 그러한 행위를 찬양·고무하는 일을 선택하였다. 그것은 `영원성`에 대한 심미적 체험을 중시하는 미당의 미학적 프로젝트가 `태평양전쟁`이라는 역사적 환경을 만나면서 필연적으로 봉착하게 된 윤리적 굴절을 보여준다. 특히 미당의 윤리적 굴절은 삶과 역사조차 심미적으로 인식하는 심미파적인 영원성지상주의, 그리고 과거와 기원을 낭만적으로 이상화하는 전통주의가 결국은 근대성 담론의 폭력성을 은폐하고 또 강화하는 수단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뿐만 아니라 미당의 친일 행위는 특정한 시기의 일회적인 사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가 일생을 통해 추구하였던 동양주의적·전통주의적 미의식의 부정적인 양상의 한 원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ed to shed light on the Eastern understanding and pro-Japanese logic appearing in the pro-Japanese literary works of Seo Jeongju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is generally known, Seo Jeongju left behind his Western-oriented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urned toward traditionalism or Easternism after he published his Flower Snake Collection (Hwasajip). That is, he advocated things Eastern or Korean rather than things Western in order to aesthetically reject the modern era. This return to his Eastern roots was given concrete form through his theory of national poetry and his composition of pro-Japanese poetry. Seo Jeongju`s pro-Japanese writing is an important clue that explains the logical basis for and meaning of his turn towards Easternism or traditionalism. The Eastern traditionalism that Seo Jeongju displayed in composing pro-Japanese poetry is connected with a fascist imagination that aestheticizes history. Specifically, through his theory of national poetry he advocated a return to the culture centered around the classical Chinese writing system--that is, Eastern culture--and called upon contemporary poets to educate the people in and aesthetically appropriate the Japanese classics. This sort of pro-Japanese logic, which shows no sign of the divided self-awareness of the colonized, took even more concrete form in his pro-Japanese poetry. Convinced by the logic of the war mobilization forced by the Japanese imperialists, he expressed the voice of the "people of the nation" that voluntarily heeded the nation`s call. In particular, the poetic subject of his pro-Japanese poetry aestheticized death with the goal of supporting the fascist logic that the individual must be sacrificed for the community on the one hand, and denied the otherness of the colonized by identifying the colonized with the imaginary community of the East on the other. In this way, Seo Jeongju did not cry out against the violence of an imperialistic war, but rather chose to praise and encourage such actions. This shows the inevitable abandonment of his ethical principles when his aesthetic project that valued the aesthetic experience of "eternality" came face to face with the historical environment of the "Pacific War." In particular, Seo Jeongju`s abandonment of his ethical principles is problematic in that it shows that the aestheticist idea of eternality for its own sake, which perceives even life and history aesthetically, and traditionalism, which romantically idealizes the past and origins, can both be perverted into means of concealing or even strengthening the violence of the discourse on modernity.

      • KCI등재후보

        조직에 있어서의 美와 倫理

        오열근(Oh Youl-Gun) 한국공공관리학회 2005 한국공공관리학보 Vol.19 No.2

        문명의 역사에서 보면, 20세기는 조직을 중심으로 하는 세기였다. 그리고 조직연구는 「知」의 영역을 중심으로 전개하여 온 것이다. 그러나 지금, 문명의 전환기에 처하여 조직에 있어서 「意」와「情」의 측면에도 눈을 돌려야 한다. 특히, 조직의 「센스」는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극적이고 심미적인 감정으로, 주로 스스로 흥미를 가지고 습관적으로 시험해 보는 경험으로부터 발생한다. 심미적 직관은 상상력에 입각함과 동시에, 조직의 창조력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또한, 창조력은 의지력뿐만 아니라 조직의 가치관과도 관련이 있다. 결과적으로, 이 논문의 핵심 중의 하나는 조직도 그 자체가 원초적으로 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인간과 조직, 조직과 사회, 조직과 자연, 이들의 관계에 있어 욕구와 가치의 문제가 錯綜한다. 따라서 조직의 발전과 조화의 문제로서 「지」「정」「의」의 영역을 명확히 하며, 조직에 있어서 眞ㆍ善ㆍ美를 연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The 20 century was an organizational society. And our society has placed a high value on the organizational sphere of 「knowledge」. However, faced with a turning point in civilization, it is a view of this study that we must turn away our eyes toward 「will」 and 「feeling」 in organization. In particular, the sense of organization is dramatic and aesthetic feeling that surpasses the possibilities of exposition, which derives chiefly from the intimate habitual interested experience. With its basing on the imaginative power, esthetic intuition is related to the power to produce organizational creativity. The ability to create also has some connection with a value judgment as well as a volitional power. As the result, one of the key points this paper makes is that organizations have their own original consciousness. The problem of needs and values is the relations between individual & organization entity, organization & society, and organization & nature. So, as the problem of the development and harmony of organization, one sees the spheres of 「the cognitive」, 「the cathectic」, and 「the evaluative」 that need to be made explicit and must clarify the concept of the cognitive, moral and appreciative.

      • KCI등재

        수치의 규범적 효력

        이태수(Lee, Taesoo)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6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6

        이 글의 과제는 수치가 어떻게 윤리의 영역에서 규범적 효력을 발휘할 수 있는지 밝히려는 것이다. 필자는 우선 수치가 도덕적 자율성의 개념과 근본적으로 잘 조화될 수 없다는 평가의 타당성을 검토하면서 논의를 시작했다. 이와 같은 평가의 근거로는 내면화된 도덕률의 판정기준을 따르는 죄의식이나 양심과 달리 수치는 밖으로 내보이는 자신의 이미지에 대한 타인의 부정적 반응에 주로 의존하는 것이라는 구별이 제시된다. 필자는 수치의 자의식적 구조를 분석하면서 수치 역시 내면화된 기준에 따르는 감정이나 감정적 성향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점을 밝히고 수치에 대한 부당한 평가를 바로 잡는 시도를 했다. 필자는 윤리적 행위 역시 심미적 평가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수치와 윤리적 행위의 밀접한 연관관계도 아울러 인정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적시하였다. 필자는 이 사실을 근거로 수치의 윤리 규범적 효력이 심미적 판단 능력에서 유래한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shed some light on the discussion of how shame has ethical-normative force. I start with examining the plausibility of the view that shame cannot align with the conception of moral autonomy on the ground that shame mainly depends on others’ negative reaction whereas guilt and conscience follow an internalized moral rule. Next, I attempt to discuss the structure of self-consciousness implicated in shame and to show that shame is an emotion or emotional disposition based on the internalized standard. Given this, finally I argue that the ethical-normative force of shame is derived from our capacity for making aesthetic judgment.

      • KCI등재

        권환 시에 나타난 유토피아 의식 연구

        김경복(Kim Kyung-Bok) 한국문학회 2007 韓國文學論叢 Vol.46 No.-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ue meaning and continuity shown in Kwon Hwan"s poem, the Utopian concept approach is required. From the Utopian view, his poem is explained to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his poem has the confrontational world view by disclosing the proletarian miserable reality, which reveals the social Utopian view for the ensured hierarchial liberation and economic equality by espousing the social democracy society. Second, according to the worsen international politics due to Japanese militarism since the disorganization of KAPF, his poem reveals the aesthetic Utopian concepts where the freedom of nature, reciprocity between freedom and equality and the spirit of original richness and peace of home towns are internalized. His Utopian concep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ituations, but same in the nature directed to the ideal society. Therefore, the Utopian concepts in Kwon Hwan"s poem may be interpreted as the challenge and controversy in response to the historic situations at his time. His limitations are the aesthetic breakdown caused by the enlightenment agitation, but it his poems greatly contributed to the liberation of people. It is interpreted that his poems contain the real intention of national and social democratic ideology in the point where his Utopian concept has been pursuit of the specific methods to practice the human ideal and desire in response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