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개방 구조에 따른 지역 공동체의식의 차이

        강연주,박종완,임승빈,Kang, Yon-Ju,Park, Jong-Wan,Im, Seung-Bin 한국조경학회 2009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3

        본 연구는 도시의 주택 재개발사업으로 인해 점차 해체되고 있는 지역 공동체의식의 회복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에 따른 구조적 특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는 중앙광장이 단순히 공동주택 거주자들만을 위한 내적이고 자기 완결형의 공간으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지역 주민들과 소통하고 교류하며 지역 공동체의 거점으로 활성화된 열린 공간으로써 그 범위가 확장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공동주택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에 의한 구조적 특성은 주변 지역에 대한 공동주택 거주자들의 심리적 개방성과 주변지역 거주자들이 갖는 심리적 접근성, 그리고 지역 공동체의식에 각각 영향을 주게된다. 또한 이러한 개방성과 접근성으로 표현되는 심리적 거리는 지역 공동체의식과 상호 밀접한 관계를 형성한다. 연구를 위해 우선 중앙광장이 단지 외부를 향해 열린 정도에 따라 이를 열린 구조와 닫힌 구조로 유형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동일 지역 안의 비슷한 조건을 가진 신림 푸르지오와 방학 대상타운 현대, 그리고 관악 푸르지오와 방학 삼성 래미안 1단지를 대상지로 선정, 각각 공동주택 거주자들과 주변지역 거주자들의 두 개 집단으로 분류한 후 총 여덟개의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지역 공동체의식과 심리적 개방성, 심리적 접근성의 측정 등을 실시한 결과 위의 연구 가설들이 모두 성립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열린 구조의 중앙광장에서 지역 공동체의식과 심리적 개방성, 접근성 등이 각각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개방성과 접근성이 높은 경우 지역 공동체의식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앙광장의 물리적 입지성과 지역 주민들의 심리적 개방성, 접근성, 지역 공동체의식이 상호 연관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구체적인 대상지를 통해 분석, 검증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두며, 향후 실천적인 중앙광장의 계획과 조성을 위한 하나의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s an alternative for restoring a sense of community which has been broken up due to urban residence redevelopment, this study focuses 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hysical location of central squares in apartment complexes. Central squares do not simply function as inner-aiming and self-completed spaces for the residents, but their role can be expanded to a core location which encourages neighbors to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The supposi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hysical locations of the central squares in apartment complexes affect apartment residents' openness toward their neighbors and non-residents' accessibility to the square. At the same time, it influences the sense of community. In addition, psychological distance which is represented as psychological openness and accessibility forms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the sense of community. For the study, we first categorized central squares as either open-structure or closed-structure based on how accessible it is from outside the apartment complex. According to these types of central squares, Sillim Prugio, Banghak Deasang Town Hyundai, Gwanak Prugio and Banghak Samsung Raemian 1 which have similar conditions and different structures were selected as sites of the study. Then each apartment complex was classified by apartment residents and non-residents so that eight groups were prepared for the survey.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especially regarding measuring the sense of community, psychological openness and accessibility indicated that the suppositions were right. Hence, the sense of community, psychological openness and accessibility are high in a central square with an open-structure while high standards of psychological openness and accessibility guarantee a positive sense of commun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s that the physical location of central squares is reciprocally related to psychological openness, accessibility and a sense of community. At the same time, this study may serve as theoretical grounds for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practical central squares.

      • KCI등재

        노인의 심리적 장애 질병 치료를 위한 통합적 접근 방식에 따른 가상현실 기능성 게임

        박성준(Sungjun Park)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 세계적으로 노인들에게 있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알츠하이머, 치매, 불안,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장애 질병과 만성 통증과 같은 신체적 활동 장애를 가상현실 기반의 기능성 게임을 적용하여 기능 향상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노인의 인지 기능을 향상하기 위한 기능성 게임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단일 시나리오 기반의 한 개의 질병에만 국한된 것이고 통합적으로 접근한 사례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심리적 장애 질병과 만성 통증에 대해 다루었던 개별적인 게임들을 분석하여 12개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특징들을 조합하여 노인에게 효과적인 통합적인 접근 방식의 게임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게임 시스템을 기반으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20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효과성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논문에서는 심리적 장애 질병에 대한 다양한 심리적 장애 질병을 가지고 있는 노인들 대상으로 신체적 기능과 기억력 향상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매주 신체적 활동을 한 가상현실 게임에서는 점진적인 기능 향상을 보였고, 경로 찾기와 같은 기억력 게임에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결론: 노인을 위한 기능성 게임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접근 방법으로서 연구되고 있어서 심리적 장애 질병은 통합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질병 장애에 대한 기능성 게임 시스템을 분석하여 12개의 특징을 추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통합적인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가상현실 기능성 게임을 개발하여 노인들 대상으로 효과성을 검증한 결과 신체적 활동 및 기억력 회복에50은 결과를 보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pplying virtual reality-based serious games for the functional improvement of patients with psychological disorders such as Alzheimer’s, dementia, anxiety, depression and chronic pain, which are rapidly increasing among the elderly worldwide. Methods: There are several studies which show that serious games improve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However, most of these games are limited to one disease based on a single scenario, and none of the studies used an integrated approach. In this paper, we propose 12 important game features by analyzing games related to psychological disorders and chronic pain. Furthermore, we suggest an integrated game system that combines these features. We tes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game system on 20 elderly subjects. Results: In this paper, we tested the improvement of physical function and memory in the elderly with psychological diseases. The first experiment showed a gradual improvement in physical function after a virtual reality game based on weekly exercise. The second experiment showed that the path-finding time gradually shortened as time passed in the path-finding virtual reality game.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re is a need for an integrated approach toward psychological disorders and diseases of the elderly. In this study, we proposed an integrated game system with 12 features after analyzing and extracting these from a functional game system for psychological disorders. Based on these features, we developed a virtual reality serious game and tested its effectiveness for the elderly, showing good results for physical activity and memory recovery.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의 지연행동: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

        신수지,서수균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problem-solv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rocrastination among college students. Data from 299 participants were analyz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tilize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which was further verified via the Bollen-Stine bootstrap procedure. Results as follows: Firs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crastination. Second, problem solving abilit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rocrastination an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rocrastination. Third, problem-solving confidence(PSC) and personal control(PC) significantly mediated a por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rocrastination, but no mediation effect was found for approach-avoidance style(AAS).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to improve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erceived problem-solving ability that influences procrastina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지연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리적 통제 척도, 문제해결능력 척도, 지연행동 척도를 실시하였고, 299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 문제해결능력(문제해결 자신감, 접근-회피 양식, 개인적 통제감), 지연행동 간의 상관을 알아보고,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검증을 수행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부트스트랩 절차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지연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문제해결능력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의 심리적 통제와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문제해결능력이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고, 모의 심리적 통제와 지연행동의 관계에서는 문제해결능력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인별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문제해결 자신감과 개인적 통제감이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줄이고 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해결 자신감과 개인적 통제감을 지각하기 위한 심리적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 죽음에 대한 실존적 불안과 고통 완화를 위한 통합적인 심리적 접근 가능성

        장연집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5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5 No.1

        오늘날은 예상치 않은 갑작스런 죽음을 맞이하는 경우가 많아져 가고 있다. 죽옴의 통고는 삶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를 자아내는, 삶에서 가장 큰 위기이다. 죽음 관련의 주제는 경험과 믿음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죽음대비교육올 통해 지식과 정보의 문제로 확대되어 평형감을 잡아야 한다. 모든 연령층을 대상으로 죽음 관련의 주제를 다룬 본 연구는 실존적 불안의 문제, 심신관리와 생리심리사회적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특히 임종환자의 삶의 질올 높이기 위해 보살펌의 수준과 방향성, 고통완화를 위한 심리적 개입법올 소개함으로써, 임종환자와 그의 가족올 위한 통합적인 심리적 보살핌의 가능성을 확대하였다. Recently, cases of unexpected deaths have become more and more common. The notification of death is the greatest crisis of life, causing the highest rates of stress, to the people involved. Subjects conceming death are matters closely related with experience and faith, but we need to regard them also as matter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o as to achieve equilibrium through death preparlng education.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subjects related to death on the people of all ages and focuses on the existential anxiety, body-mind management and the application of biopsychosocial models. The research pays a particular attention to the direction and the level of the palliative care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for dying patients, while introducing the intervention of effective psychological approaches to exarnine the potentials of integrated psychological cares for the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 KCI등재

        음악교과에서의 특수교육의 음악심리적 적용

        조정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2 음악교육공학 Vol.- No.15

        We can say that music psychology is the key to understanding, educating, and caring for handicapped children. If the ultimate purpose of educating handicapped children is to minimize the difficulties they may have in moving with ordinary children in integrated surroundings, then using a music psychological approach to look into the human mind has to be emphasized in music class for the improvement of these special children’s disabled conditions. But most schools focus only on physical factors, such as special data, teaching methods, equipment, facilities, etc. It is no wonder that handicapped children need proper equipment and related special services because of the special phys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that they have compared to ordinary children. The music psychological approach is a method of maximizing their residual ability and minimizing their difficult condition through the handicapped children`s physical and emotional sympathy and diverse therapeutic activity. Therefore, it would be more efficient to approach the education of handicapped children psychologically rather than to improve upon the existing educational method. This article, I am going to look into the useful theories in the field of psychology and then apply the psychological method to handicapped children through music class. This is an attempt to determine the right music psychological method in the course of improving handicapped children`s disability and their means of self-expression, emotional expression, and socialization. This music psychology is a meaningful activity in that it is based on handicapped children`s unconscious worlds and helps to improve the diversity of emotional experience and methods of self-expression. 음악심리는 특수아동을 이해하고 교육하며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는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특수아동을 위한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 통합 환경 속에서도 일반아동과 살아가는데 어려움을 최소화하는 것이라면, 음악교과에서는 다양한 활동 영역이 있으나 효과적인 특수아동의 효과적인 장애개선을 위해서 인간의 마음을 살펴보는 음악심리적 접근이 우선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학교에서는 특수교육에 대하여 특별한 자료, 지도 기술, 장비 및 설비 등 물리적인 부분만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특수아동에게는 일반아동에 비하여 독특한 신체적․정서적인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보다 더 준비된 기자재와 특수 관련 서비스가 필요하기도 하다. 음악심리적 접근은 특수아동의 신체적․정서적인 교감과 다양한 치료활동으로 그들의 어려운 여건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잔존 능력을 최대로 키울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그러므로 특수아동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이란 단순히 교육 방법의 개선이라기보다는 심리적 접근이 우선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심리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이론들을 살펴본 후 특수아동에게 음악을 통한 심리이론의 적용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특수아동의 장애개선을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자기표현의 수단, 감정표현 수단 그리고 사회화의 수단으로써 올바른 음악심리 방안을 찾으려는 시도이다. 이러한 음악심리는 특수아동의 무의식적인 정신세계에 기초하여 풍부한 정서적 경험과 자기표현 방법들을 발달시키도록 도움을 줄 수 있기에 의미 있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제품범주정보 현저성이 브랜드확장 평가에 미치는 영향

        김귀곤(Gwi Gon Kim),전승우(Seung Woo Chun),차태훈(Tai Hoon Cha) 한국마케팅학회 2009 마케팅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브랜드확장평가에 있어서 동양인이 서양인보다 브랜드확장의 적합성을 높게 판단하고 호의적으로 평가한다는 최근 Monga and John(2007)의 연구결과와 브랜드확장 평가과정에서 제품범주정보의 브랜드혜택연상에 대한 간섭효과를 제시한 Meyvis and Janiszewski(2004)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그 기저에 흐르는 동서양간의 심리적 메커니즘의 차이를 접근성-진단성(accessibility-diagnosticity)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즉 본 연구는 동서양간의 제품범주정보의 현저성과 그로 인한 브랜드혜택연상에 대한 간섭효과의 차이, 그리고 브랜드혜택연상에 대한 접근성과 진단성의 차이에 따라 동서양간의 확장브랜드로서의 모브랜드(narrow brand vs. broad brand)에 대한 선택이 달라질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동양인과 서양인을 대상으로 5번에 걸친 사전조사과정을 거쳐 실험대상 제품, 가상의 브랜드, 추구하고자하는 브랜드혜택연상 등을 결정하였다. 이를 기초로 본 조사에서는 내구성 있는 2개의 포트폴리오 브랜드(narrow brand: TV, DVD player, 오디오, broad brand: TV, 냉장고, 세탁기)를 대상으로 내구성 있는 캠코더로의 브랜드확장상황을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제품범주정보의 노출 횟수, 제품범주제공과 확장평가 및 확장브랜드선택 사이의 시간 차이를 조절하여 제품범주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조절하였다. 본 연구에는 총 488명(한국 243명, 미국 245명)이 참여하였으나, 부적절한 응답과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414부(한국 212부, 미국 202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동양인들이 서양인들에 비하여 폭이 넓은 브랜드의 선택경향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제품범주정보 및 브랜드혜택연상의 회상정도에 대한 추가분석을 통하여 동양인들의 폭이 넓은 브랜드 선택경향에 대한 가설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노출횟수의 증가, 시차단축을 통한 실험에서는 동서양 모두 폭이 좁은 브랜드의 선택비율이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동양인에게서 상대적으로 그 비율이 높게 증가하여 동서양간의 차이가 사라지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A-D 관점에서 제품범주정보의 브랜드혜택연상에 대한 간섭효과 및 노출횟수의 증가 전, 시차단축 전의 동양인의 폭이 넓은 브랜드에 대한 선택경향을 간접적으로 확인해 준다. 본 연구는 더 많은 연구와 실증을 필요로 하겠지만 동서양간의 브랜드확장평가의 차이를 브랜드확장평가의 심리적 메커니즘 측면에서 살펴봤다는 그 자체로서도 이론적인 측면에서 상당한 의미를 지닌다. 뿐만 아니라 마케팅 실무적 측면에서도 기존의 확장결과를 고려한 마케팅전략, 더 나아가 글로벌 환경에서의 다양한 마케팅전략의 수립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East-Wes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mechanism in the view of accessibility-diagnosticity based on the results of two recent researches; One is conducted by Monga & John(2007) that Easterners(vs. Westerners) perceive the brand extension fit highly and evaluate the brand extension favorably. The other is conducted by Meyvis and Janiszewski(2004) that the interference effect on brand benefit association of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can exist in the process of brand extension evaluation. Namely,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East-West choices of parent brand(narrow brand vs. broad brand) could vary according to 1) the East-West differences in the salience of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2) the differences in the interference effect on brand benefit association of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3) the differences in the accessibility and diagnosticity of brand benefit association. We expect that Easterners choose the broad brand more than Westerners. And there will be no choice differences between them on extension brand in case of high salience on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For this empirical analysis, we decided the test target products, fictitious brand, pursuing brand benefit association by targeting Easterners and Westerners through 5-time pretests. Based on the two portfolio brands with durability(narrow brand: TV, DVD player, audio, broad brand: TV, refrigerator, washing machine), we presented a brand extension situation to the camcorder with durability. Furthermore, we modulated an accessibility of the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by controlling the exposed numbers to the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and the time differences between the phase of product category offer and extension evaluation/extension product choices. Namely, the survey was run by the respective three groups (Firstly, offering information one time and evaluating after 50 minutes; secondly, offering information one time and evaluating after 5 minutes; lastly, offering information three times and evaluating after 50 minutes) through shortening time interval between beginning of information offering and extension evaluation as well as increasing the exposed numbers to information to manipulate a salience of product category informations. Although total 488 people(243 Koreans and 245 American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we just utilized reliable responses from 414 respondents(212 Koreans and 202 Americans) except inappropriate and insincere responses. The results indicate that although a preference for broad brand is higher in the East than in the West, it is not meaningful statistically. Accordingly, We indirectly affirmed the hypothesis on the preference of East for the broad brand through an additional analysis on a degree of recall for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and a brand benefit association. Furthermore, we found out that both East and West have a high preference ratio of narrow brand by increasing the exposed numbers to the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and shortening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information offer and extension evaluation. In addition, by relatively raising the preference ratio toward the Ea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ast-West came to be diluted. This result indirectly showed a preference tendency of the East for the broad brand from an A-D perspective before the interference effect on brand benefit association, increasing the exposed numbers and shortening the time interval. This research got access to the more realistic and consumer-focused strategies than the existing researches. Firstly, we approached to the brand extension evaluation from the viewpoint of A-D. This was very practical model, providing it is natural that there was a time interval between the time of information offering and the time of purchasing(that of brand extension evaluation). Secondly, parent brand was chosen in the process of choosing extension products. Now that consumers generally tend to decide pro

      • KCI등재

        노인돌봄 기본 서비스 이용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희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경아,손의성,길태영 한국노인복지학회 2017 노인복지연구 Vol.7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hope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with basic care service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tal 288 older adults above 65 in D city for empirical analysis. Techniques used in analyzing data we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structure equation model, Ping's two-step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older adults was affected by the perception on social support of older adults. Second, thinking of hope had moderating effect on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with care services. From the above findings, thinking of hope have a positive effect on older adults living alone and low-level of social support. Finally, this paper attempted to provide some alternatives to effectively improve hope an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living alone with basic care services based on empirical findings.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돌봄 기본 서비스를 이용하는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희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시에 노인돌봄 기본 서비스를 받고 있는 65세 이상의 독거노인 288명을 대상으로 면접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Ping의 2단계 접근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의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돌봄 기본 서비스 이용 독거노인들의 사회적 지지 인식수준이 낮더라도 희망을 증진시킴으로써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돌봄기본 서비스 이용 독거노인의 희망과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협력적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부적응 유아를 중심으로

        고희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 and apply a collaborative consulting program to resolve difficulties of maladjusted children, and then to verify its effects. Participants of the program were 2 maladjusted children of age 5, 2 mothers, 1 teacher and 1 child psychology specialist. In the collaborative consulting program, psychological approach, parenting approach and educational approach are done comprehensively. The child psychology specialist, the mothers and the teacher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nce a week and total 12 times at the playroom, home and the classroom respectively. The change of children was inspected through self-regulation and social ability that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and social relation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result showed highly increased self-regulation such as self-monitoring and self-control and improved social skills such as cooperation mind and interaction. However, behavior problems such as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anxiety were decreased. The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change of social relations showed that there was positive change as they get through chaos period, growth period, regression period and stability period. 본 연구는 부적응 유아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협력적 컨설팅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참여자는 만 5세 부적응 유아 2명, 어머니 2명, 담임교사 1명, 심리전문가 1명이다. 협력적 컨설팅프로그램은 심리적 접근, 양육적 접근, 교육적 접근을 통합적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즉, 심리전문가, 어머니, 교사가 놀이실, 가정, 교실에서 주1회 총12회기 프로그램을 각각 실시하였다. 유아의 변화는 자기조절력 및 사회적 능력을 사전․사후 실시하여 살펴보았고, 사회적 관계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들은 자기점검, 자기통제와 같은 자기조절력에서 높게 증가하였으며, 협력성, 상호작용 등 사회적 기술이 향상된 반면 행동과다, 공격성, 사회적 위축, 불안 등 행동문제는 감소하였다. 또한 사회적 관계의 변화를 질적으로 살펴본 결과, 카오스기, 성장기, 퇴행기, 안정기 단계를 거치면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어머니-교사-심리전문가 간 협력을 통한 컨설팅프로그램이 부적응 유아의 심리적 어려움을 해소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추리소설에 나타난 범죄서사와 탐정서사의 관계 양상 고찰-알리바이의 문제와 탐정의 형상을 중심으로

        김은경 한국현대문학회 201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7

        이 글은 김내성, 김성종, 도진기 세 작가의 추리소설들을 논의대상으로 하여 한국 추리소설의 큰 흐름을 살피고 있다. 추리소설에 존재하는 범죄서사와 탐정서사의 양대 서사에 주목한 토토로프의 논의에 기대어, 이 양대 서사의 관계를 통해 우리 추리소설사의 큰 흐름을 조명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구체적인 논점은 알리바이의 문제와 탐정의 형상이다. 2장에서는 김내성의 작품들을 통해 범죄서사와 탐정서사가 미분화되어 있음을 논의하였다. 김내성의 작품에서는 범행의 ‘기술적 가능성’을 입증함으로써 주체-식별적 알리바이를 해체하는 방향으로 탐정서사가 전개된다. 범죄서사 내에서 탐정이 직접 겪은 ‘체험’이 이 알리바이 해체의 열쇠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양대 서사의 미분화 양상을 엿볼 수 있다. 한편, 김내성의 작품에서는 범죄서사와 탐정서사가 착종되는 양상을 통해 양대 서사의 미분화 양상을 나타내 보인다. 이는 탐정서사 내에서 복수탐정의 존재와 관련을 맺는다. 3장에서는 김성종의 작품들을 통해 범죄서사와 탐정서사가 감정적으로 연계됨을 논의하였다. 김내성의 작품에서 탐정이 범죄서사 내에 존재하는 것과 달리, 김성종이 창조한 탐정 오병호는 탐정서사 내에 공고하게 자리를 잡은 가운데 범죄서사와 탐정서사 간 감정적 연계와 관련을 맺는다. 김성종의 작품에서는 범인의 세계-내-생존 증명을 하는 것이 알리바이 해체의 관건이 되는데, 이 과정에서 탐정은 범행의 ‘심리적 가능성’을 밝혀 나간다. 이 알리바이 해체 과정에서 범죄의 심리적 가능성이 주요하게 고려된다는 점에서 양대 서사의 감정적 연계 양상을 드러내 보인다 하겠다. 다른 한편으로, 철저하게 탐문에 기초하여 수사를 진행하는 탐정 오병호는 범죄자 혹은 용의자와 공감하거나 그들을 배려하는 입장을 나타내 보인다. 본고는 이러한 오병호의 범죄서사에 대한 공감적 접근을 통해 양대 서사의 연계 양상을 논할 수 있었다. 4장에서는 도진기의 작품들을 통해 범죄서사와 탐정서사가 분화됨을 논의하였다. 도진기의 작품에서 탐정 고진은 시공간-조작적 알리바이 해체를 통해 범행의 ‘물리적 가능성’을 입증한다. 도진기의 작품에서 범죄서사는 모두 증거가 부재하고 알리바이가 완벽한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알리바이 해체는 첨단 수사 방식을 통해 수집한 팩트들의 뒷받침을 받아 주로 탐정의 머리에서 수리물리적인 답안을 찾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고는 팩트와 추리 간 긴 거리를 노정하는 이러한 알리바이 해체 방식을 통해 양대 서사의 분화 양상을 엿볼 수 있었다. 한편, 탐정 고진에게 있어서, 범죄서사는 사건 해결의 실마리가 되는 팩트들이 산적한 데이터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할 수 있다. 그는 이 데이터에 입각하여 가설을 세우고, 다시 그 가설을 검증할 수 있는 팩트들을 수집하여 가설검증을 하는 방식으로 사건에 접근한다. 이와 같이 탐정이, 데이터로서의 의미를 갖는 범죄서사에 가설 검증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을 통해 양대 서사의 분화 양상을 논의할 수 있었다. This essay aims to illuminate the great flow of Korea Detective Novels. To do this, I examine the Detective Novels of Kim Nae-seong, Kim Sung-jong, Do Jin-gi. This essay studies the great flow of Korea Detective Novel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of Narrative of Crime and Narrative of Detective based on Tzvetan Todorov's discussion on the Detective Novels. The problem of Alibi and the Image of Detective are concrete points which underpin the argument. In chapter two, I discuss on the aspect of Undifferentiation of the two Narratives through the novels of Kim Nae-seong. In his novels, Technical Possibility of Crime is proven by disproving an Subject-distinguished Alibi. I discuss on the Undifferentiation of the two Narratives on the evidence of the detective's experiences in the Narrative of Crime which are keys to disproving the Alibi. Meanwhile, the Detective Novels of Kim Nae-seong show the Undifferentiated aspect of two Narratives through entangling phenomenon of the two Narratives. The aspect necessarily correlates with Plural Detectives. In chapter three, I discuss on the aspect that the two Narratives are linked emotionally through the novels of Kim Sung-jong. In his novel, the Detective disproves Existence-proved Alibi by proving criminal's survival in the world. Thereby, he verifies Psychological Possibility of Crime. I discuss on the Emotional Link of the two Narratives on the evidence of the detective's attention to Psychological Possibility of Crime. Meanwhile, this essay pays attention to the detective Oh Bung-ho's attitude which he sympathizes with criminal or suspect. This essay could also discuss on the Emotional Link of the two Narratives through the detective's attitude which he sympathetically approaches to the Crime Narrative. In chapter four, I discuss on the aspect of Differentiation of the two Narratives through the novels of DO Jin-gi. In his novels, the detective Go Jin verifies the Physical Possibility of Crime by disproving Spacetime-fabricated Alibi. Go Jin disproves the Spacetime-fabricated Alibi by physical approach to the alibi. This essay could discuss on the Differentiation of the two Narratives through the distance between facts and inference which shows in process of disproving the Alibi. The second controversial point of chapter four is the detective’s attitude approaching to the Crime Narrative. This essay could also discuss on the Differentiation of the two Narratives through the detective's attitude which he considers the Crime Narrative as Data and approaches to the Crime Narrative forming hypotheses and verifying the hypothese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