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라이프니츠의 현상론

        박삼열(Sam-Yel Park) 한국철학회 2002 哲學 Vol.70 No.-

        이 논문의 목적은 라이프니츠의 철학을 일관성 있게 설명하는 데 장애물이 될 수 있는 두 개의 다른 실체개념의 관계를 규명해 보고, 그가 이 실체개념들을 물체와 연관시켜 자신의 형이상학적 체계 내에서 잘 조화시키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것과 관련해서 (1) 개별적 실체와 단자의 관계 (2) 단자와 합성체의 관계 (3) 합성체와 물체적 실체의 문제 등이 제기된다. 라이프니츠의 두 실체―개별적 실체와 단자―개념은 모순 없이 잘 연결되어 있으며, 일관성 있게 주장되고 있다. 그는 개별적 실체의 개념을 토대로 해서 단자라는 실체개념을 완성시킨다. 따라서 단자란 개별적 실체의 연속선 상에서 발전된 완성된 실체개념이다. 다른 한편 연장개념을 부정하는 라이프니츠의 현상론은 단자로부터 물체에 대한 주장까지 모순없이 잘 설명되고 있다. ‘정신적인 단자가 어떻게 물질적인 합성체 즉 물체를 형성하는가?’라는 문제는 ‘합성체가 물질적인 것이 아니라 단자들로부터 결과된 하나의 현상일 뿐’이라는 라이프니츠의 현상론에 의해서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라이프니츠가 정신적 단자인 실체 이외에 또 하나의 다른 실체개념으로 내세우는 물체적 실체개념은 그의 형이상학적 체계와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그의 현상론에 의하면 실체는 단자들뿐이며, 신체 즉 물체는 하나의 현상에 불과할 뿐이다. 그런데 그는 신체와 정신으로 구성된 유기체―인간, 동물, 식물―를 또 하나의 다른 실체로 간주하고, 이것들에 물체적 실체라는 이름을 붙인다. 이렇게 라이프니츠가 단자 이외의 또 다른 실체 즉 물체적 실체를 내세운 것은 그의 현상론의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에 나타난 실체 개념의 개별성 문제 ― 『형이상학』 Ζ를 중심으로 ―

        김덕천 ( Kim¸ Deok-cheo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5 가톨릭철학 Vol.0 No.7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스승 플라톤의 초월적 참여론과 더불어 서구 존재론의 토대와 시원을 점하고 있는 기념비적인 연구 성과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중세의 보편 논쟁에서뿐만 아니라 근현대에 이르는 2,0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숱한 아포리아들을 양산해온 가장 난해한 철학 논고 가운데 하나로 손꼽혀 왔다. ‘제1철학’으로 일컬어졌던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존재로서의 존재에 대한 원리적 탐구로서 존재로서의 존재 개념의 핵심은 실체에서 포착될 수 있는데, 실체 개념의 성격 문제는 그러한 실체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내포를 지니고 있으며 그것이 과연 개별적인가 보편적인 것인가 하는 쟁점으로 귀결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서양의 정신사에서 최초로 존재 개별성의 의식적인 화두(話頭)를 제출한 사상가로서, 실재론-관념론의 알력과 개별-보편 상호 간의 관계 정립의 과제는 바로 이 사상가로부터 촉발된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범주론』에서 제1실체와 제2실체를 명시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바, 제1실체가 이 세상에 실재하는 개별적 사물들을 가리킨다면, 제2실체는 능동 지성의 추상과 추상에 따른 술어화의 기제를 통하여 파악되는 동일한 공통 본성·형상·본질·보편 개념을 각각 가리킨다. 보편 본질이나 관념을 현실적 개별자들과 동의어적(同義語的)인 것으로 간주하고 이에 실체의 이름을 부여하고 있는 『범주론』은 실재론적 본질주의자로서의 아리스토텔레스의 면모를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금까지의 많은 주석가들은 『형이상학』의 핵심 논고들이 제2실체로서의 (실체적) 형상과 본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생각해 왔으나, 1970년대 이후의 문헌학적 원전 판독의 결과들은 제2실체뿐만 아니라 제1실체 또한 변증법적 사유 실험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으며, 나아가 제1실체를 대변해 주는 개별 실체와 다름이 없는 것으로서의 제2실체, 즉 실체적 형상이 『형이상학』의 경우에는 개별성을 담지한 것으로 논증되고 있다고 강변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논자는 『형이상학』의 논변이 제1실체와 제2실체 모두를 취급하고 있으므로 논리 논문집인 『오르가논』의 일부로 구분되어 왔던 『범주론』이 본격적인 『형이상학』의 서론격에 해당한다는 점은 받아들이지만, 실체적 형상과 본질이 개별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이른바 ‘개별적 형상론’의 주장에는 공감을 표명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형이상학 핵심 논고의 번세한 변증 추론들을 종합하고 있는 Ζ권 13장 이후 Η, Θ의 논의들은 현실태인 전체로서의 물질적 제1실체와 가능태인 부분 혹은 구성요소로서의 실체적 형상이라는 이론적 구도하에 명백히 보편 본질의 실체적 개별성을 인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이해하는 현상계의 참된 제1실체·궁극적 주체는 질료와 형상의 통일체이며, 이때에 형상은 동일성 및 통일성의 원리로 기능하고 질료는 비동일성의 원리로 자리 매김 된다. 그리고 동일성의 원리는 그것이 종적인 단일성이든 전체적 통일화의 맥락에서 본 수적인 단일성이든 하나임[一性]의 원리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질료는 개별화의 원리라기보다 비동일성 내지 차별성의 원리로 이해되어야 하며,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에서의 실체적 형상은 결코 개체 차별성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가 없는 것이다. Aristotle’s metaphysics, together with Plato’s theory of transcendental forms, is a monumental masterpiece that formulates the foundations of western ontological pursuit. However, the book Metaphysics has been evaluated for over 2000 years as one of the most aporetic philosophical writings not only for the ancient and medieval but even for the modern commentators as well. Aristotle’s metaphysics, called by the name of “first philosophy”, is the study of being as being, and the core of being as being is seized with the concept of substance. To understand the notion of substance, we should be able to know what intention the word substance has and that would lead us to the issue of whether it is individual or universal. As we know, Aristotle is a thinker who first cast the problem of individuality of being in western philosophy, and so, as was revealed in medieval controversy over universals, the tension between realism and idealism or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universal were triggered by himself. Aristotle explicitly mentioned two kinds of substances, namely the primary and secondary in Categories. To sketch briefly, primary substances denote individual things in nature contrasted with secondary meaning the same common nature, form, essence or idea that are grasped through the mechanism of predication brought from the abstraction in epistemology. And here Aristotle’s showing the identity of realistic essentialist for he regarded essence or idea as being synonymous with the real individuals. Generally so far, most scholars have thought that the central books of Metaphysics are focused on the notions of (substantial) form or essence as the secondary substance in Categories. But the philological commentaries after 1970s have assumed that besides the secondary primary substance as true real substance plays a pivotal role in dialectical thought experiment of Metaphysics and furthermore substantial form as the secondary substance synonymous with or representing the primary substance has individuality of being. With regard to this reasoning, I accept the fact that Metaphysics includes the inferences on secondary and primary substance as well and thus Categories which has been treated as a part of logical works Organon should be recognized as a practical prolegomena of Aristotelian metaphysics, but disagree on the argument, so called “theory of individual form” that the substantial form has individuality of being. Because discourses in Η, Θ starting from Ζ,13 have never ever granted the substantial individuality of universal essence under the theoretical scheme of actuality which is primary material substance as the whole and potentiality which is substantial form as the part or constituent of the whole. For Aristotle true primary substance or ultimate subject in this material world is a composite unity of form and matter, and now if the form functions as the principle of identity and unity, matter is established as the principle of non-identity. The principle of identity means principle of the one, whether oneness in form or oneness in number in the context of holistic amalgamation. Therefore the matter should not be understood as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but as the principle of non-identity or difference, and the form cannot be the cause of differentiation.

      • KCI등재

        ‘실체적 진실발견’은 형사소송법의 목적인가? : 형사소송법의 제 · 개정 흐름을 중심으로

        김혜경(Kim, Hye-Kyung) 韓國刑事法學會 2014 형사법연구 Vol.26 No.2

        실체적 진실의 발견이란 말 그대로 역사적으로 존재하는 객관적인 사태나 속성을 인간의 인식을 통하여 재구성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형사소송법상 소위 실체적 진실이란 역사적 사실관계의 확인을 의미하는 바, 철학적 범주의 진리개념과 완전히 상 응할 수는 없다. 실체적 진실발견이 형사소송법의 목적 또는 이념이라는 점에 관하여는, 최근의 매우 희박한 논의를 제외하고는 언제나 긍정되어 왔다. 그러나 어느 연구에서도 실체적 진실발견의 실체는 분명히 드러나지 않는 듯하다. 반면 실체적 진 실발견, 특히 적극적 실체적 진실발견이 근대 형사소송법의 역사에서 발휘하였던 부정적 면은 우리에게 보다 많은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법은 그 자체로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이데아가 아니라, 법이 존재하는 시대의 정신과 시민의식을 담고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당대의 윤리의식이 투영된 무엇이어야 한다. 시민의 정신은 당대를 살아가는 공존자로서, 내부로부터 어떤 행동 양식을 유발시키는 행위의 실천적 공감대를 가지고, 이것이 특정한 민족이나 시대의 관습을 만들어내는 힘임과 동시에 법이 담아내야할 에토스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적극적 실체적 진실주의가 역사의 긴 흐름 중 어느 시대엔가 형사소송법 의 목적이었거나 앞으로 후대의 목적이 될 수 있을지는 몰라도, 지금 우리 시대의 시민정신과 문화적 공감대는, 그간의 근대사를 배경으로 하여 오히려 이에 저항하거나 거부하는 듯하다. 적극적 실체적 진실주의가 범인필벌 또는 엄벌주의를 위하여 기본권을 도외시하고 전방위적으로 내세워진 이념이었다면, 현재진행형인 형사소송법의 개정에 있어서는 사법의 절차적 정당성과 민주적 정당성의 확보에 심혈을 기울 여야 할 것이다. 소극적 실체적 진실주의 역시 법적 안정성의 보장을 통해 이루어야 할 법적 평화의 다른 이름이라는 점에서 굳이 적극적 실체적 진실주의를 거부하는 입장에서 소극적 실체적 진실주의를 독자적인 입법목적으로 인정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이러한 의미에서 법적 평화를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법의 절차적 정당성과 민주적 정당성의 성취는 형사소송법의 목적이자 지표가 될 것이다. Substantive truth means to be re-configured via the human perception, and attributes situations objective being present historically. In area of substantive truth of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it means confirmation of the historical facts, but it is not possible to fully support the concept of truth and philosophical areas. However, in any study, the entity of the discovery of substantive truth does not seem to be recognized clearly. On the other hand, actively substantive truth has affected very negative in the history of South Korea. Law is not the idea that exists independently on their own. Rather than law must put the public consciousness and the spirit of that era. However, the concept of actively substantive truth doctrine is not accurate, and even in light of our history, actively substantive truth doctrine does not meet the spirit of these times. Reluctant substantive truth principle is recognized through a validity procedural principle of presumption of innocence, there is no need to acknowledge them individually concept. So in this study, both actively and reluctant substantive truth doctrine is denied as purpose of Criminal Procedure Law. In this sense, an object of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should be the achievement of democratic legitimacy and validity of procedural justice.

      • 아리스토텔레스 실체론의 지형도

        조대호 ( Dae Ho Cho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07 화이트헤드 연구 Vol.14 No.-

        아리스토텔레스 존재론의 중심 물음은 "실체는 무엇인가?"이다. 이 물음은 매우 단순해 보인다. 하지만 그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대답은 그의 존재론의 다양한 맥락과 광범위하게 연루되어 있어서, 이 맥락들을 충분히 검토하지 않고서는 이해하기 어렵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론이라는 미궁(迷宮)의 이론을 그 다양한 갈래를 고려해서 살펴보면 그로부터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지형도를 그려낼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 실체론의 가장 단순한 형태는 『범주론에』 주어져 있다. 여기서 "실체"는 있는 것 가운데 첫 번째 범주를 가리키면서 동시에 그런 범주에 속하는 것들을 가리킨다. "이 말"과 "이 사람"처럼 특정한 자연종에 속하면서 분리 가능한 개별자와 이 개별자를 포함하는 보편자(종과 유)가 각각 첫째 실체와 둘째 실체이다. 『범주론』의 특징은 이 가운데 첫째 실체를 모든 있는 것의 원리로서 삼으면서 이것과의 관계, 즉 진술의 관계나 내속의 관계 속에서 다른 모든 것이 존재한다고 보는 데 있다. 그에 비해 첫째 실체는 진술의 궁극적 주어이자 다른 것의 담지자로서의 지위를 배당받는다. 『범주론』에서는 첫째 실체의 존재가 가장 으뜸가는 뜻에서 있는 것으로서 더 이상 물음의 대상이 되지 않는 반면, 『형이상학』에서는 그것이 질료와 형상의 복합 실체로 분석되고 그 두 원리들 자체의 실체성이 논의거리로 추가된다. 질료에 관해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그것의 실체성을 단호히 부정한다. 질료는 궁극적인 기체임 에는 틀림없지만 실체가 가져야 하는 다른 두 특징, 즉 분리 가능성과 지시가능성("이것")을 결여하고 있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런 두 가지 특징을 가진 형상에는 실체의 지위, 특히 첫째 실체의 지위를 부여한다. 형상이 복합 실체의 존재의 원인이라는 것이 그 근거가 된다. 따라서 『형이상학』에서는 『범주론』에 제시된 두 부류의 실체와 더불어 형상이 실체의 지위를 가지며, 그 중심에는 물론 형상이 있다. 왜냐하면 형상은 질료에 규정성을 부여해서 복합 실체를 만든다는 점에서 이 실체가 가지는 개별성의 원리이면서, 동시에 이 실체를 특정한 종의 구성원이 되게 하는 종적인 보편성의 원리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형이상학』에서 우리가 만나는 또 다른 실체 개념은 "각 사물의 실체"라는 표현에서 드러나는 것이다. 여기서 문제되는 것은 지금까지 말한 실체들과는 전혀 다른 뜻의 실체, 즉 각 사물의 본질이라는 뜻에서의 실체이다. 논리적인 관점에서 전개되는 본질에 대해 논의에서 핵심이 되는 테제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자체성"에 의거한 본질에 대한 정의이고 다른 하나는 본질 개념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논변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본질을 각 사물 자체에 속하는 것이라고 정의하면서, 그런 뜻의 본질이 우선적으로는 실체에, 부수적으로는 비(非)실체적 존재자들에 속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형이상학』에서의 본질에 대한 논의는 논리적 관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로 자연종의 본질에 논의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래서 개별자의 본질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없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리스토텔레스가 개별자의 본질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너의 본질", "칼리아스의 본질" 등의 표현들을 통해 개별자의 본질이 있음을 시사하면서, 그에 대한 자연철학적인 접근, 특히 『동물발생론』에서 전개되는 유전학적인 접근의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 The central question in Aristotle`s ontology is the following: "what is substance?" This question seems to be very simple. His answer is, however, so extensively embedded in the various contexts of his ontology that it might be hard to figure out it without properly examining them. If carefully examined, the main points might be made as follows. The simplest version of the Aristotelian theory of substance is found in the Categories in which Aristotle tries to classify predicates and beings. Here, the term "substance" means the first category of being and at the same time the beings that belong to the category: perceptible individuals such as "this man" or "this horse" on the one hand and universals such as man and animal that "are said of" the individuals on the other hand. The former are called primary substances and the latter secondary ones. This theory of substance is, above all, characterized by the assumption that the primary substance is the principle of other beings in the sense that those exist only with reference to the primary substance. Aristotle holds that only the primary substance exists separately and as "this", while the other beings either exist by being predicated of the primary substance as ultimate subject or by being inherent in it. This commonsensical theory of substance goes more deeper in the Metaphysics to the extent that the primary substance advanced in the Categories is analyzed into its two parts, i. e. matter and form, and their substantiality is brought into question. As for the matter, Aristotle does not hesitate to deny its status of substance. The matter, he argues, is the ultimate substrate but does not have other two characteristics of substance, i. e. separability and "thisness". So, he ascribes the status of substance only to the form which is separable and exists as "this": He calls it "primary substance" on the ground that it is the cause of being for the composite substance. In this context of the so-called hylemorphism, therefore, it turns out that there are three sorts of substance, namely, perceptible individuals, universals, and forms. Futhermore, the ontological priority is given to the form which causes indefinite matter to become a definite and composite substance of a certain kind. This account of form in the Metaphysics shows that it is the immanent and particular principle which is responsible not only for the individuality of the perceptible substance but also for its universal character. Another concept of substance we encounter in the Metaphysics expresses itself in the phrase "substance of each thing". It means neither any sort of substance advanced in the Categories nor the form but the essence of each thing. From the viewpoint of logos he defines the essence of each thing as "that which it is said in virtue of itself" and assumes that the essence primarily belongs to substances and secondly to other non-substantial beings. How precisely Aristotle`s conceptions of essence are elaborated, there remains one crucial question unanswered: Is there also any essence of individual substance if the essence primarily belongs to substance, as he assumes? In Metaphysics VII Aristotle does not go into this question. However, he alludes in many passages in his Metaphysics to the essence of individual by using such expressions as "your essence" and "the essence of Callias". Maybe his suggestions about individual essences can be at best interpreted, based on the background of his theory of heredity in the De generatione animalium.

      • KCI등재

        “실체관계에 부합하는 등기” 항변의 적격요건(實體適狀論)

        金平祐(Kim Pyung-Woo) 한국법학원 2004 저스티스 Vol.- No.78

        X→Y→Z로 순차 소유권 이전 등기가 경료된 사안에서 권리자(X) 본인이 신청하지 아니한 위조(신청) 등기에 대한 말소청구에 대하여 우리 법원은 “위조서류로 신청한 등기라도 그 등기의 기재에 부합하는 실체관계 또는 실체적 권리관계가 존재하면 적법, 유효한 등기이므로 말소할 수 없다”는 원칙에 따라 재판한다. 이것이 소위 “실체관계에 부합하는 등기”의 항변이다. 그런데 위 항변의 핵심적 요소인 “실체관계” 내지 "실체적 권리관계"의 의미, 적격, 適狀에 대하여 두 개의 상반된 해석이 있다. 하나는 등기명의를 보유할 하자 없는, 적법ㆍ유효한, 확정적인 권리ㆍ의무관계의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단순하게 등기명의를 보유할 외형상, 표견적인 권리ㆍ의무관계의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다. 전자(前者)를 적법ㆍ유효설(適法ㆍ有效說), 확정설(確定說)이라 한다면 후자(後者)는 외형설(外形說), 표견설(表見說)이라 할 수 있다. 대법원은 전자(前者)의 입장이다. 그런데 하급심 판결례 중에는 후자(後者)를 따르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것은 실체관계상에 취소사유나 해제사유 같은 상대적 하자가 있는 경우 前說을 취하면 실체관계항변이 성립되지 않아 제3자 (Z) 등기가 보호되지 않으므로 의도적으로 제3자 보호에 유리한 後說을 선택하는 것으로 보인다. “거래의 안전”이라는 명분도 좋지만 법리상 잘못된 해석을 택하여 위조등기 피해자의 정당한 권리구제, 권리회복을 제한하면서 제3자를 보호하는 것은 부당한 법률해석이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실체관계에 부합하는 등기”의 항변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절실히 요망된다.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 나타난 실체적 지식의 교육학적 함의

        고영준 ( Young Jun Ko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5 교육철학연구 Vol.3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 나타난 ‘실체적 지식’의 의미와 성립 가능성을 검토하고, 그교육학적 함의를 드러내는 데에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이상학』에서 ‘지식의 대상은 보편자인 반면 지식의 대상으로 삼은 것의 실체는 개별자’라는 난문을 제기하고 이론적 해명을 시도한다. 그리고 이 이론적 해명의 핵심에는 실체에 관한 지식, 이 연구의 용어로 말하여 ‘실체적 지식’ 또는 ‘실체적 인식’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의 선행 연구들은 ‘지식의 대상은 가능태로서의 보편자인 반면 실체는 그 가능태로서의 보편자가 구체적으로 적용된 현실태로서의 개별자’라는 결론을 그 난문의 대답으로 제시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실체에 관한 인식은‘양상적 보편자의 특수화’이거나 ‘특수한 사례들의 양상적 보편화(또는 사실적 일반화)’, 이 연구의 용어로는 ‘양상적 인식’에 불과하다. 이와는 달리, ‘실체적 인식’은 ‘개별자(능동지성)의 현실적 힘에 따른 가능태로서의 보편자 (수동지성)의 자기인식이자 자기실현’을 가리킨다. 그리고 이러한 실체적 인식에서 진짜 주체는 사고대상과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사고대상 속 자기와의 관련을 뜻하는 영혼 전체이고, 이 영혼 전체가 각 사물에 내재된 제일 실체로서의 형상이다. 그리하여 영혼의 자기지식으로서의 실체적 지식은 개별성과 보편성을 함께 가진다. 즉, 실체적 지식에서 영혼의 개별성은 양상적 특수성이나 감각적 개별성과는 달리 영혼의 모든 주관적이고 객관적인 요소들의 통일성으로서의 실체적 개별성을 뜻하고, 영혼의 보편성은 양상적 보편성과는 달리 그 요소들의 근원적 동일성으로서의 실체적 보편성을 뜻한다. 그리고 실체적 인식은 양상적 지식의 술어인 양상적 보편자를 계기로 삼아 주어인 각 사물 속 제일 실체로서의 영혼을 영혼의 편에서 사고하는 일을 가리킨다. 연구자가 보기에, 이러한 실체적 지식이 학교 교과의 핵심을 이룬다. 그리고 교육은 교과를 매개로 한 교사와의 대화적 교섭 속에서 학생의 마음에 개별적이면서도 보편적인 의미와 가치가 실현되도록 이끄는 인류 영혼의 자기활동을 뜻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and feasibility of ``substantial knowledge`` in Aristotle``s Metaphysics, and reveal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In Metaphysics, Aristotle presents a critical and difficult problem in which object of knowledge is primarily universal, whereas substance of the object is individual. And then, he suggests a theoretical elucidation, which core is knowledge of primary substance in each thing, ``substantial knowledge`` in terms of this study. As a plausible answer against the problem, recent approaches`` conclusion is that knowledge of primary substance is universal in potency, but individual in actuality. In this view, however, substantial knowledge degrades to specification of universals in relation to species or factual generalization of particular cases, and hence a kind of ``modal knowledge`` in terms of this study. On the contrary, in Aristotle``s view, it means theoria, that is, self-knowing and self-realization of potential universals(Passive Intellect) according to actual power of primary substance(Productive Intellect) in each thing, in which real subject is not a mere thinking self distinct from objects of thinking, but soul as a whole, as the highest form of primary substance indwelling in each thing, that unifies the two sides of thinking, and hence means self``s relation to self in each thing. Therefore, soul in substantial knowing comes into existence individually at the same time as universally. Its substantial individuality means a proper unity logically distinct from modal or sensational particularity, and its substantial universality does an original and self-relative identity between subjective side and objective side, actually distinct from modal universality. In relation to modal knowledge, soul``s substantial knowing is still thinking of each thing as a subject by way of modal predicates, only in so far as thinking of each thing in view of primary substance implicit in each thing as its own starting and pivotal point. In my view, this substantial knowledge is the core of school subjects(curriculum). And school education means self-activity of human race``s soul as a whole in which encourages incessantly conversational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s and a student``s mind by way of school subjects, and finally realizes both individual and universal meanings and virtues in each mind.

      • KCI등재

        실체에서 주체로 : 실체 개념에서 본 헤겔의 스피노자와의 대결

        양우석 대동철학회 1999 大同哲學 Vol.3 No.-

        실체의 개념은 서양의 형이상학의 역사에 있어서 중심적 역할을 연출해 왔다고 볼 수 있다. 실체란 물론 일의 적으로 정의될 수 없는 다양한 용법에 있어서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시대와 철학자에 따라서 다른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실체란 대체로 가장 본원적 존재의 영역으로 간주되어 왔다고 말할 수 있다. 이 본원적 영역에 의해서 비로소 가변적 영역이 그 존재 의의를 가지게 된다고 믿어져 왔다. 그러므로 어떤 의미에서는 실체란 가치면에서 진리의 영역이고 이와는 반대로 가변적 영역은 비진리라는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실체가 철학사에서 그야말로 획기적이고 결정적인 역할을 연출한 것은 특히 근세에 접어들면서부터 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근세의 철학을 일반적으로 실체-형이상학이라고도 부르는 터이다. 물론 이때의 실체란 무엇보다도 그 본래의 의미를 계속하여 담지하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실체란 대체로 신이나 이에 상응하는 어떤 것으로, 예컨대 단자나 단순자 등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러한 가운데서 실제로는 실체에 맞서는 새로운 개념이 태동되고 있었으니 이것이 곧 주체의 개념이다. 실체란 오성의 경직성을 바탕으로 하여 산출된 결과물이라는 의미에서 이미 그 본래적 의미를 상실하고 “객체”로 격하되면서 주체와 대립된다. 이러한 의미의 주체를 철학적으로 정초하면서 반면에 실체를 이전의 철학사 전체를 대표하는 중심 범주로서 정립하여 자신의 관점에서 실체를 능가하는 역할을 주체에 부가하고자 하는 것이 곧 헤겔의 스피노자에 대한 비판, 즉 그의 실체에 대한 비판이다. 헤겔의 시각에서 스피노자가 말하는 실체란 낡은 형이상학의 실체 개념을 대변하는 것으로서 이성의 입장이 아닌 오성의 경직된 활동의 산물에 지나지 않으며 이러한 시각에서 이미 실체의 본래의 의미를 상실한다. 그러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본래의 실체는 주체이며 이때의 주체는 개인적 인식 주관이라는 근세적 주체성의 의미를 넘어서는 것으로 평가된다. 즉 헤겔이 말하는 주체란 객체의 범주와 좁은 의미의 주체의 범주를 동시에 넘어서는 절대자의 영역에서 비로소 열리는 것으로서 감성, 오성, 이성이라는 전체의 변증법적 운동에 의해서 비로소 그 진상이 파악되는 차원이다. 그러나 헤겔의 스피노자의 실체에 대한 비판은 헤겔 철학의 한계점과 동시에 그 스피노자 철학과의 유사성을 동시에 보여 준다고도 할 수 있다. Man kann sagen, daß der Begriff der Substanz in der Geschichte der abendlandischen Metaphysik eine zentrale Rolle gespielt hat. Da die Substanz wohl im verschiedenen, nicht im einheitlichen Sinne zu definierenden Gebrauch benutzt geworden ist, ist es wahr, daß sie nach der Zeit und den Philosophen die verschiedenen Sinne impliziert. Doch ist sie, kann man sagen, als den eigentlichsten Bereich des Seins betrachtet. Es ist geglaubt, daß der veranderliche Bereich erst durch diesen eigentlichen Bereich seinen seienden Sinn besitzt. Also gehort die Substanz im gewissen Sinne wertlich zu dem Bereich der Wahrheit, wahrend der veranderbare Bereich den Sinn der Unwahrheit enthalt. Aber besonders seit dem Beginn der Neizeit hat die Substanz ja die bahnbrechende und entscheidende Rolle gespielt. In diesem Sinne wird die Philosophie der Neuzeit im allgemein die Substanz-Philosophie genannt. Die Tatsache ist, daß hier die Substanz vor allem den eigentlichen Sinn weiter tragt. Daher wurde sie etwa als Gott oder etwas Dementsprechendes, z. B. als die Monade gefunden. Dabei wurde ein neuer Begriff geboren, der der Substanz entspricht. Das ist der Begriff des Subjektes. Die Substanz verliert schon ihren eigentlichen Sinn, im Sinne, daß sie das auf Grund der harten Verstandes hervorgebrachte Resultat ist. Sie wird zum "Objekt" verniedrigt und dem Subjekt entgegengesetzt. Gerade ist es Hegels Kritik an Spinoza, d. h. an seiner Substanz, teils das Sujekt in diesem Sinne philosophisch zu begrunden, teils die Substanz als die ganze vormalige Geschichte der Philosophie vertretende, zentrale Kategorie fundieren und dem Subjekt die unter seinem Hinblick uber die Substanz hinausgehende Rolle geben zu versuchen. Aus Hegels Position gesehen vertrit Spinozas Substanz den Begriff der alten Metaphysik und bedeutet nichts anderes als das Resultat der Tatigkeit des harten Verstandes. Und ist die Substanz im eigentlichen Sinne das Subjekt und dieses ist als etwas gewertet, uber das personliche Subjekt des Erkennens, d. h. den Sinn der neuzeitlichen Subjektivitat hinauszugehen. Anders gesagt ist Hegels Subjekt das, das erst im Bereich des Absoluten sich erschließt, das zugleich uber die Kategorie des Objektes und des Subjektes im engeren Sinne hinaus bleibt; dies ist die Dimention, die ihres warhafte Bild erst durch die ganze dialektische Bewegung von Sinnlichkeit, Verstand und Vernunft begreift wird. Dennoch kann man sagen, daß Hegels Kritik an Spinozas Substanz den Grenzpunkt von Hegels Philosophie und zugleich ihre Anlichkeit mit der Spinoza'schen Philosophie zeigt.

      • 아리스토텔레스 실체론의 지형도

        조대호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07 화이트헤드 연구 Vol.0 No.14

        The central question in Aristotle's ontology is the following: "what is substance?" This question seems to be very simple. His answer is, however, so extensively embedded in the various contexts of his ontology that it might be hard to figure out it without properly examining them. If carefully examined, the main points might be made as follows. The simplest version of the Aristotelian theory of substance is found in the Categories in which Aristotle tries to classify predicates and beings. Here, the term "substance" means the first category of being and at the same time the beings that belong to the category: perceptible individuals such as “this man” or “this horse” on the one hand and universals such as man and animal that “are said of” the individuals on the other hand. The former are called primary substances and the latter secondary ones. This theory of substance is, above all, characterized by the assumption that the primary substance is the principle of other beings in the sense that those exist only with reference to the primary substance. Aristotle holds that only the primary substance exists separately and as "this", while the other beings either exist by being predicated of the primary substance as ultimate subject or by being inherent in it. This commonsensical theory of substance goes more deeper in the Metaphysics to the extent that the primary substance advanced in the Categories is analyzed into its two parts, i. e. matter and form, and their substantiality is brought into question. As for the matter, Aristotle does not hesitate to deny its status of substance. The matter, he argues, is the ultimate substrate but does not have other two characteristics of substance, i. e. separability and "thisness". So, he ascribes the status of substance only to the form which is separable and exists as "this": He calls it "primary substance" on the ground that it is the cause of being for the composite substance. In this context of the so-called hylemorphism, therefore, it turns out that there are three sorts of substance, namely, perceptible individuals, universals, and forms. Futhermore, the ontological priority is given to the form which causes indefinite matter to become a definite and composite substance of a certain kind. This account of form in the Metaphysics shows that it is the immanent and particular principle which is responsible not only for the individuality of the perceptible substance but also for its universal character. Another concept of substance we encounter in the Metaphysics expresses itself in the phrase "substance of each thing". It means neither any sort of substance advanced in the Categories nor the form but the essence of each thing. From the viewpoint of logos he defines the essence of each thing as "that which it is said in virtue of itself" and assumes that the essence primarily belongs to substances and secondly to other non-substantial beings. How precisely Aristotle's conceptions of essence are elaborated, there remains one crucial question unanswered: Is there also any essence of individual substance if the essence primarily belongs to substance, as he assumes? In Metaphysics VII Aristotle does not go into this question. However, he alludes in many passages in his Metaphysics to the essence of individual by using such expressions as "your essence" and "the essence of Callias". Maybe his suggestions about individual essences can be at best interpreted, based on the background of his theory of heredity in the De generatione animalium. 아리스토텔레스 존재론의 중심 물음은 “실체는 무엇인가?”이다. 이 물음은 매우 단순해 보인다. 하지만 그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대답은 그의 존재론의 다양한 맥락과 광범위하게 연루되어 있어서, 이 맥락들을 충분히 검토하지 않고서는 이해하기 어렵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론이라는 미궁(迷宮)의 이론을 그 다양한 갈래를 고려해서 살펴보면 그로부터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지형도를 그려낼 수 있다.아리스토텔레스 실체론의 가장 단순한 형태는 범주론에 주어져 있다. 여기서 “실체”는 있는 것 가운데 첫 번째 범주를 가리키면서 동시에 그런 범주에 속하는 것들을 가리킨다. “이 말”과 “이 사람”처럼 특정한 자연종에 속하면서 분리 가능한 개별자와 이 개별자를 포함하는 보편자(종과 유)가 각각 첫째 실체와 둘째 실체이다. 범주론의 특징은 이 가운데 첫째 실체를 모든 있는 것의 원리로서 삼으면서 이것과의 관계, 즉 진술의 관계나 내속의 관계 속에서 다른 모든 것이 존재한다고 보는 데 있다. 그에 비해 첫째 실체는 진술의 궁극적 주어이자 다른 것의 담지자로서의 지위를 배당받는다. 범주론에서는 첫째 실체의 존재가 가장 으뜸가는 뜻에서 있는 것으로서 더 이상 물음의 대상이 되지 않는 반면, 형이상학에서는 그것이 질료와 형상의 복합 실체로 분석되고 그 두 원리들 자체의 실체성이 논의거리로 추가된다. 질료에 관해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그것의 실체성을 단호히 부정한다. 질료는 궁극적인 기체임에는 틀림없지만 실체가 가져야 하는 다른 두 특징, 즉 분리 가능성과 지시가능성(“이것”)을 결여하고 있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런 두 가지 특징을 가진 형상에는 실체의 지위, 특히 첫째 실체의 지위를 부여한다. 형상이 복합 실체의 존재의 원인이라는 것이 그 근거가 된다. 따라서 형이상학에서는 범주론에 제시된 두 부류의 실체와 더불어 형상이 실체의 지위를 가지며, 그 중심에는 물론 형상이 있다. 왜냐하면 형상은 질료에 규정성을 부여해서 복합 실체를 만든다는 점에서 이 실체가 가지는 개별성의 원리이면서, 동시에 이 실체를 특정한 종의 구성원이 되게 하는 종적인 보편성의 원리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형이상학에서 우리가 만나는 또 다른 실체 개념은 “각 사물의 실체”라는 표현에서 드러나는 것이다. 여기서 문제되는 것은 지금까지 말한 실체들과는 전혀 다른 뜻의 실체, 즉 각 사물의 본질이라는 뜻에서의 실체이다. 논리적인 관점에서 전개되는 본질에 대해 논의에서 핵심이 되는 테제는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자체성”에 의거한 본질에 대한 정의이고 다른 하나는 본질 개념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논변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본질을 각 사물 자체에 속하는 것이라고 정의하면서, 그런 뜻의 본질이 우선적으로는 실체에, 부수적으로는 비(非)실체적 존재자들에 속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형이상학에서의 본질에 대한 논의는 논리적 관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로 자연종의 본질에 논의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래서 개별자의 본질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없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리스토텔레스가 개별자의 본질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너의 본질”, “칼리아스의 본질” 등의 표현들을 통해 개별자의 본질이 있음을 시사하면서, 그에 대한 자연철학적인 접근, 특히 동물발생론에서 전개되 ...

      • KCI등재

        데카르트 철학에서 실체와 주된 속성의 구별

        백주진 ( Paik¸ Jooji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21 가톨릭철학 Vol.- No.37

        본 논문은 데카르트의 실체 이론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실체 이론을 창시하였으나 그의 실체 이론은 유, 종개념에 묶여 있었다. 데카르트는 자연학을 일종의 기하학으로 환원하면서 새로운 자연학에 맞게 실체 이론을 수정한다. 그리하여 유, 종 개념 대신 그는 최종 한정가능자로서의 “주된 속성”을 통해 실체의 본질을 정의한다. 이는 실체의 다른 속성들이 주된 속성의 한정자로서 이해된다는 것을 함의한다. 본 논문은『철학원리』의 텍스트들을 통해 데카르트의 실체, 속성 이론을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해석의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자연학을 일종의 기하학으로 보고자 하는 관점은 주된 속성과 실체를 동일시하게 된다는 것을 살펴볼 것이다. 기하학과 자연학은 연장과 연장의 다양한 양태들을 연구한다는 점에서 같은 것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더 나아가 실체와 주된 속성의 동일성에도 불구하고 실체와 주된 속성 사이에 의미론적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하여 첫째, 주된 속성이 한정가능자 외에 “추상에 저항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지닌다는 것을 살펴보고, 데카르트가 보낸 수신인 미상의 편지(1644)에서 실재적 구별이 이성적 구별을 포괄하는 것으로 기술된다는 것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실체와 주된 속성 사이의 이성적 구별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베이사드의 해석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베이사드는 무한 실체인 신과 유한 실체 사이에 모종의 유비관계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유비관계를 바탕으로 그는 실체가 양태들을 산출하는 인과적 ‘힘’이자 양태들을 하나의 구체적 실재로서 종합하는 ‘능력’이라는 것을 밝힌다. 결론에서 우리는 이러한 해석이 자연학과 관련하여 어떤 함의를 지니는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explains the Cartesian theory of substance. Although Aristotle initiated the theory of substance, his theory was bound to the concept of genus and species. On the contrary, Descartes modified this theory, so that it is adapted to its mechanical and geometric physics. Therefore, Descartes defines the essence of substance as the principal attribute identified with the ultimate determinable. This means that the other attributes of the substance will be determinates of this principal attribute. We will justify this thesis by examining the Cartesian theory of modes. In addition, we will show, by the Principles of Philosophy, the role of the principal attribute as the ultimate determinable, and the identity between the principal attribute and the substance. We will also show despite the identity between the substance and its principal attribute that there is a semantic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us, we will see that the principal attribute besides being the ultimate determinable signifies also something that resists abstraction. Moreover, we will examine by the letter of 1644 to an unknown, the inclusion of the distinction of reason in the real distinction. Lately, we are going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distinction of reason between principal attribute and substance. Beyssade asserts that there is an analogy between infinite substance and finite substance. The concept of substance marks the power inherent in the principal attribute, which compose the ultimate determinable. In the conclusion, we will examine the meaning of this interpretation in relation to the Cartesian physics.

      • KCI등재

        라이프니츠의 실체형이상학에서 물질세계의 의미와 위상

        김국태(von G. W. Leibniz)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2 철학탐구 Vol.31 No.-

        이 글은 라이프니츠의 실체형이상학에서 물체와 관련하여 서로 연관된 두 가지의 문제를 명료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하나는 물체는 실체인가 하는 것 그리고 어떤 존재론적 근거에서 실체적인 원리를 라이프니츠는 물리학적 탐구에 응용하는가 하는 것이다. 물리적 세계의 원리와 구성에 관한 주제는 자연과학의 정초를 목적으로 하는 라이프니츠의 자연 철학에서 중요한 과제였지만, 정작 그 토대가 되는 물질 및 물체의 존재론적 의미와 원리의 과학적 응용에 관한 라이프니츠의 생각은 명료히 밝혀져 있지 않다. 다른 하나의 문제는 물질세계는 어떤 의미와 위상을 가지는가 하는 것이다. 이 질문은 물질세계는 모든 생명체들의 존재의 터전임에도 불구하고 라이프니츠의 철학에서 상대적으로 의미가 등한시 되어온 상황을 배경으로 한다. 이 글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라이프니츠에서 의식을 가진 생명체만이 실체이며, 물체는 실체가 아니다. 그러나 물체는 유사실체라는 이름하에 가설적 의미의 실체성을 부여받으며, 그런 근거하에 실체적 원리는 물질세계를 탐구하는 물리학적 문제에 적용된다. 그리고 기독교적 세계관과 이성 중심적인 사고를 배경으로 하는 라이프니츠의 존재론에서 물질세계는 이성적인 인간의 실천 매체로서 만의 의미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