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불교대학운영을 통한 국내포교의 실천기술

        백도수 ( Peak Do-su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6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2 No.3

        본 논문은 불교대학운영의 유형과 개선점 그리고 포교실천의 기술과 그 적용을 다룬 것이다. 불교대학운영을 통해 포교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실천기술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데서 비롯되었다. 연구의 자료는 주로 현존 사이트나 불교대학 포교자료를 참조하였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현재의 불교대학은 대한불교조계종의 승인여부, 과정시간, 운영방법, 주체자와 장소, 독립과 종속 불교대학, 강의전담과 주지스님 위주의 불교대학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불교대학은 서로 동반자적 관계에서 운영해야 하며, 불교대학운영을 개선책으로서 불교대학사이트의 실시간적 대응, 불교대학 실무자와 교수진, 프로그램의 바른 선택, 다양한 콘텐츠를 마련한 상호작용의 장, 불교대학 운영의 내외적 발전도모할 필요가 대두된다. 포교실천의 틀로서 불교대학운영 준비위 구성하고, 담당 실무자와 강의교수의 선택을 고려하고, 환경을 물리적으로 변화시키고, 개인과 집단의 포교를 유도하고, 대외활동을 강화하며, 보상체계를 두고 문서포교의 활용하며, 소규모 사찰이 나 포교당에 적합한 불교대학을 운영해야 한다. 또한 불교대학운영을 통한 실천의 관점에서 개입기술과 신입생 관리기술, 함께하는 기술, 신심고취 기술, 조직화 기술, 포교실천기술을 고려하고 그 연구방향을 마련해야 한다. 운영주제자와 교수, 실무자, 포교사는 긴밀한 소통관계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포교와 관리 능력을 배양하고 포교의 기본이론, 실천이론, 실천모델과 운영지침을 포함한 포교실천기술을 배워야 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불교의 성장은 사찰과 포교당의 불교대학운영과 관련이 있으며, 그 발전은 지속적으로 불교대학운영을 위한 포교실천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포교대상과 환경을 조사하고 실천사례에 대한 연구와 그 해결점을 찾기 위한 노력하는데 달려 있다. 아울러 포교원과 불교대학, 각 포교관련 단체들은 부분별, 전체별 모임과 관계망을 형성하여 포교문제를 해결하고 불교대학 발전을 위한 포교활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협력해야 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Buddhism college`s types and improvement points, the technique of buddhist missionary practice and its application. My aim is to provide methods of practice technique in order to come up with an effective and efficient buddhist missionary process through Buddhism college`s operating. Today`s Buddhism college in Temple or Buddhist mission center is divided according to giving Jogye-Order`s approval, course process, method of operating, subject, place and independent problem etc. Buddhism college should be managed in relation to the mutual partnership of subjects and objects. And to improve Buddhism college`s system operating, we should give prompt information and answer in Online and select person, program, contents and material things suitably. As buddhist missionary practice frameworks, Buddhism college needs a committee of arrangements, good selecting workers and professors, changing material environment, inducing individual and group to buddhist mission, enforcing work on the outside of temple, using compensation system and suitable system according to small temple etc. From the theory of practice through Buddhism college`s operating, should be prepared intervention and empathy skill, management skill for new learners, skill for oneness, inspiration of believing and buddhist missionary practice and organization skills. Buddhism college`s subject, workers, professors and missionary workers need to be closely connected and communicated. They have to learn orienting theories and theories of practice, practice model, operational review in relation with Buddhist mission. In concluding Buddhism growth dependents on research on buddhist mission`s targets, material environment and practice cases. Therefore Jogye-Order`s missionary Institute, Buddhism colleges, each missionary group meet and communicate together in order to solve mission`s problems and to develop Buddhist College in online or offline relation nets.

      • KCI등재

        불교사회복지의 영성적 접근에 관한 일고찰

        권경임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3 불교문예연구 Vol.2 No.-

        본 논문은 불교에서 영성의 의미와 더불어 불교의 영성개발에 관한 연구들을 고찰하고, 사회복지와 영성, 불교사회복지실천의 영성적 접근에 관해 논의하였는데, 영성이라는 말은 기독교적인 전통에서 나온 것으로 알고 있지만 불교 경전에서도 영성이란 용어를 사용하 고 있으며 전 세계의 다양한 종교적 전통을 포괄하는 보편적인 용어 라고 할 수 있다. 불교사회복지실천의 영성적 접근을 위해 불교경전에서 영성의 사 례와 의미를 밝히고, 불교의 영성개발에 관한 연구를 통해 연구동향 과 실천 프로그램들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불교사회복지실 천에서 영성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연구방법은 영성과 사 회복지와 관련해서 불교경전을 비롯하여 논문과 단행본들을 참고로 하는 문헌학적인 연구를 하였다. 불교에서 영성의 의미를 밝히기 위해 영성의 불교적 관점과 더불 어, 불교 영성의 경전적 근거를 살펴보았는데, 영성(靈性)이란 용어 를 131개의 경전에서 찾을 수 있었으며, 불교 경전에서는 영성이 불 성(佛性)과 같은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았다. 물론 불교에서의 영 성은 기독교에서의 영성의 개념과 차이가 있는데, 기독교에서는 영 성을 실체화된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불교에서의 영성의 의미와는 다른 것이 사실이다. 불교에서 영성의 의미를 알고 개념을 정립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영성에 대한 경전적 근거를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와 영성 에 관해 고찰해 보았으며, 불교사회복지의 실천을 위한 영성적 접근 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현재 사회복지학계에서도 영성에 관한 논의 나 연구는 시작단계이고, 불교사회복지에서도 영성에 관한 연구나 실천은 제대로 논의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불교사회복지에서 영성(불성)을 복지대상자의 강점과 영적 자원으 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불교적 관점에서 영성의 개념화, 영성측정도구의 개발, 사회복지교육에서 영성과정의 개설, 사회복지 실천방법에서 영성의 개발, 불교사회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 사의 영성훈련, 불교사회복지시설과 지역사회 및 글로벌 영성의 연 대방안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함으로써 불교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영성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불교사회복지에서 영성적 접근은 새로운 시도로서 일반 사회복지와는 다른 불교사회복지의 정체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고 불 교의 영적 자원을 개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실천 영 역에서 영성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인간에 대한 전인적인 접근을 통해 진정한 사회복지를 실현하고 복지사회의 지평을 확대하여 사회 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eaning and practicing of the spirituality in the Buddhist social welfa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fined the general meaning of spirituality and trie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spirituality for the Buddhist social welfare. In addition, this study researched on the concept of spirituality in the Buddhist social welfare activities and suggested the roles of spirituality for those fiel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uddhist Scriptures, social work of publications and documents that was related to the study of spirituality. This study found one hundred thirtyone concepts of the spirituality in the Buddhist Scriptures. The meanings of spirituality in the Buddhist Scriptures were presented as like the Buddha-Nature. Also, this study conducted to find the concep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pirituality, principles and practices of spirituality in Buddhist social welfare. and then put an empha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welfare and spirituality. The Buddhist social welfare is different from general social welfare from the spiritual meaning point of the 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ractices, identities and professionalisms of spirituality are urgently needed for Buddhist social welfare.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the realization of social welfare through spirituality is for us to live in the social community and the social welfare in Buddhism have to be the welfare based on the spirituality like a Buddha-Na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considers a concept of spirituality for the holistic-person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 KCI등재

        한용운의 지적 흐름과 실천, 그리고 근대 불교적 가치

        고병철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2 禪文化硏究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an Yong-un (hereafter Manhae)'s Buddhistic and social practices in the context of "the realization of modern Buddhistic values." This purpose is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the activities of religious people need to be illuminated in the context of the realization of religious values.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divided into "Manhae's Intellectual Currents (Chapter II), Buddhistic Practices and Values (Chapter III), Social Practices and Values (Chapter VI)". This table of contents contains the structure that Manhae practiced at the Buddhistic and social dimensions based on his complex intellectual currents (Confucianism, Buddhism, and Modernism), and that these practices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realization of modern Buddhistic values. This study tried to elucidate the following aspects. The first is that Manhae's thoughts were complex, intertwined with Confucianism, Buddhism, and modernity. Second, Manhae's notions of freedom, equality, and salvation were modern Buddhistic values that mediated Buddhism and modern society. Third, Manhae's Buddhistic and social practices were for the realization of modern Buddhistic values. Moreover, Manhae's social practices lead to Buddhistic salvationism as the concepts of freedom, equality, and salvation are expanded to the concepts of independence, peace, and liberation. With this study focusing on the realization of modern Buddhistic values, it is expected that Manhae's various practices will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Buddhism. 이 연구의 목적은 만해 한용운의 불교적·사회적 실천을 ‘근대 불교적 가치의 실현’이라는 맥락에서 이해하는 데에 있다. 이 목적은 종교인의 활동에 대해 종교적 가치의 실현이라는 맥락에서 조명할 필요가 있다는 관점에 근거한 것이다. 그리고 이 목적은 ‘불교와 무관해 보이는 만해의 사회적 실천도 불교적 가치의 실현이라는 맥락으로 조명하여, 만해에 대한 분절적 이해를 해소’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주요 연구 내용은 ‘만해의 지적 흐름(Ⅱ장), 불교적 실천과 가치(Ⅲ장), 사회적 실천과 가치(Ⅵ장)’로 구성된다. 이 내용은 만해가 중층적인 지적 흐름(유교·불교·근대지)을 토대로 불교적·사회적 차원에서 실천했고, 근대 불교적 가치의 실현이라는 부분이 이러한 실천들을 관통한다는 이야기 구조를 갖는다. 이 연구에서 주목한 부분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만해의 지적 흐름(‘유교, 불교, 근대지 차원’)이 중층적 또는 복합적 사유를 구성한다는 점이다. 다만, 조선불교유신론이후 유교적 사유를 명확히 드러내기는 쉽지 않다. 두 번째는 만해에게 자유·평등·구세 개념이 불교와 근대 사회의 접점이 되는 근대 불교적 가치였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만해의 불교적·사회적 실천이 근대 불교적 가치의 실현을 위한 것이었고, 특히 사회적 실천은 자유·평등·구세 개념을 독립· 평화·해방론으로 확장해 구세론으로 귀결된다는 점이다. 만해의 사회적 실천에 근대 불교적 가치의 실현이라는 맥락을 부여하면, 만해의 활동을 불교의 맥락에서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연구가 종교인의 사회적 활동을 종교적 가치의 실현이라는 맥락에서 이해하는 데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도심 대형사찰 한마음선원에서의 종교적 실천과 젠더

        박소진 ( Park So-jin ) 동양사회사상학회 2018 사회사상과 문화 Vol.21 No.3

        이 연구는 생활수행을 강조하는 도심 대형 사찰인 한마음선원 남녀 불교인들의 종교적 실천을 살펴보고, 그것이 젠더(gender) 이슈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이 논문은 첫째, 남녀 불교인의 다양한 종교적 실천의 양상이 젠더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그 맥락으로서 비구니 선사를 수장으로 설립된 한마음선원의 특수성과 설립자 대행선사의 젠더 관련 법문을 살펴보았다. 둘째, 신도들의 다양한 종교적 실천의 집단적 양상과 여기에 나타나는 성별화된(gendered) 특징을 ‘시간성’과 ‘공간성’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셋째, 개인의 종교적 실천과 젠더 문제와 관련된 특징을 남녀 불교인들의 신행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이들이 서로의 종교적 실천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불교인들의 종교적 실천에 관한 경험적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문헌조사뿐 아니라 참여관찰 등 문화기술지적 연구를 보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경험적 연구를 축적한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불교와 여성주의의 관계, 또는 젠더와 종교적 실천의 관계에 주목하여 학제간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특히 불교는 원리적으로는 남녀가 평등하다고 주장하지만, 현실 제도불교 속에서는 다른 종교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가부장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이원화된 원리가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관점이 더욱 필요하다. 또한 이 연구는 실천과 무관하게 교리나 가르침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아니라, 불교인들의 종교적인 실천에 주목하여 ‘머릿 속 불교’가 아닌, 현상으로 드러나는 불교적 실천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불교인의 생활 속에서 종교의 중요성이 크지 않고 불교인은 종교의례에 소극적으로 참여한다는 선입견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타 종교인의 불교에 대한 이해를 도와, 종교간 갈등을 줄이고 종교간 화합의 길로 갈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한마음선원 신도들의 환경운동 등 사회참여적인 종교적 실천을 다각적으로 담지 못했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gendered religious practices of male and female Buddhists at Hamaum Seon Center, a urban mega Buddhist temple, which is located in Anyang, South Korea. First, it examines the specificities of Hanmaum Seon Center, which was established by Seon Master Daehaeng, Bhikkuni (a female Buddhist monk) and has been developed beyond Bhikkuni-Bhikku temple dichotomy. It also explores gender-related aspects in what Seon Master Daehaeng said to her devotees. Second, this study focuses on the collective religious practices of male and female Buddhists and its gendered aspects, while concentrating on ‘temporality’ and ‘spaciality.’ Third, it explores the individual religious practices and its gendered aspects, while focusing on their motivation of religious practices and their difficulties and agony in their live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empirical research area on contemporary Buddhists, while making up its lack. It tries to embrace the diverse inter-disiplinary works, while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m and feminism, between gender and religious practices (or religious identity construction). Especially, it is important because Buddhist principles argues the gender equality, but the reality of Korean Buddhism is working on a patriarchal and male-dominated dichotomy.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goes beyond the studies of Buddhist doctrines and teachings, by exploring the Buddhist practices. This study suggests the specificities of Buddhist practices, while rethinking the recent statistic research results on diverse religious practices, which evaluate that the importances of their religions is week for Buddhists and they are very passive to participate in religious rituals. Furthermore, this study can help the people of other religions understand Buddhism and Buddhist practices, diminish the religious conflicts, and acknowledge for different religions and religious people. However, it cannot explore the diverse social participatory religious practices, at Hanmaum Seon Center, such as ones for environmental movement campaign.

      • 불교 실천윤리와 월주스님의 자비행

        박병기(Byung-Kee Pak)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8 불교와 사회 Vol.10 No.1

        자비행(慈悲行)은 불교윤리의 핵심 요소이자 실천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자비행은 실천과 분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불교 실천윤리를 상징하는 개념이기도 하다. 그것은 깨달음의 사회화라는 차원과 분리될 수 없고, 월주스님의 ‘깨달음의 사회화 운동’은 바로 이 지점에서 불교 실천윤리와 만나게 된다. 월주스님은 1990년대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을 역임하면서 이 운동을 펼쳤고, ‘함께 살아야 한다.’라는 명제를 근간으로 국내외에 걸쳐 불교 실천 활동을 구체화하고자 했다. 그 중에서 특히 국외에서 펼친 운동은 현재까지 이어지면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지만, 불교계 내부와 국내의 도덕성 회복 운동은 그 지속성과 성과에서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수행을 통한 깨달음의 추구와 실천을 통한 자비행의 추구를 분리시키지 않고 삶 속에서 구현하고자 했던 월주스님의 노력은 불교 실천윤리의 한 전형으로 평가받을 만하다. 불교계가 다층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재평가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The benevolent practices are a important point of Buddhist ethics, and it's a symbolic point of Buddhist practical ethics because of the nondisjunction between action and theory. The monk Wolju have suggested the movement on socialization of awakening, and it has an link to the Buddhist practical ethics. The Monk Wolju was a dean of Korea Jogae order and his practices actualized by the slogan, ‘we have to live together’, and his endeavor extendended into the global zone. But his endeavor had a limit to the moral restoration of inter Korean Buddhism in that duality and result. Nevertheless, his endeavor to the actualization of benevolent practices with seeking awaekening has a value to a model of Buddhist practical ethics. I have judged the situation that it has an possibility becoming an alternative to the crisis of current Korean Buddhism.

      • 진각종의 창종정신과 인간중심 실천불교운동

        보성정사 회당학회 2015 회당학보 Vol.20 No.-

        대한불교진각종(大韓佛敎眞覺宗)은 불교 사상(思想)과 전통(傳 統)에 대한 회당(悔堂)대종사의 해석학적(解釋學的) 접근과 회당 개 인의 종교적 실천과 철학을 통한 종교적 체험(體驗)을 근간으로 1947 년 교문(敎門)을 열었다. 불교 신행(信行)의 근본적인 요소들을 되살 리기 위하여 회당은 신(新)불교운동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1947년에 참회원(懺悔園)을 개설하고 새불교 운동의 중심으로 삼았다. 진각종은 창종 초기부터 도량(道場)의 도심(都心)건립과 참회와 실천의 심인(心印)불교운동 전개, 경전(經典)의 한글화, 서원가의 반 포제정(頒布制定), 어린이 불교학교인 ‘자성학교’ 건립 등 적극적 포 교방법을 전개하였으며, 기복(祈福)에서 벗어나 이웃과 사회와 국가 를 위하는 새로운 신행메카니즘과 진호국가불사 정신 등을 강조해왔 다. 이러한 종책(宗策)의 기조는 창종정신을 통해서 면면히 이어져 내려오고 있으며, 학교법인 회당학원, 진각복지재단, 비로자나 청소 년협회, 불교종합문화예술공간으로써의 진각문화전승원(眞覺文化傳 承院)을 개원(開院)등 불교적 이상(理想)의 현실적 실천에 많은 성과 (成果)를 이루어왔다. 이처럼 진각종은 근대한국불교의 역사와 궤(軌)를 같이하고 발전 을 거듭하고 있다. 진각종의 실천불교운동은 한국사회에서 문화적(文 化的) 민족적(民族的) 정신의 근간(根幹)이 되어온 한국불교의 혁신 (革新)을 통하여 대중의 의식을 개혁시키고자하는 하나의 사회 계몽 운동이었다. 종교지도자 단체로서의 보살승단(菩薩僧團)을 조직하고 전통적 불교의 모습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불교 종단을 설립하였 다. 이것은 한국불교계에 있어서 전례(前例)가 없는 불교 개혁운동이 었다. 하나의 사회운동이었으며, 종교운동이었다. 이러한 불교개혁운 동을 통하여 대중의 정신문화를 선도하여 국민정신 계몽(啓蒙)을 이 룩하고, 더불어 국가발전, 불교의 흥왕, 사해동포주의, 인류 평화를 위 해 역할을 해 나가고자 하였다. 회당은 이원자주정신의 확립을 통한 인간 본성(本性)의 회복과 더 불어 개개인의 의식이 개혁되어야 하고 그리고 현대인의 사고방식들 이 변화(變化)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종교활동을 통하 여 인간본성(人間本性) 회복운동과 사회계몽(社會啓蒙) 운동으로 불 교적 진리를 이 땅에 실현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진각종의 종교 개혁(宗敎改革)은 당대(當代)의 한국사회를 개혁하는 것이었고, 더 보편적으로 전 세계가 평화와 질서를 유지해 나가고, 애국심과 민족 주의적 이데올로기를 넘어서 사해동포주의(四海同胞主義)와 인류번 영(人類繁榮)의 길로 나아가는 것이었으며, 결과적으로 인간중심의 실천불교운동의 실현(實現)이었으며 새로운 출발점이 되었다.

      • KCI등재

        현공(玄空) 윤주일의 불교교육사상과 그 실천

        김귀성(金貴聲)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8 No.-

        이 논문은 현공 윤주일의 불교교육사상과 그 실천적 면모를 찾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관련 자료 및 선행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근대 불교의 혁신은 안으로 주체성 확립과 밖으로 불교의 시대적 요청에 적응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일제하 한국 불교교육 활동은 크게 선학, 교학, 대중교육 그리고 근대교육기관 설치운동으로 대별하여 볼 수 있다. 그러나 불교개혁론의 초점은 불교의 포교를 위한 교육개혁이었다. 이에 비하여 현공의 불교개혁 사상은 안으로 불교의 정체성 확립과 밖으로 포교의 현대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러나 그의 이런 불교교육사상과 실천적 지향까지도 모두 불교 본질로의 회향이라는 전제위에서 출발하고 있다. 불교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 안으로 불자의 신앙과 수행을 강조하는 한편 밖으로 불교의 현대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실천으로 보여 주었기 때문이다. 현공은 불교의 현대화를 위해서는 우리말 불교 텍스트 파일의 개발과 포교사양성 및 포교를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의 구안 등을 시도한 예에서 그 의미를 찾아 볼 수 있다. 개혁론의 현실화를 위하여 현공은 이론적 제시보다는 직접 몸소 이를 실천을 통해 웅변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불교의 본질 추구도 시·공간에 구애되지 않고 구지 출세간의 구분이나 남녀노소 유무식을 가리지 않고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불법에 접근 가능함을 시사하고 있다. 불교의 대중화도 바로 여기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일생을 통해 보여준 불교의 대중화, 시대화 코드는 언론, 사회복지, 중등학교, 대학교, 사람이 모인 곳이면 어디든 찾아가 소통한 흔적이 보인다. 이른바 평생교육적 접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이 점에서 현공의 불교개혁에 대한 의지나 실천이 다른 개혁론과 차별화되는 점이다. 현공의 불교교육 사상은 불법의 대의인 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提 下化衆生)에 근간을 두고 불교의 개혁, 항일운동과 더불어 민중의 의식개혁, 공교육과 평생교육을 통한 실천적 측면으로 전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We can recognized the reformation of modern Buddhism in Korea: how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in it"s nature and on the other hand how the Buddhism respond the needs of that ages from outside. In short, the reform thought of Buddhism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and modernization of Buddhism, Even such an Practical Trend started and based upon the nature of Buddhism. So HyeunGong"s Educational Thought and practice of Buddhism has a same veins. For the establishment of Buddhism Identity, he stressed on Faith and Practice of Buddhism for Buddhist on the other hand showed various effort for modernization of Buddhism. Taken an example, for modernization of Buddhism, he developed textfile that easy access for people in Korean language and training the missionary also try to find a various approach for propagation of Buddhism. Most of all, key element for the success of reformational idea in Buddhism will be actual situation. But It necessary to take a good look at that HyeunGong showed us directly do it himself by practice than theoretical proposals. He premised on that Nature of Buddhism does not adhere to time and space. Accordingly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he Divine and Secular society and also between man and woman, old and young, and learned illiteracy, everybody in wherever let them easy to access to Buddhism. Popularization of Buddhism based upon this idea. Taken an examples, by his life he showed us that code such as popularization of Buddhism, fitting for the times and mass-communication, social welfare, school education, communicating with peoples. Such ideas on reformation for Buddhism and real practice by HyeunGong definitely differentiated with the other reformation ideas.

      • KCI등재

        『유마경』과 원불교사상

        이재수(李在洙)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2 No.-

        본 논의는 원불교가 새로운 실천불교운동이라는 이해에서 불교의 혁신과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에서 출발한다. 원불교는 불교와 불이적 관계에 있으면서도 종교적 정체성을 모범적으로 구현해왔다. 원불교의 사상의 근저를 『유마경』에 주목하여 규명하였다. 『유마경』은 대승불교 반야의 공사상을 천양하고, 대자비의 바탕에서 불이적(不二的)인 실천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유마경』은 심오한 반야공관(般若空觀)에 기초한 불가사의한 해탈법문, 입불이(入不二)법문 등의 사상을 통해 이상적인 사회는 현실에서 출발됨을 제시하였다. 현실 속에서 이상적인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실천행을 분명히 밝혔다. 그래서 현실을 바로보고 이상을 꿈꾸는 선각자들이 주목한 경전이다. 『유마경』 안에는 바로 교단에 안주하지 않는 새로운 인간형이 살아 숨쉬고 있다. 이는 원불교의 지향과 닮아 있다. 특히 기성 교단에 대한 비판, 붓다의 십대제자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불교관의 천명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제시는 원불교가 지향한 불교의 생활화 대중화를 넘어 불교의 시대정신 구현에 자산이 되었다고 본다. 유마의 침묵은 언어를 떠나 참다운 실천으로 보여주었으며, 소태산대종사는 이를 일원상으로 보여주고 실천에 옮긴 것이다. 아울러 그러한 정신은 ‘불법연구회’의 개혁적인 실천과 ‘사회개벽교무단’, ‘원불교 환경연대’ 등 교단의 사회 참여로 연결되고 있다. 유마가 설파한 실천을 불교혁신론을 통해서 구체적 실천의 구조임을 밝혔다. 소태산대종사의 혁신사상을 불교사상의 대중화, 수행의 혁신, 일원상 신앙으로 혁신 등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본 논의를 통해 『유마경』과 원불교의 만남을 통해 같은 길에서 닮은 듯 다른 모습으로 조화롭게 이 시대 진정한 종교란 무엇이며,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함께하는 동반자로 대화의 길에 함께하며, 실천해 가는데 이바지하길 바란다. This study started with an assessment that Won Buddhism made a huge contribution to the reform and popularization of Buddhism as a new practice Buddhism movement. Won Buddhism has implemented its religious identity in an exemplary manner in a non-dual relation with Buddhism.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Won Buddhism based on Vimalak?rtinirde?a-s?tra. Vimalak?rtinirde?a-s?tra announced and spread the ??nya idea of Prajna-Paramita-Sutra in Mahayana Buddhism and exhibited non-dual practice based on grand mercy. Vimalak?rtinirde?a-s?tra proposed that an ideal society should begin in reality through the mysterious nirvana law based on the profound ??nya idea of Prajna-Paramita-Sutra and the non-dual law. It also clearly suggested a range of methods and practice acts to build an ideal society in reality. Those are the reasons why pioneers paid attention to the sutra, seeing through reality right and dreaming of an ideal. There is a new type of person that does not settle down in the current religious body living and breathing in Vimalak?rtinirde?a-s?tra, which resembles the orientation of Won Buddhism. The criticism of the old religious body and Buddha’s ten pupils, clarification of a new Buddhist viewpoint, and proposal of a new paradigm became the assets to implement the zeitgeist of Buddhism beyond the familiar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Buddhism sought after by Won Buddhism. The silence of Vimalak?rti showed true practice beyond language, and Master Sotaesan showed it as Ilwonsang and translated it into practice. The spirit has been connected to the reformist practice of “Institute of Buddha-Dharma”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Social Beginning Administration” and “Environmental Alliance of Won Buddhism.”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the practice elucidated by Vimalak?rti had a structure of specific practice through the theory of Buddhism reform. The reform ideology of Master Sotaesan was arranged in three ideas, namely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t ideology, reform of asceticism, and reform into Ilwonsang faith. The present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the conversation and practice for such questions as what true religion is and what one should do in the contemporary times based on the similar and yet different aspects in harmony on the same path through an encounter between Vimalak?rtinirde?a-s?tra and Won Buddhism.

      • KCI우수등재

        불교 사회복지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 : 1990~2016년에 게재된 국내외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홍송이 불교학연구회 2017 불교학연구 Vol.51 No.-

        이 연구는 불교 사회복지의 정체성 형성과 발전을 위해 불교 사회복지가 초점화해야 할 연구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국내 논문 12편, 국외 논문 10편 총 22편을 대상으로 연구문제, 적용된 불교사상 및 실천원리, 연구대상, 연구 방법, 사회복지실천 개입방법의 5가지 분석틀을 가지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국내 연구는 다양한 불교사상과 실천원리를 불교 경전에 기반 하여 그 근거를 제시한 논문이 대부분이었고, 국외 연구는 이것을 경험적으로 규명해낸 기존 연구 결과를 이론적 배경으로 활용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방법에 있어 국내 연구는 문헌 연구(9편)가 대부분이었고, 국외 연구는 경험적 차원에서 입증하고자 하는 실증적 연구(8편)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개입방법에 있어서는 국내외 연구 모두 다양한 사회복지 대상자와 분야에 대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국내 연구는 이것을 경험적 결과로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그리고 국외 연구도 실증적 방법을 통해 연구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결과들이 아직까지 학문적으로 충분히 축적되지는 않은 상황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그동안 사회복지 실천 영역에서 종교 중립 원칙에 따라 그동안 배제되어온 불교의 방대한 사상과 실천원리가 다양한 현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유효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불교 명상 이외의 불교 사상과 실천원리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 주제에 대한 시도를 확대하고 사회복지 증거기반 실천을 실행할 수 있는 질적・양적 연구가 경험적으로 강화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directions in advancing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Buddhism and social work by critically reviewing 10 international and 12 Korean studies found via keyword search of “Buddhism/Buddhist” and “Social Work/ Welfare.” We performed the content analysis using the five analytic frameworks; the target problem, the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 the target populations, research methods, and social work interventions. This review found out distinctive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Specifically, we found more conceptual studies in Korea, which attempted to understand how the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 could be applied in social work areas as an intervention. In contrast, overseas studies were more likely to empirically examine whether the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 function as a method of intervention with substantial samples. Although both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ies included diverse problems in the areas of social work, they could not explain systematic and concrete intervention processes and methods. Most of international studies performed empirical studies, but their evidence is still deficient.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 such as meditation could be one of alternative social work interventions in light of diverse empirical and theoretical trials.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that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Buddhism and social work should be more encouraged in an empirical manner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ways in order to guide evidence-based practice in Korean social work practice.

      • 불교사회복지의 현황과 과제

        권경임(Kyung-Yim Kwon)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07 종교문화학보 Vol.4 No.-

        불교사회복지는 불교와 사회복지의 관계를 연구하고 실천하는 응용학문으로 불교에 의한 사회복지활동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불교사회복지의 이념이나 역사, 개념과 주체 및 대상, 그 사업이나 유형, 방법이나 대상 등에 관하여 연구하는 것으로, 역사적으로 사회적인 변동이 있을 때마다 민간복지로서 불교사회복지가 실천해온 모든 활동에 대한 인과법칙을 알아내고 의미를 규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불교는 인간이 고통의 속박에서 해탈하는 데 목적을 두며, 사회복지는 인간이 처한 상황이나 생활상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행복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모든 인간은 생로병사의 한계와 그로 인해 개인적인 고통을 겪으며 살아가고 있고, 착취와 억압, 불평등이나 소외와 같은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의해서 사회적인 고통을 겪으며 살아가기도 한다. 인간은 이러한 고통으로부터 벗어나서 행복해지길 바라면서 다양한 제도와 이념, 과학적 기술들을 발전시켜왔으며 이러한 노력들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인간이 어떻게 하면 생로병사의 개인적 고통과 사회적인 고통에서 해탈하여 궁극적으로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불교사회복지는 출발하고 있다. 불교사회복지가 정립되기 위해서는 불교와 사회복지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인식해야 하는데, 불교의 관점은 주관과 객관의 양극단을 초월한 중도적 관점을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의 입장은 주객을 분리해서 주관과 객관을 대립적인 관계로 인식하고 사실을 규명하려는 이분법적인 논리를 견지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불교사회복지는 불교의 사상을 사회과학으로서의 사회복지 관점에서 분석하고 재해석하여 응용 실천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불교의 측면에서는 사회과학적인 불교사회복지의 학관점이 부족하고 사회복지의 측면에서는 불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불교사회복지는 사회복지 현상에 대한 불교의 독자적인 해석이 전제되어야 하고 사회과학적이고 입증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또한 사회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실천방법이 불교사회복지만의 독자적이며 일관성 있는 접근이 되어야 하며, 불교가 갖는 사회복지적 성격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확보해야 한다. 사회복지는 역사적으로 자선구제사업에서 사회사업으로 현대의 사회복지사업으로 발전해 왔으며, 학문적으로도 처음에는 사회학의 한 분파로 시작해서 여러 학문을 수용하면서 오늘날의 전문화된 사회복지의 형태로 발전해왔지만 완전한 학문의 틀을 갖추고 있는 것은 아니며 지금도 학문적 진화를 계속해 가고 있는 과정이기 때문에 인류의 보편적 복지로서 비젼을 담아내지 못하고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불교는 독자적인 불교사회복지체계가 확립될 수 있을 만큼 풍부한 사상을 가지고 있어서, 인류의 보편적인 사회복지의 패러다임을 제시하는데 비젼을 제시해 줄 수도 있다. 따라서 인간과 사회와 세계를 포함한 총체적인 접근을 통해 바람직한 방향으로 보편적인 복지를 실현할 수 있는 사회복지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종교와 사회복지의 관계를 논하고, 불교사회복지의 이념과 역사를 고찰하고, 불교사회복지의 실천현황과 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Buddhists regard desire and attachment, which are the fundamental elements bring sufferings to human beings, as ignorance. When we adhere to materials and mind regarding them as real and eternal, repetition of a vicious circle of inequality of possession and confrontation occurs. People do not realize that every action occurs depending on causes, and their inverted thought to maintain their possession bring alienation and confrontation. Thus, the necessity to understand the problem of the modern society from the viewpoint of the Buddhist Welfare and to suggest its social role is being raised. All the problems in the modern society such as consumptionoriented life style, competitiveness, poverty in affluence, unemployment, human estrangement, lack of view of value, environment exploitation and destruction, and nuclear weapons seem to be the result of imprudence of science and ethics. The position of Buddhism is to understand the complex of existence and value in the modern sense and to show what they should be. According to this, the task of the Buddhist Social Welfare lies in overcoming the dual thought such as dividing mind and material, subject and object, in getting back human independence, and in accomplishing the commensal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society. In the thesis, I looked into the research method of the Buddhist Social Welfare, and I focused on the way to adapt the thought of the Buddhist Social Welfare and its way of practice to the modern society. And I considered the means to activate the Buddhist Social Welfare by constructing the system of practice for the Buddhist Social Welfare and its supporting and transferring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