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체교섭에 있어서 원청의 사용자성에 관한 연구(Ⅰ) -‘원청의 응낙의무’와 ‘실질적 지배력’ 논쟁을 중심으로-

        김희성,성대규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024 노동법포럼 Vol.- No.42

        전통적으로 노동조합의 단체교섭 요구에 대하여 응낙의무를 부담하는 사용자는 근로자와 ‘일정한 법률관계’, 즉 근로계약관계에 있는 사용자이다. 판례의 입장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최근 하급심판결(이하 ‘대상판결’)은 ‘일정한 법률관계가 아닌’ 이른바 ‘실질적·구체적 지배·결정권’에 근거하여 하청 노동조합의 단체교섭 요구에 대한 원청의 응낙의무를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판단에는 강한 의구심을 가지게 된다. 근로자의 단체교섭(권)은 단순한 사실행위로서가 아니라 단체협약의 체결이라는 법률행위의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단체교섭은 「노사(勞使) 사인 간에 이루어지는 법률행위적 요소를 내재하는 사적 행위」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하청 노동조합에 대한 원청의 응낙의무를 인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의무의 발생 근거가 필요하다. 가장 대표적인 근거가 ‘근로계약’이고, 나아가 그것과 ‘동일시할 수 있는 원인’에 의해서도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하청 노동조합과 원청 간에는 원청의 응낙의무를 정당화하는 ‘특별결합에 따른 상대적 법률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요컨대 대상판결은 그와 같은 특별결합에 따른 상대적 법률관계의 형성 원인으로서 ‘실질적·구체적 지배·결정권’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대상판결이 하청 근로자에 대한 원청의 실질적·구체적 지배·결정권을 인정한 것은, 대상판결 스스로 ‘인정한 사실관계’ 및 결론에 이르게 된 판단 논거와 완전히 배치되는 결과이다. 왜냐하면 대상판결은 원청과 하청 간의 집배점 위수탁계약관계(=진정도급계약관계)를 전제로 하면서, 정작 하청 근로자의 노무제공과 직접 연계된 근로조건에 대한 원청의 실질적·구체적 지배·결정권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실질적·구체적 지배·결정권에 근거하여 원청과 하청 근로자 간의 특별결합에 따른 상대적 법률관계가 인정될 수 있다면, (그 명칭 여하를 불문하고) ‘원청의 원청 사업(장)에 대한 (재산권에 기한) 사실상의 영향력’ 및 ‘사용종속관계에서의 지휘·명령권’과 ‘실질적·구체적 지배·결정권’이 어떠한 상이한 구성요건표지에 의하여 개념적으로 구별될 수 있는지 해명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상판결은 이에 대하여 침묵하고 있으며, 그와 같은 실질적·구체적 지배·결정권의 구성요건표지의 내용을 제시하는 견해도 찾아보기 힘들다. 결론적으로 실질적·구체적 지배·결정권이라는 개념은 실체가 없는 「수사적 표현」에 불과하다. 하청 근로자와 원청 간에 특별결합에 따른 상대적 법률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계약과 동일시 할 수 있는 일정한 원인’이라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Traditionally, the employer who bears the obligation to comply with the labor union’s request for collective bargaining is in a “certain legal relationship” with the workers-that is, a labor contract relationship. The position of precedents is also the same as the foregoing. However, a recent lower court rul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arget ruling”) recognizes the original contractor’s obligation to comply with the subcontractor’s labor union’s request for collective bargaining based on “substantial and concrete control and the right to decide” rather than “a certain legal relationship.” This judgment raises strong doubts. Workers’ collective bargaining (rights) should b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egal act of concluding a collective agreement rather than a simple factual act. Collective bargaining can be defined as a “private act that contains elements of legal act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Therefore, to recognize the original contractor’s obligation to comply with the subcontractor’s labor union’s request, a basis for the occurrence of the obligation is necessary. The most representative basis is the “labor contract,” and the original contractor’s obligation to comply may also be recognized due to “a cause that can be identified with it.” Therefore, a “relative legal relationship based on a special combination” can be formed between the subcontractor’s labor union and the original contractor, justifying the original contractor’s obligation to comply. In short, the target ruling presents “substantial and concrete control and the right to decide” as the cause of the formation of the relative legal relationship resulting from such a special combination. However, the fact that the target ruling recognizes the original contractor’s substantial and concrete control over the subcontractor’s workers and the right to decide on their request is a result that runs completely counter to the grounds for argument that led to the “factual grounds recognized” by the target ruling and the conclusion. This is because the target ruling presupposes a distributor’s shop consignment contract relationship between the original contractor and the subcontractor (i.e., a true subcontracting contract relationship) while actually recognizing the original contractor’s substantial and concrete control over and right to make decisions on the working conditions directly linked to the provision of labor by the subcontractor’s workers. If a relative legal relationship based on a special combination between the original contractor and the subcontractor’s workers can be recognized based on the substantial and concrete control and right to decide (regardless of its name), it must be explained how the “original contractor’s actual influence on his business (place) (based on his property rights),” “rights to command in the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 and “substantial and concrete control and right to decide” can be conceptually distinguished and via which different component markers. However, the target ruling is silent on the foregoing, and it is hard to find a view that presents the contents of the component markers of such substantial and concrete control and the right to decide. In conclusion, the concept of substantial and concrete control and the right to decide is just a “rhetorical expression” without substance because it cannot be said to be a “certain cause that can be identified with a contract” that can form a relative legal relationship based on a special combination between the subcontractor’s workers and the original contractor.

      • KCI등재

        원청사업주의 실질적 지배력 판단지표

        이정훈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2023 노동법연구 Vol.- No.54

        The business network phenomenon in which the production and service organizations that were vertically integrated into a single company are divided into subcontracting relations is spreading. The labor-providing relationship is also changing from a two-sided labor-providing relationship to a multilateral labor-providing relationship. The Supreme Court recognized that the three constitutional labor rights are specific rights to be directly effective as legal norms, and from April 20, 2022, the ILO Convention 87 and 98 on freedom of unity became effective as treaties. The ILO Freedom of Association Committee recognizes the collective bargaining obligations of the prime-contractor with actual control. After The Korean National Labor Relations Commission(NLRC) recognized prime-contractor as an employer which is obligated to collectively negotiate under the Labor Union Act, The follow-up judgment of the NLRC, which recognizes the prime-contractor as the subject of unfair labor practices for refusing collective bargaining, continues to accumulate. Recently, as the administrative court accepted the ruling of NLRC in a lawsuit to cancel CJ Logistics' unfair labor practice relief, discussions on the collective bargaining obligations of prime-contractor with actual control have become active. The expansion of employer responsibility under the Labor Union Act of prime-contractor who has actual control is inevitable in interpretation and legislation. However, despite the need for employer responsibility under the Labor Union Act of the prime-contractor who has actual control, there are concerns that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control or influence, not labor contract relations, are unclear or too open to infringe on legal stability. This article is a theoretical basis for expanding the concept of the employer under the Labor Union Act, and studies based on the discussion structure of the legal principles proposed by the recent Supreme Court ruling to establish the criteria for judging the actual control of prime-contractor. I think that the key indicator in determining the actual control of the prime-contractor should be the element of ‘incorporation of business and workplace’. Actual control will be recognized as an element of “incorporation of business and workplace,”. The element of “command and supervision of work performance” will be meaningful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be dispatched illegally, but it will not be meaningful as a indicator for determining the actual control of the prime-contractor. If the “command and supervision of work performance” element, which is a key indicator of worker dispatch and determines the employment obligation of prime-contractor, is strictly applied, the concept of the employer under the Labor Union Act is limited to “labor contract relations” again. 하나의 기업에 수직적으로 통합되었던 생산 및 서비스 조직이 원・하청관계로 분열되는 사업 네트워크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 노무제공관계도 이면적 노무제공관계에서 다면적 노무제공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노동법 또한 변화된 노동현실을 주목해야 한다. 대법원은 헌법상 노동3권이 직접 법규범으로서 효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구체적 권리임을 인정하였고, 2022년 4월 20일부터는 단결의 자유에 관한 ILO 제87호 협약과 제98호 협약이 조약으로서 효력을 발휘하게 되었다. ILO 결사의 자유 위원회는 실질적 지배력을 가진 원청사업주의 단체교섭 의무를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원청사업주의 노조법상 사용자 개념의 확대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실질적 지배력을 갖는 원청사업주의 노조법상 단체교섭 의무를 인정하는 중앙노동위원회의 판정이 늘어나고, 행정법원도 이러한 중노위 판정의 입장을 수용하였다. 그러나 지배력 또는 영향력이라는 개념은 판단기준이 불명확하거나 지나치게 개방적이어서 법적 안정성을 침해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있다. 이 글은 노조법상 사용자 개념 확장을 위한 이론적 기초로서 원청사업주의 실질적 지배력 판단지표 정립을 위해 대법원 판결이 제시하는 관련 법리의 논의를 기초로 연구한다. 이를 위해 대법원이 제시한 근로자파견과 노조법상 근로자성 판단지표들을 검토한 후, 최근 노동위원회의 실질적 지배력 인정 판정에서 나타난 판단지표들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원청사업주의 실질적 지배력을 판단하는 핵심적인 지표는 ‘사업 또는 사업장 편입’ 지표가 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사업 또는 사업장 편입’지표는 원하청 노동관계의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의 교섭단위 결정과도 연계된다. ‘업무지휘・감독’ 지표는 불법파견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서는 의미가 있겠지만 원청사업주의 실질적 지배력을 판단하는 지표로는 큰 의미가 없다고 할 것이다. 만약 원청사업주의 ‘업무지휘・감독’ 지표를 엄격히 적용하게 되면 단체교섭 의무를 부담하는 노조법상 사용자는 다시 근로계약 당사자와 유사해져버린다.

      • KCI등재

        ‘법의 제국’과 법의 지배

        안준홍 한국법철학회 2016 법철학연구 Vol.19 No.1

        This study aims to evaluate Ronald Dworkin’s legal theory in light of the rule of law with the objective of grasping a sound conception of the ideal. Many scholars and lawyers in Korea understand the rule of law as one that requires not only the formal conditions of law such as clarity and predictability but also the substantive elements that demand that the law be just. However, these substantive conceptions of the rule of law may result in fierce confrontations about the contents of the ideal or cynicism about the ideal itself by permitting or arousing all kinds of conflicting political or moral claims in the name of the rule of law. Further, those conceptions caus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rule of law and other fundamental constitutional ideals such as democracy and liberalism.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regard the formal conceptions of the rule of law as an essential part of the ideal. In Law’s Empire, Dworkin suggested his ideal model of the rule of law. There, the law is portrayed as being not limited to historical records such as legislations, precedents, or customary laws; rather, the law is portrayed as the product of interpretation of such historical records. In Law’s Empire, the ideal of integrity requires that the government treat its citizens with one voice and the law be morally coherent to the best extent possible. Judges in that empire should judge cases according to a theory of constructive interpretation which best fits in with the past political decisions of the community and construes those decisions as morally just as possible. Judges should also respect institutional constraints such as legislative supremacy and strict doctrines of precedent. Law’s Empire has problems in that it is very onerous even for judges to carry out the tasks imposed on them and the potential conflict between constructive interpretation and institutional constraints may shake the integrity of its conception of law titled “law as integrity”. In addition, it disturbs the formal elements of the rule of law by incorporating moral and political principles into the law. There is also a danger of resulting in ‘all things considered-judgements’ and ‘the rule of judges’ instead of the rule of law. The methodologies of interpretation recommended by it are teleological and totally systematic ones, which may undermine the objectivity and stability of law. These problems of Law’s Empire are inherent in the substantive conceptions of the rule of law which are very popular in these days. In order to realize the ideal of the rule of law, the formal elements or conceptions of the rule of law need to be understood and embraced as the essential and common contents of the ideal. 이 연구는 로널드 드워킨(Ronald Dworkin)의 법이론이 ‘법의 지배’ 이념을 구현하는 데 적합한지를 검토하여 그 이론을 평가하고, 아울러 이를 통하여 법의 지배의 바람직한 내용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국의 실무계와 학계는 ‘법의 지배’를 법의 명확성 및 예측가능성 등의 형식적인 요청뿐 아니라 내용적 정당성까지 요구하는 실질적인 이념으로 파악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실질적 법치주의는 법의 지배 이념에 서로 대립하는 여러 주장들을 담게 함으로써 그 이념의 내용을 둘러싼 격한 대결이나 그 이념 자체에 대한 냉소를 초래할 위험이 있고, 민주주의나 자유주의 등 헌정의 기본을 이루는 다른 이념들과 법치주의의 관계를 규명하기 어렵게 만든다. 그래서 형식적 법치주의를 법의 지배의 본연의 의미로 파악할 필요가 제기된다. 드워킨은 『법의 제국(Law’s Empire)』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법치국가의 모습을 제시하였다. ‘법의 제국’에서 법은 법률이나 판례 또는 관습법처럼 역사적 사실로 확인될 수 있는 자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을 해석한 결과이다. 거기서는 국가가 모든 시민을 하나의 목소리로 일관되게 대하여야 한다고 하는 통합성(integrity)이 독자적인 정치이념으로 추구되며, 법은 가능한 최고도로 도덕적 정합성을 지녀야 한다. ‘법의 제국’에서 법관은 그 공동체의 정치적 결정들에 부합하면서 그것들을 최선의 정합적인 정치도덕원리들로 구성하는 해석이론에 따라 재판을 해야 하지만, 입법부 존중, 선례구속, 개별 분야 존중과 같은 제도적 제약도 존중해야 한다. 하지만 이런 ‘법의 제국’은 법관들이라도 실천하기 어려운 과중한 과제를 부여하며, 구성적 해석방법과 제도적 제약 사이의 긴장 때문에 이론적 통합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정치도덕 원리들을 법으로 인정함으로써 법치의 형식적 요소들이 타격을 받게 되고, 법이 아니라 ‘모든 것을 고려한 판단’이 지배하게 되어 ‘법의 지배’라 하기 곤란하게 되며, 오늘날의 다원적인 사회에서는 ‘법의 지배’가 아니라 ‘법관의 지배’로 귀결될 우려가 있다. 법학방법론에서 ‘법의 제국’은 목적론적 해석과 총체적인 체계적 해석을 지지하는데, 이는 법해석의 객관적 타당성과 법적 안정성을 해칠 위험이 있으며 한국의 판례에서도 경계하는 바이다. 드워킨이 제시한 ‘법의 제국’에 담긴 이런 여러 문제점들은 실질적 법치관 일반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실질적 법치주의가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다 하더라도, 법의 지배 이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그 이념의 공통되고 본래적인 내용으로서 형식적 법치주의를 존중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원청의 하청기업 노무제공자 노동조합에 대한 단체교섭의무 – 씨제이대한통운 사건에 대한 중앙노동위원회의 결정을 중심으로 –

        김영문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22 노동법논총 Vol.55 No.-

        CJ Logistics entered into a consignment contract for the collection and delivery of cargo with the agency owner, and the agency owner entered into a consignment contract with the couriers. However, the couriers are self-employed who collect and deliver cargo with their own vehicles. Recently, the couriers were recognized as workers under the Trade Union Act, formed a courier labor union and received a certificate of establishment notification. This labor union conducted collective bargaining with the subcontractor, while demanding collective bargaining from the CJ Logistics for some issues. There are six negotiation agendas: 1) Shortening the delivery time for the couriers at the sub-terminal, 2) Reducing the waiting time for delivery at the sub-terminal, 3) Implementation of holidays, vacations and 5-day workweek, 4)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such as guarantee of one drop off point per a courier, 5) increase of paper handling fee, and 6) improvement of accident liability. However, the CJ Logistics did not respond to collective bargaining on the grounds that there was no explicit or implied contractual relationship with the couriers, nor did it publicly announce the request for collective bargaining. Accordingly, the courier labor union filed an application for remedy with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stating that the CJ Logistics had engaged in unfair labor practices by refusing collective bargaining without justifiable grounds as stipulated in Article 81, Paragraph 3 of the Trade Union Act. The Seoul Regional Labor Relations Commission rejected the courier labor union's request for remedy because there was no explicit or implied contrac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CJ Logistics and the couriers, and the CJ Logistics was not obligated to bargain collectively. However, in the case of a retrial seeking to revoke the decision of the Seoul Regional Labor Relations Commission, the Central Labor Relations Commission canceled the decision of the Seoul Regional Labor Relations Commission on the grounds that the CJ Logistics is in a position to control and determine the basic labor conditions of the couriers in a practical and concrete way(the theory of substantive dominanc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review the decision of the Central Labor Relations Commission in relation to the CJ Logistics's collective bargaining obligation to the couriers labor union. In conclusion, the theory of substantive dominance applied by the Central Labor Relations Commission is a framework for dispatching workers. However, this case is about a genuine subcontracting relationship and not a labor contrac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uriers as self-employed persons and CJ Logistics. In this relationship, since there is no command order and incorporation, the theory of substantive dominance cannot be applied. 간접고용에서 원청이 하청노동자 노동조합에 대해서 단체교섭의무가 있고, 교섭창구단일화 시 교섭요구 사실을 공고해야 하는지가 문제된다. 2010년도 이른바 ‘현대중공업 부당노동행위 사건’에 관한 대법원 판결은 노무를 제공하는 자의 기본적 근로조건에 대해 실질적으로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지배・결정할 수 있는 자는 지배・개입의 부당노동행위 주체로서 사용자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이른바 실질적 지배력설이 등장하였다. 이로써 하청노동자와 직접적인 근로관계가 없는 원청은 하청노동자 노동조합과 단체교섭을 해야 할 의무가 있는 사용자에 해당하는가가 문제된다. 실질적 지배력이 있는 자는 근로관계의 존부에도 불구하고 단체교섭의무가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그런데 씨제이대한통운과 대리점주는 위수탁계약관계를, 대리점주와 택배기사도 위수탁계약을 체결하였다. 택배기사들은 자영인들이다. 원청과 하청기업이 도급계약을 체결하고, 하청기업은 하청노동자와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이 하청노동자를 원청사업장에 투입시켜 노무를 제공하게 하는 것이 사내하도급이다. 말하자면 이 관계에서는 도급과 고용이 연결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원청과 하청노동자 사이에 성립하는 법률관계가 파견인지 도급인지가 항상 문제이고, 이를 결정하는 것은 원청의 하청노동자에 대한 지휘명령과 하청노동자들이 원청사업장으로 편입이 있었는가이다. 그러나 씨제이대한통운 사건은 도급과 도급으로 연결된 사안이다. 그런데 중앙노동위원회(이하 ‘중노위’라 한다)는 도급과 고용이 문제가 된 이른바 ‘현대중공업 부당노동행위 사건’에 대해 대법원이 원용한 실질적 지배력설을 씨제이대한통운 사건에도 적용하였다. 씨제이대한통운이 택배기사들의 일부 근로조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지배・결정하는 지위에 있기 때문에 하청노동조합과 단체교섭을 해야 한다고 결정하였다. 그것도 전체적인 근로조건이 아니라 하청노동조합이 요구한 교섭의제 중 일부는 원청이 단독으로, 일부는 대리점주와 공동으로 교섭을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른바 부분적・중첩적 사용자가 탄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중노위가 원용한 실질적 지배력설은 파견법이 없던 일본에서 사실상 지휘명령을 하고 원청의 사업장에 편입된 근로자들을 위한 이론으로서 근로자파견 프레임이다. 본고는 파견의 프레임인 실질적 지배력설이 도급과 도급으로 연계된 씨제이대한통운 사건에는 적용될 수 없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부분적・중첩적 사용자론은 현행 노동조합법 체계와 맞지 않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 KCI등재

        과점주주의 간주취득세에 있어서 실질적 지배력에 대한 제한적 해석

        이정란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0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0 No.4

        Article 7 (5) of the Local Tax Act stipulates that where a person becomes an oligopoly stockholder by acquiring stocks of or equity stakes in unlisted corporations, the oligopoly stockholder shall be deemed to have acquired the object of acquisition tax of the relevant corporation and shall be obligated to pay the acquisition tax separately from the corporation. The legislative intent of this article is considered to have taxable capacity in terms of that when he or she becomes an oligopoly shareholder, the oligopoly shareholder should be virtually considered to own the assets of the relevant corporation because the oligopoly shareholder can acquire the capacity of disposition and management on the assets of the relevant corporation. Therefore, whether or not he or she is an oligopoly shareholder should be judged on the basis of whether or not he or she has de fac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rporation by exercising shareholder rights, not being the registered shareholders on the share registry. However, in the practice of taxation, there are several cases where the obligation to pay acquisition tax is imposed on oligopoly shareholders only because they meet the formal requirement of having more than 50% of total issued shares of a corporation without in-depth review of de facto control. In addition, cases where shareholder rights are restricted by laws, such as implementation of courts or related laws and orders from the government to purchase, have been just recognized as ones where there is no de facto control. The recent Supreme Court decisions are likely to present its view of restrictive interpretation that whether or not the increase of de facto control should be judged comprehensively, taking into account all circumstances before and after the acquisition of the stock. This judgement of Supreme Court has the significant meaning to suggest that whether there is de facto control or not should be specifically considered in the case of a temporary and formal increase in the equity ratio due to the necessities of management in a corporation, such as a voluntary corporate restructuring or the improvement of financial structure, beyond the legally restricted shareholder rights. 지방세법 제7조 제5항은 비상장법인의 주식 등을 취득함으로써 과점주주가 되었을 때에는 그 과점주주가 해당 법인의 부동산 등 취득세 과세대상 물건을 취득한 것으로 간주하여 법인과 별도로 취득세 납세의무를 지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동 조항의 입법취지는 과점주주가 되면 해당 법인의 재산을 사실상 임의처분하거나 관리운용할 수 있는 지위에 서게 되어 실질적으로 그 재산을 직접 소유하는 것과 크게 다를 바 없다는 점에서 담세력이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과점주주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주주명부상의 주주 명의가 아니라 그 주식에 관하여 의결권 등을 통하여 주주권을 실질적으로 행사하여 법인의 운영을 사실상 지배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하지만 과세실무에서는 여전히 실질적 지배력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 없이 단지 지분율 50% 초과소유라는 형식적인 요건을 갖추었다는 이유로 과점주주에게 취득세 납세의무를 부과하는 경우가 많고, 종래 판례 등에서도 법원이나 관계법령의 이행 및 정부의 매입지시 등 법률상 주주권이 제한되는 경우만을 실질적 지배력이 없는 경우로 인정하여 왔다. 최근 대법원 판결들에서는 지배권의 실질적 증가여부는 해당 주식 취득전후의 제반 사정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제한적인 해석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법률상 주주권이 제한되는 경우를 넘어서서 기업의 자율적인 기업구조조정이나 재무구조개선 등 경영상의 필요에 의한 일시적이고 형식적인 지분율 증가의 경우에도 지배권의 실질적 증가여부를 구체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한 점에서 유의미한 판결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21세기 법치주의의 신경향

        이헌환 한국공법학회 2015 공법연구 Vol.44 No.1

        21세기의 지구촌은 20세기까지 겪어보지 못했던 엄청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가장 큰 현상은 20세기 후반에 나타난 이슬람세계의 변화와 사회주의의 종식이다. 특히 사회주의의 종식은 이데올로기 대립에서 서구의 자유주의적 민주주의의 승리를 의미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과거의 2분법적 대립구도가 더 복잡한 대립구도로 바뀌어 현상에 대한 문제해결을 어렵게 하고 있다. 또 하나 21세기의 현상은 과학기술, 특히 정보기술과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하여 전세계가 말 그대로 하나의 세계로 만들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인식범주의 변화는 앞서 지적한 이데올로기의 종식과 함께 공동체의 질서원리로서의 법의 지배 내지 법치주의에도 새로운 접근법과 이론적 모색을 촉구하고 있다. 현상적 측면에서, 가장 먼저 지적할 것은 법치주의의 탈이데올로기적 경향이다. 사회체제나 이데올로기, 종교 등과 무관하게 법치주의의 채택에 대한 외견상의 일치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법의 지배가 어떤 형태의 그것이든 정부를 정당화하기 위한 필수적 수단임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하지만 전 지구적인 이념으로서 법의 지배는 대단히 파악하기 어려운 개념이다. 현상적 측면에서 지구화시대의 법치주의의 일반적 경향으로 미시적, 거시적 양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다. 미시적 측면에서는, 법의 생활규범화와 그로 인한 법률수의 증대를 지적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법학분야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거시적 측면에서의 경향은 국내적 측면과 국제적 측면의 양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다. 국내적 측면에서는 국가법 내에서 헌법재판제도가 활성화되고 있다는 점이며, 국제적 측면에서는 지구화로 인한 법의 지배의 변화양상으로, 법형식주의의 완화, 법의 통일화 경향, 새로운 국제적 공법질서의 창설, 기존의 국가법이나 공식법에 대한 도전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21세기적 상황에서 법치주의가 당면하는 현상의 또 다른 하나는 법률정보의 대량화와 유통의 용이성을 들 수 있다. 지식정보의 존재방식과 그 유통ㆍ습득방식이 과거와는 전혀 다른 형태로 바뀌고 그에 따라 지식정보 자체가 인류공통의 자산으로 활용될 수 있게끔 공유되고 있다. 이론적 측면에서 21세기 법치주의의 경향은 법치주의의 의미에 관한 형식적 및 실질적 설명에 관한 논의와 관련된다. 형식적 설명에서는 가장 약한 의미의 법의 지배의 의미는 법에 의한 지배, 즉 정부행위의 도구로서의 법을 의미하는 것이었지만, 이에 더하여 형식적 합법성을 강조하고 이어서 형식적 합법성의 정당성의 근거로서 민주주의를 그 핵심요소로 이해하고 있다. 실질적 설명은 개인적 권리를 그 실질적 내용으로 파악하는 견해에서부터 인간의 존엄론과 정의관념에까지 법치주의의 내용을 확장하는 견해, 그리고 가장 강력한 실질적 설명으로 사회복지국가 관념까지도 법치주의의 실질적 내용으로 파악하는 견해로 나타나고 있다. 아울러, 법치주의의 의미에 관한 형식적 내지 실질적 설명에 공통하는 세 가지 요소는 첫째, 정부가 법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 둘째, 형식적 합법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 마지막으로, 법의 지배의 현실적 집행자로서 법관의 지위가 합리적으로 확립되어야 한다는 것 등이다. Today in the 21st century, the world has confronted the huge changes which mankind has never experienced until 20th century. Among these changes, that of Islam world and the almost total collapse of communism are remarkable ones. Especially, the collapse of communism seemed to many observers to be the dawn of a new age. But There has since been a bewildering array of multifarious conflicts and disputes, all at levels exceeding what occurred during the hottest moments of the half-century-long Cold War, which makes solutions more difficult. Another phenomenon of the 21st century is ‘globalisation’, which has come out from the development of sciences, especially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Under these situations, the rule of law as a principle of public order is demanded a new approach and theoretical changes. In a phenomenal point of view, one of the remarkable changes in the ‘rule of law’ debate is a trend of deideologization. Apparently, in almost all the countries, regardless of social system, ideology, religion, etc., the rule of law is accepted as the basic principle of a political system. This is compelling evidence that adherence to the rule of law is an accepted measure worldwide of government legitimacy. But the rule of law as a global ideal is an exceedingly elusive notion. As for a general trend of the rule of law in the era of globalisation, from the phenomenal point of view, there would be approaches from two sides : microscopic and macroscopic. In the microscopic approach, a character of law as daily-life norm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statutes can be noted. To deal with the problems arising from this approach, legislative studies should be developed. In the macroscopic approach, the trends are well understood at bot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ea. In domestic area, after the end of 20th century the constitutional adjudication systems are activated in almost all countries. In international area, changing situations of the rule of law due to ‘globalisation’ bring four trends on the world society. In a theoretical approach, the trends of the rule of law principle focuses on what is the rule of law. It is possible to lay out the alternative theoretical formulations of the rule of law from formal and substantive versions. Formal theories focus on the proper sources and form of legality, while substantive theories also include requirements about the content of the law. There are three familiar themes that run through the rule of law tradition : government limited by law, formal legality, and a careful selection of judge.

      • KCI등재

        하청업체 노동조합의 단체교섭 상대방으로서의 원청사업주의 사용자성 —제조업에서의 최근 하급심판결과 중앙노동위원회 판정을 중심으로—

        김희성,이준희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022 노동법포럼 Vol.- No.36

        법원에서 심리되고 있는 현대중공업 사건과 중노위에서 판정을 내린 현대제철 사건은 모두 사내하청업체 근로자들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원청회사 사용자를 상대로 단체교섭을 요구한 사건이다. 법원은 원청회사 사용자의 단체교섭 상대방으로서의 지위를 부정했지만, 중노위는 실질적 지배력이 인정되고 원청회사와 사내하청업체가 사내하청업체 소속 근로자의 근로조건을 “중첩적으로 지배·결정”한다는 논리로 원청회사의 단체교섭 의무를 인정했다. 그러나 앞에서 자세히 검토한 바와 같이, 실질적 지배력설은 개념이 지나치게 모호하고 실질적 지배력과 영향력 존부 판단이 명확하지 못하여 사용자 지위를 확정하는 기준으로서 제대로 기능할 수 없고, 판단하는 사람에 따라 적용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어 법적 안정성을 심각하게 훼손할 우려가 있다. 실제로 현대제철 사건에서 중노위는 제조공정과 MES 시스템에 대한 오해로 인해 실질적 지배력을 그릇되게 판단했다는 점을 앞에서 자세히 논증했다. 그리고 이처럼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실질적 지배력설에 의존하지 않고, 우리 노조법의 해석에 가장 부합하면서도 해석상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단체교섭 상대방으로서의 사용자 판단기준을 제시하고자 했다. 판단기준의 가장 기본이 되는 원칙으로는 노조법상 사용자로서 단체교섭의 당사자라고 하려면 기본적으로 근로계약의 당사자인 사용자이어야 한다는 사실을 제시했다. 즉, 근로계약의 당사자가 아닌 제3자는 단체교섭의 당사자로서 사용자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근로계약관계의 당사자로서 근로조건 결정권을 가지는 주체인지의 여부를 확정할 수 있는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판단기준으로는 근로계약 체결 및 근로조건 합의 주체로서의 사용자이어야 한다는 점, 임금・급료 기타 이에 준하는 금품의 지급 주체로서의 사용자이어야 한다는 점, 노동관계법상 사용자로서의 의무를 이행하는 주체로서의 사용자이어야 한다는 점, 직업으로서의 일을 부여하고 그 수행을 관리하는 주체로서의 사용자이어야 한다는 점 등 4가지 판단기준을 제시하였다. 이 4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만 단체교섭의 상대방으로서의 사용자로 인정될 수 있다. 이상의 기준은 우리 현행 노조법의 체계적 해석을 통해 도출되는 사항이다. 한편, 2022년에 ILO 핵심협약이 발효됨에 따라 ILO 핵심협약의 ‘기본취지’를 명목으로 우리 노조법상 사용자 개념의 해석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경계해야 한다. ILO 핵심협약의 기본취지가 협약의 문구와 관계없이 무분별하게 확대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단체교섭의 상대방으로서 사용자는 헌법 제33조 제1항을 기초로 노조법에 구체적으로 규정된 내용을 토대로 우선 판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최근의 논란과 중노위 판정의 혼란상은 단체교섭 상대방으로서의 사용자에 관한 판단기준으로 종래 학설과 판례에 의해 확립되어 온 기준에 대해 다양한 이견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기본 원칙과 세부적인 판단기준이 그와 같은 논란을 정리하고 법원과 노동위원회의 일관된 판단을 촉진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원・하청 관계에서 원청의 단체교섭 의무

        임동환,이승길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22 노동법논총 Vol.55 No.-

        In recent years, in the increasingly complex social structure, labor relations have become multi-faceted and multi-level labor relations have been formed, away from the traditional two-sided appearance. Typically, there is a contract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subcontract. The Central Labor Relations Commission recognized the user nature of the original office as the subject of refusal to collective bargaining, which is the type of unfair labor practices, through the judgment of CJ logistics case in 2021 and Hyundai Steel case in 2022. These two judgments applied the practical ruling of the Supreme Court of Hyundai Heavy Industries in 2010. In the meantime, the Supreme Court has judged that the parties to implement collective bargaining are those who have labor contract relations. The judgment on the control and intervention among the types of unfair labor practices in 2010 is that the person is in a position to control and decide practically and specifically enough to assume that he is in charge of som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as the employer who hired the worker with respect to the basic working conditions of the worker. The Supreme Court precedent law referred to by the Central Labor Relations Commission's ruling, which is currently being discussed, is a reference to the Supreme Court ruling in the Asahi Broadcasting case in Japan. And when the original office is recognized as the subject of collective bargaining by the actual control, it should be integrated and organic interpretation in connection with the users prescribed in the union law,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process of unification of bargaining windows, the confirmation of collective bargaining targets, the mediation process of labor disputes, and the prohibition of alternative labor for disputes. The original contract is recognized as the subject of collective bargaining based on the actual dominance in the contract-subcontracting relationship. The problem is the unification process of the Authority to Bargain and Make Agreement, the confirmation of collective bargaining targets, the qualification of the parties to the labor dispute mediation process, Various problems occur in a series of processes that implement collective bargaining. Subcontracting unions will be able to negotiate with the original office without going through the Authority to Bargain and Make Agreement under the current law. There is a problem of how the original and subcontracting can distinguish the object of collective bargaining. The enlargement of users to the provisions of the Disqualification of Parties and the Prohibition of Alternative Work under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Article 43) is also a problem. In this way, the concept of users in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should be interpreted and applied organically within the legal system. It is not appropriate to expand and apply users who have no labor contract relationship based on practical dominance in the contract-subcontract relationship. 최근 복잡・다양해지는 사회 구조에서 근로관계는 종전 쌍무적 모습에서 탈피해 다면화되고 중층적인 근로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대표 사례로 ‘원・하청의 도급계약’이 있다. 중노위는 2021년 ‘CJ대한통운 사건’ 및 2022년 ‘현대제철 사건’의 판정을 통해 부당노동행위의 유형인 단체교섭 거부의 주체로 ‘원청의 사용자성’을 인정하였다. 이 두 개의 판정은 2010년 ‘현대중공업 대법원 판결’의 실질적 지배력 법리를 적용하였다. 그간 대법원은 단체교섭을 이행할 당사자는 근로계약관계를 맺고 있는 자를 대상으로 판단하였다. 2010년도 부당노동행위 유형중 지배・개입의 판단은 근로자의 기본적 근로조건 등에 관해 그 근로자를 고용한 사업주로서의 권한과 책임을 일정 부분 맡고 있다고 볼 정도로 실질적・구체적으로 지배・결정할 수 있는 지위에 있는 자로 본 것이다. 현재 논의를 촉발시킨 ‘중노위 판정’이 참고한 현대중공업 대법원 판례 법리는 ‘일본의 아사히방송 사건’ 최고재판소 판결 법리를 참조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판결 법리를 적용하는 것을 재검토해보고자 한다. 일본 노동법 학계에서도 아사히방송 사건의 판결에 대한 법리 형성에는 견해(지배력설, 근로계약기준설 등)가 대립하고 있다. 당시 일본은 ‘파견법’이 제정되지 않았던 시기에 우리나라 파견법상의 ‘파견관계’와 같이 하청업체 소속 근로자의 근로조건에 대하여 마치 고용주와 동일시할 정도로 현실적・구체적으로 의사 결정을 실시했던 것에 대한 판결이다. 그리고 일본 노조법은 우리나라와 달리 사용자에 대한 정의 규정이나 사용자의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형사처벌 규정이 없다. 이에 양국의 관련 사안의 배경과 차이점 등을 고려해 원・하청관계에서 원청의 단체교섭 의무에 대한 법리를 재음미해 볼만한 의의가 있다. 원・하청 관계에서 실질적 지배력을 바탕으로 원청을 단체교섭의 주체로 인정할 경우 단체교섭을 이행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하청노조가 원청과 교섭시 교섭창구단일화 절차의 이행 구조, 원・하청간 단체교섭 대상의 구분 방법, 노동쟁의 조정의 당사자 적격, 노조법상의 대체근로 금지규정(제43조)에 대한 사용자의 확대 등이 문제된다. 노조법상의 사용자 개념은 노조법 체계 내에서 유기적으로 해석・적용해야 한다. 원・하청관계에서 실질적 지배력을 바탕으로 근로계약 관계가 없는 사용자의 개념을 확대 적용하는 법해석은 재음미해야 하고, 향후 노조법 체계에서 입법론을 논의할 수도 있다.

      • KCI등재

        미국 연방노동관계법상 공동사용자 지위 결정에 관한 규칙 개정의 의미 - 초기업별 교섭에서 사용자 지위 및 교섭의무 판단을 둘러싼 쟁점을 중심으로 -

        강주리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24 産業關係硏究 Vol.34 No.2

        최근 들어 다양한 다면적 노무제공 관계가 확산됨에 따라, 원사업주에게교섭요구사항에 대한 처분 권한이 존재하지 않는 사안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동조합이 원사업주 이외의 사업주에게 교섭을 요구하는 사건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변화하는 일터의 모습을 반영하여 단체교섭권의 구체적인실현 관점에서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지위에 있는 자를 사용자를 판단하고단체교섭 응낙의무를 부과하는 법리가 형성되고 있다. CJ대한통운 판결에서 원사업주 이외의 사업주가 단체교섭의무를 부담하는논거와 단체교섭의무를 부담하는 사용자에 대한 판단기준이 제시되었으나, 법리가 형성되고 있는 상황에서 각 교섭요구사항에 따른 지배력을 어떠한방식으로 인정할지, 지배력과 함께 사용자 지위를 판단하는 종합적 판단요소들을 어떠한 관점에서 설정하고 해석하여야 할지, 나아가 단체교섭의무를 인정하는 범위는 어떠한 관점에서 어디까지 획정하여야 할지는 명확하지 않다. 실질적 지배력 법리를 적용한 사례들이 축적되는 과정에서 보다 적절한 기준이 확립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기업별 교섭이 이루어져 온 미국에서는, 일정한 요건 하에서 원사업주 이외의 사업주에게 교섭의무를 부과해 왔다. 미국의 연방노동관계법상 공동사용자 법리는 첫째, (공동)사용자 지위를 판단함에 있어 노동조건에 대한 지배력을 고려한다는 점 둘째, 원사업주와 원사업주가 아닌 사업주가 자신이 지배 내지 처분 권한을 갖는 한도에서 교섭의무를 부담토록한다는 점에서 실질적 지배력 법리와 맞닿아 있다. 특히 최근 개정된 연방노동관계법상 공동사용자 지위 결정에 관한 개정규칙은 공동사용자 지위와 교섭의무의 판단 단계를 분리(디커플링)하면서, 단체교섭 관행을 촉진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공동사용자 지위를 확립하는 기본적인 고용조건을 명확히 하여 공동사용자 지위에 관한 판단은 용이하게 하면서도, 기본적인 고용조건에 국한하지 않고 자신이 처분 권한을 갖는 고용조건에 대해 교섭의무를 부담토록 하여, 단체교섭권의 구체적인 실현을 도모하고 있다. 개정규칙의 공보문에는 공동사용자 지위와 교섭의무를 둘러싼 많은 쟁점을 담고 있다. 개정규칙의 의견수렴과정에서의 공동사용자 지위 판단기준 및 교섭의무 부담범위에 관한 논의들은 단체교섭 국면에서 실질적 지배력 법리를 적용함에 있어 추가적으로 논의가 필요한 문제들과 맞닿아 있다. 이 글에서는 규칙 개정 과정에서의 논의에 초점을 맞춰 미국의 공동사용자 지위와 교섭의무 판단기준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근로조건에 대해 원사업주를 넘어 지배가 이루어지는 사안에서의 사용자 지위와 교섭의무 부담범위를 둘러싼 쟁점을 가늠해보았다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original employer does not have the right to dispose of bargaining demands has increased due to the proliferation of various multifaceted employment relationships. Accordingly,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unions request bargaining with employers other than the original employer is also increasing. Reflecting the changing face of the workplace, jurisprudence is emerging that determines who is capable of resolving disput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cret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collective bargaining and imposes an obligation to accept collective bargaining. The CJ Logistics ruling provided the rationale for an employer who does not have a employment contract to be obligated to collectively bargain and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who is obligated to collectively bargain. However, it is not clear how to recognize dominance under each of the bargaining requirements, how to establish and interpret the comprehensive factors for determining the status of a user along with dominance, and how to define the scope of the collective bargaining obligation. More appropriate standards need to be developed as cases applying the substantial control doctrine accumulate. In the United States, where company-level bargaining has been practiced for a long time, the duty to bargain has been imposed on employers other than those who have employment contracts with employees under certain conditions. The joint employer doctrine under the National Labor Relations Act is similar to the substantial control doctrine in that, first, it considers control over working conditions in determining (joint) employer status and, second, it imposes bargaining obligations on employers and other employers who have employment contracts with employees to the extent that they have control or authority. In particular, recent amendments to the rules governing the determination of joint employer status under the National Labor Relations Act decouple the steps for determining joint employer status from bargaining obligations in order to facilitate collective bargaining practices. While clarifying the basic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that establish joint-employer status to facilitate the determination of joint-employer status, the amendment also requires employers to bargain over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over which they have the right to dispose, rather than limiting themselves to basic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thereby promoting the concrete realization of collective bargaining rights. The federal register of the amendment contains many questions regarding joint employer status and bargaining obligations. The discussion of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joint employer status and the scope of the duty to bargain during the public comment period for the proposed rule raises issues that warrant further discussion in the application of the substantial control doctrine in the collective bargaining context. This article examines the U.S. test for joint employer status and the duty to bargain, focusing on the discussions during the rulemaking process. This article examines the issues surrounding employer status and the scope of the duty to bargain in cases where working conditions are controlled by employers other than those with whom the employee has an employment contract.

      • KCI등재

        원청(原廳) 사업주(事業主)의 부당노동행위(不當勞動行爲)에 대한 형사처벌(刑事處罰)과 죄형법정주의(罪刑法定主義) : 대상판결 : 대법원 2010. 3. 25. 선고 2007두8881 판결

        黃泰潤,柳文鎬,安成晧,梁朗海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홍익법학 Vol.14 No.4

        대상판결은 당해 근로자 및 노동조합과 직접적인 법률관계를 형성하고 있지 않더라도 필요한 한도에서 사용자 범위의 확대하였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판결의 배경이 되는 일본은 노조법상 사용자에 대한 개념규정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물론 부당노동행위는 구제명령의 대상이 될 뿐이다. 따라서 일본에서는 실질적 지배력설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개념을 확대하여 원청 사업주를 부당노동행위 구제명령의 대상자로 확정해도 죄형법정주의 위반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우리나라 노조법 제81조는 부당노동행위의 주체를 "사용자"로 규정하고 있고 부당노동행위를 행한 사용자는 형사처벌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일본 학계의 사용자 개념의 확대 이론(실질적 지배력설)을 우리나라 현실에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은 무리인 측면이 있다. 노조법의 고유한 적용에 있어서도 형사처벌에 관해서는 죄형법정주의의 원칙은 지켜져야 하며, 그에 따른 명확성의 원칙과 유추해석금지의 원칙이 준수되어야 한다. 행정형법에는 원칙적으로 형법총칙이 적용되며, 그 처벌은 형사소송법이 정하는 절차에 따라야 하기 때문이다. 대상판결에 따라 원하청 관계에서 노조법상 사용자의 개념을 확정할 경우, 죄형법정주의의 관점뿐만 아니라 민법상 전형계약인 도급계약의 틀 자체도 크게 흔들릴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부당노동행위제도에 있어서 "실질적 지배력설"이나 소위 "사용자 개념의 확대이론"이 노동3권의 보장이라는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좀 더 구체적이고 명확한 판단기준을 설정하고, 법의 기본원리를 심각하게 침해하지 않을 수 있는 해석론을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죄형법정주의를 넘어서는 무리한 해석론을 시도하기 보다는 일본과 마찬가지로 형사처벌규정이 없는 순수한 구제주의로 부당노동행위제도 및 관련 규정을 개편하는 것이 종국적으로 타당할 것이라 생각된다. 형사 처벌을 위한 규정을 두고자 한다면 그 규정을 지속적인 논의를 거쳐 형법전 속에 편입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행정범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반사회성·반도덕성의 인식이 국민 일반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형사범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점에서, 행정범과 형사범의 구별은 상대적·유동적일 수 있다. 형법 제140조 [공부상비밀표시무효], 제140조의 2 [부동산강제집행효용침해], 제142조 [공무상보관물의 무효]와 같은 규정은 민사집행법상 집행관의 업무를 보호하기 위한 규정들이다. 또한 형법 제315조[경매, 입찰의 방해] 역시 통상의 민사집행법에 의한 강제경매·임의경매는 물론 국세징수법에 의한 국세체납처분절차에 따른 한국자산관리공사의 공매업무 등을 보호하기 위한 규정이다. 이러한 규정들을 감안할 때 노조법 제81조상 처벌규정을 형법전에 편입하는 것이 반드시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