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黃胤錫의 『平海黃氏世系』 편찬 배경과 특징

        노혜경(Roh Hye-ky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장서각 Vol.0 No.22

        족보는 자신의 家系와 血族을 기록하여 후손들에게 물려주고 그 집안의 내력과 함께 그 영예를 계속 보존하기 위하여 작성된 책이다. 우리나라의 가계기록 전통은 매우 오래되었다. 족보의 제작은 조선 초부터 시작하여 중기 이후에 본격화 되었다. 17세기 이후 모계와 부계를 같은 비중에 두는 전통적인 족보 방식에서 벗어나 유교적 영향을 받은 부계 중심의 족보로 바뀌어갔다. 본고에서는 18세기 후반을 살았던 황윤석의 『이재난고』에 나타난 『평해황씨세계』의 편찬과정과 특징 및 그의 족보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먼저 황윤석이 족보를 작성하려는 배경은 크게 네 가지였다. 첫째는 황윤석 계파의 상황을 정리하여 후세에 물려주기 위한 의도였다. 둘째는 기존에 있던 평해황씨 족보에 황윤석 일파에 대한 오류 등을 바로잡기 위해서였다. 셋째는 興德으로 入鄕한 이후 집안이 번성하지 못하여 자신의 계보를 찾기 힘들었기 때문이었다. 넷째는 당시 만연되어 있던 불합리한 족보 편찬 풍조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 그가 족보를 작성한 과정에서는 『氏族源流』, 『東國輿地勝覽』, 『古譜』, 『春川帳籍』, 榜目, 古跡 등 여러 문헌자료가 이용되었다. 그 외에 제보나 소문에 대한 탐문이 있었고, 묘지석이나 묘표 등을 직접 찾아다니면서 비교·검토하였다. 이 과정에서 축적된 보학 지식은 평해황씨 종합보를 편찬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다른 집안의 족보 제작에도 조언을 줄 수 있었다. 이 결과, 『평해황씨세계』와 「越松黃氏先跡考」가 완성되었다. 황윤석이 만든 족보는 통합보가 아닌 직계 위주의 족보로서, 이런 방식이야말로 혼입이나 오류를 방지하고, 신빙성과 사실성을 갖춘 족보가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그의 태도는 당대 그 누구보다 실증적이었고, 명확한 사실에 근거한 서술을 중시했다. 『평해황씨세계』는 '本宗平海黃氏先系'의 世系圖와 『신증동국여지승람』, 『고려사』, 『국조보감』, 『成均館靑衿錄』, 通政大夫府君(黃紐)墓表와 學生府君(黃應中)墓表, 황응중이 작성한 「舊牒」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종평해황씨선계'의 수록 범위는 1世 黃叔卿으로부터 황윤석의 아들 대까지이며, 자녀와 사위, 외손 및 그 후손 대까지의 혈족 모두를 기록했다. 구성 방식은 각 인물마다 거주지, 자호, 배우자 및 그의 四祖를 기록했다. 子, 女(女壻), 庶子女의 순으로 썼고, 繼子를 덧붙였다. 특이한 점은 다른 어떤 족보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딸의 이름을 기록했다는 점이다. 『평해황씨세계』는 부계 중심의 족보 편찬 방식과 함께 모계와 부계를 동일 비중에 두는 전통적인 혈연적 친족구조의 족보방식이 함께 사용된 것이다. 이런 현상은 당시 내외보나 팔고조도 등의 제작 경향과 함께 전통적인 혈연적 친족을 모두 수록하는 조선 초기의 족보 편찬 방식이 이 당시까지도 이어졌음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황윤석의 족보에 대한 생각과 태도를 가장 잘 표현한 방식이었다. Jokbo(族譜) is a family tree chart book showing pedigree with brief personal records for the purpose of handing down to descendant. Keeping the record on family tree and history is a long-lasting tradition in Korea. Compiling of family tree had been started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was widespread in the middle Joseon period in the 17th century. After 17th century, the style of its compiling has been changed from recording both paternal and maternal sides to writing only paternal side, which was influenced by the Confucianism. I had a research on Compiling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Hwang, Yun-seok(黃胤錫)'s Pyeonghaehwangssisegye(平海黃氏世系), and his recognition of genealogy. Many family had made their family trees at that time, but those records contains many errors and exaggerates their ancestors. Hwang, Yun-seok compiled his family tree for the following purposes; First, he was willing to hand out his correct family line records. Second, he wanted to clear up errors on the existing genealogy. Third, because it was difficult to find out his declining family line, after moving to Heung-duk(興德). Fourth, He had criticism about illogical compiling Jokbo rampant at that time. He had used many reference books such as Ssijokwonryu(氏族源流), Donggukyeojiseungnam(東國輿地勝覽)· Gobo(古譜), Chuncheonjanjeok(春川帳籍) and etc. Besides he collected information, investigated hearsay, looked for tombstone writings, and reviewed them. His knowledge on genealogy acquired during the process of compiling his Jokbo was helpful to make "The full range of Pyeonghaehwangssijokbo(平海黃氏綜合譜)" and he could give an advise to other families on how to compile their Jokbo. As a result, Pyeonghaehwangssisegye and "Weolsonghwangssiseonjeokgo (越松黃氏先跡考)" were compiled. His Jokbo was not a full version of Jokbo, but a lineal family line Jokbo. He thought that only the lineal family line Jokbo could be made without errors and being mixed with other unrelated things, and thus the credibility and the truth could be guaranteed. Therefore his thought and action were the most practical all at that time. He believed that description based on facts is a prerequisite for making a good Jokbo. Pyeonghaehwangssisegye is composed of a family tree map, relevant information of Pyeonghaehwangssi, tombstone writings of ancestor and "Gucheop(舊牒)" by Hwang, Eung-jung(黃應中). Segye ranges from Hwang, Suk-gyeong(黃叔卿) at the top to Hwang, Yun-seok' son at the bottom. And it reads children, son and daughter in law, his daughter's child and so on. It contains address, pen name(s), spouse and the names of four immediate ancestors for each person. It's unusual to list his daughters' names. Pyeonghaehwangssisegye follows the traditional compiling style of lineal relatives of both mother and father sides equally as well as the compiling style of focusing on father side. It is the exact reflection of Hwang, Yun-seok's ideas and attitudes to the genealogy.

      • KCI등재

        『晝永編』에 담긴 정동유의 當代 민속 인식

        주영하 진단학회 2010 진단학보 Vol.- No.110

        This paper purposes to consider the folklore perceptions of the time in Juyeongpyeon(晝永編) written by Jeong Dong-yu(鄭東愈, 1744~1808). As everybody knowns, the themes of Juyeongpyeon covered a wide range. Among them, seasonal customs, food, and clothing were mainly referred as the themes with folklore. Jeong Dong-yu showed affection for Joseon's own custom, presenting the objective materials for Yudoo holiday, a game of yut, and a game of rock-throwing fight which were only existed in Joseon. However, he also understood exactly that some contents of Joseon were a little different from those of China in the case of Floating Bridge, Hitting Cheoyong and Iris of Dano holiday, although they came from China. That was likely to be possible because Jeong Dong-yu had a both practical and clear understanding of Chinese custom all at once. Especially, his opinion that the reason one uses Iris on Dano holiday traces back to Taoism is very precise. Jeong Dong-yu discussed clothing and food customs from a different angle. Specially in clothing, he sharply criticized the extravagance of Chungin in Joseon Dynasty. It was the result that he saw through the phenomena of his time properly which dress regulation was not strictly obeyed. In the argument over food, he mainly insisted that one should use the terms exactly, like Doso(屠蘇), Woi(瓜), Gomyeong(餻面) and so forth. Especially, he proved the reason why there were so many kinds of rice cake in sacrificial offering of Joseon by relating to the Holiday Food of Ming Dynasty, which is a very excellent view, still in the current position. I think Jeong Dong-yu's longing to understand not only China but foreign countries exactly made it possible. So Jeong Dong-yu's depiction of folklore which Juyeongpyeon covered made it target to have already performed in his time. He took a good look at the context of Joseon folklore and had the use of the exact term and the needs of improvement in his mind, if it is necessary, checking the instances of China and foreign. The simple criticism for the extravagance of clothing and a theory that rice cake had stemmed from Buddhism was just the job. But it seemed that he didn't have a specific alternative for it. I think it was because of his limitations that the premodern intellectual had. Actually, Jeong Dong-yu described his 'both wide and thoughtful trivia' in Juyeongpyeon. Though Yangming positon, the empirical approach, and open-minded perception of foreign countries are not different from the view of reality of Jeong Dong-yu which was arranged by Sung San Cho, it is true that he covered seasonal customs and customs of food and clothing more objectively based on a wide knowledge of linguistics․history․science and understandings of foreign countries of Jeong Dong-yu, if focusing on the contents of a custom in Juyeongpyeon. Specially, Jeong Dong-yu sticked to the critical position in each of the items, departing from the consciousness on the sociocultural phenomena of the day when he lived. This point has great implications for many scholars who study Korean folklore of these days diachronically. 이 글은 정동유(鄭東愈, 1744~1808)의 『주영편(晝永編)』에 담긴 당대(當代)의 민속에 대한 인식을 살피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주지하듯이 『주영편』에서 다루는 내용은 그 주제가 매우 광범위하다. 그 중에서 민속과 관련된 주제는 주로 세시풍속과 음식, 그리고 복식과 관련된 것이 다수 언급된다. 정동유가 다룬 세시풍속에 대한 내용은 조선에만 있는 유두 명절과 윷놀이와 석전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 제시를 하면서 조선 고유의 풍속에 대한 애정을 보였다. 하지만 주교․처용친다․단오창포 등에 대한 설명에서는 그것의 유래가 각기 중국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용이 약간씩 다르다는 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었다. 정동유의 이러한 인식은 매우 현실적이면서도 동시에 중국의 풍속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특히 단오 때 창포를 사용하는 연유가 도가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은 매우 적확한 논증이다. 복식과 음식의 풍속에 대해서는 정동유는 또 다른 입장을 보인다. 특히 복식에서는 조선시대 중인들의 사치에 대해서 맹렬하게 비판한다. 복제의 엄격함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던 당시의 현상을 제대로 간파한 결과였다. 음식에 대한 논증에서는 도소․외 [瓜]․고명 등과 같이 주로 명칭의 정확한 사용을 주장하였다. 특히 조선의 제물에 떡이 많은 이유를 명나라 황실의 명절음식과 관련시켜 논증한 부분은 지금의 입장에서도 매우 탁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역시 중국을 비롯하여 외국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하려고 했던 정동유의 지향에서 나온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주영편』에 담긴 정동유의 민속 관련 서술은 먼저 당대에 행해지고 있어야 그 서술의 대상이 되었다. 조선 민속의 맥락을 살피고, 만약에 필요하다면 중국과 외국의 사례를 살펴서 정확한 명칭의 사용과 개량의 필요성을 마음에 품고 있었다. 복식의 사치와 떡의 불교 유래설 등에 대해 분명한 비판이 바로 그것이다. 하지만 그것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본인이 가지고 있었다고 보이지는 않는다. 필자는 전근대 지식인이 지니고 있었던 한계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생각한다. 사실 정동유는 『주영편』에서 자신의 ‘넓으면서 깊이 있는 잡학’을 서술했다. 비록 양명학적 입장과 실증적인 연구태도, 그리고 개방적인 대외인식은 조성산이 정리한 정동유의 현실관과 다를 것이 없다. 다만 『주영편』의 풍속 관련 내용에만 집중해서 본다면, 언어․역사․과학에 대한 정동유의 해박한 지식과 외국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보다 객관적으로 조선의 세시풍속과 복식․음식의 풍속을 다루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특히 정동유는 자신이 살았던 당대의 사회문화적 현상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비판적인 입장을 각각의 항목에서 견지하고 있다. 이 점은 오늘날 한국 민속을 통시적으로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에게도 시사하는 점이다.

      • KCI등재

        金台俊의 『朝鮮小說史』, 그 意義와 限界

        장효현 우리어문학회 2009 우리어문연구 Vol.33 No.-

        History of Korean Novel by Kim-Taejun is the first book which is written in Korea. It is the magnificent work which is based on enormous books and documents. It accomplished exact investigation and proper interpret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book is various. It has a broad perspective of East Asian literature. It has a proper survey on author and formative period, and means of transcription, and textual genealogy. And it has a proper evaluation on valuable works. But this book has several limltations. It lacks recognition about Genre, and basis of classification about type of novel. It has an incorrect survey on author and formative period, and means of trans -criptiontran, and textual genealogy partially. And it has an improper evaluation on works partially. Seventy years have gone since History of Korean Novel was published. But whole history of Korean novel has not been written until now. This article surveys on significance and limltation of History of Korean Novel by Kim-Taejun in order to establish prospect of future. 김태준의 『조선소설사』는 최초의 소설사 저술임에도 불구하고 방대한 문헌을 섭렵한 바탕 위에 適實한 고증과 설명을 곁들인 勞作이다. 『조선소설사』의 내용이 갖는 의의는, 時代區分이 적절하며, 한글소설의 전개를 시대구분의 指標로 설정한 점. 많은 고전소설이 背景을 中國으로 설정한 것에 대한 적절한 해석이 이루어진 점. 동아시아 문학의 전체 구도 속에서 넓은 시야를 확보한 점. 작자와 형성시기, 표기 형태, 이본 계통에 대한 타당한 연구가 수행된 점. 가치 있는 작품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진 점 등을 들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문학계에 체계적인 학문연구방법이 도입된 草創期의 저작이라는 점에서, 소설에 대한 장르론적 認識이 缺如된 점. 類型 설정의 일관된 근거를 찾기 어려운 점. 평가가 과도하거나 오류를 보이는 부분이 있는 점. 작자와 형성 시기, 표기 형태, 이본 계통에 있어 부분적으로 오류가 나타난 점 등을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김태준의 『조선소설사』가 나온 이후 70년 넘게, 학계에서 고전소설 전반에 걸친 개별적인 연구는 확대되었으나, 아직 온전한 형태의 고전소설 通史는 나오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의 전망을 세우기 위해 김태준의 『조선소설사』가 지닌 의의와 한계를 세밀하게 짚어보았다.

      • KCI등재후보

        다산 『논어』주석의 고증적 성향 고찰 :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를 중심으로

        권문봉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8 No.-

        ‘DasanHak’(茶山學) is composed of the Knowledge of Confucion Classics as a fundamental study and the administrative study as an applied study. The administrative study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knowledge of Confucion Classics, which gives birth to democratic ethics. Therefore, the study of ‘ DasanHak’(茶山學) must be comprehended under the denominations of‘ The Basic Morals of The Four Books and The Six Classics’(六經四書). As for Dasan’s explanation of perfect virtue(Jen;仁), he regards perfect virtue as the social ethics which strives to materialize high human value, objecting to sub-jective idealism of Chuja. As for Chung and Suh, Chuja regards Chung as a positive activities practising perfect virtue and Shu as a negative activities, through a dualistic approach. Whereas Dasan sees them together, as united into a Two-in-One identity on the unitary view. He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the doctrine of ‘Su-ki Chi-in’(修己治人), which maybe considered the basic doctrine of reformed Confucionism. Consequently, he not only made a systematic reexamination and critique of Neo-Confucion thought in general but developed an original, alternative philosophical system including a metaphysics and ethics that revived the practical spirit of Classical Confucionism. Dasan’s Research Inclin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on is concerning Shilhak(實學) and Research(考證) Annotation.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