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교회의 신학 교육자 혜암 이장식 박사

        정일웅(Il-Ung Jung) 혜암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교회 Vol.13 No.-

        This article is written on the theme of “Dr. Chang Sik Hye-am Lee, the theological educator of the Korean Church,” congratulating the birthday of Dr. Chang Sik Lee, the current director of the Hye-am T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at the age of 100. In this article, I wrote based on Dr. Chang Sik Lee s faith, personality, and academic enthusiasm that I experienced while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of the Hye-am T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for the past 5 years, and based on his autobiography and self-introduction, which he has already written a long time ago. As a theological educator, Dr. Lee has been examined into seven topics. The sub-themes are as follows. First, theological education and calling as a theological educator, second, beginning as a theological educator at a Korean theological university, third, preparing qualities as a theological educator and studying abroad; New theological studies and doctoral degrees, sixth, theological educator s activities at Keimyung University and Hanshin University, and seventh, Kenya missionary and theological educator. Dr. Chang Sik Lee served as a theological educator in a seminary for 36 years. In addition to the four years of teaching at Keimyung University, he was entirely engaged in theological education at Hanshin University for the remaining 32 years. As soon as graduating from Hanshin University as the first graduating class, he began to teach the theology as a lecturer while working in the administration of academic affairs at the seminary. The important mind that Dr. Lee showed as a theological educator was revealed when he taught at Hanshin University. Although it was stated as a theological education goal that education is based on the ideology of academic and godliness, the early Hanshin University taught only many academic knowledge of difficult theological thoughts to students, but not a practical theological knowledge regarding the godliness and pastoral practice. He pointed out these problems and made great efforts to improve them. In particular, efforts to clarify the theological identity of the school as a denomination belongs to Presbyterian Church through lectures related to the history of the Presbyterian Church and confession of faith shows his identity as a theological educator. In addition, when he was in charge of the office of the Academic Affairs Office, he was not only responsible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academy, but also played a role in the training of godliness for students. For example, he encouraged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hapel and the early morning prayer meeting in the dormitory, and trained their honesty by conducting the exam without proctor supervision. Especially, studying his Ph.D. dissertation at Aquinas Theological Seminary, which is a well-known Catholic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shows how broad the horizon of his scholarship in history theology is. Not only did he study Luther s theology as the history of Protestantism, but also Calvin s theology as Presbyterian theology. In addition, through studying the theology of the Catholic Church, he gained insights to contribute to today s so-called Ecumenic theology. Dr. Lee is a great theological educator with the qualities and abilities of the entire Korean Church as well as at Hanshin University. In particular, Dr. Chang Sik Lee always felt sorry for the appearance of the Korean church, which was divided into progress and conservatives despite his age of middle 90s five years ago and founded the Hye-am T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where he invited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theologians from the Korean church to have a theological dialogue and write a thesis through research. It is the fact that Dr. Chang Sik Lee, who has led these things, is not showing the role of a theological educator in a seminary, but a theological educator of the entire Korean church. 이 글은 현재 혜암신학연구소의 소장이신 이장식 박사님의 100세를 맞으신 생일을 축하하며, 기리는 마음으로, “한국교회의 신학 교육자 혜암 이장식 박사”라는 주제로 작성되었다. 이 글에서 필자는 지난 5년 동안 혜암신학연구소의 활동에 참여하면서 경험한 이장식 박사님의 신앙과 인품과 학문적인 열정을 근거로 그리고 그가 이미 오래전에 집필한 자서전과 자기소개서에 근거하여 한국교회의 신학 교육자로서 이 박사님을 일곱 가지 주제로 정리하였다. 기본적인 소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학교육과 신학 교육자로서의 부르심, 둘째, 한국신학대학에서의 신학교육자로서의 시작, 셋째, 신학 교육자로서의 자질준비와 유학생활, 넷째, 한국신학대학의 교육이념실현과 신학 교수로서의 활동, 다섯째, 새로운 신학연구와 박사학위, 여섯째, 계명대학과 한신대학에서의 신학 교육자의 활동, 일곱째, 케냐의 선교사와 신학 교육자로서의 활동 등이다. 이장식 박사는 총 36년간 신학교에서 신학 교육자의 역할을 감당하였다. 그리고 계명대학에서의 교수 생활 4년을 빼고, 나머지 32년간은 전적으로 한신대학에서 신학교육에 참여하게 되었다. 한신대학을 제1회로 졸업하자마자, 신학대학에서 교무행정을 보며, 강사로 신학을 가르친 것에서 시작한다. 이장식 박사님이 신학교육자로서 보여준 중요한 정신은, 특히 한신대학에서 가르칠 때, 학문과 경건이란 이념으로 교육한다는 것을 신학교육 목표로 명시해 놓았지만, 초기의 한신대학은 어려운 신학 사상의 학문적인 정보를 학생들에게 많이 가르치고, 실제 경건에 관한 신학 정보와 목회 실천에 도움이 되는 실천신학에 관한 것들을 많이 가르치지 못했던 것을 지적하였고, 그것을 개선하려고 수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점이다. 특히 한신대학교가 기독교장로회에 속한 교단으로서 장로교회의 역사와 신앙고백에 관련된 강의를 통해서 장로교회의 신학 정체성을 분명히 하려고 한 노력은 신학교육자의 모습이 분명하였던 것으로 이겨진다. 그리고 교무처장의 직분을 맡았을 때도, 교무행정만 책임진 것이 아니라, 역시 학생들의 경건 훈련에도 역할을 잘 감당하게 되었는데, 예를 들면 신학생들의 채플 참여와 기숙사에서 신학생들의 새벽기도회 참여를 직접 독려한 일, 그리고 무시험 감독으로 신학생들의 정직한 경건을 훈련시킨 일 등에서라고 할 것이다. 역시 이 박사님은 학위 과정에서도 교회 역사에 관한 부분을 주 전공으로 삼았으며, 특히 박사학위 논문으로는 미국에 가톨릭에 속한 대학으로 이름나 있는 아퀴나스 신학교에서 공부한 것은 그의 역사신학의 학문이 얼마나 넓은 지평을 가진 것인지를 느껴보게 된다. 물론 프로테스탄트의 역사로서 루터의 신학을 공부했을 뿐 아니라, 특히 장로교회의 신학으로 칼빈의 신학을 연구하였고, 가톨릭교회의 신학까지 연구한 것은 오늘의 소위 에큐메닉의 신학에 기여하는 통찰을 갖게 되었으며, 역시 이장식 박사님은 한신대학에서의 신학교육뿐 아니라, 한국교회 전체의 신학 교육자의 자질과 능력을 가진 위대한 신학 교육자였음을 생각하게 된다. 특히 이장식 박사님은 5년 전 구순 중반의 연세에도 불구하고 진보와 보수로 분열하여 대립하고 있는 한국교회의 상황을 안타깝게 여기고, 뜻을 같이하는 진보와 보수 신학자들을 혜암신학연구소를 설립하여 그 곳에 모으시고, 대화하며, 신학의 학문을 계속 연구하게 하며, 신학학술지(「신학과 교회」)의 출판을 통하여 오늘날까지 한국교회의 신학을 대변해 온 것은 그가 한 신학교의 신학 교육자가 아니라, 이제는 한국교회 전체의 신학 교육자로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이제 한국교회는 이장식 박사님의 100세를 맞으신 날을 기념하며, 일생을 통하여 보여준 한국교회의 신학 교육자로서의 모습을 오래 기억하게 되리라 확신한다.

      • KCI등재

        신학의 실천성과 교회교육의 회복을 위한 제언 -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중심으로 -

        서미경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4 생명과 말씀 Vol.38 No.1

        현대 한국 교회의 근본적인 위기는 신학과 교회교육의 위기이다. 신학은 학문화되어 교회교육 현장을 섬기지 못하고, 교회교육은 신앙과 삶이 분리된 학교교육 패러다임을 답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교육의 회복을 위해 신학의 실천성과신학의 변화를 조망하고,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실천성과 교회교육의 체계를 위한 기본원리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다. 첫째, 교회의 근거가 되는 ‘신학’에대한 이해와 신학의 실천성과 목적 그리고 신학의 변화와 교회교육을 논하였다. 기독교 신학은 이론적이면서 실천적인 것으로써이론과 실천이 하나가 된 “경건에 따른 진리의 지식”이다. 하지만 신학의 세계에서 전통적인 신앙고백이 사라지자, 교육적인 기능도 상실하게 되었고, 기독교적인 실천적 진지함을 제거해 버렸다. 둘째, 신학의 실천성의 근원이 되는 기독교 신앙에 대한 이해와 거룩한 삶을 위한 개혁교회의 진리와 경건에 대해 논하였다. 신앙은 ‘거룩한 생명’이며, 본질상 실천적인 것이고, 참된 신앙은능력이다. 이러한 신앙에서부터 신앙고백적인 경건한 삶이 나오고, 그것이 신학의 실천성의 근원이 된다. 셋째, 교회교육 회복을위해 교회를 섬기는 신학의 회복과 실천을 주장하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을 근거로 하여 교회교육의 체계를 위한 기본원리를 제언하였다. The fundamental crisis of the modern Korean church is the crisis of theology and church education. In other words, theology has become academic thereby cannot serve church education field, and church education only imitate the school education paradigm because faith and life are separa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both the practicality of theology and changes in theology for restoration of church education, and to propose basic principles for the practice of Reformed Life Theology and the system of church education. This research i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this research discusses regarding the understanding of ‘theology’ which is the basis of the church, the practice and purpose of theology, changes in theology, and church education. Christian theology i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nd is “knowledge of the truth according to godliness” in which theory and practice become one. However, as the traditional confession of faith disappeared from the world of theology, its educational function became lost, and Christian practical seriousness was removed. Second, this research discusses the understanding of Christian faith which is the source of the practicality of theology, and the truth and piety of the Reformed Church for a holy life. Faith is ‘holy life’ and is practical in nature, and true faith has power. From this faith confessional and pious life is shaped which becomes the source of the practicality of theology. Third, in order to restore church education, this research proposes basic principles for the church education system based on Reformed Life Theology which advocates the recovery and practice of theology that serves the church.

      • KCI등재

        현실을 통해서 본 청소년 교육의 교육적 근거와 과제

        이정관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2

        본 연구는 위기에 직면해 있는 청소년 교육 현실에 대하여 교육적 근거를 성경, 신학적으로 현실에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에서 대안들을 제시하려고 한다. 기독교교육이란 청소년들을 그들의 현재 위치로부터 세계를 볼 수 있는 위치로 인도하는, 즉 청소년들의 정신적, 육체적 차원을 포함하여 보다 정확한 삶의 길로 이끌어내는 과정으로 기독교교육은 성경말씀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리고 성경 말씀은 기독교 교육의 판단 기준을 제공한다. 즉, 성경말씀은 하나님에 대하여, 또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에 대하여 진리의 유일한 원전이므로, 성경말씀에 근거할 때 올바른 청소년교육 틀을 제공한다. 그리고 올바른 기독교교육이 되려면 교육이 올바르고 확고한 신학의 기초위에 세워져야한다. 다시 말해서 기독교교육이 어떤 신학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교육철학이 달라질 뿐 아니라 교육의 내용과 방법, 평가 등 그 방향이 결정된다. 또한 신학의 도움이 없이는 올바른 청소년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을 형성하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직면하고 있는 청소년 교육위기에 대하여 성경신학적인 면에서 현실적인 교육적 근거와 대안을 제시할 것이다. 왜냐하면 청소년교육에 대한 성경신학적인 관점에서의 정립은 현대 청소년교육의 위기에 대처할 수 있으며, 현 시대의 어려운 질문에 대한 대처를 제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을 위하여 먼저, 청소년 교육을 성경적인 관점에서 살펴볼 것이다. 그 다음으로 교육철학에 기준이 되는 신학적인 점들을 통하여 청소년 교육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교육 신학자들의 교육적 과제들을 제시할 것이다. 끝으로 현실을 통해서 본 교육적 과제들을 성경 신학적인 측면과 현실적인 문제들에 대한 과제들을 제시 할 것이다. This study is formulated to suggest altern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based on the Bible and theological reality that can cope with the new realities and crisis faced in youth education. To elicit a more precise way of life, Christian education can provide a guide for youth to see the world from their current standing in life realizing that mental and physical aspects in life are very closely related to the Bible. The Bible is the criterion of Christian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message of the Bible is of the truth about Go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and that the scripture is the only basis of truth in which proper youth education must find its framework. For proper Christian education, a firm theological foundation must be built. In other words, the specific theology of Christian education becomes the philosophy of education, as well as determining the contents, methods, assessment and the direction of that education. Without the guidance of the theology, the goals, contents and methods of proper youth education cannot be formed. Accordingly, this study will confront the current crisis facing youth education and provide realistic alternative educational rationale and biblical theology for youth education. Youth education in which a biblical theological perspective is included can provide a way to cope with the crisis of youth education and the difficult questions of the current era. To this end, this study will first examine youth education from a biblical perspective. Then the theological points that are the basis of the philosophy of youth education will be explored. The challenges for theologian educators in education will be presented. Finally, educational challenges will be presented through examination of current reality based on theological aspects and current problematic conditions. This study will define the current crisis in youth education and suggest a new direction for its formulation and application.

      • 경건을 형성하는 신학교육 : 한국 장로교 신학교육과정의 인식변화를 위한 제안

        조성국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6 고신신학 Vol.- No.8

        한국 신학교육논의는 그 동안 신학의 성격과 시대적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하였을 뿐 신학교육의 본질적 구조에 대한 논의에 이르지 못했다. 그 결과 신학교육 분석과 평가의 카테고리는 경건과 학문, 이론과 실천, 신앙과 학문, 신학과 목회 등 본성적 갈등을 전제하는 이원론적 도식에 근거한 균형 추구였다. 개혁신학은 경건의 학문이므로 통전적이며, 신학교육은 경건을 형성하는 활동으로서 목표지향적인 교육활동이므로 신학교육은 기독교 교육학적 관점과 과목(신학)교육학적 관점에서 그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신학대학원의 신학교육은 교회와 목회의 패러다임에 맞춘 것이어야 하고, 경건의 형성으로부터 시작하여 경건을 형성하는 능력에 이르는, 학생의 형성과 구성에 맞춘 순서를 따르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신학교육과정에서 기초교육에 대한 몰입교육으로 시작하여 목회활동의 전문성을 구비시키는 일로 일관성 있게 심화, 확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신학대학원 중심 내지 신학대학원 독점의 신학교육으로는 신학교육의 목표달성이 불가능하고 비효율적이다. 신학교육은 신학대학, 신학대학원, 특수대학원, (일반)대학원 등 모든 과정의 목표와 기능을 인정하고 잘 활용할 때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교지도자에게 요구되는 자기탐구와 전문사역의 교육은 신학대학원 3년 만에 완성될 수 없기 때문이다. Many discussions on Korean theology education have usually reflected on the character of theology and contemporary paradigms, not on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heology education. The category of analysis and estimation on theology education has aimed at the balance of polarized dualistic norms, that is, piety and learning, theory and practice, faith and learning , and theology and ministry, which are based on conflict or tension. Theology in Reformed tradition is a holistic learning of piety, and theology education is a goal-oriented educational activity for the forming of the piety. Therefore theology education can be effective to the fulfillment of educational goals, in the case that the curriculum is designed from the perspectives of Christian education and subject(theology) education. Seminary education must be coherently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paradigm of church and ministry. The procedure of curriculum must be also made in accordance with inner forming order of student's mentality and professional capacity. Concentrated teaching of fundamental subjects must be followed by equipment of ministry profession. Theology education exclusively focused on seminary education can not be effective to fulfill the ideal educational goals. Theology education will be most effective in the case that teachers of theology schools make use of all the other undergraduate and graduate courses as well as seminary course. Three year theology education can not be enough for self-investigation and ministry profession of promising religion leaders.

      • KCI등재

        한국 개신교 목회자 양성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정근 한국기독교학회 2024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32 No.-

        국내 신학교는 초대와 중세 시대 신학교육의 특성을 잇고, 종교개혁 시기형성된 개신교 신학교육의 전통을 계승하며, 북미 세미너리의 신학교육의 강조점을 수용 발전시키는 종합적인 신학교육과 성직자 양성제도를 모색하고있다. 구체적으로 신학교는 사중 양식의 신학교육, 개인의 영성과 인성형성, 목회 현장과의 연계성을 위한 목회실습의 교육과정을 통해 신학생을 훈련시키고 있다. 그럼에도 신학교육을 위한 개선의 목소리는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고, 교회는 전문성을 갖추고 체계적으로 훈련된 목회자를 원하고 있다. 지금의3년 신학대학원 과정으로는 교회 역사에서 축적된 다양한 신학적 학문과 목회실습을 소화해 낼 수 없다는 것에서 그 하나의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본고의 방향성은 신대원 3년 신학교육의 비효율성의 문제 제기와 함께 개신교목회자 양성을 위한 전문 신학 수업과 목회실습이 구분된 이원화 과정과 목회자가 된 이후의 목회자계속교육과정을 포괄하는 ‘신학 수업, 목회실습, 목회자계속교육’의 삼 단계 과정의 필요성 그리고 신학생, 목사 후보생, 목회자의 전반적인 신학교육을 담은 로드맵 제시의 필요성에 있다. Korean seminaries seek a comprehensive theological education and clergy training system that continues the characteristics of theo- logical education in the early and medieval eras, which inherits the tradition of Protestant theological education formed during the Reformation, and embraces and develops the emphasis of theological education in North American seminaries. Specifically, the seminary trains theology students through a curriculum of fourfold patterns theological education, personal spirituality, character formation, and pastoral practice for connection with the pastoral field. Nevertheless, calls for improvement in theological education continue, and the church wants pastors who are professional and systematically trained. One reason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 current three-year theo- logical graduate school program cannot include the various theo- logical studies and pastoral practices accumulated throughout church history.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is paper is to raise the issue of the inefficiency of the three-year seminary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dualizing professional theological classes and pastoral practice. Furthermore, this paper emphasizes the need for a three-stage process of ‘theological classes, pastoral practice, and continuing education for pastors’ that includes theological education after ordination.

      •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교육신학적 의미와 교회교육

        주정관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4

        오늘의 한국교회는 한국 사회에서 좋지 못한 평판을 듣고 있다. 그 주된 이유는 기독교인들의 올바르지 못한 행동양식들 때문이며, 보다 더 본질적으로 그들을 가르치는 교회의 지도자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교회의 지도자들 중 가운데 교사가 참으로 중요한 영적 지도자임을 인지하고 이들의 주 무대인 교회학교의 새로운 변화와 도약이 절실히 필요함을 주장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교육신학적 의미를 살펴보고 교회교육을 구조로서 또한 과정으로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오늘 한국에서의 교회와 더불어서 교회학교가 쇠퇴하는 오늘날의 현 상황에 대한 현상학적 측면과 더불어서 보다 본질적 측면에 있어서 신학의 영향과 결과임을 주장한다. 또한 신학의 진정한 의미와 더불어서 이 시대에 절실하게 필요하게 느껴지는 신학의 다양성을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를 통해서 살펴보았고, 교회의 연합운동의 기초가 되는 신학의 수용성을 논의하였다. 이와 더불어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교육신학적 의미를 살펴보되, 개혁주의생명교육신학 구조로서의 영생과 생명구원과 더불어서 개혁주의생명교육신학 과정으로서의 교회교육을 논의한다. 또한 “앎”을 강조하는 이론적 교육중심의 교회교육과 더불어서 “삶”을 강조하는 신앙교육공동체인 교회교육을 통하여 “이론화 된 신학”중심이 아닌 “복음과 생명으로서의 신학” 중심의 교회교육에 관하여 논의 하였다. Today Korean churches are listening to the outcries that point to the deterioration of their reputation in Korea. The main reason for this is the improper behavior of Christians, even the very church leaders who teach lay Christians. This paper asserts the urgent need for change and a new movment in the ministry of teachers among the church leaders as they truly are important spiritual leaders of the church and its educational system. Thus this paper studies the meaning of the "Reformed Life Educational Theology"'s and tries to understand the church education as structure and process. This paper insists that the current circumstance of churches and church schools are mainly the result of theology, and examines the necessity of theological diversity, which is needed for Korean churches and church educational system as well, by comparing Calvinism and Arminiaism and also, looks at the importance of theological receptivity which is the basis for the movement towards effective church union and collaboration. This paper also studies not only the meaning of the educational theology of Reformed Life Theology but also church education as the process of Reformed Life Theology, and eternal life and salvation life as essential to the structure of Reformed Life Theology. Finally, this paper studies church education, which is not only based on theology which is just theory centered, but based on theology which is Gospel and Life centered, through 7 practical movements essential to Reformed Life Theology in pursuit of a faith education community that emphasizes “real life(삶)” instead of church education that has the tendency to emphasize theoretical “knowledge(앎).”

      • KCI등재

        영적식별과 기독교 교육적 적용

        채혁수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2

        영적식별(spiritual discernment)은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뜻을 아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기에 기독교 역사상 많은 신앙의 구도자 들이 성경의 말씀과 성령님의 인도하심에 따라 깊은 신학적 독서와 기도를 통해 이를 구해 왔다.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는 그 어느 때보다 푯대를 찾기 힘든 시 대이다. 많은 현대인들이 그들 삶의 이정표를 발견하지 못해 세상의 흐름과 풍조에 자신의 삶을 맡기며 방황하고 있다. 신앙인들 또한 물질주의와 세속주의적 세계관 속 의 고도의 기술력으로 급변하는 세계에서 더더욱 하나님의 뜻을 구하며 살기 어려워 하고 있다. 이러한 물질로 바탕을 삼은 첨단화시대에, 현대인들이 영적인 것에 더욱 관심을 가지며, 신학계에서도 영성신학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을 것이다. 물질로는 영적인 갈급함이 채워 지지 않기 때문이다. 혼탁해지고 어두워져 가는 이 세상 속에서 우리는 무엇을 기준삼아, 살아가야 할까? 교회는 침묵하시는 하나님 앞 에서 어떻게 그분의 뜻을 구할 수 있을까? 성경과 교회전통에 자신의 삶을 비추어 참 인지를 검증하는 과정이 삶의 신학화(神學化)라면, 이러한 신학을 현장에서 구현하여, 이론을 삶으로 살아내는 것이 실천신학이다. 그러면 실천신학으로서 기독교 교육은 교회의 위대한 전통인 영적식별을 어떻게 교회현장과 신학교에서 담아내고 있는가? 영성과 기독교 교육사이에서 그 적용점을 낳아야 하는 영성교육은 과연 이러한 하나님의 뜻 분별이라는 과제 앞에 어떻게 응답하고 있는가? 본고는 이러한 질문에 답하 는 영적식별에 대한 기독교 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먼저 다음 장인 II장에서는 영적식별에 대한 용어적 정의와 성경에서 쓰인 용례를 통해 교회현장에 있어서의 영적식별의 필요를 살펴 볼 것이다. III장에서는 성서신학, 교회사, 실천신학에서의 영적식별의 신학적 흐 름들을 짚어볼 것이다. 이러한 신학적 기저를 바탕으로 IV장에서는 전제, 기준과 단 계, 규범 등의 영적식별의 실제를 알아볼 것이다. 결론격인 V장에서는 이러한 영적 식별의 기독교 교육적 적용점들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Spiritual discernment" is to seek God's will. However, it is not so easy. Thus, by following God's Word and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many seekers have found God's will through theological readings and prayers throughout Christian history. Modern man lives in a time where, more than any other time in history, it is difficult to find a sign post. Many people today are wandering aimlessly and simply going with the tide because they are not finding any of life’s milestones. Believers, too, find it difficult to discover God’s will in this materialistic, secularized, and rapidly changing, high-tech world. For this reason, it has never been more important for modern people to pay careful attention to the spiritual concern; and for theologians, the spiritual theology. There is an undying spiritual thirst. In this secular world, what are we to follow and live by? How is the church to find God's will in His silence? Then, how does Christian education, as a practical theology, contain spiritual education, as a great church tradition, in the fields of local churches and seminaries? What is the response of the spiritual education which should give birth to Christian educational application between theology and praxis? This study is a Christian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e spiritual discernment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struct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I will explore the need of spiritual discernment in the fields through the terminological definition and examples of the Bible. Chapter III will examine the theological streams in the biblical theology, church history, and practical theology concerning spiritual education. Based on these analyses, chapter IV will find practice of the spiritual education such as premises, criteria, stages, and rules. Chapter V will try to apply these theories about spiritual discernment to Christian education.

      • KCI등재

        신학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한 신학대학 교육과정 운영 만족도 분석 연구

        남선우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4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77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신학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해 현장에서 신학교육과정을 경험하고 있는 학습자의 입장에서 신학대학 교육과정 운영 만족도를 조사했다. 이를 통해 현재 신학교육과정의 반성적 성찰과 교회와 사회 속에 영향력 있는 신학교육과정 재구조화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현재 신학대학의 학부와 신학대학원, 신학석사, 신학박사 과정에 재학 중인 학습자 80명을 대상으로 현재 신학교육과정 만족도 분석을 위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를 발전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설문 참여자 중 무작위로 6인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했다. 설문결과 첫째, 현재 신학교육과정 만족도는 60%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목회 실천적 교육의 필요성 인식은 77.5%인데 반해 현재 신학교육과정에서 목회 실천적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45.5%로 필요성을 인식한 비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 신학교육과정이 미래 사회를 위한 목회역량을 키울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73.7%가 부정적인 응답을 했다. 마지막으로 신학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해 시급하게 변화되어야 할 것에는 신학교육내용, 신학교육방법, 신학교육목적 순으로 조사됐다. 결론 및 제언 : 대전환의 시대 속에 우리 사회는 빠르게 변하고 있다. 변화의 물결 앞에 신학교육과정도 새로운 시대에 걸맞는 변화가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신학교육과정은 이론 중심의 지식 전달에 초점을 맞춰 왔다. 그러나 새로운 시대의 신학교육은 대전환 시대 속에서 교회와 목회자가 역동적으로 살아낼 수 있는 목회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학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목회 현장과 맥랑성을 가질 수 있는 신학교육과정으로 재구조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 중심의 교육과정과 방법론에서 다양한 목회 문제적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성주의 기반의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교수학습방법과 대전환 시대 속에 변화되는 목회 현장에 적극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실천중심적 신학교윢과정의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Research Objective :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ological university curricula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ers experiencing the theologic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field. The goal is to provide a basis for reflective introspection on the current theolog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for restructuring it to have influential impacts within the church and society. Content and Methodology : A survey was conducted with 80 learners currently enrolled in undergraduate, graduate,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at a theological university to analyze satisfaction with current theological education programs. To interpret the survey results progressive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randomly selected group of 6 participants. Survey Results : First, the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theological education programs was found to be 60%, indicating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Second, while 77.5% recognized the need for practical pastoral education, only 45.5% reported that practical pastoral education is currently provided in theological education programs, indicating a lower percentage than the perceived need. Third, 73.7% responded negatively regarding whether the current theological education programs can enhance pastoral competence for future society. Lastly, the areas identified as urgently requiring change for the restructuring of theological education programs were theological education content, methodology, and objectives, in that order.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 In an era of great transformation, our society is changing rapidly. In the face of this wave of change, the theological education curriculum also requires adaptation to suit the new era. Traditional theological education courses have primarily focused on imparting theory-centered knowledge. However, theological education in the new era necessitates a curriculum that enhances the pastoral capacity of churches and pastors to dynamically navigate through this era of significant transition. To achieve this, it is imperative to restructure the curriculum to one that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pastoral field. This involves offering a variety of constructivist-based,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ithin a theory-centered curriculum and methodology. Additionally, it entails establishing a practice-oriented theological school that can actively address the evolving pastoral landscape in this era of great transition. Restructuring of the process is essential to meet these goals.

      • KCI등재

        미학(美學)과 기독교교육에 관한 연구: 신학적 미학의 ‘방법론적 유비(methodological analogy)’를 중심으로

        채혁수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7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5

        This thesis is a study of aesthetics and Christian education.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esthetics as a thoughtful conception and Christian education as a practical theology, I will offer suggestions for fields of local churches as a methodological analogy based upon Maria Harris's aesthetic approaches. If Karl Barth's "Analogy of Faith" to recognize God's goodness comes from "the Analogy of Being" of the Middle Ages, I think that the fields of theological aesthetics are extended even to the practical theology by methodological approach of Richard Viladesau through "the Analogy of Being," which is renewed by Hans Urs von Balthasar. Therefore, this thesis will try "methodological analogy" through the approach of Christian education as a practical theology.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components. In chapter I, as the introduction, I will explain the outline of the study. In the next chapter, I will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s and Christianity. This chapter will consist of two sections. First, I will find the introductional understanding of aesthetics. Second, I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s and Christianity in more detail. Chapter III will explore the understanding of beauty in theology. There I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s and theology; biblical theology, church history, systematic theology in more detail. In chapter IV, based on the research above, I will find the point of application of the theological aesthetics for practical the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Chapter V will explore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aesthetic approach with Maria Harris's theory. And in chapter VI, as the last chapter, offering several suggestions for the future Christian education, I will close this study. The Father God heard His people's groaning and cried out, often sent his servants, and finally, He became a human being, Son of God. And he also sent the helper, The Holy Spirit. If the Triune God's incarnation is the methodological analogy of His expression of love, Christian education would be the incarnation of theology as subject matters which are messages and doctrines of Gospel that can apply and express to the context through this methodological analogy. Aesthetics of Christian education should give spiritual challenges to Christian teachers, extend the scope of curriculum, broaden the fields of education through mystery, connect between knowing and living methodologically, and let us admit the praxis deeply. In this way, with aesthetics approach, Christian education can enjoy the richness with incarnation of faith and theology to the praxis. 본고는 미학적 신학과 기독교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개념적 사유인 미학과 실천신학의 기독교교육과의 관계들을 탐구해 보며, 방법론적 유비(methodological analogy)로써 교회현장을 위한 적용점을 마리아 해리스(Maria Harris)의 미학적 접근에 근거하여 살펴보고 앞으로의 제언을 시도하려 한다. 하나님의 선하고 아름다우심에 대한 인식이 중세의 존재유비에서 비롯되어 칼 바르트(Karl Barth)가 말하는 믿음을 필요로 하는 신앙유비로 이해되었다면, 다시 한스 발타살(Hans Urs von Balthasar)에 의해 부활한 존재유비를 통해 신학적 미학이 리차드 빌라데서(Richard Viladesau)의 방법론적 접근으로 말미암아 그 장이 실천신학으로 확장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는 미학에 대한 실천신학의 한 분야인 기독교 교육적 접근을 통해 신학적 미학의 방법론적 유비를 시도해 보려는 것이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I장인 서론에서 이 연구의 개요를 설명하고, 다음 장인 II장에서는 미학과 기독교와의 관계를 살펴 볼 것이다. 미학에 대한 개론적 이해를 먼저 알아보고, 미학과 기독교와의 관계들을 보다 깊이 연구해 볼 것이다. 또한 III장에서는 신학 속 미에 대한 이해를 살펴 볼 것이다. 성서신학, 교회사, 조직신학과 미학과의 관계를 통해 신학적 미학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분석해 볼 것이다. IV장에서는 위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신학적 미학의 실천신학, 기독교교육에서의 적용점을 찾아보려 한다. 특별히 V장에서는 마리아 해리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심미적 접근들의 교육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들을 알아보고 마지막 VI장은 미래를 위한 기독교교육적 제언들로 연구를 마무리 할 것이다. 부르짖는 기도와 탄식을 들으시고, 그의 종들을 보내시던 성부 하나님께서는, 결국 인간의 몸을 입으시고 오신, 그리고 돕는 성령님을 주신, 삼위일체 하나님의 성육신의 사건이 하나님의 사랑의 표현의 방법론적 유비라면, 기독교교육은 이 방법론적 유비를 통해 그 복음의 메시지와 교리를 상황가운데 적용시키고 표현하는 소재인 신학의 성육화이다. 기독교교육에서 미학은 기독교사에게 영적인 도전을 주며,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신비를 매개로 교육의 장을 넓히며, 방법론적으로 앎과 삶을 연결하여 프락시스(praxis) 속에 깊이 들어오게 한다. 이처럼 미학적 접근을 통해 기독교교육은 신앙과 신학의 삶과 현장으로의 성육화라는 풍성함을 누릴 수 있는 것이다.

      • 특집 : 장로교회의 평화 이해 ; 한국 장로교회 목회자 양성 원리와 신학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정일웅 ( Il Ung Chung ) 한국장로교신학회 2010 장로교회와 신학 Vol.7 No.-

        목회자 양성을 위한 신학 교육을 어떻게 실천하는 것이 이 시대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 될 것이며, 특별히 장로교회 신학교들이 신학 교육을 어떻게 개선하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지를 교육 신학의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논의의 초점은 크게 세 가지라고 볼 수 있다. 첫째, 장로교회의 목회자 양성 교육의 전제 조건에 대한 것이다. 장로교회 목회자 양성 교육의 전제인 인문 교육에 대한 요구가 무너지고 있는 현실에서 목회자들의 인문 교육 부재 현상은 한국 교회의 목회자의 질을 하락시키고 한국 교회 내 이단들이 공생하는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판단되어 신학 교육의 전제 조건인 인문학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목회자 양성을 위한 신학 교육의 3단계 과정 신설 적용에 관한 논의로, 1단계는 신학의 학문(이론)적 토대를 놓는 신대원의 신학 교육 과정이며, 2단계는 강도(설교)사의 목회 실습과 훈련 과정이며, 3단계는 목사의 계속 교육 과정을 언급하였다. 셋째, 신학 교육 과정의 개선에 대한 몇 가지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principles of the pastoral educat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ology from a pedagogical perspective. For that purpose, I discussed three points. First is the presupposition of pastoral education. Even though liberal arts should be emphasized as the primary subjects for the pastoral education, current curriculum are tend to neglect that point. As the result of that our church experiences degrading of the quality of pastors. Therefore, I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as the foundation of pastoral education. Second, I propose the three steps of theological education. First step is the theology education in the seminary as academic foundation of future ministry. Second step is practical training period in the church before ordination. Last step is the continuing education of pastors. In the last parts of the paper I proposed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ological curriculum of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