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체화 장애 환자의 해리 증상

        김성환,최병무,김윤원,한홍무,Kim, Seong-Hwan,Choe, Byeong-Moo,Kim, Yoon-Won,Hahn, Hong-Moo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9 정신신체의학 Vol.7 No.1

        배경 및 목적 : 신체화 장애의 병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우울증, 감정표현불능증, 심리적 문제에 대한 미숙한 방어기제로 다양한 신체 증상으로의 신체화, 그리고 사회문화적 영향 등의 결과로 신체화가 생긴다는 이론 등이 있어 왔으나, 이런 이론들만으로 신체화의 기전을 완전히 설명할 수 없으며, 해리의 기전이 일부 작용하는 것으로 최근 국외의 연구들에서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화 장애를 나타내는 환자에서 실제로 어느 정도 해리가 정신병리적으로 작용하는지를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신체화 장애 환자에서의 성적, 신체적 학대 또는 신체 증상과 우울증과의 관련성도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다수의 신체 증상을 호소하는 52명의 환자 중에서 DSM-IV의 선체화 장애의 진단 범주를 만족하는 25 명의 환자군과 부산 일 지역에 거주하는 51 명의 일반인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양 군에게 한국어판 해리경험척도(Dissociative Experiences Scale-Korean Version)와 해리장애면담양식(Dissociative Disorders Interview Schedule ; 이하 DDIS)을 시행하였다. DDIS의 문항 중에 신체화 장애 설문지는 4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신체화 장애 환자를 선별하였다. DDIS의 학대에 대한 문항 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혹은 성적 학대 여부만을 선택하였다. 양 군간에 연령, 성별, 결혼 상태, 종교 유무 및 교육 연한 등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과 : 신체화 장애 환자군이 일반 대상군에 비해 DES-K 총점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한국인의 신체화 장애 환자군에서도 일반 대상군에 비해 해리장애의 유병율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신체화 장애 환자군이 일반 대상군에 비해 소아기 학대의 과거 병력이 높게 나타났다. 신체화 장애 환자군에서 신체화 장애와는 인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추정되는 주요 우울 장애의 동반 유병율이 높았다. 결론 : 신체화장애 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해리 경향이 높고, 소아기 학대의 경험이 비교적 많으며, 또한 동반된 우울 장애의 유병율이 높게 나타났다. 한국인의 신체화 장애에서도 해리 경향은 이 장애에 흔히 동반되는 증상이며, 신체 증상의 발생 기전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신체화 장애 환자에서 소아기학대의 병력을 알아 볼 필요가 있으며, 해리장애의 이중 진단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Objectives : The authors attempted to assess how much the mechanism of dissociation affects somatization disorder patients psychopathologically,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or physical abuse and somatic symptoms in somatization disorder patients. Methods : The authors administered the Dissociative Experiences Scales-Korean version(DESK) and Dissociative Disorders Interview Schedule to 25 patients with somatization disorder and 51 normal subjects.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emographic differences between patient and control groups. The mean score of DES-K for patient group was 18.2, and 10.0 for the control group. The percentage of the individuals with high scores(20 and over) was 36.0 in the patient group and 7.8 in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the individuals with sexual and/or physical abuse was 16.0 in the patient group and zero in the control group. Our results showed that DES-K scores were not influenced by the factor of age or religion in either group, but the scores of the patients with somatization disord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subjects. Conclusion : There was an implication that the mechanism of dissociation affects issues of psychopathogenesis and psychopathology in Korean patients with somatization disorder, even though they have different sociocultural backgrounds in comparison to Western patients. The authors suggest it is useful to focus attention on childhood abuse and dissociation in the evaluation and dynamic psychotherapy of patients with somatization disorder.

      • 우울증 환자에서 신체화 증상에 따른 질병행동의 차이

        윤창영,장세헌,제영묘,이대수,최진혁,Yoon, Chang-Young,Jang, Se-Heon,Jae, Young-Myo,Lee, Dae-Su,Choi, Jin-Hyuk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9 정신신체의학 Vol.17 No.2

        연구목적 : 질병행동은 건강 상태 또는 그에 상응하는 증상을 지각, 평가, 반응하는 적응적/비적응적 방식을 의미한다. 인지치료적인 측면에서 볼 때, 신체화 증상은 신체 지각적 측면에서 증상을 지각, 평가, 반응할 때 확대나 증폭과 같은 왜곡이 일어나 생긴다고 설명된다. 즉, 신체화를 질병행동의 이상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화 우울증군과 비신체화 우울증군 간의 질병행동을 비교하여 우울증 환자에서 보이는 신체화와 관련된 질병행동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ICD-10의 진단 기준으로 진단된 우울증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한국형우울증척도(Korean Depression Scale)를 이용하여 신체화 우울증군과 비신체화 우울증군을 나누었으며, 두 집단에서의 질병행동의 차이점을 질병행동질문지(Illness Behavior Questionnaire)를 통해 비교하였다. 결과 : 신체화 우울증군은 비신체화 우울증군에 비해 질병확신 하위척도($6.79{\pm}2.08$ vs $4.76{\pm}2.23$, p=0.003)와 부인 하위척도($3.25{\pm}1.22$ vs $2.10{\pm}1.41$, p=0.006)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건강염려 하위척도와 불안정성 하위척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질병행동 하위척도들이 신체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회귀분석의 결과에서도 신체화 우울증군이 질병확신 하위척도(odds ratio=1.418, p=0.089)와 부인 하위척도(odds ratio=1.880, p=0.083)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신체적으로 질병을 확신하고 심리적으로 질병을 부인하는 것이 우울증 환자에서 신체화 증상을 특징짓는 질병행동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질병행동의 하위척도들은 우울 기분과 신체화 증상을 보이는 정신질환을 감별하고 예측하는 유용한 심리적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 Illness behavior is defined as the persistence of an adaptive/maladaptive mode of perceiving, evaluating and responding to health status and symptoms according to the status. In a cognitive aspect, somatizing symptoms are regarded as being originated from distortions, including magnification and/or amplification, of perceiving, evaluating and responding to symptoms such as bodily sensations. That is somatization may be explained by maladaptive illness behavior.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illness behavior in depressive patient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somatization. Methods : We divided 45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depression with ICD-10 diagnostic criteria into two groups(somatizing and non-somatizing group) according to the somatization subscale of Korean Depression Scale and compared two groups in the differences of illness behavior using the Illness Behavior Questionnaire. Results : Somatiz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non-somatizing group on the disease affirmation subscale($6.79{\pm}2.08$ vs. 4.76, p=0.003) and the denial subscale($3.25{\pm}1.22$ vs. $2.10{\pm}1.41$, p=0.00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n the general hypochondriasis subscale and the affective unstability subscale. In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omatizing group also showed higher odds ratio (OR) scores on the disease affirmation subscale(OR=1.418, p=0.089) and the denial subscale(OR=1.880, p=0.083). Conclusion : The disease affirmation and denial may be a discriminative mechanism of somatization in depressive patients. These subscales of Illness Behavior Questionnare could be useful markers, and psychiatric illnesses with somatizing and depressive symptoms may be differentially diagnosed and be predicted through these subscales.

      • KCI등재

        대학신입생의 종교유무에 따른 신체화증후군 정도의 차이분석

        박미라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4

        College freshmen is in the halfway between adolescent and adulthood. They have confronted many tasks to adapt to college life and prepare to get a job after graduation. In this situation they have faced various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mental problems. Sometimes these problems comes with somatizing syndromes. Somatizing syndrome is physical symptom in daily life without special medical problems. This research analyzed college freshmen’s somatizing syndromes according to their religious background. The author surveyed 1015 college students in a univers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omen have felt more somatizing syndromes than me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questions are summing up to three. First, college freshmen have confronted various somatizing symdromes even if they are in the early twenties. Second, the students who have religion have felt more somatizing syndromes than non-religion students. Third, Christian religion background students have the least somatizing syndromes than Catholic and Buddhism background students. The years of the college students are very important for preparing to adulthood years.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prevention of somatizing syndromes in the college students should be an action as a prior consideration. The religious requirements, such as norms and rules, are sometimes have given psychological burdens to the religious members, and those burdens arouse the somatizing syndromes. Christian church should remember the Bible’s verse “the truth will set you free”, and that truth should influence each Church member. 청소년기를 지나 성인의 관문을 통과하는 대학생들은 입학 후에 새로운 환경과 학교생활에 적응해야 하는 부담과 미래의 취업준비를 위한 삶의 과제 앞에서 다양한 심리·정신적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스트레스나 우울 등의 심리적 문제들은 신체화증후군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은 데, 신체화증후군은 일상생활에서 특별한 내과적 이상 없이도 신체증상이 다양하게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 본 논문은 종교유무에 따른 대학신입생의 신체화증후군의 차이를 분석하고 개신교, 천주교, 불교 등의 종교가 대학신입생의 신체화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과분석에 의하면, 남자신입생 보다 여자신입생이 신체화증후군을 조금 더 느끼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종교를 가지고 있는 집단과 가지고 있지 않은 집단의 신체화증후군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종교를 가지고 있지 않은 집단은 종교를 가지고 있는 집단보다 신체화증후군을 덜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종교별로 구분하면, 불교(1.97), 천주교(1.96)로 신체화증후군의 경험이 각각 높게 나왔고, 개신교(1.68)가 가장 낮게 분석 되었다. 그러므로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분석은 다음의 설명과 같다. 첫째, 대학신입생들이 20대 초반의 젊은 청년이라고 할지라도 신체화증후군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신입생들의 신체화증후군은 종교의 유무와 유의미하게 관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종교를 가진 집단의 응답자들이 신체화증후군을 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신입생들의 신체화증후군은 각 종교별로 유의미하게 관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개신교가 천주교와 불교보다는 신체화증후군을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대학생 시절에 신체화증후군이 발병하여 만성화되고 평생에 걸쳐 지속될 수 있음이 선행연구에서 분석되었듯이, 청년 정신건강과 신체화증후군에 대한 예방적 차원의 지원과 지지가 필요하다. 종교가 요구하는 종교적 규범과 규칙 등이 종교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심리적인 부담과 책임을 부과함으로, 신체적 증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인지하고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는 성경말씀의 실천과 성취가 개신교 안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한다.

      • KCI등재

        청소년 신체화의 성차에 대한 신체감각 증폭지각의 매개효과

        김서윤,하은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0 인지행동치료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신체화, 신체감각 증폭지각, 신체적 귀인의 성차를 확인하고 신체화의 성차에 대한 신체감각 증폭지각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부산, 서울, 경기지역 고등학교의 1, 2학년 학생 1,590명(남자 730명, 여자 86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아동 신체화척도, 신체감각 증폭 척도, 증상 해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체화 총점, 소화기 증상, 신체감각 증폭지각 점수가 여학생에서 높았으며 통증 및 허약 증상, 시각적 증상, 신체적 귀인 점수는 여학생에서 높았으나 효과 크기가 다소 작았다. 신체화 총점 및 하위 요인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서 신체감각 증폭지각 및 신체적 귀인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신체감각 증폭지각이 신체화 총점의 성차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한 결과, 신체감각 증폭지각이 신체화 총점의 성차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체감각 증폭지각이 신체화의 하위변인인 소화기 증상의 성차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한 결과, 신체감각 증폭지각이 소화기 증상의 성차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신체화, 신체감각 증폭지각, 신체적 귀인의 성차를 확인하고, 신체화의 성차에 대한 신체감각 증폭지각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gender differences in adolescent's somatization,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somatic attribution. The subjects were 1,590 1st and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yonggi and Busan. The subject was assessed with the Examination Paper of Korean Children's Somatization Inventory, Korean Versions of Somatosensory Amplification Scale and Symptom Interpretation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emale students scored higher on total score of somatizaion,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somato-sensory amplification. Female students scored higher on somatic attribution, pain and weakness, and visual symptoms but effect sizes were small. Total and sub scales of somatiza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omato-sensory amplification and somatic attribution. Somato-sensory amplification had a mediating effects on the gender differences in adolescent's somatization. Somato-sensory amplification had a mediating effects on gender differences in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short,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s of somato-sensory amplification on gender differences in somatiza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Psychological Symptoms and Stress Coping Styles in College Students with Somatization

        Jee Young Lee 대한스트레스학회 2014 스트레스硏究 Vol.22 No.3

        본 연구는 신체화 경향을 가진 대학생의 심리적 증상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확인하고, 신체화 집단과 정상집단간의 심리적 증상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를 규명하며, 이들 하위요인들과 신체화 간의 관계 및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도구는 한국판 간이정신진단검사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측정도구를 이용하였으며, 검사결과 신체화 증상차원에서 임상범위와 준 임상범위에 속하는 98명을 신체화 집단, 모든 증상차원에서 정상범위에 속하는 76명을 정상집단으로 구분하여 수집된 자료를 기술통계, t검정, 단순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신체화 집단은 강박증과 정신증을 제외한 대인예민성, 우울,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의 모든 심리적 증상영역에서 정상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문제중심 대처와 정서중심 대처 모두가 정상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여 효율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화 집단에서의 신체화는 우울, 불안, 공포불안, 적대감과 양적 상관성을 가지며, 정서중심 대처와도 양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화 집단의 신체화를 설명하는 가장 유의한 예측요인은 우울이었으며, 불안, 공포불안, 정서중심 대처와 함께 47.2%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신체화 문제를 위한 중재는 우울과 불안에 대한 중재와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보다 다양하고 효율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할 수 있도록 중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신체화 경향을 가진 대학생의 심리적 증상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특성과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의미 있는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신체화 문제를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는 물론, 신체화 경향을 가진 대학생의 상담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ress coping styles and psychological symptoms an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stress coping styles and psychological symptoms on somatization in college students. A sample of 98 college students who included in the somatic group was compared with 76 college students who included in the normal healthy group. The SCL-90-R and Ways of Coping Checklist were used. Data was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PASW 18.0. All the scores of psychological symptoms except obsession-compulsion and psychoticism in somatic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whereas the scores of problem-focused coping and emotion-focused coping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 controls. In the somatic group,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phobic anxiety, and emotion focused coping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matization. And these 4 variables except hostility accounted for 47.2% of variance in somatization. The findings show that the college students with somatization have various psychological problems and insufficient stress cop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ntal health providers need to be aware of the depression, anxiety, phobic anxiety and the tendency to emotion focused coping in college students with somatization, as these factors influence their somatic symptoms.

      • KCI등재

        돈 아이디의 '신체화' 개념을 통한 확장현실 공간의 ‘META-신체화’ 특성 연구

        강남,윤성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Background and Purpose) Our lives are increasingly rooted in the digital world, and the boundaries between real and virtual worlds, between technology and nature, are becoming increasingly blurred. With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extended reality technology is also attracting new attention as a key technology that constitutes the metaverse, given that the metaverse is recognized as a next-generation repetition of the Internet and is a place where the physical world and the digital world converge. Don Ihde's Post-phenomenological theory can be an important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the spatial perception process of real technology because it analyz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human-technology-world through phenomenological analysis that focuses on human perception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hanges in body concepts in extended reality spaces through research on the concept of "Embodiment" of Don Ihde, and to explor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s of META Embodiment in Post-phenomenology concepts. (Method) First of all, this study summarized the definition of the body represented by the 'Embodiment' of Don Ihde through literature analysis on the concept of 'Embodiment' of Don Ihde. Subsequently, the body concept was redefined in the concept of Embodiment in the extended reality environment through post-phenomenological Embodiment that analyzes and mediates the characteristics of extended reality. Later, we analyzed the technology types of extended reality and presented a related framework for the body and space of extended reality space, combined with redefining body concepts in META Embodiment of extended reality. By deriving the META Embodiment characteristics and spatial expressions of the extended reality space, the META Embodiment characteristics were organized into an analysis frame of the extended reality space and analyzed and evaluated the extended reality space by type that has appeared over the past five years. (Results) It expanded the concept of Embodiment in an extended reality space and presented a new perspective of META Embodiment, consisting of three new body concept, a "technical mediated body", "coding body" and "technical-intentionality body." By combining the types of extended reality spaces, we derived the META Embodiment characteristics and spatial expressions of 'Multi-sensory Immersion', 'Interface Interactivity', and 'Experience Hyperreality ', and built an interaction model between the body and extended reality space. Finally, the META Embodiment characteristics and spatial expression of the extended reality space were verified through case analysis. (Conclusions) Extended reality technology creates the possibilities of recognizing and experiencing space, and the new concept of physical and spatial relationships becomes a new philosophical problem for humans to observe the world.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value that can be used in various media space designs by discovering the Embodiment characteristics implemented in extended reality technology and presenting interpretation and thinking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design. (연구 배경 및 목적) 우리의 삶은 디지털 세계에 점점 더 뿌리를 내리고 있으며, 현실과 가상 세계의 경계, 기술과 자연의 경계는 점점 더 모호해지고 있다. 디지털 기술은 새로운 현실을 창조하는 데 매개체 역할을 하고, 다양한 가능성의 공간 유형을 우리의 현실 세계에 투사했다. 가상현실 기술의 발달로 메타버스가 인터넷의 차세대 반복으로 인식되고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세계가 융합되는 곳이라는 점에서 메타버스를 구성하는 핵심 기술로 확장현실 기술도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돈 아이디의 포스트 현상학 이론은 인간의 지각 경험에 중점을 둔 현상학적 분석을 통해 인간-기술-세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때문에 현실 기술의 공간지각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각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돈 아이디의 ‘신체화’ 개념 연구를 통해 확장현실 공간에서 신체개념의 변화를 제시하고, 포스트 현상학 개념에서 META-신체화의 공간적 특성과 표현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우선 돈 아이디의 '신체화' 개념에 대한 문헌 분석을 통해 돈 아이디의 '신체화'가 나타내는 몸에 관한 정의를 정리하였다. 이어 확장현실의 특성을 분석하여 매개하는 포스트 현상학 신체화를 통해 확장현실 환경의 신체화 개념에서 몸 개념을 재정의하였다. 이후 확장현실의 기술 유형을 분석하고 확장현실의 META-신체화에서 신체개념을 재정의하는 것과 결합하여 확장현실 공간의 신체와 공간에 대한 관련 프레임워크를 제시했다. 확장현실 공간의 META-신체화 특성과 공간 표현을 도출함으로써 META-신체화 특성을 확장현실 공간의 분석틀로 정리하여 최근 5년간 나타난 유형별 확장현실 공간을 분석 평가했다. (결과) 확장현실 공간에서 신체화의 개념을 확장하고 새로운 신체개념, '기술매개적 신체', '코드화적 신체', '기술지향적 신체'의 세 가지 신체로 구성된 META-신체화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확장현실 공간의 유형을 결합하여 '다감각적 몰입성', '인터페이스의 상호작용성', '경험의 초현실성'의 META-신체화 특성과 공간 표현을 도출하고, 신체와 확장현실 공간의 상호작용 모델을 구축했다. 마지막으로 확장현실 공간의 META-신체화 특성과 공간 표현을 사례분석을 통해 검증했다. (결론) 확장현실 기술은 공간을 인식하고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을 만들어냈고, 인간이 이 혼합공간에서 어떻게 공간을 감지하고, 인식하며, 세계를 관찰하느냐는 새로운 철학적 문제가 되면서 새로운 신체와 공간의 관계 개념이 탄생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확장현실 기술에서 구현되는 신체화 특성을 발견하고 공간디자인 관점에서 확장현실 공간디자인의 포스트 현상학 관점에서 해석과 사고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미디어 공간의 디자인 가치 청사진이 되어 다양한 미디어 공간디자인에 활용될 수 있는 가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될 것이다.

      •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 스트레스와 불안 및 우울이 신체화에 미치능 영향

        이미정 ( Mijung Lee ),임창경 ( Changkyung Lim ),유정미 ( Jeongyi Ryu ) 안양대학교 복지행정연구소 2014 福祉行政硏究 Vol.30 No.-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신체화 증상과 사회적 스트레스 및 불안, 우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사회적 스트레스 및 불안,우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사회적 스트레스 및 불안, 우울이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학교의 규모,경재적 및 문화여자고등학교를 선정하여2학년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1.022개의자료를 수집하였다.의학적 원인이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데도 계속해서 몸이 아프거나 불푠하게 느끼는 것을 ‘신체화’라고하며,‘기는적’,‘정신신체적’,‘심인성’신체증상 이라고도 불려진다.청소년의 개인의 심리적 갈등에 대한 도움의 표현방법으로써 의도한지 않고 기질적 이상이 없는 두통,복부통증,오심,무기력,피로와 같은 신체적 증상이 잇는경우를 의미한다.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은 대체로 교사에 대한 극정적인 인식과 보호자에 대한 인식,학업흥미,가저앵활의 만족도 등이 일반고 학생에 비해낮게 나타나고, 낮은학습능력과 학교생활에 대한 불만과 패백의식으로 자신의 현재나 미래에 대한 바관적인 태도를 지나치게 되어 부정적인 정서를 동반한 신체화 증상에 노출될 가능성이 많다는 정에서 그들의 스트레스 및 불안, 우울과 신체화의관계를 탐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사회적 스트레스,불안,우울,신체화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둘째,사회적 스트레스,불안 및 우울이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하였으며, 신체화에 미치는 상대적영향력의 크기는 불안,사회적 스트레스,우울의 순으로 나타났다, 불안은 불쾌한 정석의 한유형으로 인간이경험한는 가장 고통스러운 심리적 장애중의 하나이며 동시에 매우 흔한 심리 장애로 다른 요인들 보다 신체화 증상에 더 높은 관련성을 보이는 바, 불안과 신체화간의 관계가 심리치료에 중요한 함의 를 지니며, 청소년기는 대인관계 및 과도한 학업에 대한 불안을 느낌으로 신체화 증상이 보여 질 가능성이 매우 크므로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해 불안의 원인을 밝히고 불안으로부터 나타난 문제를 원만히 해결하도록 도와야 할것이다. 우울과 스트레스 또한 신체화 증상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요인 중의 하나로 밝혀졌다.이러한 연구 결과는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를 밝혀,신체화 증상에 대한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위한 기초료를 제공하고,신체화 증상에 대한 심리치료 및 상담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s of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o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omatization. 1,022 students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s(the Korean Version of the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Second Edition Self-Report of Personality-Youth form (KBASC-2, SRP-Y) including stress, anxiety,depression and somatization. The data of the surveys were analyzed through SPSS 18.0for Window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rocess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nxiety, depression, stress and somatization. anxiety, depression, stress scor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omatizing symptoms. 2)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somatizing symptoms were anxiety, depression, stress score. 3)Anxiety was most effective factor to explaino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omatization. Then, it is need to develop somatizing symptpms management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 by caring anxiety trait and expression training. The finding of this study gives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somati-zing symptoms of students at specialized vocational hogh schools.

      • 신체화의 생물학적 기전 : 신체화의 신경심리학적 모델을 중심으로

        이영호,Lee, Young-Ho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0 정신신체의학 Vol.8 No.1

        Somatization disorder is a chronic condition characterized by multiple somatic complaints that are not due to any apparent organic illness. Somatization disorder is related historically to hysteria and hysteria has been defined by the existence of somatic complaints for which no organic reason can be found. Therefore most theories of somatization have focused on the psychodynamic and sociological perspectives. However, the concept that the somatic presentation of emotional distress or psychiatric illness might have a neurobiological basis has also aroused considerable interest. Relative to this perspective, the case of Anna O. which has been considered the prototype of hysteria, was reformulated from a neuropsychological perspective. Several neurophysiological and neuropsychological studies, studies concerning hemispheric differences in symptom presentation of the patients with hysteria have been shown the evidences for the biological basis of somatization. Moreover, recent neuroimaging studies in somatization disorder also show that brain dysfunction in somatization. The author reviewed several candidate theories which could help to explain the process of somatization in the perspective of biological basis and proposed the new neuropsychological model of somatization. The author also examined the possible application of this model to the treatment of somatization disorder and discussed it's limitation and the future directions in this field. 신체화 장애란 명백한 기질적 병리가 없이 다양한 신체 증상을 호소하는 만성 장애를 말한다. 그런데 신체화 장애는 역사적으로 기질적인 이상이 없이 신체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히스테리와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 따라서 신체화와 관련된 대부분의 이론들은 주로 정신역동이나 사회적인 관점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그러나 감정적인 문제나 정신질환이 신체화로 나타나는 기전에서 신경생물학적인 관점에 대한 관심 또한 적지 않았었다. 이런 신경생물학적인 관점에서 히스테리아의 원형으로 알려져 있는 Anna O 증례조차도 신경심리학적인 관점에서 재조명되기도 하였다. 몇몇 신경생리학적 및 신경심리학적 연구결과들, 히스테리 환자에서 신체화증상 표현의 좌우 반구차이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신체화의 생물학적 근거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최근 들어 신체화 장애의 신경영상검사는 신체화 장애에서 뇌의 기능 이상이 존재함을 보여 주고 있다. 이에 저자는 생물학적 관점에서 신체화의 과정을 설명해 줄 수 있는 몇몇 가설들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체화에 대한 새로운 신경심리학적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이 가설을 신체화 장애의 치료에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을까도 논의하고 이 가설의 제한정과 이 영역에 있어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려고 한다.

      • KCI등재

        무용전공생의 스트레스에 의한 신체화 증상의 전공별 분류

        김나영 ( Na Yung Kim ) 대한무용학회 2012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생의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화 증상 유형을 전공별로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자는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교의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포함한 236명의 남녀 학생들이다. 사전조사에서 무용을 전공하는 대학생 472명에게 스트레스 반응 검사와 신체화 증상 검사를 실시하여, 평균 이상의 스트레스 반응을 나타내는 대상자들(n=236)의 신체화 증상 검사 결과를 선별하였다. 신체화 증상 척도는 한덕웅, 전겸구, 탁진국, 이창호, 이건효(1993)가 개발한 것으로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영역은 5개로 심혈관계증상, 두통증상, 소화기증상, 수면증상, 가슴통증을 검진하는데 사용되었다. 무용전공생의 신체화 증상 유형은 반응에 따라 1차, 2차, 그리고 3차 반응으로 나눌 수 있었다. 즉, 전공영역에 따라 각기 다른 군집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각각의 군집중심과 중심 간의 거리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전공영역에 따라 신체화 증상이 나타나는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며, 전공영역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신체화 증상의 다름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한국무용, 발레, 그리고 현대무용 전공생들은 초기적 스트레스로 인한 1차 반응을 공통적으로 갖고 있었다. 그러므로 무용전공생들은 전공영역과 관계없이 긴장성 신체화 증상에 민감한 반응을 나타냈다. 두 번째, 한국무용 전공생들은 장기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3차 반응에 민감하게 나타났으나, 흥분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2차 반응에는 민감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은 ``중용``과 ``내적인 미``를 강조하는 한국무용의 특징이 스트레스 해소를 억제하는 역할을 했기 때문으로 예측된다. 세번째, 현대무용과 발레전공생들은 흥분적 스트레스로 인한 2차 반응에 민감한 반응을 나타 냈으나, 장기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3차 반응에는 민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직선적인 감정표출``을 기법으로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흥분적인 스트레스를 쉽게 경험하지만, 반대로 흥분 때문에 스트레스가 해소되는 경험도 동시에 하게 되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무용전공생이 경험하는 신체화 증상을 조사하여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신체화의 원인을 신경생리학의 관점에서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분석된 데이터는 자기보고식 설문문항에 의해 조사되었기에 오류와 오차가 발생할수 있다고 예측된다. 그러므로 차후에 시행될 연구에서는 생리학적인 기법에 의해 조사된 자료를 분석한다면, 더욱 명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고 본다. This is a study to delineate patterns of somatization for psychological stress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with dance major. Subjects were 236 dancers including 69 Korean traditional dancers, 94 Ballet dancers, and 73 modern dancers. somatic symptoms for psychological stresses were investigated by using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 technique of the sequential threshold cluster analysis to delineate unique patters of the subjects` somatic symptoms by majoring fields. Results of the study were indicated as follows:Firstly, the initial response with psychological stresses of subjects were not demonstrated significantly differences among those who were major in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the Ballet, and the modern dance. Secondly, the second response of psychological stresses, that was more significant physical symptoms then that of the initial response, were different between the subjects with major in the modern dance and thos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he subject with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tended to show less responses toward the second response, that was due to the cultural influence of Korean women`s feminality like a conscience that was the hiding of the internal state of the objects. Thirdly, the third response of psychological stress could be considered as a chronological symptoms for unresolved norepinephrine, that was dominated to the subject with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Subjects in the group of the ballet or the modern dance were not demonstrated significant responses of the chronological symptoms of psychological stresses.

      • KCI등재

        MMPI-Ⅱ와 로샤 검사에서 나타나는 신체화장애와 홧병장애 환자의 분노표현 양상

        최민경,서혜희 한국심리치료학회 2014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6 No.1

        신체화장애와 홧병장애는 신체 증상과 분노, 우울이 혼합된 정서 증상이 특징적인 장애이다. 특히 이 장 애 군에 속한 환자들의 특징은 분노의 억압인데, 분노와 같이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정서적 인 측면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스스로 의식하는 차원에서의 분노수준 뿐 아니라 무의식적인 차원에서의 감정이나 심층적인 성격구조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화장애, 홧병장애와 분 노 억압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보고식 검사인 MMPI-Ⅱ의 ANG 척도와 투사법 검사인 로 샤 검사의 공백 반응(S), 공격 운동반응(AG), 공격 내용반응(AgC)을 이용하여 의식 차원에서 보고하는 분노 수준뿐만 아니라 무의식적 차원에서 보고하는 분노 수준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1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DSM-Ⅳ기준에 의거해 신체화장애와 홧병장애로 진단된 환자 각각 19명, 23명 을 대상으로 하였고, 통제군 20명을 함께 비교하였다. one-way ANOVA 결과, 의식 차원에서 보고하는 분노는 홧병장애 집단이 신체화장애, 통제군보다 더 높았으며, 무의식 차원에서 보고하는 분노 중 공격 내용반응(AgC)에서 신체화장애 집단이 통제군보다 높았다. 즉, 홧병장애 환자가 신체화장애 환자나 통제 군 보다 표면적으로는 분노를 더 많이 표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홧병장애 환자들은 불완전한 분노 억압으로 인해 감정 반응의 일부가 우울, 불안감으로 표출되고 부정적 감정을 신체 증상을 통해 표현함 으로써 부정적 감정 반응을 일부 경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무의식 차원에서 보고하는 분노 중 공격 내용반응(AgC)에서 신체화장애 집단이 홧병장애나 통제군보다 높다는 결과는 정서 표현의 억압이 신체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로샤 검사의 분노 관 련 변인 중 공백 반응(S)과 공격 운동반응(AG) 반응과는 별다른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 반응들 은 행동화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어 신체화장애와 홧병환자들에게 이것을 확인하는 것은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화장애와 홧병환자들의 분노 억압을 측정하고 치료적 토대의 마련하는데 있어 기초 적인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신체화장애와 홧병장애 환자들에게 다양한 도구를 활 용하여 다차원적으로 분노를 평가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