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어 신체어 ГОЛОВА의 의미확장 연구

        남혜현(Nam Hye Hy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1

        우리는 대표적인 다의어로써 신체어의 의미를 연구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하는 인간의 심리적, 인지적 원리에서 출발하고자 한다. 즉 우리는 인간의 인지체계에서 이루어지는 인접성과 유사성에 의한 환유와 은유를 단어가 의미를 확장하는 중심 기제로 설정했다. 그러나 언어사용자의 심리적 요인 외에도 언어요소의 의미변화에는 해당 언어공동체의 사회적, 문화적 요인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접근을 통해 러시아어 신체어 голова의 의미전이 양상을 단일어, 관용어, 파생어를 대상으로 살펴보고, 그 분석의 결과를 이전에 연구 되었던 다른 신체어의 의미전이양상과 비교하여, 러시아어 신체어 의미확장 경향에 대한 좀 더 종합적인 결론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1) 신체어의 의미가 확장되는 데는 구성면, 즉 전체와 부분사이의 인접성이 거의 예외 없이 작용한다. 모든 신체어들이 ‘각 신체부위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축소지칭한다. 반면 신체어들이 인접하는 전체인 사람을 확대지칭하는 데에는 강한 제약이 있다. 2) 신체어의 의미확장에는 기능면이 매우 활발한 작용을 한다. 3) 전이의미들간의 밀접한 연관성이 나타난다. 4) 신체부위의 구체적인 동작이나 행위는 좀더 추상적인 의미로 전이된다. 5) 많은 신체어의 전의의미들이 기본의미에 비해 형태적, 통사적 제약을 갖고 있다. 6) 신체어는 동물의 해당 신체부위를 지칭하며, 나아가 유사한 속성을 지닌 무생물이나 현상을 지칭할 수 있다. 7) 신체어의 다의성과 그것의 관용어와 파생어 생산성 사이에는 일정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8) 많은 수의 신체어는 공간을 분할, 명명하는데 사용된다. 그리하여 신체어는 주관적 거리측정의 기준으로서 ‘근접거리’의 개념을 표현하거나, 신체부위를 중심으로 주변 공간을 명명한다. 신체어 파생어 역시 해당 신체부위에 공간적으로 인접한 대상을 명명하는 경우가 많다. 9) 신체어의 의미전이양상은 여러 언어에서 어느 정도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데, 이것은 어휘 의미 변화에 가장 중요한 요인인 인간의 심리, 인지구조가 어느 정도의 보편성을 띠기 때문이다. 동시에 각 언어별로 신체어의 의미확장은 분명히 다른 양상을 보이는 데, 이러한 차이는 이들 언어가 사용되는 공동체의 역사, 관습, 전통, 경험의 이질성에서 비롯한다.

      • KCI등재

        신체화에 따른 의미확장 연구

        남혜현(Nam Hye Hy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3

        언어의 이해와 사용은 인간의 인지능력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의미란 인지과정의 산물로서 세상에 대한 인간의 체험, 곧 ‘신체화(embodiment)’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것은 인간이 이 세상에서 얻는 모든 경험이 그의 신체조직에 의해 제약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체화는 인간 인식의 출발점으로서 의미확장의 진원지이며, 언어의 구조와 의미에 내재된다. 본 연구는 신체부위를 가리키는 어휘, 곧 신체어의 의미확장을 통해 러시아어에서 ‘신체화’의 의미, 곧 ‘신체’ 개념이 다른 어떤 개념을 인지하고 언어화하는데 사용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1) 신체어의 다의성과 그것의 관용어 및 파생어 생산성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그리하여 가장 활발한 영역으로 의미를 확장하는 голова, глаз, рука, нога의 관용어와 파생어의 수는 다른 신체어들에 비해 월등히 많다. 2) ‘동물’을 제외하고, 신체어가 표현하는 주된 개념으로는 ‘사람’, 그 가운데에서도 ‘신체부위의 구성요소’와 ‘사람의 심리적, 물리적 상태’가 있다. 이것은 구성면, 즉 전체와 부분사이의 인접성이 작용한 결과이다. 3) 대단히 많은 수의 신체어 관용어가 사람의 심리, 감정 상태의 의미장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특성은 러시아인의 민족성과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4) 신체어가 식물을 지칭하는 경우는 대개 신체부위와 형태적 속성의 유사성에 기반한다. 5) 많은 수의 신체어는 공간을 분할, 명명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인간이 자신의 신체를 중심으로 공간을 인지하고, 측정한다는 원리에 의한다. 신체어는 주관적 거리측정의 기준으로서 첫째, '근접거리'의 개념을 표현하고, 둘째, 신체부위를 중심으로 주변 공간을 명명한다. 6) 신체어의 많은 전이의미가 추상적 개념 영역에 속한다. 여기에는 기능적 인접이나 유사에 의한 의미가 많고, 위치적 속성의 인접이나 유사에 의한 것도 소수 있다. 그러나 위치면은 기능, 구성, 형태면에 비해 의미전이성이 낮다. 7) 구성, 형태, 기능, 위치적 특성이 개별 신체어의 의미확장에 개입하는 정도는 해당 신체부위가 갖고 있는 여러 특성 가운데 어느 것이 가장 현저하게 드러나는지, 어느 것이 가장 인간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8) 신체어의 전이의미들은 서로 밀접히 연관되며, 각 신체어들의 개념장은 서로 접경하고, 교차한다. 이것은 단어의 의미확장이라는 것이 본질적으로 범주와 범주간에 명확한 구분이 불가능한 인간의 인지체계에 기반한다는 사실을 상기해볼 때,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 KCI등재

        러시아어 신체어 рука의 의미전이 연구

        남혜현(Nam Hye Hy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6 노어노문학 Vol.18 No.2

        본 논문은 러시아어 신체어 가운데 рука의 의미전이양상을 구성, 형태, 위치, 기능적 측면에서 인접과 유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рука는 주변 단어들과의 관계 속에서 다의성을 획득하며, 매우 높은 관용어 생산성을 보이고 있다. 또 рука의 의미확장은 자의적이기보다는, 인접성과 유사성에 의해 형성되는 연상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рука의 인접성에 의한 전이는 구성면에 기반한 부분과 전체사이의 인접성, 기능적 인접성, 원인과 결과 사이의 인접성에서 발생한다. 유사성에 의한 연상은 기능의 유사로 국한된다. 그러나 рука에서 파생되는 여러 가지 의미를 분석함에 있어서, 인접과 유사의 어느 한 유형으로 나누기에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는 우선 전의의 형태가 단일한 것이 아니고, 때로는 복합, 중복적인 양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기본의미에서 파생의미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연상 형태들이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рука에서 파생한 의미들 사이에도 연관성을 찾아볼 수 있다. рука의 ‘소유’의미와 ‘권력, 영향력’의 의미는 모두 рука의 ‘쥐고, 잡는’ 기능의 유사성에서 전이된 의미로서, 동일한 관용어가 이들 두 의미를 모두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또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이들 전이의미는 기본의미에 비해 형태, 통사적인 제약을 보인다는 점이다. 이 밖에 рука의 전이의미와 рука 파생어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손의 기능과 관련된 것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рука관용어도 손의 기능, 그 가운데에서도 ‘일’의 개념과 관련된 것이 압도적으로 많다. рука를 포함한 신체어의 의미전이양상은 여러 언어에서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그것은 인간이 기본적으로 비슷한 신체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인간이 생각하고 범주화하는 양상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어느 정도의 공통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시에 손의 관습적 움직임에 대한 관용어는 양 언어에서 매우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이들 언어가 사용되는 사회의 언어적 환경, 역사, 관습, 전통, 사고방식, 경험의 이질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 방향은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рука외에 다른 러시아어 신체어의 의미전이로 연구를 확장하여, 전반적으로 러시아어 신체어의 의미가 전이되는 개념범주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것은 ‘몸’, ‘신체부위’라는 개념이 러시아어라는 구체적인 언어에서 구조화되는 양상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둘째, 러시아어 신체어 의미전이 양상에 대한 연구 결과를 한국어를 비롯한 다른 언어에서 신체어의 의미전이 양상과 비교한다면, 사회언어학적, 심리언어학적으로 흥미있는 연구 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 KCI등재

        한ㆍ중 ‘다리’ 지칭어의 의미 확장 대조

        박화염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연구 Vol.71 No.-

        신체어는 인간이 세상을 보고 듣고 느끼는 가장 기본적인 출발점이다. 본고는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신체부위 다리를 지칭하는 신체어 ‘다리’와 ‘腿’로 이루어진 단일어와 복합어에서 신 체어 자체의 의미 확장 방향과 인지과정을 대조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본고는 먼저 신체어 ‘다리’와 ‘腿’의 사전에서의 기술 양상을 검토하고, 다음 인지의미론과 대조언어학의 이론을 기반으로 신체어 의미 확장의 시맨틱 익스트랙션을 ‘구조․모양면’과 ‘기능면’의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대조 분석한다. 그중에서 ‘구조ㆍ모양면’은 다리 자체의 모양과 구성, 그리고 사람과 동물의 몸에서 차지하는 위치적 특성을 말하는데 신체어 ‘다리’의 ‘형태, 구성, 위치’적 특성을 포함하여 가리킨다. ‘기능면’은 신체부위 다리 자체의 쓰임 기능과 낱말 ‘다리’의 의미기능, 문법화기능을 포함하여 일컫는 말이다. 마지막으로 신체화에 기초한 신체어의 다양한 의미 확장의 형성 원인, 그리고 형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의미자질 및 인지과 정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대조와 분석을 통하여 ‘다리’를 지칭하는 신체어 ‘다리’와 ‘腿’의 의미 확장 방향과 인지과정에서 보이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해냄으로써, 외국어로서의 한ㆍ중 언어 교육 및 한ㆍ중 통번역 연구 분야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가 된다. According to the theory of cognitive linguistics, the human body experience is the basis of human cognition of the world, the starting point of cognition and the tool of cognition. Feet refers to the lower part of the human body and some animals that touch the ground, and are important weight-bearing organs and movement organs of the human body. Chinese and Korean “leg” words are the core vocabulary in both Chinese and Korean languages. This article mainly studies simple words and compound words composed of Chinese and Korean “leg” morphemes, and divides their semantic image features into two types: “structural meaning” and “functional meaning”. “Structural meaning” refers to the synthesis of “shape, location, and composition”, and “functional meaning” refers to the grammatical functions of the body parts themselves, the semantic functions of human words, and part of speech function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can be found,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and credible semantic examples and theoretical research basis for teach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Chinese-Korean human lexics, and Chinese-Korean bilingual translation.

      • KCI등재

        인지언어학에 기반한 신체어 합성명사의 의미 교육 연구

        위윤 ( Weiyun ),김정아 ( Kim Jung-a ) 한민족어문학회 2020 韓民族語文學 Vol.0 No.90

        이 연구의 목적은 신체어 합성명사의 의미를 개념적 은유와 환유로 분석하고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의미 교육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어휘 학습에 있어 어휘의 양적 능력도 중요하지만 질적 능력, 즉 어휘를 생산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 특히 중요하다. 어휘의 의미가 불투명하거나 비유적이면 학습자들은 어려움을 느낀다. 따라서 불투명하고 비유적인 단어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기초 어휘인 신체어의 의미를 분석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이 효율적으로 어휘를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서 신체어 합성명사를 개념적 은유와 개념적 환유로 분석했다. 이런 분석 방법은 한국어의 보편적인 개념화 방식을 알 수 있어 어휘 확장의 원리, 합성어의 의미 결합 방식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신체는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하나의 도구로, 신체어는 우리의 사고방식을 내포하고 있다. 우리는 신체를 ‘그릇’으로 여기기도 하고 ‘물건’, ‘사물’, ‘동물’로 인식하기도 한다. 한편 신체의 일부를 통해 사람 ‘전체’를 가리키기도 하고 신체가 가진 ‘기능’을 나타내기도 한다. 우리의 이러한 인지 능력은 개념적 은유, 개념적 환유라고 하는데, 이는상당히 보편적인 사고 원리이다. 개념적 은유와 환유에 의해 합성된 신체어 합성명사를 분석하여 신체어를 개념화하는 일반적인 원리를 한국어 어휘 교육에 적용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compound nouns that include body-part terms and discuss methods for semantic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lthough it is important for foreign language learners to know a lot of vocabulary, they must be able to understand and express that vocabulary. To achieve this end, learners must know the principles of word formation and semantic relationships. Hence,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body-part terms from a cognitive-linguistic perspective with compound nouns that include body-part terms in order to propose efficient learning content and methods. Body-part terms are basic vocabulary, but at the same time, they expand into various meanings. Therefore, body-part terms help Korean-language learners learn the principles of expanding lexical meaning. Because, according to cognitive linguistics, language reflects the way humans think-, Koreans' use of compound nouns that include body-part terms reflects the general way they think. With these principles in mind, the study analyzed compound nouns that include body-part terms as conceptual metaphors and conceptual metonym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study proposed a learning method using conceptual metaphors to represent [The body is a container)] and [Body organs are containers.)]

      • KCI등재

        공포를 나타내는 중국어 관용표현 -- ‘혁득(吓得)+신체어’ 구조를 중심으로

        李贞姬 중국학연구회 2011 中國學硏究 Vol.- No.56

        본고는 중국어에서 ‘공포’를 나타내는 ‘吓得+신체어’구조에서 활용된 신체어를 통하여 공포를 나타내는 표현에서 드러나는 신체 생리적 특징과 공포의 감정이 개념화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吓得+신체어’ 구조로 ‘공포’를 나타내는데 쓰인 신체어는 머리, 얼굴, 눈, 입, 입술, 치아, 혀, 목구멍, 피부, 이마, 눈썹, 두피, 머리카락, 몸, 목, 솜털, 살갖, 살, 힘줄, 등, 사지, 손, 팔, 다리, 종아리, 무릎/오금, 발, 가슴, 담, 심장, 간, 뼈, 땀, 콧물, 대소변, 영혼 등 39개 신체부위 및 신체와 관련된 분비물이다. 신체부위의 생리적 특징으로 ‘공포’는 신체 여러 부위의 떨림을 가져오고 얼굴 피부색을 다양하게 변화를 시키며 체온을 내려가게 한다. 이러한 신체어로 나타내는 ‘공포’의 은유적 양상은 ‘차가움, 떨림, 하강, 회피, 기능상실, 백색, 영육분리’ 등 7가지로 개념화된다. 또한 중국어 표현에 상응하는 한국어 표현을 대조함으로써 신체어를 활용한 두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중국어에서 주로 사용하는 서술어를 정리하여 학생들이 공포표현을 익히는데 활용하도록 하였다.

      • KCI등재

        분노를 나타내는 중국어 관용표현 - ‘기득(氣得)+신체어’ 구조를 중심으로

        이정희 중국학연구회 2010 중국학연구 Vol.- No.54

        중국어에서 ‘화’를 나타내는 주요 형태소는 ‘氣’이다. 본문은 형태소 ‘氣’를 활용한 정도보충어 ‘氣得+신체어’구조에서 활용된 신체어를 통하여 분노를 나타내는 표현에서 드러나는 신체 생리적 특징과 분노의 감정이 개념화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氣得+신체어’ 구조로 ‘화’를 나타내는데 쓰인 신체어는 머리, 얼굴/얼굴색상, 눈/눈동자, 눈물, 입, 입술, 이, 코, 귀, 혀, 수염, 뺨, 힘줄, 피부, 이마, 눈썹, 태양혈, 몸, 목, 가슴, 등, 허리, 사지, 손, 팔, 주먹, 손바닥, 손가락, 발, 다리, 오장육부, 심장, 명치, 머리, 위, 폐, 배, 피, 머리카락 등 48개 신체부위 및 신체부위와 관련된 질병, 분비물이다. 신체부위의 생리적 특징으로 ‘화’는 신체 여러 부위의 떨림을 가져오고 얼굴의 피부색을 다양하게 변화를 시키며 눈물, 땀이라는 분비물을 배출하고 눈, 몸의 여러 부위에서 다양한 동작으로 힘을 보여주게 된다. 이러한 신체어로 나타내는 ‘화’의 은유적 양상은 ‘氣, 불, 무기, 힘, 떨림, 폭발, 떠남’ 등 7가지로 개념화된다. 또한 중국어 표현에 상응하는 한국어 표현을 대조함으로써 신체어를 활용한 두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중국어에서 주로 사용하는 서술어를 정리하여 학생들이 분노표현을 익히는데 활용하도록 하였다.

      • KCI등재

        《紅樓夢》촉각어 관용구의 인지적 분석

        백종이 한국중국문화학회 2022 中國學論叢 Vol.- No.75

        . 이 논문은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紅樓夢》의 신체어와 촉각어 결합의 비유적 관용표현을 대상으로 의미 확장 양상과 해석을 논의한 것이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용표현의 의미 확장 기제에는 ‘환유’, ‘은유’, ‘은환유’가 있다. 둘째, 신체어와 촉각어는 기존 확장된 의미를 중심으로 하며 서로 결합하여 관용구로 사용되면 추상적 의미가 생성된다. 셋째, 신체어와 촉각어 결합으로 일어난 다의적 확장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구조는 ‘촉각어+신체어’와 ‘신체어+촉각어’이며, 의미는 구체적인 신체영역에서 직접적인 상태가 확인되어 ‘인물의 성격 및 기질’, ‘감정 및 심리’, ‘인식 및 판단’의 추상적 범주로 확장된다. ‘인물의 성향’에 대한 표현이 매우 생산적이며 ‘은환유’ 중 ‘환유로부터 은유’와 ‘은유 속 환유’에 의해 의미 확장이 이루어진다. ‘감정 및 심리’에 대한 표현은 ‘환유’를 중심으로 의미 확장이 이루어진다. ‘인식 및 판단’과 관련된 표현은 ‘환유’와 ‘환유로부터 은유’에 의해 의미 확장이 진행되며, 은유를 기초로 하지 않는다. 대부분 개념적 환유에 의해 의미 확장이 시작되며 ‘촉각어+신체어’ 구조보다 ‘신체어+촉각어’ 의 관용표현이 두드러진다. 넷째, 《紅樓夢》의 인물들은 ‘유사성’보다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 혹은 상대방의 ‘성향’, ‘심리’, ‘인식’의 상태를 나타내는 양상을 보인다.

      • KCI등재

        신체어 ‘입’과 ‘嘴, 口’의 의미 확장 대비 연구

        주자우 춘원연구학회 2019 춘원연구학보 Vol.0 No.14

        이 논문은 인지의미론적 관점에서 확장이 잘 이루어진 대표적이고 사용빈도가 높은 한중 신체어인 ‘입’과 ‘嘴, 口’의 다의 현상을 대조 분석하여 그 의미 확장이 각각 어떠한 유연성(有缘性)에 의해 행해지고 있는지를 밝히었다. 그 대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중 다의적 신체어에서 드러난 인지과정의 동질성과 이질성도 살펴보고 나아가서 동질성과 이질성이 나타난 요인을 고찰하였다. 동질성이 나타난 요인은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그 첫 번째는 인간의 인지 심리 과정이 보편성을 가지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고 두 번째는 인간의 신체구조와 감지기관(感知器官)이 똑같음은 한․중 양국이 신체부위에 대한 인지가 대동소이하는 것에서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세 번째는 한․중 양국은 동일 문화권에 속해 있는 관계로 제도, 문화, 관습, 풍조, 생활이나 생산 경험 등 많은 면에서 동질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본다. 또한 , 의미 확장에서 이질성이 나타난 요인은 다음과 같다. 의미 확장의 횟수의 영향, 전통적인 민족문화, 관습 및 제도 등의 영향, 언어 자신 특징의 영향, 인지 차이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본다. 마지막으로는 일정한 명사 의미 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확장된 주변 의미들에 의미 자질을 부여하고 이들을 유형화함으로써 ‘입’과 ‘嘴, 口’ 의미 확장의 다음과 같은 경향성을 포착하고 제시하였다. 첫째, 신체어의 주변 의미들이 <자연물>, <물체>, <부분>의 자질을 가장 많이 갖고 있고 이는 인간이 신체와 신체 경험을 바탕으로 외부 세계를 인지하여 신체 부위의 특징이 다른 어떤 사물에 전용되는 것을 입증할 수 있다고 본다. 둘째, ‘입’과 ‘嘴, 口’의 의미 확장이 <속성>이란 자질에서 많은 분포를 차지하고 실체 명사인 신체어가 은유와 환유에 의해 의미 확장이 이루어져 상태 명사의 역할을 하게 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嘴, 口’가 <분류사>라는 부류에서 의미 확장이 많이 이루어졌고 이는 중국어가 어의형(語義型)언어인 것과 관련된다고 본다. 주제어: 신체어, 의미 확장, 은유, 환유, 동질성, 이질성, 경향성

      • KCI등재

        현대중국어의 신체어 연구 -“얼굴”, “입”, “귀”를 중심으로

        이범열 중국어문학회 2015 中國語文學誌 Vol.0 No.50

        本文重點考察了如何使用身體語"瞼/面"、"嘴/口"和"耳/耳타"的隱喩或轉喩來提高語言交際的效率。本文首先討論了隱喩和轉喩的基本內容及異同。日常生活中身邊的物理的、親身的體驗常常能成爲構建隱喩和轉喩的重要素材,通過身體語中的"瞼/面"、"嘴/口"和"耳/耳타"表現出來提高語言交際功能,現總結歸納如下:第壹,隱喩由隱喩的槪念和隱喩表達構成。中國人通過日常生活中周邊的物理或親身的體驗獲得各種不同的槪念,選擇這些槪念爲媒介投射到身體語形成[X是Y]的槪念隱喩,竝納入到自己的槪念體系裏。這裏的 ``X``(瞼、面、口、嘴、耳、耳타等)是說明對象的目標槪念,選擇爲媒介的``Y``(容器、物體、飮食、出入口、物質等)屬於始發槪念。把隱喩槪念[X是Y]表達成具體的詞語或者句子就是"隱喩表達"。第二,轉喩是由轉喩的槪念和轉喩表達組成。槪念轉喩有[部分代替整體]、[整體代替部分]和[部分代替部分]三種形式。這種轉喩的槪念表達成具體的詞語或者句子就是``轉喩表達``。第三,隱喩是由兩個不同領域的個體槪念通過槪念上的相似性連在壹起,著重傳達多種不同意義上的``理解``。轉喩是由同壹個槪念領域裏的不同個體槪念通過槪念上的關聯性連在壹起,重點是指向指示體的這壹特征。第四,通過身體語"瞼/面"的隱喩可以表達"外貌"、"表面"、"容器"、"面子"、"物體"、"紙"、"飮食"等的흔多槪念竝傳達給聽話人,增强聽話人的理解。身體語"瞼/面"的轉喩中:壹轉喩槪念[瞼代替整個人],在"人體"ICM裏,作爲身體"部分"的"瞼"可以表達成表示"整體"的"整個人"。這種轉喩槪念[瞼代替整個人]是屬於[身體的壹部分代替整個人]的下位轉喩。同時,[身體的壹部分代替整個人]又是[部分代替整體]的下位轉喩,由此可以看出轉喩具備層級性特征。譬如,"瞼"表示"人"的時候,"二皮瞼"、"兩面派"、"老瞼"、"黑瞼"等是爲了突出表達指示對象的非正常特征時使用的轉喩。二轉喩槪念[瞼代替整個人]的基礎上表示"整體"的"瞼"可以指示表示"部分"的"瞼上的某壹部位"。譬如,"瞼"可以表示"어靑了的某壹部位"或者"長了靑春痘的某壹部位"。除此之外,_____③槪念轉喩[部分代替部分]的下位轉喩[生理反應代替情感]也可以使用轉喩表達。譬如,"瞼…白"、"瞼紅"、"瞼…靑"、"瞼…黃"等可以用於"驚訝"、"害파"、"生氣"等情感的表達上。所以像這樣通過使用轉喩表達,我們可以生動地傳達某些特點或者情感。第五,身體語"口/嘴"可以用隱喩的方式表示形態上具有相似性的"封口"或者"容器",通過功能上的相似性,可以表示"出入口",也可以表示日常生活中經常接觸的"飮食"、"物體"、"物質"等。通過這些隱喩的表達方式把不同的意思和功能特點更生動地傳達給聽話人,使聽話的人更容易理解。在"口/嘴"轉喩中,壹在轉喩[部分代替部分]的基礎上,表示身體壹部分的"嘴"可以用來表示說話功能的"多嘴"、"嘴冷"、"嘴甛"等轉喩意思。二在槪念轉喩部分代替整體的基礎上,作爲身體壹部分的嘴往往表達整個人。譬如,"婆婆嘴"、"五香嘴"、"大嘴"、"名嘴"、"快嘴"、"油嘴"等都可以突出"嘴"的功能特點(說話功能和飮食功能)。第六,用"耳/耳타"作爲隱喩的時候,可以從形態上表示근"耳廓"相似的"菌類"食物,在其後邊加上"耳",構成"木耳"、"石耳"、"銀耳"、"雲耳"、"地耳"等。還可以把"耳타"當內外有別的"容器"隱喩使用,根據"耳타"位置上的特點(位於瞼部位的兩邊),將其與具有類似特點的物體聯系,加上"耳",形成"耳房"、"耳門"、"耳室"等。我們也可以把"耳타"看作"物體"用在表達性格特點上,如"洗耳恭聽"、"耳타長"、"耳타根軟"、"耳타硬"等,還可以把他看作爲"飮食",如"耳熟"、"耳生"、"耳熱"等。壹在轉喩槪念[耳타代替整個人]的基礎上,用表示身體的壹部分的"耳타"代替"整個人" 的轉喩。譬如,"隔墻有耳"、"大耳"、"小耳타"、"軟耳타"、"耳報神"等,這種表達都突出"耳"的"聽覺功能",而且都指示"人"。二我們還可以在部分代替部分的下位槪念生理反應代替情感的基礎上使用"耳根都發熱了"、"面紅耳赤起來"、"瞼紅耳타紅"、"耳타즘마那마容易紅"等轉喩,表達"害羞"、"緊張"等生動而準確的意思。總而言之,中國人會在日常生活中容易接觸的事物和經驗的基礎上使用隱喩和轉喩,還會賦予生動感和具體性,這樣,說話人希望表達的各種不同的意思和指示特點會傳達給聽話人,使他更容易、更準確地理解所要表達的內容,提高語言交流的效率。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