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랑의 감정을 표현하는 관용구 연구

        한만춘(Han, Man Choo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2 노어노문학 Vol.24 No.4

        본고에서는 러시아어 학습에 있어 관용표현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감정표현 관용구 중 ‘사랑’표현 관용구를 분석해보았다. 고찰을 위해 관용구 분류의 기준을 관용의미를 토대로 공통의 의미를 지닌 그룹으로 크게 넷으로 분류하여 이들의 세부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 그룹에 속한 관용표현들이 지니고 있는 공통의 의미는 "사랑을 시작하다, 매력을 느끼다."이다. 이에 해당하는 관용표현은 отдавать сердце/отдать сердце кому, прикипать/прикипеть (душой/сердцем) к кому, терять голову/потерять голову из-за кого 가 있다. 두번째 그룹은 "이성에 끌리거나 마음에 들어 하며 사랑의 감정을 느끼다."라는 공통의 의미를 지닌 관용표현들이다. 해당하는 관용구로는 быть без ума (без памяти) от кого, быть неравнодушным к кому, души не чаять в ком, не надышаться на кого 등이 있다. 세 번째 그룹은 "자신을 사랑하게 하고 애착하게 만든다, 아름다움, 매력, 술 등을 통해서 마음에 들게 강요하다."라는 공통의 의미로 연결되어진 사역 동사를 활용한 그룹으로 входить в сердце/войти в сердце чье, кружить голову/ вскружить голову кому, пасть на сердце чье(сов.)등이 이 범주에 들어간다. 마지막 네 번째 유형은 "마음에 든다."라는 의미를 지닌 관용표현으로 прийтись по душе кому만이 이 범주에 속한다. 이상 관용의미에 따른 유형별 분류를 통해 고찰해 본 결과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사랑의 감정을 표현하는 관용구’에는 언어적 결합체인 그 중심부에 대체로 동사(глагол)가 자리 잡고 있다. 이로 인해 관용구가 담당하는 문장 내에서의 통사적 성분은 술어로 대변된다. 대다수의 관용 표현들은 유연적 관용구(фразеологические единства)의 성격을 가지며 거의모두가 긍정적인 색채를 지닌다. 사랑표현 관용구들은 러시아어 화자들 사이에서 활발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것은 관용구를 통해 전달되는 의미를 일반 언어형식보다도 더 분명하고 용이하게 하려는 화자들의 담화 전략에 의함이다. 사랑표현 관용구는 주로 "심장"과 "머리" 등 신체부위를 구성성분으로 한다. 이로 미루어 알 수 있는 사실은 순환기관의 중추기관인 ‘심장’과 사고하고 판단하는 중요 신체 부위인 ‘머리’ 등이 "사랑"의 감정을 전달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사람의 신체적 경험을 바탕으로 개념화 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처럼 신체어(휘)는 사랑표현 관용구 생성의 근원이 되었다. 본고에서 분석한 사랑 표현 관용구는 자신의 감정이나 의사를 생동감 있고 함축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언어수단이며 동시에 러시아인들의 가치관과 사고방식을 잘 이해할 수 있는 핵심적인 언어-문화 자료이므로 향후 관용구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러시아어 신체어 ГОЛОВА의 의미확장 연구

        남혜현(Nam Hye Hy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1

        우리는 대표적인 다의어로써 신체어의 의미를 연구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하는 인간의 심리적, 인지적 원리에서 출발하고자 한다. 즉 우리는 인간의 인지체계에서 이루어지는 인접성과 유사성에 의한 환유와 은유를 단어가 의미를 확장하는 중심 기제로 설정했다. 그러나 언어사용자의 심리적 요인 외에도 언어요소의 의미변화에는 해당 언어공동체의 사회적, 문화적 요인도 간과해서는 안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접근을 통해 러시아어 신체어 голова의 의미전이 양상을 단일어, 관용어, 파생어를 대상으로 살펴보고, 그 분석의 결과를 이전에 연구 되었던 다른 신체어의 의미전이양상과 비교하여, 러시아어 신체어 의미확장 경향에 대한 좀 더 종합적인 결론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1) 신체어의 의미가 확장되는 데는 구성면, 즉 전체와 부분사이의 인접성이 거의 예외 없이 작용한다. 모든 신체어들이 ‘각 신체부위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축소지칭한다. 반면 신체어들이 인접하는 전체인 사람을 확대지칭하는 데에는 강한 제약이 있다. 2) 신체어의 의미확장에는 기능면이 매우 활발한 작용을 한다. 3) 전이의미들간의 밀접한 연관성이 나타난다. 4) 신체부위의 구체적인 동작이나 행위는 좀더 추상적인 의미로 전이된다. 5) 많은 신체어의 전의의미들이 기본의미에 비해 형태적, 통사적 제약을 갖고 있다. 6) 신체어는 동물의 해당 신체부위를 지칭하며, 나아가 유사한 속성을 지닌 무생물이나 현상을 지칭할 수 있다. 7) 신체어의 다의성과 그것의 관용어와 파생어 생산성 사이에는 일정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8) 많은 수의 신체어는 공간을 분할, 명명하는데 사용된다. 그리하여 신체어는 주관적 거리측정의 기준으로서 ‘근접거리’의 개념을 표현하거나, 신체부위를 중심으로 주변 공간을 명명한다. 신체어 파생어 역시 해당 신체부위에 공간적으로 인접한 대상을 명명하는 경우가 많다. 9) 신체어의 의미전이양상은 여러 언어에서 어느 정도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데, 이것은 어휘 의미 변화에 가장 중요한 요인인 인간의 심리, 인지구조가 어느 정도의 보편성을 띠기 때문이다. 동시에 각 언어별로 신체어의 의미확장은 분명히 다른 양상을 보이는 데, 이러한 차이는 이들 언어가 사용되는 공동체의 역사, 관습, 전통, 경험의 이질성에서 비롯한다.

      • KCI등재

        신체화에 따른 의미확장 연구

        남혜현(Nam Hye Hy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3

        언어의 이해와 사용은 인간의 인지능력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의미란 인지과정의 산물로서 세상에 대한 인간의 체험, 곧 ‘신체화(embodiment)’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것은 인간이 이 세상에서 얻는 모든 경험이 그의 신체조직에 의해 제약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체화는 인간 인식의 출발점으로서 의미확장의 진원지이며, 언어의 구조와 의미에 내재된다. 본 연구는 신체부위를 가리키는 어휘, 곧 신체어의 의미확장을 통해 러시아어에서 ‘신체화’의 의미, 곧 ‘신체’ 개념이 다른 어떤 개념을 인지하고 언어화하는데 사용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1) 신체어의 다의성과 그것의 관용어 및 파생어 생산성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그리하여 가장 활발한 영역으로 의미를 확장하는 голова, глаз, рука, нога의 관용어와 파생어의 수는 다른 신체어들에 비해 월등히 많다. 2) ‘동물’을 제외하고, 신체어가 표현하는 주된 개념으로는 ‘사람’, 그 가운데에서도 ‘신체부위의 구성요소’와 ‘사람의 심리적, 물리적 상태’가 있다. 이것은 구성면, 즉 전체와 부분사이의 인접성이 작용한 결과이다. 3) 대단히 많은 수의 신체어 관용어가 사람의 심리, 감정 상태의 의미장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특성은 러시아인의 민족성과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4) 신체어가 식물을 지칭하는 경우는 대개 신체부위와 형태적 속성의 유사성에 기반한다. 5) 많은 수의 신체어는 공간을 분할, 명명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인간이 자신의 신체를 중심으로 공간을 인지하고, 측정한다는 원리에 의한다. 신체어는 주관적 거리측정의 기준으로서 첫째, '근접거리'의 개념을 표현하고, 둘째, 신체부위를 중심으로 주변 공간을 명명한다. 6) 신체어의 많은 전이의미가 추상적 개념 영역에 속한다. 여기에는 기능적 인접이나 유사에 의한 의미가 많고, 위치적 속성의 인접이나 유사에 의한 것도 소수 있다. 그러나 위치면은 기능, 구성, 형태면에 비해 의미전이성이 낮다. 7) 구성, 형태, 기능, 위치적 특성이 개별 신체어의 의미확장에 개입하는 정도는 해당 신체부위가 갖고 있는 여러 특성 가운데 어느 것이 가장 현저하게 드러나는지, 어느 것이 가장 인간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8) 신체어의 전이의미들은 서로 밀접히 연관되며, 각 신체어들의 개념장은 서로 접경하고, 교차한다. 이것은 단어의 의미확장이라는 것이 본질적으로 범주와 범주간에 명확한 구분이 불가능한 인간의 인지체계에 기반한다는 사실을 상기해볼 때,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 KCI등재

        《紅樓夢》촉각어 관용구의 인지적 분석

        백종이 한국중국문화학회 2022 中國學論叢 Vol.- No.75

        . 이 논문은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紅樓夢》의 신체어와 촉각어 결합의 비유적 관용표현을 대상으로 의미 확장 양상과 해석을 논의한 것이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용표현의 의미 확장 기제에는 ‘환유’, ‘은유’, ‘은환유’가 있다. 둘째, 신체어와 촉각어는 기존 확장된 의미를 중심으로 하며 서로 결합하여 관용구로 사용되면 추상적 의미가 생성된다. 셋째, 신체어와 촉각어 결합으로 일어난 다의적 확장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구조는 ‘촉각어+신체어’와 ‘신체어+촉각어’이며, 의미는 구체적인 신체영역에서 직접적인 상태가 확인되어 ‘인물의 성격 및 기질’, ‘감정 및 심리’, ‘인식 및 판단’의 추상적 범주로 확장된다. ‘인물의 성향’에 대한 표현이 매우 생산적이며 ‘은환유’ 중 ‘환유로부터 은유’와 ‘은유 속 환유’에 의해 의미 확장이 이루어진다. ‘감정 및 심리’에 대한 표현은 ‘환유’를 중심으로 의미 확장이 이루어진다. ‘인식 및 판단’과 관련된 표현은 ‘환유’와 ‘환유로부터 은유’에 의해 의미 확장이 진행되며, 은유를 기초로 하지 않는다. 대부분 개념적 환유에 의해 의미 확장이 시작되며 ‘촉각어+신체어’ 구조보다 ‘신체어+촉각어’ 의 관용표현이 두드러진다. 넷째, 《紅樓夢》의 인물들은 ‘유사성’보다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 혹은 상대방의 ‘성향’, ‘심리’, ‘인식’의 상태를 나타내는 양상을 보인다.

      • KCI등재

        러시아 민속문학에서 신체어 ‘코’의 언어문화적 함의 연구: 관용구와 속담을 중심으로

        백경희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22 슬라브학보 Vol.37 No.2

        Somatism, which refers to human body parts, forms the basis of universal basic vocabulary in any language along with human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contains the linguistic and cultural specificity of a language. Humans understands the world through the sensory functions of body organs, and conceptualize objects of the external world by projecting them onto body lexicon. The human body was the most accessible means of self-observation, the basic measure for understanding the surrounding objects, and the most primitive form of expression of opinion. The human body was able to overcome limitations of the body by constructing a cognitive system based on accumulated experiences and fully transferring the linguistic function of memory and knowledge. Somatism is a basic vocabulary that exists in all languages. Folk literature texts are meaningful materials that show the historical and customary usage of somatism, various aspects of derivation, and the unique linguistic image of a nation. Somatism reflects the univers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subject, the way of recognizing the world, the way of acting or thinking, and the way of expressing emotions. Therefore, idiomatic expressions including somatism are worthy linguistic phenomena that can examine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a language. Somatism refers to human external body organs (faces, head, hands, nose, ears, etc.) as well as internal organs (heart, blood vessels, nerves, liver, etc.). This paper examines aspects of meaning expansion focusing on somatism used as a component of proverbs and idioms in folk literature texts that consider the communicative aspect of the language subject. We will analyze in depth the semantic structure of idioms and proverbs and examine the specificity of metaphorical and metonymic mechanisms and cultural variants of somatic idioms that reflect the unique Russian linguistic world view.

      • KCI등재

        독일어와 한국어의 관용표현 비교연구 : 신체어휘 관련 관용구를 중심으로 Unter besonderer Bsrucksichtigung der Ausdrucks und Inhaltsstruktur der Somatismen

        김수남 한국독일어문학회 2003 독일어문학 Vol.20 No.-

        Das Ziel der vorliegenden Arbeit war es, deutsche und koreanische verbale Phraseolexeme(vPL) mit der Basiskomponente 「Hand」/「손(son)」 kontrastiv, enentuell syntaktisch sowie semantische, zu untersuchen. Dieser Untersuchung lag eine verbozentrische Auffassung des Satzes zugrunde. Auch vPL bildet als Ganzes das Pra¨dikat, das wendung-sextern eine bestimmte Zahl von Leerstellen ero¨ffnet und determiniert im Satz mit seinen inha¨renten semantischen Merkmalen seine semantische und syntaktische umgebunt. In dieser Untersuchung verwendeten wir den Terminus 'Phraseologismus' als Oberbegriff, der Wortidiome(wortwertige idiomatische Redewendungen oder Phraseolexeme). Wir beschra¨nkten uns den Gegenstand unsere Untersuchung auf verblae Phraseolexeme(vPL), d.h. wie oben genannte Wortidiome. Aus valenztheoretischer Sicht lassen sich deutsche vPL prima¨r in bezug auf das wendungsexterne (a¨uβere) Aktantenpotential (PLe) und sekunda¨r in bezug auf die interne Komponentenstruktur des PL(PLi) klassifizieren. Nach dem wendungsexternen Aktantenpotential lassen sich deutsche vPL in einwertige(zwei linke Ha¨nde haben), zweiwertige (j-m zur Hand gehen), dreiwertige vPL(j-m etx. aus der Hand nehmen) einteilen. Bei deutschen verbalen PL mit der Komponente 『Hand』 sind unter anderem folgende semantische Deskriptoren erkennbar: 「Leitung, Einfluss, Macht」(j-m freie Hand lassen, j-m in die Ha¨nde fallen), 「Besitz」(in j-s Ha¨nden sein, durch viele Ha¨nde gegangen sien), 「Helfen, Schu¨tzen und Zusammenarbeit」(keine Hand ru¨hren, die Ha¨nde in den Schoβ legen, Hand in Hand arbeiten), 「Arbeiten, Aktivita¨t, Ta¨tigkeit」(alle/beide Ha¨nde voll zu tun), ([bei etw.] eine glu¨ckliche Hand haben), 「Gewalt」(Hand an j-n legen), 「Sicheinsetzen, Schutz, haftung『(fu¨r j-n/etw. die Hand ins Feuer legen), 「Schuld」(seine Ha¨nde in Unschuld waschen) u.a.. Bei koreanischen verbalen PL mit der Komponente 「손(son)」 lassen sich Begriffe wie 「Arbeit」, 「Ta¨tigkeit」, 「Beziehung (sachlich oder menschlich)」, 「Leitung, Einfluss, Macht」, 「Besitz」, 「Hilfe」, u.a. als konzeptuelle Ausgangsbereiche interpretieren, die sprachlich durch mehrere Zielbereiche realisiert sind, unter anderem durch vebale PL mit der Konstituente 「Hand」/「손(son)」.「Hand」 ist Instrument/Werkzeung/Verha¨ltnis zur Arbeit, 「Hand」ist Macht sind generelle konzeptuelle Metaphern. Es ist evident, dass analytisch gewonnene Deskriptoren zu vebalen Somatismen mit gemeinsamer Basiskomponente 「Hand」/「손」 mehreren Konzepten zuzuschreiben sind. Bei den beobachten verbalen Somatismen im Deutschen und Koreanischen la¨sst sich einen hohen Grad der U¨bereinstimmung festlegen. Dies erkla¨rt sich aus der Tatsache, dass die Sprecher beider Sprachen die Welt identische oder zumindest sehr a¨hnlich konzeptualiseiren, obwohl Konzepte in Erfahrung und Kultur anders begru¨ndet sind. Hoffentlich soll unsere Studie nicht nur fu¨r duen DaF-Unterricht in Korea von Nutzen sein, sondern auch Hintergrundwissen fu¨r Lexikoneintragungen zu deutschen und koreanischen verbalen Somatismen vertiefen helfen.

      • KCI등재

        개인 특성을 나타내는 신체어 관용구의 비유적 의미에 대한 인지의미론적 연구

        박성철 ( Song Chol Park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22 언어와 언어학 Vol.- No.95

        In this study, the figurative meaning of some idioms representing personal characteristics was studied from a cognitive semantic perspective. The focus was on the kind of physical experiences the metaphorical concepts of those abstract concepts could be traced back to and their structures. For example, an analysis of the Korean somatic idioms with ‘눈’ and ‘눈물’ using the analytical tools of metaphorical mapping and image schema revealed that the idioms with ‘눈’ conceptualize mental ability and the idioms with ‘눈물’ conceptualize emotional competence. In detail, starting with ‘human is the body’ as the highest level of metaphor, it turned out that the concept of mental ability is traced back to the bodily experience of ‘brightening’, ‘opening’, and ‘broadening’, and that emotional competence, which is divided into ‘sensitivity’ and ‘emotional empathy’, is conceptualized by the presence and the amount of tears.

      • KCI등재

        러시아어 ‘분노’의 감정을 표현하는 관용구의 의미구조

        백경희 한국러시아문학회 2022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77 No.-

        The idiom expressing the emotional state of Russian ‘anger’ reflects the linguistic universality and unique cultural idiom based on universal human activities such as physical activity, brain activity, and emotional activity. In Russian idioms related to ‘anger’, physiological metonymy and conceptual metaphor interact to form a semantic structure. This is not a linear projection of one-to-one correspondence, but a directional metaphor that organizes the entire system based on the internal system of the spatialization metaphor. Directional metaphor is to give spatial orientation to certain concepts such as up-down, inside-outside, front-back, center-periphery, etc. The oriented metaphor of 'I'm feeling up now/I'm feeling down' is based on our daily experiential and cultural experiences. The external systematicity of the spatialization metaphor determines the coherence between the spatialization metaphors. For example, the spatialization metaphor of positive emotions gives [UP] orientation to general happiness, such as [Good is above], [Health is above], [Control is above], etc. On the other hand, the spatial orientation of th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of 'anger' is more dynamic than that of static emotional states such as ‘happiness’ or ‘sadness’. As an example of the incoherent external systemicity of the spatial metaphor of 'anger rises/the temperature of the fluid in the container increases', the negative emotion of 'anger' is directed toward [UP]. The negative emotion of 'anger' is based on the ‘container metaphor’ and the ‘metaphor of heat’, and it dynamically shows the way in which the emotion of 'anger' is vividly expressed the moving path of the emotional state through the ‘image schema’ of the spatial-oriented metaphor. Regarding the emotion of 'anger', the universality of the cognitive system is the basis, but in fact, when it is connected with a specific cultural model, it is not easy to find a clear correspondence between the concepts. Further, the more culturally constructed and historically based emotions are more variegated within individual cultures or more elaborated as conceptual metaphors. Therefore, these cultural idioms reflect the unique linguist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linguistic worldview such as the unique cognitive mechanism and way of thinking of language subjects in the long history, they can be meaningful data for the study of the conceptual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emo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