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재생에너지 기술혁신 개발과 R&D성과 사업화 촉진 방안

        이용석(Yongseok Lee),노도환(Do-Hwan Rho) 한국기술혁신학회 2009 기술혁신학회지 Vol.12 No.4

        신?재생 에너지는 석탄, 석유, 원자력, 및 천연가스가 아닌 태양에너지, 바이오매스, 풍력, 소수력, 연료전지, 석탄액화 가스화, 해양에너지, 폐기물 에너지 및 기타로 구분되고 있고, 이 외도 지열, 수소, 석탄에 의한 물질을 혼합한 유동성 연료를 의미한다. 세계 선진국들은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술개발 및 상용화를 위하여 중장기적인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과감한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에서 지금까지 추진해 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사업 유형 및 분야별 성과관리?확산, 사업화 추진이 소기의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고 있다는 실증적 효과분석이 필요하다.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연구는 대체에너지 및 태양열, 태양광, 바이오매스 등 각각의 기술에 대한 개발 보급 현황과 특수한 지역에 대한 타당성 검토 등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관련연구의 검토 결과는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재생에너지 혹은 전체 에너지 공급과 수급의 문제 나아가 특정 분야의 공급능력 향상을 위한 대책 등에 중점을 두고 있고,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확대에 따른 관련 사업의 능력 증대나 사업화 측면의 심층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라고 판단된다. 미국과 영국의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 지원정책 등은 우리나라도 유사하게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이 태양광 분야에서 주도적인 입장을 취할 정도로 전진한 배경은 정부주도지원, 기업참여, 사회적 이슈화 등을 들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사업화의 계량적 거시경제적 효과분석은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하는 ‘에너지원별 비용/편익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에 의한 관련 산업 생산 증대, 부가가치 향상 효과 등을 예측하는 기법을 적용한다.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투자와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및 발전량의 관계는 각각 정비례하고, R&D총투자에 의한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승수에 비해 에너지 발전량 승수가 상대적으로 약간 높았다. 이는 최종 소비재인 에너지 발전량에 대한 기술개발 영향이 크다는 의미이다.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에 대한 R&D총투자는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정부지원금은 정(+)의 영향이지만 민간투자액은 역(-)의 영향관계로 나타났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에 대한 연구개발 효과가 민간투자 보다 정부지원금에 의해 주도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에 대한 R&D총투자는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정부지원금과 민간투자 모두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발전량에 대한 연구개발 효과가 정부지원금과 민간투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의 시사점으로는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사업화 추진에 있어서 정부 지원정책도 중요하지만 민간의 투자와 적극적인 참여가 사업 성공의 관건이라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Renewable energy refers to solar energy, biomass energy, hydrogen energy, wind power, fuel cell, coal liquefaction and vaporization, marine energy, waste energy, and liquidity fuel made out of byproduct of geothermal heat, hydrogen and coal; it excludes energy based on coal, oil, nuclear energy and natural gas. Developed countries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se energies and thus have set the mid to long term plans to develop and commercialize the technology and supported them with drastic political and financial measures. Considering the growing recognition to the field, it is necessary to analysis up-to-now achievement of the government’s related projects, in the standards of type of renewable energy, management of sectional goals, and its commercialization. Korean government is chiefly following suit the USA and British policies of developing and distributing renewable energy. However, unlike Japan which is in the lead role in solar rays industry, it still lacks in state-directed support, participation of enterprises and social recognition. The research regarding renewable energy has mainly examinedthe state of supply of each technology and suitability of specific region for applying the technology. The evaluation shows that the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supply and demand of renewable as well as general energy and solution for the enhancement of supply capacity in certain area. However, in-depth study for commercialization and the increase of capacity in industry followed by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is still inadequate. ‘Cost-benefit model for each energy source’ is used in analysis of technology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and quantitative and macro economical effects of its commercialization in order to foresee following expand in related industries and increase in added value. First, Investment on the renewable energy technology development is in direct proportion both to the product and growth, but product shows slightly higher index under the same amount of R&D investment than growth. It indicates that advance in technology greatly influences the final product, the energy growth. Moreover, while R&D investment on renewable energy product as well as the government funds included in the investment have proportionate influence on the renewable energy growth, private investment in the total amount invested has reciprocal influence. This statistic shows that research and development is mainly driven by government funds rather than private investment. Finally, while R&D investment on renewable energy growth affects proportionately, government funds and private investment shows no direct relations, which indicates that the effect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n renewable energy do not affect government funds or private investment. All of the results signify that although it is important to have government policy in technology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private investment and active participation of enterprises are the key to the success in the industry.

      • KCI등재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술과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평가

        조경엽 ( Gyeong Lyeob Cho ),김영덕 ( Young Duk Kim ) 한국경제학회 2012 經濟學硏究 Vol.6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온실가스 감축의 경제적 비용과 신재생에너지 발전 기술의 보급 확대 가능성을 평가하는 동시에 신재생에너지 발전 기술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보다 비용 효과적인 새로운 국가 온실가스 감축 경로를 추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시점간 배출권 거래가 가능하면서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술이 내생적으로 결정되는 완전 동태적 CGE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기술이 온실가스 감축에 따른 GDP 손실과 배출거래가격을 큰 폭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 발전 기술이 확대됨에도 불구하고 분석기간 동안 GDP가 BaU 수준보다 증가하지는 않을 전망이다.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술이 없다면 시점간 배출권거래가 현재에서 미래로 판매하는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술이 도입되면 정 반대 형태로 거래가 이루어진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술 보급이 시간이 지날수록 확대되어 미래의 저감비용이 현재의 저감비용보다 낮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시기에 국가감축목표를 낮게 설정하고, 신재생에너지 발전기술 보급이 활발한 시기에 감축목표를 높이는 방향으로 설정해야 한다. 현재 한국의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20년에 30%에서 25%로 낮추고 2050년에는 50%에서 60%로 높이는 방향으로 재설정할 경우 GDP 손실은 연평균 0.3%p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This paper evaluates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induced technologies utilizing renewable energy (hereafter renewable technologies) and attempts to find new cost-effective paths to reduce greenhouse gas in the presence of renewable technologies. For these purposes, we build a fully dynamic CGE model, in which intertemporal emission trading is possible and renewable technologies are determined endogenously. This paper shows that renewable technologies can reduce GDP loss and lower emission trading price considerably. However, since the spread of renewable technologies will grow faster over time and, as a result, the future reduction cost will become lower than the present reduction cost, the national reduction target should be set in accordance with the diffusion level of renewable technologies. According to this optimal reduction path, the Korean 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 should be adjusted down from 30% to 25% for 2020, and up from 50% to 60% for 2050. Throughout these adjustments of the national reduction target, we expect smaller GDP loss by 0.3%p a year on the average.

      • 신재생에너지 기술수준 분석 및 국제협력 추진전략

        최봉하(Choi, Bongha),이성곤(Lee, Seonggon),홍성준(Hong, Seongjun),구기관(Koo, Kikwan),이덕기(Lee, Deokki),박수억(Park, Su-Uk)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6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은 2008년 '저탄소 녹색성장' 국가 비전 선포 이후 국가 에너지 R&D 전략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 이미 우리의 경쟁 대상인 선진국들은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중심축으로 녹색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활용하고자 국력을 집중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선진국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후발자이다. 기술적 핸디캡을 극복하고 대등한 경쟁에 뛰어들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기술보유 선진국과의 국제협력을 통한 시너지효과 창출이 필요하다. 이는 최고수준의 국가 및 기관들과 협력을 도모함으로써 기술개발 기간 단축은 물론 조기 기술격차 해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국가간 상호협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술 분야별 선진국 수준과 우리의 수준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주요 신재생에너지 기술들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전문가 조사를 통해 전세계 주요 국가 및 관련 업체들의 기술수준 및 협력 선호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에 더해 관련 기술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기술별 국제 협력 추진 전략을 시장주도형 모델과 공동연구형 모델로 나누어 수립하였다. 수립된 전략을 바탕으로 신재생에너지 기술 국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정책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다기준의사결정 기법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기술 평가의 우선순위 결정

        허성윤,조만석,이용길 한국혁신학회 2016 한국혁신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에너지 분야 전문가들에 대한 AHP 설문을 중심으로 향후 국내 신재생에너지의 빠른 보급 확대 및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개발 방향을점검하고 이와 관련된 정책적, 전략적 함의를 논하였다. 전문가 대상을 크게 정부, 학계, 발전사로 나누어 해당 집단별로 신재생에너지 기술에 대해 어떤 인식을 지니고 있는지 각집단별 의견 차이를 객관적인 수치 데이터를 통해 입증했다. 신재생에너지 기술 평가의 최우선순위에는 경제성 향상 기술이 위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문가들은 화석에너지원과 신재생에너지원의 그리드패리티를 달성하기 위한 제반의경제성 향상 기술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제성 향상 기술과 관련된 연구개발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소항목의 경우, 발전단가 하락 기술, 에너지 전환효율 향상 기술, 에너지 저장 기술이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 기술개발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국내 주요 연구개발주체들과 발전사업자들 또한 이러한 요소들에초점을 맞추어 R&D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방향과 관련해서 산학연의 의견 차이가 크지 않았다. 다만 정부의 경우, 외부성의 해소와 사회적 편익의증대를 위해 상대적으로 환경과 관련된 기술적 측면에 보다 큰 비중을 둘 것으로 예상된다. This paper aims at setting priorities of new and renewable energy technology development in South Korea, where total R&D budgets become more and more limited and scarce. For this purpose, the paper adopts AHP (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methods for the analysis. The authors have surveyed experts from triple helix (industry, government &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and university) and analyzed their responses quantitatively. Also, the authors tried to identify inter-sector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opinions, which means that there are any different views among industry, government, and university regarding new and renewable energy technology development. As result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riority setting on renewable energy technology development among triple helix. They all have higher priorities on economic feasibility enhancing technologies such as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enhancement technologies. Therefore, Korean renewable innovation system will focus more on economic feasibility enhancing technologies. Energy storage system gets more attention from triple helix and environment friendly technologies will be more important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계층분석법(AHP)을 이용한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정책 구성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허성윤,조만석,이용길 한국혁신학회 2016 한국혁신학회지 Vol.11 No.1

        Through the 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of Korean renewable energy policy, it seems that Korean expertises are setting higher priorities on technology policy rather than regulation policy and supportive policy. Even though regulation policies such as RPS, RFS, and RHO can achieve short-term goals of renewable diffusion, technology policies and supportive policies of renewables can provide long-term vision of Korean integrated energy system. Among triple helix of Korean renewable energy innovation system (government-university-industry), Korean government has focusing regulation policies, instead Korean industries prefer supportive policies and universities prefer technology (R&D) policies. Regarding technology policy, cost down technologies of generation, energy transforming technology, and ESS (energy saving and storage) technologies have accentuated. Therefore Korean government needs to set up integrative policy framework among regulation policies, technology policies and supportive policies of renewables. 온실가스 감축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관점에서 신재생에너지원 및 관련 기술이주목받아 왔다. 최근에는 환경적인 이유뿐만 아니라 일자리 창출 등 국가경제 기여도 측면에서도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부적인신재생에너지 정책 및 기술개발 방향에 대해서는 해당 주체의 이해관계에 따라 정부, 산업계등의 입장 차이가 명확해, 대부분의 경우 관련 정책의 도입 및 시행 과정에서 이에 기인한갈등이 존재해 왔다. 본 연구는 다기준 의사 결정법(Multi Criteria Decision Making)의 일종인 계층 분석법(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통해 향후 국내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한응답자 군별 시각 차이를 분석하고, 이들 간의 간극을 좁힐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신재생에너지의 빠른 보급 확대를 위한 정책수립 우선요인과 신재생에너지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개발 우선요인에 대한 의견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정부, 발전사업자, 학계 세 범주별 의견을 상세히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개발 방향에 대해서는 정부, 학계, 발전사의 의견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상대적으로 정책시행 방향과관련해서는 응답자 군별로 인식에 큰 간극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기술 정책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다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정책시행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국내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 현황 및 정책동향

        이창구(Lee, Chang-Koo),안종득(Ahn, Jong-Deuk),김희정(Kim, Hee-Jeong),조용희(Cho, Yong-Hee)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1

        최근 전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증폭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그 간의 지속적인 연구개발 지원에 힘입어 국산기술 확보 및 산업화가 점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더욱이 신정부에서는 국정지표인 녹생성장의 실현방안으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지원을 대폭 확대하고 있어 관련 기술개발 투자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국내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관련 정책 및 기술개발 동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특히 급속한 성장세 속에 2008년 전세계 태양전지생산량이 7.9GW1) 에 달한 태양광 분야는 우리나라가 강점을 갖고 있는 반도체, LCD 기술과 유사하여 국내의 축적된 기술과 인프라를 활용할 경우 조기에 세계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정부에서는 태양광 분야를 수출전략산업화 하기위해 집중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간의 기술개발 현황, 실적 및 향후 전망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신재생에너지 생산이 경제성장과 CO2 배출량에 미친 영향 분석: OECD 국가를 중심으로

        강현수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2 경영경제연구 Vol.44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newable energy production on economic growth and CO2 emissions for OECD countries. This study used the panel data for OECD countries from 2000 to 2019. In order to analyze the nexus of renewable energy production on economic growth and CO2 emissions, this study adopted the OLS(ordinary least squares) and fixed effects for economic growth and CO2 emission model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ncrease of capital and renewable energy production have contributed to the economic growth, and renewable energy production and economic growth have the U-shaped relationship. Second, the increase of renewable energy production and related patents affect the decrease of CO2 emissions for G7 countries, and renewable energy production and CO2 emissions have the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Korea is a country with a relatively low proportion of renewable energy production among OECD countries, and therefore we need to raise the proportion of renewable energy production for preparing the ‘net zero’. 본 연구는 신재생에너지 생산이 경제성장과 CO2 배출량에 미친 영향을 OECD 국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9년까지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이 이루어 졌다. 특히 경제성장과 신재생에너지 생산의 관계를 설정한 경제성장 모형과 CO2 배출량과 신재생에너지 생산의 관계를 설정한 CO2 배출량 모형을 통해서 통상최소자승법과 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하여 패널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본과 신재생에너지 생산의 증가는 경제성장에 도움이 되었으며, 신재생에너지 생산과 경제성장과는 U자형의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G7 국가의 신재생에너지 생산과 신재생에너지 생산 관련 특허의 증가는 CO2 배출량을 감소시켰으며, 신재생에너지 생산과 CO2 배출량은 역 U자형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서 향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 경제성장과 환경오염물질 배출의 감축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생산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 연료전지를 이용한 발전기술의 에너지-환경 파급효과

        김호석(Kim, Ho-Seok),김정인(Kim, Jeong-In),추민정(Choo, Min-Jeo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06

        현재 국내 수소 관련 연구는 생산, 운반, 저장 등 공급과정의 기술과 발전, 수송 등 이용기술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개발 중인 MCFC 발전설비에 대한 기술 및 비용 특성을 이용하여 LEAP모형시스템 기반의 ROK2003-H2 모형을 구축하고 정부의 '제2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2003~2012)'의 계획에 따른 수소에너지(연료전지) 보급의 에너지/환경부문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분석 대상이 되는 기술은 Molten Carbonate 연료전지를 이용한 2MW급 발전기술로, 2008년 70MW가 설치되기 시작하여 2011년까지 매년 100MW증설되어 2011년 전체 설비가 370MW에 이르는 것으로 시나리오를 구축한다. 설비의 에너지효율성은 연료전지 발전설비가 처음 도입된 2008년에는 45%로 가정하고 2009년-2011년 간에 5%씩 상승되어 2011년에는 60%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2011년에 연료전지의 발전설비를 370MW로 확대하는 경우에 CO를 비롯한 대부분의 대기오염배출량이 감소하며, 온실가스 배출량 역시 35,433백만tC로 약 295백만tC가 감소한다.

      • KCI등재

        DEA를 이용한 청정에너지기술 R&D 효율성 분석 : 신재생에너지기술 R&D과제를 대상으로

        우청원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기술혁신학회지 Vol.22 No.4

        In order to create a sustainable environment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the government has expanded investment in the development of clean energy technologies and presented challenging targets such as the ‘Renewable Energy 2030’.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efficient R&D investment measures are emerging as major issu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ve efficiency of R&D projects related to renewable energy in clean energy technologies in 2010.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efficiency of new and renewable energy R&D projects was low overall, mainly due to the unexpected investment scale. On the other hand, mid/long-term investment of wind power and bio R&D should continue because wind power and bio R&D projects showed increasing return to scale. As a result of super efficiency analysis, solar R&D project was the highest efficiency. The implication is that new and amount of renewable energy R&D investment is should be reorganized to meet the R&D project goals and R&D characteristics, and R&D efficiency analysis should be preceded in setting R&D budget investment directions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환경오염, 기후변화 등에 대응해서 지속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정부는 청정에너지기술개발을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신재생에너지 2030 목표’와 같은 도전적인 목표를 제시했다. 이러한 목표를 달 성하기 위해 효율적인 R&D투자를 위한 방안이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0년 청정에너지기술 중 신재생에너지 관련 R&D과제를 대상으로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 과, 신재생에너지 R&D과제 전반적으로 효율성은 낮았고, 그 원인은 비경제적인 투자 규모 때문이었다. 반면, 풍력과 바이오는 규모수익 체증을 보였기 때문에 중장기적인 투자가 계속되어야 한다. 초효율성 분석결과, 태양광 R&D과제가 가장 높은 효율성을 보였다. 시사점은 R&D과제 목표와 특성에 맞게 R&D 규모 재조정이 필요하고, 신재생에너지원별로 R&D 예산 투자 방향 설정시 R&D 효율성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해상풍력 기술의 사회-기술시스템 전환과정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김봉균(Kim Bonggyun),김덕영(Kim Dukyoung),김경남(Kim Kyungnam),김동환(Kim Donghwan)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 기술혁신학회지 Vol.17 No.2

        새로운 에너지 기술이 기존 사회시스템과 공존하며 확산되는 과정은 저탄소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꼭 필요하지만 어려운 여정이다. 정부주도로 추진되고 있는 서남해 2.5GW 해상풍력사업은 대용량 신재생에너지발전을 중앙전력계통으로 연계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성공적인 해상풍력발전의 도입을 위해서는 기존 사회기술시스템의 전환도 병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다층적 관점과 전략적 니치관리를 방법론으로 해상풍력기술의 니치전략 적용에 대한 에너지 시스템 전환을 분석한다. 연구결과로서 새로운 기술이 기존 레짐(regime) - 환경상황(landscape)과 연계, 소통을 거쳐 성장하는 과정을 다층적으로 분석하고 에너지체제와 신기술의 관계의 변화를 구조화 하였다. 또한 전략적 니치관리 연구를 적용하여 니치실험 착수단계에서 내재하는 장애요인을 진단하고 해상풍력 실증사업 지연의 원인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해상풍력 니치기술이 에너지체제와 다양한 제도 속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For the transition to the low carbon society, it is inevitable but difficult journey that the new energy technology spread co-exists with formal social system. The objective of offshore wind power plant that has been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is to connect large capacity new renewable energy to the central electric power system. Therefore,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offshore wind power system, the transition of the formal social technology system should be companied. This study analysis the energy system transition about niche strategy adjustment using Multiple Level Perspectives & Strategic Niche Management. It also multi level analyzes and structuralizes the process that new technology, as a research result, evolves through connecting and communicating with formal regime and landscape. Also, adjusting Strategic Niche Management, it diagnoses the obstructive factors in the initial stage of niche experiment and found the major reasons why offshore wind power test plant had been delayed. Through this study, it reaches to the practical implication that offshore niche technology could grow stably in the energy system and various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