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부모를 위한 식품첨가물 Risk Communication 책자 및 동영상 개발

        박은정,김정원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that can inform correct information on food additives to the parents of elementary student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on parents' perception and information needs on food additive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1,200 parents who lived in 9 districts of Seoul, Kyunggi, Chungchong, Kyungsang, and Gangwon province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parents did not have enough information, and concerned about the safety of food additives most. Based on the results, a book named by ‘Smart Mom Just know Food Additives' and a CD titled by "Food additives, the accused" were developed. The contents of the book included 4 main reasons of using food additives, smart recipes (recipe for pickled Japanese apricot and a beef jerky), Mrs. Amana and Dr Smart, a health stone bridge, food additives inside food, quiz, expert columns on proper intake of food additives, Health food life, a guide of Smart Mom’s food additives, useful web sites, etc. The story of CD consisted of why food additives are accused, the trials in court to provide correct information on food additives, and a sentence by a judge for desirable dietary life, and the CD was developed by actual image and 3D-computer graphics. When the developed materials were applied to the parents, positive responses including correct understanding on food additives were observed (66.9% on booklet and 76.8% on CD). Also 81.8% of the parents was satisfied with the pictures and design of the book, and 65.7% with the appropriateness of the character and story of the CD. Above results showed that the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inform knowledge on food additives, food safety and increase the awareness and the right attitude about food additives to parents. Therefore, the book and CD could be utilized as educational tools for the parents of elementary students to have proper awareness on food additives. 이 연구는 초등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 및 정보요구도를 파악하여 식품첨가물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교육매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2009년 5월 서울 및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강원도 등의 9개 지역 1,2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학부모들은 식품첨가물에 대해 잘 모르고 있었고,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을 가장 궁금해 하여, 교육홍보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Smart Mom 식품첨가물 바로 알기’ 책자와 ‘식품첨가물 고소사건’이라는 3D 동영상을 개발하였다. 책자의 내용으로는 식품첨가물 존재의 이유 4가지, 스마트 레시피(매실 장아찌와 육포 만들기), 어머나 여사와 스마트 박사, 건강돌다리, 식품 속의 식품첨가물, 퀴즈, 전문가 칼럼(바람직한 식품첨가물 섭취방안)을 담았고, 건강식생활가이드, 스마트맘의 식품첨가물 길잡이, 막연한 공포 부추기는 TV, 스마트맘에게 주는 메시지, 스마트 검색창, 알아두면 유용한 사이트 등의 내용을 담았다. 동영상의 내용으로는 한 학부모가 자녀의 알레르기 원인이 식품첨가물이 원인이라고 생각하여 식품첨가물을 고소하게 되고, 법정에서 학부모와 식품첨가물 캐릭터들이 변론을 하면서 식품첨가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올바른 식생활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었으며, 실사와 컴퓨터 그래픽을 합성한 6분 길이의 고급 3D 동영상으로 제작되었다. 개발된 매체를 시범 적용한 결과 학부모들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는 긍정적인 응답(책자-86.9%, 동영상-76.8%)을 얻었으며 책자의 모양, 그림, 디자인의 적절성 81.8%와 동영상의 인물이나 상황의 적절성 65.7%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학부모들에게 식품첨가물에 대한 올바른 지식 전달을 하고 식품에 대한 안전성에 대한 의식을 높이며 식품첨가물에 대한 바른 태도를 갖게 하는데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책자와 동영상은 학부모들에게 식품첨가물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게 하는 교육매체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식품첨가물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초등학생용 스마트 교육 매체 개발

        황보미,검선아,김정원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3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그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식품첨가물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 스마트 교육 매체인 앱(App)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3년 3~4월에 걸쳐 서울 및 경기도의 4~6학년 초등학생 총 370명을 대상으로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과 정보요구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서 는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과 정보요구도, 앱 선호도에 맞춰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362부(유효 표본 수거율 97.8%)를 대상으 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진의 브레인스토밍과 전문가 자문을 거쳐 ‘푸드애디와 놀자’라는 앱 을 개발하였다. 이후 서울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4개 학급, 총 105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앱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 다. 일주일간의 시범적용 기간을 거친 후 사후설문지를 활용하여 개발된 앱의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에 대해 비교적 높은 불안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반해 식품첨가물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발된 앱 ‘푸드애디와 놀자’에서는 식품첨가물의 역할, 필요성, 종류 등 전반적인 정보에 대하여 만화, 조작활동, 게임 활동 등 다양한 정보전달 방식을 활용하여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적용 결과 앱을 사용하여 교육을 한 후에는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어 효과적인 위해정보전달(risk communication)이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생활교육을 위해 개발된 다양한 매체가 홍보 미비로 인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지 못한 점을 감안할 때, 향후 교사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앱을 포함하여 다양한 식생활교육용 스마트 매체의 활용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smart application (App) to provide sound information on food additives and food safety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isk communication tool. A survey was conducted from 37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find out the perception, information demand on food additives and preference tendency about smart application.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consulting from food science experts, an App called 'Let's Play with Food Addy' was developed. Then it was applied to 105 student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s an educational tool.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eared to have ambiguous fears on the safety of food additives, and were curious about the function, necessity, and the types of food with food additives. Second, an App consisting of 6 menus of Food Addy’ story, webtoon of food time machine, cooking activity, OX quiz, animation, and Addy's library, were developed to suit the nee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implementing various activities and animation.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children on food additives was observed after intervention, sugges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pp as a risk communication tool. Third, even though there are lots of educational material on food education, they have not been widely shared among elementary teachers. Therefore, the efforts to share these educational tools are necessary through teacher's workshops, training programs and so on.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식품첨가물(아질산, 아황산)의 Risk Communication 매체 개발

        권대희,최성희,김정원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햄, 소시지, 마른 과일 등의 가공식품에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인 아질산·아황산에 대한 인식 및 정보요구도를 조사하여 아질산·아황산에 대하여 올바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 전달 매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아질산·아황산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2009년 4월, 서울, 경기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학부모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부모들은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에 대해 가장 염려하고 불안해하는데 반해, 실제 섭취량은 ADI(1일섭취허용량: 사람이 어떤 물질을 일생 동안 매일 먹더라도 유해한 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하루 체중 1kg당 섭취량)에 훨씬 못 미치는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브레인스토밍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위해 정보 전달 매체인 ‘Smart Mom-아황산·아질산 바로알기’ 매체 및 e-book을 개발하였으며,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였다. 첫째, 식품첨가물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 식품첨가물의 의미, 식품첨가물의 종류가 증가하는 이유, 엄격한 안전성 실험, 식품성분표시 읽기를 담았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건강한 식생활을 주도하고 있는 학부모들의 관심을 고려하여 아질산·아황산 함유 식품, 엄마표 홈메이드 소시지 만들기, 첨가물을 줄일 수 있는 조리법을 담았다. 셋째, 학부모들의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식품첨가물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게 안내하기 위해 1일섭취허용량(ADI) 알아보기, 알아 두면 유용한 사이트를 담았다. 학부모 대상 현장 시범 적용을 통해 개발 된 매체의 이해도와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 매체의 내용이 식품첨가물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얻고,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의식을 높이며 아질산·아황산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형성하는데 기여하였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매체는 초등학교 학생을 자녀로 둔 학부모들에게 식품첨가물과 아질산·아황산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는 정보 전달 매체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isk communication materials on food additives (nitrite, sulfur dioxide) for the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Nitrite and sulfur dioxide are the food additives used in ham, sausage and dried fruits which are the favorite processed foods of children. A survey was conducted from 350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ed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ir perception and information demand on food additives were analyzed focused on nitrite and sulfur dioxide. Although the parents were very concerned about the safety of food additives, the consumption levels through processed food, were far below the ADI.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 booklet called 'Smart Mom - sulfur dioxide and nitrite' was developed, and the contents included the following: the meaning and kinds of food additives, how to read food ingredient label, how to reduce food additives during cooking, ADI (Acceptable Daily Intake), useful web site to resolve a fear and getting sound information on food additives, etc.. When the developed risk communication booklet was applied to 90 parents as a dietary educational material, the results were very satisfactory, which suggested the effectiveness of the material. Therefore, the developed material 'Smart Mom - sulfur dioxide and nitrite' could be used to facilitate the risk communication on food additives for parents who have great interests on their children's dietary life by providing sound information on food additives.

      • KCI등재

        EU의 식품첨가물규범체계를 통해 본 식품안전정책

        김두수(Kim, Doo Su) 한국국제경제법학회 2013 국제경제법연구 Vol.11 No.3

        국제사회는 1995년 1월 1일 WTO가 출범하여 ‘통상자유화’가 원칙적으로 적용되면서 먹을거리의 안전성확보(식품안전정책)에는 사실상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통상무역에서 소위 사전예방조치는 극히 제한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통상자유화의 시기에 맞물려 공동시장체제를 갖춘 EU도 먹을거리의 안전성확보가 불안하였다. 1997년 영국에서의 광우병(BSE) 위기가 그 시발점이 되었고, 역내 ‘상품의 자유이동’을 보장하고 있으나, ‘식품법’ 영역에서는 규제완화가 아니라 오히려 규제를 더욱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광의로서의 식품첨가물은 식품 본래의 구성성분이 아닌 것으로서 기술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식품에 첨가되거나 혼입되는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식품의 ‘제조·유통·보존’에 있어서 ‘뚜렷한 사용목적’을 가지고 식품에 첨가되는 화학물질을 말한다. 정상적인 식품첨가물은 식품의 ‘제조·유통·보존’ 등 과정에서 보통 ‘소량’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공중보건’에 유해한 물질이나 식품위생법에 위반되는 일체의 물질은 제외하고 있다. 본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공동시장체제를 갖춘 EU는 유럽 내에서의 식품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식품첨가물에 관한 E-number를 사용하는 등 “식품첨가물에 관한 통합규칙”을 제정하고, “승인된 식품첨가물 재평가프로그램규칙” 등의 법령을 마련하여 규제하고 있다. 특히 승인된 식품첨가물의 재평가를 위한 체계적인 일정을 통한 관리를 통해 역내에서의 먹을거리의 안전성 확보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식품위기가 발생했을 경우에 이에 대한 사후적 해결책을 강구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사전에’ 보다 체계적으로 EU 역내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을 관리한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 우리나라도 식품첨가물을 엄격하게 관리하고,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며, 새로운 과학적 또는 기술적 발전이 반영된 재평가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자체적인 먹을거리의 안전성 확보(식품안전정책)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식품첨가물을 위시한 식품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거론되는 ‘사전조치’의 필요성을 재고하여 식품첨가물에 대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엄격하게 관리해야 할 것이다. Food additives are substances added intentionally to foodstuffs to perform certain technological functions, for example to colour, to sweeten or to help preserve foods. In the European Union(EU) all food additives are identified by an E number. Food additives are always included in the ingredient lists of foods in which they are used. Product labels must identify both the function of the additive in the finished food(e.g. colour, preservative) and the specific substance used either by referring to the appropriate E number or its name. The most common additives to appear on food labels are antioxidants(to prevent deterioration caused by oxidation), colours, emulsifiers, stabilisers, gelling agents and thickeners, preservatives and sweeteners. Under EU legislation, food additives must be authorised before they can be used in foods. Authorisation by risk managers follows a thorough safety assessment carried out by the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EFSA). The EFSA has three main activities in relation to food additives: Evaluating the safety of new food additives or proposed new uses of existing food additives before they can be authorised for use in the EU, Re-evaluating all food additives already permitted for use in the EU before 20 January 2009 and Responding to ad-hoc requests from the European Commission to review certain food additives in the light of new scientific information and/or changing conditions of use. Once authorised, these substances are compiled on an EU list of permitted food additives, which also specifies their conditions of use. They must also comply with approved purity criteria laid down in Regulation 231/2012/EU. In December 2008, existing legislation was consolidated into four simplified regulations covering all so-called food improvement agents(i.e. food additives, food enzymes and flavourings). Regulation 1331/2008/EC introduced a common authorisation procedure for these agents. Regulation 1333/2008/EC on food additives established a Union list of authorised food additives, which was published in full in Regulation 1129/2011/EU. The Korea Republic must also strengthen regulations on food additives, as the EU has done, specially in relation to the reassessment of authorised food additives to prevent food crisis in advance.

      • KCI등재

        초등학생의 바른 식생활을 위한 식품첨가물 교육매체 개발

        김경희,최성희,김정원 한국실과교육학회 201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on food additives for elementary students to improve their perception on food additives and dietary life. Based on a survey and previous researches, educational material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children as a trial to facilitate risk communication on food additives.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research in detail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a survey was conducted from 1,231 elementary children to diagnose the perception and information needs on food additives.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children did not have enough knowledge and demanded the safety information the most due to the fear and lack of education on food additive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risk communication materials including a booklet called 'Go! Addy School', an animation named 'Food Additives! Please save ice cream!, and a flash quiz called 'I know what food additives are' were developed by the brainstorming of research team and review of professionals. The contents were focused on sound understanding and delivering safety information on food additives by reflecting the factors of fun and interests in the scenario. When the developed materials were evaluated by applying to about 100 children, majority of them showed a high understanding(94.1%) and satisfaction(78.2%) levels. Therefore, these risk communication materials on food additives for children could be utilized in elementary school to provide balanced information on food additives to elementary students for their healthy and safe dietary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식품첨가물에 대한 위해정보전달(risk communication)을 촉진하여 어린이들이 식품첨가물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갖고 바람직한 식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보전달 매체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대상 설문조사 및 국내 선행연구 분석에 기초하여 식품첨가물에 대한 소책자, 동영상 및 플래시 퀴즈를 개발하였고 이의 현장 적용을 통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연구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식품첨가물 섭취 취약계층인 초등학교 고학년 어린이 1,2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과 정보 수요도를 파악한 결과, 어린이들은 식품첨가물에 대하 잘 알고 있지 못했으며, 식품첨가물에 대한 교육의 부재 및 불안감으로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었다. 이를 기초로 하여 연구진의 brainstorming,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식품첨가물 안내 소책자인 ‘Go! 애디스쿨, 식품첨가물 바로알기’, 동영상인 ‘식품첨가물아! 아이스크림을 구해줘’, 그리고 플래시 퀴즈인 ‘식품첨가물 바로알기’를 개발하였다. 교육매체의 내용은 식품첨가물 전반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안전성 정보를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만화, 게임, 아이스크림 공장에서의 에피소드 등 흥미요소를 반영하여 구성하였다. 개발된 매체들을 초등학생 고학년 100여명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한 결과, 대다수의 어린이들로부터 내용과 구성에 있어 높은 이해도(94.1%)와 만족도(78.2%)를 보임으로써 그 효과를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식품첨가물 위해정보전달 매체는 앞으로 초등학생들에게 식품첨가물에 대한 균형 잡힌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교육홍보 매체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어린이들이 안전하고 바른 식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 KCI등재

        광주지역 고등학생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

        정화영,정난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cognition of food additive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food edu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560 students who are boys and girls of high schools in Gwangju. Data were analyzed by a SAS program. According to the survey, an usual recognition for additive food according to related variable showed that it was the highest ratio of 4.18 that policy on complete labeling of foods should be requested for additive food but it showed the lowest 2.17 that additive food is promoting quality of food. In a difference of a degree of a correct answer of knowledge for additive food and knowledge according to related variable, a degree of a correct answer of knowledge for additive food showed a lot of interest in safety in that knowledge for safety showed 79.45 but were showed much lower 7.5% for a degree of a correct answer of actual knowledge of additive food among food ingredients labels. A a degree of a demand of information, safety concerns and understanding a uses of additive food according to sex and a grade showed that in a degree of a demand of information, the students have ever heard information of additive food was the girls were more than the boys and also freshmen were the most answered and have ever heard term of additive food was the boys were more than the girls and the sophomore students were the most answered questionnaire for media of TV․Radio․Newspaper and so forth. A degree of necessity the students know additive food was the most answered of positive from the boys and freshmen. Where the students would like to learn additive food was answered of media from the boys, school teacher from the girls, school teacher from the freshmen, media from the sophomore and the junior.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아 고등학생들의 식생활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 소재의 남․여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 56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520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Program Package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일원변량분석, t 검증, Chi-Square(x2) 검증을 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 Duncan의 다중범위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변인에 따른 식품첨가물의 일반적 인식은 식품첨가물에 대해 식품 완전표시제가 꼭 필요하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식품첨가물이 식품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났다. 비싸더라도 식품첨가물이 없는 식품을 먹으려고 한다는 가정의 월평균 수입과 한달 용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색깔이 예쁜 과자를 보면 더 먹고 싶은 생각이 든다는 성별에 따라, 식품 제조시 식품첨가물은 꼭 필요하다는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햄․소시지가 왜 붉은색인지 궁금한 적이 있다는 학년과 어머니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밀가루는 대부분 흰색인데 우리 밀은 왜 노란색인지 궁금한 적이 있다는 성별, 학년, 어머니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식품첨가물은 통제가 충분하다는 성별과 학년에 따라, 조미료가 첨가되어 있는 식품을 구분할 수 있다는 어머니 학력과 한달 용돈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식품첨가물 지식과 관련변인에 따른 지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식품첨가물에 대한 지식 정답율은 안전성 관련 지식에서는 아주 높게 나타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지만 식품 성분 표시 중 식품첨가물의 실제 지식 정답율은 아주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년과 어머니 학력에 따라 식품첨가물의 지식 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성별과 학년에 따른 식품첨가물에 대한 정보 요구도, 안전성 인식, 용도 인식은 식품첨가물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가는 여학생과 1학년이 가장 높아 차이를 나타냈으며, 식품첨가물이라는 용어를 어디에서 알게 되었는지와 식품첨가물에 대한 정보를 어디에서 얻는가는 주로 TV․라디오․신문 등의 대중매체이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그리고 2학년이 가장 높아 차이를 나타냈다. 식품첨가물에 대해 알아야 할 필요성의 정도는 남학생, 1학년이 높아 차이를 나타냈다. 식품첨가물에 대해 배우고 싶은 곳은 남학생은 대중매체를, 여학생은 학교 선생님으로 그리고 1학년은 학교 선생님, 2학년과 3학년은 대중매체로 나타나 차이를 나타냈고, 안전성 인식에서 안전성이 가장 우려되는 항목으로는 1학년은 보존료, 표백제, 착색제 순으로, 2학년이 표백제, 보존료, 착색제 순으로, 3학년은 표백제, 보존료, 조미료․감미료․산미료 순으로 차이를 나타냈다. 식품첨가물의 역할인지는 여학생, 1학년이 가장 높아 차이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살펴 볼 때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이었지만, 실제로 식품을 구입할 때 필요한 식품표시 사항을 확인하는 정도가 낮았으며, 표기된 영양정보와 식품첨가물의 정보에 대해서 학생들의 수준이 아주 낮은 것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소비생활에 직접 도움이 ...

      • KCI등재

        온톨로지를 이용한 식품첨가물 정보 지식의 구축

        김은경(Eun-Kyoung Kim),김용기(Yong-Gi Kim)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7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7 No.1

        다양한 분야에서 온톨로지 기술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정보 검색과 정보자원을 재사용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안전정보포털에서 제공하는 식품첨가물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온톨로지를 구축하였다. 식품첨가물은 Protégé를 이용하여 OWL(Web Ontology Language)기반의 지식으로 표현하였다. 식품첨가물명, 기원, 목적, 기본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클래스, 속성, 관계를 정의하였다. 구축한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식품첨가물의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679개의 인스턴스를 구축하고 DL Query 질의를 통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보이는 식품첨가물 온톨로지를 이용하면 향후 관련 분야의 정보 검색 시스템 통합 및 개선에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Studies for efficient information retrieval and reuse of information resources using the ontology techniques are being in progress in various fields. In this paper, we build an ontology to provide a food additive information for consumers given by the KFDA and food safety information portal. Food additives were represented in OWL based knowledge using Protégé. We defined Class, Property, Relationships for providing food additives names, origins, purposes and basic information. In order to retrieve the information of the food additive, we built 679 instances with an ontology, and confirmed the results through DL Query queries. We can expect that the food additives ontology shown in this paper will help the integration and improvement of the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of the related fields in future.

      • 식품첨가물 투여가 유년기 마우스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김동욱,김은해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4 과학영재교육 Vol.6 No.2

        Nowadays, adolescents intake a great deal of favorite foods in daily life, while various food additives are included in those which adolescents prefer. However, research about the effect of food additives on adolescents has been insufficient. Therefore, this research used tender aged mice to verify the effect of excessive food additives intake by adolescents and to suggest their hazard. Three additives(vanillin, caramel color II/III), selected by groceries survey, were administrated per os for 14 days to 3 week-old male mice. As a result, food additives intake induced poor growth in body weight change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Behavioral analyses through open field test indicated hyperactivity in the group that ingested vanillin. Blood test based on leukocyte concentration showed the possibility of immune system deterioration by vanillin. Taken together, this research suggested the probability of hazardous effects on adolescents occurred by food additives, especially on growth rate and immune system. Moreover, this research offered a groundwork for further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additives and adolescents.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식품첨가물을 과다하게 섭Effect of Food Additives Administration on the Growth of Juvenile Mice 107 취하였을 때의 영향을 유년기 마우스를 통한 연구로확인하고, 그 위험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식품 조사를통해 선정한 3종의 식품첨가물(바닐린, 캐러멜색소II/III)을 3주령 수컷 마우스에게 2주간 경구 투여하였다. 체중 측정을 통해 식품첨가물의 투여가 성장 부진을 일으킴을 확인하였다. Open field test로 행동을분석한 결과 바닐린을 투여한 그룹에서 과잉 행동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백혈구 농도 측정을 바탕으로한 혈액 검사를 통해 바닐린이 면역 감소의 가능성을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식품첨가물이 청소년의 성장과 면역체계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청소년의식품첨가물 섭취에 대한 향후 연구의 가능성과 기반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식품첨가물(아황산․아질산)에 대한 초등학생용 교육정보 매체 개발 및 평가

        양상희(Sang-Hee Yang),김정원(Jeong-Weon Kim)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어린이 기호가공식품인 햄, 소시지, 말린 과일 등에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인 아황산․아질산에 대한 인식과 섭취실태 및 정보 요구를 파악하여 아황산․아질산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위해 정보 전달 매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2009년 3월부터 아황산․아질산에 관한 선행 연구 자료를 분석하고, 서울 및 수도권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남녀학생 341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인식과 정보 요구를 분석하였다. 가공식품 섭취빈도조사 결과 설문대상자들의 아황산․아질산 섭취수준은 1일허용섭취량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협의 과정을 거쳐 정보 전달 매체인 ‘GO! 애디스쿨! 말린과일․소시지 등에 들어있는 아황산․아질산 바로 알기’ 책자를 과학잡지의 형태로 개발하였다. 책자에서 제공한 내용은 아황산․아질산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만화의 형태로 흥미있게 구성하였으며, 1일섭취허용량의 개념과 계산, 이야기식 설명 등의 내용을 담았다. 또한 어린이 식생활 실천 지침과 식품구성탑에 대한 정보를 실어 안전하고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안내를 하였으며,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수준에 맞춘퀴즈, 인터넷을 이용하여 유용하게 학습할 수 있는 사이트 소개의 정보를 제공하였다. 개발된 매체를 시범 적용하여 설문을 통해 평가해 본 결과,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아황산․아질산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고 식품 안전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함양시키기 위한 연구 목적을 충실히 달성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매체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식품첨가물과 아황산․아질산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식생활 교육에 효과적인 식품 안전 정보 전달 매체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식품첨가물 위해 정보 전달 매체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도 활용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isk communication materials on sulfur dioxide․ nitrite for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the perception and the intake cond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food additives. From March 2009,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was condu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diagnose the current perception and information needs of elementary students on food additives including sulfur dioxide․nitrite from 341 students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Unlike the fear against food additives, the elementary students intake level of sulfur dioxide․nitrite was very lower than ADI level. Based on the results, the contents on sulfur dioxide․nitrite were developed as a science magazine form by brainstorming and consultation by experts. The material developed was titled as Go! Addy school! Understanding rightly of sulfur dioxide․nitrite and contained the comics of basic information, definition and calculation of ADI, scientific stories on food additives, usage of sulfur dioxide․nitrite, quizzes, introducing useful web sites, etc. When the material developed was evaluated by elementary students, very positive effects of risk communication including understanding on sulfur dioxide․nitrite and raising good attitude to food additives were observed. Therefore, the material developed could achieve its purpose to assi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ing proper perception on sulfur dioxide․nitrite and be widely used as effective materials in dietary education. Also it could facilitate the risk communication on sulfur dioxide․nitrite and elementary dietary education, and further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on other food additives.

      • KCI등재

        식품안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과 기능 분석 연구

        손정은,정의태,백진경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4

        With about 600 officially licensed food additives now living in modern people's lives, consumers' interest in the additives, food safety and harmfulness in food products is also increasing, and mobile services for consumers who want to properly recognize and purchase the safety of food they want to consume are being implemented at home and abroad. In this study, six major applications that provide food safety information were analyzed for functions and designs, evaluated by design experts and evaluated for usability to actual users. Through the function and design analysis results, three similar domestic applications were selected, and the design experts were evaluated for UI and usability, and two of the most similar applications were selected for usability testing.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two applications were similar in usability, but considering the overall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strictest available food safety application. After this study, we propose improvements in the design of food safety applications and existing designs and functions to help improve the convenience of food application developers and users, and thus to ensure the safe and correct eating habits of the people. 국내에 공식 허가된 식품 첨가물은 약 600개에 달하여 이제 현대인들의 삶 속에 공존하고 있으며 식품에 함유되어있는 첨가물과 식품의 안전성, 유해성에 관한 소비자의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고자 하는 식품의 안전성을 올바르게 인지하고 구매하고자하는 소비자들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가 국내외에서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안전정보를 제공하는 대표 애플리케이션 6개의 기능과 디자인을 분석하고, 디자인 전문가 평가 및 실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기능 및 디자인 분석결과를 통하여 비슷한 성격의 국내 애플리케이션 3가지를 선정하여 디자인 전문가에게 UI 및 사용성 등 디자인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후 가장 유사한 애플리케이션 두 가지를 선택하여 사용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테스트 결과 엄정, 엄선 두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이 비슷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종합적 결과를 고려하여 엄정이 가장 사용성이 높은 식품안전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식품안전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 시 고려해야 할 점과 기존 디자인과 기능의 개선사항을 제안하여 식품애플리케이션 개발자와 이용자의 편의 향상과, 나아가 국민의 안전하고 올바른 식생활 영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