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장점유율 및 시장점유율증가율의 가치관련성에 관한 연구

        오웅락,이용규 한국세무학회 2010 세무와 회계저널 Vol.11 No.2

        본 연구는 시장점유율 및 시장점유율증가율이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회계이익 및 순자산과 더불어 시장점유율이 주가수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1999년부터 2008년까지의 10년을 연구기간으로 하고 9,315기업-연도의 상장기업을 표본으로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장점유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회계이익 및 순자산에 의해 결정되는 주가수준이 높게 형성됨을 보여주었다. 둘째, 시장점유율이 전년도보다 증가한 기업이 감소한 기업보다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장점유율의 차이 및 증감에 따라 4개의 기업집단으로 구분하여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시장점유율이 높고 시장점유율이 증가하는 기업집단인 경우가 다른 기업집단과 비교하여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넷째, 시장점유율을 0.1이하, 0.1초과~0.2이하, 0.2초과~0.3이하, 0.3초과~0.4이하, 0.4초과~0.5이하, 0.5초과로 구간을 구분하여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시장점유율이 높은 구간일수록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순자산의 가치관련성은 0.5초과인 경우에만 다른 구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시장점유율이 높고 전년도보다 증가한 기업일수록 회계이익 및 순자산에 의해 결정되는 주가수준이 더 높게 형성됨을 보여줌으로써, 회계정보를 이용하는 투자자 등에게 시장점유율이 중요한 의사결정 정보임을 보여주었다는데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market share and its increase rate affect value relevance, through which I intended to show that accounting income, net asset and market share are significant factors to determine stock value. In order to verify this hypothesis, the present study analyzed 9,315 listed firms from 1999 until 2008.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the following. First, the higher market share companies have the higher its stock value determined by accounting income and net asset becomes. Second, the companies of increased market share over the previous year have higher value relevance than the companies of decreased market share. Third, 4 business group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market share difference and the increase and the decrease of market share, and then it turned out that the business group of higher market share and increasing market share has higher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than the other case. Fourth, I divided market share into 6 ranges:below 0.1, over 0.1~below 0.2, over 0.3~below 0.4, over 0.4~below 0.5, and over 0.5. Then, I analyzed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gets higher as market share increases;however, the relevance of net asset is higher only in the case of over 0.5. The contributions of this research are the following. Market share may be an important decision-making information for investors since this study showed that higher market share and increased market share over the previous year lead to a higher stock value determined by accounting profits and net assets.

      • KCI등재

        연구논문 : 감사인의 시장점유율 계속유지기간이 감사품질과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

        최승욱 ( Seung Uk Choi ),이우재 ( Woo Jae Lee ) 한국회계학회 2015 회계저널 Vol.24 No.2

        본 연구는 감사인의 시장점유율 계속유지기간이 감사품질과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감사인의 시장점유율 계속유지기간은 감사시장에서 특정 산업내 시장점유율이 지배적으로 높은 감사인들이 해당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연도 수로 정의하였다. 감사인 시장점유율을 이용한 선행연구는 주로 감사인의 점유율 집중화로 인한 영향과 시장점유율을 대용치로 사용한 산업전문성의 효과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일부 해외연구는 연간 시장점유율을 이용하여 횡단면적으로 전문성을 측정하는 방법이 가지는 한계점을 지적하고 있으며, 특히 국내 연구는 이렇게 측정한 감사인의 산업전문성이 감사품질 및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혼재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시장점유율의 횡단면적 특성이 지니는 한계점과 산업전문감사인 관련 국내 연구들의 혼재된 실증결과에 대한 개선 방안 중 하나로 시장점유율의 시계열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감사인의 시장점유율 계속유지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사품질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품질의 측정치로는 재량적발생액과 실제활동 이익조정, 적자회피 기업여부를 사용하였다. 또한 지배적 점유율을 피감사기업의 총자산 기준으로 20% 이상, 1위이면서 2위와 10% 이상 점유율 차이가 있는 감사인 및 피감사기업의 수 기준으로 다양하게 측정한 모든 경우에서 일관된 결과가 관찰되었다. 이는 지배적인 시장점유율을 보유한 감사인이 산업 내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감사품질을 낮추어 독립성을 훼손하기보다는 지속적으로 고품질의 감사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계속유지 기간과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 역시 양의 관련성을 가지고 있어, 감사인의 감사투입시간 증가로 인해 감사품질이 향상되며 높은 감사보수로 이를 보상받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추가분석으로, 표본을 대형감사법인으로 한정하여도 주요 결과는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산업전문감사인으로 표본을 한정한 결과에서는 유의성이 다소 감소하였다. 이는 감사인의 시장점유율 계속유지기간 변수를 통해 산업전문감사인에 의한 효과가 일차적으로 나타나는 동시에, 점유율 지속기간이 1년 이상인 표본 내에서 계속유지기간에 따른 효과가 이차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즉 시장점유율 계속유지기간은 횡단면적 전문성과 시계열적 전문성의 결합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감사인 산업전문성의 정의를 달리하거나 유가증권 및 코스닥 시장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는 주요 결과와 질적으로 동일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사인의 산업 내 시장점유율 계속유지기간은 비정상감사보수 및 비정상감사시간과도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공헌점을 가진다. 첫째, 다수의 연구가 감사인의 시장점유율을 산업전문성의 대용치로 채택하여 횡단면적 점유율과 감사품질의 관련성을 검증한 것에 비해 본 연구는 점유율 유지기간을 중심으로 시장점유율의 시계열적 측면을 조사하였다. 둘째, 해외연구와 달리 국내 연구를 통해 감사인의 산업전문성과 감사품질 및 감사보수 간의 관계에 있어 일관된 결론을 내리기 어려운 상황에서, 본 연구 결과는 감사인의 단순 시장점유율 뿐만 아니라 그 지속성을 고려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셋째, 감사인 간 인수합병으로 인한 감사시장 독점화가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산업 내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하는 감사인의 감사품질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whether the auditors’ length of years that maintaining their dominant market share affect audit quality, audit fees and audit hours. Although prior research finds that auditors with large market share produce high quality audit services, the literature generally ignores the effect of the length of years of auditors maintaining their dominant market share. In other words, previous empirical studies in auditing have investigated the link between industry specialist and audit quality by focusing on cross-sectional auditor market share. We extend the prior literature by examining time-series aspect of auditors’ market shares. Our study is also motivated by recent research stream that find there is no consistent evidence of specialist auditor effect on audit quality and audit fee premium(Minutti-Meza 2013). Minutti-Meza(2013) argue that industry specialist auditor literature has used each auditor within-industry market share calculated by cross-sectional regression and it is an indirect proxy for industry specialist. We believe that considering both cross-sectional variation and time-series aspect of auditors’ market share are more appropriate measure of industry specialization. Following prior studies, we use accrual-based earnings quality as a proxy for the audit quality. Our main audit quality measures are discretionary accruals estimated by Jones (1991) and modified by Kothari et al. (2005). Additionally, we also use real activity earnings management and tendency of loss avoidance. We find that the auditors’ length of years of maintaining dominant market share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audit quality. Specifically, an increase in the years of auditors having dominant market shares reduces discretionary accruals, real activity earnings management, as well as the likelihood of loss avoidance. We also find that audit fees and hours are increasing in those lengths of years. Our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auditors with dominant market shares and also maintaining their market share for several years input more audit hours to their client and client reward auditors’ effort by paying higher audit fees. Also our evidence suggests that higher audit fees and hours lead to higher audit quality. These results persist after restricting samples to Big N auditors. Our results are also robust to alternative definitions of industry specialist auditor. Additionally, length of years is positively related to abnormal audit fees as well as abnormal audit hours. Lastly, results are consistent in both Kospi and Kosdaq market samples. However, the relation between the years of auditors of having dominant market shares and audit quality is weaker in sample firms which audited by industry specialist auditors. Our results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in several ways. First, since prior studies ignore the inter-temporal time effect of dominant auditors on audit quality, our results provide evidences that these auditors produce high quality audit services and receive premiums on their audit fees. Second, auditing research focused on Korean audit market report mixed results on the effect of industry specialist auditor on audit quality. In our study, we argue that not only the cross-sectional market shares of auditors but also the time-series effect of auditors’market shares affects audit quality.

      • KCI등재후보

        한국 가전제품의 중국 수출 경쟁력 분석 : 시장점유율지수를 중심으로(MSI)

        양홍연(Hong-Yan Liang),이제홍(Je-Hong Lee)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21 기업과 혁신연구 Vol.44 No.3

        본 연구 목적은 한국의 대 중국 가전제품 수출현황을 분석함과 아울러 한국 가전제품이 중국시장에서 경쟁력 분석을 위해 시장점유율(MSI) 모형을 활용하여 중국 시장에서 한국과 일본의 가전제품 경쟁력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경쟁력 분석을 통해 한국 가전제품의 점유율 유지를 위해 어떤 경쟁전략을 수립해야 하는지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분석은 시장점유율지수(MSI) 모형을 이용하였다. 중국시장에서 한국과 일본의 시장점유율에 따른 경쟁관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 2010년~2019년 시장점유율 평균치에 기준으로 한국은 일본보다 시장점유율이 높은 품목이 9개 품목이 있으며, 2019년 시장점유율에 기준으로 한국이 일본 보다 시장점유율이 높은 품목이 7개 품목이 있다. 시장점유율을 기준으로 볼 때, 중국시장에서 가전제품은 한국과 일본이 비슷한 시장점유율을 보이지만 10년간의 변화추이를 살펴보면 일본의 시장점유율은 거의 하락추세가 나타나고 한국은 반수 이상의 품목이 상승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나타났듯이 한국의 가전제품이 일본의 가전제품에 대해 경쟁력에서 앞선 제품이 많아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Korea"s home appliance exports to China and compares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and Japanese home appliances in the Chinese market by using the market share (MSI) model to analyz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home appliances in the Chinese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competitive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to maintain the market share of Korean home appliances through competitive analysis. The analysis used the market share index (MSI) model.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petitive relationship according to market share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Chinese market,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market share from 2010 to 2019, Korea had nine items with a higher market share than Japan. Based on this, there are 7 items that Korea has a higher market share than Japan. In terms of market share, Korea and Japan have similar market shares for home appliances in the Chinese market, but looking at the trend over the past 10 years, Japan"s market share has almost declined, and more than half of the items in Korea have risen. However, as shown in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Korean home appliances are more competitive than Japanese home appliances.

      • KCI등재

        시장점유율이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의 원가행태에 미치는 영향

        최웅용(Ung-Yong Choi),이선화(Sun-Hwa Lee) 한국관리회계학회 2015 관리회계연구 Vol.15 No.2

        원가의 비대칭성에 관한 대표적 연구인 Anderson et al.(2003) 이후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직접적으로 원가의 행태와 관련된 기업내부의 경영조건 등 내생적 관점에 초점을 둔 반면에 시장 점유율이 원가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원가의 비대칭성이 시장점유율이라는 기업의 전략적 의사결정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장점유율 정도에 따른 원가행태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Anderson et al.(2003)의 모형을 확장하였으며, 1990년부터 2013년까지 유가증권시장(The Korea Stock Exchange) 에 상장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을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출원가의 경우 시장점유율이 높을수록 하방탄력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관리비의 경우 하방경직적인 원가구조가 시장점유율이 높을수록 하방경직성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시장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규모의 경제에 의한 효과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단위당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이것이 원가의 하방경직성을 완화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시장점유율의 변화(change)가 원가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매출액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시장점유율 변화와 매출액 변화율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 각각 하방경직성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매출액이 감소한 경우에도 원가를 감소시키지 않음으로써 시장점유율의 증가라는 기업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 결과가 원가 행태에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업 내부적 결정요인뿐만 아니라 시장점유율을 높이려는 기업의 전략적 의사결정에 의해 원가 행태가 차별화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ost behavior in order to manage and predict the cost which comes from the managerial decision-making. Specifically, costs are called to be “sticky” if the magnitude of the increase in cost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volume is greater than the magnitude of the decrease in costs associated with an equivalent decrease in volume. Since Anderson et al.(2003) studied this issue of cost stickiness, most of existing studies focus on the internal conditions of when and why this phenomenon occurs. Nonetheless, there is no sufficient research on companies’ cost behavior depending on market share. This empirical study is to find out how market share affects the cost stickiness. This study analyses cost behaviour for cost of goods sold(CGS), selling, general and administrative cost (SG&A) over the 1990~2013 periods. We draw an initial sample of firm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Our sample consists of 11,171 firm-years retrieved from the KIS-VALUEⅢ.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arket share affects the cost behavior via interaction between market share and changes in sales when sales are decreased. CGS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market share moves almost systematically, whereas CGS with the consideration of market share changes to be downward elastic. And SG&A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market share is downward sticky, whereas CGS with the consideration of market share tends to less sticky. The company with the higher market share has cost leadership and relatively superior power in relationship with value chains to response the decrease in volume. So, The higher the company has market share, the less the cost moves downward sticky. Secondly, change in market share significantly affects the cost behavior. CGS, SG&A tends to be more sticky when change in market share compared with previous year is included in the model. Even though volume decreases, the company which is willing to increase the market share would not decrease the cost in proportion to the decrease in volume because costs are the outcomes from both present market condition and the strategical management decision.

      • KCI등재

        기술혁신, 시장점유율 및 기업가치 간의 관계분석

        서란주,김진수 한국산업경제학회 2011 산업경제연구 Vol.24 No.5

        기업의 기술혁신과 시장점유율 그리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이 기업에게 어떠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많은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계속 상장된 제조업 영위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기술혁신과 시장점유율 그리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혁신에 대한 투입 및 산출 측면의 대용변수인 연구개발비비율과 특허출원수는 1% 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값을 보였다. 기업의 기술혁신이 증가할수록 기업가치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업의 시장점유율 역시 1% 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계수값을 보였다. 시장점유율이 증가할수록 기업가치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셋째, 기술혁신과 시장점유율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검정 결과 투입 측면의 연구개발비비율과 시장점유율 간의 곱 변수에 대한 회귀계수는 1% 수준에서 유의한 양(+)의 값을 보였다. 그러나 산출 측면의 특허출원수와 시장점유율 간의 곱 변수에 대한 회귀계수는 10% 수준에서 비유의한 양(+)의 값을 보였다. 따라서 기술혁신과 시장점유율 간의 상호작용이 기업가치를 상승시키는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주장을 부분적으로 지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가치의 향상을 위해 경영자는 지속적인 기술혁신을 추구함과 더불어 자사의 시장점유율을 증가시킴으로써 기술혁신의 효과를 증대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innovation, market share and firm value has been questioned. So,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echnology innovation, market share and interaction between the two on firm value by using the firms level panel data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continuously listed on KOSPI and KOSDAQ for the period 2001~2009. 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D ratio and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 representing the input and output of technology innovation, hav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firm value at the 1% significant level. It means that firm value increases as technology innovation increases. Second, market share als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firm value at the 1% significant level. This tells us that firm value increases as market share increases. Lastly, the interaction between R&D ratio representing the input of technology innovation and market share hav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firm value at the 1% significant level. But the interaction between patent application representing the output of technology innovation and market share have no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firm value at the 10% significant level. Consequently, it’s partially supported that interaction between technology innovation and market share increases the firm value. This study suggests that managers need effort to increase the market share and conduct technology innovation continuously for increasing firm value by boosting effect of technology innovation.

      • KCI등재

        A Study on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and Japanese Semiconductor Products in the Chinese Market

        Yanqi Li,Je Hong, Lee 한국무역금융보험학회(구 한국무역보험학회) 2021 무역금융보험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세계 전체 반도체 2위(메모리 반도체 1위) 생산국인 한국 반도체가 중국시장에서 점유율과 경쟁력 지수를 검증하기 위해 시장점유율지수(MSI), 수출편향지수(EBI)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기존의 반도체 강국인 일본반도체와 중국시장에서 시장점유율과 경쟁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반도체 시장의 추이분석을 통해 반도체 시장확대의 지 속성을 유지하기 전략을 수립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반도체산업에 대상으로 중국시장의 경쟁관계를 분석하였다. 시장점 유율(MSI) 분석결과, 단순히 수치로 살펴보면 10개 대상항목 중에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한국 과 일본 각각 반도체 5 부품이 차지했다. 한국은 기억장치(0.88%~11.59%), 부분품(4.71%~ 23.23%), 프로세서와 컨트롤러(2.77%~8.16%), 메모리(16.46%~32.45%), 그 밖의 기기(17.51%~ 41.09%) 5항목의 중국시장점유율이 일본보다 높다. 일본은 그 이외 5항목의 점유율이 한국보 다 높다. 실제로 한국은 중국시장 점유율 10% 이상 품목이 5개 더 많이 있다. 반면에 일본은 한국보다 10% 이상인 반도체 부품이 2개 더 많다. 전체적으로 시장점유율 분석한 결과, 한국 반도체산업은 일본보다 중국시장의 점유율이 높게 나타나고, 중국이 한국과 일본 양국으로부 터 수입된 반도체는 주로 반도체 제조장비와 집적회로이다. 그 중에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기계와 기기는 한국과 일본 양국의 중국시장 점유율이 모두 높아 이를 합치면 중국시장 69.61%~81.39% 차지하고 있다. Purpose : This study analyzed the market share index (MSI) and the export bias index (EBI) to verify the market share and competitiveness index of Korean semiconductors, the world's second largest semiconductor (memory semiconductor) producer, in the Chinese market. In particular, the market share and competitiveness of the existing semiconductor powerhouse, Japanese semiconductor, and the Chinese market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trategy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semiconductor market expansion through trend analysis of the Korean semiconductor market.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study analyzed the competitive relationship in the Chinese market for the semiconductor industries of Korea and Japan. As a result of the market share (MSI) analysis, if we simply look at the numbers, 5 semiconductor components in Korea and Japan each accounted for relatively compared among the 10 target items. Results : In Korea, memory devices (0.88%~11.59%), parts (4.71%~23.23%), processors and controllers (2.77%~8.16%), memory (16.46%~32.45%), and other devices (17.51%~41.09%) ) China's market share for item 5 is higher than that of Japan. Conclusions : In Japan, the market share of the other five items is higher than that of Korea. In fact, Korea has five more items with a market share of 10% or more in China. On the other hand, Japan has two more semiconductor parts with 10% or more than Korea. As a result of the overall market share analysis, the Korean semiconductor industry has a higher share of the Chinese market than Japan, and the semiconductors China imported from both Korea and Japan are mainly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and integrated circuits. Among them, flat-panel display manufacturing machines and devices have a high market share in both Korea and Japan, which together account for 69.61% to 81.39% of the Chinese market.

      • KCI등재

        산업 내 경쟁정도 및 시장점유율과 주가지체현상에 관한 연구

        김민수,이명건 한국산업경영학회 2020 경영연구 Vol.35 No.4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degree of competition, market share, and stock price delay within the industry, and investigates whether the stock price delay changes as the degree of competition and market share increase. The degree of competition within the industry was calculated by the Herfindal-Hershman index and the sum of top three companies with market share, and the market share was based on sales. The stock price delay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study of Hou and Moskowitz (2005),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mpanies listed on KOSPI market between 2003 and 201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competition within the industry, the higher the stock price delay,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n increase in the stock price delay due to the complex business environment as the degree of competition increases. In the results of dealing with market share and stock price delay, it was found that the stock price delay increases as the market share increase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higher the market share, the higher the monopoly propensity and the manager's opportunistic motivation, the lower the quality of information,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stock price delay is higher due to such low-quality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academia has explicitly demonstr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complex nature of competition and market share and the stock price delay. Companies are alerted to investing in consideration of them. Finally, those provide the need and basis for establishing policies to ensure that information is circulated smoothly and promptly for industries with high competition and companies with high market share. 본 논문은 산업 내 경쟁정도 및 시장점유율과 주가지체현상에 관한 연구로 경쟁정도와 시장점유율이 증가함에 따라 주가지체현상이 달라지는 지를 연구하였다. 산업 내 경쟁정도는 허핀달-허쉬만 지수와 시장점유율 상위3개 기업 합으로 계산하였으며, 시장점유율은 매출액 기준을 사용하였다. 주가지체현상은 Hou and Moskowitz(2005)의 연구를 따라 측정 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2003년부터 2015년 사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이다. 분석결과 산업 내 경쟁정도가 증가 할수록 주가지체현상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경쟁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경영환경이 복잡해져 주가지체현상 이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시장점유율과 주가지체현상을 다룬 결과에서도 시장점유율이 증가할수록 주가지체 현상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시장점유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독점적 성향과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동기가 높아 정보의 품질이 낮으며, 이러한 저품질 정보로 인하여 주가지체현상이 높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계에는 경쟁정도와 시장점유율이라는 복합적인 성격을 가진 변수와 주가지체현상과의 관계를 명시적 으로 실증하였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투자자들에게는 경쟁정도가 높은 산업과 시장점유율이 높은 기업은 주가지체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투자하도록 주의를 환기시켜준다. 끝으로 규제기관에게는 경쟁정도가 높은 산업과 시장점유율이 높은 기업에 대하여 정보가 원활하고 신속히 유통되도록 정책을 수립할 필요성과 근거를 제공한다

      • KCI등재

        시장점유율이 FTA의 환율전가도 영향 및 수출가격경쟁구조에 미친 영향: 국내 주요 수산물 수입시장을 대상으로

        임은선 한국무역학회 2023 貿易學會誌 Vol.48 No.2

        This study explores whether market share matters for ERPT and also for the effects of FTA on ERPT among exporting countries in the four major fishery import markets – frozen pollock, frozen mackerel, frozen tuna, and frozen spawn in South Korea. In addition, I investigate whether market share matters for price competition among exporting countries. For this, I estimate the export price equation based on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by utilizing data on export price in terms of Korean currency, and the cross rate between South Korea and the exporting countries from 2010:M1 to 2019:M12 for the four major fishery import markets.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market share of exporting countries in the import markets matters for the positive effects of FTA on ERPT; however, it is hard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the market share of exporting counties and ERPT. In addition, I find little evidence on the effects of market share on price competition structures among exporting countries. I believe that this study helps domestic fishery producers to understand that ERPT, the effect of FTA on ERPT, and price competition structures among exporting countries would be affected by the market share of each exporting country in the major fishery import markets in South Korea. Also, this study would help domestic fishery producers to think about how to deal with the effects of the change in the exchange rate on fishery markets for each FTA partner according to its market share after FTA is effective.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수입 수산물- 냉동명태, 냉동고등어, 냉동참치 그리고 냉동어란- 시장을 대상으로, 각 수출국이 차지하는 시장점유율에 따라, FTA 발효가 환율전가도에 미친 영향이 어떻게달라지는 지 살펴 보았다. 이에 더하여 각 수출국이 차지하는 시장점유율이 원화표시 수출가격 환율전가도에 미친 영향 뿐만 아니라, 수출국들의 가격경쟁구조에 미친 영향 역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0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각 수출국의 원화표시 수산물 수출가격과 각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개별 수출국별 교차환율의 월별 자료를 이용하여,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을 바탕으로, 각 수출국의 원화표시 수출가격함수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FTA 발효가 환율전가도에 미친 영향은 수출국인 FTA 회원국이 차지하는 시장점유율과 높은 상관관계에 있음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수출국이 차지하는 시장점유율과 원화표시 수출가격 환율전가도 그리고 다른경쟁국의 수출가격에 미친 영향 사이에서는 뚜렷한 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웠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국내 수산업자들은 국내 주요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각 수출국들이 차지하는 시장점유율에 따른 환율전가도 차이 및 FTA 발효가 환율전가도에 미친 영향의 차이 그리고 수출국들 사이의 가격경쟁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각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차지하는 시장점유율에 따라, 각 수출국별로 FTA 발효 이후, 환율이 국내 수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해 생각해 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중국시장에서 한국과 프랑스 화장품의 수출경쟁력 분석

        고해룡,이제홍 한국통상정보학회 2022 통상정보연구 Vol.24 No.2

        중국의 화장품 주요 수입국은 프랑스, 일본, 미국, 한국, 영국 등이며 최근 한국 제품의 수입이 큰폭으로 증가하였다. 화장품 주요 5개국의 수입비중이 86%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가별로 살펴보면 최대 수입국인 프랑스의 비중은 2014년 38%에서 2015년 30%로 감소하였고 일본 제품수입비중은 원전 사고, 반일 감정 등으로 수입증가세가 둔화되었다. 한국산 화장품 수입은 2015년 300% 가까이 증가하면서 한국 제품의 수입비중도 23%로 증가하였다. 한국 화장품은 세계시장에서 확장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중국시장에서 화장품 소비시장이 넓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화장품과 전통적인 경쟁력이 있는 프랑스 화장품의 중국시장에서 경쟁력 분석을 하였다. 경쟁력 분석을 위해 시장점유율지수(MSI)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최근 한국 화장품의 대규모 시장인 중국시장에서의 시장점유율지수를 활용하여 한국 화장품의 경쟁력을 보는데 있다. 본 연구 결과, 한국과 프랑스 화장품의 중국시장에서 시장점유율지수(MSI)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은 눈화장용 제품류(아이샤도 기타), 매니큐어용 제품류과 페디큐어용 제품류(네일에나멜 기타) 그리고 기초화장용, 메이크업용, 어린이용 제품류 기타 제품과 두발용 제품류(삼퓨 등) 하고 퍼머넌트 웨이빙용 또는 스트레이트닝용 제품류 등이 프랑스 동종 화장품 보다 시장점유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프랑스 화장품은 향수 및 화장수하고 분말상의 것(압축한 것인지의 여부 불문), 훼이스 파우다, 베이비 파우다(탈쿰파우다, 포함) 기타 제품과 입술화장용 제품류(립스틱 기타) 등 이와 같은 3품목은 프랑스 화장품이 한국 화장품보다 중국 시장점유율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한국 화장품의 제품에 대한 우수성이 높기 때문에 중국인의 눈높이에서 매력적인 장점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으며, 또한 우수한 한국 화장품을 중국 고객이 선호하는 마케팅 및 유통 전략수립하여 새로운 계층을 찾아 새로운 수요를 창출해야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시장진입이 소매업태간 시장점유율 변화에 미친 영향

        최지호(Jiho Choi),윤민석(Min-Suk Yonn),문연희(Younhee Moon),최성호(Sungho Choi) 한국유통학회 2012 流通硏究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는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시장 진입이 국내 소매업 경쟁구조에 미친 영향을 실증하는데 있다. 자료의 분석기간은 2000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이며, 기업형 슈퍼마켓이 월별로 진입한 점포수, 누적 점포수, 신규 SSM 사업체 중 165㎡ 미만 점포비율이 분석모형에 고려되어 소매업태별 상대적 시장점유율에 미치는 효과가 분석되었다. 한국표준산업분류 코드에서 종합소매업에 속해 있는 백화점, 대형마트, 슈퍼마켓, 체인화 편의점, 기타 음식료품 위주 종합 소매업으로 구분된 소매업태간 시장점유율은 매월 각 소매업태별 판매액을 합산하여 월별 총 소매판매액을 계산한 후, 각 소매업태의 판매액이 총 소매판매액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측정하였다. 통제변수로 소매업태별 종사자 수, 통화량(M2)이 모형에 추가되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신규 SSM 시장진입으로 인한 소매업태별 시장점유율 변화는 대형마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SSM의 누적 점포수는 모든 소매업태의 시장점유율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그 영향력에 대한 방향성이 소매업태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먼저 SSM의 확산은 대형마트와 편의점의 시장점유율을 감소시킨 반면에 백화점, 슈퍼마켓, 기타 음식료품 위주 종합 소매점의 시장점유율에는 긍정적인 공헌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 시사점,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이 제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