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이 바라는 청소년수련시설의 공간에 대한 탐색적 연구: 마포구 청소년 인터뷰를 중심으로

        조미영,장여옥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4 청소년시설환경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서 청소년이 바라는 공간과 관련하여 실제적인 일상을 조사하고 청소년수련시설에서 청소년들이 이용하고 싶은 공간에 대한 생각과 의견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수련시설을 알고 있거나 이용 경험이 있는 청소년 30명을 선정하여 2023년 8월 30일부터 9월 16일까지 그룹별 표적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인터뷰 질문은 연구진간 논의를 거쳐 만든 반구조화 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3개의 대주제와 9개의 하위주제, 21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첫째, ‘일상에서의 일화’에서는 마음 편하게 휴식할 공간을 찾아서, 폐쇄적 공간부터 개방적 학습공간까지, 골목에서 체육시설까지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둘째, ‘부족한 청소년 공간’에서는 휴식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공간 부족, 고비용과 알맞지 않은 학습공간, 거리‧환경의 제약 없는 스포츠공간 부재가 드러났다. 셋째, ‘바라는 이용공간의 형태’에서는 머무를 수 있고 자유로운 휴식공간, 집중할 수 있고 학교급이 분리된 학습공간, 청소년 전용 실내 스포츠 공간이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휴식공간의 확장과 적극적 홍보 방안 모색, 청소년 친화적 학습공간 구성, 청소년이 바라는 스포츠 공간으로의 재구성 등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이 바라는 휴식, 학습, 스포츠공간과 관련하여 실제 청소년들의 일상 경험을 조사하고 탐구하면서 그 실상을 드러나게 하였으며, 청소년수련시설의 기능 중 하나인 청소년 이용 시설 측면에서 휴식, 학습, 스포츠 기능을 갖춘 공간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daily life in relation to the space desired by youth in the community and to explore in-depth thoughts and opinions about the space that youth want to use in youth training facilities. To this end, 30 youth who know or have used youth training facilities were selected and a focused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for each group from August 30 to September 16, 2023. The interview questions in this study used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created through discussions between research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 3 main topics, 9 sub-themes, and 21 semantic units were derived. First, 'everyday incidents' derived from finding comfortable spaces for relaxation, ranging from enclosed areas to open study spaces, from alleys to sports facilities. Second, 'the lack of youth spaces' revealed a shortage of spaces for relaxation and stress relief, inadequate and inappropriate study spaces due to high costs, and a lack of sports spaces without constraints of distance or environment. Third, 'the desired forms of utilization spaces' included a comfortable and free relaxation area, a focused and school-grade separated study space, and a dedicated indoor sports space for youth.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s were held on expanding youth relaxation spaces, exploring active promotional strategies, creating youth-friendly study environments, and reconstructing sports spaces according to the preferences of yout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 specific plan for a space with rest, study, and sports functions in terms of youth facilities, one of the functions of youth training facilities.

      • KCI등재

        서울시립 청소년수련시설 프로그램 분석 -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기준을 중심으로 -

        박옥식,지은경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9

        This study is basic one for inquiring into what values the Creative-Activity Resource Map(CRM) has and what roles it plays as a regional hub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contents of Youth Center Activities program in the city of Seoul. We have analyzed all the programs of 24 Seoul Youth Centers, collecting the data from 2009 managing white papers of the Seoul Youth Center concerned and 2010 project plan presented in the each website and YOUTHNAVI(Seoul Youth Policy PR websi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goal-oriented project of the Youth Center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the total(54.7%). In addition, the percentage of self activity was the highest by 59.1%, followed by that of the career activities(7.9%), that of the volunteer activities (7.0%), and that of the club activities(4.9%) respectively. Although the main target of the program was the adolescents, it covers all age groups, focusing on the programs for adolescents and the local residents making use of the Youth Center on Weekdays. The temporal trait of the programs was that they leaned to much towards on Weekdays, and the spatial trait of them was that they called for visiting in person and participation. Also, the development,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 of Youth Activity Accreditation and International Award for Young People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conclusion, the success of Creative-Experience Activities will be attained by drawing up CRM based on the curriculum framework and making efforts to active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etween Youth sector and Education sector. 본 연구는 서울시립 청소년수련시설 프로그램을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기준으로 분석함으로써, 창의체험자원지도(CRM)의 지역자원으로서 어떤 가치를 지니며,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분석대상은 서울시립 청소년수련시설 24개소의 프로그램으로, 분석자료는 대상 수련시설의 2009년 운영백서와 각 시설 홈페이지 및 유스내비(서울시 청소년정책홍보사이트)에 제공된 2010년 사업계획서에서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수련시설의 목적사업이 전체의 절반 이상(54.7%)을 차지하였다. 또한 자율활동의 비율이 전체의 59.1%로 가장 많았고, 진로활동(7.9%), 봉사활동(7.0%), 동아리활동(4.9%) 순이었다. 프로그램 대상은 청소년을 주 대상으로 하지만, 전연령층을 포괄하고 있었고, 주중에 청소년수련시설을 이용하는 청소년과 지역주민을 위한 프로그램에 집중하고 있었다. 시간적 특성은 주중에 편중되는 구조였고, 공간적 특성은 시설로 방문하여 활동에 참여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분석대상 프로그램 중 학교교육과정과 그 개발 및 운영, 평가방식이 유사한 것은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와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프로그램이었다. 결론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의 성공은 교육과정의 틀로 창의체험자원지도를 작성하고, 이 과정에서 청소년계와 교육계의 적극적 의사소통 노력을 통해서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제주지역의 청소년복지실천현장에 대한 연구

        강세현(Sei-hyon Kang) 제주학회 2016 濟州島硏究 Vol.45 No.-

        이 글의 연구 목적은 청소년복지실천현장에 대해 이론적 및 법률적 차원에 서 논의하고, 제주지역의 청소년복지시설ㆍ기관의 실태와 주요 사업 및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 사항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글에서는 문헌연구법을 활용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주요 문헌자료는 국가법령정보센터의 법률, 갱부기관ㆍ지방자 치단체ㆍ청소년복지기관 및 시설이 발행하는 각종 출판물ㆍ홍보물ㆍ신문, 청소년복지기관 및 기관의 홈페이지 자료 통계자료, 지방일간지와 제주사회 복지신문 자료 둥이다. 연구 내용은 청소년복지실천현한 대한 정의, 청소년시절ㆍ기판의 설치ㆍ운영ㆍ사업에 대한 이론적 및 법률적 논의, 제주지역 의 청소년복지실천현장 사례 분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주지역의 청소년복지실천현장에 대한 분석 결과 발견된 문제점은 다음 과 같다. 첫째, 청소년문화의 집 설치 수는 법률상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옷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역 간 청소년 문화시설 불균형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둘째, 제주지역 청소년수련시설의 운영 상황은 대체로 만족스럽지 못 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일부 청소년수련시설들은 안전상의 문제를 지니고 있다. 넷째, 청소년쉼터와 같은 청소년복지시설은 사회복지법상의 사회복지시설로 포함되어 있지 않아 운영상 정제적 부담을 겪고 있다. 발견된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 개발과 시행이 필요하다. 첫째, 청소년문화의 집이 부재한 지역에 청소년문화의 집을 확충해 나가려는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청소년들의 문화 및 취미활동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고 청소년문제 해결을 위한 청소년수련시설 환경을 개선하고 확충해 나갈 필요가 있다 셋째,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청소년수련시설 강화를 위해 정기적으로 시설 점검을 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 나가야 한다. 넷째, 사회복지사업법상의 사회복지사업 정의에 청소년쉼터 등의 청소년복지 시설이 포함되어 여타의 복지시설과 같이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법개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youth welfare practice field in Jeju. The method I shall follow is to analyse the existing documents and public statistical data. Maor findings from the study are: First, the number of youth culture house institution does not satisfy the lawful standard. Accordingly the disproportion between communities appears. Second, it is appear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youth training facilities is unsatisfactory. Third, a part of youth training facilities has security problems. Fourthly, a part of youth welfare facilities is in economic difficulties. On the basis of the major findings, we can present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First, it is need that youth culture house is expanded Second, it is need that the youth training facilities environment is improved and expanded in order to satisfy the needs of adolescent’s culture and hobby activities. Third,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strive to provide security environment for youth

      • 청소년시설정책의 뉴패러다임

        유진이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6 미래청소년학회지 Vol.3 No.2

        본 연구는 최근 급변하는 청소년정책의 현주소에 따른 청소년시설정책을 진단하고, 이를 통해 향후 나아가야 할 청소년시설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의 청소년시설정책의 부재와 필요성을 서술하였고, 새로운 청소년시설정책의 방향과 내용에 대하여 논하였다. 새로운 시설정책방향으로는 청소년시설기준의 필요성과 도심지역 청소년수련관과 청소년문화의집에 대한 용도와 기능에 관한 청소년정책 필요성, 그리고 지역특성에 따른 공공청소년시설의 성격, 기능 및 용도 규정, 청소년시설의 설치 의무화, 청소년시설의 시설기준 및 건축기준의 제정 등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공 청소년시설건립의 지도감독을 의무화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제안하였다. Youth facility establishment policies and the detailed standards have focused on youth training activities so the youth facilities have been operated not responding to social changes and youth demands. As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help youths with conventional facilities, a new paradigm of youth facility policy should be developed. We need to find the methods to develop youth facilities with balance by distributing them to the regions and expanding the facilities. Additionally, there should be a policy for youth facilities specified in laws to have facilities and equipment to perform youth activities of special purposes. To do this, we need to expand national youth facilities distributed to the provinces in order to develop the national land equally. First of all, we need to modify the law of Youth facility establishment and the detailed standards for existing Youth Training Facilities and new facilities. And 'Facility Support Association' composed of youth issue experts and youth facility experts needs to be established through improving the supports and operation direction by satisfying cultural needs of the youths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enforcing and supplementing youth related facilities and programs.

      • KCI등재

        청소년수련시설의 역할에 대한 청소년 인식과 정책적 함의

        김형주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6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on of youth awareness about the role and change of youth activity facilities and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reestablishment of its. Presedent Literatures are reviewed in legal role and present condition of youth activity facilities, research for management of its and study for practical role of its and yout activity. And Survey research was implemented for 1,770 general youth and 124 youth committee members about its. The scope of this study for role reestablishment of youth activity facilities is awareness level of its, recognition in terminology of its and expectation in the role and identification of its. Finally this study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in basis on result of analysis in survey research for youth awareness. It is first, implementation of client-oriented facilities policies, second, connection between school instruction and youth activities, thir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facilities role corresponded to reality of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청소년활동에 대한 시대적․사회적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청소년수련시설의 역할과 그 변화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그 역할 재정립을 위한 정책적 방향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이다. 선행연구 검토는 청소년수련시설의 법적 역할 및 설치현황, 청소년수련시설의 운영에 관한 연구, 청소년수련시설 및 청소년활동의 역할에 관한 연구 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청소년수련시설의 역할 재정립과 관련한 청소년들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청소년 1,770명과 더불어 청소년수련시설에서 운영되고 있는 청소년운영위원회 참여청소년 124명에 대해서도 함께 인식조사를 진행하였다. 역할 재정립에 대한 논의 범주로는 청소년수련시설에 대한 인지도, 청소년수련시설 관련 용어에 대한 인식, 청소년수련시설의 역할 및 정체성에 대한 기대 등으로 국한하였다. 본 연구의 청소년 인식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청소년수련시설의 인지도 개선을 위한 수요자 중심 시설정책 추진, 둘째, 수련시설의 이용률 및 만족도 제고를 위한 학교 교과/비교과 연계, 셋째, 지역 현실에 부합하는 청소년수련시설의 역할 제도화 등이다.

      • KCI등재

        청소년문화의집 평가에 관한 고찰

        김호순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8

        the parent of assessment of youth facilities is business that designates model facilities and incentives, which began, as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set up inner guidelines on effectively managing the cultural facilities in 1998. In 2000 the aims of assessment business intended to energize operations along with playing a leading role for overall youth facilities by giving incentives for excellent facilities, selecting excellent facilities. In 2001, based on Youth fundamental law enforcement ordinance, Article 34(the designation and nurture of model training facilities) it had been carried out until 2005 changing it direction to evaluation business for designating model youth facilities. From 2006, youth facilities have categorized every three years and graded by conducting assessments on all the facilities. Accordingly, assessment on youth cultural center were conducted in 2010 after 2007. Assessment for the year of 2007 consisted of 5 areas, 17 indices. Characteristic of evaluation index provided the convenience in assess by simple index but had limits in distinguishing discrimination. In 2007 compensating the defect, assessment for the year of 2010 generally worked up to evaluation that considered purpose and nature of youth cultural center. Compositional system of evaluation index is made up of 4 evaluation areas, 14 evaluation items, and 29 detailed evaluation indices. Assessment method was carried out in different ways too. Based on this, we intend to suggest the future-oriented improvement by do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evaluation method 청소년수련시설 평가의 모체는 「시범수련시설지정 및 인센티브 부여사업」이고, 이는 1998년 문화관광부가 ‘문화기반시설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내부지침’을 마련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이에, 2000년도 평가사업 목적은 우수시설을 선정하여 우수시설들에 대해 인센티브를 부여함으로써 청소년수련시설 전반에 대한 선도적인 역할과 더불어 시설운영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2001년도부터는 청소년기본법시행령 제34조(시범수련시설의 지정 및 육성)를 근거로 전국 청소년수련시설 가운데 시범수련시설 지정을 위한 평가사업으로 2005년까지 진행되었다. 그 후 2006년부터는 3년마다 청소년시설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전국시설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여 등급화 하였다. 이에, 청소년문화의집 평가는 2007년에 이어 2010년에 평가를 실시하게 되었다. 2007년 평가는 5개영역 17개 세부지표로 구성되어 있었다. 평가지표의 특징은 간단한 지표로 평가하는 데는 편익을 제공하였지만, 변별성을 구분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2007년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2010년 평가는 전반적으로 청소년문화의집 목적과 특성을 고려한 평가로 발전되었다. 평가지표의 구성 체계는 4개 평가영역, 14개 평가항목, 29개의 세부평가지표로 구성되었고, 평가방법도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근거로 청소년문화의집 평가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미래지향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청소년수련시설 인증방안 연구

        맹영임,조혜영,김민,김영호,이명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공공청소년수련시설 중 청소년수련관과 청소년문화의집을 중심으로 정책적 차원에서의 품질관리와 대외적인 신뢰성 확보를 위한 기관인증제 도입 방안 마련에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증제 관련 문헌분석 및 국내ㆍ외 주요 인증제를 조사ㆍ분석하였으며, 청소년수련관과 청소년문화의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청소년지도자, 청소년수련관이나 청소년문화의집을 이용하고 있는 청소년, 시ㆍ도 및 시ㆍ군ㆍ구의 청소년관련업무 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청소년수련시설인증제 도입관련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ㆍ면접조사 분석결과와 전문가워크숍 등을 통하여 도출된 인증방안(안)에 대해서 전문가의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수련시설인증제 도입방안을 마련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청소년수련시설인증제 도입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증제운영유형은 기관인증으로 운영하는 것이 적절하다. 둘째, 인증대상은 모든 청소년수련시설이 되어야 하나 자율인증에서 의무인증으로의 점진적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인증범위는 종합인증 형태가 적절하다. 넷째, 인증방식은 포괄적 인증방식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다섯째, 인증주체는 정부가 되어야 하며 인증전담기구가 마련되어야 한다. 여섯째, 인증절차는 5단계 2과정(1단계 인증신청-2단계 인증시설개선-3단계 현장실사 및 이의신청과정-4단계 인증심의-5단계 인증확정 및 사후관리과정)으로 구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일곱째, 인증기준 영역은 공통기준영역(모든 시설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준)과 개별기준영역(시설 특성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기준)으로 구분하는 것이 적절하다. 아울러 청소년수련시설인증제 도입을 위한 선행과제로는 첫째, 인증제 도입의 필요성과 타당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둘째, 법적 근거 마련 및 예산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인증제 운영체계와 신뢰할 수 있는 인증기준(지표)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합리적인 인증절차(과정)가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인증기관(인증전담기구) 구성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여섯째, 인증사후관리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일곱째, 시범기간 운영 및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여덟째, 청소년수련시설평가 및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와의 통합(연계)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등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policy plans for introducing accreditation system on youth facilities, which aim to secure public reliability and quality control. In order to pursue the goal of this study, major examples of domestic and foreign accreditation systems and related literature were reviewed. In addition,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youth leaders who worked in the youth facilities including youth centers and youth cultural centers, youth participants who used the facilities, and local government offic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local youth policy.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the following. First, the proper type of accreditation system needs to be institution based. Second, while objects that have to be accredited should cover all of the youth facilities, it is recommended that mandatory system should be gradually developed from their voluntary participation. Third, the scope of accreditation needs to be comprehensive. Fourth, the way of accrediting should be inclusive. Fifth, the operating body of this system should be the government and executive agency needs to be established. Sixth, it is appropriate that accreditation procedure is run through 5 stages and 2 processes: application for certification, improving facility to be certified, visitation the center and a series of objection, deliberation for certificating, and consulting process after being certified as well as accreditation. Seventh, accreditation standards should be separated in common criteria (which are applied to all the facilities) and specific criteria (which are varying with each facility’s properties). Additionally, we need several prerequisite tasks to be solved prior to introducing accreditation system. First, we need social consensus on necessity and validity of the accreditation system for youth facilities. Second, legal basis and budget are required. Third, operating system and reliable standards should be prepared. Fourth, rational procedure of certification should be established. Fifth, we need to constitute the operating body. Sixth, post consulting system should be planned. Seventh, trial period and continuous appeal to the public are needed. Eighth, new accreditation system needs to be related with current evaluation system on youth facilities and certification system on youth activities.

      • KCI등재후보

        도심폐교의 청소년수련시설 활용사례

        허일수,유진이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20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진흥법’에 명시된 청소년수련시설 설치조항에 비해 실 제 설치현황은 한참 못 미치는 현재 상황에서, 도심공동화와 신도시 개발, 학령 인구 감소 등으로 발생하는 도심 속 폐교를 활용한 청소년수련시설로의 재활용 가능성을 타진한다. 특히, 폐교재산 활용을 위한 특별법’에 제시된 다양한 활용방법 중 2조 3항의 내용 중 ‘청소년수련시설’로서의 활용 가능성과 실제로 적용 가능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폐교의 활용사례를 고찰하고, 국내의 폐교관련 법률과 정책을 분석하며, 우수한 활용사례와 그중 청소년수련시설과 비슷한 의 미로 운영되는 곳들을 답사하여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통해 청소년활동을 위한 청소년수련시설로의 활용에 대한 이론적인 가능성을 도출 했다. 그동안 발생하는 폐교를 활용했던 방안으로는 주로 개인이나 단체에 매각하거 나, 문화시설로의 활용, 교육청에서 필요한 보조 교육기관으로 활용하였으나, 폐 교된 학교의 원래 주인인 청소년들이 주체적으로 다양한 활동할 수 있는 시설 인‘청소년수련시설’로의 활용에 대해서는 활용된 선례가 없었으며, 그에 대한 연구도 처음이기 때문에 의미 있는 연구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recycling into closed schools in urban areas that occur due to urban hollowing out, development of new towns, and reduction of the population of school age in the current situation, which is far below the actual installation of youth training facilities stipulated in the Youth Promotion Act. In particular, of the various utilization methods proposed in the Special Act on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 Property, the Act was included in Section 2-3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as a Youth Training Facility and ways that could be To this end, the government will consider the use cases of closed schools, analyze the laws and policies related to closed schools, and examine the best use cases and places operated in a similar sense to the youth training facilities. Through this, it drew theoretical possibilities for the use as youth training facilities for youth activities. The measures used to utilize closed schools were mainly sold to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used as cultural facilities, and used as auxiliary educational institutions needed by the education office, but there were no precedents used for the use of youth training facilities, which were facilities where teenagers, the original owners of closed schools, could be used, and this could be a meaningful study since it was the first time for them to do s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