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랑을 통한 해방 -백낙청의 <시민문학론> 연구-

        전철희 ( Jeon Cheol Hui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20 한국언어문화 Vol.0 No.73

        본고의 목적은, 백낙청의 <시민문학론>이 억압적 사회로부터 ‘해방’될 방법을 모색한 글이었음을 밝히는 것이다. 이 글은 ‘진보적’이고 ‘자율적’인 사유조차도 체제수호를 위한 이데올로기로 전락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리고 이념적 고착상태를 벗어나려면 ‘사랑’이 필요하다는 요구를 제시한다. 이때의 ‘사랑’이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무엇인가를 열렬하게 추구함으로써 기존의 사회질서를 거부하고 새로운 ‘나’로 거듭나겠다는 결의를 뜻했다. 인간은 사회의 이데올로기로부터 벗어날 수 없지만 문학은 개별 주체가 ‘사랑’을 통해 사회에서 벗어나려 노력하는 모습을 포착하고 형상화할 수 있다는 것이 <시민문학론>의 핵심논지였다. 이 글은 소시민문학론을 겨냥한 비판으로 제출됐다. 당시의 소시민문학론자들은, 1960년대의 한국 상황이 소시민을 양성했다는 전제 아래 소시민의 사유와 감정을 핍진하게 모사한 작품을 상찬했다. 백낙청은 이들의 평가를 일정 부분 수용하면서도 문학이 개인과 사회의 모습을 투명하게 재현했다는 단선적 설명에는 동의하지 않았다. 사회적 환경이 개별 인간의 사유와 행동의 범위를 한정 짓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인간이 사회가 정해놓은 대로만 살아가는 수동적 존재인 것은 아니다. 1960년대의 한국 상황이 소시민을 양산했을지언정 이 시대의 작가와 지식인들이 소시민적인 삶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진 않았다. 김승옥과 최인훈 등이 뛰어난 작가인 것은, 당시의 시대상을 핍진하게 모사했기 때문만이 아니라, 소시민화된 사람들의 무의식에 남아있는 죄책감과 불안감까지도 문학적으로 형상 화했기 때문이다. 이런 평가들을 통해 백낙청은, 인간이 억압적 사회에 동일화될 때 남는 양가적 감정 중 일부분(죄의식과 이물감)이 곧 ‘시민의식’이며, 그런 시민 의식을 포착하는 것이 문학의 주요한 역할이라고 주장할 수 있었다. 이 논지는 이데올로기의 양가적 성격에 대한 통찰을 포함했다는 점에서 선구적이었다. 세계적으로 볼 때 1960년대는 사회적 담론(이데올로기)이 억압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개인이 사회적 담론에서 ‘해방’될 수 있는지에 관한 논의가 본격화된 시기였다. 인간의 사유가 사회적 담론에 ‘예속’되어 있음을 냉정하게 인정하면서도 예술이 거기에서 해방되는 모습을 포착할 수 있다는 통찰을 담은 <시민문학론>은 그런 의미에서 ‘1960년대적’인 글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at Nakcheong Paik’s “Civil Literature Theory” was an article seeking a way to be “liberated” from a repressive society.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even “progressive” and “autonomous” thoughts can be reduced to an ideology for the protection of the system, and then proposes a demand that “love” is necessary to escape from this ideological fixation. At this time, “love” meant the attitude of rejecting the existing social order by passionately pursuing something that does not exist in reality. According to <Civil Literature Theory>, humans cannot escape from the ideology of society, but literature can capture and shape the individual subject trying to escape from society through “love”. This initiation was raised as a criticism aimed at small civic literature theory. Under the premise that the situation in Korea in the 1960s nurtured small citizens, small civic literaryists at the time praised works that pitifully copied the thoughts and emotions of small citizens. Paik Nak-cheong agreed to some of their evaluations, but did not agree with the single-line explanation that literature transparently reproduced the individual and social aspects. It is true that the social environment limits the range of thoughts and actions of individual human beings, but that does not mean that humans are passive beings who live according to society. Although the situation in Korea in the 1960s produced small citizens, writers and intellectuals of this era did not uncritically accept small-citizen life. The reason why Kim Seung-ok and Choi In-hun are outstanding writers is not because they embarrassedly mimicked the times of the time, but because they literately embody the feelings of guilt and anxiety that small citizens could not get rid of by social coercion. Through this evaluation, Paik Nak-cheong argued that the unconsciousness of human beings when they are identified with a repressive society is the sense of rejection (guilt and foreign) that is the “citizen consciousness,” and that capturing such a sense of citizenship is the main role of art. Globally, the 1960s was a time when the perception that social discourse (ideology) was repressive spread, and discussions about whether individuals could be ‘liberated’ from social discourse began in earnest. “Civil Literature Theory” was “1960s” in that it contained insight that art could capture the liberation of art while recognizing that human thought is “subordinate” to social discourse.

      • KCI등재후보

        민족문학론의 시기 구분에 따른 전개 양상 고찰 -해방 전후부터 80년대까지의 민족문학론을 중심으로-

        최용석 택민국학연구원 2013 국학연구론총 Vol.0 No.12

        The concept of ethnic is the key variable in the development patterns of national literature. therefore, in this paper, I studied on the development patterns in the flow of national literature in three steps, based on the concept of ethnic. In the first step, the period is ranged from the around 1945 Liberation to the late of ‘60s. in the before and after of Liberation, national literature divided by two directions , one is the right-wing camp based on inherited of the nation's blood, and other is the left side accommodating the national literature and the concept of nation based on the literature class. In the second step, the period ranged from the late of 1960s to the end of the 1970s. at that time, new young critics led by Baek Nakcheongled was launched creative and critical in January of 1966, the liberal media were layed the foundation for national literature. Since the late 1960s, throughout the 1970s, the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occupied the apex of literary discourse related. But the turn of the 80's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is devoted to the subject of criticism. In the third step, the period is ranged From the 1980s until the late 80s, popular national literature which began in earnest in the 1980s, and they targeted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as an object of criticism. Popular national literature criticized the national literature of the 1970s due to lack of people’s awareness and 'petit bourgeois consciousness' reveals, while the national literature pressured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with alleging the people a ahead of the overcome the division of our country claimed as the priority by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The Popular national literature goes in one foot in people’s recognition of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that was still comprehensive and somewhat abstract dimension. The popular national literature continue to be deployed at the level of recognition in criticism of existing national literature and sometimes in terms of reflection. 민족 개념은 민족문학론의 전개 양상에서 핵심 변수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민족 개념을 준거로 삼아 민족문학론의 흐름을 세 단계로 설정한 후, 그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1단계는 해방 전후(前後)부터 60년대 후반 이전까지로 정한다. 해방 전후, 민족문학론은 혈통주의에 바탕을 둔 민족의 개념을 이어받은 우익 진영과, 계급주의 문학에 입각한 민족 개념 및 민족문학론을 수용한 좌익 진영으로 크게 나뉜다. 그와 달리 서구의 민족 개념을 일찍이 받아들인 정태용과 최일수는 이념적 차원의 민족 개념과 다르게 서구 학문에 힘입어 민족의 개념을 새로이 구축한다. 그 개념은 60년대 후반의 진보적 민족문학론의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해방 후, 우익의 ‘보수적 민족문학론’은 반공 이데올로기에 편승하여 민족문학론의 우위를 점하게 되는데, 그 논리는 ‘전통론’ 중, ‘전통계승론’ 쪽에 더 가깝다. 이후 그 논리는 문학의 자율성과 효용성을 양 축으로 하는 ‘순수․참여 문학 논쟁’의 한 축인 순수문학 진영의 담론으로 스며든다. 반면에 순수문학론과 대척점에 놓인 참여문학론은, 문학을 매개로 한 현실 참여를 강조하는 ‘저항적 민족문학론’으로 그 맥을 이어간다. 다음으로 2단계는 60년대 후반부터 70년대 말까지로 정한다. 백낙청을 필두로 한 신진 비평가는 66년에 창간된 『창작과 비평』을 거점으로 삼아 진보적 민족문학론의 토대를 마련한다. 창간 당시는 문학의 자율성을 중시하는 문학적 자유주의를 포함한 다원주의적 입장을 견지한다. 하지만 백낙청의 ‘시민문학론’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출발한 진보적 민족문학론이 60년대 후반부터 70년대 전반에 걸쳐 민족문학 담론의 정점에 위치하게 된다. 마지막 3단계는 광주민주화항쟁이 발생한 80년부터 80년대 후반까지로 정한다. 진보적 민족문학론을 비판의 대상으로 삼은 민중적 민족문학론이 출발한 시기는 80년대에 접어들면서다. 민중적 민족문학론은, 민중의식의 결여로 인해 ‘소시민 의식’을 드러낸다는 이유로 기존 민족문학론을 비판하는 동시에 진보적 민족문학론에서 표방된 분단극복의 문제보다 민중의 문제를 우선적 해결 과제로 인식한다. 하지만 87년 6월 민중화투쟁을 겪으면서 민중적 민족문학론 역시 민주주의 민족문학론의 공격 대상이 된다. 상호 간 비판과 때론 자기반성의 과정을 통해 민주주의 민족문학론은 노동해방문학론으로, 또 민중적 민족문학론은 민족해방 민족문학론으로 분화되어 간다.

      • KCI등재

        민족문학론의 시기 구분에 따른 전개 양상 고찰 -해방 전후부터 80년대까지의 민족문학론을 중심으로-

        최용석 ( Yong Seok Choi ) 택민국학연구원 2013 국학연구론총 Vol.0 No.12

        민족 개념은 민족문학론의 전개 양상에서 핵심 변수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민족 개념을 준거로 삼아 민족문학론의 흐름을 세 단계로 설정한 후, 그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1단계는 해방 전후(前後)부터 60년대 후반 이전까지로 정한다. 해방 전후, 민족문학론은 혈통주의에 바탕을 둔 민족의 개념을 이어받은 우익 진영과, 계급주의 문학에 입각한 민족 개념 및 민족문학론을 수용한 좌익 진영으로 크게 나뉜다. 그와 달리 서구의 민족 개념을 일찍이 받아들인 정태용과 최일수는 이념적 차원의 민족 개념과 다르게 서구 학문에 힘입어 민족의 개념을 새로이 구축한다. 그 개념은 60년대 후반의 진보적 민족문학론의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해방 후, 우익의 ‘보수적 민족문학론’은 반공 이데올로기에 편승하여 민족문학론의 우위를 점하게 되는데, 그 논리는 ‘전통론’중, ‘전통계승론’ 쪽에 더 가깝다. 이후 그 논리는 문학의 자율성과 효용성을 양 축으로 하는 ‘순수·참여 문학 논쟁’의 한 축인 순수문학 진영의 담론으로 스며든다. 반면에 순수문학론과 대척 점에 놓인 참여문학론은, 문학을 매개로 한 현실 참여를 강조하는 ‘저항적 민족문학론’으로 그 맥을 이어간다. 다음으로 2단계는 60년대 후반부터 70년대 말까지로 정한다. 백낙청을 필두로 한 신진 비평가는 66년에 창간된 창작과 비평을 거점으로 삼아 진보적 민족문학론의 토대를 마련한다. 창간 당시는 문학의 자율성을 중시하는 문학적 자유주의를 포함한 다원주의적 입장을 견지한다. 하지만 백낙청의 ‘시민문학론’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출발한 진보적 민족문학론이 60년대 후반부터 70년대 전반에 걸쳐 민족문학 담론의 정점에 위치하게 된다. 마지막 3단계는 광주민주화항쟁이 발생한 80년부터 80년대 후반까지로 정한다. 진보적 민족문학론을 비판의 대상으로 삼은 민중적 민족문학론이 출발한 시기는 80년대에 접어들면서다. 민중적 민족문학론은, 민중의식의 결여로 인해 ‘소시민 의식’을 드러낸다는 이유로 기존 민족문학론을 비판하는 동시에 진보적 민족문학론에서 표방된 분단극복의 문제보다 민중의 문제를 우선적 해결 과제로 인식한다. 하지만 87년 6월 민중화투쟁을 겪으면서 민중적 민족문학론 역시 민주주의 민족문학론의 공격 대상이 된다. 상호 간 비판과 때론 자기반성의 과정을 통해 민주주의 민족문학론은 노동해방문학론으로, 또 민중적 민족문학론은 민족해방 민족문학론으로 분화되어 간다. The concept of ethnic is the key variable in the development patterns of national literature. therefore, in this paper, I studied on the development patterns in the flow of national literature in three steps, based on the concept of ethnic. In the first step, the period is ranged from the around 1945 Liberation to the late of ‘60s. in the before and after of Liberation, national literature divided by two directions , one is the right-wing camp based on inherited of the nation`s blood, and other is the left side accommodating the national literature and the concept of nation based on the literature class. In the second step, the period ranged from the late of 1960s to the end of the 1970s. at that time, new young critics led by Baek Nakcheongled was launched creative and critical in January of 1966, the liberal media were layed the foundation for national literature. Since the late 1960s, throughout the 1970s, the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occupied the apex of literary discourse related. But the turn of the 80`s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is devoted to the subject of criticism. In the third step, the period is ranged From the 1980s until the late 80s, popular national literature which began in earnest in the 1980s, and they targeted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as an object of criticism. Popular national literature criticized the national literature of the 1970s due to lack of people`s awareness and ``petit bourgeois consciousness`` reveals, while the national literature pressured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with alleging the people a ahead of the overcome the division of our country claimed as the priority by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The Popular national literature goes in one foot in people`s recognition of progressive national literature that was still comprehensive and somewhat abstract dimension. The popular national literature continue to be deployed at the level of recognition in criticism of existing national literature and sometimes in terms of reflection.

      • KCI등재

        4.19혁명과 60년대 말 문학담론에 나타난 비-정치의 감각과 논리 : 소시민 논쟁과 리얼리즘 논쟁을 중심으로

        이현석(Lee Hyun-seok) 한국현대문학회 201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5

        4.19 혁명에 대한 문학적 전유는 6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문학 담론의 헤게모니 경쟁의 과정에서 새로운 문학 주체의 구성과 관련하여 문제화되었다. 60년대 중반 이후 문단에 등장하여 각기 다른 방식으로 문학이념을 제시하였던 『창작과비평』과 『문학과지성』 진영은 60년대 문학의 가치를 정립하려 하면서 그 가치를 담지하는 주체는 누구인가 하는 문제에서 서로 상이한 입장을 취하게 된다. 소시민-시민 논쟁을 촉발시킨 김주연은 소시민의식을 통해 60년대의 일상성 위에서 왜소한 모습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개인들을 문학적 주체로 내세우지만 그의 관점은 역사의식을 결여한 것으로 비판받는 위치에 놓인다. 이호철, 서기원 등 전후문학 세대에 의해 이루어진 이러한 비판 속에 백낙청은 '시민문학'의 가능성을 논하는 방식으로 개입함으로써 소시민 논쟁을 해소시키는데 그는 '시민'이 현실 속에 존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개념적으로도 정립될 수 없음을 지적하고 그 빈 자리에 '올바른 시민의식'으로서의 '사랑'을 문학적 가치로 내세운다. 김주연과 백낙청에 의해 제시된 소시민의식과 시민의식의 개념화는 '시민'을 현실에서 부재하는 것으로 전제한 바탕 위에서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4.19의 정신적 유산을 추상적 관념으로 전환시키게 되며 그에 따라 '시민'에 대한 가치부여는 더 이상 가능해지지 않게 된다. 곧이어 전개된 리얼리즘 개념을 둘러싼 『창작과비평』과 『문학과지성』 양 진영 사이의 논쟁은 문학 방법론으로서 리얼리즘에 대한 강한 입장 차이를 드러낸다. 『창작과비평』 진영이 리얼리즘을 발자크에 대한 논의를 통해 옹호하고 『문학과지성』 진영이 리얼리즘을 시대에 맞지 않는 낡은 기법으로 평가절하는 가운데 양 진영이 문학의 주체로 발견하게 되는 것은 민중으로서의 '농민'과 각성된 개인으로서의 '지성인'이라 할 수 있다. 이 두 주체는 '시민'이 가진 사회적 문맥을 비껴나 각기 역사발전에 의해 요청된 당위적 존재와 사회로부터 비판적 거리를 유지하는 지적 존재로 의미화된다. 이러한 개념화로 유발된 것은 당대 현실에 의해 문학담론에 요청된 정치적 비판이 정치 현실을 간접적으로 우회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4.19 혁명에 의해 열린 시민사회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문학 담론 외부로 밀려나게 되었다는 점일 것이다. The 4.19 Revolution holds significant meaning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s well as in that of politics. The literary discourse around the society and the concept of citizen as the subject of society, which was triggered by the revolution, began to be visualized by the argument that the literary ideology of the writers in the 1960s including Ju-yeon Kim and Hyeon Kim from the latter half of the decade was different from the post-war generation. Ju-yeon Kim stressed that individuals with a new sentiment as well as their "own worlds" should be the subjects of literature by presenting the "consciousness of petit bourgeois" as a literary value. It was "theory of citizen literature" by Nak-cheong Baek that resolved the petit bourgeois-citizen controversy that also involved generational disputes. Putting an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citizenship opposite to the consciousness of petit bourgeois, he understood the "images of incomplete human beings of the unknown" and thus proposed "bourgeoisie" as a Sollen concept rather than a social substance. Following the process, the realism controversy between the field of Literature and Intellect and that of Creation and Criticism provided a different perspective regarding the issue of literature methodology and subject in reality. While the latter proposed the nation and people as the subjects to replace citizens and paid attention to farmers as their substance through the controversy, the former emphasized writers as individuals confronting the society and their imaginations and regarded urban intellectuals to represent those individuals as the subjects of literature. In that process, the "citizen" concept that was perceived through the revolution was resolved. As a result, discussions about the functions and possibilities of literary field as a venue for public opinions exposed the limitations of both the fields that could not be specified within the scope of literary discourse.

      • KCI등재

        어문학 : 주변부 문학의 (불)가능성 혹은 문학 대중화의 한계 - 백낙청의 "시민/민족/민중문학론" 재고 -

        조연정 ( Yeon Jung Ch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0 No.51

        이 글은 민족/민중문학론으로 대변되는 1970년대 백낙청의 비평을 읽으며 다음의 두 가지 질문을 해결하고자 했다. 첫째, 후진국 문학으로부터 선진적 가능성을 확인하는 그의 민족문학론이 내장한 한계에 관한 것이며, 둘째, 이러한 민족문학론의 한계가 문학에 대한 그의 기본적인 입장과 어떤 관련을 맺는지에 관한 것이다. 1970년대 백낙청 비평의 지적 여정에서 가장 매력적인 지점은 후진적 한국의 민족문학으로부터 선진적 세계문학의 가능성을 엿본 부분이다. 그의 문학론은 그구조적 상동성에 의해 제국과 피식민국가, 도시와 농촌, 도시중심부와 변두리, 혹은 남성과 여성 등 다양한 지배/피지배의 관계를 상정하는 것으로 확장된다. 그런데 문학적 차원에서라면 한 국가의 민족문학이 자신의 특수성을 인정받는 것은 긍정적 정체성을 부여받는 일종의 해방이 될 수 있지만, 현실의 차원에서는 피지배계급이 그 자신의 특수한 계급적 상황을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 자체로 해방이 될 수는 없다.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의 논리적 자장 안에서 후진국 민족 ‘문학’의 해방은 가능한 것처럼 보이지만, 주변부 계층의 ‘현실’적 해방은 요원한 듯 보인다. 백낙청의 민족문학론을 가로지르는 이와 같은 맹점은 선진 교육을 받았고 도시적 삶에 기반을 둔 후진국 지식인의 한계로 이해될 가능성도 크지만, 이는 문학과 현실의 분명한 차이를 재차 확인시켜주는 것이기도 하다. 나아가 창비의 민중문학론과도 그 맥이 닿아 있는 백낙청의 ‘민족/민중문학론’에서 ‘민중’이 문학의 주체로서 호명되기보다 여전히 ‘재현의 대상’에 머물고 있다는 점은 1970년대 ‘운동으로서의 문학’에 내장된 필연적 한계로 이해된다. 백낙청은 당대의 문학이 연대해야 할 대상으로 ‘민중’과 ‘시민’을 호출하지만, 문학의 수용 주체로 호출하는 것은 그저 대다수의 ‘대중’에 가깝다. 특히 그가 문학을 통한 ‘인간해방’ ‘인간다운 삶’ 등의 용어를 쓸 때 그것은 특수한 정체성을 부여받은 집단의 해방이기보다는 보편적 인류의 해방을 요청하는 것에 가까워진다. 이러한 사실들로 판단할 때, 특정 집단의 해방보다는 보편적인 인류의 모럴을 요청하는 1970년대 백낙청의 ‘시민/민족/민중문학론’은 ‘운동으로서의 문학’이기 이전에 ‘문학을 위한 문학’으로 이해될 가능성도 크다. 백낙청의 문학론에서 가장 중요한 명제인 ‘문학의 공공성’은 현실적 요구조건과 밀착한 것으로서가 아니라 문학 근본주의자의 보편적 주장으로 읽히기도 하는 것이다. This essay aimed on discussing the following issues by revisiting Paik Nak-chung’s criticism during the 1970s, which could be summed up as Paik’s theory on national / people’s literature. First, this paper centered on the limitations to Paik’s national literature theory which finds the possibility of advancement from the literature of the underdeveloped country. Second, this paper attempte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Paik’s own perspective towards literature and the limitations of the national literature theory. The most attractive point in the intellectual path that Paik Nak-chung’s criticism had paved in the 1970s was that he found a possibility of an advanced, world-class literature in the underdeveloped Korean national literature. Paik’s literary theory proceeds to postulate the relation between various dominating and dominated relationships such as the empire and the colonies, the city and the country, the urban and rural areas of a city or men or women. While recognizing the distinctiveness of a nation’s national literature can serves as a form of liberation in literature, the dominated class cannot achieve liberation in reality merely by recognizing one’s class distinctions. The liberation of the national “literature” of underdeveloped countries seems possible within the logical spectrum of Paik Nak-chung’s national literature theory, but the “realistic” liberation of the peripheral class seems to be a far-fetched concept. Such weak points in Paik Nak-chung’s national literature theory may be understood as his limitation as a highly educated, city dwelling intellectual from an underdeveloped country. Nevertheless, these points once again serve as a reminder of the sharp contrast between literature and reality. Furthermore, the fact that Paik Nak-chung’s theory on “national / people’s literature,”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 Changbi’s national literature theory, is still an “object of reproduction” is an inescapable limit of the “literature as a social movement” of the 1970s. Paik Nak-chung identifies the “people” and the “citizens” as the object of solidarity for contemporary literature, the actual recipients of the literature are close to the “mass public.” Paik’s reference to “human liberation” and a “human life” through literature is a request for the liberation of humanity, rather than the liberation of a certain group with a distinctive identity. “The publicness of literatur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roposition in Paik Nak-chung’s literary theory, can be read as a universal argument of a literature fundamentalist, rather than meeting the realistic needs.

      • KCI등재

        백낙청의 「시민문학론」에서 인식과 실천의 매개로서의 ‘사랑’ — 「티마이오스」에 대한 전유를 중심으로

        김대진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論叢 Vol.7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Baek Nakcheong’s intellectual practice in relation to the flow of knowledge field in the mid-1960s through a reading of “The Citizen Literature Theory” (1969). Recent studies on “The Citizen Literature Theory” sought to clarify the text’s position in relation to the intellectual flows formed in knowledge fields outside literature, such as history and religion. However, discussion has tended to be about the influence or acceptance of knowledge formed outside the literature field. This paper argues that “The Citizen Literature Theory” is a response to the challenge left by Park Chung-hee’s ‘national democracy’ in the 1960s knowledge field. That challenge was the synthesis of ‘citizens’ and ‘nation’. Baek Nak-cheong’s answer was to abstract the concept of ‘citizen’ and present it as a kind of situation. Baek Nak-cheong’s mechanism of synthesising ‘citizen’ and ‘nation’ was formed through reference to Plato’s “Timaeus”. In the “The Citizen Literature Theory”, Baek Nak-cheong, like Plato, implicitly presupposes that holistic recognition causes feelings of obedience. In that premise, Baek Nak-Cheong argues for the superiority of realism literature. After “The Citizen Literature Theory”, Baek Nak-Cheong’ logic emphasized feelings of obedience rather than holistic recognition. This paper explains such changes from a point of view of inversion in the Platonic scheme. Finally, this study asks whether the Baek Nak-cheong’s theory achieved only the effect that he intend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ogic of Baek Nak-cheong emphasized the emotions of the individual rather than the collective and may have paradoxically produced unintended results. 이 연구의 목적은 1960년대 중반 지식장의 흐름과 연관하여 백낙청의 지적인 실천이 지닌 의미를 「시민문학론」(1969)에 대한 독해를 통해 규명하는 것이다. 「시민문학론」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은 역사학계나 종교계 등, 문학장 외부의 지식장에서 형성된 지적인 흐름과 관련하여 「시민문학론」의 위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주로 문학장 외부에서 형성된 지식에 대한 백낙청의 영향 또는 수용이라는 측면에서논의가 이루어졌다. 이 논문은 「시민문학론」이 박정희의 ‘민족적 민주주의’가 1960년대지식장에 남긴 과제에 대한 하나의 응답이라고 주장한다. 그 과제는 ‘시민’과 ‘민족’의 종합이라는 문제였다. 백낙청의 해답은 ‘시민’ 개념을 추상화하여 그것이 일종의 상태를 의미하도록 제시하는 것이었다. ‘시민’과 ‘민족’을 종합하는 메커니즘은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에 대한 참조를 통해 형성되었다. 「시민문학론」에서 백낙청은 플라톤과 같이 전체론적 인식이 그것에 대한 복종의 감정을 불러일으킨다는 가정을 암묵적으로 전제한다. 이러한 전제로부터 백낙청은 리얼리즘 문학의 우월함을 주장한다. 「시민문학론」 이후, 백낙청의 논리는 전체론적 인식보다 복종의 감정을 중요시하게 된다. 이 논문은 그러한 변화를 플라톤적 도식 내에서의 도착(倒錯)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를 통해 백낙청의 이론이 그가 의도했던 효과만을 일으켰는가에 대해 질문한다. 이 연구의 결론은 백낙청의 논리가 집단보다 개인의 감정에 주목하게 함으로써 역설적으로 그가 의도했던 바와 상반된 결과를 낳았을지도 모른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 KCI등재

        1960년대말-70년대초 '시민문학론' 발의 및 '민족문학론'의 변주 양상

        한강희 현대문학이론학회 200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17

        From the later 60s to 70s, the dispute of generations and engagement are progressed by the two discussions on concept of `citizen' and `triviality' of Kim Ju-yeon and Baek Nak-cheong. Kim Ju-yeon regarded 'trivialism' as the motive of forming `citizen consciousness'. Baek Nak-cheong define 'trivialism' as the form of lacked `citizen consciousness' as the by-product of the western bourgeoisie movement. This dispute is recorded as the theory and leading criticism of high level. The criticism is always formed in the contemporary special historical conditions and it subjectively reflects, realizes and inquires those kinds of conditions. And it is essential to assign the subjective and logical viewpoint of a critic. The dispute of generations and the national literature theory of this age are highly evaluated for contribution to establishing the foundations that the critical viewpoint is subjectively converted in the history of the modern criticism. Although the national literature theory of this age was mainly a level of establishing concepts, but it made the base putting generation theory and engagement theory together. Especially in the early 70s, the national literature theory chose the realism as the methodical principle, one then, in the mid-later 70s, it had sub-theory such as the populace literature, the rural community literature and the third-world literature, and it was developed to the level to secure the right of the national history owing to the innovative effort of the criticism of this age.

      • KCI등재

        민족문학론의 인식 구조 - 1960~70년대 백낙청의 김수영론에 대한 비판적 독해 -

        강동호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인문학연구 Vol.0 No.51

        본 논문은 1970년대 민족문학론의 이론적 구조를 고찰하기 위한 예비적 작업의 일환으로 김수영에 대한 민족문학론의 해석학적 역사를 고찰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글은 김수영에 대한 단순한 연구사 검토를 목적으로 삼지 않는다. 그보다 민족문학론이 70년대의 유력한 비평적 담론으로 성장해 나가는 과정과 그것의 이론적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일종의 리트머스 시험지로서 김수영과 그에 대한 백낙청의 해석을 활용하고자 한다. 백낙청의 김수영 해석이 변화해 나가는 궤적이 곧 한국문학에서의 민족문학론이 진화해 나가는 과정을 상동적으로 대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이른바 60년대 후반에 전면으로 내세워진 ‘진정한 시민’이라는 이념형이 점차적으로 퇴각하고 ‘민족’이라는 새로운 이상적 주체가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된다는 사실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민족이라는 개념이 근본적으로 정치적이고 종교적인 차원으로 인식될 수 있는 일종의 실천적 아젠다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stucture of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by analyzing the hermeneutic history of Kim Soo-young. Therefore this article does not concentrate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research for Kim Soo-young. Instead, Kim Soo-young and Paik Nak-chung’s interpretation of Kim Soo-young are regarded as examinational text which could illuminate the historical structure of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and realism in the 1970s. Reading Paik Nak-chung’s Kim Soo-young, it is possible to realize that the idea Minjok is not only political concecpt but also the religious concept fundamentally.

      • KCI등재

        ‘민중’과 ‘다중’의 관계론(/내재)적 함의 -1960년대 이후 한국문학장에서의 ‘민중’ 논의의 현재적 의미-

        전상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6 No.-

        The discussion of “people” in the Korean literature has been a major ideological coordinator of the national literature movement, and has been the mainstay of the solidarity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resistance. After the collapse of the colonial era, the ‘National Literature’, which encompasses progressive literary people, including Imhwa, is a period of confrontation between left and right after liberation, careful and passive discussions of postwar literature and finally, Since the 1960s, he has been responsible for the full-scale reform of Korean society and advocacy and progressive transformation programs. Baek Nak - chung and ‘Changbi Group’ raised the task as ‘Citizens Literature’. 4.19 The entry into the paragraphs of the generations made the modernization of Korean society their historical task and made them have an abnormal and superior position of literature. Despite the weakness of other fields and oppressive dictatorship power, the people of Korean society, whose symbolic and emotional literary power is changing rapidly, strongly imprinted the necessity of recognition and resolution of the contemporary problems of modernization and Korean modern history . In the course of ‘Citizen Literature’, Baek Nak - chung, who was trying to emphasize the historical role of ‘citizen’, turned to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and filled ‘the people literature’ with the core contents of national literature. It became a concern. Of course, it was because of the long-term power of the Park Chung-hee regime and the conspiracy to strengthen the persistence of the Cold War on the Korean Peninsula as a “hostile symbiotic relationship”. The ‘people’ as a universal and practical being that unifies class and class with the resistance of the ruling class to the ruling class has just emerged as an icon symbolizing resistance. At one time, it was pushed to the concept of ‘mass’ or ‘nation’, but ‘people’ was recognized as the third world version of historical reality as the master of history and the value it should aim for. However, in the 2000s, the ambiguous and conceptual dimension of the concept of ‘people’ was criticized as the philosophy of identity, and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of ‘multitude’ was newly highlighted. In addition to the spontaneity and autonomy of the individual subject and the tendency to change,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age of network power, there is a time when a reason for competing is sought and commonality is found in the commonality of I think that the motive strategy of ‘multitude’ which seeks a new relationship with the people is meaningful. 한국문학장에서 ‘민중’ 논의는 민족문학운동의 중요한 이념적 좌표이자 저항세력의 연대성, 역사 발전의 주역으로 자리해왔다. 식민지 시대의 카프 해산 이후에 임화를 위시로 하여 진보적인 문학인들을 망라하여 전개한 ‘민족문학’은 해방 직후의 좌우익 대립 시기, 전후 문학 시기의 조심스럽고 소극적인 논의들, 그리고 마침내 독재자를 권좌에서 끌어내린 1960년대부터 한국사회의 전면적인 개조와 진보적인 변혁 프로그램의 주창, 시행의 한 축을 담당했다. 백낙청과 ‘창비그룹’은 그 과제를 ‘시민문학론’으로 제기하였다. 4.19세대의 문단 진출은 한국사회의 근대화를 자신들의 역사적 과제로 삼아 문학의 비정상적인 특별하고 우월한 위치를 점하게 하였다. 다른 여타 분야의 저조와 폭압적인 독재권력도 한몫을 했지만 상징적이고 감성적인 문학 특유의 힘이 급변하는 한국사회의 민중들에게 근대화와 한국근대사의 미해결 과제에 대한 인식과 해결의 필요성을 강렬하게 각인시켰다. ‘시민문학론’을 통하여 ‘시민’의 역사적 역할을 강조하고자 했던 백낙청이 ‘민족문학론’으로 선회하고 다시 ‘민중문학’을 민족문학의 핵심적인 내용으로 채워넣으면서 ‘민중’ 논의는 한국문학사의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물론 그렇게 되기까지는 박정희 정권의 장기집권과 ‘적대적 공생관계’로써 냉전의 한반도적 지속성을 강화하고자 한 음모가 노골적이었기 때문이었다. 지배계급에 대한 피지배계급의 저항과 계급과 계층을 연합하는 보편적이고 실제적인 존재로서의 ‘민중’은 바야흐로 저항세력을 상징하는 아이콘으로 떠올랐다. 한때는 ‘대중’ 개념이나 ‘민족’ 범주에 밀리기도 했으나 ‘민중’은 역사의 주인이자 지향해야 할 가치로서 역사적 실체의 제3세계적 버전으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민중’ 개념이 지닌 모호하고 관념적인 차원이 동일성의 철학으로 비판, ‘다중’의 문제의식이 새롭게 조명되었다. 네트워크 권력 시대에 걸맞는 개인 주체의 자발성과 자율성, 변화무쌍한 성향과 더불어 사안과 상황에 따라 무수히 변수가 많고 변화 생성하는 ‘무위의 공동체’의 어떤 공통성을 모색, 경합하는 사유가 전개될 때라야 ‘민중’과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는 ‘다중’의 운동전략이 의미가 있지 않을까 한다.

      • KCI등재후보

        1960년대 문학론(文學論)의 자기의식성 연구 - 김현과 백낙청 문학론을 중심으로

        송병삼 ( Song Byeong Sa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6

        1960년대 문학론의 특징은 자기세계를 표현(반영)하는 방식들이 양식화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이다. 자기의식성은 진술체 자신의 글쓰기 행위를 메타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이 글쓰기가 구성하는 가상 세계는 현실의 대안세계로서 예술세계이다. 자기의식성은 문학이란 환상이 환상임을 인지하게 하여 객관 현실을 성찰하게 한다. 1960년대의 문학론은 이러한 문학인식의 관점에 바탕을 두고 제기된다. 김현의 `문학은 꿈이다`는 문학관은 문학이 끊임없는 자기반영의 미학적 언어의 형식적 체계화의 구성물이자 문학의 본성에 대한 자기 반영적 환상물임을 말해준다. 백낙청은 문학을 서구 문학의 이상적 완전성으로서의 가상세계를 이념적으로 설정하고 서구와 다른 역사적 배경과 필연성을 바탕으로 `시민`을 한국사회의 주체로 설정한다. 이들 문학론은 인식적 토대를 서구문학에 두고, 한국적 현실을 대상화하는 데에서 1960년대식의 자기의식성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argues that the fact that self-reflection is a form of literary expression is characteristic of literature in the 1960s. Writing in a literary, self-consciousness is that the reflexive objectification to self and itself as a self-aware. The world of literary fiction have not constituted with a linguistic skills in the real world, but as the alternative world, constituted world of art. This is a position that can be overcome by making the objective reality that fantasy a reality, whether it is in fantasy literature It can be seen as an example of these literary critic Kim Hyun perspective of the 1960s. “Literature is dream”, His words have recognized the fact that we live in reality is only a vain fantasy premise. Kim Hyun`s literary theory about the nature of literary self-reflective component of an illusion as the aesthetic form. In case of Baek nak-cheong, he conscious clearly `condition of self-world` of Korea`s society with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Western context. He theorized to pay configuring a theoretical fantasy. His literary theory with self-consciousness targeted the modern reality of Korea was constructed to direct the people spirit of ideological no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