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계그리기 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이상헌,이성아,박소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9 No.4

        목적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 선별 도구로 사용되는 시계그리기 검사의 검사자간 신뢰도와 동시 및 구성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0년 10월부터 12월까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54명을 대상으로 시계그리기 검사와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MMSE-K)를 사용하여 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자료는 인구사회학적 정보와 시계그리기 검사간의 상관관계, 검사자간 신뢰도, 시계그리기 검사와 MMSE-K의 점수를 비교한 동시타당도, MMSE-K 23점을 기준으로 시계그리기 검사의 구성타당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클라이언트의 시계그리기 점수는 연령이 높을수록 점수가 낮아졌으며, 교육 기간이 증가할수록 점수가 높아졌으나 상관관계는 낮았다. 시계그리기 검사의 검사자간 신뢰도(ICC=2,1)는 자유선 그리기, 시계바늘 그리기, 원그리기의 세 조건에서 모두 .75이상을 보였다(p<.01). 동시타당도와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한 MMSE-K와 시계 그리기 검사의 세 조건의 상관에서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p<.01). 결론 : 시계그리기 검사는 검사자간 신뢰도가 우수하며 동시타당도와 구성타당도가 입증되었으므로, 작업치료 등 재활관련 임상 분야에서 MMSE-K와 함께 노인의 인지 기능을 선별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lock Drawing Test(CDT) with elderly people living in community. Methods : Five evaluator assessed 54 elderly clients with CDT and Korean Verson of Mini Mental Screening Examination(MMSE-K) from October 11th to December 12th, 2010. The researcher analyzed inter-rater reliability, correlation between raters of CDT with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concurrent validity, CDT and MMSE-K with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discriminative validity, comparison mean scores of CDT between groups, more than MMSE-K score 23 and less with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s : The score of CDT decreased according to aging and increased according to education year. Bu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as low. The inter-rater reliability and content valid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Also, the construct valid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Conclusion : The CDT can be applied to screen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people clinically as an alternative to MMSE-K.

      • KCI등재

        일반노인, 조현병환자, 치매노인의 시계그리기 검사 반응특성

        김갑숙,전영숙,엄인숙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6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일반노인, 조현병환자, 치매노인의 시계그리기 검사(CDT) 점수의 차이를 알아 보고, 시계그림 내용의 구체적인 반응특성이 어떠한지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 상은 대구, 경북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노인 68명, 조현병환자 72명, 치매노인 73명이며, 이들에게 시계그리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의 반응에 대한 채점은 Rouleau, Salmon과 Butters(1996)의 10점 채점체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공변량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계판과 숫자에서는 일반노인과 조 현병환자보다 치매노인이 수행점수가 낮았으며, 바늘영역에서는 일반노인보다 조현병환자와 치매노인이 낮았고, CDT 전체점수에서는 일반노인이 가장 점수가 높았고 다음은 조현병환 자, 치매노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류유형 중 보속을 제외한 다섯 영역, 즉 시계의 크 기, 그리기의 어려움, 자극-속박반응, 개념결함, 수 배열 오류는 증상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 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일반노인보다 조현병환자가, 그리고 조현병환자보다 치매노인 이 시계그리기의 수행능력이 저조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반노인, 조현병환자, 치매노 인의 CDT 점수의 차이와 오류유형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임상적 유용성을 확대하였다는 점 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시계그리기검사 반응특성 연구

        송다겸,김갑숙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인지기능의 차이를 시계그리기검사를 통하여 살펴보고, CDT가 인지적인 차이를 변별 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학령기에 있는 9세-13세의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 각각 110명, 총 220명을 대상으로 시계그리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CDT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고, 장애급수별에 따른 CDT 점수의 차이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CDT에 나타나는 구체적인 반응특성의 차이는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내용분석을 통해 아동의 시계그리기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CDT의 점수는 총점과 하위영역인 시계 판(원), 숫자, 바늘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일반아동은 대다수가 시계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그리는 반면 지적장애아동은 모든 영역에서 대부분 오류를 범하였다. 둘째, CDT 점수는 지적장애아동의 급수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장애정도가 심할수록 시계그리기 수행능력이 떨어졌다. 따라서 CDT는 일반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인지기능의 차이를 알아볼 수 있는 도구로 활용가능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betwe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normal children by using the clock drawing test(CDT)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DT as a screening tool for cognitive differenc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220 school-age children aged 9 to 13 years old, including 110 normal children and 110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CDT was performed by all participants. In terms of data analysis, the t-test, frequencies and percentages, and the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nd the children's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CDT were identified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DT scores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other words, the majority of the normal children correctly perceived and drew the clock, while most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ade errors in all sub-domain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DT scores according to the disability grade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more severe the degree of disability was, the lower the ability to perform the CDT was. Therefore, the CDT is thought to be a valid screening tool for discriminating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기억성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병의시계 그리기 검사의 수행양상

        정하나,진주희,김희진,서상원,나덕렬 한국임상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4 No.1

        The clock drawing test (CDT) has been consistently used as part of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specifically as a screening tool for dementia. This study compare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formance on the CDT among patients with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MCI), very mild Alzheimer's disease (AD) with a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of 0.5, and mild AD with a CDR of 1. Ninety-seven subjects with aMCI, 37 subjects with AD-CDR 0.5, and 50 subjects with AD-CDR 1, who visited the Memory Disorders Clinic in the Department of Neurology at the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underwent CDT and standardized neuropsychological battery tests. Althoug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otal quantitative scores among the three patient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MCI and AD-CDR 0.5 patients. However, the qualitative error analysis reveal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several areas: misrepresentation of clock (conceptual deficit error), deficit in spatial layout of numbers without any specific pattern (spatial disorganization), and moderate graphic difficulty. In correlational analysis between the CDT and other neuropsychological measures, the CD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Korean-Boston Naming Test,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copying test, verbal/visual memory tests, and frontal/executive function tests.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errors in the CDT can help identify cognitive changes in the early stage of AD; however, the quantitative scores of the CDT revealed limited information about these changes. Additionally, our results indicated that performance in the CDT was associated with semantic knowledge, visuospatial function, and executive function 시계 그리기 검사(Clock Drawing Test: CDT)는 치매 선별검사로, 임상 장면에서 많이 사용되는 신경심리검사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MCI)와 임상치매평가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scale: CDR)에 따라 CDR 0.5로 분류된 알츠하이머병 치매(Alzheimer's disease, AD), 그리고 CDR 1로 분류된 AD 환자를 대상으로 시계 그리기 검사(CDT)의 수행을 양적 및 질적 오류 분석을 통해 비교하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한 종합병원 신경과를 방문한 환자 중 aMCI 환자 97명, AD-CDR 0.5 환자 37명, AD-CDR 1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CDT와 종합적인 신경심리평가가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CDT의 양적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사후분석에서 aMCI와 AD-CDR 0.5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질적 오류 분석에서, <개념적 결함> 오류 중 <잘못된 표상: 시계>, <공간과 계획 결함> 오류 중 <불특정형태 오류>, 그리고 <그리기 어려움: 중도>에서 aMCI와 AD-CDR 0.5 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신경심리평가와 CDT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한국판 보스톤 이름 대기 검사, 레이 복합 도형 검사: 모사, 언어적/시각적 기억 과제 및 전두엽/집행기능 과제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CDT 수행의 양적 점수만으로는 AD 초기 인지 변화를 살펴보는데 제한이 있으나 질적 오류 특성이 AD 초기 인지 변화를 살펴보는데 유용할 것이라는 점과 CDT를 수행하는데 의미적 지식, 시공간 구성 능력 및 집행기능이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치매 선별을 위한 도형모사검사 개발 및 타당화

        김초복(Chobok Kim),허주연(Juyeon Heo),홍지윤(Jiyun Hong),이경면(Kyongmyon Yi),박중규(Jungkyu Park),신창환(Changhwan Shin)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2

        치매 증상의 진행 지연 및 관리비용의 절감을 위해서는 치매를 조기에 발견하여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매와 관련된 인지신경학적 손상을 측정할 수 있는 간단한 그림검사인 도형모사검사를 개발하여, 치매 선별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형모사검사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기계학습을 통해 검사 채점의 자동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70명의 일반 및 손상집단 참가자들에 대하여 도형모사검사, MMSE-DS, 그리고 시계그리기 검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도형모사검사의 점수는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다른 두 검사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여 검사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세 검사의 치매 선별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해 판별분석을 시행한 결과, 다른 두 검사와 비교했을 때 도형모사검사가 일반 및 손상 집단을 각각 90.8% 및 77.1%의 정확도로 예측하여, 집단에 대한 예측 수준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경과 진단을 통한 임상결과를 통해, MMSE-DS를 통해 선별하지 못했던 치매 사례들을 도형모사검사를 이용하여 선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도형모사검사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학습을 수행한 결과, 73.70%의 정확률로 집단을 예측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사용되어 온 치매 선별 검사의 한계를 보완하여, 시행과 채점이 간편한 새로운 그림검사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Early diagnosis and intervention of dementia is critical to minimize future risk and cost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Figure-Copy Test(FCT), as a new dementia screening test, that can measure neurological damage and cognitive impairment, and then to examine whether the grading precesses for screening can be automated through machine learning procedure by u sing FCT imag es. For this e nd, FCT, Korean v ersion of MMSE for Dementia S creening (MMSE-DS) a nd C lock D rawing Test were administrated to a total of 270 participants from normal and damaged elderly groups. Results demonstrated that FCT scores showed high internal constancy and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the other two test scores. Discriminant analyses showed that the accuracy of c lassification for the normal and damag ed g roups using FCT were 90.8% and 77.1%, respectively, and these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e other two tests. Importantly, we identified that the participants whose MMSE-DS scores were higher than the cutoff but showed lower scores in FCT were successfully screened out through clinical diagnosis. Finally, machine learning using the FCT image data showed an accuracy of 73.70%.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FCT, a newly developed drawing test, can be easily implemented for efficient dementia screening.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에서의 수면의 질과 인지기능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오윤균,김봉조,박철수,이철순,차보석,이소진,이동윤,서지영,최재원,이영지,이재헌,이윤정 대한수면의학회 2020 수면·정신생리 Vol.27 No.1

        Objectives: Sleep disturbance in the elderly is associated with cognitive decline. Sleep quality is known to deteriorate with age, and prospective studies seldom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cognitive func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sleep quality and cognitive function based on six-year follow-up data of communi- ty individuals older than 60 years.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622 community elderly people older than 60 years from Jinju-Si. The final analysis com- prised 322 elderly peopl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the Korean version of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CERAD-K) were used to assess early sleep quality and cognitive function after six years. Multiple lin- 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early sleep quality and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Results: Early sleep quality (PSQI)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esults of the digit span test, clock drawing test (clox 1), and word recall test after six years. Sleep quality (PSQI)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six years, and lower quality of sleep (PSQI) score was associated with higher digit span test score (β = -0.167, p = 0.026) and higher clock drawing test score (β = -0.157, p = 0.031). Lower quality of sleep (PSQI) score was associated with higher word recall test (β = -0.140, p = 0.039). Conclusion: The digit span test, word recall test, and clock drawing task (CLOX 1) shown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to sleep quality can be performed fast and easily in clinical practice. It is important to assess early cognitive function in the el- derly with poor sleep quality, and further studies could suggest that these tests may be useful screening tests for early de- mentia in elderly with poor sleep quality. 목 적:나이가 들수록 수면의 질은 나빠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수면의 질과 인지기능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전향 적 연구는 현재까지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60세 이상 의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6년 동안 추적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초기 수면의 질과 인지기능 사이의 관련성을 알 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본 연구에서는 60세 이상의 지역사회 노인 622명 을 대상으로 하였고 최종 분석에는 322명의 노인이 포함되 었다. 다음과 같은 임상척도가 사용되었다. 피츠버그 수면 질 척도(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와 한국판 신 경심리 평가집(Korean version of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CERAD-K). 초기 수 면의 질과 6년 이후의 인지기능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중 선형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초기 수면의 질(PSQI)은 6년 이후의 숫자 외우기 검사(digit span test), 시계그리기 검사(CLOX 1), 단어 목 록 회상 검사(word recall test)의 결과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수면의 질이 좋을수록(β = -0.167, p = 0.026) 숫자 외우기 검사 점수가 증가했으며 수면의 질이 좋을수록(β = -0.157, p = 0.031) 시계 그리기 점수(CLOX 1)가 증가했다. 또한 수면의 질이 좋을수록(β = -0.140, p = 0.039) 단어 목 록 회상 검사 점수(word recall test)가 증가했다. 결 론:본 연구에서 수면의 질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나온 숫자외우기 검사(digit span test), 단어목록 회상 검사 (word list recall), 시계 그리기 검사 (CLOX 1)는 임상에서 비교적단시간내에간편하게수행할수있는검사이다.수 면의 질이 낮은 노인을 대상으로 이른 시기에 인지기능을 평가하는것은중요하며추후위의3가지검사가수면의질 이 낮은 노인에게 조기 치매 진단의 유용한 선별검사가 될 수 있음을 밝히는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치매환자와 조현병환자의 시계그리기 검사의 반응특성

        전영숙,김갑숙,이상운,은영지 한국미술치료학회 2014 美術治療硏究 Vol.21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drawings by dementia patients and by schizophrenia patients on the Clock Drawing Test (CDT henceforth).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89 elderlies (97 schizophrenia patients and 92 dementia patients). The study instrument was the CDT. The drawings were scored based on a 9 scale scoring system by 河野和彦 (Kono Kazhico, 2005). A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CDT drawings between the dementia group and schizophrenia group. Frequencies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analyze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drawing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ementia and schizophrenia group were found in the total score and the subcategories such as the number and clock hands. Second, in the circle domain, average-sized circles were found more in the dementia group's drawings than in the schizophrenia group's drawings. In many cases, the circles were in a distorted shape. In the number domain, lack of numbers and overlapped numbers were found more in the dementia group's drawings than in the schizophrenia group's drawings. In many cases, the numbers were in a tilted position. In the clock hand domain the dementia group's drawings showed such cases as no clock hands, incorrect position of clock hands, and the clock hands not passing through the center more than the schizophrenia group's drawing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mentia group performed lower on the clock drawing test than the schizophrenia group.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is study provided a validity of using the CDT as a projective tool by showing the differences i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in the CDT drawings by the dementia group and by the schizophrenia group. 본 연구는 치매환자와 조현병환자의 시계그림 반응특성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 경북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 189명(조현병환자 97명, 치매환자 92명)이다. 검사도구로는 시계그리기 검사(CDT)를 사용하였고, 검사의 반응에 대한 채점은 河野和彦(고노 카즈히코, 2005)의 9점 채점체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치매환자와 조현병환자의 CDT차이는 t-test를 실시하였고 구체적인 반응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환자와 조현병환자의 시계그리기 검사에서는 총점과 하위영역 중에서 숫자와 바늘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구체적인 반응특성을 살펴보면, 원의 영역에서는 치매환자가 조현병환자보다 원의 크기는 보통 크기가 많았고 원은 일그러진 형태가 많았다. 숫자 영역에서는 치매환자가 조현병환자보다 숫자부족이나 숫자중복이 많았고 숫자의 위치는 전체적으로 치우친 경우가 많았다. 바늘 영역에서는 치매환자가 조현병환자보다 바늘이 없거나 시분이 틀리거나 바늘이 중심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향이 많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치매환자가 조현병환자보다 시계그리기의 수행능력이 저조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치매환자 및 조현병환자의 CDT 반응 특성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진단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나타나는 편측무시의 특성

        윤인진,박미정,신미정,송문성 대한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3

        목적 :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손상 반구에 따른 편측무시의 발생률과 특성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작업치료 임 상에서 편측무시를 보이는 뇌졸중 환자에서 적절한 평가와 치료를 조기에 제공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선정 기준에 적합한 환자를 대상으로 작업치료사가 한국형 간이 정신 상태 검사(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K-MMSE), 알버트 검사(Albert’s test), 시계 그리기 검사, Catherine Bergego Scale(CBS)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에 따라 편측무시가 있는 대상자들의 데이터를 추출하였고, 손상 반구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총 100명의 대상자들 중 52명에서 편측무시가 나타났으며 그 중 오른쪽 반구 손상은 30명, 왼쪽 반구 손상은 22 명이었다. 편측무시가 없는 대상자들과 있는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 발병 일로부터 검사 일까지의 평균 기간, KMMSE 점수에서 두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손상 반구에 따른 검사 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CBS와 알 버트 검사의 총, 중간, 왼쪽 무시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나타나는 편측무시의 발생률은 오른쪽과 왼쪽이 거의 동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리고 지각 무시, 자기중심 무시와 일상생활동작 수행 시 관찰되는 편측무시는 손상 반구에 영향을 받으나 표상 무시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뇌 반구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의 손상이나 대뇌 손상뿐만 아니라 기저핵, 교뇌, 시상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편측무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급성기 뇌졸중 환자 에게 적절한 평가와 치료를 조기에 제공한다면 편측무시에 대한 증상뿐만 아니라 회복 과정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 으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의 시계 그리기 검사(CDT) 양상

        이은경,이현수 한국임상심리학회 2007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and the clinical utility of CDT by analyzing aspects of CDT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e CDT was administered to seventy schizophrenics, fifty adult depression patients, thirty elderly depression patients, and thirty mild dementia patients. Additionally, K-WAIS(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was administered to schizophrenics and adult depression patients, and CDR(Clinical Dementia Rating), and MMSE-K(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were administered to elderly depression patients and mild dementia pat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the difference of CDT total scores among these four groups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the error type analysis of CDT, schizophrenic patients showed higher frequency even than mild dementia patients in <big size figure><all numbers in closure figure><conceptual error><spatial and planing error>. It was thought that CDT has ability to measure schizophrenics' cognitive deficits in reality testing, visuo-spatial function, cognitive flexibility, planning, and executive function.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CDT has the clinical utility in differentiating schizophrenic patients as well as mild dementia patients. Additionally, the CDT score was no correlations with age, education, and verbal IQ; however, there were correlations among the CDT score and performance IQ and total IQ. Finally, the suggestions, limitations and further issue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