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만성요통 환자들에서 스트레스지각과 대응전략 간의 관계

        신윤식,고경봉,Shin, Yoon-Sik,Koh, Kyung-Bo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2 정신신체의학 Vol.10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요통 환자에서 스트레스지각 및 통증지각과 대응전략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는 만성요통 환자 80명과 정상대조군 100명이 참여하였다. 방법: 스트레스인자 및 스트레스반응에 대한 지각은 각각 스트레스인자 지각척도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Scale) 및 스트레스반응 척도(Stress Response Inventory)를, 대응전략 및 통증지각은 각각 대응척도(The Way of Coping-revised) 및 통증지각척도(Pain Discomfort Scale)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만성요통환자들이 정상대조군보다 일 및 직장, 대인관계, 대인관계의 변화, 질병 및 상해에 관련된 스트레스인자 지각점수, 전체 스트레스인자지각 정수가 각각 유의하게 더 높았다. 스트레스반응점수에서는 피로점수가 정상대조군보다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으나, 통증지각에서는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응전략에서는 환자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계획적 문제해결 및 긍정적 재평가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환자군에서 통증지각은 전체 스트레스반응 점수, 질병 및 상해에 관련한 스트레스인자지각 점수와 각각 유의한 양상관성을 보였다. 도피 회피 점수는 연령과 유의한 음상관성을, 거리감두기 및 도피-회피 점수는 유의한 양상관성을 보였다. 한편 책임수용은 여자가 남자보다 더 유의하게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대응전략과 스트레스인자지각 및 스트레스반응 통증지각 간에는 각각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들은 만성요통환자들이 정상인에 비해 스트레스인자에 대한 지각이 더 높으나, 더 적극적인 대응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환자군에서 사용하는 대응전략은 스트레스인자지각, 스트레스반응, 통증지각과 연관성을 보이지 않는 반면 사회인구학적 특정들과 연광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strategies and perceived stress or pain discomfort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80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nd 100 normal contr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thods: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GARS) scale and Stress Response Inventory (SRI) were used to measure perception for stressors and stress responses. Coping scale and pain discomfort scale were used to measure coping strategies and pain perception. Results : Scores of perceived stress related to work or job,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s in relationship, sickness or illness and the total scores on the GARS sc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ith chronic low back pain than normal controls. Scores of the SRI fatigue subscale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ith chronic low back pain than normal control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 total scores of the pain discomfort scale between those with chronic low back pain and normal controls. The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planful problem solving and positive reappraisal than normal controls. In the patient group, pain percep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otal scores of the SRI and scores of stress perception related to illness or injury. The extent of escape-avoidance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age, whereas the extent of distancing or escape-avoidance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level of education.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found in accepting responsibilities between male subjects and females.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coping strategies and perceived stressors, stress responses or pain perception.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were more likely to use more active coping strategies than normal controls, though the former had more perception for stressors than the latter. It was also found that coping strategies used by the patients were associated with sociodemographic factors, but that they were not associated with perceived stressors, stress responses or pain perception.

      • KCI등재후보

        노인의 거주형태가 스트레스 지각 및 대처에 미치는 영향

        김광수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7 사회연구 Vol.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생활양식을 구성하는 기본 환경요인이라고 볼 수 있는 거주형태가 노인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수준과 그 지각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대처하는 방식의 유형별 수준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규명하여, 상이한 거주형태로 살아가고 있는 재가노인과 시설노인들에 대한 분별화된 노인복지 서비스의 프로그램을 마련할 수 있는 정책방향의 표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노인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재가노인이 시설노인보다 스트레스를 지각하는 수준이 높았다. 지각한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유형별 수준에서는 재가노인이 시설노인보다 정서 중심적 대처 유형에서 뿐만 아니라 문제 중심적 대처 유형 둘 다에서 더 높은 수준으로 대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의 지각 수준과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방식의 유형별 수준 간의 상관성에서는, 스트레스의 지각 수준과 정서 중심적 대처 간뿐만 아니라 스트레스의 지각과 문제 중심적 대처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거주형태별 스트레스의 지각 수준 및 대처 유형별 수준의 차이를 사회인구학적 범주에 따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시설노인이 재가노인에 비해서 스트레스 요인에 대해서 대부분의 범주 내에서 더 낮은 수준에서 지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대처 유형별 수준에서 정서 중심적 대처 유형에서 뿐만 아니라 문제 중심적 대처 유형 둘 다에서 재가노인이 시설노인보다 대부분의 사회인구학적 범주 내에서 더 높은 수준으로 대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스트레스 지각 수준이 높을수록, 지각된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는 유형에서 더 복합적이고 수준에서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노인들의 기본 생활양식을 구성하는 거주형태가 노인들이 지각하고 스트레스의 수준과 이에 대한 대처의 유형별 수준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해 준 이 연구의 결과는 노인 스트레스 문제의 해결을 위한 노인복지 서비스의 분별적 적용의 필요성과 이를 위한 사회정책 수립의 근거를 제공해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residence type in the elderly on both old people's perception of stressor and the ways of coping with stress in a viewpoint of eco-systems theory, and to propose a guide by which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can be classified and differently provided to the elderly who living in different types of residence. To do this, a set of analyses was conducted by using data set collected from questionnaire survey of the elderly in Gyeongbuk in 2006. The residence type as independent variable was categorized into two types, living under home-based community care and living under residential care. Perception of stressor and the ways of coping with stress as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by using ‘perceived stress scale' and ‘coping scal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stress level perceived by the aged living under home-based community car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ged living under residential care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ce. Second, nevertheless, the aged living under home-based community care coped with stress in the higher level in terms of both emotion-focused coping and problem-focused coping than the aged living under residential care did. Third, correlations among the level of perception of stressor and the levels of the ways of coping with stress in the elderly were proved to be positive. Fourth, the results above have proved the fact that the higher perception of stressor, the higher emotion-focused coping and the higher problem-focused coping. In other words, the higher perception of stressor would require more compound ways of coping with stress. Accordingly, this study has empirical implication that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must be classified and differently provided to the aged who living in different types of residenc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 관조적 자기-자비(Self-Compassion)와 스트레스 통제 지각에 따른 대처방식의 차이

        이현주,조성호 가톨릭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2011 학생생활상담 Vol.29 No.-

        본 연구에서는 관조적 자기-자비와 스트레스 통제 지각에 따른 대처방식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의 대학생 521명을 대상으로 관조적 자기-자비 질문지(SCS) , 스트레스 상황 관련 평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 질문지(COPE)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를 통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한 변인으로 밝혀진, 성별과 스트레스의 심각성을 공변인으로 하고, 관조적 자기-자비와 스트레스 통제 지각을 독립변인, 문제중심적 대처, 수용 및 긍정적 재해석 대처, 회피지향적 대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이원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관조적 자기-자비 수준과 스트레스 통제 지각에 따른 각 집단별 대표적 대처방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카이자승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람들은 스트레스 상황을 통제불가능한 것으로 지각할 때보다 통제가능한 것으로 지각할 때 문제중 심적 대처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제중심적 대처 있어서, 관조적 자기-자비와 스트레스 통제 지각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관조적 자기-자비가 높은 사람들은 통제가능한 것으로 지각된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관조적 자기-자비가 낮은 사람들에 비해서 문제중심적 대처를 더 많이 사용했으나, 통제 불가능한 것으로 지각된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관조적 자기-자비가 낮은 사람들에 비해서 문제중심적 대처를 덜 사용하였다, 또한, 관조적 자기-자비가 낮은 사람보다는 높은 사람이, 그리고 스트레스 상황이 통제 불가능한 것으로 지각될 때 보다는 통제 가능한 것으로 지각될 때, 수용 및 긍정적 재해석 대처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피지향적 대처의 경우에는, 관조적 자기-자비가 낮은 사람들이 관조적 자기-자비가 높은 사람들보다 더 많이 사용했으며, 스트레스 상황이 통제불가능한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많이 사용되었다 끝으로, 관조적 자기-자비 수준과 스트레스 통제 지각에 따른 각 집단별 대표적 대처방식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관조적 자기-자비가 높은 사람들은 통제가능하다고 지각한 스트스 상황에서나 통제불가능하다고 지각한 스트레스 상황에서나 수용 및 긍정적 재해석 대처를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하였으며,관조적 자기-자비가 낮은 사람들은 통제가능한 것으로 지각한 스트레스 상황에서나 통제불가능한 것으로 지각한 상황에서나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대처방식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빛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지각된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취약성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수정,이주영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9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on adolescent depress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vulnerability and perceived stres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218 first and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mediating effect, the moderating effect,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Perceived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dolescent depression, and cognitive vulnerability. However, in the negative perception factor of perceived stress, femal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s. Second, Perceived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dolescents’ cognitive vulnerability, de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all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ird, cognitive vulnerabil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nd adolescent depression. Fourth, perceived stres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vulnerability and depression. Fifth, the process of Perceived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affecting depression mediated by adolescents’ cognitive vulnerability was moderated by perceived stres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n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depressed adolescents should consider family factors such as Perceived parents’ emotional invalidation, individual factors such as cognitive vulnerabil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erceived stress in an integrated way.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인지적 취약성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21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방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매개모형, 조절모형, 조절된 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별에 따라 지각된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 청소년 우울, 인지적 취약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 지각된 스트레스의 부정적 지각 요인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지각된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 청소년의 인지적 취약성 및 우울 그리고 지각된 스트레스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지각된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과 청소년 우울의 관계를 인지적 취약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인지적 취약성과 우울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각된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이 청소년의 인지적 취약성을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주는 경로가 지각된 스트레스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울한 청소년에 대한 치료적 개입 시, 청소년 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족 요인으로 지각된 부모의 정서적 불인정, 개인 내적 요인의 인지적 취약성, 환경적 요인의 지각된 스트레스를 통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학교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

        이선영,오대연,은혁기 한국교육치료학회 2014 교육치료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요인과 학교 스트레스 요인 및 적응유연성 요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적응유연성, 학교 스트레스와의 상관을 분석하고,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학교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으며, 그 과정에서 적응유연성이 어떻게 매개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부모양육태도 요인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으로는 애정, 자율, 성취, 합리를 설정하였고, 학교 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친구 스트레스, 학업 스트레스, 교사 및 학교생활 스트레스로 설정하였으며, 적응유연성의 하위요인으로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가정에서의 상호작용, 학교에서의 상호작용,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C초등학교 5, 6학년 266명(남 124명, 여 14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적응유연성,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및 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교 스트레스, 적응유연성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는 학교 스트레스에 직접효과와 적응유연성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응유연성은 학교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는 적응유연성을 매개로 학교 스트레스에 간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종속변인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적응유연성이 매개함을 의미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relations among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ilience, school stress. Another main purpose was to confirm whether the resilience mediated the process which the parenting attitude influence the shool stress.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survey targeting 266 elementary school students (124 boys and 142 girls) measuring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ilience, and school stress. The data collected from survey was analyzed via SPSS 20.0 and AMOS 18.0 for statistical treatment. As a result, the parenting attitude, resilience, school str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the parenting attitude and resilience have decisive effect on the level of school stress. The resilience mediated the part of process that the parenting attitude influenced on school stress. In other words,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 had not only the direct effect on school stress, but also the indirect effect through the resilience. Based on the results,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investigations a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 KCI등재

        보건계열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분석

        이혜승(Hye-Seung Lee),김은영(Eun-Young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계열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행복감 및 스트레스 대처의 정도와 관련요인을 파악하고, 지각된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지각된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위함이다. 대상자는 J도와 G광역시 소재한 4개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보건계열 대학생 288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과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및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행복감이 높아졌으며, 지각된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스트레스 대처가 높았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의 연구결과는 지각된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는 간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건계열 대학생들을 중재할 때 스트레스 대처 방안에 대해 좀 더 관심을 가지고 여러 대처법을 모색하고 적용함으로써 행복감을 향상시키는데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perceived stress, happiness, and the degree of stress coping and related factors of college students in health departmen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on happiness, and to research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on perceived stress and happiness. The subjects were 288 college students in four health care colleges in J-Do and G-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and 3-step regression analysis method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data analys revealed that the lower the perceived stress, the higher the happiness, and the lower the perceived stress, the higher the coping with stress. The data analysis results about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on the perceived stress of college students in the health department showed that the stress coping had an indirec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happiness. These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is a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stress coping when mediating students of college of health department, and also indicated the need to keep eye on improving happiness by developing and applying various stress coping strategies to the students of college of health department.

      • KCI등재

        한국어판 성인용 스트레스 지각 척도(K-PSS-11) 타당화 연구

        박정수(Jeongsoo Park)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전세계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스트레스 지각 척도(Perceived Stress Scale; PSS)의 타당화 연구를 실시했다. 원척도는 1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를 토대로 한 단축형 10문항, 4문항 버전이 있는데, 본 연구는 원척도 14문항을 번안해 사용했다. 만20세~69세 이하,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지각을 비롯해, 우울, 불안, 코로나 관련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를 측정했다. 무작위로 두 집단을 추출해 첫 번째 집단에서 문항-총점 상관, 내적 신뢰도,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해, 무력감 지각 및 자기 효능감 지각 2요인으로 구성된 최종 11문항을 확인했다. 두 번째 집단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타당도 분석을 실시해 적절한 모형 적합도가 산출되었고, 스트레스 지각 척도는 우울 및 불안, 코로나 관련 스트레스와 정적 상관, 삶의 만족도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더구나, 하위 요인으로 확인된 무력감 지각 및 자기 효능감 지각의 상관이 유의하지 않아 서로 다른 개념임이 시사된다.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어판 성인용 스트레스 지각 척도(K-PSS-11) 타당화 연구의 결과는 이 척도가 스트레스 지각을 측정하는데 적절하며, 다른 성인 집단 연구에도 널리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validated the Perceived Stress Scale (PSS) for Korean adults. The PSS is a scale that is most widely used all over the world. The original scale consists of 14 items (PSS-14), along with short 10-item and 4-item versions. The present study translated 14 items. A total of 500 adults aged 20~69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asuring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xiety, life satisfaction, and COVID-19 related stress. Two groups of participants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e first group, item-total correlations, reliabilitie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indicated 11 items that had a two-factor structure: perceived helplessness and perceived self-efficacy. For the second 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good model fits. Also, a high level of perceived stres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a high level of depression, anxiety, and COVID-19 related stress.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ha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perceived stress.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wo subfactors – helplessness and self-efficacy was not significant, which indicates two distinct componen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indicates that K-PSS-11 is an appropriate scale to measure perceived stress for adults that can be used in a larger group of adult population in Korea.

      • KCI등재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일-가정 균형 지각이 직무 스트레스, 심리적 계약위반, 이직의도에 미치는 조절역할에 관한 연구

        서동희,김학수 한국항공경영학회 2020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plex moderating effect of work-family balance perception in the positive relation of job stress of airline flight attendants working on airlines to turnover intention after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lthough most previous studies have been interested in suggesting job stress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dentifying its antecedents factors, this study set job stres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focused on identifying the black box in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Specifically job stress can lead to a sense of skepticism and disappointment among the organization members and fall short of their expectation consequently, which may lead to turnover intention. Furtherm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complex moderating effect of work-family balance perceptions. In terms of affective events theory aspect, the importance of work-family balance is emphasized at the present time, emphasizing the quality of life. In addition, work-family balance perception can induct the positive emotional states of organizational members. After all, it will result in allevi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job stress,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s and turnover intention simultaneously.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of collected data from 230 airline flight attendants, first,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job stress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Thir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Specifically, job stress has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it also has an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t the same time. Forth, work-family balance perception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higher the work-family balance perception, the less the positive effects of job stress o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less positive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on turnover intention.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re are complex moderating effects of work-family balance perception in indirect relation between job stress,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turnover intention. Specifically, the higher work-family balance perception, the less positive effect of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after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s and implications of job stress,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workfamily balance perceptions on turnover intention were derived. 본 연구는 항공사에 근무하는 객실승무원의 직무 스트레스가 심리적 계약위반을 거쳐 이직의도에미치는 정적인 관계에서 일-가정 균형 지각의 이중조절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기존 연구들은 결과변수로서 직무 스트레스를 제시하고, 직무 스트레스의 선행 영향요인을 규명하는데 관심을두었다. 본 연구는 직무 스트레스를 독립변수로 보고,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블랙박스를 규명하는 데 관심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직무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조직구성원은 조직에 대한 회의감, 실망감을 느끼게 되면서 조직이 조직구성원의 기대를 저버렸다고 인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조직을 떠나려는 의도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관계에서 일-가정 균형 지각의 이중조절효과에 관심을 두었다. 정서적 사건 이론을 토대로 본다면, 일-가정 균형은 삶의 질을 강조하는현 시점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일-가정 균형 지각은 조직구성원의 긍정적인 정서 상태를유도하여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계약위반 간의 관계 및 심리적 계약위반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동시에 완화시켜 줄 수 있다. 이에 항공사 객실승무원 230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를 보면, 첫째, 심리적 계약위반은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 스트레스는 심리적 계약위반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계약위반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직무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동시에, 직무 스트레스가 심리적 계약위반을 거쳐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간접적인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계약위반 간의 관계, 심리적 계약위반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일-가정 균형 지각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가정 균형 지각이 높을수록직무 스트레스가 심리적 계약위반에 미치는 정적인 효과가 완화되었고, 심리적 계약위반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정적인 효과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일-가정 균형 지각이 직무 스트레스, 심리적 계약위반, 이직의도 간의 간접적인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 가정 균형 지각이 높을수록 직무 스트레스가 심리적 계약위반을 거쳐 이직의도에 미치는 정적인 효과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 스트레스, 심리적 계약위반, 일-가정 균형 지각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함의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효과

        구본용,이충자 한국재활심리학회 2019 재활심리연구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사회인지 마음챙김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각된 스트레스와 사회인지 마음챙김을 선정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의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사회인지 마음챙김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에 재직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조사에 응답한 348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목적을 확인하기 위해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지각된 스트레스와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교사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은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과의 관계에서 각각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지각된 스트레스는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은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간에 조절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넷째, 사회인지 마음챙김은 지각된 스트레스를 조절하여 마음챙김 수준이 높을수록 소진이 낮았다.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은 소진에 간접적인 효과는 물론 지각된 스트레스에도 영향을 주어 소진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확인되어,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초등교사의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개인자원으로 작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아동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스트레스를 통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

        심효진,김정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mindset from perceived stress affects children’s anxiety in relation to the children’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oriented perfectionism. To this end,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75 fifth- and sixth-grade elementary students residing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Statistics 21.0. Mediating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Macro.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children’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erceived stres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anxiety. And concerning children’s self-oriented perfectionism, perceived stress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anxiety. Second, concerning children’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perceived stress. Third, social support did not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children’s perceived stress from their self-oriented perfectionism. Fourth, concerning children’s perceived stress, stress mindset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anxiety.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mindset through perceived stress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the effect of children’s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their anxiety, whereas social support and stress mindset through perceived stress significantly impacted the effect of children’s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on their anxiety.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지각된 스트레스를 통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및 충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5, 6학년생 17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 Statistics 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Macro를 이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및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각각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각된 스트레스가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아동의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스트레스 마인드셋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각된 스트레스를 통한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반면, 아동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각된 스트레스를 통한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