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릉 용연계곡 스텝-풀(step-pool) 지형의 형태적 특징
안성기,최광희,이찬주 한국사진지리학회 2023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3 No.4
본 연구는 강릉시 산지하천을 대상으로 스텝-풀 지형의 형태적 특징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드론 항공사진으로 제작된 수치표면모형을 활용하여 스텝-풀의 기하학적 요소를 산출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또한 다른 하천의 스텝-풀 연구와 비교하여 용연계곡의 특성을 제시한다. 연구 결과, 용연계곡 약 1.6 km의 구간에 스텝-풀 지형이 100 m 당 5.7개의 꼴로 62개가 분포하며, 거력 스텝 39개, 기반암 스텝 23개로 분류된다. 스텝-풀 하상에 관한 기존 사례에서는 하폭과 스텝의 간격, 그리고 스텝 간격과 스텝 높이 간 상관성이 모두 높게 나타난다. 하지만 용연계곡에서는 이들의 상관관계가 낮게 나타난다. 이는 용연계곡이 유역면적이 넓고 하천규모가 크며, 기반암 스텝의 비율이 다른하천에 비해 높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한편, 스텝 간격과 풀 길이, 낙차와 경사, 풀의 너비와 풀의 길이 간에는 다른 하천과 유사하게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step-pools in mountain streams located in Gangneung-si, South Korea. Using UAV-based aerial photographs, we generated a digital surface model of the study area to calculate the geometry of step-pools and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Comparisons with previous studies are also made to analyze unique characteristics. A total of 62 step-pools are identified within a 1.6 km channel reach, with an average distribution of 5.7 features per 100 meters. Boulder steps number 39, while bedrock steps are 23. Previous studies suggest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channel width and step wavelength, and step wavelength and its height, but their relationship is low in this study area. It is likely due to a higher proportion of bedrock steps, as well as a large basin area and river size in Yongyeon Valley. However, relatively strong correlations are observed between step spacing and pool length, drop height and slope, and pool width and length.
주명일+조효구 용인대학교 특수체육연구소 2007 특수체육연구 Vol.4 No.-
본 연구의 목적은 평형성훈련프로그램이 시각장애인 볼링스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자는 실험과제에 대해 사전경험이 없는 자로 서울시 소재 A 시각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남성 시각장애인 18명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사전면담을 통해 3개의 집단 즉, 통제집단, 스텝훈련집단, 스텝훈련과 평형성훈련을 병행한 집단에 무선 배치하여 스텝훈련과 평형성훈련을 6주 동안 주 3회, 회당 60분씩 각각 스텝훈련집단과 스텝훈련과 평형성훈련을 병행한 집단에 적용하였다. 6주간의 중재 후에 볼링스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어프로치 상에 임의의 기준선을 긋고, 스탠스자세에서부터 폴로스루까지 스텝이동 후 기준선에서 벗어난 오차거리를 측정하여 중재시작 전과 후를 측정하여 각 집단별로 개선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스텝훈련과 평형성훈련을 병행한 집단이 스텝훈련만을 실시하는 것보다 시각장애인의 볼링스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의 볼링교육 시 스텝훈련과 병행하여 평형성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김기흥 한국수자원학회 2020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sign criteria and detailed design model by reviewing the issues related to geometry, formation process, destruction process, hydraulic function, restoration and ecological function of the step-pool from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to apply the step-pool sequences to river restoration. Based on the analysis and review results, the design criteria for the structure and size of the step-pool are presented as ratio of the step spacing and the channel width, ratio of the unit step slope and channel slope, and ratio of step height and the particle size. To ensur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tep, stability analysis method of overturning based on the keystone theory was proposed as a design criterion. As a detailed design concept, a layout model was proposed by applying the imbricating structure of keystones and arch stones to the planar, longitudinal and transverse configurations of the step-pool. 본 연구의 목적은 하천복원에 스텝-풀 연속체를 적용하기 위해 기존 연구결과에서 스텝-풀의 기하구조, 형성 과정, 수리 기능, 복원 및 생태 기능과 관련된 사항을 검토하여 설계기준 및 세부설계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및 검토결과를 바탕으로 스텝 간격과 하폭의 비, 단위스텝경사와 하상경사의 비, 및 스텝 높이와 입경 비로서 스텝-풀의 구조 및 규모에 대한 설계기준을 제시하였고, 스텝의 구조적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키스톤 이론을 근거로 전도에 대한 안정성 해석방법을 설계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세부설계 개념으로서 스텝-풀의 평면, 종단 및 횡단 구성에 키스톤과 아치스톤에 대한 겹침구조를 적용한 배치 모델을 제안하였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의 동적 균형 기능, 근 신경 협응력 및 하지 근 파워가 스텝 시퀀스 수행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안나영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의 피겨 스케이팅의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동적 평형성, 근 신경 협응력, 하지 근 파워를 측정하여 실제 시합 시의 스텝 시퀀스의 기술수행을 분석하여 체력과 경기력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피겨 스케이팅 선수 11명이었다. 연구방법은 Y-Balance test(YBT), 소리 반응 시간, 버티컬 점프 스쿼트, 원 레그 스쿼트 등을 측정하였으며, 전국규모대회의 스텝시퀀스 점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평균 연령 17세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의 스텝 시퀀스 점수는 평균 4.99±0.66 점 이었으며, 스텝 레벨은 평균 3.85±0.15로 나타났다. YBT 결과 왼쪽다리는 83.93±4.32, 오른쪽 다리는 84.45±3.98로 나타났으며 양쪽 다리 모두 스텝 시퀀스와 유의하게(p<.05) 정적 관련성을 있어 평형성 유지는 스텝 시퀀스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리 반응 시간도 스텝 시퀀스와 유의하게(p<.05) 역상관이 나타나 스텝 시퀀스 점수가 높을수록 소리반응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은 스텝 시퀀스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근신경 훈련 및 반응시간등의 훈련을 통하여 근파워, 평형성 및 협응성을 향상시켜 전체적인 경기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competitive performance of figure skaters by measuring dynamic balance test, neuromuscular coordination, lower limb muscle power and analyzing the technical elements of steps sequence during actual competition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perform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 figure skaters. The research method measured the Y-Balance test (YBT), sound reaction time, vertical jump squat, and one-leg squat, and analyzed the step sequence score of the national compet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mean step sequence score of figure skaters with an average age of 17 was 4.99±0.66 points, and the step sequence level was 3.85±0.15 on average. The Y Balance test (YBT)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ft leg scored 83.93±4.32, and the right leg scored 84.45±3.98, showing a significant (p<.05) correlation between balance maintenance and step sequence performance for both legs.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p<.05)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tep sequence performance and sound-reaction time, indicating that higher step sequence scores were associated with faster sound-reaction time. Therefore, to improve the overall performance of figure skaters by enhancing step sequence proficiency, it is necessary to improve neuromuscular training, reaction time, and coordination through training.
돌하르방은 석궁왕(石弓王), 쿠빌라이 대칸의 탐라도 환생석 - 스키타이 기마 양유목혁명을 중심으로
주채혁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6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0 No.2
1. What is Dolharvang? Inspite of many other names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s, some scholars argue that Dolharvang is a compound noun of Харвах+vang=Harвavang(Archery King). The scholars also say that Khubilai the Great Khan who was the Founder of the Yuan(元) Empire had a vision of expanding his steppes empire and promoted the Mongolian Palace Project in the Ocean. It is said by the scholars that the Emperor thought Tamrado Island such a cornerstone as Palace on the Ocean. Therefore the scholars insist that Dolharvang in Tamrado(耽羅都) Island is appreciated as the phantom of Archery King Statue to be the failed dream of Khubilai the Great Khan. It is said that the Sheep Nomadizing at the Mongolian Steppes was reproduced in Tamrado Island being at the Non-Nomadic Zone is evaluated to be a kind of fiction. Because the Sheep Nomadizing Revolution at the Steppes could not be realized at any times, in the place where was not proper for the Sheep Nomadizing. If the Horse Raising was not connected with the Sheep Raising at the Steppes, the fighting power of mongolian horses also were not fulfilled their functions. And in case of the Mughul Empire(1526~1857)in the Non-Nomadic India, that was a subsidiary political organization belonging to the Empires of Chinghis Khan also did not recover the nomadic sweet home-like land and was disappeared in spite of building the greatest islamic dynasty in indian history. In other words, it is true that there are times and places for everything according to actors’ and actress’ abilities. However, the scholars talk about that the statue of Acheryking is smiling at the site of the Mongolian empire’s Ocean Palace where the site of the Beob Hwa Sa (法華寺) Temple was in the Gang Jeong(江汀) village. 2. Who was Khubilai the Great Khan? At the name of an era, Chih Yuan(至元) 17years in 1280 of Khubilai the Great Khan, an artist named Liu Kuan Tao(劉貫道), who was belonging to palace, drawed the hunting pictures of Khubilai the Great Khan at the Mongolian Steppes and some painters, who was belonging to the ancient Korean state Koryo, drawed portraits of Khubilai the Great Khan’s daughter named Khudulugh Kelmish who was a queen of Koryo and of Khubilai the Great Khan’s childish grand son, his daughter’s son named Ijil-Buqa who was a king of Koryo Chungseonwang(忠宣王). Ijil-Buqa was the core leader of the old Korean kingdom that was Gooli(高句麗)-Boka(渤海), who restored a family line of his monarchy to a member of Mongol Royal Family/Borjigin again. By the way, one royal picture and two royal portraits mentioned above are remained without flaws. After it becomes generally known, the historical story makes many Koreans surprise. 3. How do you apprise the Scythian works of art? In the Scythian systematic nations, the artistic relics being inherited by the Horse Riding-Sheep Nomadizing Revolution, since receiving the ironware during 2000 years, are touching many persons’ heartstrings from Black Sea(黑海) to city of Kyungjoo(慶州) in Korea. [English translation of the summary was a former journalist, historian Kim seon don(金善敦)]. 유라시아대륙에 석기시대 이래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석인상 유적들이 있다. 그렇지만, 본고에서는 철기 수용과 더불어 수행된 스키타이 ‘기마 양유목혁명기’를 전후해 일반 초원(Grass land)이 아닌 기마 양유목지대인 유라시아 스텝(Steppes)지역을 중심으로 제작된 관계 석인상 유적과 그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는 비유목지대 탐라도(耽羅都) 목마장의 석인상 유적에 초점을 맞추어 돌하르방 문제를 천착해보았다. 유라시아의 유목민들이 말을 탄 주된 이유가 스텝의 양유목혁명 수행을 위해서였다. 팍스 몽골리카를 이룩한 이들의 ‘기마사술’이라는 가공할 유목무력도 물론 이에서 비롯됐다. 돌하르방이란, 여러 명칭개념 해석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돌로 된 Харвах+vang=Harвavang(弓王)으로 논자 나름으로 본고에서 그 개념을 정의해보았다. 뒷날 알탄 칸(1507년~1582년)은, 자신이 ‘쿠빌라이 대칸’의 환생임을 자칭했다. 그렇듯이 쿠빌라이 대칸이 팍스 몽골리카를완성하고 탐라국에 해양제국 몽골황궁 구축을 구상-시도했던 흔적이 다소간에 확인되기도 하는 만큼 서북 다싱안링 고올리칸(弓王: 東明-Tumen) 석인상-‘석궁왕’처럼 서남 다싱안링 다리강가 스텝의 석인상도 중심인물 석인상을 위시해 배치되고 있는 몽골의 기원지대 관행으로 보아, 제주도 돌하르방이 이를 조형(祖形)으로 삼아 쿠빌라이 대칸 석인상을 중심으로 애초엔 그렇게 세워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고 하겠다. 그래서 그 후의 돌하르방이 팍스 몽골리카 탐라 해양황궁에 환생해온 그 참 주체인 쿠빌라이 대칸의 민속 신앙적 환영의 시대적 구상들일 수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본래, 구체적인 역사인물인 팍스 몽골리카의 실제적인 구현자 대원제국 태조 쿠빌라이 대칸의 스텝제국의 확충 비젼이 투영된 해양 중 몽골궁성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탐라도 해양궁성의 아이콘초석으로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미처 못 다 이룬 그의 꿈이 배어난 자아상으로서의 석궁왕상(石弓王像)과 그 환영의 각 시대 시류를 따른 구체적인 구현이, 탐라도 돌하르방의 실상이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런데 비유목지대인 탐라도 목마장에서의 ‘몽골스텝 양유목’은 한낱 허구였다고 본다. 왜냐하면 양유목의 적지가 아닌 이곳에서 스텝양 유목 혁명을 유발하기 위한 목마는 실은 실현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결국 인도의 거대한 칭기스칸 몽골제국계 이슬람제국 무굴제국(Mughul Empire;1526~1857)도 끝내 몽골스텝 본지(本地)의 수복을 이루지는 못했다. 본질적으로 목마가 스텝양유목과 관계가 없다면 몽골말의 유목적 전투력도 지속적인 제 기능을 발휘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달리 말해 모든 것에는 그 나름의 때와 전제조건이 있다는 말은 불변의 진리라 하겠다. 원명(元明)~여선(麗鮮) 역성혁명과정이나 산업혁명 이후 만청(滿淸)제국과 신성로마제국 등의 모진 핍박과 농락 중에 이런 특정 생태 적응적 진화를 해오는 과정에서 시류를 따라 코믹하게 일그러진 표정으로 자신을 성형수술해온 터이지만, 탐라도 돌하르방은 2000여 년에 걸친 철기 수용 이래의 ‘황금빛 스키타이’ 기마 양유목혁명의 총체적 열매로서의 끈질기고 슬기로운 세계사적 차원의 초인적인 난숙한 예술적 풍모를 기나긴 세월 온갖 풍상 속에서도 아직 적지아니 견지하고 있다고 하겠다.
스텝을 이용한 리듬인지 운동이 성장기 청소년의 보행수행능력과 인지학습에 미치는 영향
박찬대(Park Chan Dae),박정민(Park Jeong 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성장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텝을 이용한 리듬인지 운동 프로그램 전과 후에 보행수행능력과 인지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된 연구이다. 본 연구는 D지역 Y소재 T중학교 2학년 학생 48명을 대상으로 비 운동 대조그룹(NEG; Non-Exercise group/ n=16), 주 3회 이하 스텝을 이용한 리듬인지 운동그룹(DEG: Deficient Exercise group/ n=16), 주 3회 이상 스텝을 이용한 리듬인지 운동그룹(OEG: Over Exercise group(n=16)으로 선정하여 12주간 스텝을 이용한 리듬인지 운동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수행을 통해 얻어진 자료는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복측정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텝을 이용한 리듬인지 운동에 따른 성장기 청소년의 보행수행능력을 분석한 결과 보행속도, 분속수와 지그재그 옆으로 걷기, 발끝모아 앞으로 걷기, 20m 빨리 걷기에서 OEG가 DEG와 NEG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둘째, 스텝을 이용한 리듬인지 운동에 따른 성장기 청소년의 인지학습능력을 분석한 결과 신체부위, 숫자표기, 조작, 동작변인에서 OEG와 DEG가 NEG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it exercise with step exercise on gait performance ability and cognitive learning in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on exercise group (NEG/ n=16) and deficient exercise group (DEG/ n=16) and over exercise group (OEG/ n=16). The gait exercise with step exercise program for 12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ait performance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velocity, cadence, 3m Tandem Walk, Carioca, 20m fast walk whereas in OEG compared with DEG and NEG after 12 weeks. Second, As for the cognitive learning, the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dy Par, Number Display, Movement, Operation in OEG compared with DEG and NEG after 12 weeks. As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gait exercise with step exercise could improve the gait performance ability and cognitive learning of adolescents.
한국무용 스텝 운동이 척추 후만증 청소년의 보행 자세안정화와 골반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박정민(Park Jeong Min),김경래(Kim Kyeong Lae),차준열(Cha Jun You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척추 후만증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무용 스텝 운동 프로그램 전과 후에 보행 자세안정화와 골반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된 연구이다. 본 연구는 K지역 A소재 A중학교 2학년 학생 48명을 대상으로 비 운동 대조그룹(NEG; Non-Exercise group/ n=16), 주 3회 이하 한국무용 스텝 운동그룹(DEG: Deficient Exercise group/ n=16), 주 3회 이상 한국무용 스텝 운동그룹(OEG: Over Exercise group(n=16)으로 선정하여 12주간 한국무용 스텝 운동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수행을 통해 얻어진 자료는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복측정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무용 스텝 운동에 따른 척추 후만증 청소년의 보행 자세안정화을 분석한 결과 보장(Left, Right), 활보장(Left, Right), 신체움직임에서 OEG가 DEG와 NEG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한국무용 스텝 운동에 따른 척추 후만증 청소년의 골반움직임을 분석한 결과 신전과 굴곡, 내전, 외전, 회전에서 OEG와 DEG가 NEG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orea traditional dance movement step exercise on gait performance stabilization and pelvis movement in kyphosis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on exercise group (NEG/ n=16) and deficient exercise group (DEG/ n=16) and over exercise group (OEG/ n=16). The korea traditional dance movement step exercise program for 12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ait performance stabilization, the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step length left and right, Stride length left and right, body motional quotients in OEG compared with DEG and NEG after 12 weeks. Second, As for the pelvis movement, the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extension and flexion, inversion and eversion in OEG compared with DEG and NEG after 12 weeks. As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korea traditional dance movement step exercise could improve the gait performance stabilization and pelvis movement in kyphosis adolescents.
발마커를 이용한 삼중과제 스텝운동이 뇌병변 장애 아동의 보행패턴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기수,박정민,차준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neurological disorders seen of the children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by investigating the triple-task step exercise using foot markers program on gait pattern and cognitive function in mental retarded children.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30 mental retarded children at N located in K city, were selected at random and allocated 10 mental retarded children each for the Non Exercise group (NEG), Deficient Exercise group(DEG), Over Exercise group (OEG) and measured kinematic gait pattern and cognitive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data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the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and Bonferroni post-hoc test was performed. Result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of gait pattern to functional cognitive gait pattern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velocity, cadence, step length, stride length in OEG compared with NEG and DEG after 16 week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of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functional cognitive gait pattern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body part, number display, movement, operation in OEG compared with NEG and DEG after 16 weeks. Conclusions As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triple-task step exercise using foot markers program could improve the gait pattern and cognitive function in the mental retarded children. 목적 본 연구는 뇌 병변 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발마커를 이용한 삼중과제 스텝 운동프로그램 전과 후에 보행패턴과 인지기능에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된 연구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S지역 소재 특수체육센터에 내방중인 13세에서 16세 뇌병변 장애아동 30명을 대상으로 비 운동 대조그룹(NEG; Non-Exercise group/ n=10), 보행 운동 참여그룹(GEG: Gait Exercise group/ n=10), 삼중과제 스텝운동 참여그룹(TEG: Triple-task Exercise group /n=10)으로 선정하여 16주간 발마커를 이용한 삼중과제 스텝 운동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수행을 통해 얻어진 자료는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복측정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발마커를 이용한 삼중과제 스텝 운동에 따른 뇌병변장애 아동들의 보행패턴을 분석한 결과 보장, 활보장의 크기와 보행속도의 증가 및 분속수의 단축에서 TEG가 GEG와 NEG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보행패턴의 시간적, 공간적변인의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둘째, 발마커를 이용한 삼중과제 스텝 운동에 따른 뇌병변장애 아동들의 인지기능을 분석한 결과시⋅감각적 변인인 신체부위, 숫자표기, 동작, 조작의 모든 변인에서 TEG가 GEG와 NEG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종합해 볼 때, 발마커를 이용한 삼중과제 스텝 운동 프로그램이 뇌 병변 장애 아동들의 보행패턴과 인지기능에 효과적인 운동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TEG 그룹의 보행패턴과 인지기능 변인의 긍정적인 변화와 GEG 그룹의 변화는 비 운동대조 그룹에 비해 긍정적인 결과임을 확인한 결과이다.
무릎관절염 여성노인 환자의 태권도 서기자세와 스텝박스 운동이 건강체력, 통증 및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김진영,이상호,하수민,고수한,김도연 한국융합과학회 2022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1 No.10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Taekwondo stading posture and step-box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pain and growth hormone in arthritis elderly women. Methods In our study was conducted for arthritis elderly women who aged 65-75 and they spontaneous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which one was exercise group (n=11) and the other one was control group (n=9). Our exercise program was consisted of standing posture of Taekwondo and step-box exercise which performed 3 times per week. This combined exercise program comprised of 60 min which was separated by warm-up (10 min), main exercise (40 min), cool-down (10 min) and we assigned to 20 min for main exercise, respectively. We used RPE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RPE) for examined intensity of this exercise program. Resul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combined exercise program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hysical fitness in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right and left flexibility of lower body, cardiorepiratory endurance and pain, growth hormone has been indicated to have a interaction between each groups. Also, these results were decreased between pre and post in exercise group. Conclusion Therefore, our study have suggested that this mixed of standing posture of taekwondo and step-box exercise could positively effect on physical fitness, pain and growth hormone. This results should be used for clinical environment and we could proposal our combined exercise to another study who want to contribute to arthritis patien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서기자세와 스텝박스 운동을 통해 무릎관절염 노인 여성의 건강 체력을 증진하고 환자의 통증 완화와 성장호르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골 관절 기능을 향상을 유도하여 무릎관절염 환자의 건강한 삶에 기여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만 65세 이상 75세 이하의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8주간 운동군(n=11), 대조군(n=9)으로 구분하여 운동군에게 태권도 서기자세와 스텝박스 운동을 실시하였다. 태권도 서기자세와 스텝박스 운동방법은 주 3회, 60분으로 준비운동 10분 태권도 서기자세 운동 20분, 스텝박스 운동 20분, 정리운동 10분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건강체력 중 골격근량, 근력, 근지구력, 오른쪽 유연성, 왼쪽 유연성, 심폐지구력에서 모두 그룹×시기 간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고 운동 전·후 시기 간 차이에서 운동군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그룹 간 변화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통증은 그룹×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운동 전·후 시기 간 차이에서 운동군이 유의한 감소와 그룹 간 변화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장호르몬은 그룹×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 및 운동 전·후 시기 간 차이에서 운동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그룹 간 변화량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그룹 간 차이는 운동 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변화량에서 운동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8주간의 태권도 서기자세와 스텝박스 운동이 무릎관절염 여성 노인환자의 건강체력, 통증 및 성장호르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무릎관절염 환자에게 프로그램의 적절성을 보여주는 결과라 생각되며 추후 연구에서도 태권도 서기자세와 스텝박스 운동을 통해 또 다른 긍정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Chaatang朝鮮이 몽골의뿌리-순록유목에서 양유목으로
주채혁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4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8 No.2
I have discovered that two kinds of nomadism generally existedin Northern Eurasia. The two types of nomadism consisted ofreindeer-riding reindeer herding nomadism and horse-riding sheepherding nomadism, with the prevailing type being dependent on theproduction style evident in a given nomadic area. Much like thelivestock animals featured two different animals and the nomadicecology could be separated into the cold plateau tundra marshland ~shades in the tundra (鮮: soyon) and cold plateau dry zone steppe(原), the nomads were also differently classified depending on thechanges and development of production conditions. While the formertype of nomadism was overwhelmingly longer and wider in scopethan the latter, they were in general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periods and changes in ecological conditions. A monumental shift in nomadic history emerged on the AnatolianPeninsula during the 10th century BC. Having gained ironimplements, the Soyon tribe (鮮族: Scythia) advanced to the widesteppe north of the Black Sea, becoming horse-riding sheep herding nomads. The sun is symbolized by Altan gerel in the cold plateaudry zone steppe. This stands in contrast to the reddish sun orBurqan found in the cold plateau marshland (鮮: sopka) for reindeerherding. At this point, it is accepted as fact that the terms Scythia, Soyon,and Saxa rendered in the languages of the indigenous peoplesoriginated from the word for the mother reindeer, or Sugan (Сагаион), providing milk to the reindeer herding nomadic people. It isregarded that the western spread of reindeer herding nomadism inNorth Eurasia was combined with the iron culture of Western Asia ~Central Asia during the postglacial period before spreading eastwards. By the Iron Age, a horse-riding sheep herding nomadism haddeveloped in the steppe whose productivity was 10 times greater thanthe reindeer-riding reindeer herding nomadism. This developmentemerged faster in Central and Western Asia than in Northeast Asiaand the Artic Ocean region. The revolution in nomadic production, inwhich horse-riding sheep herding nomadism became the mainstreamof Eurasian nomadism, was only made possible by the use of ironimplements. They formed fearful archery forces following the incorporation ofScythia iron manufacturing technology. They also made use of themost advanced nomadic military forces of the time, horse-basedarchers, to advance into the steppe. As such, a broadenedhorse-riding sheep herding steppe (原) called the Hulunbuir Mongolsteppe and a large-sized Sopka reindeer herding area called the NunRiver Sopka were integrated to become a large reindeer and sheeppastoral nomadic empire. Considering all of these facts, the root of Chaatang Chaoxian wasnot the horse-riding sheep herding Mongol.[Member of CommitteeIAMS] 1990년 북방개방 이후 북유라시아 유목지대 현지답사를 해오면서 나는 대체로 2대류의 유목이 존재해온 것을 알게 됐다. [騎馴鹿] ‘순록유목’(Reindeer-riding, reindeer herding nomadism) 과 騎馬 ‘양유목’(Horse-riding, sheep herding nomadism: 騎馬 ‘羊’遊牧)이라는 2대유목생산양식이다. 이처럼 유목가축이 크게 2대류로 나뉘고 유목생태도한랭 고원 저습지대 수림툰드라~툰드라의 응달 소프카-「鮮」과 한랭고원 건조지대 스텝-「原」으로 차별화되며, 유목민도 그 생산조건들의변화 발전에 따라 그렇게 분별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그 비중은 압도적으로 전자가 후자보다 더 길고도 넓지만, 시대와 생태조건의 변화에따라 서로 달라지고 있기는 했다. 기원전 10세기경에 아나톨리아 반도에서 철기로 재무장한 순록치기소욘족(鮮族)-Scythia가 바로 이 흑해 북녘 공활한 스텝으로 일약 기마양치기가 돼 황금빛을 번쩍이며 대거 휘몰아쳐 들어오는 유목사상의 일대 변혁이 일어났다. 붉은 색이 감도는 순록의 목초(蘚)지대 한랭 고원저습지대(Sopka: 鮮)의 붉은색(Olaan gerel) 해(Burqan: 紅太陽)와는 달리, 양치기들의 삶터 한랭 고원건조지대(Steppe: 原)에서는 태양이 순황금색(Altan gerel)으로 상징된다[金太陽: Altan nar]. 그래서 나는 울야프고분 출토 스키타이 유물 황금마두순록뿔탈[엘미타쥬 미술관 소장]을Chaatang의 기마양유목화 생산혁명의 상징물로 추정해보고 있다. 여기서 스키타이나 소욘(鮮)과 사하(Saxa)가 모두 시베리아(Siberia:鮮卑利亞) 원주민의 언어로 순록유목민의 주식 젖을 주는 어미(암)순록(Sugan: Сагаион)에서 비롯된 점이 사실인 만큼, 후기빙하기 이후 북유라시아 시원순록유목의 西傳이 서아시아~중앙아시아의 철기문화와 융합돼 다시 東傳된 것일 수 있다고 여겨진다. 물론 철기시대에 들어서 생산성이 순록유목보다 10여배나 더 높은 스텝의 기마 양유목으로 발전해 기마 양유목초지 스텝으로 진출하는 데는,중앙아시아나 서아시아가 북극해권을 내포하는 동북아시아보다 대체로더 빨랐다. 서남아시아 아나톨리아 고원에서는 기원전 3000년 경부터 철생산을 시작했고 기원전 15세기에는 철생산을 독점한 히타이트 거대제국이 출현하기까지 했다. 순록유목의 기마 양유목화로 후자가 유라시아유목권의 본격적인 주류로 들어서는 유목생산의 일대 혁명은, 철기사용과 더불어서만 가능했기 때문이다. 이런 철기의 보급과정에서, 기원전 8~3세기에 걸쳐 기마 양유목 거대목초지 흑해와 카스피해 연안 대스텝에서 크게 활약한 이란계의 기마양치기 스키타이~소얀(鮮)족도 등장하게 되면서 거대 수림툰드라 동·서사얀산맥 중에도 스키타이~소얀족이 일대의 둥지를 틀게 됐고, 이들이주축을 이루면서 이어서 朝鮮系 鮮族을 이뤘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스키타이 제철기술과 결합되어 무서운 弓士戰力集團을 이루는가 하면, 스텝에 진출해 騎馬射術이라는 가공할 당시의 최첨단 遊牧武力을 확보했다. 이렇게 해서 훌룬부이르 몽골스텝이라는 드넓은 Steppe(原) 기마 양유목지대와 嫩江소프카(鮮: Sopka)라는 거대한 Sopka(鮮)순록유목지대를 통합해 이 역사적인 순록·양[鮮原]유목제국 태반지대를모두 지배하면서, 이와 더불어 거대하고 비옥한 곡창지대 만주평야의 생산력이 점차 직·간접적으로 주요 배경토대로 작용하게 되자 치열하게사회분화가 일어나 고대 동북아시아유목제국이 창업되게 됐다. 그래서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