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불교의 미국화 과정 연구

        지혜경(Jee, Hye-Kyu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7

        미국불교는 이제 세계 불교의 중심이 되어 세계의 불교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이러한 미국불교를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재 드러나는 양상에만 초점을 맞추어서는 한계가 있다. 지금의 결과는 미국 내의 특수한 수용과정에서 기인한 것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런 관점에서 미국에 불교가 수용되는 과정에 집중하여 논의를 진행하고 한다. 다양한 불교 종파 중에서 미국에서 불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기점이 된 스즈키 다이세츠(Daisetsu Teitaro Suzuki 鈴木大拙, 1870-1966)의 선불교를 중심으로, 스즈키의 선 자체보다는 그의 선이 어떻게 당시 미국인의 구미에 맞는 선불교로 재생산 되어졌으며 어떻게 토착화에 성공했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시장경제의 용어를 빌자면, 스즈키는 일종의 선불교계의 성공한 세일즈맨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선불교의 소비자가 될 미국인들의 수요를 잘 알고 있었기에 미국인들 구미에 맞는 선불교를 제시하였고 대성공을 거두었다. 그렇기에 스즈키 선의 탄생배경과 과정을 분석하는 과정 속에서 미국불교의 특징을 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스즈키 선불교의 성공은 그가 미국인이 원하는 형태의 선불교를 만들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는 젊은 시절, 11년간 미국 출판사에서 동양의 고전들을 영어로 번역하는 일을 하면서 미국 내 사상 사조를 접할 기회가 많았다. 과학과 종교의 화해를 꿈꾸는 신학자 캐러스를 만나 진화론과 일원론에 기반한 당시의 과학적 종교관을 접했고, 초월주의자, 신지학회, 윌리엄 제임스로 이어지는 신비주의 전통에도 익숙했다. 그의 도반이자 아내였던 베아트리체도 그러한 신비주의 전통의 일원이었으며, 두 사람은 결혼 이후 일본에서 적극적으로 신지학회 모임을 개최했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스즈키는 윌리엄 제임스의 ‘종교의 신비체험이야말로 종교의 핵심’이라는 종교 정의를 바탕으로 선을 순수 신비체험을 중시하는 종교의 정수로 만들었다. 당시 미국 신비주의자들은 신비체험의 종교성에 주목하고 있었기에, 순수 영성 체험인 깨달음 (Satori)은 매력적으로 다가갈 수밖에 없었다. 그의 이러한 노력은 당시 미국 신비주의의 완결체의 위치에 선불교를 자리 매김시켰다 할 수 있다. 나아가 스즈키의 선은 1950년대 저항정신과 앨런 왓츠의 해석에 힘입어 폭발적 인기를 얻게 되었다. 스즈키의 선불교는 단지 선불교를 미국에 전파한 것이 아니라 미국인들이 당시 갈망하던 문제의 대안으로 제시했고, 그 결과 선은 미국 문화의 일부로 자리매김 할 수 있었다. Buddhism in America has become the leader of the Buddhism in the world. In order to understand the Americanized Buddhism profoundly, we need to pay attention to its beginning in the United States rather than to its current image. In this paper, I will focus on the D.T. Suzukis brand of Zen because it laid the crucial foundation for Americanized Buddhism. Suzuki’s brand of Zen was crafted by stressing religious experience (satori) bearing in mind the American taste. He knew well which form Zen should be projected, and where, in the context of American religious culture. He had become familiar with the trend of Buddhist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by translating books on Buddhism, and East Asian thought for eleven years while he lived in the United States. He made connections with the scholars who were interested in Buddhism and Asian religious traditions and belonged to the mysticism heritage, such as Transcendentalism and Theosophy. Under their influence, he qualified satori as a pure experience by referencing to William James’ explanations of mystical experience. His brand of Zen was well received and popularized by Alan Watts. Alan Watts called Zen “a religion of non-religion,” emphasizing the tradition’s penchant for flaunting religious norms, and clearly defined the content of satori as the wisdom of non-dualism. As a result, Suzukis Zen enabled to take complete root in America.

      • KCI등재

        트랜스퍼시픽 전위(轉位): D.T. 스즈키의 선철학과 비트 작가의 대항문화

        김유곤 한국비평이론학회 2020 비평과이론 Vol.25 No.1

        This essay examines D.T. Suzuki’s Zen philosophy, paying close attention to how his Zen theory affected the Beat writers and their counterculture in the mid-twentieth century. Suzuki’s major work such as An Introduction to Zen Buddhism, Essays in Zen Buddhism, and Manual of Zen Buddhism served as a significant conduit when the Beat writers studied and integrated Buddhist thought into writing. Suzuki’s impact on the Beat literature demonstrates what Yunte Huang calls “transpacific displacement,” a term that illuminates the irreducible complexities of literary and cultural interactions among countries on the Pacific Rim. In this context, the distinctive feature of Suzukian Zen is discussed in two overlapping terms: “everydayness” and “freedom.” These two terms help understand why the Beat writers such as Allen Ginsberg and Gary Snyder were so committed, particularly in their early work, to Suzuki’s Zen philosophy as a means to rebel against the Cold War United States. Ultimately, by analyzing Suzuki’s work and its creative transformations in the Beat literary scene, this paper suggests that Asian philosophy should be seen as a socially situated and discursively constructed artifact, i.e., an open signifier that can appear in any intellectual and aesthetic context across time and space. 본 논문은 미국문학의 초국가적 특성을 보여주는 예로 20세기 중반 비트 작가들의 대항문화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던 D.T. 스즈키(D.T. Suzuki, 1894—1966) 의 선철학을 탐구한다. 선불교 입문, 선불교 에세이, 선불교 해설 등과 같은스즈키의 대중적 저서는 비트 작가들에게 동양사상과 미학을 전파하는 중요한 매개가 되었다. 필자는 스즈키 선철학의 전파와 변용의 과정을 윤테 황(Yunte Huang)이 제시한 “트랜스퍼시픽 전위”의 사례로 분석함으로써 미국문학과 동양철학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스즈키는 ‘선’의 개념을난해한 형이상학이 아닌 일상적 경험과 개인의 자유로운 정신과 연관시켜 설명했으며, 이런 점에서 스즈키 선철학의 핵심을 크게 ‘일상성’과 ‘자유’라는 두 가지 키워드로 분석한다. 일상성과 자유는 스즈키가 강조했던 선의 본질인 동시에 그의 이론이 전후 냉전사회의 억압에 저항했던 비트 작가들의 대항문화 정신과 자연스럽게 결합할 수 있었던 주된 이유이기도 하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스즈키 선철학의전파과정을 “트랜스퍼시픽 전위”의 구체적 사례로 제시함으로써 동양철학이 미국문학을 지탱하는 토대로서 끊임없이 변해가는 유동적 형태의 문화적 지식이라는점을 밝힌다.

      • KCI등재

        인도 자동차 시장의 경쟁 역사와 국제마케팅 전략: 현대자동차와 마루티 스즈키를 중심으로

        박영렬,조소현,박정민 한국경영교육학회 2022 경영교육연구 Vol.37 No.3

        [Purpose]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Hyundai Motor’s international marketing strategy in the Indian automobile market with the strategy of its rival Maruti Suzuki. [Methodology]This study divides the events of two companies into five periods and specifies the changed characteristic in the market during each period. During the first stage, the first vehicle was launched in the Indian automobile market, the second stage of the joint venture of Maruti Suzuki, which accelerated the popularization of automobiles with the launch of the initial model. During the third stage, Hyundai Motor entered the market with the initial model, which changed Maruti Suzuki’s monopoly market into a competitive market. In the fourth stage where the diversification of the automobile market emerged and, during the fifth stage, the SUV and premium car market have been growing. [Findings]The strategy of Hyundai Motor that implemented a localization that affects the company’s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laws, cultures, and values of stakeholders was analyzed with Maruti Suzuki’s standardization strategy in the history of the Indian automobile market. [Implications]Even though Maruti Suzuki had a monopolistic position in Indian market, Hyundai Motor’s aggressive localization strategy contributed to successful entry into the foreign market and the growth of Hyundai motor, which could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연구목적]본 연구는 인도 자동차 시장에서 현대자동차와 마루티 스즈키의 경쟁 역사를 국제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기업의 진출 및 시장의 변화 시점을 기준으로 인도 자동차 시장에서의 마루티 스즈키와 현대자동차를 중심으로 5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인도 자동차 시장에 최초 자동차가 출시된 1단계(1890~1970년대), 자동차의 대중화를 앞당긴 마루티 스즈키의 합작투자 및 초기 모델을 출시한 2단계(1980년대), 마루티 스즈키의 독점 시장을 경쟁 체제로 변화시킨 현대자동차의 단독투자 진입과 초기모델을 출시한 3단계(1990년대), 자동차 시장의 다양화가 나타난 4단계(2000년대), 마지막으로 SUV시장의 성장인 5단계(2010년대 이후~)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인도 자동차 시장의 경쟁 역사와 여러 사건 속에서 현대자동차는 최대 경쟁기업인 마루티 스즈키의 표준화 전략과는 대조적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하여 직면하게 되는 규율, 문화 및 이해관계자들의 가치관 등 현지 시장의 요구들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현지화 전략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시사점]마루티 스즈키가 독점적인 위치를 가진 인도 자동차 시장에서 현대자동차가 펼친 적극적인 현지화 전략은 인도 현지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진입과 기업의 성장에 기여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탁월한 경영성과를 창출해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이 있다.

      • 스즈키 다이세츠(鈴木大拙)의 영성론

        원영상(元永常)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12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6

        近代東西洋の哲学界と仏教界に大きな影響を与えた鈴木大拙の霊性論は、禅論理の簡潔明瞭性と意味の重層性を良く示している。本論文は、鈴木の時代的テキストを中心に霊性論を構造的に把握し、東西洋の宗教の世界を統合しようとした思想的意図と転換期の意味を把握し、提示したことである。 鈴木の霊性論が胎動したのは、当時国家が所謂日本精神を掲げ西欧の物質文明に対抗し、根本的に宗教的価値と相反しているのを目撃して、その問題点を提示しようとしたからである。このため、日常の中で分裂した精神と物質の両者は、二次元的でありながら一元的であり、一元的でありながら二元的にみ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これを通じて自我の統合と現実に対する反省を促したかったのである。 この原理を自己否定を媒介にした超個の人から探し、これを禅と浄土界の祖師たちの精神世界から発見した。即ち、超個の個を代表した人物たちは、浄土宗の祖師法然、浄土真宗の祖師親鸞、そして、浄土真宗の信仰者妙好人であると見なしている。また、中国的な禅思想を日本的霊性の遠流とみて、これを積極的に展開させた。そして、個己の超個己、超個己の個己を通じて、両者が今ここで顕現するという霊性論を確立したのである。 鈴木は、個我という近代的自我を越えて、超個我を無限大に拡大した中で活発自在した自我の中の活発自在した個我の生が、現実で営為される作用を霊性としたことで、矛盾した近代的人間像をそれに基盤して新しく構成しようとしたのである。このような論理は、真俗、凡聖、体用を二つとして見ない大乗仏教学に基づいたのである。特に、霊性的自覚の論理を禅の核心思想である金剛經に基盤している。即ち、絶対の無分別を通じて分別と無分別までも絶たれた絶対無の境地を霊性の自覚としたのである。またこのような霊性の基盤を歴史的に大地性を持つ民衆的に置いたのである。 鈴木は、戦争への突入と敗戦の原因が、霊性の自覚の缺如と、国体論に基づいた天候主義にその根本原因があると見なした。即ち、神聖不可侵の国体を理念化した上に殺人を正当化したとみ、これを支えた近代的意味の神道は宗教としての意味を喪失した判断したのである。当時上からの垂直的近代国家の再編は、日本人の情緒的な側面は無論、正体性まで混乱させ、自由を基盤にした近代的個人を作り上げる力量は弱体したのである。このように鈴木は、戦後神道に対する批判を始め、このような個の開放nための霊性確立という思想的課題を追求したといえる。近代の没自我を解体し、新しい宗教性の即して、主体的に自由な生を追求する個人を完成することとともに、人間の科学と宗教が調和する現実を再構成しようとしたのである。 鈴木は、無限自在の仏性の功徳を備え持っている人間の内面から根元的知恵光明により現実を洞察できる無限な力が付与されたいるとみた。人間は、個我より超個我の次元に昇華され、また超個我の次元より宇宙的に疎通できる無限潜在力を持っているとみたのである。即ち、戦争の廃墟よち人間の可能性を呼び出すのが何よちも大事な時点で、鈴木は、破片化した霊性を新しく構築して、人間の自由意志が導く新しい形態の現代国家を建設しようとした主張したのである。このような主張は、近代終焉を意味し、それを乗り越えた新しい日本という国家を形成するための宗教的、哲学的、道徳的省察をさせることにその目的があると分かるのである。 근대동서양의 철학계와 불교계에 큰 영향을 미친 스즈키 다이세츠(鈴木大拙)의 영성론은 선논리(禪論理) 의 간결명료성(簡潔明瞭性) 과 의미의 중층성(重層性)을 잘 나타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즈키의 시대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그의 영성론의 구조와 동서양 종교세계를 통합하려한 사상적 의도와 전환기의 의미를 파악하여 제시하였다. 당시 국가가 소위 일본정신을 들이 서구의 물질문회에 대항하고 있는 것을 목격하고 그것이 근본적인 종교적 가치와 상반되고 있다는 문제를 제기하고자 한 것이 스즈키 영성론의 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일상 속에서 분열된 정선과 물질의 양자는 이원적이면서도 일원적이며, 이원적 이변서도 일원적으로 보아야 한다고 본다. 이를 통해 자아의 통합과 현실에 대한 만성을 촉진시키려 하였던 것이다. 이 원리를 자기긍정을 매개로한 초개(超個)의 사람으로부터 찾아 이를 선과 정토종의 조사들의 정신세계에서 발견하였다. 즉, 초개의 개(個)를 대표하는 인물들로 정토종의 조사 호넨(法然), 정토진증의 조사 신란(親鸞), 그러고 정토진종의 신앙자인 묘코닌(妙好人)을 들었다. 또한 중국적인 선사상을 일본적 영성의 원류로 보고, 그것을 적극적으로 전개시킨다. 그리고 개기(個己)의 초개기(超個己), 초개기의 개기를 통하여 양자가 지금 여기에 현현한다고 하는 영성론을 확립시켰던 것이다. 스즈키는 개아(個我)란 근대적 자아를 넘어서 초개아(超個我)를 무한대로 확대하는 속에 활밥자재(活発自在)한 개아의 생(生) 이 현실에서 영위되는 작용을 영성이라고 하는 점에서, 모순된 근대적 인간상을 그것에 기반하여 새롭게 구성하려고 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논리는 진속(貞俗), 범성(凡聖), 체용(体用) 을 둘로 보지 않는 대승불교학에 기반하고 있다. 특히, 영성적 자각의 논리를 선의 핵심사상으로 하는 금강경에 기반하고 있다. 즉, 절대의 무분멸(無分別)을 통하여 분별과 무분별까지도 끊어진 절대무(絶対無)의 경지를 영성의 자각이라고 하였던 것이다. 또한 이러한 영성의 기반을 역사적으로 대지성(大地性) 을 가진 민중적 농민에게 두고 있다. 스즈키는 일본의 전쟁돌입과 폐전의 근본 원언을 영성 자각의 결여와 국체론(国体論)에 근거한 전황주의에서 찾고 있다. 즉, 신성불가침의 국체(国体)를 이념화하여 살인을 정당화하였다고 보았고, 이를 지탱하는 근대적 의미의 신도(神道)논 종교로서의 의미를 상실하였다고 판단하였던 것이다. 당시 위로부터 수직적 근대국가의 재편은 일본인의 정서적인 측면은 물콘 정체성까지도 혼란시켰으며, 자유를 기반으로 한 근대적 개언을 만들어내는 역량을 약화시켰다. 이와 같이 스즈키는 전후 신도에 대한 비판을 비롯하여 개인의 해방을 위한 영성확립이라는 사상적 과제를 추구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근대의 몰자아(沒自我)를 해체하고, 새로운 종교성에 따라 주제적으로 자유로운 생을 추구하는 개인을 완성하는 동시에 인간의 괴학과 종교가 조화된 현실을 재구성하려고 하였던 것이다. 스즈키는 무한자재의 불성의 공덕을 갖춘 인간의 내면에 근본적 지혜광명에 의해 현실을 통찰할 수 있는 무한한 힘이 부여되어 있다고 보았다. 인간은 개아(個我)보다 초개아(超個我)의 차원으로 승화(昇華)되고, 또한 초개아(超個我)의 차원에서 우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무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즉, 전쟁의 폐허에서 인간의 가능성을 불러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에서 스즈키는 파편화(破片化)된 영성을 새롭게 구축하여, 인간의 자유의지가 이끄는 새로운 형태의 현대국가를 건설하자고 주장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주장은 근대의 종언을 의미하며 그것을 넘어선 새로운 일본이라는 국가를 형성하기 위한 종교적, 철학적, 도덕적 성찰을 하게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1940년대 스즈키 다케오의 식민지조선 정치경제 인식

        송병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民族文化硏究 Vol.37 No.-

        스즈키 타케오의 조선의 정치경제론은, 이론적으로 '경제적 내선일체론'으로 표현되었으며, 전시체제기에는 전쟁수행을 위해서, 패전후에는 배상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되었다고 할 수 있다. 스즈키는 제국주의적 편견 속에서의 조선인식을 패전이후에도 극복하지 못했다. 또한 경제적 채산성보다 정치, 군사적 측면이 우위에 있었다는 식민지 조선경제에 대한 인식은 패전 후에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일본의 조선에 대한 정치군사적 측면의 중시는 일제의 조선침략을 정당화하는 기본인식이었다. 이는 단지 일본이라는 범주안에서만 기능하는 독선적인 것이었으며, 그의 '조선' 중시론은 식민지 조선 근대화론=식민지 개발론과 '아시아해방론'이라는 측면이 온존되어 있었다. 식민지 공업구조는 해방후 블록경제의 해체에 따라 인위적으로 보장된 경제적 채산성이 사라짐에 따라 붕괴된다는 스즈키의 분석은, 미국이 조선 공업발전에 대한 비관적 전망과 일치한다. 1940년대 후반의 한일양지역의 경제적 재통합 문제가 정치군사면은 물론 경제면에서도 성공하지 못하는 원인으로 스즈키의 조선의 평가가 일본정부의 대한 경제정책의 기조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제국주의 식민정책의 연장선에서 조선과 일본의 경제적 재통합을 도모하는 것은 전후 한국의 경제적 내셔널리즘의 강한 저항에 직면하지 않을 수 없었다. The Political Economy of Colonial Korea by Takeo Suzuki was expressed as 'Keizaiteki Naisen Ittai Ron'(Economic Integration of Japan and Korea) in a theoretical sense, and was created for warfare in wartime an against reparation policy after World War Ⅱ. Suzuki could not be free of the imperial prejudice of Korea, from colonial to post-war period. He thought the politico-military motives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economic profitability. He had the same turn of mind in post-war. The stress of politico-military motives over economic sides about colonial Korea were the basic perception of Japanese Imperialism. Because functioned only within Japanese categories, this perception was smug in the view of Korean People. Suzuki's emphasization of 'Korea' was relatavie to colonial modernism-developmental colonialism, and therefore rendered 'Asian emancipationism' from Western Europe and U.S. American policy makers were pessimistic about Korean economy after World War Ⅱ, because their perspectives were accordance with Suzuki's analysis that the artificial profitability of colonial industry of Korea in wartime was broke down in proportion to dismentlement of bloc economy in post-war. The issue of economic reintegration for the second half of the 1940s could not succeeded in not only politico-military but also economic sides, because Japanese government accorded with Suzuki's imperialist image of Korea. By extension of imperial colonialism, the plan of economic integration of Korea and Japan encountered strong opposition from Korean nationalism-postcolonialism.

      • KCI등재

        호적과 스즈키의 논쟁‒ 미국 선불교 연구의 방법론적 발전의 기점 ‒

        문진건 한국불교학회 2015 韓國佛敎學 Vol.76 No.-

        This article shows that the development of hermeneutics in Zen studies in the US was kindled by the debate between Daisetsu Teitaro Suzuki (1870-1966) and Hu Shih (1891-1962). Hu Shih criticized Suzuki, broadly renowned as the first spreader of Japanese Zen to the West, for misinterpreting Zen by ignoring its history. Hu Shih maintained that to understand Zen is to know its historical, cultural, and political conditions and accused Suzuki of failing to pay attention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mergence of Zen as a spiritual tradition. However, Suzuki rebuked Hu Shih for his ignorance of the essence of Zen, that is, the ahistorical nature of Zen. Suzuki maintained that true Zen cannot be accessed through ordinary thought and it is above space-time relations, and naturally even above historical facts. Their hermeneutics represent the two main methods of American Zen studies, positivism and romanticism out of which historical approach and philosophical hermeneutics have grown. These seemingly incompatible viewpoints on Zen have been gradually integrated through both sides’ openness to each other and acceptance of criticism. The methodological development in Zen studies could be made by co-dependence of the historicity and the ahistoricity of Zen. 이 글은 미국의 禪學의 역사에서 1953년에 스즈키 다이세츠와 호적 사이에있었던 禪 연구의 방법론에 대한 논쟁을 분석한 연구이다. 禪에 대한 미국학자들의 해석은 선이 이론인가 수행인가의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이것은 다시 선을 본질론적으로 접근하는 스즈키의 방법론과 역사실증주의로접근하는 호적의 방법론으로 대표할 수 있다. 호적과 스즈키의 논쟁은 미국선학연구에서 실증주의적 역사적 연구방법론과 낭만주의적이고 비역사적인본질주의로 접근하는 것 중 어느 것이 禪硏究에 적합한가에 대한 논쟁을 촉발하였다. 선을 역사적 사실로 해석하고 시대의 맥락과 함께 설명하려고 하는 학자들과 선은 역사적인 차원을 넘어선 초시간적인 진리라고 보는 시각은 객관적추론과 주관적 체험, 언어와 비언어, 역사와 역사초월, 이론과 수행이라는 대립적인 전제를 바탕으로 언제나 상대가 미처 살피지 못하는 점을 지적하면서상대를 비판한다. 선은 시공을 초월한 진리의 근원이라고 여기는 수행자의 태도와 그러한 선의 본성에도 불구하고 선은 역사를 떠나서 있을 수 없음을 주장하는 역사주의적 태도의 상충으로 애초에 둘은 양립될 수 없어 보였지만, 후속되는 학자들의 비판과 보완적인 논의를 통하여 융합의 가능성을 드러내었고 서로 대립되어 보이는 방법론은 자신의 방법론을 비판에 노출하고 의견을 수렴하면서 발전해간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 글은 스즈키와 호적의 논쟁에 초점을 맞추었고 그 이후의 방법론적인발전에 대해서는 연구의 여지를 남겨 두었다. 이 연구를 통해서 비록 언설을떠난 선을 추구하지만 선학도 결국 언어를 사용하는 이론비판적인 학문이라는 것을 인정할 때, 학문적 교환이 없는 정체되고 비역사적인 태도를 지양하고 선연구의 방법론적 발전의 가능성을 얻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호적과 스즈키의 논쟁은 미국의 선학연구의 방법론적 발전을 위해서 필수적인 사건이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오코너 바이올린 교수법 고찰: 스즈키 교수법과의 비교분석

        이가원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3 이화음악논집 Vol.27 No.3

        시대와 음악문화의 흐름에 따라 교수법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한 진화가 요구된다. 학생들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교수법을 찾고, 선택하는 것은 전체 교육과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이번 연구는 오코너(Mark O’Connor, 1961-)의 새로운 현악 교수법을 소개함으로써 기존의 현악 교수법을 보충하고, 다양한 스타일의 음악을 통하여 교사가 현장에서 선택할 수 있는 폭을 넓히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초보자를 위한 교재로 볼 수 있는 1권을 중심으로 악곡 구성, 관련 테크닉, 즉흥연주 접근방법 측면에서 분석 하였으며 실제 적용을 위해 스즈키(Shinich Suzuki, 1898-1998) 교수법과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두 개의 교수법이 양립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오코너와 스즈키 교수법은 모두 자신의 기술을 개발하고 능숙한 음악가가 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는 바이올린 교수법이지만, 이들 사이에는 몇 가지 주요 차이점이 있다. 레퍼토리에 있어서, 스즈키는 고전 클래식 레퍼토리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오코너는 미국 음악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스즈키 교수법은 학습에 대해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반면, 오코너 교수법은 기존의 전통적인 방법에 미국 바이올린 연주의 음악적 요소를 통합하고 즉흥연주를 장려한다. 다양성과 창의성을 통한 오코너의 접근방법은 현악 교육의 확장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며,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는 현악 교수법 개발에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eaching method requires evolution through continuous research along with the flow of times and music culture. O’Connor recently introduced his new method to the music world, which infuses creativity and diversity, based on the Suzuki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is new American school of string playing “O’Connor Violin Method” and to compare it with the Suzuki method. The ultimate goal is to help string teachers better underst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ethods and use them effectively, and to help students develop a love and appreciation for music, while also equipping them with the skills they need to make music. This essay include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pedagogical principles, analysis of the pieces from the method book I in terms of repertoire, technique, and improvisation which is the most original feature of this method. It would give an idea of developing creativity in violin teaching. The combination of academic approach and joyful creativity will be expected to cause the chemical change of music learning.

      • KCI등재

        후기 중관사상에서 본 불성과 영성 -『불성론』과 스즈키 다이세츠의 영성관과 비교하여-

        이태승 ( Tae Seung Lee ) 인도철학회 2014 印度哲學 Vol.0 No.41

        본고는 불성과 영성의 개념을 심층의식의 단계적 설명과 관련시켜 고찰한 방식에 의거하여 후기 중관사상에 나타나는 공성의 개념을 살펴 본 것이다. 불성의 개념에 대해서는 『불성론』에, 영성의 개념에 대해서는 스즈키 다이세츠의 견해에 의거해 살펴보았으며, 그것은 『불성론』과 스즈키가 각각의 개념에 대해 불교적 입장을 잘 드러내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불성론』에서의 불성은 궁극적인 유적 존재, 수행을 통해 얻어지는 존재, 공덕을 지닌 존재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스즈키의 영성에는 무차별·무분별의 의식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불성과 영성의 개념은 의식의 내면적 단계와 관계를 가지는 까닭에, 보다 구체적으로 의식의 단계로서 설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의식의 단계적 설명은 후기 중관사상에서 공성에 대한 논증의 과정에 나타나는 일련의 개념 즉 외경-형상-유식-무아 개념의 심층적 전개와도 상통하고 있다. 이 후기 중관사상의 인식론적 논의는 나가르주나의 근본중송에 나타나는 이제설과 후기불교의 인식론적 고찰이 어우러져 제법의 무자성 논증이 인식론상에서 상세하게 밝혀지고 있는 것이다. 그와같이 『불성론』의 불성 개념이나 스즈키의 영성 개념, 그리고 후기 중관의 공성의 개념이 모두 인식론상의 고찰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까닭에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개념을 인식론상의 구조와 관련하여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이 고찰의 결과 각각의 개념들에 대한 인식론상의 이해가 분명해졌고 아울러 철학적 개념들에 대한 심리적ㆍ인식론적 연구의 필요성도 느꼈다.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많은 논의가 되고 있는 불성·영성·공성 등의 개념이 보다 선명하게 이해되는 하나의 계기가 되고자한다.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and Buddha-nature are the controversial and important concepts from the aspects of society and religion in contemporary time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and Buddha-n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Later Madhyamaka thoughts. Before entering the Later Madhyamaka thoughts, first of all, we investigated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and Buddha-nature from Suzuki`s works and Bul-sung-ron(佛性論) respectively. According to our investigation, we confirmed that the notion of Spirituality of Suzuki have the relationship with the very deep and indiscernible consciousness which are said to be ``indifferent`` and ``indiscriminate`` in Suzuki`s work and the notion of Buddha-nature in Bul-sung-ron is something that are Ultimate-being in deep consciousness and obtainable from the training and full of the merit and virtue. Considering the notions of Spirituality and Buddha-nature in Suzuki`s works and Bul-sung-ron, the aspect of consciousness are remarkable and noticeable. Therefore we can understood that this aspect of the consciousness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the Later Madhyamaka thoughts. According to the Madhyamakalamkara-vrtti of Santaraksita, the representive work of Later Madhyamaka thoughts, we can find that the concept of Sunyata as the Ultimate-being are presented in the deep aspect of our consciousness and the pursuit of the Sunyata with the Logical method is an ultimate work which functions in inside our consciousness. Pursuing the deeping process of the consciousness for the concept of Sunyata, we can find the spectrums of our consciousness, that is, the sphere of Outer-world, the sphere of Idea, the sphere of Mind-only, the sphere of Non-mind. Considering these spectrums of our consciousness in Madhyamakalamakara-vrtti, we can undestand that the Mind-only spectrum of our consciousness corresponds to the concept of Buddha-nature in Bul-sung-ron and the Non-mind spectrum of our consciousness corresponds to the concept of the Spirituality in the Suzuki`s works. Besides these spectrums relative to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and Buddha-nature, there is another sphere of our consciousness, that is, the Ultimate-state that is indescribable with our word. In concluding, we can easily understand the difficult concepts of Buddhism such as Sunyata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Later Madhyamaka thoughts and Suzuki`s works or Bul-sung-ron.

      • KCI등재후보

        일본정부의 재일조선인 정책과 한일회담 - 스즈키 하지메에서 사카나카 히데노리로

        이성 ( Sung Lee )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6 일본공간 Vol.20 No.-

        패전 후 장기적인 시야에 선 재일조선인 정책을 가지고 있지 않았던 일본정부는 1951년 말부터 시작된 한일회담에서 재일조선인의 법적지위 교섭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일본 정착이라는 현실을 전제로 일본 귀하를 촉진하는 방법으로 법적지위 문제를 해결하려는 구상을 1950년대 중반 시기에 가지게 됐다. 이것은 재일조선인 정책의 큰 전환이었다. 이 전환을 주도한 인물이 당시 법무성 입국관리국장으로 교섭에 참여했던 스즈키 하지메였다. 그는 조선인을 귀찮은 존재로만 바라보고 단속이나 한반도 송환만을 노리고 있던 일본정부의 기존 태도를 비판하며 일본 정착이라는 현실을 직시하고 일본국민에 가까운 지위를 보장해야 한다는 견해를 과감하게 펼쳤다. 나아가 국적선택을 하게 하거나 그것이 어려우면 무조건 귀화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일 수교 후 70년대 중반이 되면 당시 입관국 직원이던 사카나카 히데노리는 재일조선인의 법적지위를 되도록 안정시키는 것이 그들의 일본 정착과 일본 동화를 촉진시켜 결과적으로 귀화증가로 이어진다는 주장을 내놓아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그의 주장은 스즈키가 선구적으로 제기한 정책을 계승해 구체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일본의 전후 재일조선인 정책은 스즈키와 그것을 계승한 사카나카의 주도로 확립됐으며 그 기본적인 틀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 After the defeat, the Japanese government did not have a Korean policy in Japan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e Japanese government who was only watching Korean residents in Japan as a cumbersome existence was concerned only with their management and crackdown. However, in the mid-1950`s when the legal status negotiations at the Japan-South Korea talks were difficult, the Japanese government established a basic policy to solve the problem by naturalization of Koreans in Japan to Japan. It was suzuki hajime, the chief of the immigration bureau who participated in legal position negotiations to have led the establishment of such a policy. He insisted that Koreans who have totally settled in Japanese society should be given a stable status of residence as much as possible and that conditions of naturalization should be relaxed so that Japanese nationality can be easily acquired. In the 1970s, sakanaka, a staff member of the immigration bureau, asserted that Korean residents in Japan would become more established if they gave a stable status of residence, which in turn would lead to an increase in naturalization. It can be said that sakanaka`s assertion inherits and embodies suzuki` s argument.

      • KCI등재

        예이츠의 「자아와 영혼의 대화」에 대한 선사상적 접근: 스즈키의 선을 중심으로

        한학선 한국예이츠학회 2018 한국예이츠 저널 Vol.57 No.-

        일본의 불교학자 스즈키의 선사상은 예이츠의 삶과 철학뿐만 아니라 그의 후기 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예이츠를 평생 따라다니며 괴롭히던 이원적 갈등, 즉 선의 ‘분별계교심’에서 벗어나 노후에 관조하는 자세로 심오한 동양 철학 사상이 담긴 시들을 발표할 수 있었던 것, “존재의 통일”(Unity of Being)에 대한 진정한 의미를 깨달을 수 있었던 것은 선사상으로부터 받은 영향이 적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스즈키와 예이츠의 만남, 선과 선불교의 특징 등을 먼저 살펴보고, 예이츠가 선사상에 가장 심취해 있었던 시기에 쓰인 「자아와 영혼의 대화」에 나타난 선사상을 스즈키의 선과 관련시켜 심도 있게 고찰해 보고자 한다. The Zen thought of Suzuki Daisetsu, a Japanese Buddhist schola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Yeats’s life and philosophy as well as his late poetry. This Eastern thought helped Yeats get out of his lifelong dualistic conflicts and realize the true meaning of the Unity of Being in his last poems.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Yeats’s encounter with Zen and Suzuki and the characteristics of Zen thoughts as reflected in his “A Dialogue of Self and So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