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이 스마트 팩토리 도입의도와 경 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최고경영자 태도의 조절효과

        이종근,길종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3

        한국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해 온 제조업이 위기에 직면하면서 제조업 전반에 걸쳐 스마트 팩토리 도입 및 구축을 통한 경쟁력 확보를 꾀 하려는 추세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면서 신기술을 수용함에 있어서 중소기업의 스마트 팩토리 도입 및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 석하고 경영성과로 이어지도록 대안을 찾는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신기술 수용이론의 하나인 통합기술수용이론 (UTAUT)을 중심으로 신기술 수용요인이 도입의도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성공적인 스마트 팩토리 도입을 위한 기술적, 경 영적 측면의 요소를 파악하는 학문영역의 확장 가능성 발견과 기업의 경영환경에 적합한 스마트 팩토리 도입 모델을 구축하는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마트 팩토리 도입을 결정하는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의 요인(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 진조건)과 스마트 팩토리 도입 의도와 경영성과 간의 직접효과를 분석하고, 도입의도의 매개효과 및 최고경영자의 태도에 대한 조절효과를 검증 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UTAUT의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이 클수록 스마트 팩토리 도입의도는 증가했지만, 촉진조건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스마 트 팩토리 기술과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도입에 필요한 스킬이나 지식이 부족하고 기존 기술과 융합 가능성 역시 미흡해 전문인력 확보나 시스템 결합과 활용을 위한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UTAUT의 하위속성인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이 증가할수록 경영성과가 향상되지만 촉진조건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신기술 도입을 위한 시스템과 내부역량 구축이 부족하기 때문에 조직특성을 반영한 요인(시스템 구현 역량, ICT 활용 역량, 협력관계 등) 을 추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조직원들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만족도나 지속적인 사용의지 등은 품질향상, 생산비용과 구매비용 등 원가절감 으로 이어져 스마트 팩토리 수용의도요인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UTAUT 요인과 경영성과 간에 도입의도의 매개효과 검증에서 성과기대와 사회적 영향은 부분매개, 노력기대는 완전매개를 하고 있고, UTAUT 요인은 도입의도 요인을 통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최고경영자의 태도는 조절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인적·물적자원이 취약한 중소기업이 스마트 팩토리 도입이 생산성 향상 및 불량률 감소와 수익성 향상, 고용창출 등의 경영성과로 이 어질 수 있도록 신기술 도입을 위한 스킬 및 역량을 강화하고 시스템 구축을 위해 최고경영자가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비전 수립 및 관심과 몰입 수준을 증대시키고, 스마트 팩토리 도입과 구축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다. The manufacturing industry has been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Korean economy. As it faced a crisis, there has been a trend to secure competitiveness by introducing and establishing smart factories throughout the manufacturing industry, now becoming a necessity rather than an option. Also, related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SMBs in introducing and developing smart factories and find alternatives leading to management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expansion potential of the academic field which deals with the elements in the aspect of technical and management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smart factories and provide basic data on building a smart factory introduction model suitable for corporate management environment by verifying the impact of the factors in accepting newtechnologies on the intention to introduce the technologies andmanagement performance centering on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which is one of the theories on accepting new technologies discussed recently.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of the UTAUT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used to determine the introduction of a smart factory and the direct effect between the intention to introduce smart factory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This study also perform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ntention to introduce and the effect of adjusting CEO's attitud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ention to introduce a smart factory increasedwhenthe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ofUTAUT increased.However, the facilitating conditions did not have effect. For companies lacked skills and knowledge required to introduce the smart factory technology and system and the integration with the existing technology also deemed unlikely, it is necessary to secure professional manpower or prepare the bases for systemintegration and utilization. Second, themanagement performance improvedwhen the sub-attributes ofUTAUT, such as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increase, but facilitating condition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Since there is a lack of systemandinternal capacity building for the introduction of newtechnologies, it is necessary to performanadditional study to cover the factors reflecting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ystemimplementation capacity, ICT utilization capacity, and collaborative relationship). Third, the level of satisfaction orwillingness to use the smart factory currently used bymembers of the organization led to quality improvement and the reduction of costs, suchas production cost and purchase cost, indicating that the factors for the intentionto accept the smart factory hada positive (+) effect onmanagement performance. Fourth, inverifying themediating effect of the introductionintentionbetweenUTAUT factors andmanagement performance, the performance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had partiallymediating effect, and the effort expectancy had completemediating effect. The UTAUT factors had the effect of adjusting the CEO’s attitudewith regard to the influence on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the introduction intention. The adjusting effect that ledsocial influence intomanagement performance depending onCEO's interest andsupport hadthe greatest and the rest of the factors also hadadjusting eff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ensify skills and capabilities regarding the introductionof newtechnologies and forCEOs to establish a visionfor the smart factory, increase the level of interest and attention, and provide unsparing support for the introduc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smart factory so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smart factory to SMBs, which haveweak humanandmaterial resources,would leadtomanagement performance such as productivity improvement, decrease in defect rate, profitability improvement, and job creation.

      • KCI등재

        스마트 팩토리 품질요인이 스마트 팩토리 고도화 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가치 및 스마트 팩토리 성과의 매개효과

        이상원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5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smart factory’s quality factors on the intention to accept Advance Smart Factory(ASF) by mediating Perceived Value(PV) and Smart Factor Performance(SFP) of domestic SMEs that had introduced smart factor. As a result, First, Information Quality(IQ) and Service Quality(SQ)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Value(PV). Second, System Quality(SysQ), IQ, and SQ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SFP. Third, PV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intention to ASF, and PV and SFP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accept ASP. Also, PV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SysQ, IS and Perfromance, and PV and Performance had a moderation between SQ and ASF. These results could provide one implication to SMEs that are taking into account to improve their smart factor to be advanced. 본 연구에서는 국내 스마트 팩토리 도입 기업이 스마트 팩토리 품질(시스템 품질, 정보품질, 서비스 품질)에 대해 지각된 가치 및 성과를 통하여 현 수준보다 개선된 스마트 팩토리의 도입 및 확장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지각된 가치에는 정보품질, 서비스 품질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팩토리 성과에는 시스템 품질, 정보품질 및 서비스 품질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가치는 스마트 팩토리 성과에, 지각된 가치와 스마트 팩토리 성과는 모두 스마트 팩토리 고도화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스템 품질과 정보품질은 지각된 가치와 스마트 팩토리 성과를 통해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서비스 품질은 지각된 가치를 통해 스마트 팩토리 성과에 미치는 간접효과와 지각된 가치, 그리고 스마트 팩토리 성과를 통해 스마트 팩토리 고도화 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격적으로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하고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 팩토리 품질요인을 기반으로 스마트 팩토리 수준을 고도화할 수 있는 하나의 시사점으로 제시할 수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스마트팩토리의 품질이 효율성과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현규 한국기업경영학회 2020 기업경영연구 Vol.27 No.4

        최근,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사용의도에 대한 연구들은 있었지만, 활용도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스마트팩토리 시스템을 도입한 회사들을 토대로 스마트팩토리 품질, 스마트팩 토리 효율성,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활용도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스마트팩토리의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서비스품질이 스마트팩토리 활용과의 관계에서 업무효율성과 의사결정효율성에 어떠한 매개적 역할 을 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스마트팩토리의 품질 중 시스템품질과 정보품질은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였 다. 스마트팩토리의 효율성은 스마트팩토리의 업무효율성과 의사결정효율성의 스마트팩토리의 활용도에 긍정 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였다. 또한 시스템품질은 스마트팩토리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스템 품질이 뛰어나면 스마트팩토리의 효율성의 매개효과 없이도 스마트팩토리 시스템 활용도에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as interest in smart factories has increased rapidly, there have been studies on intention to use, but research on utilization has been minimal. In this study, the quality of smart factory, efficiency of smart factory, and utilization of smart factory were examined based on the companies that have introduced the smart factory system. Specifically, we examined how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of smart factories played a mediating role in work efficiency and decision-making efficiency in relation to the use of smart factories. Among the quality of smart factories, system quality and information quality see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The efficiency of the smart factory see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utilization of the smart factory's task efficiency and decision-making efficiency. In addition, the system qual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utilization of smart factories. This shows that if the system quality is excellent, it can affect the utilization of the smart factory system withou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fficiency of the smart factory.

      • KCI등재

        스마트팩토리의 주요 보안요인 연구 : AHP를 활용한 우선순위 분석을 중심으로

        허진,이애리 한국경영정보학회 2020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22 No.4

        4차 산업혁명과 함께 ICT(정보통신기술)와 제조업이 융합된 스마트 제조업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과거의 제조업은 생산효율 증진을 위한 단순 목적으로 공업적인 기술 혁신을 추구했다면, 스마트 제조업에서는 ICT와 융합된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통해 제조 공정과 서비스 형태가 융․복합 플랫폼 형태로 변모하고 있다. 스마트팩토리 구현 기업들은 ICT의 장점을 활용한 이점과 함께, 개방화/융합화/정보화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보안 이슈를 동시에 접하게 된다. 스마트팩토리에서는 ICT를 기반으로 모든 기계와 설비 등이 연결되어 기존에 생각하지 못했던 융․복합적 보안 위협요인에 노출되고 상시적으로 다양한 사이버 위협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 보안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보안사고의 위험을 줄이고 스마트팩토리를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ICT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는 스마트팩토리 산업 현장의 특성을 감안하여 우선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주요 보안요인들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팩토리 구축 시 적용해야 할 보안요인들의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단말/네트워크/플랫폼․서비스 범주를 포괄한 ‘스마트팩토리 보안요인의 계층적 분류 모델’을 제시하고, 스마트팩토리 및 보안 관련 전문가 그룹(기술위원, 사업전문가, 보안전문가)을 대상으로 중요도 평가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HP 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보안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스마트팩토리 구현에 필요한 보안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팩토리 보안요인 간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더욱 확산될 스마트팩토리가 보다 안전하게 구축․운용될 수 있도록 스마트 제조업 시대에 필요한 정보보안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스마트 팩토리의 전략적 활용 연구: 구축 목적 및 내용이 지속적 활용에 미치는 영향

        오주환,김지대 한국중소기업학회 2019 中小企業硏究 Vol.4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purposes and contents of smart factory building and continuous utilization of smart factory. Specifically, this study identifies two types of purposes of smart factory building as follows: (1) improving productivity, (2) increasing flexibility. In this study, three aspects of smart factory building contents were suggested like this: (1) automation area (facility automation vs. work automation), (2) big data system focus (radical transformation vs. incremental improvement), and (3) value chain integration area (internal value chain integration vs. external value chain integration). In addition, we looked at how firm size moderates the purposes - contents - continuous utilization of smart factory relationship.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51 manufacturing companies. More specifically, out of 151 companies, 100 are small-and-medium-sized enterprises and 51 large-sized enterprises. All questionnaires were targeted at companies with Smart Factory level above level 2.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using Smart PLS statistical programs are as follows. First, the purposes of smart factory building including increasing productivity and flexibility had positive impacts on all of the contents of smart factory building. Second, all of smart factory building contents had positive impacts on the continuous use of smart factory except big data system for incremental improvement of manufacturing process. Third, the impacts of smart factory building purposes implementation on smart factory building contents varied depending on whether the purpose is productivity improvement or flexibility. Fourth, it was founded that firm size moderated the relationships of purposes - contents - continuous utilization of smart factory in such a way that large-sized firms tend to empathize the link between flexibility and smart factory building contents for continuous use of smart factory, while small-and-medium-sized-firms emphasizing the link between productivity and smart factory building content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presenting current smart factory deployment cases. However, it is believed that this research has made a theoretical contribution in this field in that it established and verified a research model for the smart factory building strategy. Based on the findings from a working-level perspective, corporate practitioners also need to have a different approach to smart factory building, which should be emphasized depending on whether their purpose of building smart factory is to increase productivity or flexibility. In particular, s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firm size, it is deemed necessary for firms to implement a smart factory building strategy suitable for their firm size.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팩토리의 전략적 활용을 위한 스마트 팩토리 구축 목적 - 스마트 팩토리 구축내용 - 스마트 팩토리 지속적 활용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 목적을 두 가지 요인 - (1) 생산성 향상, (2) 유연성 향상 - 으로 구분하고, 이들 각각이 다음의 3가지 측면의 스마트 팩토리 구축내용 - (1) 자동화 영역(설비 자동화, 업무 자동화), (2) 제조 빅데이터 기술 활용영역(생산 프로세스의 재구축을 위한 제조 빅데이터 활용, 생산 프로세스의 점진적 개선을 위한 제조 빅데이터 활용), 그리고 (3) 가치사슬 통합 범위(내부통합, 외부통합) - 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어서 본 연구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 내용이 스마트 팩토리 지속적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기업규모에 따라 스마트 팩토리 구축 목적 - 스마트 팩토리 구축 내용 - 스마트 팩토리의 지속적 활용 간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총 151개의 표본기업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본기업들의 구성은 중소기업 100개사와 대기업 51개사로 구성되었다. 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산성 및 유연성 향상이라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 목적은 스마트 팩토리의 모든 구축 내용 변수들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스마트 팩토리 구축 내용들로서 설비 자동화, 업무 자동화, 생산 프로세스의 재구축을 위한 제조 빅데이터 활용, 내부 가치사슬 통합, 외부 가치사슬 통합은 스마트 팩토리의 지속적 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스마트 팩토리 구축 목적이 스마트 팩토리 구축 내용에 미치는 영향은 구축 목적이 생산성 향상이냐 혹은 유연성 향상이냐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기업규모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 결과 기업규모에 따라서 스마트 팩토리의 구축 목적과 구축 내용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스마트팩토리 참조모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Rami 4.0, IIRA, 한국형 모델을 중심으로

        우기훈(Kihoon Woo)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경영연구소 2021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33 No.1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래, 전통적인 제조업 강국들은 제조업 부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2011년 독일에서 제조업 4.0 개념이 등장하였으며 이의 실행 방법들 중 하나는 스마트팩토리의 도입과 확산이다. 각국 정부는 스마트팩토리 참조 모델을 개발하여 기업에게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이중 대표적인 모델이 독일의 RAMI 4.0과 미국의 IIRA이다. 한국 정부의 스마트팩토리 추진단도 2014년 산업 부문별 한국형 스마트팩토리 참조 모델을 개발하여 발표하고 기업들의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IIRA, RAMI 4.0과 지금의 한국형 스마트팩토리 모델을 비교하고 연구함으로써 새로운 한국형 모델의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내는 것이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서 문헌 연구를 위주로 이루어 졌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의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한국형 스마트팩토리 모형은 현장 중심의 실용적 모델로서의 장점은 있으나 다른 모델과는 달리 기초 아키텍처와 표준이 모호하다. 둘째, 한국형 스마트팩토리 체계에서는 스마트팩토리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연결된 세상’과 ‘스마트 제품’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아 ‘공장 자동화’와 ‘공급사슬관리’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따라, 후속 연구를 통하여 기술경영학적 관점에서 보다 수준 높은 기초 아키텍처를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Since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countrie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strong in manufacturing have been striving to revive manufacturing. In this context, the concept of manufacturing 4.0 emerged in Germany in 2011, and one of the methods of implementing it is the introduction and diffusion of smart factories. Countries seeking to build smart factories have developed smart factory reference models and used them as guidelines for manufacturing firms, the best known of which are RAMI 4.0 in Germany and IIRA in the United States. Korean government has also announced a reference model for Korean smart factories by industry sector in 2014 to support Korean manufactur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ew Korean model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n IIRA, RAMI 4.0 and Korean smart factory models. As an exploratory study, extensive literatur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chieve its objectiv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in two ways: First, the Korean smart factory model has advantages as a field-centered practical model, but unlike other models, the underlying architecture and standards are ambiguous. Second, in the Korean smart factory reference models, “connected world” and “smart products,”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smart factory, are not clearly management”. As a result, follow-up studies are believed to be needed to develop higher-quality basic architectures from a technology-management perspective

      • KCI등재

        직업계고등학교의 스마트팩토리 분야 인력양성을 위한 초급수준 직무 개발 연구

        송낙현,장민수 대한공업교육학회 202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직업계고에서 스마트팩토리 분야 인력양성의 효율적 운영과 성과를 극대화하고자 초급수준의 직무를 발굴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분석과 비교확인법을 통해 발굴한 스마트팩토리 분야 초급인력의 직무 초안을 전문가 FGI를 통해 수정하고, 현장적합성 매트릭스(Matrix)를 개발, 학교 및 산업체 전문가의 현장적합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팩토리 초급수준의 직무는 ‘스마트팩토리 설계 및 설치’와 ‘스마트팩토리 제어’로 나타났다. 첫째, 스마트팩토리 설계 및 설치 직무는 ‘스마트팩토리 설비 레이아웃 기획’, ‘스마트팩토리 네트워크·보안시스템 설치’, ‘스마트팩토리 제조데이터시스템 설치’, ‘스마트팩토리 소프트웨어 설치’, ‘시스템 연동 및 최적화’의 5개 책무와 12개의 작업 및 52개의 작업요소로 도출되어 주로 ‘설치’에 집중되었다. ‘스마트팩토리 네트워크·보안’, ‘스마트팩토리 소프트웨어 설치’의 경우 모든 책무의 초급인력 적합도가 모두 ‘상’ 으로 난이도가 다소 높았지만, 관리자의 지도와 감독에 따라 초급인력이 참여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스마트팩토리 제어 직무는 ‘스마트팩토리 생산정보 데이터 관리’, ‘스마트팩토리 공정 관리’, ‘스마트팩토리 생산관리 및 개선’의 3개 책무와 9개 작업 및 36개의 작업요소가 도출되었고, 해당 직무에 대한 초급인력의 적합도는 모든 책무가 상 2개, 중 1개로 초급인력에 대부분 적절하게 부합하였다. 스마트팩토리 분야는 기술 간 융·복합화로 지속적인 발전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후속 연구를 통해 직무의 추가적인 발굴과 스마트팩토리 이외의 신기술 분야의 초급인력이 수행할 직무 발굴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마트팩토리 수준 진단 방안에 대한 연구

        오승철,안영효 한국물류학회 2019 물류학회지 Vol.29 No.6

        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artificial intelligence, the Internet of Things, big data, and robots, the core functions of the Fourth Industry have also been spotlighted as strategic tool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in the logistics / SCM industry. Follow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mpanies are introducing smart factories into existing manufacturing processes, leading to innovation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Smart Factory is related to major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of Things, big data, and robots, and implements automation and intelligence systems. Most companies in Korea are promoting smart factories, but standard indicators are not developed to measure the level of achievement of smart factories, and they tend to see automation as smart factories. In fact, with the exception of some large companies, most of the smart factories in Korea remain at the basic or intermediate level.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develop a step-by-step standard indicator that can measure the achievement level of smart factories of Korean companies. Accordingly, this paper will study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leading smart factories and propose a new measurement standard syste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mpanies. It also performs pilot tests for the new measurement standards for the smart factory level and analyzes the results. This new smart factory measurement system is meaningful to provide implementation directions and guidelines to companies that have implemented smart factories or who will implement smart factories in the future. 최근 들어,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로봇 등이 중심이 된 4차 산업혁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물류/ SCM 산업에도 4차 산업의 핵심 기능들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전략적인 도구로써 각광받고 있다. 4차 산업혁명에 따라 기업들이 기존 제조 공정에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하면서 제조업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 스마트팩토리 구현은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로봇 등 주요 기 술들과 연관되어 있으며, 자동화, 지능화 시스템을 구현한다. 국내 대부분의 기업들은 스마트팩토리 추진을 시행하고 있지만, 스마 트팩토리를 달성했다는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표준지표가 개발되지 않고 있고, 그저 자동화 수준을 스마트팩토리 구현의 목표로 삼고 있다. 민관합동 스마트공장 추진단은 스마트팩토리를 수준별로 고도화, 중간수준2, 중간수준1, 기초수준으로 구분하고 있으 며,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고 대부분 기초단계 수준 혹은 중간 수준의 1단계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해 스마트팩토리 달성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단계별 수준 도달 표준지 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해외 유수의 스마트팩토리 추진에 대한 성과 지표 개발 사례 등을 연구하고, 국내 기업의 특성 을 반영한 새로운 스마트팩토리 수준 측정 표준 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새로운 스마트팩토리 수준 측정 표준 체계를 위한 파일럿 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다. 이러한, 새로운 스마트팩토리 수준 측정 표준 체계는 스마트팩토리를 구현하였거 나 앞으로 스마트팩토리를 구현할 기업들에게 구현방향과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제련업 스마트팩토리의 혁신저항 및 혁신수용에 관한 연구

        유제형,박정열,배재권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2 e-비즈니스 연구 Vol.23 No.6

        In order to revitalize the introduction of smart factory technology to domestic smelting companies, the intention to accept smart factory technology was studied based on the innovation resistance mode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elting industry, it is analyzed the effects of the smart factory characteristics variables of physical risk, functional risk, as well as the relative advantage, complexity, and personal innovativeness on innovation acceptance through innovation resistance. As a result of the test of the research hypothesis, physical risk, functional risk variabl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on resistance and relative advantage and personal innovativeness variable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innovation resistance. And innovation resistance was test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resistance acceptance. Through this, the factors that need to be considered to revitalize the application of smart factories to domestic smelters are clearly stated, and it is suggested that physical risk, functional risk, relative advantage, personal innovativeness factors are important when introducing smart factori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elting industry. 스마트팩토리(Smart Factory)는 전통적인 제조업에 빅데이터, 머신러닝 등 첨단기술을 접목하여 계측기기로부터 측정된 데이터에 기반을 둔 모델을 이용하고 IoT, RFID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설비 간 실시간 소통으로설계, 계획, 생산, 정비 등 전 공정을 최적화 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최근 국내 제조업체는 스마트팩토리 구축과 더불어 인공지능 및 융합기술을 적용한 스마트팩토리 고도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제련업체의경우 다량의 에너지를 소모하여 ESG 경영의 확산으로 탄소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집중하고 있는중이며 품질, 생산성 향상, 에너지 절감을 충족할 수 있는 스마트팩토리 적용을 통한 지속 경영이 필요하다. 새로운 혁신기술을 산업이 수용할 것인가, 그렇다면 얼마나 빠른 속도로 수용 및 확산될 것인가에 대해관심이 많다. 그러나 왜 혁신기술이 활성화되지 못하는지, 혁신저항은 왜 발생하는지에 대한 관심은 다소부족하다. 혁신에 관한 기존 연구는 혁신적 기술의 수용과 확산 관점에서 대부분 진행되었기 때문에 혁신저해요인 및 혁신저항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국내 제련업체를 대상으로 스마트팩토리기술 도입 활성화를 위해 혁신저항모델을 바탕으로 스마트팩토리 혁신수용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제련업의특성을 고려하여 스마트팩토리 도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신체적 위험, 기능적 위험의 스마트팩토리 특성변수와 혁신저항 변수인 상대적 이점, 복잡성 및 개인혁신성이 혁신저항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혁신저항이혁신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설검정결과 신체적 위험, 기능적 위험은 혁신저항에 부의 영향을미쳤으며, 상대적 이점, 개인 혁신성은 혁신저항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혁신저항은혁신수용에 부의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제련업체의 스마트팩토리 활성화 요인과더불어 제련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스마트팩토리 도입 시 신체적·기능적 위험요소, 상대적 이점, 그리고 개인혁신성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