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팜의 지각된 유용성 요인이 농촌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문형,허철무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4

        As ICT convergence technology has spread and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and society in general, interest in rural entrepreneurship using smart farm as a means for solving many pending problems in agriculture is increasing.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influential factors in terms of perceived usefulness associated with the rural entrepreneurial intention using smart farm and suggest a proposal for spreading smart farms. The subjects were 296 general adults over 20 years old who were selected by simple random sampling method. The research method w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IBM SPSS 22.0. The perceived usefulness of smart farm, which are availability, reli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n rural entrepreneurial intention using smart farm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innovation was observed. As a result, reli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rural entrepreneurial intention using smart farm. And personal innovation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vailability, reliability of smart farm and rural entrepreneurial intention using smart farm.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in that we devised and empirically revealed factors affecting rural entrepreneurship inten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perceived usefulness of smart farms, away from studies of general entrepreneurship intention factors such as internal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t the seeking direction of policy for potential entrepreneur using smart farm, the training and consulting in actual field of smart farm. 최근 ICT융합기술이 다양한 산업분야와 사회 전반에 확산되고 적용됨에 따라 국내 농업의 많은 현안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써 스마트팜을 활용한 농촌창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스마트팜을 활용한 농촌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지각된 유용성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팜 창업 확산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세 이상의 일반 성인 296명이었고, 연구방법으로는 IBM SPSS 22.0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스마트팜의 지각된 유용성 요인으로 가용성, 신뢰성, 경제성을 선정하여 종속변수인 스마트팜을 활용한 농촌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개인혁신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팜의 신뢰성과 경제성은 스마트팜을 활용한 농촌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와 관련하여 개인혁신성은 스마트팜의 가용성, 신뢰성과 농촌창업의도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팜으로부터 제공되는 재배환경 및 생육 관련 데이터와 정보에 대한 신뢰 정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스마트팜을 통해 비용절감 및 수익성 제고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정도가 클수록 스마트팜을 활용해 창업하려는 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타인보다 앞서서 혁신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성향은 그 영향력을 강화하는 쪽으로 조절한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내적 개인특성, 외적 환경요인 등의 일반적인 창업의도 영향요인 연구에서 벗어나 스마트팜의 지각된 유용성 관점에서 농촌창업의도 영향 요인을 새롭게 발굴하고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데 의의를 지니고 있으며, 연구의 시사점은 잠재적 스마트팜 창농인을 대상으로 한 정책수립의 방향성 모색, 실제 현장에서의 스마트팜 교육 및 컨설팅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송화버섯재배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스마트팜을 활용한 사례 -

        하창수,최미희 인공지능융합학회(구 한국블록체인산업학회) 2020 한국블록체인산업학회논문지 Vol.1 No.1

        이 논문은 이상기후에 따른 농작물의 안정적 생산과 고품질 작물 생산이라는 미래농업 해결 과제에 대안을 제시한다. 그 대안으로서 컨테이너형 스마트팜 연구시설을 제작하여 2년 동안 버섯시험재배를 진행했다.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빛과 같은 버섯 환경의 필수 조건에 맞추어 재배를 수행하 였다. 스마트팜은 소자본 영농창업의 성공모델로 활용(은퇴 후 귀농인 또는 청년창농인 대상으로 전문기술 없이도 안정적 수익 창출)가능하며 기존농업 인의 경우 고부가가치 작물의 최적재배로 고소득 달성이 가능하다. 또한, 적은 투자비용 또는 렌탈 서비스를 이용하여 레스토랑, 식자재사업 등에 필요 한 작물을 무농약 친환경적으로 재배할 수 있다. 중대형 식물공장을 설립하기 전 소비용 Test 모델로 컨테이너형 스마트팜을 활용함으로써, 운영에 대한 제공업체의 기술지원을 통해 실패비용 최소화, 사전경험을 통해 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으로도 활용가능하다. 컨테이너형 스마트팜은 전문적인 재배기술 숙련 없이도 재배관리가 용이해 사회 취약층 및 청년 고용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1인 농업기술문화 보급형이다. 이러한 스마트팜의 장점을 버섯재배에 활용하는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위 논문의 컨테이너형 스마트팜은 소규모 스마트팜으로 1인 농업기술 컨텐츠 문화 보급을 목적으 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6차 산업과 연계한 치유농업, 체험, 관광테마를 활용한 농업 컨텐츠 문화 보급을 추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은퇴한 장애인 귀농인을 대상으로 한 전문기술 없이 쉽게 재배 가능하며, 영농창업의 성공모델로 활성화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 활동을 할 것이다. This paper shows the beauty of stable production of crops and high-quality crop production following abnormal weather. An alternative is presented to the Rae-Farming Resolution task. As an alternative, research on containerized smart farm facility was produced and tested for mushrooms for two years.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light. The cultivation was carried out to meet the essential conditions of the same mushroom environment. The containerized smart farm is easy to grow without specialized cultivation skills. It is a type of one-person agricultural technology culture that can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employment for the vulnerable and young people. This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o utilize the merits of a smart farm for mushroom cultivation. Smart Farm is used as a successful model for small-capital farming (retirement and return home farmers or youth windows). It can be used as a test model for consumption before establishing a medium and large plant, and as a system that can minimize failure cost through technical support from suppliers and increase the probability of success through prior experience. The containerized smart farm in the paper is a small smart farm with contents of one-person farming technology.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cultural dissemination and the healing agriculture, experience, and related to the sixth industry.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promote the culture of agricultural contents using tourism themes. also silver too. Farming is easy to grow without specialized skills for the disabled farmers who have continued research activities will be carried out to promote as a success model for.

      • KCI등재

        농업인 교육 참여 농가의 스마트팜 도입 의도 결정 요인: 농가유형별 상호작용 효과 분석

        유도일,유승완,양희수,홍석호,최지훈,민지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eterminant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smart farm adoption using the 5th wave dataset of Agricultural Industry Education Panel Survey, which has been investigated since 2014. It was appropriate data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because it includes target samples who participated in overall farmers' education. Also, we constructed interaction model to confirm the effect of farm type as a moderater. The coefficient of determinants of Model 3 including interaction term was more suitable than Model 1 and Model 2. As a result, facility farms intention to smart farm adoption tend to decrease further with age. On the other hand, when education satisfaction was high, it increased. Through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researchers consider more detailed farm characteristic variables at the control variable level. Second, in addition to smart farm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anage the qualitative aspects of education for farmers. Third, support policies on adopting stage of smart farm should be diversifi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such as farm types and Crops. Also,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limitations and scope of technology in terms of the research. In terms of smart farm adoption, “Smart Farm Technology”is still unclear and vari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본 연구는 농가의 스마트팜 도입 의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다. 특히 소득, 연령, 교육 만족도와 스마트팜 도입 의도의 관계에서 농가 유형별 차이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에서 2014년부터 조사되고 있는 ‘농산업교육 패널조사’ 데이터의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모형 3은 모형 1과 모형 2보다 결정계수가 우수하여 최종 모형으로 모형 3을 선택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모형3에서 농사일가족비중이 높은 경우 스마트팜 도입 의도가 더 높았으며, 학습성과가 높은 경우에도 스마트팜 도입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통제변수에서는 인력고용 등 농업의 형태와 관련 있는 통제변수가 유의하였으며, 스마트팜 도입 의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변수의 경우 모형 1,2,3을 검토한 결과, 스마트팜 도입 의도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 것은 아니나, 특히 시설 농가의 경우에 더 큰 폭으로 감소하며 교육의 경우에도 교육 참여 후 만족도가 높은 시설 유형 농가의 경우 스마트팜 도입 의도가 더 높다고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한 결론으로는 첫째, 스마트팜 도입과 관련된 분석에서 농가 특성 변인이 통제변수 수준에서 포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스마트팜 교육 외에도 농업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의 질적 측면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셋째, 품목에 따른 농가 유형 등의 특성에 따라 스마트팜 지원에 따른 지원정책이 다각화되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연구대상의 측면에서의 한계와 기술의 범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패시브디자인을 적용한 주거용 스마트팜 건축계획연구

        맹동,류리,김용성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1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world population continues to grow, food demand will increase, and it is expected that rapid urbanization will lead to more active research into urban agriculture. As a result, research is being conducted and plans are being implemented to establish smart farms in the city, but the utilization of vertical farms is insufficient due to problems such as the energy demands of vertical farms and limited cultivation plants. We propose a residential smart farm that accounts for the energy problem by a passive design application of the vertical farm. (Metho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vertical farm, the following study was carried out. First, the problems of current vertical farms were deriv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Second, we analyzed cases of passive design and smart technology to identify problems in vertical farms.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residents and vertical farm experts, suggesting directions and design methods for vertical farm planning. (Results) First, with a residential and greenhouse smart farm plan oriented in the direction of the sunri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quirements of indoor heating energy in the winter season due to the acquisition of square heat and the use of artificial lighting due to cultivation of Smart Palm crop.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comfort of the occupant through the interception of four-way heat introduced into the room and public purification. Second, indoor natural ventilation through formation of a southern opening can secure the environment of residents and the comfort of the smart farm. Third, in addition to individual farms in residential areas, it is possible to secure diversity of crops during the cultiva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common farms in atrium,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by implementing the same environment for crops through the cultivation of cascading crops. (Conclusions) The reason for the underutilization of vertical farms in urban areas is that there are problems in artificial energy consumption, unification of cultivated crops, and labor shortag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conducted domestic and foreign case analysis based on passive design and smart technology theory survey and review. Through a passive design application method this study proposes a building arrangement for saving artificial energy, along with an efficient space configuration for individual smart farms and public farms, and a natural ventilation method through openings. This can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vertical farm and the urban self-sufficiency plan which cities are currently pursuing. (연구배경 및 목적)세계 인구의 지속적 증가로 식량 소요량은 더욱 증대되고, 급격한 도시화로 인해 도시 내 농경 삶을 유입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것이라 예상된다. 이에 따라 도시 내 스마트 팜 구현을 위한 연구 및 계획이 시행되고 있지만 수직농장의 에너지 수요량 및 한정적 제배식물 등의 문제점 발생으로 수직농장 활용은 미비한 현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 내 수직농장 활성화를 위해 문제점으로 제시되는 에너지 소요량 및 식물의 재배적 문제 해결을 위해 수직농장의 패시브디자인 적용으로 에너지소요 문제점 및 식물재배와 거주자의 쾌적성을 위한 주거용 스마트 팜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수직농장에서의 문제점 해결방안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이론 고찰을 통해 현재 수직농장의 문제점을 도출한다. 둘째, 수직농장 문제점을 파악을 위한 패시브디자인 및 스마트기술의 사례를 분석한다. 또한 주민과 수직농장 전문가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직농장 계획방향성 및 디자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결과) 첫째, 일조 방향과 동일한 주거 및 온실 스마트 팜 계획에 있어서 동절기에는 일사열 획득으로 인한 실내 난방 에너지저감 및 스마트 팜 작물 재배에 따른 인공조명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으며, 하절기에는 식물재배를 통한 녹화 현상으로 실내 유입되는 일사열 차단 및 공지 정화를 통한 재실자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남측 개구부 형성을 통한 실내 자연 환기를 통하여 거주자의 환경 및 스마트 팜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주거내의 개인 팜 이외에도 아트리움(Atrium) 내 공용 팜 구현을 통한 작물 재배시의 작물의 다양성을 확보 할 수 있으며, 계단식 작물 재배로 인해 작물에게 동일한 환경을 구현을 통한 사용에너지 저감이 가능하다. (결론) 현재 도시 내 수직농장 활용이 미비한 이유는 인공에너지사용량과 재배작물의 단일화, 노동력부족 등의 문제점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패시브디자인과 스마트기술 이론고찰 진행,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국내, 외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패시브디자인 적용방법 및 스마트 기술을 통한 스마트 팜 디자인 방법으로 인공에너지 절약을 위해 건물배치 및 개인 스마트 팜과 공용 팜의 공간 구성, 개구부를 통한 자연환기 방식, 효과적 농장 운영을 위한 스마트 기술을 제안하였다. 이는 수직농장의 활성화와 현재 도시가 추구하고 있는 자급자족형 도시계획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스마트팜의 기술적 특성이 노력기대를 매개로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안문형,허철무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6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influenti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acceptance intention of smart farm and suggest a proposal for spreading adoption of smart farms. The research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the farmers were used for the research analysis by statistical program SPSS v22.0 and Process macro v3.0.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smart farm, which are availability, reli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n acceptance intention of smart farm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ffort expectation was observed. As a result, avail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acceptance intention and reliability have no influence on acceptance intention. And availability, reli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effort expectation. Effort expect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smart farm and acceptance inten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t the seeking direction of policy for potential adopters of smart farm, the training and consulting in actual field of smart farm. 본 연구는 스마트팜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팜 확산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실제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 농업인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결과를 SPSS v22.0 및 Process Macro v3.0를 활용한 자료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스마트팜의 기술적 특성으로 가용성, 신뢰성, 경제성을 선정하여 종속변수인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노력기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술적 특성 중 가용성과 경제성은 수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신뢰성은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용성, 신뢰성, 경제성은 노력기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와 관련하여 노력기대는 스마트팜 기술적 특성인 가용성, 신뢰성, 경제성과 수용의도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스마트팜의 잠재적 수용자를 대상으로 한 정책수립의 방향성 모색, 실제 현장에서의 스마트팜 교육 및 컨설팅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농협의 스마트농업 추진현황과 향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남기정 ( Nam¸ Ki-jeong ) 농협대학교 협동조합경영연구소 2021 협동조합경영연구 Vol.55 No.-

        그동안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센터가 주축이 되어 스마트농업을 보급하기 위해 힘써왔으며, 최근 농협에서도 스마트농업 확산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농협은 최근 농업인들의 스마트농업 도입을 지원하기 위해 ‘NH OCTO’라는 스마트팜 통합지원 플랫폼을 구축하였다. 그중 보급형 스마트팜의 추진과 농산물산지유통센터의 스마트화는 생산과 판매측면에서 농업인에게 가장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내용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농업의 개념과 국내외 추진현황, 농협의 스마트농업 관련 추진현황을 살펴보고, 농협의 스마트농업 추진에 대한 평가와 향후 발전 방향을 알아본다. 이를 통해 향후 농협이 보급형 스마트팜 추진과 농산물산지유통센터의 스마트화를 효율적으로 추진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Until now,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the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have been working hard to distribute smart farming technology, and recently, Agricultural Cooperatives is also making great efforts to expand smart farming. Agricultural Cooperatives recently established an integrated smart farm support platform called ‘NH OCTO’ to support farmers' introduction to smart farming. Among them, the promotion of the promotion of smart farming to increase popularity and the smartization of APCs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s) are the most practical tools for farmers in terms of production and sales.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smart farming is examined along with the promotional statu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itiatives. As well, we will evaluate Agricultural Cooperatives’ promotion of smart farming and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Through this, the researcher intends to provid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Agricultural Cooperatives to efficiently promote entry-level smart farms and implement the smartization of APCs in the future.

      • KCI등재

        스마트팜의 발전과정과 유형별 사례 조사 -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

        남윤철 한국농촌건축학회 2024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2

        The city is developing into a smart city. Smart villages and smart farms are developing in rural areas. Architectural technology needs synergy with smart cities, smart villages, and smart factories (intelligent factories) to help architectural experts understand smart farms and build facilities and equipment. Smart farms require design and construction technology with architectural structure and 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cases of smart farms in Korea and to investigate cases abroad.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① Smart farms are developing rapidly. The Korean government is expanding smart farms by utilizing ICT technology and infrastructure. ② ‘Smart Farm Innovation Valley’, which has been promoted since 2018, is a cutting-edge convergence cluster industrial complex that integrates production, education, and research functions such as start-up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③ In domestic cases, smart farms are operated in subway stations, buildings, supermarkets, and restaurants. ④ In the Japanese case, a dome-type smart farm was being operated. It utilized factory wastewater, waste heat, renewable energy, and used new materials. Otemachi Ranch raised livestock and provided a lounge on the 13th floor of the building. ⑤ In the cases of Korea and Japan, the smart farm technology is very similar. As stated earlier, since the food culture and agricultural technology of both countries are similar, we hop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smart farms that can reduce concerns about future food by communicating and sharing mutual technologies.

      • KCI등재

        스마트팜 생산 식재료에 대한 기대가치가 혁신의지와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강진희,강재희,박은영 대한관광경영학회 2018 觀光硏究 Vol.33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 expected value of smart farm produce ingredients on innovation willingness and sustainability using SmartPLS for smart farm and smart farm produce ingredients recently, the government,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have been trying to solve the problems of domestic agriculture. As a result of this study, research model was verified that essential value, economic value and exploratory value in expected value of smart farm produce ingredients sub-factor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willingness, and economic valu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stainability. Innovation willingness had positive(+) effect on sustainability repurchase intention and also had a very large mediator effect. This seems to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induce sustainability through innovation willingness of consumers' expected values that were favorably formed for smart farm produce ingredients to whic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was applied. It is considered that the expected value i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induce sustainability through the innovation willingness. Therefore,, the management strategy of replacing food ingredients is an important strategy, which are the main raw materials of foodservice companies, with smart farm produce ingredients can not only improve management performance for the foodservice industry, but also can grow into a sustainable business through innovative will through new technologies of consumers' 4th industrial revolution. 본 연구는 SmartPLS를 사용하여 최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및 유관기관 등이 국내 농업의 산적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국내 농가에 보급 및 확산하는데 정책적 역량을 경주하고 있는 스마트팜과 스마트팜 생산 식재료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가치가 혁신의지와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스마트팜 생산 식재료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가치의 하위요인인 본질적 가치, 경제적 가치, 탐험적 가치가 혁신의지에, 경제적 가치는 지속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속가능성에는 경제적 가치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의지는 지속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매우 큰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팜에서 생산되는 식재료에 대해 우호적으로 형성된 기대가치는 혁신의지를 매개로 하여 지속가능성을 유인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외식기업의 주요 원재료인 식재료를 스마트팜 생산 식재료로 대체하는 경영전략은 외식기업에게는 경영성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기술을 통한 혁신의지를 통해 지속가능한 사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중요한 전략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농산업 ICT 기술적특성에 대한 인식이 스마트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팜의 노력기대와 수용의도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박성근,허철무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3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ICT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industry on smart farm entrepreneurial intention by using smart farm effort expectation and smart farm acceptance intention as mediators for smart farm pre-founders. Sub-variables of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industry ICT were classified into availability, economics, data convergence and scalability. 349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pre-founders living in the country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SPSS v22.0 and Process macro v3.4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based on serial multiple mediation model. First, economics and scalabi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start-up intention. Second, availability, economics and scal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ffort expectation. Third, effort expect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cceptance intention. Fourth, acceptance inten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tart-up intention. Fifth, the indirect effects of economics on start-up intention were all significant through effort expectation, through acceptance intention and through both effort expectation and acceptance intention. Sixth, the indirect effect of data convergence on start-up intention was significant through acceptance intention. Seventh, the indirect effect of scalability on start-up intention was significant through effort expectation and through both effort expectation and acceptance intention. As a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study for the mediating variables other than mediators introduced in the study or the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through the conditional process model in which the moderating variable is introduced. 본 연구는 스마트팜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팜 노력기대와 스마트팜 수용의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농산업 ICT 기술적특성이 스마트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농산업 ICT 기술적특성의 하위변수를 가용성, 경제성, 데이터융합성 및 확장성으로 구분하였다. 전국에 거주하는 예비창업자들로부터 수집한 설문지 349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v22.0과 Process macro v3.4를 사용하여 직렬다중매개모형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경제성과 확장성이 창업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용성, 경제성 및 확장성이 노력기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력기대는 수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용의도는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제성이 노력기대를 매개하여, 수용의도를 매개하여, 노력기대와 수용의도를 매개하여 창업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융합성이 수용의도를 매개하여 창업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확장성이 노력기대를 매개하여, 노력기대와 수용의도를 매개하여 창업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로는 ICT기반 농산업창업을 유도하기 위한 새로운 조절변수 발굴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스마트 팜 정책과정에 관한 연구 : Rogers의 혁신과정 모형을 중심으로

        김승환 ( Kim Seunghwan ) 농협대학교 협동조합경영연구소 2021 협동조합경영연구 Vol.54 No.-

        본 연구는 스마트 팜 정책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 팜 정책과정을 시기별로 구분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는 스마트 팜 정책의 시기별 주요 사건의 특징과 정책 산출물을 분석한다. 특히 Rogers의 혁신과정 모형을 토대로 스마트 팜 정책과정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 팜 정책과정을 분석하는 질적 사례연구로서,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4년 정보통신부의 u-Farm사업부터 부처 간 협력하여 스마트 팜R&D 사업을 추진하는 ‘스마트 팜 다부처 패키지 혁신기술개발’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최종 통과 시점인 2019년 10월 28일까지이다. 연구결과 스마트 팜 정책과정은 의제설정기, 시범협력기, 농정편입기, 스마트팜 개발·확산기, 스마트농업 추진기의 다섯 기간으로 구분된다. 스마트 팜 정책은 이행 과정에서 농업정책으로서의 정체성이 확립되지만, 농업인들의 혁신 저항이 가장 큰 장애물로 나타난다. 따라서 스마트 팜 정책의 안착을 위해서는 농업인의 농업혁신에 대한 합의도출이 필수적이고, 이들이 혁신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또한 디지털격차가 소득격차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디지털포용의 관점에서 농업인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mart farm policy. To this end, the smart farm policy process is divided by perio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policy outputs of major events in the policy process are analyzed. In particular, the smart farm policy process is analyzed based on Rogers' innovation process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mart farm policy process is divided into five periods: the agenda-setting period, the pilot cooperation period, the agricultural administration integration period, the smart farm development and spread period, and the smart agriculture promotion period. The smart farm policy establishes its identity as an agricultural policy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but the farmers' resistance to innovation appears to be the biggest obstacle. Therefore, for the settlement of smart farm policy, it is essential for farmers to reach a consensus on agricultural innovation, and opportunities for them to participate in the innovation process should be expanded. Also, considering that the digital divide can be a cause of income inequality, it is necessary to prepare support measures for farmers from the viewpoint of digital in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