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슈만의 가곡 '시인의 사랑' 중 피아노 반주부에 관한 연구

        이윤정 新음악학회 2001 新음악논집 Vol.1 No.-

        로버트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 은 이미 어린 학생시절에 "시와 음 예술의 내적 동일성"1) 이라는 제목으로 하나의 작은 논문을 쓴다. 이 논문 안에서 그는 시와 음악을 유일하게 부패하지 않은 예술로 묘사한다. 이 두 가지 예술, 즉 시와 음악은 슈만에게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핵심부분으로 그의 음악에 항상 함께 등장한다; 시는 배경 요소로서, 음악은 표현 재료로서, 피아노는 특히 슈만에서 가장 중요한 악기이면서 동시에 기본악기로써 그의 음악 창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작곡가들의 경우처럼 슈만의 음악인생은 피아노와 함께 시작되고 그것을 통해서 그는 음악의 세계를 체험하게 된다. 그의 가곡이 완성되기 전, 즉 1840년 전까지 슈만은 단지 피아노 곡만 발표한다. (op. 1-23) 가곡의 창작 활동이 시작되면서 피아노 음악의 작곡이 중단되지는 않지만 무엇보다도 1840년부터는 그가 학생시절부터 중요한 예술로 꼽았던 시와 음악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즉 가곡이 탄생하기 시작하는 시점이 바로 이 때부터이다. 슈만의 가곡 중에서 주요한 점은 시의 선택도 있겠지만 그 시의 선택에 따른 가곡의 멜로디를 뒷받침하는 피아노 반주부분을 들 수가 있겠다. 소년시절 슈만은 한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쓴다. "... 그리고 피아노는 내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보든 느낌들을 내게 이야기해 준다."2) 이 문장을 통해서 우리는 슈만의 가곡 속에서 그가 어떤 방법으로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묘사하는지 가곡의 멜로디와 반주의 구성에서 알 수가 있다. 즉 슈만 가곡에서 노래 멜로디는 시의 언어와 함께 느낌을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피아노 반주가 시의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부분을 대신해 준다. 슈만의 가곡 "시인의 사랑"의 반주 부분을 분석하기 전에 우선 1840년 슈만의 가곡의 해 성립과 피아노 음악에서 가곡으로의 방향전환에 대해 설명되어져야 하겠다. 과연 슈만은 어떤 이유에서 갑자기 가곡은 쓸 계기를 갖게 되었고 그것에 대해 어떤 가치를 부여하는지 서술되어져야 하겠다. 두 번째로 "시인의 사랑"의 시 선택과 선택되어진 시의 내용에 따라 쓰여진 피아노 반주 부분에 대해 묘사되어져야 하겠다. 무엇보다도 전주와 후주부분 그리고 어떤 음악적 요소들로 반주부분이 구성되어져 있는지 그리고 피아노가 반주역할이 아닌 독립된 역할도 하는지 설명되어져야 한다. This essay/article points the transition from Schumann's piano music to 'Lieder' composition. Various reasons for this transitions are discussed. The song-like melodies and the features of poetic content which are already present in his early piano works play a very important rote in the development of Schumann's Lieder The content of the text is reflected using countless musical element. The fine coordination between voice and piano part is realized in the "Dichterliebe". The piano plays a significant role, not only as accompaniment, but also as an independent part in the introductions and closing sections. The first phrase of the melody can often be heard in the piano introduction. This is indicative of the later mood ol the 'Lieder'. The piano part in the closing sections is dealt with in particular depth. It is discussed in its function as an announcement of the next song and often indicates the sound material to come. Some closing sections emphas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ano by employing rhythmic, harmonic and melodic figures in small improvisation-like pieces. One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closing section is that they arouse the strong emotions in the listener. In some 'Lieder' the melody does not finish on the tonic, giving the pieces an unresolved character. Some closing sections succeed in resolving the precious tension of the song melody. The musical elements receive attention in my essay/ article as conveyers of emotion. Above all, the musical elements in the piano part contribute to the mood of the 'Lieder'. It is also significant that the piano part is a continuation of Schumann's early lyrical piano works. It is obvious then, that the piano part of "Dichterliebe" has been influenced by the early piano works and demonstrates many similar characteristics.

      • 슈만의 가곡 '시인의 사랑' 중 피아노 반주부에 관한 연구

        이윤정 신음악학회 2001 新음악논집 Vol.2 No.-

        This essay/article points the transition from Schumann's piano music to 'Lieder' composition. Various reasons for this transitions are discussed. The song-like melodies and the features of poetic content which are already present in his early piano works play a very important rote in the development of Schumann's Lieder The content of the text is reflected using countless musical element. The fine coordination between voice and piano part is realized in the "Dichterliebe". The piano plays a significant role, not only as accompaniment, but also as an independent part in the introductions and closing sections. The first phrase of the melody can often be heard in the piano introduction. This is indicative of the later mood ol the 'Lieder'. The piano part in the closing sections is dealt with in particular depth. It is discussed in its function as an announcement of the next song and often indicates the sound material to come. Some closing sections emphas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ano by employing rhythmic, harmonic and melodic figures in small improvisation-like pieces. One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closing section is that they arouse the strong emotions in the listener. In some 'Lieder' the melody does not finish on the tonic, giving the pieces an unresolved character. Some closing sections succeed in resolving the precious tension of the song melody. The musical elements receive attention in my essay/ article as conveyers of emotion. Above all, the musical elements in the piano part contribute to the mood of the 'Lieder'. It is also significant that the piano part is a continuation of Schumann's early lyrical piano works. It is obvious then, that the piano part of "Dichterliebe" has been influenced by the early piano works and demonstrates many similar characteristics. 로버트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 은 이미 어린 학생시절에 "시와 음 예술의 내적 동일성"1) 이라는 제목으로 하나의 작은 논문을 쓴다. 이 논문 안에서 그는 시와 음악을 유일하게 부패하지 않은 예술로 묘사한다. 이 두 가지 예술, 즉 시와 음악은 슈만에게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핵심부분으로 그의 음악에 항상 함께 등장한다; 시는 배경 요소로서, 음악은 표현 재료로서, 피아노는 특히 슈만에서 가장 중요한 악기이면서 동시에 기본악기로써 그의 음악 창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작곡가들의 경우처럼 슈만의 음악인생은 피아노와 함께 시작되고 그것을 통해서 그는 음악의 세계를 체험하게 된다. 그의 가곡이 완성되기 전, 즉 1840년 전까지 슈만은 단지 피아노 곡만 발표한다. (op. 1-23) 가곡의 창작 활동이 시작되면서 피아노 음악의 작곡이 중단되지는 않지만 무엇보다도 1840년부터는 그가 학생시절부터 중요한 예술로 꼽았던 시와 음악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즉 가곡이 탄생하기 시작하는 시점이 바로 이 때부터이다. 슈만의 가곡 중에서 주요한 점은 시의 선택도 있겠지만 그 시의 선택에 따른 가곡의 멜로디를 뒷받침하는 피아노 반주부분을 들 수가 있겠다. 소년시절 슈만은 한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쓴다. "... 그리고 피아노는 내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보든 느낌들을 내게 이야기해 준다."2) 이 문장을 통해서 우리는 슈만의 가곡 속에서 그가 어떤 방법으로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묘사하는지 가곡의 멜로디와 반주의 구성에서 알 수가 있다. 즉 슈만 가곡에서 노래 멜로디는 시의 언어와 함께 느낌을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피아노 반주가 시의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부분을 대신해 준다. 슈만의 가곡 "시인의 사랑"의 반주 부분을 분석하기 전에 우선 1840년 슈만의 가곡의 해 성립과 피아노 음악에서 가곡으로의 방향전환에 대해 설명되어져야 하겠다. 과연 슈만은 어떤 이유에서 갑자기 가곡은 쓸 계기를 갖게 되었고 그것에 대해 어떤 가치를 부여하는지 서술되어져야 하겠다. 두 번째로 "시인의 사랑"의 시 선택과 선택되어진 시의 내용에 따라 쓰여진 피아노 반주 부분에 대해 묘사되어져야 하겠다. 무엇보다도 전주와 후주부분 그리고 어떤 음악적 요소들로 반주부분이 구성되어져 있는지 그리고 피아노가 반주역할이 아닌 독립된 역할도 하는지 설명되어져야 한다.

      • KCI등재

        2010년 슈만의 해 개관

        임채흥(Chae Heung Lim) 한국서양음악학회 2010 서양음악학 Vol.13 No.2

        The 20th international scientific convention from January 21st to 24th in Zwickau was the first peak of the Schumann year. It was the largest of its kind so far with 31 Schumann experts from Germany, Austria, France, the USA and Canada meeting in the city where the great romantic composer had been born. The first meeting had taken place in Zwickau in 1976. The motto was “Robert Schumann - music and poetry”. It was held by the city of Zwickau with financial support of the German community of research und included four concerts. The concert on January 21 st was played by the philharmonic orchestra Plauen - Zwickau with the pianist and violinist Kolja Lessing. On Friday, Januray 22nd there was the concert with the choir “Clara-Wieck-Chore” from Zwickau at the Robert Schumann House. The program included among other works two choir works by Schumann which haven’t been given much attention so far staged for the first time: “Wehmut” and “Herbstlied”. The following evening was led by the singers Doerthe Maria Sandmann from Berlin and Lydia Vierlinger from Vienna. The climax of this night was the performance of the duet “Deutscher Blumengarten” based on lyrics by Friedrich Ruckert, which had not been staged so far and has first been described in detail by Chae Heung Lim in his thesis (2005). The first part on Friday morning was devoted to the literary influences from the rime in Zwickau, in the afternoon literature was the main topic. On Saturday the focus turned to Schumann’s musical works, instrumental as well as vocal, furthermore Schumann’s relationships to various poets were discussed Schumann’s works for piano and general questions were the conclusion of the convention on Sunday morning. The presentations made it very dear that Robert Schumann’s works which connect various arts are a peak of romantic esthetics. Music and poetry are welded together very closely. Literary works serve as an example for Schumann for his instrumental compositions in form and content, which makes his musical works themselves compositions of sound and literature. His vocal works show an unprecedented quality of sound and lyrics. Among the speakers were also linguists, librarians and a philologist. During the convention there was also an exhibition devoted to Schumann’s father August’s publishing company. At the end of the convention the Turkish pianist Sezi Seskir (*1976) played Schumann’s “Waldszenen Op. 82” on the Clara-Wieck-grand piano.

      • KCI등재

        슈만 《유머레스크》(Humoreske, Op. 20, 1838-1839)의 들리지 않는 노래

        서정은 ( Seo Jeong-eun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3 이화음악논집 Vol.27 No.2

        변위 불협화를 통한 성부 간 박절적 불일치는 로베르트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의 독특한 작곡기법의 하나로, 《유머레스크》(Humoreske, Op. 20)의 ‘내적 성부’ 섹션은 상이한 선율 간 그리고 ‘부정확한 유니즌’ 또는 ‘헤테로포니’라 불리는 동일한 선율 간의 박절적 불일치라는 특징을 지닌다. 이는 《유머레스크》의 작곡 직후인 1840년에 탄생할 많은 가곡에서 선보이게 될 위 두 가지 특징의 전조를 보여주는 듯하다. ‘내적 성부’의 의미, 그리고 피아노곡에서 가곡으로의 작곡기법적 연속성을 살펴보기 위해 본고에서는 슈만 《유머레스크》의 ‘내적 성부’ 섹션과 1840년 여러 가곡에 나타나는 공통점을 고찰한다. 이로써 《유머레스크》의 주선율로서 ‘들리지 않는 노래’가 이듬해 작곡된 가곡들을 통해 ‘들리는 노래’로 외면화되었음을 논의한다. The metrical dissonance between voices by displacement dissonance is one of Robert Schumann’s characteristic compositional techniques. The ‘Innere Stimme’ section of his Humoreske Op. 20 contains displacement dissonances between both different melodies and the same melodies, the latter of which is also called ‘Ungenaues Unisono’ or ‘Heterophony.’ This seems to be a precursor to the above two characteristics that will be presented in many of Schumann’s Lieder composed in 1840, shortly after the composition of Humoreske. In order to examine the meaning of ‘innere Stimme’ and the continuity of compositional technique from the piano piece to Lieder, this article compares the ‘innere Stimme’ section of Humoreske and various Lieder of 1840. It is also discussed that the ‘soundless song’ as the principal melody of ‘innere Stimme’ section is externalized as ‘audible songs’ in the Lieder composed the following year.

      • 슈만의 리트에 나타난 장·단조 혼용 기법들과 남·여 관계 모델들

        임채흥 한국음악응용학회 2011 음악응용연구 Vol.4 No.-

        본고는 음악학 및 음악미학 분야에서 이른바 '언어와 음악의 관계'(Wort-Ton-Verhältnis)라는 개념으로 통용되는 하나의 주제를 다룬다. 고찰의 대상은 슈만의 리트들로서, 각각 두 곡씩의 솔로리트(Sololied)와 리트두엣(Liedduett)이 선정되었다. 작곡자는 이 네 곡의 리트에 공히 장·단조 혼합기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방식은 서로 다르다. 슈만은 우선 장·단조성 체계가 허용하는, 또는 그 자체의 특성들 가운데 하나인 자연법칙을 이용하는데, 그것은 단조의 악곡에 장조선율이 담길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악곡의 경우, 장조 선율은 악곡의 기초가 되는 단조 화성체계에 묻혀버리기 십상이지만, 기발한 성부유도기법으로 그것을 두드러지게 할 경우, 슈만 자신의 정의에 따른 장조와 단조의 '행동하는 남성' 내지 '허용하는 여성'의 특성이 동시에 드러나 악곡에는 일종의 상반감정병존의 상황이 연출된다. 만약 장조의 악곡에 단조를 담아야 할 경우, 슈만은 딸림7-9화음을 선택하며, 그 가운데 단편(斷片)의 형태로 도출 가능한 단조 선율들을 적절히 이용한다. 본고에서 필자는 위와 같은 슈만 자신의 장·단조 조성, 트리토누스, 그리고 사-단조 조성에 대한 정의를 바탕으로 각각의 리트 속에서 암시적으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남성과 여성의 짝개념 또는 남·여 관계 모델들을 도출하는 시도를 한다. 여기에는 가사, 작곡가의 생애 및 발언등에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나타나 있는 요소들과 순수한 음악적 요소들, 곧 작곡기법들이 모두 동원된다. 아울러 이러한 악곡분석 과정에서 드러나는 여러 가지 부수적 작곡기법들도 본고에서 고찰된다. 이상과 같은 여러 가지 관점들에서 도출되는 작곡자 특유의 작곡기법들은, 궁극적으로 슈만 자신이 정의한 "음들은 보다 차원 높은 말이다"와 "음악은 시의 보다 차원 높은 잠재력이"라는 말을 증명하는 데 기여한다. 리트의 이러한 최종단계에서 가사와 작곡기법은 니체의 표현처럼 "오로지 물질적 차원에 머무는 것들로서, 모욕적인 외모"에 속할 수 있다.

      • 슈만 가곡의 생태주의적 연구 가능성에 관한 고찰

        이인화(Lee In Wha) 낭만음악사 2008 낭만음악 Vol.20 No.4

        현대에 이르러 대규모의 전쟁과 환경 재난을 경험하게 되면서 자연과 인간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상호 의존하며 존재하고 있다는 상생의 생태주의 패러다임이 등장했다. 이제 생태주의 패러다임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건축 등 모든 분야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예술분야에서도 도시 산업주의 문명을 생태주의 문명으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더 이상 ‘자연’과 ‘인간의 문화’를 각각 다른 영역으로 간주하지 않고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이 상호 조화를 이루는 예술을 추구하게 되었다. 음악은 작곡가, 연주가, 청중의 유기적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연주형태도 합창, 합주의 영역 뿐 아니라 독주분야에서도 독주자와 반주자의 동반자적 역할 등으로 인해 가장 생태적인 예술분야라고 할 수 있다. 자연을 상징하는 반주 성부와 인간이 부르는 성악 성부가, 이름다운 자연을 노래한 시와 음악이, 그리고 순환형식으로 되어 있는 연가곡들이 유기적으로 얽혀 하나가 되어 있는 슈만의 ‘예술가곡’은 자연과 인간이 유기적 관계 속에서 하나의 세계를 형성하는 생태주의적 세계관을 표현하고 있어 환경 위기와 생태계 위기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예술사회에 음악에 대한 생태주의적 연구가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After experiencing world wars and environmental catastrophes, which claimed too many human lives in modem times, some peopl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n ecology philosophy paradigm, which stresses interdependence and symbiosis of nature and human kind. At the present time, the ecology philosophy paradigm becomes an important issue in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architecture. In the area of arts, "nature" and "human civilization" is no longer considered a separate identity because a great effort is being exerted to transform a metropolitan industrial life into and ecological and philosophical based life. Mutual harmonic art is being pursued between human nature and among human beings. Among all arts, music is the most ecologically important because creating good music necessitates not only the organic mutual interdependence of composers, performers, and auditors, but also the harmonic cooperation of soloists and accompanists during the chorus ensemble and even a solo performance. Robert Alexander Schumann's "art song" expresses an ecological viewpoint most satisfactory because its accompaniment symbolizes nature, vocal which represents human singing, and poetry and music which glorifies the beauty of nature and through this circulating system composed song, is organically related into each other. Therefore, this author would like to recommend the "art song" as an alternative music, to overcome a modem environment and an ecological crisis in this place.

      • KCI등재

        독일 가곡과 슈만의 문학적 음악세계

        김희열 ( Hi Youl Kim ) 韓國獨語獨文學會 2009 獨逸文學 Vol.109 No.-

        Die vorliegende Arbeit wird in zwei Teile gegliedert: die Entstehung sowie die Entwicklung des deutschen Liedes bzw. Kunstliedes und die poetische musikalische Anschauung Robert Schumanns. Aus historischer Sicht wird das Lied gleichzeitig auf der literarischen und der musikalischen Ebene seit langer Zeit praktiziert. Die Theorie des Liedes entfaltete sich erst im 18. Jahrhundert im soziohistorischen Zusammenhang mit dem Gedankengut, der kulturellen Atmosphare und dem Bewusstsein zum Staat. Insbesondere durch den Anstoß von Herder und dem jungen Goethe haben die Musiker der Berliner Liederschule, die einfache Strophenlieder und einen Volkston bevorzugten, unzahlige Lieder komponiert und eine Musiktheorie entwickelt. Diese Komponisten fanden den Text wichtiger als die Musik und akzentuierten die Einheit von Wort und Ton wie im Minnesang. Das deutsche Kunstlied im 19. Jahrhundert begann aber 1814 mit Schuberts 「Gretchen am Spinnrade」 nach Goethe. Das Kunstlied, das anders als das einfache, naturhafte Volkslied etwas Kunstlerisches und Kompliziertes hat und nach hohen Anspruchen der neuen Gattung komponiert wurde, erlebte seine Hochblute besonders in den Liedern von Schubert, Schumann, Brahms, Hugo Wolf und Richard Strauss. In den meisten Epochen der Liedgeschichte sind jedoch Volkslied und Kunstlied nicht streng getrennt, sondern eng miteinander verbunden. Seit 1950 ging die Tendenz zur Liedkomposition absolut zuruck, trotzdem ubte die Gattung des deutschen Liedes großen Einfluss auf viele andere Musiker der Nachbarlander aus. Die Identitat von Lied und lyrischem Klavierstuck als musikalische Lyrik verkorperte Robert Schumann am erfolgreichsten. Er war ein seltener Fall, der mithilfe seiner Doppelbegabung einer der literarischsten Komponisten in der Musikgeschichte war. So war er einwandfrei als außergewohnlicher Kenner der Literatur, produktiver Leser, seelenvoller Dichter, Musikschriftsteller und asthetiker, Herausgeber einer progressiven Zeitschrift fur Musik, Vorkampfer fur eine neue Richtung in der Musik des 19. Jahrhunderts, herausragender Musiker und großter Liederkomponisten in der Hochromantik anerkannt. Wenn man seine poetische Musik aus der Sicht der Liedkompositionen betrachtet, bedeutet diese Musik die veredelte Sprache der Seele, poetische Freiheit, romantische Musik als `eine progressive Universalpoesie` im Sinne von F. Schlegel, die mit der Phantasie als der hochst `poetischen Kraft` im Jean Paulschen Sinne eine ganz erfullte Musik, eine geheimnisvolle Traumwelt darstellt. Daruber hinaus ist sie die Kunst, in der sich das Komponieren und das Dichten vereinigen konnen, namlich Gedichte konnen zur Komposition poetischer Musik werden-umgekehrt kann poetische Musik zum Dichten werden. Aufgrund seiner Doppelbegabung sind die Literatur und die Musik in eins verschmolzen-im orginellen Sinne des Liedes. Die Lieder und die Zyklen, die er im so genannten Liederjahr 1840 komponiert hat, verlieren nicht den glanzvollen Ruhm des romantischen Kunstliedes in der Moderne. Die Lieder einschließlich der Operatorien und Musikdramen der spateren Schaffensperiode in der Zeit vom 1847 bis 1852 sind vollig anders als die Lieder im Liederjahr 1840. Die spateren Musikstucke stellen keine eigene gattungsmaßig abgeschlossene Form dar, sondern einen Teil eines umfassenden Konzepts von Vokalmusik, das uberwiegend vom nichtsolistischen Stil gepragt wird. Das ist mit den allgemeinen gesellschaftlichen, politischen Landschaften der 1840er Jahre und den damaligen kompositorischen Tendenzen eng verbunde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