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순환식 과제 지향 운동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신은경,송병호 檀國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07 特殊敎育要求 兒童硏究 Vol.19 No.-

        이 연구의 목적은 운동 학습을 통한 순환식 과제 지향 운동 프로그램을 뇌성마비 아동에게 실시할 경우 운동 기능 중 대동작 기능, 보행 속도 및 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은 경직형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 중 평균 연령 9세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 5명과 평균 연령 13세인 고학년 아동 5명이였으며, 이들을 순환식 과제 지향 운동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기능에 영향을 미치는지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순환식 과제 지향 운동 프로그램 실시 후 초등학교 저학년 그룹과 고학년 그룹 사이에서 운동기능 향상의 차이가 있는지를 백분율로 비교 분석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들을 살펴보면, 첫째, 순환식 과제 지향 운동 프로그램 전·후에 대동작기능(GMFM)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 하였고(p = .000), 둘째, 순환식 과제 지향 운동프로그램 전·후에 보행 속도(Speed Gait)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p = .015). 셋째, 순환식 과제 지향 운동 프로그램 전·후의 균형평가(GPS)에서는 동요 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 = .239), 동요범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 하였다(p = .015). 넷째, 순환식 과제 지향 운동 프로그램 실시 후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그룹 사이에서는 대동작 기능 평가(GMFM) 점수는 저학년 그룹이 더 많은 증가를 보였다. GMFM의 세부 평가항목에서는 두 그룹 모두 서기에서 가장 많은 증가를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지속적인 물리치료가 필요한 뇌성마비 아동에게 그룹물리치료인 순환식 과제 지향 운동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치료의 기회를 제공하고, 더불어 치료 기관, 인력과 치료 시간의 부족을 해소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ask oriented circuit program on motor function improvement for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were divided into one group with five lower grade students average age 9 year old and the other group with five higher grade students average age 13 year old. The task oriented circuit program was performed twice a week eight weeks. The measurements were don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find out the effects on motor function the paired t-test was done, and to compare the two groups the percentile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ss motor function was improved significantly. Second, the circuit program was significantly effective on gait speed. Third, the balanc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stability had been improved significantly. Fourth, the lower grade students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ask oriented circuit program can be used effectively to improve the motor function for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KCI등재

        12주간 연속 및 비연속 순환운동이 남중학생의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오수용,최문기,김진홍 대한운동학회 2014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6 No.1

        [INTRODUCTION] This research was aimed at finding how to overcome weakness and decline of growth caused by lack of exercise in adolescents by improving their daily life habits. In this experiment, the levels of stress hormones - ACTH, GH, Testosterone, Cortisol, Insulin- were observed by dividing students into two groups, a continuous circuit exercise(CE) group and a non-continuous circuit exercise(NCE) one apart from the regular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o verify the different effects between CE and NCE. [METHO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fourteen second grade students in G middle school in G City who were splitted into two groups of seven each, a CE group and a NCE one. Circuit training program was comprised of ten exercises involving five aerobic exercises and five resistance ones each – the frequency of CE (three times a week, once a day, 30-minute workout) and that of NCE (three times a week, three times a day, 10-minute workout) SPSS ver. 18.0 program was used for two-way RM ANOVA to process the data and the resul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level of p<.05. [RESULT] The CE group has brought meaningful changes of Testosterone(p<.01) and Insulin(p<.001) after of 12 weeks. Comparison of two groups showed that CE increased more Insulin(p<.01) than NCE one because of the interaction effect.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s no difference of the hormonal changes between CE and NCE group except Testosterone and Insuli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ay exercising is more related to the total amount of time rather than the method of CE and NCE. Therefor later, Studies should be done considering sex, age, the number of examines and diverse research objects like athletes [서론] 운동부족에 따른 체력문제를 청소년에 적용하여 스트레스 호르몬 ACTH, GH, Testosterone, Cortisol, Insulin 농도의 변화를 관찰하여, 일상 생활습관 개선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는 한 방법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G지역 소재 G중학교 2학년 재학생 14명을 대상으로 연속(CE) 및 비연속적 순환운동(NCE) 그룹으로 각각 7명씩 두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순환운동프로그램은 저항운동과 유산소운동 각각 5가지 총 10가지로 구성하여, 운동빈도는 연속적 순환운동(3회/주, 1회/일, 30분/회)과 비연속적 순환운동(3회/주, 3회/일, 10분/회, 90분/간격)을 나누어 실시하였다. [결과] 12주간 실행된 운동결과 연속적 순환운동그룹에서만 Testosterone(p<.01)과 Insulin(p<.001)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그리고 연속, 비연속적 순환운동 방법의 차이비교에서는 Insulin(p<.01)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 연속적 순환운동이 비연속적 순환운동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속 및 비연속 순환운동 방법에 따른 결과 인슐린에서만 연속순환운동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 시기에 연속 및 비연속적 운동방법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총 운동시간에 더 의미를 둘 수 있겠다. 그리고 청소년은 물론 일반인도 운동부족에 의한 비만과 성인질환 발병 문제는 더 이상 운동시간이 없다는 것이 이유가 될 수 없을 것이다.

      • KCI등재

        硯山 道統祠의 孔敎運動과 1930년대 安淳煥의 朝鮮儒敎會 儒敎宗敎化運動

        黃英禮(Hwang, Yeong-rye) 영남퇴계학연구원 2021 퇴계학논집 Vol.- No.28

        본 논문은 죽농 안순환이 유림들을 규합하여 일제하의 침체된 유교정신을 회복하고자 실행한 유교종교화운동을 연구한 것이다. 주요 내용 은 죽농 안순환이 1930년 안향의 21세손이라는 자부심으로 자신의 전 재산을 희사하면서 조선유교회를 설립하여 전국 전통유림과 신진유림들에게 큰 호응을 받아 활동하였던 유교부흥운동에 관한 것이다. 서울 시흥에 녹동서원을 설립하고 자신의 선조인 안향을 배향하고 이를 중심으로 조선유교회 본부를 만들었다.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전국 각 지역에 유교회 지부를 운영할 유교전교사를 녹동서원을 통하여 배출하고자 학자들을 초청하여 약 10여 동안 조선유교회 본부를 활성화하였다. 먼저 본 논문을 통하여 1932년 창립한 조선유교회 설립의 배경이 된 연산도통사의 공교운동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순흥 안씨들이 중심이 되어 활동한 연산도통사는 1917년 국내 최초 공교지회로 여말 선초에 이어 근대에 이르기 까지 유교정신을 이어온 큰 맥락 이다. 여말 선초 선조 회헌 안향이 성리학 도입으로 국가 안정에 기여한 바를 본으로 삼아 1909년 일제기는 순흥안씨 주축으로 󰡔회헌선생실기󰡕를 간행하여 시대극복을 위한 민족의식 고취(1909)에 힘을 모은 곳이다. 그 정신은 회헌 21세손인 안순환의 선조 흠양 및 선양사업을 위한 일제기 <조선유교회> 창립(1932)으로 이어져 온 것이다. 1909년 연산도통사에서 󰡔회헌선생실기󰡕를 간행하며 유교정신으로 국난 극복이 가능하다고 믿었던 순흥 안씨 후손들이 유교변혁을 감수하면서 종교화를 선택하였다. 그리고 공교지부를 받아드렸던 경남지역유학자들의 실천적 용기가 후손인 안순환의 조선유교회로 이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로 이미 논문 황영례, 「안순환의 유교종교화 운동과 녹동서원」2004, 영남대 박사논문으로 발표하였지만 죽농 안순환에 대한 연구를 보완하고자 1930년대 안순환의 조선유교회와 유교종교화 운동의 창립과정과 주요활동을 순서대로 살펴보았다. 안순환이 거대한 재력과 명예를 포기하고 선조인 안향처럼 살기를 원하였던 큰마음을 읽을 수 있었다. 죽농은 공자와 같이 선조 안향과 같이 중국의 강유위처럼 일제기를 극복 하고 대동 세상을 이룰 수 있는 힘이 자신에게 있다고 믿고 있었다. 국가가 혼란할 때 마다 선조의 모습을 기억하며 유교정신으로 극복하고자 노력한 연산도통사와 약 10여년간의 유교종교화운동을 펼지며 유교계의 부광을 꿈꾼 흔적들은 관심을 가져야 할 내용이다. 이들의 활동은 유교사 뿐만 아니라 민족정신 회복 노력에도 매우 소중한 흔적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시대적 사상적으로 다각적인 주목과 연구가 이루어져 이들의 노력이 올바르게 평가되고 유교사흐름 정리에 일익을 기하는 계기가 이루어지기를 바랄 뿐이다. This paper studies the Confucianism religionization movement executed by Juknong Ahn Sun-Hwan by rallying Confucian scholars to restore the Confucian spirit suppressed by Japanese colonialism. With the pride of being a 21st generation descendant of Ahn Hyang, Juknong Ahn Sun-Hwan donated all of his wealth in 1930 to found the Joseon Confucianism Assembly and started a revival movement for Confucianism well received by the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 and rising Confucian scholars around the country. He founded the Nokdong Confucian Academy Nokdongseowon in Siheung, Seoul, to enshrine Ahn Hyang and built the Joseon Confucianism Assembly Headquarters. The Joseon Confucianism Assembly Headquarters invited scholars to produce Confucian missionaries who would run branches of the Confucian Assembly around the country through the Nokdongseowon Confucian Academy.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Confucius religion movement of Yeonsan Dotongsa Shrine, which formed the background for the Joseon Confucianism Assembly founded in 1932. The Sunheung Ahn family played the key role at Yeonsan Dotongsa Shrine, which was Korea’s first Confucian religious branch opened in 1917 to continue the Confucian spirit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to the modern era. The ancestor named Hoeheon Ahn Hyang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contributed to the stability of the state by introducing neo-Confucianism. The Sunheung Ahn family published Records of Hoeh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ism in 1909 to instill national consciousness and overcome the difficult times (1909). Ahn Sun-Hwan, a 21st generation descendant of Hoeheon, admired his ancestor and founded the Joseon Confucianism Assembly (1932). Descendants of the Sunheung Ahn family who believed that the national crisis could be overcome with the Confucian spirit by publishing Records of Hoeheon at Yeonsan Dotongsa Shrine in 1909 chose the religionize Confucianism. The courage of Confucian scholars in Gyeongsangnam-do to accept the Confucian religion branch led to the Joseon Confucianism Assembly founded by Ahn Sun-Hwan. Second, there is a previous study Hwang, Yeong-Rye, “Confucianism Religionization Movement of Ahn Sun-Hwan and Nokdongseowon Confucian Academy,” doctoral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2004. on Juknong Ahn Sun-Hwan, but this paper examines the established process and major activities of Ahn Sun-Hwan’s Joseon Confucianism Assembly and Confucianism religionization movement in the 1930s. Ahn Sun-Hwan had a great mind of giving up on the enormous wealth and honor to live like his ancestor Ahn Hyang. Like Confucius, Juknong believed that he had power to overcome Japanese colonialism and attain Korean prosperity, which is similar to Kang Youwei of China. Whenever the country was in chaos, Ahn Sun-Hwan remembered his ancestor and dreamed of reviving Confucianism by carrying out the Confucianism religionization movement for about 10 years with Yeonsan Dotongsa Shrine. These activities are not only important for the history of Confucianism but also significant for recovering the national spir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rrectly evaluate the efforts of Confucian scholars through multilateral studies on the era and ideology, thus summarizing the historical flow of Confucianism.

      • KCI등재

        단일유산소운동과 복합순환운동이 중년비만여성의 혈관탄성에 미치는 영향

        조재혁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12주간의 단일유산소운동과 복합순환운동이 혈관탄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보고자 40-50대 중년비만여성 12명을 대상으로 6명은 단일유산소운동집단, 6명은 복합순환운동집단으로 나누어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2주간의 단일유산소운동과 복합순환운동은 중년비만여성의 혈관탄성 모든 항목에서 운동 전에 비해 유의하게 개선시켰으며, 특히, 복합순환운동집단에게서 보다 큰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12주간의 단일유산소운동과 복합순환운동은 혈관탄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유산소운동과 복합순환운동 후의 혈관탄성 증가는 대사증후군 등 혈액순환의 문제로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복합운동, 순환운동, 유산소운동 형태에 따른 비교연구와 운동 강도 및 기간 비교연구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여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12주간의 순환운동과 L-tryptophan 섭취가 폐경 여성의 체력과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조현석,이태희,이만균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0 체육과학연구 Vol.31 No.3

        [Purpose]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 weeks of circuit training and L-tryptophan supplementation on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Methods] Forty-one menopausal women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i.e., combined circuit training and L-tryptophan supplementation group (CT+T: n=14), L-tryptophan supplementation group (T: n=14), and control group (CON: n=13). The subjects in CT+T exercised three sessions per week and took 3g of L-tryptophan per day for 12 weeks. The subjects in T took 3g of L-tryptophan per day for 12 weeks. The subjects in CON were asked to maintain their life pattern for the same period of intervention.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related variables were measured at pre- and post-test. The data were compared by utilizing a repeated two-way ANOVA. [Results]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Standing long jump, one leg standing with eyes closed, sit-and-reach, sit-up, and maximal oxygen uptake increased significantly in CT+T. 2) Body weight,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waist-hip ratio, fat mass, and percent body fat decreased significantly in CT+T. 3) Total cholesterol decreased significantly in CT+T. 4) Fasting plasma glucose (FPG), fasting plasma insulin, and HOMA-IR decreased significantly in CT+T. FPG and HOMA-IR decreased significantly in T. 5)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mean arterial pressure (MAP), and rate pressure product decreased significantly in CT+T. DBP and MAP decreased significantly in T. 6) Number of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decreased significantly in CT+T and T.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circuit training and L-tryptophan supplementation w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and that L-Tryptophan supplementation w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metabolic syndrome by improving insulin resistance and hypertension in menopausal women. [목적] 이 연구는 12주간의 순환운동과 L-tryptophan 섭취가 페경 여성의 체력과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방법] 정상 체중 이상의 폐경 여성 41명을 순환운동+L-tryptophan 집단 14명, L-tryptophan 집단 14명, 그리고 통제 집단 13명으로 무선할당 하였다. 순환운동+L-tryptophan 집단의 대상자는 12주간 주 3회, 일일 40분의 순환운동에 참여하고 일일 3 g의 L-tryptophan을 섭취하였으며, L-tryptophan 집단의 대상자는 일일 3 g의 L-tryptophan을 섭취하였다. 통제 집단의 대상자는 동일한 처치 기간 동안 위약을 섭취하면서 특별한 처치 없이 평소의 생활습관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체력과 대사증후군관련 변인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측정하였고, 반복 이원분산분석을 이용하여 세 집단 간에, 그리고 두 검사 간에 비교하였다. [결과] 이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력과 관련하여 순환운동+L-tryptophan 집단의 제자리멀리뛰기, 눈감고외발서기,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윗몸일으키기, 그리고 maximal oxygen uptake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2) 신체구성과 관련하여 순환운동+L-tryptophan 집단의 체중,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허리·엉덩이둘레 비율, 체지방량, 그리고 체지방률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3) 혈중 지질과 관련하여 순환운동+L-tryptophan 집단의 총콜레스테롤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4) 인슐린 저항성 지표와 관련하여 순환운동+L-tryptophan 집단의 공복 혈당, 공복 인슐린, 그리고 homeostasis model of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HOMA-IR)가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L-tryptophan 집단의 공복 혈당과 HOMA-IR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5) 심박수 및 혈압과 관련하여 순환운동+L-tryptophan 집단의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평균동맥압, 그리고 rate pressure product(RPP)가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L-tryptophan 집단의 이완기 혈압과 평균동맥압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6) 순환운동+L-tryptophan 집단과 L-tryptophan 집단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12주간의 순환운동과 L-tryptophan 섭취의 복합 처치는 체력의 향상에 효과적이었고, 신체구성, 인슐린 저항성, 그리고 혈압의 개선을 통하여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수를 줄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아울러 L-tryptophan 단독 섭취도 인슐린 저항성과 혈압의 개선을 통하여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수를 줄이는데 효과적이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향후 대사증후군 질환자를 대상으로 운동 트레이닝과 L-tryptophan 섭취의 단독 처치 및 복합 처치의 효과를 보다 장기간에 걸쳐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 KCI등재

        순환운동이 50대 비만중년여성의 건강체력, 혈압 및 혈관탄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연주,김지현,하수민,김정숙,김종원,윤병곤,김도연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7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4 No.4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twenty four obese women(50’s) composed of the exercise group(n=12) and to a“no exercise”control group(n=12). The variables of health-related fitness, blood pressure, and blood vessel elasticity where measured in all the subjects before the start of the training program and after at the end of the 8 weeks circuit training. The test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aired t-test, and alpha level of p<.05 was set for all tests of significance. Health-related fitness was exercise group, the BMI had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20m shuttle run, sit-ups and sit-and-reach had significantly increased. Blood pressure was exercise group, the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had significantly decreased. Also, after the circuit training program, the exercis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diastolic blood pressure than did the control group. blood vessel elasticity was exercise group, the blood vessel elasticity had significantly decreased. And exercis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diastolic blood vessel elasticity than did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BMI,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had significantly decreased, but 20 m shuttle run, sit-ups and sit-and-reach had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ombined exercise group after the 8 weeks circuit training. Therefore, regular and continuous circuit training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blood vessel elasticity and health-related fitness. 본 연구는 50대 비만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순환운동이 건강체력, 혈압 및 혈관탄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었으며, 이를 위해 비만중년여성 24명을 대상으로 운동그룹 12명, 대조군 12명으로 분류하여 8주간 순환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순환운동 프로그램은 유산소 운동과 저항운동으로 구성되었으며, 회당 40분간, 주3회 실시하였고, 유산소 운동 수행강도는 50-70% HRmax, 저항운동은 1-RM의 40-60%로 수행되었으며, 순환운동 전·후에 측정한 자료의 그룹 내 차이 비교를 위해 대응표본 T검정, 그룹 간 차이는 운동 전·후의 변화율을 산출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운동그룹은 건강체력 중 BMI(p<.05)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심폐지구력(p<.001), 근지구력(p<.001), 유연성(p<.01)이 증가하였으며, 그룹 간 대조군 보다 심폐지구력, 유연성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1).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은 운동그룹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1), 이완기 혈압은 그룹 간 대조군 보다 운동그룹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PWV는 운동그룹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대조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1), 그룹 간 대조군 보다 운동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이상의 결과 비만중년여성의 건강증진 및 비만치료를 위한 순환운동은 건강체력, 혈압 및 혈관탄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8주간의 순환운동이 버스 운전기사의 혈중 지질, 인슐린 저항성, 심혈관기능 및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임은철 ( Eun-cheol Eem ),조현석 ( Hyun-seok Cho ),이만균 ( Man-gyoon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7 체육과학연구 Vol.28 No.1

        [목적] 이 연구에서는 8주간의 순환운동이 버스 운전기사의 혈중 지질, 인슐린 저항성, 심혈관기능, 그리고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40~50대의 남성 버스 운전기사 29명이 이 연구의 대상자로서 참여하였으며, 운동집단 14명과 통제집단 15명으로 구성되었다. 운동집단의 대상자는 8주간의 처치기간 동안 주 3회, 1회당 30~40분간 순환운동을 실시한 반면, 통제집단의 대상자는 동일한 기간 동안 평소의 생활습관을 연구 참여 전과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하였다. [결과] 이 연구에서 얻은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체구성의 경우 운동집단의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허리·엉덩이둘레비, 체질량지수, 그리고 체지방률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2) 혈중 지질의 경우 운동집단의 LDL-C가 유의하게 감소되고 HDL-C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3) 인슐린 저항성관련 변인의 경우 운동집단의 공복혈당과 HOMA-IR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4) 심혈관기능과 관련하여 이완기혈압과 평균동맥압이 운동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hs-CRP는 운동집단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5)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수가 운동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8주간 실시한 순환운동이 중년 남성버스 운전기사의 허리둘레, 혈중지질, 그리고 인슐린 저항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수를 감소시켰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특히,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의 수가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에 가까운 2.86±0.86개에서 불과 8주간의 순환운동을 통하여 완전 정상범위인 1.50±0.76개로 급감하였다는 것은 단순히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넘어서 임상적으로도 큰 의미를 갖는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규칙적으로 실시하는 운동이 버스 운전기사의 대사증후군 예방과 치료에 공헌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장시간 운행과 강제적인 좌식생활로 인하여 건강에 위협을 받는 버스 운전기사의 건강 증진과 복지를 위하여 다양하고 현실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Purpose]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8 weeks of circuit exercise training on blood lipids, insulin resistance, cardiovascular function,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40~50s male bus drivers. [Methods] Twenty-nine bus driv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i.e., circuit exercise training group (TR: n=14) and control group (CON: n=15). Subjects in TR participated in circuit exercise training 30-40 min per session, three sessions per week for 8 weeks, whereas subjects in CON were asked to maintain their normal life pattern for same intervention period. The variables regarding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insulin resistance, cardiovascular function, and number of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were measured and compared between two groups as well as between pre- and post-test.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two-way ANOVA with post hoc test. [Results]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Waist circumference, waist-hip ratio, body mass index, and percent body fat decreased significantly in TR. 2) LDL-C decreased and HDL-C increased significantly in TR. 3) Fasting plasma insulin and HOMA-IR decreased significantly in TR. 4) Regarding cardiovascular function,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mean arterial pressu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TR and CON. hs-CRP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however, it tended to be decreased TR. 5) Number of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R(2.86±0.86 to 1.50±0.76). [Conclusions] It was concluded that 8 weeks of circuit exercise training would be beneficial for improvement of blood lipid profiles and insulin resistance, resulting in preventing metabolic syndrome. In particular, it would be very clinically meaningful that number of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decreased from 2.86±0.86 to 1.50±0.76 by the circuit exercise training.

      • KCI등재후보

        방과 후 순환운동이 지적장애 학생들의 자기결정력 및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한철(Kim Hancheol),심태영(Sim Taeyoung),김혜경(Kim Hyekyeong),정연택(Jeong Yeontaek),김성진(Kim Sungji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규칙적인 12주간 방과 후 순환운동을 통하여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과 운동수행능력의 발달가능성을 규명하고, 학교나 가정, 사회생활 속에서 성숙한 인격적 개체로서 존중받으며,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A시에 거주하면서 B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남자 경도 지적장애 학생 총 20명으로 참여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을 단순무선 표본추출(simple random sampling)로 할당하여 순환운동에 참여하였다. 측정도구로 자기결정력은 학생을 자기결정력 평가척도(이영미, 2006), 교사용 자기결정력 평가척도(방명애, 2001)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운동수행능력 검사도구는 김정권, 권기덕, 최영하(1987_에 의해서 한국에서도 표준화된 오세레츠키 운동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PASW Version 18.0K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별 자기결정력과 운동수행능력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측정 시기(사전ㆍ6주경과 후ㆍ사후)에 따른 변화를 반복측정에 의한 변량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방과 후 운동 참여를 통한 자기결정력의 변화에서는 참여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자신에 대한 인식, 자신의 가치 존중, 계획의 변화, 실행의 변화, 결과에 대한 평가 및 총점의 변화 비교에서 평균점수가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참여집단의 변화는 6주보다 12주가 경과한 후 더 많은 증가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운동수행능력의 변화에서는 참여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정적, 손동작, 일반동작의 협응 및 운동속도, 동시적 자발동작, 단일동작 수행능력 및 운동연령에 증가하였으며, 참여집단의 변화는 6주보다 12주가 경과한 후 증가 현상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순환운동을 하면 자기결정력과 운동수행능력은 증가가 되는데,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12주 이상의 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12-weeks after-school rotating exercise program on self-determination and sports performance abilities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nts were 20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 special-education school. Through simple random sampling, 10 students were placed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y were involved in the after-school rotating exercise program. The other 10 students were placed in a control group.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Korean-version of Self-Determination Student Scale (Lee, Youngmi, 2006), Self-Determination Teacher Perception Scale (Bang, MyungAe, 2001), and Standardized Oseresky Sports Ability Test (Kim, Jungkwon, Kwon, Kiduk, & Choi, Youngha, 1987).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in order to measure changes across time (before intervention after 6 weeks after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that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resented improved self-determination and sports performance abilities than those in a control group. These changes were more prominent after 12-weeks of the after-school rotating exercise program participation than after 6-weeks participation.

      • KCI등재

        운동 유형이 노인 여성의 근손상 지표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신원태,이중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12-week Resistance exercise Type on Muscle Damaged and Blood Lipid in elderly Women. Study shows researchers randomly divided thirty elderly women into the following 3 Groups such as Control group(CG: n=10), Aquatic Exercise Group(AEG: n=10), circuit exercise group(CEG: n=10). They made each group excercise 3 days a week for 12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in the TC, LDL-C, HDL-C but there were interaction effects in the Body weight and Body Fat(%). The AEG and CEG decreased than the CG in the Body Weight, Body Fat(%), TC, LDL-C, and increased than the CG in the HDL-C with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results were made certain that decreasing the Body Weight and Blood lipid, Increasing the Muscle and HDL-C for elderly women on AEG and CEG. The analysis results of study show the index of TG, CPK, LDH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sides, It is considerable that the aquatic Exercise and Circuit exercise can prevent and improve the Sarcopenia for elderly women. 본 연구는 12주간의 저항성운동 유형이 여성 노인의 근손상 지표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여성노인 30명을 통제집단 10명, 아쿠아로빅운동 집단 10명, 순환운동 집단 10명을 무선으로 배정한 후 주당 3회 1회 운동시 60분을 적용하여 각 집단별 운동을 12주간 실시하였다. Total Cholesterol(TC),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LDL-C),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C)은 교호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체중과 체지방량은 교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체중, 체지방량, TC, LDL-C은 통제집단에 비해 수중운동과 순환운동 후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HDL-C은 통제집단에 비해 수중운동과 순환운동 후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 Triglyceride(TG), Creatine Phosphokinase(CPK), Lactate Dehydrogenase(LDH)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를 통하여 수중운동과 순환운동은 여성노인에게 있어 체중 및 혈중지질 감소와 HDL-C의 증가에 있어 효율적인 운동이라 제시 할 수 있으며 여성노인에게 있어 근감소예방과 개선에 효과적인 운동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야외 운동기구를 이용한 순환운동이 지적장애 아동의 평형성 및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심태영(Tae-Young Sim)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2021 운동재활·복지 Vol.2 No.1

        이 연구는 야외 운동기구를 이용한 순환운동이 지적장애 아동의 평형성 및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른 지적장애로 구분된 아동으로 A시에 위치한 B 특수학교 초등부 3학년에 재학 중인 남자 지적장애이다. 집단의 구성은 편의표집 할당을 통해 참여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2명으로 총 22명이 참가하였다. 12주간의 야외 운동기구를 이용한 순환운동 프로그램은 주 3회, 매회 60분으로 진행되었다. 자료처리는 통계프로그램 SPSS 25.0을 이용하여 두 집단 간의 평균비교를 위해 측정 항목의 사전 값을 공변인으로 하는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야외 운동기구를 이용한 순환운동 프로그램 참여가 지적장애 아동의 좌·우측 외발서기 기록이 증가하여 평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야외 운동기구를 이용한 순환운동 프로그램 참여가 지적장애 아동의 60°/sec에서 좌·우측 신·굴근력의 최대 근력이 증가하여 슬관절 등속성 근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ircular exercise using outdoor exercise equipment on balance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pecial Education Act for the disabled, etc., and male intellectual disabilities attending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t B special school located in A city. The group consisted of 10 participants and 12 control groups through the allocation of convenience sampling, with a total of 22 participants. The 12-week cycling exercise program using outdoor exercise equipment was carried out three times a week and 60 minutes each time. For data processing, a covarianc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5.0, using the prior value of the measurement item as a covariate to compare the mean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the circular exercise program using outdoor exercise equip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equilibrium by increasing the left and right unilateral standing record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a circular exercise program using outdoor exercise equip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knee joint isokinetic muscle function by increasing the maximum left and right extensor and flexor strength at 60°/sec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