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조 전반기 정국의 동향과 李審度 獄事의 전말-『親鞫日記』와 『推案及鞫案』을 중심으로-

        김정자 조선시대사학회 2019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9

        조선시대 宣祖 이후 士林 세력이 東人․西人, 南人․北人으로 分黨된 후, 肅宗 연간 老論․少論으로 나뉘었다. 英祖․正祖는 각각의 정치세력을 調劑하여 保合하는 蕩平政治를 펼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戚臣 세력의 정치 참여가 계속되고 혜경궁 집안의 홍봉한 세력과 정순왕후 집안의 김귀주 세력이 反目하여 북당․남당으로 일컬어졌다. 순조 8년 이심도가 상소에서 이들을 時派․僻派로 연결하였고, 이로 인해 ‘이심도 옥사’가 일어난다. 정조가 훙거한 후, 純祖 초 정순왕후의 수렴청정으로 경주 김문 척신 세력과 연합한 심환지 등의 벽파 세력은 순조 1년 종친 은언군, 홍봉한의 아들 척신 홍낙임 세력과 남인 信西派 세력을 포함한 정조의 노․소론 측근 세력에 대한 討罪의 일환으로 ‘辛酉獄事’를 일으켰다. 순조 2년 삼간택이 성사되어 김조순의 딸이 순조의 비가 되었고, 순조 3년 정순왕후의 撤簾과 순조 4년 순조의 親政이 펼쳐졌다. 순조 5년 ‘김달순 옥사’가 일어난 후 순조 6년의 벽파 세력에 대한 토죄의 일환인 ‘丙寅更化’가 일어나 정국과 정치세력의 변화를 가져왔다. ‘병인경화’ 후에도 노론 세력 내에서는 ‘이경신 옥사’와 관련한 추국 사건과 소론 세력 내에서는 정동준과 관련한 사도세자 추숭 세력 추국 사건이 일어났다. 순조 8년 혜경궁 집안의 척신 세력 홍세주의 정계 진출을 반대한 대사간 李審度가 상소를 올렸으나 삭직과 정배․찬배․위리안치되었다. 노․소론을 막론한 신하들의 요청으로 순조 친정 후 처음으로 親鞫을 열었으며 犯上不道 죄로 正刑 처분을 받았다. 『親鞫日記』 공초에는 연대기 사료에 남겨져 있지 않은 金明淳과 李魯春 무리에 대해 기록되어 있다. 이심도 상소를 통해서 첫째로, 기존의 양 척신 풍산 홍문과 경주 김문 세력의 정치 폐해를 지적하였으나, 벽파 세력이 몰락한 시점에서 풍산 홍문 세력에 대한 공격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되고 있던 반남 박문 세력과 확장되고 있던 안동 김문 세력도 연관된 사안이라고 여겨진다. 둘째로, 이 시기 노론 내에서 湖論과 洛論이 나뉘었는데, 이심도는 호론인 청주․홍주 지역의 인물이었다. 이 사건은 점차 낙론인 서울 지역의 인물들을 중심으로 京鄕이 분기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셋째로, 척신 세력을 기반으로 한 시파․벽파의 대립을 비판하고 순조의 적극적인 국정주도를 바란 조정 내 청론 세력의 주장 또한 볼 수 있다. 순조 8년 ‘이심도 옥사’에 대해서는 영조․사도세자․정조․순조와 정순왕후․혜경궁․가순궁․순원왕후 집안과 연관된 척신 세력 등과 정조의 뜻을 따른 순조의 세신과 세가 세력을 보호하며, 사리와 체면을 중히 여긴 불가피한 처분이었다. ‘이심도 옥사’는 50여 년이 지난 철종 9년(1858)에 양 척신 세력의 정치 참여 배제를 주장한 것으로 인식되었고, 영의정 김좌근의 요청에 따라 과거 순조의 처분에 대해 철종이 바로잡아 복관의 명을 내리는 것으로 마침내 일단락이 되었다. Since the reign of king Seonjo(宣祖), the Sarim(士林) society of Joseon continued to divide into several groups:the Easterners(Dong’in, 東人) and the Westerners(Seo’in, 西人), and the Southerners(Nam’in, 南人) and the Northerners (Bug’in, 北人). Then,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肅宗), the Westerners again diverged into the Elders(No’ron, 老論) and Juniors(So’ron, 少論). Following kings Yeongjo(英祖) and Jeongjo(正祖) managed to utilize schisms and cracks formed by all those divisions, and navigated the government through them under the so-called Tangpyeong(蕩平) Policy. Yet the In-law (“Cheokshin, 戚臣”) houses continued to join (and corrupt) the political arena, and conflicts between the Hong Bong-han faction(house of the Crown princess Hye’gyeong-gung) and the Kim Gwi-ju faction (house of Queen Jeongsun) led to themselves being considered respectively as the ‘North party(Bukdang)’ and ‘South party (Namdang),’ and later also as ‘Shipa(時派)’ and ‘Byeokpa(僻派).’ After King Jeongjo died, in the early years of King Sunjo’s reign, Dowager Queen Jeongsun oversaw the governing of the country, and during this time Shim Hwan-ji and the Byeokpa faction, in alliance with the “Cheokshin”(In- law) faction of the Gyeongju Kim house, triggered the Shin’yu-year Controversy [‘辛酉獄事’]. Ones that were expelled -in the very year Sunjo was enthroned-by this incident included a royal figure named Eun’eon-gun, Hong Nag- im(Hong Bong-han’s son)’s party, the Southerner-aligned Shin’yu faction[信西派], and the late king Jeongjo’s old Noron and Soron cronies. In King Sunjo’s second year, a royal marriage was arranged and Sunjo welcomed the daughter of Kim Jo-sun from the Andong Kim house as his new queen. Then in the 3rd year Dowager Queen Jeongsun ended her oversight of matters and Sunjo began to govern the kingdom himself the next year. Then in the 5th year, the Kim Dal-sun scandal, and in the 6th the Byeong’in-year Turnover [“Byeong’in Gyeong’hwa, 丙寅更化”], eventually led to the dismissal of certain family members of the Gyeongju Kim house (house of Dowager Queen Jeongsun), and some of its Byeokpa faction allies. After the Byeong’in-year Turnover, within the No’ron faction a purge for the Byeokpa party which involved King Jong-su as well broke out. Meanwhile, occurred within the So’ron faction was another purge targeting a party which had been arguing for the reinstatement of late Crown prince Sado’s honor (while also involving Jeong Dong-jun). In the 8th year of King Sunjo’s reign, Dae-sagan official Yi Shim-doh(李審度), member of the Hansan Yi house, who expressed an opinion against Hong Se-ju(member of the Hye’gyeong-gung house)’s joining the government, was stripped of his rank and summarily put in exile. Officials from both the No’ron and So’ron factions demanded that he be interrogated for his arrogance, and he was ultimately tried guilty of insubordination. In Chin’guk Ilgi, Kim Myeong-sun(金明淳) and Yi Roh-chun(李魯春), who do not appear in other chronologies, are recorded as implicated parties. Yi Shim-doh’s appeal had multiple meanings. First, considering the close relationship that was maintained between the In-law houses such as the Andong Kim house and the Bannam Park house, Yi’s appeal was an attack on other in-law houses like the Pungsan Hong and Gyeongju Kim houses. Secondly, the separation of No’ron into “Ho’ron” and “Nak’ron” ever since the time of Song Shi-yeol, which marked the divergence between the Hoseo region and the Capital Seoul area as well, was similarly reflected in the in-house divisions within the Andong and Gyeongju Kim houses, as well as the Hansan Yi house. Thirdly, as a member of the Cheong’ron(淸論) party, he was criticizing the conflicts between Shipa and Byeokpa for all the In-law houses’ feuds, and hoping for Sunjo’s leading r...

      • KCI등재

        純祖 前半期 親鞫·推鞫의 政治性 - 『親鞫日記』·『推案及鞫案』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

        김정자(Kim, Jeong-ja) 한국법사학회 2021 法史學硏究 Vol.63 No.-

        조선시대 국가와 국왕에 대한 중대한 범죄가 일어나면 국왕이 직접 심문하는 親鞫이 시행되었다. 친국 과정 후, 자세한 조사를 위해서 委官을 정해 궁궐 내에서 시행하는 庭鞫과 義禁府에서 시행하는 推鞫으로 진행되었다. 국왕의 친국 과정 없이 추국청 위관에 의한 정국과 추국이 시행되기도 했으며, 綱常과 관계된 삼성추국 등이 시행되었다. 친국은 『친국일기』, 추국은 『추안급국안』·『추국일기』 등의 자료가 남아있다. 순조 4년(1804) 순조 親政 후, 추국이 행해진 ‘권유·이안묵 사건’은 순조 1년(1801) ‘신유옥사’와 관련된 사안이었다. 벽파 세력 내 反안동 김문 세력에 대한 안동 김문 세력과 시파 세력에 의한 정치 공세였다. 순조는 의도적으로 정조 연간의 世臣을 보존하는 성대한 덕과 착한 뜻을 계승하며, ‘권유·이안묵 사건’을 엄히 다스리지 않았다. 순조 5년(1806) ‘김달순 사건’과 순조 6년(1806) ‘병인경화’ 과정에서 ‘권유·이안묵 사건’은 재론되었다. 당시 위관 중에 金觀柱가 추국이 제대로 되지 않게 막았다는 것이었다. 순조 7년(1807)에도 권유를 논척한 일로 귀양 가 있던 ‘이경신 사건’이 재론되었다. ‘임오화변’·‘병신옥사’·‘신유옥사’에 대한 의리를 유지·지속하는 公論은 재확립되었다. 순조가 친국한 순조 8년(1808) ‘이심도 사건’은 조사과정에서 안동 김문 외척 세력이 배후로 언급되었다. 그러나 순조는 사건이 확산되는 것을 막고자, 한달 만에 친국을 끝마쳤다. 순조 9년(1809)에서 순조 11년(1811) 동안 사도세자 추숭 관련 친국·추국 사건이 일어났다. 趙㯳은 경기감영에 投書를 했고, 張夢瑞는 擊錚을 하였으며, 許倫은 포도청에 掛書를 붙였다. 조경은 杖斃했고, 장몽서는 정조 즉위년 ‘丙申獄事’ 때 李德師·趙載翰이 사도세자를 신원하는 상소를 올린 것과 같은 일을 했다고 진술했다. 장몽서와 허륜은 大逆不道로 正刑하였다. 이 당시 순조와 당국자들은 친국과 추국을 통해서 사도세자의 추숭을 주장하는 세력을 懲討하였고, ‘임오화변’·‘병신옥사’·‘신유옥사’의 의리를 유지·계승·재확립시켰다. 순조 18년(1818) 조경 支屬과 장몽서의 일이 停啓되었다. 이로써 조경·장몽서에 대한 啓辭는 더 이상 거론되지 않았다. 또한 박종경을 논척했다가 유배보내졌던 趙得永 등을 처분을 감해주었다. 풍양 조문 趙萬永의 딸을 세자빈으로 삼아 왕실 내 외척은 안동 김문 세력과 풍양 조문 세력으로 재편된다.

      • KCI등재

        순조대 후반 정국과 근기남인의 역할

        최우혁(Choi, Woo Hyouk) 역사실학회 2021 역사와실학 Vol.75 No.-

        순조대 후반 근기남인(近畿南人)은 당시 정국에서 주요 세력이었던 안동 김씨(安東金氏) 세력과 정치적 행보를 함께하였다. 효명세자(孝明世子)의 대리청정이 시작된 직후 전 초산부사 서만수(徐萬修)의 탐학상이 보고되자, 서만수의 아들 서유규(徐有圭)가 서만수의 억울함을 호소하는 동시에 봉조하 이조원(李肇源)과 대호군 김기후(金基厚)를 공격하였으나, 효명세자는 미온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자 사간 홍영관(洪永觀)과 지평 한진호(韓鎭㦿)가 이조원에게 처분을 내릴 것을 청하였는데, 효명세자는 이를 거부하며 한결같은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홍영관과 한진호는 모두 근기남인으로서 안동 김씨 가문과 우호적인 관계에 있었다. 서만수가 공격받고 처벌된 사안은 대리청정 초기 효명세자의 김조순계 견제라는 성격을 가지며, 서유규의 호소는 김조순계의 반발이 담겨있는 정치적 사건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김조순계의 입장에 서서 이조원을 탄핵한 근기남인의 행위는 김조순계와 근기남인이 정치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던 사실을 잘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서만수 사건 이후에도 효명세자는 자신을 지지해줄 측근세력을 형성하며 입지를 강화해나갔다. 측근관료로는 청명당(淸明黨) 인사들과 친인척관계에 있던 김로(金鏴), 이인부(李寅溥), 김노경(金魯敬) 등과 조만영(趙萬永), 조인영(趙寅永)으로 대표되는 풍양 조씨(豊壤趙氏) 가문 세력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근기남인 심영석(沈英錫)과 한진호, 그리고 이유하(李游夏)는 김조순의 7촌 조카인 호조판서 김교근(金敎根)과 그 아들 김병조(金炳朝)를 탄핵하였다. 근기남인의 김교근 부자 탄핵은 효명세자의 정국 주도 및 세력 확대에 대한 김조순계의 견제라고 할 수 있다. 김교근이 비록 김조순의 가까운 친척이기는 하지만, 효명세자의 비호를 받으며 그 측근들과 정치적 행보를 함께하였기 때문이다. 효명세자 사후, 김조순계는 김교근을 비롯하여 대리청정기에 발탁된 노론 청류들을 탄핵함으로써 한동안 위축되었던 권력 기반을 강화하고자 한 반면, 순조(純祖)는 재집정을 통해 대리청정 이후의 정국을 안정적으로 이끌고자 하였다. 효명세자가 훙서한 직후, 삼사에서는 효명세자가 복용할 탕제에 자기 마음 대로 시험 삼아 재료를 첨가한 약원제조 홍기섭(洪起燮)을 엄중히 조사할 것을 청하였다. 그러나 순조는 이들의 청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성토의 대상은 점차 확대되어 갔다. 신료들이 김로의 죄상을 거론하며 국청을 설치하여 전형을 바로잡기를 청한 것이다. 그러던 중 근기남인 부사과 김우명(金遇明)이 상소하여 전 평안도관찰사 김노경의 처벌을 청하였다. 김우명이 상소하고 나서 김조순계 인사들이 뒤이어 김노경을 탄핵하기 시작하였는데, 이 역시 김교근 사건 때와 매우 유사한 현상이었다. 한편 순조가 여러 죄인들의 석방을 하교함에 따라 유배되었던 노론 청류들이 비로소 석방되었고, 탄핵을 받아서 끝내 유배되었던 김노경도 석방될 수 있었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대리청정 당시 처벌받았던 심영석과 한진호를 비롯한 근기남인이 정계로 복귀하게 된다. 심영석과 한진호의 석방은 효명세자 대리청정기에 위기를 맞았던 김조순계의 권력이 순조 재집정기에 이르러 다시 안정화되었음을 뜻한다. 순조가 재집정한 뒤 근기남인이 곧바로 효명세자에 의해 발탁된 노론 청류들을 탄핵한 행보는 근기남인과 효명세자의 정치 노선이 달랐음을 증명해준다. 이러한 모습들을 통해 순조대 후반까지 근기남인과 김조순계가 여전히 협력 관계에 있었으며, 근기남인이 김조순계의 우익 역할을 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순조 후반기의 성균관과 유생에 대한 시각 - 유소에 대한 비답을 중심으로 -

        장재천 ( Chang Jae-cheo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21 韓國思想과 文化 Vol.103 No.-

        조선시대 국왕들의 성균관에 대한 시각은 세 가지 종류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세종과 같이 성균관 교육을 중시하는 쪽이었고, 또 하나는 연산군처럼 경시하는 쪽이었으며, 나머지 하나는 그런저런 국왕들로 중시도 경시도 아닌 그 중간 수준이었다. 본고는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의 세도정치가 심했던 순조 재위기를 택해 전반기 연구에 이어 이번에는 후반기를 연구하였으며, 성균관 상소나 성균관 유생들의 유소에 대한 순조의 비답을 통해 순조의 성균관과 성균관 유생들에 대한 시각을 살펴보았다. 그 시각은 곧 순조의 교육관이었기 때문이다. 국가의 인재양성에 대한 애정이 있었는지, 그리고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는지는 많은 문헌을 동원하지 않더라도 비답을 통해 충분히 가늠할 수 있다고 보았다. 순조 재위기가 전반이든 후반이든 세도정치가 워낙 심해서 순조가 과연 주관적 견해를 피력할 수 있었겠는가 하는 의구심도 들었지만, 비답의 전후맥락과 아울러 소신이 있는 내용을 말하는지 아닌지를 살펴보면, 어느 정도 순조의 생각을 추측할 수가 있었다. 전반기에는 순조가 성균관과 성균관 유생들을 그다지 존중하지도 않았고 사실상 거의 무시한 결과로 나왔었는데, 순조의 후반기에도 전반기처럼 크게 달라지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In the Joseon Dynasty, Sungkyunkwan was clearly the nation's leading educational institution, and it was a place where people from all over the country gathered to cultivate the backbone of Korea. For example, some kings, such as Sejong, Seongjong, and Jungjong, also tried to promote Sungkyunkwan education, but on the contrary, kings like Yeonsangun, rather, suppressed Sungkyunkwan by virtue of criticizing the king. We are well aware of the historical facts that they have made or even devastated Yusang(儒生) and nearly devastated them. If so, there will be many kings who are not this or not, that is, indifferent or little effort. This paper will first look at the Sungkyunkwan and Yusang who are studying there. However, it is important to keep in mind that the Joseon Dynasty, as we know well, was a Subordinates(臣權) era, in fact, the power of kings was not absolute except for the minority. Nevertheless, kings should not always be considered scarecrows. No matter how severe the presidency was in the world of officials, the term “Subordinates” could not be used. Subordinates and Sedo(勢道) politics are too different concepts. In this context, Sunjo considered what he thought of Sungkyunkwan and Yusang in his own way, and found that Sunjo did not respect and almost ignored Sungkyunkwan and Yusang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 KCI등재

        1827년 순조(純祖)의 존호의례(尊號儀禮) 진행과 그 의미 - 지식 활용을 통해 본 명분론 강화 양상 -

        박나연 ( Park Na-yeon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56

        본고는 1827년(순조 27) 9월 9일에 진행된 純祖와 純元王后의 尊號儀禮 절차와 그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번 의례는 代理聽政 중인 孝明世子의 주도로 진행되었으며, 이례적으로 순조와 순원왕후가 慈慶殿에서 함께 존호를 받음으로써 의식의 형태는 內宴에 가깝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이후 高宗代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효명세자가 순조와 순원왕후에게 존호를 올린 대외적 명분은 元孫의 탄생이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1776년(영조 52) 대리청정을 시작하며 정조가 영조에게 존호를 올린 사례를 근거로 삼은 것이었다. 효명세자는 원손이 탄생한 공로를 순조와 순원왕후에게 돌리며 『中庸』·『書經』·『詩經』 등에 나오는 堯舜을 비롯한 고대 帝王의 치세와 비교하며 순조의 업적을 높였다. 순원왕후에 대해서도 太任·太姒 비교하며 존호에 대한 명분을 강화했다. 또한 효명세자는 世子侍講院에서 英·正祖代 편찬 된 帝王學 교재들로 교육을 받았다. 효명세자는 존호의례 역시 역대 선왕들이 존호를 받았던 예에 따라 순조가 존호를 받는 것은 선왕의 사업을 잇는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이는 존호를 올려 순조의 권위도 높이면서 효명세자 역시 후계자로서의 입지를 견고하게 할 수 있는 명분도 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명분의 근거는 조선시대 지식을 대표하는 유교경전에서 찾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dure and meaning for the bestowment of honorable titles done by King Sunjo and Queen Sunwon in September 9, 1827 (27th year of King Sunjo). The ritual was led by Prince Hyomyeong who was managing the state affairs on behalf of the king. Exceptionally, King Sunjo and Queen Sunwon got Eulogistic Title Offering Ritual together in Jagyeongjeon and the form of ritual became more similar to palace banquet. Such changes continued in King Gojong times. Prince Hyomyeong’s bestowment of honorable titles to King Sunjo and Queen Sunwon was justified by the birth of his son. Also, the bestowment was supported by the case where King Jeongjo Eulogistic Title Offering Ritual to King Youngjo as he started state affairs in behalf of King Youngjo in 1776 (52th year of King Youngjo). King Sunjo and Queen Sunwon were credited for the birth of Prince Hyomyeong’s son. Prince Hyomyeong also praised the achievements of King Sunjo by referring to the peaceful reign of ancient kings including King Yo, King Sun in 『The Mean』·『Book of Documents』·『Book of Songs』. Prince Hyomyeong also justified eulogistic title offering ritual to Queen Sunwon by comparing her with King Wen of Chu’s mother and wife. In addition, Prince Hyomyeong was educated in the special institute for prince with the leadership textbooks written during King Youngjo and King Jeongjo times. Prince Hyomyeong emphasized that the preceding king was eulogistic title offering ritual and his eulogistic title offering ritual to King Sunjo and Queen Sunwon is inherited from such case. Through the eulogistic title offering ritual, King Sunjo raised his and Prince Hyomyeong established a solid foothold. The evidences can be found in Confucian scriptures representing the knowledge during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순조초기 정순왕후 수렴청정기의 官人 임용양상과 권력관계

        임혜련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논총 Vol.41 No.-

        The early days of King Sunjo regime is the period when Queen Jeongsoon's regency behind the veil took place after the sudden death of KingJeongjo. Sunjo succeeded the throne while preparing for his marriage afterbeing acknowledged as the crown prince. The general reputation of this time of the regency by the queen mother was not very positive. It is told that the system built by King Jeongjo was demolished by Queen Jeongsoon who was a Byeokpa, and that the Kim family based in Kyeongju who is the family of Queen Jeongsoon before marriage hasseized the power with the Byeokpa. Just as how the 19th century is known,this was the era of sedo politics. The power in this era actually was dominated by the Bibyeonsa. However,the organized officials of Bibyeonsa in the early days of King Sunjo regime isdifferent from that of 19th century. It is generally known that in the 19th century, several families who are maternal relatives of the queen usually took power centering from Bibyeonsa. Central roles were seized by the maternal relatives or by other families tied with marriages, and these people started forming new power lines centering from Bibyeonsa. However, Bibyeonsa in the early days of King Sunjo regime did not consistof a particular family. In fact, the officials who served King Jeongjo remained. In Uijeongbu, Ijo, and even the general of the military camp consisted of the officials who served King Jeongjo. This is because Queen Jeongsoon wasdetermined not to break up the system of the late King Jeongjo. Nevertheless, the role of maternal relatives grew. In the early days of King Sunjo regime, Kim Jo-soon was the central power since King Jeongjo asked him for protection of King Sunjo. In addition, Park Jun-won, who is thematernal grandfather of Sunjo was also hired as an official by Queen Jeongsoon with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young king. Above all, Queen Jeongsoon's Kim family of Kyeongju actively advanced into politics centering Kim Kwan-ju. After the death of Queen Jeongsoon, the Kim family based in Kyeongju and the Byeokpa were eliminated. After six years of King Sunjo regime, Kim Jo-soon, cooperating with Cho family based in Pungyang, started sedo politics. Therefore, the early days of King Sunjo regime was the transition period from tangpyeong politics into sedo politics. 본고에서는 순조가 즉위한 후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하였던 순조 3년까지를대상으로 하여 비변사 당상 역임자 현황을 통해 그 시기 활동한 관료군을 파악하였으며, 주요 관직 임용자를 검토하여 정국의 주도세력과 그 변화상을 검토하였다. 순조 초기 수렴청정기에 비변사 당상의 구성원과 그 변동상을 검토한 결과 비변사 당상의 인원수는 헌종·철종대 보다 적었으며, 19세기의 특징으로 지적되어온 특정 외척 가문이나 이와 연계된 세력으로 정치권력이 치우치는 양상이 헌종·철종대 보다 덜하였다. 이는 순조 초기는 아직 세도정치로 전화되기 전 시기에 해당하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며, 그만큼 비변사로 권력이 집중되고, 이로 인한 폐단이 뒷 시기보다는 미약한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다만 정순왕후가 의리 천명과 세신·척신의 등용이 가시화된 만큼 외척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였고, 의리의 판단에 따라 순조 원년 이후 일부 정치세력의 교체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정조 년간의 관원 상당수가 그대로 임용되는 것으로 볼 때 순조 초기를 앞 시기에 대한 반동의시기로 이해하는 것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고 판단된다. 순조 초기에 주요 관직에 임용되어 활동하였던 관원들은 당색을 가리지는 않았으나, 순조 초기에는 비교적 벽파와 타협하거나, 크게 시파나 소론의 의리를 주장하지 않은 인물들이 주로 임용되었다. 이 시기에는 외척 가문이 관직을 독점하는 세도정치의 폐단을 발생하지 않았으나 외척의 진출이 점차 강화되었던 것은 특징이다. 당색은 노론 벽파, 시파와 소론이 모두 등용되었고, 정조 년간 활동하던 관인들이 순조대에도 등용되었다. 이는 선왕에게 보도를 부탁받은 세도가가 정치권력을 확보하기 직전의 시기였으며, 앞 시기와 변화는 있었지만 선왕의 체제 일부를 유지하려는 정순왕후의 입장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선왕의 유지가 중요한 정치명분이 되었던 시기로 이는 이후 세도정치 전개에 중요한 계기를마련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시기는 탕평정치에서 세도정치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시기라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순조대 성균관 과시 운영 연구

        정지연 교육사학회 2019 교육사학연구 Vol.29 No.1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of the Seonggyungwan-Guasi(課試) by examining its concrete aspects during King Soonjo's reign(1800-1834). Ilcha-jeon'gang(日次殿講) was an oral test seldom implemented during King Soonjo's reign, except during the Crown Prince’s proxy period(1827.2.-1830.leap4.). Jeolilje(節日製), Hwanggamje(黃柑製), a written test, and ChunChuDogi(春‧秋到記), a written and oral test, were more commonly implemented. After Soonjo's 20th year as king, all candidates, even those who didn't boarded at Seonggyungwan, could take the written tests of Seonggyungwan without restriction. The special benefits(恩賜) were awarded to candidates based upon their grades. During the Crown Prince’s proxy period, Ilcha-jeon'gang as well as the other written tests were implemented without skipping. The Crown Prince elevated the class of the special benefits of Jeolilje and Eungje(應製) as a irregular writing tests. In Soonjo's 11th year as king, there were many disasters. King Soonjo tried to encourage the candidates by implementing irregular Seonggyungwan-Guasi. During King Soonjo's reign, the Seonggyungwan-Guasi was implemented by the rules. The Seonggyungwan-Guasi was operated consistently, but the written tests were regarded as more important than the oral tests. Due to this, the benefits of boarding at Seonggyungwan became weaker, and there was no the directivity of the policy maker. 본고는 순조대(1801-1834) 성균관 과시 운영의 실제를 검토하고, 그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차전강은, 왕세자의 대리청정 기간(1827.2.18-1830.윤4.22)에는 추행 등으로 결행이 없었지만 그 이외의 기간에는 거의 시행되지 못하였다. 춘‧추도기의 제술과 강서, 황감제 및 절일제는 국상이나 재해에 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순조대 내내 안정적으로 시행되었다. 순조20년(1820)부터는 모든 절일제가 통방외로 시행되었다. 제술 시제는 부(賦)가 빈번히 출제되었으나, 원점유생 절일제에 비하여 응시자가 확대되는 춘‧추도기 제술이나 황감제, 통방외 절일제에서는 상대적으로 표(表)의 출제가 많았다. 은사는 춘‧추도기와 황감제에서는 일반으로 직부전시 이하의 은사가, 절일제에서는 직부회시 이하의 은사가 내려졌다. 왕세자 대리청정 기간에는 기존의 황감제나 절일제뿐만이 아니라 일차전강이 결행없이 시행되었고, 원점유생 응제 및 여타의 응제가 시행되었다. 대리청정 기간에는 일차전강의 실시, 기존의 응제 및 절일제 은사의 상향 조정으로 직부전시자 수가 늘어났다. 순조11년(1811)에는 다른 시기와 달리 왕명에 의한 비정기적인 응제와 응강이 빈번하게 실시되었다. 당해는 재해가 연이어 발생했던 시기로, 순조는 비정기의 과시를 자주 시행하면서, 유생들의 동요를 가라앉히고자 하였다. 순조대 성균관 과시는 순조11년(1811)의 특정 기간을 제외하고는, 전 기간에 걸쳐 규정에 의한 운영을 견지하였다. 과시에 따른 은사의 등급이나 제술 과시의 통방외 결정 여부도 일관되게 운영되었다. 과시 운영의 규정은 대부분 정조대를 기준으로 한 것이었으며, 이것은 왕세자의 대리청정 기간에도 마찬가지였다. 또한 통방외 제술 과시가 증가하였고, 춘‧추도기 전강이 거의 유일한 강서 과시가 되었다. 다만 이러한 변화에 이전 시기와 같은 정책결정자의 지향성 등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 KCI등재

        정조 후반 순조 초반 정치세력과 정국의 동향 - 정조 16년(1792)~순조 6년(1806)을 중심으로 -

        김정자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논총 Vol.50 No.-

        정조는 12년에 노·소론, 남인 중에서 삼정승을 임명하는 탕평을 이루었고, 13년에는 수원에 사도세자의 묘를 遷園하였으며, 14년에 新邑을 조성하였고, 같은 해에 王子를 낳았다. 왕실의 후사문제가 안정된 후, 사도세자 신원상소가 다시 올라왔다. 정조 16년 영남남인의 萬人疏와 소론의 南學疏였다. 앞서 정조는 즉위년인 병신년에 소론과 남인의 ‘사도세자 신원상소사건’이 일어나자 그들에게 ‘丙申處分’을 내리고, 『명의록』을 간행한 일이 있었다. 정조는 ‘壬子處分’으로 과거의 사건들이 왕위계승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가 아닌 ‘壬午禍變’까지 연관된 문제라고 밝혔다. 이는 즉위년에 노·소론, 남인세력의 정치적 사안을 대립시켜서 해결했던 ‘以熱治熱’하여 ‘兩治兩解’한 방식의 政局運用術이었다. 정조 17년 정조는 영조 연간의 ‘辛壬義理’를 붙잡고 있던 노론과 소론세력에게 ‘임오화변’의 ‘壬午義理’와 『명의록』의 의리가 일맥상통한다는 동의와 공감을 요구하였다. 그러면서 앞선 사건들에 연루되어 몰락했던 가문과 인물들에 대한 대대적인 赦免令을 내렸고, 정계에 진출할 수 있도록 疏通시켜 주었다. 노·소론세력 내에서는 정조의 의도에 강력히 반발하는 세력과 수긍하는 세력이 나뉘었고, 남인 채제공이 영조의 의중을 담은 『금등』을 내보이자 일단락되었다. 한편 정조의 최측근이었던 소론 鄭東浚 등이 도리어 정조에게 반대하는 세력으로써 처벌을 받았다. 정조 19년 화성에 행차하여 혜경궁 홍씨의 환갑잔치를 마친 후, 20년에 소론 성덕우·정호인이 노론 외척 홍수영·홍낙임과 관련되었다는 혐의로 처벌을 받았다. 정조의 정국운용방식은 戚臣·家門·親分·혈연·학연 등으로 복잡하게 맞물려있던 각각의 정치세력들과 정치적 사건들에 대해 같은 색목과 당파, 집안·형제·부자지간을 ‘以水治熱’의 방식으로 모조리 처분하지 않고, ‘이열치열’의 방식으로 나누어 처분함으로써 世臣과 世家를 보호하며, 調停하고 진정시켰던 것이었다. 그러나 6월 정조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僻派政權이 형성되었다. 순조 1년 벽파정권은 노론 외척 풍산 홍씨 세력, 종친 은언군과 노·소론, 남인 내 추숭 세력 중 서유린·심노숭·윤행임 등과 정동준세력에 대해서 西學을 빌미로 한 ‘辛酉迫害’ 또는 ‘辛酉獄事’를 일으켜서 토죄·징토를 단행하였다. 순조 3년 정순왕후의 철렴 이후, 새로운 외척세력이 된 안동 김문 김조순 집안과 노론 시파 영의정 이병모와 소론 이시수 등이 연합하여 벽파정권에 대한 반격을 도모하였다. 순조 4년 순조의 국혼을 방해한 혐의로 金觀柱와 鄭日煥의 사주를 받은 권유가 대역부도죄로 심문을 받았다. 순조 5년 ‘김달순 사건’은 순조 6년(1806) ‘丙寅更化’로 이어져서 벽파정권을 몰락에 이르게 하였다. 이로써 순조 초반 벽파정권에 참여한 세력에 대한 토죄·징토의 처분과 폐고되었던 세력의 정계진출과 신원이 다시 이루어지게 된다. In his 12th year in the throne, King Jeongjo appointed individuals from three different parties(Noron, Soron, Namin) to the seat of the Three Ministers. In the next year he moved the grave of his father(the late Crown prince Sado) to the Suweon area, built a new town around it the year after that, and had a son in the same year. With the issue concerning his successor finally resolved, appeals requesting the restoration of Sado’s honor began to be submitted again to the king.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requests were the Manin-so(萬人疏) appeal submitted from the Yeongnam region’s Namin figures in the 16th year of Jeongjo’s reign, and the Namhak-so(南學疏) appeal raised by the Soron faction members the same year. In the past, immediately after Jeongjo’s enthronement(the Byeongshin-year), a political controversy had formed when Soron and Namin figures submitted relatively same requests, and king Jeongjo had to punish them with charges that they hurt the king’s leadership as well as its stability it should maintain. The punishment was called ‘the Ruling of the Byeongshin-year(Byeongshin Cheobun, 丙申處分)’ and a Myeong’eui-rok annal was published. In his 16th year, The punishment was called ‘the Ruling of the Imja-year(Imja Cheobun, 壬子處分)’, Jeongjo wanted to clarify that the said incident was not caused by the enthronement itself, and was a controversy whose seeds were actually sown during the “Purge of the Imo-year(Imo Hwabyeon, 壬午禍變).” This was essentially an intentional act of putting Noron figures and Soron figures at odds with each other, thus enabling to king to control them both and maintain order in the government. A quintessential display of leadership based upon the strategy of “Controling fire with fire” or “Managing both, and resolving both.” In his 17th year, Jeongjo demanded that Noron and Soron members – who were still clinging on to the Cause of the Shin/Im years(辛壬義理) - should acknowledge the fact that the Cause of the Imo-year(壬午義理) and the goal of Myeong’eui-rok indeed shared the same sentiment and goals. He also issued a wide pardon for all the individuals and houses that had fallen after being implicated in the aforementioned political incidents, and gave them permission to apply for a seat inside the government. Members of both Noron and Soron parties were divided, between a group which strongly opposed Jeongjo’s such stance, and a group which recognized its sincerity. Chae Je-gong, who was from the Southerner party revealed the Geumdeung text which supposedly contained former king Yeongjo’s intentions, and that was when the controversy began to tone down. Meanwhile, Jeong Dong-jun(鄭東浚), who was from the Soron party and was also one of Jeongjo’s most trusted advisors, was punished for opposing Jeongjo’s agenda too strongly. In his 19th year, Jeongjo traveled to Hwaseong, attended a banquet commemorating his mother’s 60th birthday, and the next year punished Soron figures Seong Deog-wu and Jeong Ho-in for being affiliated with Hong Su-yeong and Hong Nag-im, who were Noron figures as well as in-laws to the royal family. This kind of a political maneuver was facing an arena which was filled with all kind of peopl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friendship, kinship and clans, academic partnership, and political sharing of fates. In order to navigate through all them, he had to develop and nurture new political factions through which he could exact his own leadership. Yet Jeongjo died in June that year, and when Queen Jeongsun began to oversee the government, changes continued. In the first year of King Sunjo’s reign, the Byeok-pa sect engineered a purge, and expelled the Southerner members claiming they embraced Western (Christian, 西學) studies in the “Shin’yu-year purge(‘辛酉迫害’),” and drove out the Pungsan Hong House (an in-law house, aligned with the Noron party) as well as Eun’e...

      • KCI등재

        순조 궁중연희 내연 무대의 朱簾, 甲帳에 관한 연구 -修理·排設 부분을 중심으로-

        석진영,한동수 한국건축역사학회 2017 건축역사연구 Vol.26 No.6

        Royal banquets under the reign of King Sunjo saw developments in the playacting stage, which exhibited characteristics unique to the transitionary period between Jeongjo and Gojong this period established the framework of the Joseon Dynasty’s playacting stage construction. Starting with the Jagyeongjeon-Hall banquet and continuing into the Year of the Golden Rat banquet, the next-day banquet by the Crown Prince demonstrates a renewed format, with the stage also changing accordingly. This change was substantiated by more assertive use of the Red Blind and gabjang. Previously, the Red Blind has been installed in the palace hall and around the royal courtyard, to form three sides, but as next-day banquets became more frequent under Sunjo, the Red Blind developed and came to be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hierarchy within the royal family. In the Year of the Golden Rat banquet, the Red Blind was lifted and the throne of the crown prince was situated in the palace hall. In the banquet of the following year, however, the Red Blind was let down and the crown prince’s throne was placed outside, in palace court yard. This seems to have been a gesture to reorient the crown prince’s political standing and restore Sunjo’s sovereignty the following year. Hence, the installation of the Red Blind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royal hierarchy and ranks under Sunjo’s reign. The gabjang provided the second layer of protection for the playacting stage. The hongjeongju gabjang surrounded the stage in multiple layers and served as a partition. The gabjang from the Year of the Golden Bull banquet, in particular, boasted a unique installation, where it dangled from both sides of the royal palace’s facade. Hongjeongju gabjang, lapis lazuli gabjang, red gabjang, and yellow curtains were installed in the stated order to reflect Sunjo’s 40th birthday as well as the 30-year anniversary of his coronation. The Red Blind and gabjang from Sunjo’s years were positioned in creative ways to reinstate the royal authority, and demonstrated many improvements from those of Jeongjo’s reign. 조선시대 왕실은 연희를 설행하였다. 궁중연희는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 대비들을 위로하고 장수를 기원하는 목적으로 많이 설행되었다. 내연 무대는 補階 위에 朱簾과 甲帳의 가설시설을 배설하였다. 이는 차면 기능을 수반하며 왕실과 왕가의 권위를 나타냈다. 순조 시기 궁중연희는 조선후기 내연 무대가 발전하는 시기로, 정조 시기와 고종 시기의 과도기적 양상을 보이며, 내연 무대의 기틀을 확립하는 시기이다. 이는 효명세자의 대리청정기에 연속으로 설행된 연희를 통해 확인된다. 慈慶殿進爵을 기점으로 戊子進爵에서는 王世子翌日會酌의 새로운 양상이 출현하였고, 이에 따른 무대의 형식도 갖추게 된다. 가설시설 가운데 가벽 기능의 주렴과 갑장이 연희 무대에 적극적으로 배설되며 변화, 발전하는 단계이다. 朱簾은 일차적인 차면 기능을 하며 왕실의 여성을 상징한다. 이전 시기의 연희에는 주렴을 殿閣에 걸고, 殿庭에는 주렴을 삼면으로 둘러 배설하는 형식이었다. 순조 시기 주렴은 익일회작의 연희 설행일 증가로 왕실의 위계에 따라 발전하였다. 무자진작 익일회작에서 주렴은 捲簾되어 왕세자의 좌를 전내에 배설하지만, 己丑進饌의 익일회작은 전내의 주렴을 降簾하고 왕세자의 좌를 전정에 배설한다. 이는 무자진작으로 왕세자의 정치적 위치를 정립하고, 기축진찬으로 순조의 왕권 회복을 위한 기획으로 판단된다. 즉, 순조 시기 주렴은 궁중연희 내연 무대에서 위계와 위차를 구분하며 발전하였다. 甲帳은 이차적인 차면 기능을 갖는 가설구조이다. 특히, 연희 무대에 겹으로 둘러 가벽으로 설치되었던 紅鼎紬甲帳은 기축진찬에서는 전각의 전면에 兩開드리개 형식으로 배설되며, 설치 위치에서 독특한 형식으로 나타난다. 순조 시기 홍정주갑장은 순조의 사순과 어극 30주년인 왕의 위엄을 상징하며, 위계에 따라 홍정주갑장, 아청목갑장, 홍주갑장, 황목휘장, 백목장 순으로 위치에 따라 배설되었다. 순조 시기 궁중연희 내연 무대에서 주렴과 갑장은 왕실의 권한을 강화하고 기득권 세력에 대응하기 위해 창의적으로 배설되고, 진작의궤의 수리와 배설에 구체적으로 기록되며 정조 시기보다 발전된 양상을 보인다. 또한, 이후 설행되는 궁중연희에서 내연 무대의 규모 확대, 공간 확장에 따라 배설된 주렴과 갑장의 수리·배설에 영향을 주었다.

      • KCI등재

        순조대 경연의 운영과 그 정치적 의미 - 召對·別講을 중심으로

        황유나 조선시대사학회 2022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0

        Gyeongyeon (經筵) system was composed of Beopgang (法講, the lectures on law) and Yangdae (兩對, two meetings). The previous kings had put Beopgang at the center of this system, while King Sunjo mainly made use of Yangdae, which consisted of Sodae (召對, Nonscheduled Meeting) and Yadae (夜對, Night Meeting), and Byeolgang (別講, Special Lecture). Byeolgang is a royal tutoring system that extended and improved Sodae and was developed in 1811 (11th year of Sunjo). Sodae and Byeolgang could be convened and conducted at any time he wished to. Also, he could summon any bureaucrat, no matter whether the bureaucrat was an official counselor or not. Accordingly, Sodae could work as a place where King Sunjo accepted more extensive political opinions and had a chance to examine whether a bureaucrat would fit in a certain governmental position. Through Sodae, King Sunjo evaluated the participants’ competency in order to extend his pool of talents. Moreover, he had the participants give lectures on Kukjobogam (國朝寶鑑), which explained the great achievements of the previous kings, in order to tackle the abuses of government and create a plan for his administration. All these steps were intended to inherit the Tangpyeong (蕩平) politics of King Youngjo and King Jeongjo. In 1817 (17th year of Sunjo), the death of Park Jongkyeong from Bannam Park Clan changed the political terrain where Kim Josun from Andong Kim Clan began to consolidate the hegemony. Hence, King Sunjo sought a role as a mediator to set a balance of power between the Sedo families by means of Sodae and Byeolgang. He had the bureaucrats, whom he had selected through Sodae, participate in the lectures in the same ways as before. Additionally, he unexpectedly summoned the young bureaucrats from Gyeonghwasajok (京華士族), whom he expected to form a future power group comparable to Andong Kim Clan, and had them give a lecture in the presence of the King. King Sunjo selected topics from the lecture literature which was chosen on a daily basis from the books edited and compiled by King Jeongjo. Because King Jeongjo envisaged a king(君) as a teacher(師), these selections implied King Sunjo’s political aim to reinforce his authority as a king. In addition, the state affairs were often discussed and resolved in Sodae and Byeolgang; convened several times a day, their importance in governmental decision-making increased. 경연제도는 朝講․晝講․夕講의 法講과 召對․夜對의 兩對로 구성되어 국왕이 신료들과 經史의 학문적 토론과 정치적 사안에 대한 논의를 수행한 교육과 정치의 장이었다. 조선시대 국왕들은 법강을 중심으로 경연을 실시하였는데 그와 달리 순조는 소대, 또 새롭게 제도화한 별강을 중심으로 경연을 운영했다. 소대와 별강은 제도의 시행이 온전히 국왕의 의사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므로 국왕의 통치 의지, 통치 행위의 수준이나 상태를 단적으로 파악하는 척도로 활용할 수 있다. 순조의 경연 운영은 시기에 따라 활용 방식의 차이가 상당했다. 1804년 친정을 시작한 이후 1812년까지 순조가 보여준 경연 운영은 유교적 통치이념에서 강조하는 이상적인 운영상에 부합하는 방식이었다. 국왕은 정무를 보지 않는 시간에도 수시로 近侍를 불러 질문하고 논쟁하여[發問論難] 신료와 자신의 정견을 확인하고 그를 국정운영에 반영하였다. 특히 소대와 야대를 주로 활용하여 국왕과 신료 간의 거리를 좁혔고 그 과정에서 개별 신료의 성향을 파악하고 발탁하여 정치적 성장을 보조하기도 했다. 탕평의 기치를 명시적으로 내세우지는 않았으나 간헐적으로 내비치는 계술의 의지와 구체적 행위로 볼 때, 탕평을 내세웠던 선왕의 뜻과 통치를 이어 국정을 주도적으로 운영하는 데 순조의 본의가 있었을 것이라 짐작할 수 있다. 1813년부터 효명세자가 대리청정하기 전인 1826년까지의 경연 운영은 조선 후기 경연 운영의 맥락에서 찾아볼 수 없는 양상이었다. 순조는 특히 1818년부터 소대와 별강을 활용하여 하루에 여러 차례 조정 내 신료들과 대면하면서 권력의 누수를 막고 국왕을 보좌하는 신료의 역할을 강조하고자 했다. 이는 정치권력이 김조순의 노론 북당을 중심으로 한 세력에 편중되는 상황에서, 흔들리는 통치 기조를 정비하고 권력 구도의 변화를 연착륙시키기 위한 대응으로서 의미를 가진 것이었다. 다만 당시의 소대와 별강 운영에서 경연제도가 본래 가진 修己적 성격과 군신 간 논의의 장으로서의 성격은 크게 약화되었다. 이 점 때문에 후반기 소대와 별강의 운영은 공허한 것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럼에도 순조는 1821년 초까지 1,100회가 넘는 소대와 별강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였다. 순조는 소대와 별강에서 수시로 公事를 처리해 機務가 적체되지 않도록 하고, 당대 주요 벌열 가문의 자제를 불러들여 忠良한 신료의 역할을 강조하고 기강을 확립하려는 한편 정치권력의 핵심에서 소외된 정파의 인사들을 소대와 별강에 꾸준히 참여하게 하여 신료가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국왕에 진달하는 창구로 삼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