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수이성비판』의 두 가지 규제적 원리 - 이성의 원리와 판단력의 원리 -

        홍우람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3 철학논집 Vol.72 No.-

        Kant’s arguments for the regulative principles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seem inconsistent in two aspects. On the one hand, the inconsistency appears between the two appendices of the Dialectic, as each presents different kinds of principles as regulative principles of reason. On the other hand, it is observed betwee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and the Critique of the Power of Judgment because the same regulative principles are ascribed to reason in the first Critique, but to the power of judgment in the third Critique. In this paper we argue that this problem of inconsistency is only superficial and does not pose a serious problem to Kant's position on the regulative principle, either internally or externally,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To this end, we first briefly outline the problem we are dealing with, and then, in Chapter II, we gener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derstanding, reason, and the power of judgment. Here, we claim that reason, together with the understanding, constitutes the higher cognitive faculties which is ‘the capacity(Vermögen) to judge’, and if understood in a broad sense, this 'capacity to judge' encompasses the power of judgment which is the power(Kraft) to actualize it. In chapter III, we examine the logical function of reason and the origin of transcendental ideas, and confirm how reason, understood as 'the capacity to judge' in a broad sense, encompasses the function of the power of judgment. Through this, we first argue that the regulative principles, not only of the second appendix, but also of the first appendix, can be legitimately attributed to reason insofar as it is broadly understood as such a capacity to judge. Furthermore, we show that what led Kant to ascribe the regulative principles of the first appendix to the power of judgment in the third Critique was not a fundamental change or revision of his position, but rather a focal change of his discussion of the regulative principles. Finally, Chapter IV concludes by briefly confirming that the two kinds of regulative principles presented in the two appendices of the Dialectic are mutually dependent as principles belonging together to reason. 『순수이성비판』에서 규제적 원리에 대한 칸트의 주장은 이중적인 측면에서 비일관적인 것처럼 보인다. 우선 변증론의 두 부록들이 각각 다른 종류의 원리들을 이성의 규제적 원리들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두 부록들 사이의 비일관성이 나타난다. 또한 동일한 규제적 원리들이 『순수이성비판』에서는 이성의 원리로 규정되는 데에 반해서 『판단력비판』에서는 판단력의 원리로 규정된다는 점에서, 『순수이성비판』과 『판단력비판』 사이의 비일관성이 나타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이런 비일관성의 문제가 단지 표면적일 뿐이며, 『순수이성비판』 내적으로나 외적으로나, 규제적 원리에 대한 칸트의 입장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고 논증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우선 우리가 다룰 문제를 간략히 개관한 다음, II장에서 지성과 이성 그리고 판단력의 관계를 일반적으로 규명한다. 여기서 우리는 지성과 더불어 이성은 ‘판단하는 능력(Vermögen)’인 상위의 인식 능력을 구성하며, 넓은 의미로 이해될 경우 이 ‘판단하는 능력’은 판단을 실행하는 힘(Kraft)인 판단력을 포괄한다고 주장한다. 이어지는 III장은 이성의 논리적 기능과 선험적 이념들의 유래를 검토하고, 넓은 의미의 ‘판단하는 능력’으로 이해되는 이성이 어떻게 판단력의 기능을 포괄하는지 확인한다. 이를 통해 우선 우리는 둘째 부록의 규제적 원리들 뿐만 아니라 첫째 부록의 규제적 원리들도 넓은 의미의 ‘판단하는 능력’인 이성의 원리들로 정당하게 규정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나아가 우리는 첫째 부록의 규제적 원리들을 『판단력비판』에서 판단력의 원리들로 규정한 것은 근본적인 칸트 입장의 변화나 수정에서 비롯한 것이 아닌 규제적 원리에 대한 칸트 논의의 초점 변화에서 비롯한 것임을 보인다. 마지막 IV장은 변증론의 두 부록들에서 제시된 두 종류의 규제적 원리들이 모두 이성에 속하는 원리로서 상호 의존적임을 간략히 확인한다.

      • KCI등재

        『실천이성비판』의 성립 문제

        오창환 ( Oh Chang Hwan ) 한국칸트학회 2022 칸트연구 Vol.49 No.-

        『실천이성비판』은 칸트가 전혀 저술을 의도하지 않았다가 급조된 저작이다. 처음 순수이성비판 에서 칸트는 이 저작으로 하나의 유일한 이성 비판을 의도하였기 때문에 실천이성비판이 따로 있을 필요가 없다고 선언했다. 『도덕형이상학 정초』에서도 ‘순수 실천이성비판’은 사변이성비판만큼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거듭 진술되었다. 우리는 먼저 칸트 자신의 실천이성비판 불필요성 테제를 검토한다. 다음으로 그가 저러한 최초의 생각을 바꿔 다시 독립된 저작으로 실천이성비판을 저술하기로 변심한 이유들과 저작의 고유한 목표를 탐구한다. 『실천이성비판』은 순수 실천이성의 확립, 경험적으로 조건지어진 이성의 월권 비판, 순수 실천이성의 변증성 해소, 사변이성과 실천이성의 통일 등의 주제를 통해 독립된 저작으로서 새롭고도 고유한 위상을 드러내며, 이런 점에서 칸트 사유의 발전사적 진보가 확인될 수 있다.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seems to be an improvised work that Kant did not intend to write at all.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Kant declared that there was no need for a separat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since he had intended the critique of only one and the same reason through this work. Even in the Groundwork for the Metaphysics of Morals, he repeatedly stated that the ‘critique of pure practical reason’ is not as necessary as the critique of speculative reason. We will first examine Kant’s own thesis of the unnecessity of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Next, we will explore the reasons why he changed his initial idea and resolved to write a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as an independent work.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is revealed to have a new and unique status as an independent work through them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the pure practical reason, the critique of the empirically conditioned reason’s arrogation, resolving the dialectic of the pure practical reason, and the unity of speculative and practical reasons. In this respect, Kant’s philosophical development during the 1780s can be traced and understood.

      • KCI등재

        ⌈순수이성비판⌋에서 칸트의 신(神) 이념

        홍우람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논집 Vol.37 No.-

        ⌈순수이성비판⌋에서 칸트는 신 이념을 비롯한 이성의 초월적 이념들이 경험적 인식들에 대해 체계적 통일성을 부여하는 규제적 기능을 수행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순수이성비판⌋에서 신 이념은 이러한 규제적 기능 이외에 또하나의 특별한 기능, 즉 신학과 관련된 소극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신이념이 가지는 이 소극적인 신학적 기능을 해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다음과 같이 논의한다. 첫째, 신 이념을 포함한 세 가지 초월적 이념들은 원리들의 능력이라는 이성의 본성으로부터 필연적으로 유래하는 순수 이성의 개념들이며, 각각의 초월적 이념들은 이성의 본성이 발현되는 세 가지 이성추리의 형식들, 즉 정언, 가언 그리고 선언 추리의 형식에 뿌리를 두고 있다. 둘째, 선언적 이성추리의 형식에 뿌리는 두고 있는 신 이념은 ‘사고될 수 있는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최고 조건’인 ‘최고 실재 존재자’에 대한 개념으로 이해된다. 마지막으로, 신 이념은 객관적 실재성을 지니지 못하는 ‘문제성 있는’ 개념이기 때문에, ‘최고 실재 존재자’에 대한 개념으로서 신 이념은 그 자체로 우리에게 신에 대한 아무런 규정적 인식도 제공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 이념은, 이성의 본성으로부터 필연적으로 유래하는 유일한 개념이자 ‘오류에서 자유로운’ 개념인 한에서, 다른 모든 가능한 신학적 주장들이 반드시 그에 합치해야만 하는 ‘검열’ 기준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신 이념은 스스로 신학적 인식을 제공하는 원천으로서 신학을 위해 적극적으로 기능하지는 못하지만, 다른 원천으로부터 주어지는 모든 가능한 신학적 주장들을 검열하는 기준으로서 신학을 위해 소극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칸트 『순수이성비판』의 과제와 ‘초월적 관념론’의 근본 질문

        김재호(Kim, Jaeho)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8 동서인문 Vol.0 No.9

        칸트철학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실마리가 있다면, 그것은 ‘초월적 관념론’이다. ‘초월적 관념론’은 칸트철학의 체계를 완성하는 중심 개념이다. ‘초월적 관념론’은 칸트철학의 다양한 철학적 주제들이 하나의 체계에서 요소나 계기로 작용하여 완전성을 가질 수 있게 해준다. 본 논문은 먼저 칸트가 어떤 문제의식으로 인해 ‘초월적 관념론’의 체계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1772년 헤르츠(M. Herz)에게 보낸 편지에서 칸트는 처음으로 비판철학의 근본 질문을 던진다. ‘우리 안의 표상이라 부르는 것이 [그것의] 대상과 맺는 관계는 무엇에 근거하는가?’ 순수이성비판 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위해 기획되었다. 칸트는 순수이성비판 에서 ‘초월적’이라는 용어의 정의를 통해, 또한 “어떻게 선험적 종합판단이 가능한가?”라는 새로운 질문을 통해 1772년 편지에서 다룬 근본 질문을 다시 묻고 있다. 결국 1772년의 근본 질문, 순수이성비판 에 제기된 ‘선험적 종합판단의 가능성’에 관한 물음, ‘초월적’의 의미, 이 세 가지는 하나의 동일한 문제의식에 대한 다른 표현일 뿐이다. 그리고 칸트가 발견한 이 문제의 해결책은 대상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대상을 산출하는 인식주체의 자발성에 있었다. 이것이 순수이성비판 에서 칸트가 말하는 ‘코페르니쿠스적 전회’이다. ‘Transcendental Idealism’ is a core key to understanding Kant’s philosophy if not the most crucial. ‘Transcendental Idealism’ is the conceptual cornerstone of the philosophical system of Kant as it allows various philosophical themes of his philosophy to function as elements or instruments in one system and to form a whole. This paper sheds light on how and why Kant founded his theory of transcendental idealism In a letter to Marcus Herz in 1772, Kant poses for the first time the fundamental question of Critical Philosophy: “What is the ground for the relation of that in us which we call representation to its object?” The Critique of Pure Reason was designed to answer this question. In his definition of ‘transcendental’, Kant poses again the fundamental question of the 1772 letter through a new question: “how is synthetic a priori judgments possible?”. Indeed, the fundamental question of 1772, the question of the possibility of synthetic a priori judgments raised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and the meaning of ‘transcendental’ are only three different expressions of the same problematics. The answer Kant proposes to this problem does not lie in the object but in the act of spontaneity of the conscious subject, from which the object is derived. This is precisely what Kant calls the “Copernican Revolution”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 KCI등재

        칸트의 ⌈도덕형이상학 정초⌉ 3장에서의 연역 구조

        김한라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3 철학논집 Vol.34 No.-

        이 논문은 칸트가 연역을 통해 수행한 도덕법칙에 대한 옹호(vindication)를 정교화하고, 그것의 장단점을 논의한다. 확실히 칸트가 보여주고자 한 것은 인간처럼 감성적이면서 이성적인 존재자들이 도덕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는 것, 그러한 존재자로서 정언명령에 종속된다는 것이다. 직접적으로 명백하지 않은 것은 이러한 정당화의 정확한 본성이다. 최고 도덕 원리에는 어떠한 종류의 정당화가 주어질 수 있는가? 도덕법칙에 대한 우리의 종속을 경험을 통해 정당화하려는 모든 시도는 결함이 있을 것이다. ?정초? 3장, 특별히 그 장의 후반부를 주의 깊게 독해해 보면, 놀랍게도 여기서 칸트의 연역이 두 단계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게 된다. 혹은 차라리 그가 연역을 두 개의 서로 다른 실천 영역들, 즉 도덕형이상학과 순수 실천이성비판에서 시도함에 따라 두 개의 연역 개념을 작동시키고 있음이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나는 이것들 각각을 “두터운” 연역 개념과 “얇은” 연역 개념이라고 부른다. 나의 분석이 옳다면, 칸트는 먼저 도덕형이상학처럼 보이는 것의 작업틀 내에서 강한 연역을 고려하고, 심각한 결함? 모종의 순환 ?을 발견한 (혹은 노출시킨) 후에, 재빨리 그것을 교정하여, 그 대신에 유의미하게 더 약한 연역을 제공한다. 순수실천이성비판으로의 이행은, 그의 초월적 관념론에 의지하여 이러한 결함을 극복하기 위해 요구된다. 그 경우 도덕성은 도덕형이상학에 의해 생각된 것과 같은 강한 정당화를 제공받을 수 없다. 순수실천이성비판에서는 오직 약한 정당화만이 실행 가능하다.

      • KCI등재

        딜타이의 칸트 인식론 비판

        양해림 한국하이데거학회 2020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56

        Wilhelm Dilthey's greatest academic work is considered to be "Texte zur Kritik der historischen Vernunft" (1877). Dilthey intended to establish criticism of historical reason as the basis of psychiatry, and it became the central system of his life-long task. In doing so, Dilthey tried to find the objective and universal ability of relative reason through his criticism of historical reason, and presented extensive data relating to the basis of psychiatry in "Einleitung in die Geistswissenschaften" (1883). In this respect, the object of Dilthey's psychology focused on human social-historical reality. In particular, Dilthey attempted to redefine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the epistemology of empirical sociology and psychiatry in England and France by analyzing Selbstbesinnung against traditional epistemologies. My perspective is that Dilthey analyzes the connection between facts of consciousness and whole elements of life through self-reflection, not only by thinking about those facts but also by considering the life of action. Accordingly, I intend to critically examine Kant's epistemology, as reflected in many of Dilthey's works including "Trial Criticism," by focusing on the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that Kant emphasizes. 빌헬름 딜타이는 자신의 학문적 최대의 과업을 「역사이성비판(Texte zur Kritik der historischen Vernunft)」(1877)을 기획하는데 있었다. 특히 그가 정신과학의 정초를 세우고자 했던 역사이성비판은 평생의 과제로 삼았던 중심체계였다. 즉, 딜타이는 역사이성비판을 통해 역사적이며 상대적인 이성이 지닌 객관적이며 보편적인 능력을 찾아내고자 했다. 그래서 그는 정신과학의 근거를 위한 광범위한 자료를 『정신과학 입문』(1883)에서 제시했다. 이런 측면에서 딜타이의 정신과학의 대상은 인간적-사회적-역사적 현실에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딜타이는 철학사와 영국과 프랑스의 실증적 사회학과 정신과학의 인식론을 재정립했다. 특히 딜타이는 전통적인 인식론과 대비하여 자기성찰(Selbstbesinnung)을 분석한다. 필자가 보기에 딜타이는 자기성찰을 통해 의식의 사실과 삶의 전체적인 요소의 연관들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이런 측면에서 딜타이는 의식의 사실에서 사유하는 것뿐만 아니라 행위 하는 삶 속에서 실천해 나간다. 따라서 필자는 칸트가 강조하고 있는 의식의 사실이라는 인식론적 관점에 주목하면서, 딜타이의 「역사이성비판기획」을 비롯한 딜타이 많은 저서에 드러난 칸트의 인식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순수이성비판』 머리말에서 형이상학에 대한 칸트 입장 ―『순수이성비판』 머리말에 등장하는 관용적 표현에 대한 의미 분석과 오역 문제를 중심으로―

        황순우 ( Soon U Hwang ) 한국헤겔학회 2014 헤겔연구 Vol.0 No.36

        본 논문은 『순수이성비판』 머리말에 있어서 형이상학에 대한 칸트의 입장을 이해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고찰의 중심은 초판 머리말에 있는 “모든 학문들의 여왕”이면서 “끝없는 분쟁들의 싸움터”로 전락한 형이상학에 대한 대상과 자격에 관한 글이다. 칸트는 형이상학의 피할 수도 없고 답할 수도 없는 “운명적인 물음들”의 대상으로부터 이성 자신의 “인식의 첫째 근거들”이라는 대상으로의 전환을 통해 형이상학을 아포리아에 빠트린 “운명적인 물음들”을 “해결”하면서 칸트 자신의 형이상학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In diesem Aufsatz geht es darum, Kants Stellungnahme zur Metaphysik durch die Betrachtung uber den Gegenstand ihrer “Schicksalsfragen” in der ersten Vorrede der Kritik der reinen Vernunft zu verstehen. Der Kern der Betrachtung ist der Text zum Gegenstand und Verdienst der Metaphysik als “die Konigin aller Wissenschaften” und “der Kampfplatz dieser endlosen Streitigkeiten.” Kant nimmt die Stellung zur Metaphysik, indem er diese Fragen, mit den sie “in die Verlegenheit gerat”, durch die Wende des Gegenstandes ihrer nicht zu vermeidenden und auch nicht zu beantwortenden “Schicksalsfragen” zum Gegenstand der “Erkenntnis der ersten Grunden” auflost.

      • KCI우수등재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에 나타난 ‘객관적 실재성’ 개념의 충돌과 창조

        홍우람(Wooram Hong) 한국철학회 2015 철학 Vol.0 No.122

        이 논문은 『순수이성비판』의 주요 개념 중 하나인 ‘객관적 실재성’ 개념의 의미를 철학사적 맥락에서 검토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객관적 실재성’이라는 전통적 개념을 칸트가 어떻게 수용하였는지 확인하는 동시에 『순수이성비판』의 체계 내에서 칸트가 ‘객관적 실재성’ 개념에 어떻게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였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철학사의 전통적인 용법에서 ‘객관적 실재성’ 개념은 ‘표상의 대상과의 관계맺음’으로 이해되지만, 이 때 대상은 주관 독립적인 실재로서의 대상이 아니라 주관내에서 지향된 대상을 의미한다. 둘째, 『순수이성비판』에서도 ‘객관적 실재성’개념은 마찬가지로 ‘표상의 대상과의 관계맺음’을 의미하지만, 전통적 용법과 달리 이 때 대상은 주관 독립적인 대상을 의미한다. 셋째, 이러한 ‘객관적 실재성’ 개념의 의미는 칸트의 경험적 실재론에 따른 것이며, 이는 칸트의 초월적 관념론의 궁극적 귀결이다. In this paper Kant’s concept of ‘objective reality’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in the first Critique is examined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Through this we try to identify, on the one hand, how Kant inherited the concept of ‘objective reality’ from the tradition, and on the other hand, how he accorded a new meaning to it in relation to the system of his first Critique. For this purpose, we claim as following. First, the traditional meaning of the term, ‘objective reality,’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reference of a representation to an object, and the object in question here is not an object which is independent of the subject, but an object which is dependent on the subject, i.e., an intentional object as represented by the subject. Secondly, while the term, ‘objective reality,’ is likewise understood in Kant’s first Critique as the reference to an object, the object in question here is an object which is independent of the representing subject. Thirdly, this new meaning of the term, ‘objective reality,’ is given from the viewpoint of Kant’s empirical realism, and all this is the ultimate result of his transcendental idealism.

      • KCI등재

        소외에 대한 비판으로서 마르크스의 지양과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이재유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통일인문학 Vol.95 No.-

        일반적으로 마르크스는 헤겔과 포이어바흐의 영향을 받았다고 알려져있다. 그런데 마르크스는 관념론자인 헤겔과 유물론자인 포이어바흐 양자모두를 가차 없이 비판한다. 그리고 인식론적 비판과 종합을 통해서 자신의유물론을 정립한다. 칸트 역시도 마찬가지이다. 합리론자(관념론)인 데카르트와 경험론자(유물론)인 흄의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이 둘을 비판·종합함으로써 자신의 철학 체계를 세운다. 마르크스의 인식론적 비판·종합은‘지양(Aufhebung)’이라는 개념으로 나타나는데, 이 지양이라는 개념이 이미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속에 그 싹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마르크스의 지양과 칸트의 순수이성 비판은 인식론적 차원을 넘어서서보다 고차적인 실천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실천활동’(Praxis)이라할 수 있다. 인간의 실천활동으로서의 양자는 세 가지 공통적인 특성을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끊임없이 새로운 보편을 생산해내는 초월론적·혁명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둘째, 동일성으로 환원되지 않는 타자의타자성, 즉 사회성을 내포하고 있다. 셋째, 인간의 역사를 자유를 위한인간 실천활동의 역사로 보는 역사성을 함축하고 있다. 이러한 공통적인세 가지 특성은 마르크스가 ‘거꾸로 서 있는 헤겔 변증법’을 바로 세운다는의미를 명확하게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