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高句麗와 宋 교섭의 의미 - 459년 사행을 중심으로 -

        백다해(Dahae, BAIK) 고구려발해학회 2020 고구려발해연구 Vol.66 No.-

        459년 고구려는 肅愼의 사신을 대동하여 송에 입조하였다. 본 글에서는 459년이라는 시점에 고구려가 숙신의 사신과 함께 송에 입조한 배경과 이유를 살펴보았다. 이는 고구려와 송, 양국 교섭이 가지는 의미를 새로운 각도에서 밝혀보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전통적으로 숙신은 聖德天子가 출현해 중원을 다스리면 그 덕에 감화되어 楛矢 · 石砮를 가지고 조공해 오는 遠夷 朝貢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런데 236년을 기점으로 한동안 보이지 않던 중원왕조에 대한 숙신의 조공이 재확인된다. 이때 숙신은 挹婁와 동일한 종족집단이다. 다만 동시에 여러 왕조가 공존하는 시대적 상황에서 숙신의 조공이 가지는 상징은 국가의 정통성 확보와 결부되어 중시되었다. 자연히 읍루를 숙신이라 여기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그리고 <광개토왕비>, 『삼국사기』에서도 숙신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고구려도 이러한 인식을 공유한 듯하다. 459년 고구려가 대동한 숙신 역시 이와 관련된 집단으로 여겨진다. 459년 고구려가 원이 조공의 상징인 숙신을 대동한 것은 송과 고구려 양측의 이해관계가 합치된 결과였다. 북벌 실패와 내란이라는 위기 상황에서 즉위한 孝武帝는 내부 질서 및 대외 위상을 회복할 필요가 있었다. 효무제는 王畿 제정, 五輅 제작, 明堂 건립을 추진하며, 建康 중심의 천하관을 수립, 자국의 대내외 질서를 회복하려 하였다. 459년은 일련의 일들이 본격화되는 때였다. 같은 해 숙신의 입조는 송의 건강 중심 천하관 정립과 무관하지 않다. 한편 숙신을 동원한 것은 고구려에게도 두 가지 효용이 있었다. 첫째, 서북방의 동요를 막는 동시에 域內 세력에 대한 영향력 재확인이다. 5세기 중반 서북방지역의 정세변화로 고구려 영향력 아래에 있던 세력의 이탈 움직임이 포착되었다. 고구려는 이들의 이탈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역내 세력에게 자국의 영향력을 강조하고자 숙신을 동원하였다. 둘째, 중원왕조 간의 긴장 관계를 활용한 외교 책략이었다는 점이다. 이질적인 왕조가 남북에 공존하는 상황에서 숙신의 조공은 각 왕조의 정통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중요한 척도였다. 당시 고구려는 숙신을 이용, 胡族이지만 중원의 진정한 지배자가 되길 갈구했던 북위를 자극하였다. 다른 한편 동아시아 내에서 고구려의 위상을 제고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Goguryeo attended the royal court of Song dynasty accompanied by the envoy of Sushen(肅愼) in 459. This article aims at understanding the Goguryeo’s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attendance at the time of 459. It is also an attempt to discover the meaning of the negotiations between Goguryeo and Song dynasty from a new perspective. Sushen traditionally considered as the symbol of tribute from outlander barbarians(遠夷), which pay Hushi(楛矢, bush clover arrow) and Shinu(石砮, stone arrowhead) as a tribute influenced by the virtue of an emperor of saint virtues(聖德天子) when he emerges and governs Zhongyuan(中原, central plain). However, the tribute of Suksin to the Zhongyuan dynasty, which was suspended for a while after 236, is reaffirmed; Sushen is the same ethnic group as Yilou(挹婁) at this point. The symbol of Sushen"s tribute was emphasized in connection with securing the legitimacy of the state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several dynasties coexist. Naturally, the perception that Yilou considered to be Sushen was widespread. Furthermore, it seems that Goguryeo shared this perception as the term “Sushen" is confirmed in Gwanggaeto Stele and Samguk sagi(三國史記,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Sushen, that Goguryeo accompanied in 459, is also considered as the group related to this perception. Goguryeo was accompanied by Sushen, the symbol of outlander barbarians’ tribute, as a result of the coincidence of interests between Song dynasty and Goguryeo in 459. Emperor Xiaowu(孝武帝), who acceded to the throne at a time of crisis of failure in northern expedition and rebellion, needed to restore internal order and external status. Emperor Xiaowu attempted to restore domestic and foreign order by establishing worldview centered on Jiankang(建康) while proceeding designation of Wanggi(王畿), production of Oro(五輅), and establishment of Myeongdang(明堂). In 459, a series of things began to start in earnest. The attendance of Sushen at the royal court i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Jiankang-centered worldview of Song dynasty. Accompanying Sushen was also effective in two ways for Goguryeo. The first is the reaffirmation of the influence on the powers inside the domains(域內) and was prevent unrest in the northwest. As is generally known, Goguryeo had its own worldview since the 5th century. However, the breakaway movement of Silla and Buyeo, which were the part of this worldview, was captured in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It is estimated that Goguryeo mobilized Sushen to emphasize the influence of the state while minimizing the aftermath of the breakaway. The second is that it was a diplomatic strategy that utilized the tension between Zhongyuan dynasties. Sushen’s tribute was an important measure of ensuring the legitimacy of each dynasty under the situation where disparate dynasties coexisting in the North and South. At that time, Goguryeo made use of Sushen to provoke Beiwei(北魏), which was Hojok(胡族) but longed to become a true ruler of the Zhongyuan; also, it was intended to be used as a mean to enhance the status of Goguryeo in East Asia.

      • KCI등재후보

        숙신·산융·동호는 (고)조선의 이칭(異稱)

        황순종(Soon-Jong Hwang) 바른역사학술원 2018 역사와융합 Vol.- No.2

        현재 중국의 만주 전역과 내몽골, 하북성 일대에서는 비파형 동검 같은 고조선의 유물이 다수 출토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고조선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않기 위해 대신 산융(山戎), 또는 동호(東胡)라는 용어 등을 사용한다. 이를 고조선의 유물로 인정하면 동북 3성과 내몽골, 하북성 일대까지 고조선의 강역이 되기 때문에 나온 고육책이다. 숙신·산융·동호에 대한 중국의 논리는 대략 숙신은 만주족(여진족)의 선조이며, 산융과 동호는 선비족의 전신이라는 것이다. 중국은 동북공정 등의 각종 공정을 통해 이들을 자국사의 범주에 넣어 분류하고 있다. 반면 한국 고대사학계는 숙신·산융·동호 등을 외국사로 보아 한국사의 범주에서 제외하고 있다. 식민사학의 계통을 그대로 잇고 있는 한국 고대사학계는 숙신·산융·동호를 고조선·부여·예맥 등 우리 민족과는 다른 별 개의 민족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반면 일제강점기 때 민족사학자와 해방 후 북한의 리지린같은 연구자들과 국내의 일부 연구자들은 숙신이나 동호를 고조선과 같은 실체로 보기도 했다. 실제로 『사기』, 『산해경』, 『일주서(逸周書)』 등 비롯한 중국의 고대 문헌들을 살펴보면 숙신·산융·동호는 고조선과 같은 세력이었음을 알 수 있다. 필자는『사기』를 비롯한 중국의 고대 문헌과 일부 선행 논거를 토대로 숙신 및 산융·동호가 고조선과 같은 실체였음을 밝혀서 한국고대사 연구의 인식과 지평을 대폭넓히고자 한다. Usually, Suksin, Sanyung and Dongho are recognized as the different nations compared with Old Chosun. However, in the old Chinese history books we can find out evidences which tell us these nations were the same as Chosu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oneness of these nations, so as to broaden the horizon of studies on the history of Old Chosun. 1. Suksin Suksin was recorded as the former nation of Uproo and known as located in North Manchuria in ‘History of Three Countries’ by Chin Su. So the scholars of East Asian countris regarded Suksin as a nation of ancient Manchurian. But Suksin was not located in Manchria and rather existed in the Sandung area, according to the records of such as ‘History’ by Su Matien and ‘History of Han’ by Ban Go. ‘Record on Sama Sangyo’ of ‘History’ shows that Suksin was located in Sandung Province on the North-East of Che. Therefore, Fu Sunien told that the old Suksin was the same as Chosun and was different from the later Uproo in Manchuria. The location of Chosun was also the same as Suksin. According to ‘Record on Mountains and Countries’, Chosun was in between China's East Sea and Bohai Sea. These areas include Sandung and Hubei Provinces and show that Chosun’s location was the same as Suksin. 2. Sanyung During the Chunchiu Period of China, Sanyung was located on the North of Che. This Sanyung is recognized as a different nation from Chosun. Sanyung and the Chinese countries of Yen and Che had wars. At the early Chunchiu Period(B.C. 707) Sanyung hit Yen and Che. 44 years later(B.C.663) Sanyung hit again Yen. At this time Che saved Yen and counter-attacked Sanyung and forwarded to Kojuk and Yungji. As seen above, Sanyung was on the North(through East) of Yen and Che. This is the same location with Chosun and Suksin as shown above. Therefore, Sanyung and Chosun were also the sama nations, 3. Dongho From the Janquo Period(B.C.403~B.C.221) the name of Sanyung disappeared, and instead Dongho existed on the North and East of Yen. This shows the previous Sanyung and later Dongho were the same nations. So it means Dongho is also an another name of Chosun. The most important proof that Dongho and Chsun were the one nation is seen in the ‘Record on Hyungno’ of ‘History’, and in the ‘Record on the Eastern Nations’ of ‘History of Three Countries’. According to the former book, Yen's general Chin Ge attacked Dongho and got the Liao area. On the other hand the later book tells that Chin Ge attacked Chosun and got the same area of Liaodung. This means that Dongho and Chosun were the same country, that is, Dongho was also an another name of calling Chosun.

      • KCI등재

        『肅愼國記』의 成書와 7세기 唐의 肅愼 소환

        권순홍(Kwon, Soon-Hong) 한국고대학회 2021 先史와 古代 Vol.- No.67

        이 글의 목적은 세 가지이다. 첫째, 『숙신국기』의 성서시기를 西晉代로 추정했던 기왕의 견해를 비판하고, 唐代설에 무게를 싣는 것이다. 西晉代설의 두 가지 근거, 『한원』 숙신전의 위략왈’ 부분은 ‘숙신국기왈’의 오류라는 추정과 『한원』의 『업중기』 인용은 『숙신국기』의 기술범위를 서진대로 한정한다는 주장을 반박하였다. 오히려 7세기에 비로소 『숙신국기』가 書名으로 등장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진서』숙신씨전은 『숙신국기』를 전재한 것이라는 기왕의 추정에 문제를 제기하고, 唐代에 여러 버전의 숙신기가 존재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逸文의 비교ㆍ검토를 통해, 『한원』에 인용된 『숙신국기』와 『태평어람』에 인용된 『숙신국기』, 『진서』가 참고했던 숙신 관련 기록 등이 각기 다른 버전의 ‘숙신기’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셋째, 숙신이 正史 외국열전과 類書 등의 편목으로 구성되고, 여러 버전의 ‘숙신기’가 존재했던 현상을 7세기 당의 숙신 소환으로 규정하는 것이다. 소환의 배경에는 중국 중심으로 국제질서를 재편하려는 당의 의도가 숨어 있었다고 설명하였다. 周代 이래 숙신의 공물로서 楛矢와 石砮는 중국 왕조의 전성기를 상징하는 지표였고, 고숙신과 숙신은 엄밀히 구분될 필요 없이, 중국 중심 국제질서의 표상으로서 소환되었다. This article has three purposes. First, this article aims at criticizing the previous view that assumed the publication time of Suksingukgi(肅愼國記) as the Western Jin(西晉) dynasty, and adding weight to the theory that assumed the publication time as Tang dynasty. This article refutes the two grounds of the West dynasty theory. One is the presumption that the “Wiryak Wal(魏略 曰)” part of the Suksinjeon in Hanwon(翰苑) is an miswriting of “Suksingukgi Wal(肅愼 國記 曰)”, and the other is the argument that the citation of Eopjunggi(鄴中記) in Hanwon limits the technical scope of the Suksingukgi to Western Jin. This article rather emphasizes that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only in the seventh century that Suksingukgi appeared as the title of the book. The second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aise a question of the previous assumption that the Suksinssijeon(肅愼氏傳) in Jinseo(晉書) was a reprint of the Suksingukgi, and to set out the possibility that several versions of the record of Suksin existed during Tang dynasty. Through comparison and review of the remaining texts, this article set out the possibility that Suksingukgi quoted in Hanwon, Suksingukgi quoted in Taepyeongeoram(太平御覽), and Suksin-related records referenced by Jinseo are different versions of the record of Suksin. The third purpose is to define the composition of Suksin as one category of the biographies of foreign countries in the authentic history books and Leishu(類書), and thesituation in which several versions of the record of Suksin existed as the recall of Suksin by Tang Dynasty during the seventh century. This article explains that Tang s intention to reorganize the international order centered on China was hidden behind the recall. Since the Tang dynasty, the tribute of the Suksin, Hosi(楛 矢, bush clover arrow) and Sungno(石砮, stone arrowhead), have been indicators of the Chinese dynasties’ prime, and Gosuksin(古肅愼) and Suksin, which do not need to be strictly separated, were recalled as symbols of the international order centered on China.

      • KCI등재

        黑龍江省 東部지역 先史文化와 肅愼

        이종수 동양고전학회 2014 東洋古典硏究 Vol.0 No.57

        문헌기록에 숙신이란 명칭이 처음 확인되는 것은 『史記』와 『春秋左氏傳』이다. 그러나 숙신이 어떤 계통의 종족이고, 언제 처음 나타났으며, 주 활동 지역이 어디이고, 어떻게 생활하였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기록은 남아 있지 않아 그 실체를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동안 숙신의 활동지역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제기되었으나, 중국의 경우 흑룡강성 동부지역을 숙신의 활동지역으로 보는 “숙신동북설”이 학계의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 다. 최근 국내에서 “숙신동북설”에 대한 비판적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문헌 비판에만 그치고 있어 일정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헌사적 연구성과를 토대로 중국측이 주장하는 숙신 활동 지역의 고고학적 자료를 분석해 봄으로써 “숙신동북설”의 문제점과 허구성을 밝혀보고자 한다. 흑룡강성 동부지역의 선사시대 유적으로는 신개류유적, 소남산유적, 앵가 령유적, 석회장유적, 진흥유적, 아포력유적 등이 있다. 이들 유적에서 생활한 선사인들은 어렵과 수렵 중심의 경제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다만 목단강유 역의 경우 어렵과 수렵 이외에도 일부 원시 농업이 행해지고 있다. 사회구 조는 남성 위주의 가부장적 씨족부락 단계에 해당되며, 복합사회 단계에는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문헌에 중국 왕조와 숙신과의 교류 관계 기사는 요 순시기와 주 무왕 시기 두 차례 보인다. 두 시기로 나누어 중원과 흑룡강지 역 유적에 보이는 문화양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양자간의 문화적 교류 가 능성은 확인되지 않는다. 이는 선사시대 흑룡강성 동부지역은 중원과 교류 할 수 있을 정도의 복합사회 단계로 발전하지 못하고, 가부장적인 씨족부락 단계에 머무르고 있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결과적으로 중국에서 주장하는 “숙신동북설”은 진수의『삼국지』저술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와 현재적 시점 에서 중화민족통일론에 입각해 만들어진 허구적 학설에 불과하다. Varied opinions have been raised on Sushen’s regional activities. These are Hwabuk drift theory, Shandong Peninsula drift theory, Liaotung Peninsula theory and the theory of Eastern Area in Heilongjiang Province. The theory of Sushen Dongbei that Sushen’s regional activities are the Eastern Area in Heilongjiang Province is widely accepted in the chinese academia. However, this paper try to criticize the theory of Sushen Dongbei on the basis of archeological data. Prehistoric monuments of the Eastern Area in Heilongjiang Province are Singaeryu remains, Sonamsan remains, Aenggaryeong remains, Seokhoejang remains, Jinheung remains and Aporyeok remains. Residential group in the Eastern Area of Heilongjiang Province lived the economic life of fishing and hunting and were involved with primitive agriculture only in partial area. Its society was patriarchal clan steps of phallocentrism. By considering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Eastern Area in Heilongjiang Province and Chinese dynasty, the aspect of cultural exchange in two areas was unascertainable. Therefore, the theory of Sushen Dongbei is a mistake in Chenshou’s 『Sanguozhi』and nothing but a theory that base on the unified theory of Zhonghua minzu and the nationalistic intention in China.

      • KCI등재

        古肅愼 인식의 변천과 3세기 읍루

        이종록 고조선단군학회 2024 고조선단군학 Vol.54 No.54

        선진문헌에 등장하는 ‘古肅愼’에 대해 중국 학계에서는 전통적으로 후대의 挹婁‧勿吉‧靺鞨 등과 계승성을 가진 것으로 이해해 왔다. 소위 ‘일원적 계통론’ 하에서 중국 동북지역의 주민들을 범주화했던 것이다. 그러나 국내 학계의 다수와 일부 중국 학계의 연구에서는 고숙신과 3세기 읍루 및 숙신과의 직접적인 연결고리는 찾기 어렵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숙신-읍루 사이의 계승관계는 3세기에 발현한 인식으로, 3세기 이후에는 숙신이 읍루의 異稱이라는 인식으로 발전하면서 후대의 물길, 말갈에게도 이어졌던 것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古肅愼의 인식 변천을 검토하면서, 3세기에 이르러 挹婁를 이들의 後身으로 대입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고숙신의 후예로 여겨진 읍루가 마지막에는 숙신과 동일시되었던 과정에 대해 검토하였다. 비록 문헌을 통한 막연한 관념에 불과했음에도 후한 말에 이르러 ‘숙신’은 중원에서 동북 방면에 위치했던 주민이라는 인식을 확립하였으며, 이는 읍루라는 집단과 대입할 수 있었던 단초를 마련했을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조위 시기 여러 정치적 고려에 의해 숙신이 읍루의 후예라는 인식이 형성되고, 이후에는 서진 정권의 성립 과정에서 ‘숙신’이 현실의 존재가 되며 후대 사서에서는 선언적으로 읍루가 숙신의 이칭이라는 관념을 서술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Chinese academic circles have traditionally understood the Old Sushen (古肅愼), as mentioned in records prior to the Qin Dynasty, to be ancestrally linked with the Yilou, Wuji, and Malgal (Mohe). This perspective has led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residents of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under the so-called "Unitary Pedigree Theory." However, many Korean scholars and some Chinese academics have expressed skepticism about the direct lineage between the Old Sushen and other ethnic groups such as Yilou in the 3rd century. The perception of a succession relationship between Sushen and Yilou emerged during the 3rd century, eventually leading to the view that Sushen was another name for Yilou, which later became associated with Wuji and Malgal.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nges in perception reflected in ancient literature and the process by which Yilou in the 3rd century came to be defined as a successor to the Old Sushen. It also examines how Yilou eventually came to be regarded as another name for Sushen. Although initially vague in the literature, 'Sushen' was recognized as a term for resident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China by the end of the Later Han Dynasty. Due to various political considerations during the Cao Wei period, the perception that Sushen was a predecessor of Yilou began to take shape. Later, during the early Western Jin period, Sushen emerged as a recognized polity, and subsequent historical records explicitly identified Yilou as another name for Sushen.

      • KCI등재

        이미다졸계 이온성액체와 염을 포함한 수상이성분계를 이용한 숙신산의 추출 평형

        이용화,강정원,홍연기,김기섭 한국청정기술학회 2014 청정기술 Vol.20 No.4

        Succinic acid is an important precursor in industries producing biopolymers, pharmaceutical and food additives andgreen solvents. However, due to the high price of petroleum and the global CO2 emission, the biological production of succinic acidfrom renewable biomass is a novel process due to the fixation of CO2 into succinate during fermentation. In this study, aqueoustwo phase systems based on imidazolium ionic liquids/K2HPO4 were used as an effective separation and concentration process forsuccinic aci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aqueous two phase systems can be formed by adding appropriate amount ofimidazolium ionic liquids to aqueous K2HPO4 solutions in the presence of succinic acid. It can be found that the ability ofimidazolium ionic liquids for phase separation followed the order [HMIm][Br]≒[OMIm][Br]>[BMIm][Br]>[EMIm][Br]. Themaximum value of extraction efficiency for succinic acid was about 90% and the amount of coextracted water into top phase isproportional to the chain length of cation in imidazolium ionic liquids. It was concluded that the aqueous two phase systemscomposed of imidazolium ionic liquids/K2HPO4 was effective for the selective extraction and concentration of succinic acid. 숙신산은 의약품, 식품 첨가물, 청정용매와 같은 종래의 응용 이외에도 생분해성 고분자의 중요한 전구물질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최근 화석 연료의 높은 가격과 화석 원료 유래 제품의 전주기에 걸친 온실가스 배출로 인해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에 의한 숙신산의 생물학적 생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숙신산의 선택적인 추출과 농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공정으로서 이미다졸계 이온성 액체/K2HPO4에 의한 수상이성분계를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숙신산에 존재하는 K2HPO4 수용액에 적정량의 이미다졸계 이온성 액체가 첨가됨에 따라 안정한 수상이성분계가 형성됨을 확인할 수있었으며 수상이성분계 형성 능력은 [HMIm][Br]≒[OMIm][Br]>[BMIm][Br]>[EMImBr]의 순서로 나타났다. 숙신산의 최대추출 효율은 약 90%였으며 이온성 액체에서 양이온 사슬길이가 증가할수록 상부상으로 동반 추출되는 물의 양이 줄어들어숙신산의 선택적 농축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이미다졸계 이온성 액체와 K2HPO4으로 구성된 수상이성분계는 숙신산의 선택적 추출과 농축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Amberlite IR-120를 사용한 숙신산의 화학적 전환과 촉매의 재 사용성

        이병욱,김황민,김영운,김영준,Lee, Byong-Wook,Kim, Hwang-Min,Kim, Young-Wun,Kim, Yeong-Joon 대한화학회 2011 대한화학회지 Vol.55 No.6

        숙신산을 시작물질로 Amberlite IR-120을 이용하여 다이옥틸숙시네이트와 무수숙신산을 합성했다. 양이온 교환 수지를 촉매로 사용했을 때, 숙신산과 옥탄올을 이용한 다이옥틸숙시네이트의 합성은 환류조건에서 18시간의 반응 시간이 요구되었고, 무수숙신산의 합성도 숙신산, Amberlite IR-120, isopropenyl acetate의 존재하에 반응을 진행하였을 때, 18 시간이상의 긴 반응 시간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마이크로파를 이용하게 되면 반응시간은 10분 이내로 획기적으로 줄어 들었다. 80% 이상의 높은 수득률을 유지하는 상태로 촉매는 최소 4회 이상 재사용 할 수 있었다. Dioctyl succinates and succinic anhydride were synthesized from succinic acid in the presence of a cation exchange resin, Amberlite IR-120. The synthesis of dioctyl succinate from succinic acid and octanol was perfomed in 18 h reflux condition with Amberlite IR-120 and the isolated yield of product was over 90%. For the synthesis of succinic anhydride, succinic acid was refluxed in isopropenyl acetate for 18 h with Amberlite IR-120 as a catalyst. The long reaction time was significantly reduced to less than 10 min under microwave irradiation. The catalyst was reusable at least 4 times with keeping product yield of higher than 80%.

      • KCI등재
      • KCI등재

        ‘滿洲(長白山) 主人論’ : ‘만주 및 백두산의 역사적 주체’에 대한 중국의 인식론

        윤휘탁 숭실사학회 2018 숭실사학 Vol.0 No.41

        Since the 2000s, Chinese dynasties have ruled over Mt. Baekdu, so that ‘the culture of Mt. Baekdu’ belongs to the Chinese culture. This claim is called ‘the Baekdu Mountain Cultural Theory’. In recent years, China has been paying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du Mountain and Sushen(肅愼) nation. As a result, it has been argued that the Sushen(肅愼) nation was ‘the master of Manchuria and its center, Baekdu Mountain’. According to this logic, the Sushen(肅愼) nations was formed in Baekdu Mountain as a living space, and the dynasties they built have worshiped and controlled Baekdu Mountain. In this process, the Sushen(肅愼) nations strengthened the consciousness of the homeland about Manchuria. Therefore, Chinese scholars argue the master of Manchu and its core, Baekdu Mountain is a Sushen(肅愼) nations. Furthermore, in China during the ‘12th Five-Year Plan’(2011∼2015), development strategies are being pursued to promote industry by utilizing historical culture and natural ecological resources of Mt. Baekdu. The strategy is ‘the Baekdu Mountain Culture Construction Project’. To this end, China is promoting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projects by linking Baekdu Mountain and Manchu nation(滿族). This flow can be defined as ‘Post Northeast project(東北工程)’. However, this logic ignores the historical attribution rights and ethnic sentiments of neighboring countries to Manchuria and Mt. Baekdu. And it reveals the cultural imperialist tendencies to monopolize Baekdu Mountain, or ‘Neo-Sinocentrism(新中華主義)’. 2000년대부터 중국에서는 “중국의 역대 왕조가 장백산을 관할해왔으므로 ‘長白山文化’는 中華 문화권에 속한다.”는 ‘長白山文化論’을 본격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그 결과 중국 동북 지역에서는 백두산이 뜨거운 話頭로 떠오르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백두산 담론이 숙신계 민족의 역사적 역할 및 위상 논리와 맞물리면서, 장백산문화의 귀속권 차원을 넘어 “시공간적으로 만주와 그 핵심인 장백산의 역사적 주인이 누구였느냐?”라는 지역 문화 이론으로까지 비약되고 있다. 이른바 ‘滿洲(長白山) 主人論’이 그것이다. 이것은 肅愼-勿吉-挹婁-靺鞨-女眞-滿洲族으로 이어지는 肅愼系 민족들이 장백산을 터전으로 삼아 형성되었고, 이들이 건국한 왕조들이 장백산을 숭배하고 관할해왔으며, 이 과정에서 만주에 대한 故土 의식을 강화시켰으므로, 만주와 그 핵심인 장백산의 주인은 숙신계 민족이다.”라는 주장이다. 더 나아가 ‘제12차 5개년 계획’ 기간(2011∼2015)에는 백두산의 역사 문화 및 자연 생태 자원을 동북 지역 산업 진흥의 추동력으로 삼아야 한다는 경제 논리가 부상했다. 이것의 일환으로 ‘白頭山工程’이라고 할 수 있는 ‘長白山文化建設工程’이 추진되고 있다. 이 공정과 맥을 같이 해서 중국 동북 지역에서는 백두산 및 숙신계 민족과 관련된 다양한 역사 문화 관광 사업들이 추진되면서, ‘만주(장백산) 주인론’은 실생활에서 체현되고 있다. 이제 중국 동북 지역에서는 단순히 斷代史 중심의 역사 귀속권을 논하는 ‘동북공정’의 차원을 넘어, 다양한 역사・문화・민족・경제 논리와 素材가 응축된 ‘동북공정의 새로운 패러다임’, 즉 ‘포스트(Post) 동북공정’이 펼쳐지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만주(장백산) 주인론’에서는 숙신계 민족이 만주 및 그 핵심인 장백산의 주인이라 하여, 만주 및 백두산에 대한 주변국의 역사적 귀속권이나 민족적 정서를 무시한 채 중국 특유의 ‘문화 독점주의’ 혹은 ‘문화 영토 제국주의’의 냄새를 풍기고 있다. 심지어 거기에서는 전통 시대의 중화주의로 회귀하려는 새로운 국가적 움직임, 즉 ‘新中華主義’의 성향마저 드러내고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