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의 수학적 성향, 수학불안, 수학적 자기효능감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홍애순 ( Ae Soon Ho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2

        본 연구는 수학적 성향, 수학불안, 수학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및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시 소재하고 있는 D초등학교 5, 6학년 245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적 성향과 수학성취도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다. 수학적 성향 중 특히, 태도와 흥미 요인에서 사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수학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아동들이 수용적인 태도와 수학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도록 동기부여가 필요하다. 둘째, 수학불안과 수학성취도간에는 상관이 있다. 수학불안 중 특히 교사 요인에서 부적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수학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의 원활한 지도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수학적 자기효능감과 수학성취도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다. 수학적 자기효능감 중 특히 자신감 요인에서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수학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아동들에게 자신감을 상실하지 않도록 긍정적 지도가 필요하다. 넷째, 수학적 성향과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태도 요인이 수학성취도를 가장 잘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것을 바탕으로 아동들의 수학성취도 향상을 위해 긍정적 태도와 의지를 갖도록 학습 방법의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수학불안과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 태도와 교사 요인이 수학성취도를 가장 잘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습자 태도 요인이 더 높은 영향을 미치므로 아동들의 수학성취도 향상을 위해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로 바꿀 수 있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여섯째, 수학적 자기효능감과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자신감 요인이 수학성취도를 가장 잘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것을 바탕으로 아동들에게 자신감을 상실하지 않도록 다양한 동기부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on effects and relationships among, mathematical disposition,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The followings represent research ques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245 students of intermediate class from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are contacted for this study to derive the result out of the question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are positively correlated to each other. Factors, attitudes and interests especially have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m, children need to be guided in more motivation and positive attitude in order to improve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Second, total mathematical disposition are fragmentary negatively correlated to each other. Teacher factors especially have the highest negative correlation among them, children need to be guided in more permissive and positive methods in order to improve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Third, mathematics self-efficacy are positively correlated to each other. Confidence factors especially have the highest negative correlation among them, children need to be required for positive education to them, and have the confidence of their own. Fourth, learner`s attitude factors indicate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relative impacts of mathematical disposition to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Therefore, a variety of ways to improve learning method are required to have positive attitudes and beliefs in order to promote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better. The fifth, learner`s attitude and teacher factors indicate mathematics anxie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relative impacts of mathematical anxiety to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Especially, learner`s attitude factors have the highest correlation among them, children need to be guided in more positive attitude and conversion of thought in order to improve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Lastly, learner`s confidence factors indicate mathematics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relative impacts of mathematical self-efficacy to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Therefore, a variety of ways to improve learning method are required to have motivation and positive self confidence.

      • KCI등재

        광역지방자치단체 내에서 성취도평가 수학성적과 수능 수리영역 성적의 변화 추이 및 경향

        서보억,오광식,김혜경,Suh, Bo-Euk,Oh, Kwang-Sik,Kim, Hye-Kyung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1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2 No.2

        This study is about research into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an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in 5 metropolitan cities and analysis of the result. The objects of study are the materials of mathematics grade of NAEA from 2003 to 2009 and mathematics items of CSAT from 1994 to 2010.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followings. First, the trends of mathematics score of NAEA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s analyzed according to gender, establishment type and the type of school. Second, the trends of CSAT is analyzed according to gender and line (cultural science line or natural science line). Also the trends of application number for cultural science line and natural science line. Third, the trends of the achievement test score of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first grade in high school and the CSAT score in third grade in high school for the same group is considered. 수능 자료 및 학업성취도평가 자료가 2010년 제한된 연구자에게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처음으로 공개된 수능 자료 및 학업성취도평가 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5개 대도시 학생들의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및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학 성적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성적처리가 완료된 2003년~2009년의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수학성적 자료, 1995학년도~201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성적 자료이며,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성취도평가의 수학성적의 변화 추이를 성별, 설립유형별, 학교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둘째, 고등학교 수능시험 성적의 변화 추이를 성별 및 계열별로 분석하고, 인문계열 (수리'나'형), 자연계열 (수리'가'형)의 응시인원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셋째, 동일한 집단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 성취도평가, 고등학교 3학년 수능성적의 변화추이를 고찰하였다.

      • KCI등재

        입시전형별 이공계 신입생의 대학수학 성취도 비교 분석 -2012년 M 대학교 이공계 신입생을 중심으로-

        이헌수 ( Heon Soo Lee ),김영철 ( Young Cheol Kim ),박영용 ( Yeong Yong Park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3 수학교육논문집 Vol.27 No.4

        최근 대학에 진학하는 이공계 신입생들의 상당수가 정상적인 전공과목이수가 어려울 만큼 수학과목에 대한 기초수학능력이 심각한 수준으로 저하되어 기초수학능력 및 대학 수학과목의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12학년도 M대학교 이공계열 신입생 666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이공계 신입생의모집전형별 고교내신등급, 대학 성취도와 대학수학 성취도 사이의 관계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교내신등급이 상대적으로 좋은 수시모집 학생들보다 고교내신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정시모집학생들의 대학 1학년 성취도와 대학수학 성취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대학수학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의 대학 1학년성취도가 높았다. 둘째, 이공계열 전체 뿐만 아니라 각 모집전형별 이공계 신입생들의 대학 1학기 성적이 대학 2학기성적에 매우 강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초학력보충교육 통과자들과 미통과자들의 기초보충교육 성적과 대학 1학기와 대학수학 1의 성취도 사이의 상관계수가 대학 2학기와 대학수학 2의 성취도 사이의 상관계수보다높게 나타나 기초보충학습이 2학기 성취도 보다 1학기 성취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freshmen`s achievements on general mathematics their GPA based on ``basic mathematics diagonal test score`` among college entrance types in natural science or engineering. Also, we studied the achievements of students who were not passed the ``Basic Mathematics Diagonal Test (BMDT)`` and had to take supplementary lessons to improve their mathematics abilities four times a week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academic year 2012 in Mokpo National University. We found the followings; first, freshmen were accepted by the university through the regular admission have a higher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compared other type admission. Second, freshmen`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irst semester has significant meaningful effec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the second semester. Finally, there are correlations between achievements of general mathematics and a curriculum of freshmen who were passed test after taking supplementary lessons.

      • KCI등재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수학수업의 복합적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김용석(Kim, Yongs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며, 요인들은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수학 학업성취도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성장을 예측하고 분석할 수 있는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의 2014년도(중학교 2학년)부터 2017년(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학생에 대한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의 다양한 종단적인 변화양상과 수학수업(태도, 분위기, 만족도)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에 대해 연구한 김용석(2020b)의 후속연구로서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양상이 유사한 그룹에 대해 그룹별 수학수업 분위기, 만족도의 종단적인 변화가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력과 그 경로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1그룹(1456명, 68.3%)과 2그룹(677명, 31.7%)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수학수업 태도는 수학수업 분위기와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수업 분위기와 만족도는 수학수업 태도를 매개로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나타났다. 그리고 수학수업 분위기와 만족도가 수학수업 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력과 그 경로는 그룹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 There are many factors that influence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since the factors constantly change and have a complex effect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longitudinal studies to predict and analyze their growth are needed. This study used longitudinal data on students from 2014 (2nd year of middle school) to 2017 (2nd year of high school)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bal Study. In addition, this is a follow-up study by Kim(2020b), who studied various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direct influence of mathematics classes on mathematics achievement. For groups with similar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and paths of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class atmosphere and satisfaction for each group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attitude of mathematics class that directly affect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students in group 1 (1456, 68.3%) and group 2 (677, 31.7%) is directly affected by the mood and satisfaction of mathematics class. Mathematics class atmosphere and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an indirect influence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e attitude of mathematics class. In addition,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the mood and satisfaction of mathematics class on mathematics class attitudes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eir path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group.

      • KCI등재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간의 종단적 관계

        이숙정(Lee, Sook-Jeong),김희란(Kim, Heeran),모화숙(Mo, Wha-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국어 학업성취도, 수학 학업성취도, 국어 자기효능감, 수학 자기효능감간의 종단적 관계가 어떠한지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패널 자료인 KELS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를 활용하였으며, 표집된 총 6886명 중학생들의 1학년부터 3학년까지 3차례(2005년부터 2007년) 반복측정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일 교과 내에서는 국어와 수학 교과의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간 에 정적인 상보적 인과관계로 나타났다. 즉, 동일 교과 내에서는 이전 연도의 학업성취도가 다음 연도의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전 연도의 자기효능감은 다음 연도의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교차 교과 간 에는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간에 부적인 영향 관계가 나타났지만 수학 효능감이 국어 성취도에 주는 영향은 예외적으로 정적인 영향 관계로 나타났다. 즉, 이전 연도의 국어 학업성취도는 다음 연도의 수학 자기효능감에 부적인 영향을, 이전 연도의 국어 자기효능감은 다음 연도의 수학 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이전 연도의 수학 성취도는 다음 연도의 국어 자아효능감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관계로 나타났지만 이전 연도의 수학 자아효능감은 다음 연도의 국어 성취도에 정적인 영향 관계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and Math achievement and Korean and Math self-efficacy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nalysis. For the purpose, this study used KELS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at includes 6886 middle school students whose Korean and Math scores and self-efficacy variables were measured 3 times repeatedly in each year. As a result, we found the followings: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was mutually influenced each other, i.e., mutual positive relationship within the same discipline. Whereas, over the whol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mutually negative influenced each other, I. e., mutual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discipline. However, Math self-efficacy on Korean achievement was positively influence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학생들이 인식한 교사의 특성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김용석 ( Kim Yongseok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논문집 Vol.35 No.1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특성은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성장을 예측·분석할 수 있는 종단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의 중학교 1학년(2013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2017년)까지의 중·고등학교 학생자료를 사용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양상이 유사한 하위 그룹으로 분류하여 학생들이 인식한 교사의 특성(전문성, 기대감, 학업적 피드백)이 수학 학업성취의 종단적인 변화양상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수학 학업성취도가 상위인 1그룹(343명, 14.5%) 수학교사의 특성(전문성과, 기대감, 학업적 피드백)은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중위의 3그룹(745명, 32.2%)은 수학교사의 학업적 피드백, 하위 53%의 2그룹(1225명)은 수학교사의 기대감이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생들의 특성과 성향에 따라서도 교사의 전문성과, 기대감, 학업적 피드백이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다르므로 교수·학습의 지원도 이러한 점을 반영해야함을 시사해준다.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that affect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re constantly changing and affecting mathematics achievement, longitudinal studies that can predict and analyze growth are needed. This study used data from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2013(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2017(second year of high school)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bal Study(SELS). By classifying the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into similar subgroups, the direct influence of teachers' characteristics(professionalism, expectations, academic feedback) perceived by students on the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was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teachers(professional performance, expectation, and academic feedback) in group 1(343 students), which included the top 14.5% of students, did not directly affect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in the middle 2nd group(745, 32.2%) had academic feedback from the mathematics teacher, and the 2nd group(1225 students) in the lower 53%, which included most of the students, showed that the expectations of the mathematics teacher were the longitudinal mathematics achievement. The change has been shown to have a direct effect. This suggests that support for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also reflect this, as the direct influence of teachers' professionalism, expectations, and academic feedback on longitudinal changes i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dispositions of students.

      • KCI등재

        수학 성취와 흥미에 영향을 주는 변인의 성취 집단별 차이

        상경아,최지선 한국학교수학회 2019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성취 수준에 따라 수학 성취와 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TIMSS 2015에 참여한 4학년, 8학년 학생들을 각각 성취도 상위 집단(우수수준 이상)과 하위 집단(보통수준 이하)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고, 집단별로 교육맥락변인이 수학 성취와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선형모형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도 상위 집단의 경우에 수학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흥미에 영향을 미치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그 중 도서 보유량과 학생의 수학 수업 인식은 수학 성취도와 수학 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변인이었다. 둘째, 성취도 하위 집단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취도 상위 집단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4학년의 경우에 도서 보유량, 가정 학습 환경, 취학 전 수리 활동이 하위 집단과 상위 집단의 성취도에 모두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4학년에서 부모 학력, 학생의 수학 수업 인식 등은 상위 집단 학생들의 성취도에만 영향을 주었고 하위 집단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학에 대한 흥미의 경우에도, 4학년과 8학년에서 하위 집단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학생의 수학 수업 인식은 상위 집단 학생들의 흥미에도 영향을 미쳤으나 도서보유량은 상위 집단 학생들의 흥미에만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PISA 2012 수학 성취도를 설명하는 학생의 정의적 특성 및 교사 특성 분석을 위한 다층 구조방정식모형의 적용

        이현숙,송미영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PISA 2012 수학 성취도를 설명하는 변인들 중 학생의 정의적 특성과 수학교사의 특성들을 비롯한 수학 관련 맥락변수들을 중심으로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고, 데이터의 다층적 속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학생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들을 구분하여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다층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수학 성취도를 설명하는 학생수준 변인으로는 부모의 사회경제문화 지위를 통제한 상태에서, 학생이 수학에 대해 가지는 내적 동기와 도구적 동기, 부모의 수학적 견해에 대한 인식, 문제해결을 위한 끈기와 개방성, 수학적 자아효능감, 그리고 수학 학습에 관한장·단기적 계획으로서 수학 활동 참여와 미래의 수학학습 계획 등의 직·간접 효과를 고려하였다. 학교수준에서는 해당 학교의 수학교육 여건이 반영된 수학교사 1인당 학생수, 수학교사의 수업행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그리고 교사들의 사기와 열의 등이 학교수준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설정된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하였으며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학생수준에서 수학 성취를 설명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은 수학적 자아효능감과 문제해결 특성이었으며, 수학에 대한 도구적 동기가 높고 부모가 수학의 중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는 학생일수록, 그리고 미래에 수학관련 학업이나 직업계획을 가지고 있는 학생일수록 수학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수학에 대한 내적 동기는 수학 성취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지 않았으나, 수학 내적 동기의 경우 수학활동참여와 수학학습계획을 통한 간접효과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교수준에서는 수학교사 1인당 학생수가 적을수록 학교의 수학 성취가 높았으며, 수학교사가 학생들의 학습을 지원하고, 수학수업에서 인지 활성화 활동을 많이 하며, 수업을 잘 통제할수록 수학 성취도가 높았다. 또한 그 학교 교사들의 전반적인 사기와 열의 수준이 높을수록 수학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수학 성취도 향상을 위한 교육 개선 사항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h-related context variables and students’ mathematics literacy on PISA 2012 based on multi-level SEM analyses. Student-level variables considered in this study include students’ intrinsic and instrumental motivations in learning math, subjective norms in math, perseverance and openness to problem solving, self-efficacy in mathematics, participation in math-related activities, and intention to study math or work in the field in the future, after controlling for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School-level variables include math-teacher-to-student ratio, students' aggregated perceptions about teaching behaviors of math teachers, and principals’ perceptions about the overall level of morale and enthusiasm of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elf-efficacy in mathematics and problem-solving dispositions were the two most influential factors in explaining math performance. At the student level, students possessing higher instrumental motivation in math, with more favorable subjective norms with respect to math study, tended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math-related activities and to have long-term plans for exploring math-related careers in the future, and finally to have higher performance in math. Intrinsic motivation in math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math performance, but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through participation in math-related activities and long-term plans for exploring math-related careers in the future. At the school level, schools with a low math-teacher-to-student ratio tended to achieve higher math performance. School-level math performance also increased as students perceived their math teachers as being supportive, possessing good class management skills, and facilitating students' cognitive activation. The overall level of teacher morale and enthusiasm also positively predicted math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다문화 수용성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개념 조절 효과

        홍주연(Juyeun Hong)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4 현장수업연구 Vol.5 No.1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학교 현장에서도 문화적 다양성이 반영된 교육이 시행되어야 하는 시점에서, 청소년들의 다문화 수용성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수용성의 외국인에 대한 인식, 다문화 이웃/친구와의 관계가 수학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통계적 상관이 있는지 1차적으로 확인하고, 다양한 자아개념을 조절 변수로 투입하여 다문화 수용성과 수학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로 첫째, 가족적 자아개념이 다문화 이웃/친구와의 관계와 수학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검토하였다. 가족적 자아개념이 증가함에 따라, 다문화 이웃/친구와의 관계가 수학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약해졌다. 둘째, 학업적 자아개념이 외국인에 대한 인식과 수학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검토하였다. 학업적 자아개념이 증가함에 따라, 외국인에 대한 인식이 수학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강해졌다. 셋째, 학업적 자아개념이 다문화 이웃/친구와의 관계와 수학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검토하였다. 학업적 자아개념이 증가함에 따라, 다문화 이웃/친구와의 관계가 수학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더 강해졌다. 본 연구는 다문화 수용성과 수학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다양한 자아개념의 조절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교육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연구가 될 것이다. The acceleration of societal transformation towards a multicultural society emphasizes the necessity for education in school settings to incorporate cultural diversity. In this stud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cep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athematical academic achievement. First, the analysis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ial self-concep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s with multicultural friends and mathematical academic achievement. As familial self-concept increased, the extent to which the relationship with multicultural friends negatively influenced mathematical academic achievement diminished. Secondly, the analysis explored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self-concep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foreigners and mathematical academic achievement. As academic self-concept increased, the extent to which perceptions of foreigners positively influenced mathematical academic achievement became stronger. Thirdly, the analysis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self-concep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s with multicultural friends and mathematical academic achievement. As academic self-concept increased, the extent to which relationships with multicultural friends negatively influenced mathematical academic achievement became stronger.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insights into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cep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mathematical academic achievement, with a focus on exploring strategies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 KCI등재

        사교육과 영재교육 참여경험이 중학생의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박순홍,한기순 韓國英才學會 2013 영재교육연구 Vol.23 No.1

        이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자료를 활용해 사교육 참여 경험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영재교육 참여경험이 수학성취도에 대한 사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선형 성장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학성취도 점수를 포함하고 있는 KELS 1차년도(2005년)부터 3차년도(2007년)의 자료 중 수학 교과에 대한 사교육 참여 여부, 주당 사교육 시간, 월 사교육비, 영재교육 경험 여부, 성별, 초등학교 6학년 성적 자료, 부모님의 월소득, 내재적 동기 그리고 자아효능감 자료가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은 수학성취도 점수를 포함하여 연구목적에 포함된 변수들에 결측치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4,435명으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 사교육 참여 경험이 더 많은 학생들이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고도 수학성취도가 높았으나, 사교육 요인 중 사교육 시간과 사교육 비용의 경우 학년과의 상호작용이 수학성취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하여 영재교육 참여경험은 수학성취도 향상 정도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사교육 비용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재교육 경험이 수학성취도에 대한 부정적 사교육 비용 효과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력을 간접적으로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교육이 수학성취도에 주는 영향 그리고 이러한 사교육 효과에 대한 영재교육경험의 영향과 의미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impact of the engagement of private tutoring on student achievement and the influence of the engagement of gifted education on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by applying hierarchical linear growth modeling technique on the KELS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data. For the analysis, we used KELS data including the score of Mathematics achievement from 2005 to 2007 in order to get useful variables like whether or not to engage private tutoring, weekly time and monthly cost of private tutoring, the experience of gifted education, gender, prior achievement of 6th grade, parents’ monthly income, internal motivation and self-efficacy. The sample consisted of 4,435 7th graders from Korean middle schools who were included in the KELS and have the data available to a significant dataset having no missing values include. The result suggest that the private tutoring experience predicted students’ high Mathematics achievement and the interaction between grade and private tutoring time and cost has negative impact o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In contras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gifted education has negative impact on the growth of mathematics achievement, but positive impact on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cost o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In other words, the experience of gifted education shows affirmative impact on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cost o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indirectly.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we discussed deeply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o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and the influence and its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gifted education on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