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RWST 수조 내의 온도 분포 실험

        김상녕,윤기훈 경희대학교 산학협력기술연구원 2006 산학협력기술연구논문집 Vol.12 No.1

        The IRWST (The In-Containment Refueling Water Storage Tank), which is an advanced design concept adopted for APR-1400, has a function to condense the high enthalpy fluid discharged from the Reactor Cooling System (RCS) during a reactor transient. Steam condensation in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in the IRWST, and if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age tank exceeds 93.3 0C, bubble escape temperature, serious oscillation will happen. This phenomenon would apply mechanical load to the structure of IRWST. Accordingly, an experimental water storage tank was manufactured to simulat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IRWST when the reactor is transient, and the one was fabricated with a height and volume ratio is 1:1 and 1:400 respectively. As a result of experiments, there was the highest temperature wherein water surface is placed between two spargers, and the temperature of the lower part of water storage tank stagnates at certain point in time. AIso, when the temperature around the sparger reaches the bubble escape temperature, serious oscillation and vibration occurs on the sparger. APR-1400 에 적용되는 설계 개선 사항 중 하나는 격납건물 외부에 설치된 재장전수조 (RWST) 를 격납용기 내부에 설치한 내 격납 재장전수조 (IRWST) 의 채택 이다. IRWST는 원자로 과도 상태시 안전주입모드에서 재순환모드로 전환 시 운전원의 개입 필요성이 없으며, 가압기 안전밸브 혹은 안전 감압밸브 작동 시 방출되는 고온 고압의 유체를 IRWST 내에서 저온수로 응축시켜 격납건물의 방사능 오염을 방지할뿐 아니라 중대시고시 원자로 공동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수원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IRWST 설계 요건은 SDS 작동 시,수조내의 수온이 기포 이탈 온도 (93.3 ℃) 이하를 유지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온도의 제한은 수조 온도 상승으로 Sparger 에 서 방출된 기포가 응축되지 않고 수면 위로 그대로 상승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조 온도 가 포화온도 근방까지 상승하면 수조로 방출되는 증기가 응축진동을 일으키므로 IRWST 에 기계적 하중을 줄 수도 있다. 특히 IRWST 의 Sparger는 비대칭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수직 방향 및 수평방향에 대한 온도 분포가 평탄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이는 국부온도를 조기에 기포 이탈 온도로 상승시켜 IRWST 수조의 냉각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실제 발전소 내 IRWST의 높이비1:1, 부피 비 1:400 크기 의 환형 수조를 제작하여 증기 응축 시 수조 내 온도 분포와 수조수 온도에 따른 증기 응축 형태를 관찰하였다.

      • KCI등재

        일제시기 영일수리조합의 설립과 운영

        손경희(Son, Kyoung-Hee) 부산경남사학회 2017 역사와 경계 Vol.102 No.-

        본고에서는 일제시기 영일수리조합의 설립과 운영을 살펴보았다. 영일수조는 1916년도에 경북 최초로 이주일본인 오쓰카 쇼지로(大塚昇次郞)의 주도하에 설립 · 운영되었다. 영일수조 구역은 연일 · 형산 · 대송 등 형산강 하류 지역이었다. 몽리 면적은 형산강 좌안 약 600정보, 우안 약 800정보로 모두 1,400정보였다. 영일수조는 수리시설 방식 가운데 양수기 중심의 수조로 계획되었다. 영일수조를 설립했던 오쓰카는 형산강 부근의 황무지에 주목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토지를 사들였다. 그는 형산강 하류에 수리시설을 만들어 개간을 하거나 방조제를 쌓는다면 방대한 경지를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영일만을 통한 미곡수출을 보고 토지를 집중적으로 사들였다. 영일수조를 설립할 당시 오쓰카는 영일군에 논밭 이외에 국유미간지 6천 정보를 대여한 대지주였다. 영일수조는 설립 초기부터 문제가 있었다. 설계 부실로 인한 부채증가와 조합비 과다문제였다. 첫 영일수조 사업 자금도 동양척식주식회사에서 차입했다. 기채 금액은 20만원, 이율은 년 1할이었다. 심지어 1915년도 및 1916년도에는 이자도 기채에 의해 지불되었다. 이후에도 영일수조의 설계가 불완전하여 어려움이 계속되었다. 부채가 급속히 늘어나 조합비가 고율이었다. 영일수조 조합비가 경북 수위를 점할 정도로 높았다. 결국 1927년 영일수조는 불량수리조합이 되었다. 영일수조가 불량수리조합이 되었던 이유는 첫째, 양수기 문제였다. 영일수조에서 설치한 양수기가 그 능률이 계획 예정 수량을 양수하기 불가능했다. 둘째, 창립 당시 공사시행법 불완전하여 간선수로의 누수가 많았다. 그 결과 몽리면적의 확장이 예정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셋째, 수해로 매년 수리조합 지구가 황폐화되어 조합비의 결손이 심했다. 조합채의 상환이 불가능했다. 영일수조의 연속되는 기채로 조합채가 매년 증가했다. 불량수리조합 구제 특별위원회에서는 영일수리조합에 국고보조를 지원했다. 연리 5분 1리의 저리 융자였다. 상환기간도 장기로 하여 조합의 부담을 경감시키고자 했다. 그러나 계속되는 조합채의 증가로 영일수조는 부실화되었다. 1928년 영일수조 정리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경북 도청에서 영일수조 간부와 도당국자와 영일수조 채권자인 동척 대구지점장 小池英勝등이 모여 정리에 대한 협의를 했다. 그러나 영일수조 정리 자금 50만원을 총독부로터 지원 받기 어려워 정리가 어려웠다. This paper explored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Youngil Irrigation Associ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1916, Youngil Irrigation Association was established and managed by Japanese immigrant, Otsuka Shoji for the first time in Gyeongbuk province. The area of Youngil Irrigation Association was downstream of Hyeongsan River such as Yeongil, Hyeongsan, Daesong, etc. Youngil Irrigation Association was runn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area, the left bank of a river was about 600 jeong and the right bank was about 800 jeong, it irrigated 1,400 jeong in total. Youngil Irrigation Association was planned to be built as water pump-centered Irrigation Association out of various irrigation facilities. Otsuka who eatablished Youngil Irrigation Association purchased land at a low price focusing on the wasteland near Hyeongsan River. He assessed that extensive arable land could be owned if he could build a sea wall to cultivate land or block the river and sea water through building irrigation facilities in the lower Hyeongsan basin. Also, he saw the possibility of cultivation in Rice export through Youngil Bay, so he bought the whole area intensively. At the inception of the foundation of Youngil Irrigation Association, the scale of land of Otsuka was leased 6,000 jeong of national uncultivated land besides a field. The management of Youngil Irrigation Association was problems from the beginning of the establishment. The problems were accrued debts and excessive union dues caused by incompleteness in design. The first business funds was borrowed from Oriental Development Company. The price of flotation of a loan was 200,000 won and the rate of interest was 10 percent per annum. Besides, in 1915 and 1916, the interest was payed by Bond issuance. It led to another trouble afterward because the design of Youngil Irrigation Association was imperfect. The dept was increased drastically so that union dues resulted in a high rate. Youngil Irrigation Association union dues were as high as Gyeongbuk province. Youngil Irrigation Association became a poor irrigation association in 1927. The first reason why it became a poor irrigation association was the problem of water pump. The water pump that Youngil Irrigation Association established proved impossible to pump the exact quantity of water as they planned. Second, there were too many water leaks in main water way because of the incompleteness of operation of construction enforcement. As a result, the expansion of irrigated area was not proceeded. Third, the flood led the area of irrigation association desolated every year so union dues were in deficit. The debts of association were non-refundable. Due to the continuous flotation of a loan of Youngil Irrigation Association, the debts of association were increased every year. A Special Relief Committee on Poor Irrigation Association supported government subsidy to Youngil Irrigation Association and promoted an annual low-interest loan of a fifth. Also, the association aimed to lighten its burden through setting repayment period as a long term period. However, Youngil Irrigation Association became insolvent by the constant increase of debts. In 1928, discussions on closure of Youngil Irrigation Association was held. Executive of Youngil Irrigation Association, the provincial authorities and Daegu branch manager of Oriental Development Company, Koike Hideo who was Youngil Irrigation Association creditor were consulted about the closure at Gyeongbuk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However, it faced some trouble to clear away because it was hard to get supported the consolidated capital of 500,000 won of Youngil Irrigation Association from the governor.

      • 전라좌수영[湖左營] 수조홀기의 특징

        김선(Seon Kim)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2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7

        본고에서는 여산 송씨 문중에 소장된 전라좌수영에서 작성한 수조홀기의 특징을 분석해보았다. 수조홀기는 『병학지남』과 『병학통』의 훈련 절차와 내용을 부분적으로 인용하여 수용하면서 행례에 있어서 실제로 필요한 사항들을 보완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여산 송씨 수조홀기의 작성 연대는 병학통 편찬된 1785년(정조 9) 이후 1895년(고종 31) 갑오개혁으로 전근대적인 수군 체제가 혁파될 때까지로 상정해 볼 수 있다. 또한 전라좌수영에서는 해안의 경비와 방비를 위하여 영조형태의 수군 훈련을 지속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여러 종류의 수조홀기가 작성되었다. 전라좌수영에서 작성한 여수시립박물관의 소장된 수조홀기에는 ‘야조홀(夜操忽)’의 제목으로 야간 군사훈련 절차가 기록되어 있다. 국립해양박물관도 전라좌수영 수조홀기를 소장하고 있는데 마찬가지로 야조에 관한 절차가 서술되어 있다. 본고에서 살펴본 수조홀기 역시 특별명령에서 야간의 훈련 절차와 명령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수조홀기에는 전라좌수영의 실정에 맞게 절차와 신호체계 등 구체적이거나 보완할 사항을 반영하였다. 수조홀기의 규정된 대장이 별도로 내리는 특별 명령은 갑자기 적을 마주하여 전투가 벌어지면 전투를 돕기 위해, 전선을 긴급하게 부르거나 발송하는 경우, 전투 또는 해난사고 등으로 진영을 옮기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수군 훈련 가운데 해난사고가 일어난 이후에는 해당 지역의 수사(水使)이자 관찰사는 국왕에게 익사한 수군을 위한 치제에 관련한 계문을 올려서 조정에서 논의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는 중요하게 인식될 수밖에 없었고, 수군 훈련 가운데 해난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전라좌수영은 수조홀기의 특별 명령을 규정하였다. 수조홀기의 전술 편제는 5영 5사이다. 그런데 『호좌수영지(湖左水營誌)』와 『전라좌수영계록(全羅左水營啓錄)』의 기록된 전술 편제는 좌사(左司)·우사(右司)·중사(中司)로 3사의 체체였다. 그러므로 여산 송씨 소장 수조홀기는 18개 수군훈련 절차와 9개 특별명령으로 총 27개의 절차로 구성되었으며, 절첩본 형태여서 수군 훈련을 준비하고, 훈련 가운데 작전을 수행하면서 활용되었다. 또한 전라좌수영에서 작성되었음은 물론이고, 수영에서 관할했던 지역적인 특징을 담고 있다. 다음으로 수군 병력 및 전선 등이 부족해서 수조홀기의 5영 5사의 전술 편제는 실제 운영이 어려웠던 것으로 상정할 수 있다. 또한 수조홀기에는 탑승한 군관의 현황도 파악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액체식 제습 시스템의 수조 농도 유지 방안에 따른 수용액 냉각 및 가열 부하 비교

        이수진,정재원 대한설비공학회 2020 설비공학 논문집 Vol.32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oling and heating loads of liquid desiccant by maintaining the sump concentration in a liquid desiccant system. Case 1 is a liquid desiccant system with a dual sump based on solution exchange. Case 2 is a liquid desiccant system with membrane-based dual sump. Both cases are based on a dual sump, but the technologies used to maintain the concentration of solution in the sump differ. The concentration of the absorber and regenerator sumps in case 2 was similar to that of case 1.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case 2 required 71% lower cooling and heating load for solution than case 1 because the temperature of the absorber sump was low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regenerator sump was higher. Therefore, case 2 saves energy for solution cooling and heating while maintaining dehumidification and solution regeneration. 본 연구에서는 액체식 제습 시스템을 소형화하기 위해 적용된 이중 수조에서 수용액을 직접 교환하는 형태(case 1)와 멤브레인 기술을 활용하여 물만 이동시키는 형태(case 2)의 수용액 냉각 및 가열 부하를 비교하였다. case 1의 물질 이동량이 case 2의 물질 이동량보다 훨씬 많음에도 불구하고 두 case 모두 LD 시스템을 운전할 때 제습부와 재생부 수조 농도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질 이동량이 적을수록 열 이동량도 적기 때문에 수조 온도는 제습부 및 재생부로 유입되는 수용액의 설정 온도에 가깝게 수렴한다. 따라서 case 2의 제습부 수조 온도는 case 1의 제습부 수조 온도보다 낮고, case 2의 재생부 수조 온도는 case 1의 재생부 수조 온도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수조 온도는 수용액의 냉각 및 가열 부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제습부 수조 온도는 낮을수록, 재생부 수조 온도는 높을수록 수용액의 냉각 및 가열 부하를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멤브레인 기반의 이중 수조가 적용된 액체식 제습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수조의 농도는 유지하면서 수용액의 냉각 및 가열 부하를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수용액을 직접 교환하는 형태의 이중 수조에서 교환 유량 제어를 통해 열 이동을 최소화하거나 멤브레인 특성에 따라 멤브레인을 통한 열전달이 증가할 수도 있기에 추후 연구에서는 수용액의 냉각 및 가열 부하를 최소화하면서 제습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이중 수조가 적용된 액체식 제습 시스템의 최적 설계 및 제어에 대해서도 수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18~19세기 전라좌수영의 무기체계와 수조실태

        송길상 국립해양유산연구소 2024 해양문화재 Vol.0 No.20

        중기重記란 국가재산의 누수를 막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작성토록 규정한 회계장부 또는 물품조사서로 해유解由할 때 작성하는 전현직 관료간의 재물 인수인계서이다. 전라좌수영의 중기인 『호좌영중기』는 헌종 3년(1837) 4월 작성된 문서로 군선, 창고, 군기軍器, 기치旗幟, 유고분留庫分 현황 등의 사항이 기록되어 있다. 이 논문은 『호좌영중기』를 통해 18세기 중반 ~ 19세기 중반 전라좌수영의 군비체계 및 수조현황을 분석하고자 했다. 먼저 『호좌영중기』와 영지營誌인 『호좌수영지』를 통하여 전라좌수영 본영이 보유하고 있었던 전선, 병선 및 사후선의 규모와 전투요원인 포수, 사수, 화포장 및 능로군 등 승선인원을 분석했다. 또한 전라좌수영이 보유하고 있었던 지자총통을 비롯한 거치형 화약무기와 조총 등 소형화약 무기, 분화통噴火桶 등 근접전용 화약무기, 방어용 무기인 방패와 갑주현황 등을 분석했다. 또한 『호좌영중기』에는 1734년에서 1772년 까지 수조水操 때 화약과 연환 분급현황이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을 통해 전라좌수영의 수조추이를 비교해 보았다. 이 기간 실시된 수조는 25회 였으며 춘조 3회, 추조 22회로 대부분 가을에 이루어졌다. 1회 수조시 평균 화약 분급량은 약 161근, 연환 분급량은 438개였다. 『호좌영중기』에 나타난 수조에 화약과 연환을 분급한 마지막 해는 1772년이며 이후에는 분급한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1773년 이후 전라좌수영 수조시 화약과 연환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 같다. 수조는 선상에서 선단의 대형(진陣)을 갖추고 조총과 활을 이용하여 사격을 연습하는 훈련이다. 그러나 『호좌영중기』에 나타난 전라좌수영의 수조 경향을 살펴보면 1780년대 이후 수조의 중지가 잦아지고, 수조가 실시된다 하여도 화약무기에 기반한 실제 훈련이 아닌 모의훈련으로 변해갔음을 확인해보고자 했다. The Jeolla Jwasuyeong was one of the divisions of the Joseon Navy. In Joseon, the Navy established its headquarters, known as the Tongjeyeong, and its naval divisions in special naval commands known as the Jeolla Jwasuyeong, Jeolla Usuyeong, Gyeongsang Jwasuyeong, and Chungcheong Suyeong. The term Jung-gi refers to an accounting ledger or inventory report that was prepared on a regular basis to prevent leakages or losses of state property, or to a document of a property handover between former officials due to a change in management. The Junggi document of the Jeolla Jwasuyeong, called Hojwayeong jung-gi, written in April 1837, records information on warships and weapons among other matter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naval training and armament systems of the Jeolla Jwasuyeong from the mid-eighteenth to the mid-nineteenth century based on an examination of the Hojwayeong jung-gi. It covers such matters as the size of the fleet, combat personnel, operational personnel, and weaponry including firearms, shields, and armor. Furthermore, the Hojwayeong jung-gi records the supply of gunpowder and bullets during maritime training exercises, known as sujo, from 1734 to 1772. This record was used as a source material in the analysis of the naval training situation at the Jeolla Jwasuyeong.During this period, twenty-five naval exercises were conducted, with the majority (twenty-two exercises) taking place in the fall and the rest in the spring (three exercises).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amount of gunpowder and the total number of bullets etc. used in one naval exercise. The last year gunpowder was used in guns and cannons during the "Hojwayeong jung-gi" was 1772 and there are no records of gunpowder use thereafter. It seems that after 1773, the Jeolla Jwasuyeong did not use gunpowder in the maritime training exercises, even though such exercises generally involved gunnery practice with guns and bows on board a ship. However, after examining the maritime training trends of the Jeolla Jwasuyeong as described in the Hojwayeong jung-gi, it becomes evident that the frequency of training suspensions increased after 1780, and that there was a tendency not to use gunpowder weapons even during maritime training exercises.

      • KCI등재

        朱子의 『孟子集註』에 보이는 ‘井田制’의 성격

        이세영(Lee, Se-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9 역사문화연구 Vol.32 No.-

        이 글은 17세기 중엽 이후 토지개혁방안으로서 정전제를 제안했던 韓泰東, 楊應秀, 徐命膺, 鄭志宬, 丁若鏞등의 ‘井田制論’을 살펴보기 전에 우리나라 중세사회의 기본적인 토지소유관계인 ‘田主佃客制’와 ‘收租權的土地支配’가 중국 고대의 殷·周代에서 실시되었다고 하는 ‘井田制’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그 ‘井田制’에관한 기본문헌인 朱子의 『孟子集註』·『論語集註』등 속에서 ‘井田制’의 성격을 파악해 보고자 한 것이다. 孟子와 朱子는 ‘耕者九一’(井田制)과 ‘仕者世祿’(世祿制)을 ‘仁政’의 근본이라고 생각하였다. 모든 인민들은 ‘恒産’을 가지고 ‘恒心’을 유지하면서 편안하게 살아가고, 모든 仕者들은 世祿을 보장받음으로써 나라에 봉직하면서 걱정 없이 직무를 수행하는 사회가 바로 ‘仁政’이 실현되는 사회였다. 그리고 그들은 周代에 바로 이러한 ‘仁政’이 실현되었다고 생각하였다. 孟子의 傳聞과 朱子의 해석에 의하면, 殷·周나라에서는 井田制와 助法을 실시함으로써 ‘1井(630畝혹은 900畝) 8家’를 한 단위로 하여 8家에게 1田(70畝혹은 100畝)씩을 ‘私田’으로 분급하여 경작하게 하고 그 수입을 차지하게 하는 대신 1 田은 ‘公田’으로 하고 이를 8家가 공동경작하게 하여 그 수확을 8家의 세금으로 收租하였다. 이때 1家의 납세율은 1/10 수준이었다. 한편, 君·諸侯이하 관직자들에게는 차등으로 일정 규모의 ‘公田’을 지급하고 그 수조액을 녹봉으로 대신하게 하였다. 즉, 국가의 수조권을 그 봉건지배층에게 양여하고 대대로 세습하도록 한 것이었다. 이러고 보면 井田制와 助法의 근본이념은 국가가 王土思想에 근거하여 농민들에게 자급자족할 수 있는 규모의 경작지를 확보해주어 자영농을 항상적으로 육성하고 유지시키는 한편 모든 경작지로부터 일정 비율의 생산물을 收租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井田制아래의 기본적인 토지소유관계는 收租權者인 국가·봉건지배층과 納租者인 농민 사이에 성립되는 이른바 ‘田主-佃客’관계였으며, 국가는 전 국토에 대해 ‘수조권적 토지지배’를 행사하였다. 이러한 井田制는 춘추전국시대 이래 봉건지배층이 자신의 수조지와 농민들의 보유지를 사유화하고 겸병함으로써 붕괴되었다. 이제 농민들은 봉건지주층의 토지에서 강제적으로 노동하면서 노예와 같은 억압과 착취를 받는 생산노예로 전화하였다. 그러나 이내 지주계급의 봉건국가들은 변법 개혁을 통하여 ‘수조권적 토지지배’를 복구하고 유지시켰다. 즉 봉건국가는 지주계급과 자영농의 경지로부터 평시 총 수확의 ‘10분의 1’ 정도의 생산물을 수조하는 ‘수조권적 토지지배’를 계속 행사하였던 것이다.이처럼 井田制와 助法에서 기원하는 ‘田主佃客制’와 ‘수조권적 토지지배’는 우리나라의 중세사회 전 기간에 걸쳐서 존속되었다. 즉 이는 국가의 田稅制度와 함께 신라통일기의 ‘官僚田制’와 ‘祿邑制’, 고려시기의 ‘田柴科制度’, 조선전기의 ‘科田法’과 ‘職田制’, 조선후기의 ‘折受制’ 등의 토지제도 등을 통해서 관철되고 있었던 것이다. This thesis is a preparatory work for elucidating the theories of “the Well-Field System (井田制, Jĭngtiánzhì, Jeongjeonje)” as a method of land reform suggested by Han Taedong, Yang Eungsu, Seo Myoungeung, Jeong Jiseong and Jeong Yagyong in the middle of the seventeenth century Korea. Looking upon, for this, the basic two land-owing systems during the medieval Korean society, “the Land Owner versus Leased-Land Tiller System (田主佃客制)” and “the Land Dominance by the Tax Collection Right (收租權的土地支配),” as being originated from the Well-Field System in the ancient period of the Chinese Yin and Chou Dynasties, I examine the original form of the Well-Field System found Zhu Xi’s (朱熹) The Collected Commentaries on the Book of Mencius (『孟子集註』), one of the most basic texts regarding the Well-Field System. Both Mencius and Zhu Xi thought that “one ninth for tillers (耕者九一, i.e., the Well-Field System)” and “hereditary stipend for gentries (仕者世, i.e., the Hereditary Stipend System)” were the foundation of “the 祿governance of benevolence ( ).” The society realizing the governance 仁政of benevolence makes all people live comfortably with “constant mind(恒心)” by “constant production (恒産)” and all gentries were granted to secure hereditary stipend to carry out their duties without any anxiety. Mencius and Chou Hsi regarded such a governance of benevolence had been realized during the period of Chou dynasty. During the Yin and Chou dynasties, according to Mencius’ writings and Chu Hsi’s annotation, there was the taxing institution based on the Well-Field System, in which “one jĭng (630 or 900 mŭs) per eight families” constituted a basic unit and each of the eight families was granted one tián (70 or 90 mŭs) as “the private land”, tilled it, and took the products thereof. The rest one tián was tilled by the collaboration of the eight families and its products were took by the state as the common tax for the eight families. Here, the rate of tax payment for each family was about one tenth. On the other hand, the gentry officers below the feudal princes as liege lords were granted “the official land” of some specific scale and took the products thereof as their stipend. That is, the state transferred the right of tax collection to gentry officers and let their right be transmitted through generations. As such,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taxing institution based on the Well-Field System was to foster and sustain independent peasants by securing enough scale of lands for self-sufficiency upon the idea of the Righteous Government (王道) on the one hand, and to collect specific rate of the products as taxes from all the lands. And the relation of land ownership in the Well-Field System was the relation between the land owner and the leased-land tillers, i.e., the relation between the state of the feudal dominant class as the rightful tax collector and the peasants as the tax payers. And the state realized the Land Dominance by Tax Collection Right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The Well-Field System, however, was collapsed during and after the Age of Warring States, for the feudal dominant class privatized their lands for tax and appropriated peasants’ leased lands. As the result, peasants degenerated into producer slaves laboring compulsively on the tillage of the feudal land owners, being suppressed, and being exploited. Right after then, however, the feudal states of the land-owner class, reforming the land system, restored and maintained the Land Dominance by Tax Collection Right. That is, the feudal states continued the policy of the Land Dominance by Tax Collection Right, according to which the states collected about one tenth of the total products as tax from the tillage both of the land owners and of the independent peasants. Dominance by Tax Collection Right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 KCI등재

        17세기 朝鮮 水軍操鍊의 特性

        장원주(Jang, Won-ju)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역사민속학 Vol.0 No.46

        수군의 편성과 戰法은 步軍의 경우와 같이 임란을 기점으로 『紀效新書』의 영향력 아래에 놓이게 되었다.『兵學指南』의 「水操程式」에 수록된 水軍편성과 戰法은 종래 조선수군의 것과는 이질적인 중국식이었다. 그러나 朝鮮水軍은 임란을 거치면서 戰術 면에서 다양한 實戰경험을 쌓으며 검증된 군사집단이었다. 임란기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이 처음으로 실시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合操가 17세기 수조의 정비방향으로 자리 잡은 것은 당시 전쟁의 양상을 반영한 것이었다. 17세기 초부터 시도되기 시작한 春·秋 水操의 정비 과정에서도 合操가 끊임없이 시도 되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시도가 결실을 맺은 것은 삼도수군이 모두 참가하는 ‘統制營 合操’였다. 수조의 정비과정은 17세기에 끊임없이 시도되었던 양역변통의 노력이 결실을 보인 것이었다. 즉, 효종대에 雇立制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춘?추 수조를 수행할 군병을 충원할 수 있게 되었고, 양역변통의 논의가 더욱 심화되어 갈 때 통제영 합조가 이루질 수 있었다. 조선 말까지 시행된 수조는 그 형식과 내용의 대부분이 17세기 『兵學指南』의 정리와 함께 정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그 과정 속에는 이전 시기부터 운용되고 있었던 朝鮮式 水軍戰法의 특수성이 여전히 반영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면 임란기 이순신의 진법들이 17세기에 여전히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수조는 조선식과 明식이 혼합되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18세기 『兵學通』시기에 이르러 조선식 진형도 중국식 진형으로 대부분 바뀌어갔다. 17세기 후반기는 삼도수군 이상 규모의 선단이 모여 실시하였던 ‘統制營 合操’가 가장 활발히 시도되었던 시기였다. 해방체제 개편과 수조정비가 17세기에 가장 활발히 이루어진 점을 통해 볼 때 조선의 海防戰略이 다른 시기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던 시기였다. The Soo-jo (Naval Force Training) was reflect the tactics system all-inclusives organization for fleet and combat engagement of the Joseon Dynasty Naval Forces. Thus learn from study of Soo-jo, understand for coastal defense policy and system as well as then including the social background of it. Reform the costal defense system after the Imjin war was appeared with relocation of the Naval Forces strengths and reinforce of Tongjeoyeong and establish Tongeoyeong. These facts was reflect the patterns of warfare at that time. Also Soo-jo mirrored then sea battle to be tendency of the large scale. The Soo-jo was being decided to combined training on a regular basis. Tonjeoyeong Hap-jo (combined training of Tongjeoyeong) was participated all the Naval Force of the Samdo. This combined training tried during the 1650s and 1660s, at last became operated late 1660s for the first time. This process was came to fruition of the discussion for revise military service during the 17 century. The Choon-Choo Soo-jo was made possible that Golipjjeo system being in earnest, as a result, became possible to supplement the personnel capable carried Soo-jo out at period king Hyojong. And Tonjeoyeong Hap-jo has deepened the fruition of the discussion for revise military service be per-formed. The Tonjeoyeong Hap-jo not carried out during the end of a 17C to 18C, therefore Tonjeoyeong Hap-jo attempted the most active period can be defined as the late 17C. Begin drastic disseminated organization for fleet of Gihyoshinseo to the Army at the beginning of a 17C, along with needs of united signal systems of the Army and Naval forces to increased. And appoint system of a military officer was covers a wide range of the Army and the Naval Force at that time. Therefore, the tactics of naval signal systems has changed like contents in the Soo-jo jungsick of Byeonghagjinam compiled at the 17C. However, according to document Junjindochup of the 18C, still used battle formation of Oweejinbub forms of before the 16C. The Joseon Dynasty Naval Forces of the 17C has Jeunseun (the Battle Ship), Gwiseun (the Turtle Ship) and Large gunpowder weapons system demonstrated excellence when the Imjin war what kind of developed in the meddle of the 16C. Therefore, that the organization for fleet and the signal system of Naval Forces was applied contents in the Byeonghagjinam, but the battle formation and Weapons was could not changed. Alteration of Weapons of the Naval Forces was both succeed to large gunpowder Weapons system and phased in small gunpowder Weapons system in the Gihyoshinseo. Through understanding combat engagement and battle formation of the Naval Forces blended the form of the Joseon and Myeong Dynasty in operated Soo-jo when the 17C.

      • KCI등재

        수조를 이용한 조력발전량산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정신택(Jeong, Shin-Taek),김정대(Kim, Jeong-Dae),고동휘(Ko, Dong-Hui),최우정(Choi, Woo-Jung),오남선(Oh, Nam-Sun)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8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0 No.2

        소규모 수조를 이용한 조력발전시스템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소규모 수조를 제작하고 시간에 따른 수위의 변화를 관측한 후 이를 이론적인 계산값과 비교하였다. 수조는 내부수조와 외부수조로 제작하여 창조발전과 낙조발전의 개념을 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내부수조와 외부수조의 연결관을 두 곳에 설치하여 유량을 변화시키며 실험을 하였다. 관측된 수위의 변화를 계산값과 비교하여 유량계수를 산출하였다. 수위의 관측치와 이론적인 계산치는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이론식이 실제의 수위를 잘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펠러의 유무, 밸브의 유무, 창조 발전, 낙조 발전 등에 따라 유량계수가 큰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실제 발전시스템을 제작할 때 실험을 통한 유량계수 등의 산정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론적인 식에 의한 총에너지와 실험유량으로부터 계산된 총에너지를 비교한 결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수조에 대하여 계산된 발전량은 크지 않으나 충분한 조차가 있는 곳에 적정 규모의 수조를 설치할 경우 소규모의 조력발전이 가능하여 신재생에너지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A method to generate electric power from small scale water tank. For this purpose, manufacturing tank is investigated, measuring water level change at any time, and finally comparing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value, are performed. Inner and outer tank are made to simulate flood and ebb generation. Two sets of pipe are connected between tanks, and experiments are performed under varying flowrate. Coefficients of flowrate are calculated comparing water level change data and theoretical value. Measured and theoretical water levels are highly correlated, and this ascertains that analytical equation simulates real water level changes well. Flowrate change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propeller and valve, on flood and ebb generation, shows the necessity of experiments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electric power system. Moreover, total energy calculated from experimental data agrees well with that of theoretical equation. In spite of small tidal power output, this generating system with optimum water tank can be applied to any place where high water level change occurs, and can make a contribution to producing new and renewable energy consequently.

      • 조선후기 수조(水操)의 추이와 변화

        송기중 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 2017 충무공 이순신과 한국 해양 Vol.- No.4

        이 논문은 조선후기 수군훈련의 한 형태인 수조의 추이와 변화에 대 해 살펴본 것이다. 조선후기 수군은 봄과 가을로 나누어서 1년에 두 차례 열리는 것이 상례였다. 봄에는 보통 삼남 수군(三南水軍)이 합조(合 操) 형식의 훈련을 했고, 가을에는 영조(營操) 형식으로 훈련을 했다. 이 중 영조 형식의 훈련은 조선 전기에도 있었지만, 삼남 수군이 합조 형식으 로 훈련하는 것은 첨방(添防)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효종 연간 첨방이 폐지 되었지만 합조 형식의 훈련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조선후기 수조의 실시 형태가 정착된 이후 각 시기별로 추이의 변화가 있었다. 17세기 후반부 터 삼남 수군이 합조 형식으로 훈련을 진행하는 경우는 점차 줄어드는데 비해 영조 형식으로 훈련을 진행하는 경우가 늘어난다. 아울러 수조의 단 위가 분화되는 현상도 나타난다. 이러한 수조의 변화는 당시 일본과 청과의 관계가 안정된 가운데 황당선이 출몰하면서 생겨난 결과로 이해된다. 18세기 후반에 접어들면서 훈련은 점차 진행되지 않았다. 이 를 대신하여 수조보다 훈련강도가 약한 취점이 점차 보편적인 훈련 방 식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 18세기 말 전라도 수군전법 변화의 특성 : 전라우수영『전지도첩』과 전라좌수영『수조홀』을 중심으로

        장원주,최형주 龍仁大學校 武道硏究所 2011 武道硏究所誌 Vol.22 No.1

        이 연구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작성된 전라도수군의 군사훈련과 관련된 2종의 자료를 중심으로 18세기 말 전라도 수군전법 변화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당시 수군제도의 전략적 재편과 수군전법의 전술적 보완이 요구되고 이에 따라 변화하던 수군편제를 살펴볼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수조다. 임진왜란 이후 중국의 수군전법을 받아들여『兵學指南』의 수조를 정비한 조선은 18세기에 이를 더욱 보완해 『兵學通』수조의 완성을 보았고, 이 시기를 전후하여 각 지역의 일선 수군지휘관들에 의해 수조홀기류 문서들이 작성되기 시작하였다. 이 자료들 중 전라도의 수군전법을 보여주는 것이 전라좌수영『水操笏』과 전라우수영『戰陣圖帖』이다. 전라우수영『戰陣圖帖』에는 총 12가지의 진도가 수록되어 있다. 이 진도들은 1780년 이전의 7개 진도와 이후의 5개 진도로 나눌 수 있다. 두 부류의 진도에 나타나는 전라우수영의 진관 편제는 확연히 다르며, 진형 역시 그 성격이 크게 달라 18세기말 전라우수영 전법의 변화를 뚜렷이 살펴볼 수 있게 해준다. 1830년대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전라좌수영『水操笏』은 총 8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수군군사훈련의 핵심내용을 담고 있는 첫 번째「水操笏」과 두 번째의「夜操笏」은『兵學通』의 수조절차를 대부분 요약하면서도 절차와 의례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즉『水操笏』은『兵學指南』과『兵學通』의 형식과 절차를 그대로 따르면서도 조선적인 특색을 띄고 있다 할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