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용자연구의 해독모델과 존 피스크에 대한 재평가

        김수정(Sujeong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0 언론과 사회 Vol.18 No.1

        본 논문은 문화연구 내 수용자연구를 비판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수용자연구의 이론적 논의를 활성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스튜어트 홀의 해독모델에서 주요 개념들이 지닌 모호성이 존 피스크의 이론적 개입 이후 더욱 증폭되어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국내 수용자연구들을 통해 점검하고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구체적으로는, ‘반대적 해독’과 ‘저항적 해독’의 개념을 명확히 구분하고, 수용자의 ‘능동성’의 의미를 천착하였다. 또한, ‘저항적 즐거움’과 ‘텍스트의 다의성’ 개념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고, 그 과정에서 피스크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하였다. 그 다음, 수용태도와 해독양식을 여러 상이한 수준에서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며, 이를 반영할 수 있는 통합적 분석틀이 어떤 것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수용자연구에서 수용자 해독을 분석할 때 흔히 발견되는 이데올로기 중심주의가 수용자의 다양한 의미를 이해하는데 오히려 장애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theoretical state of audience studies in cultural tradition and open the theoretical discussions for it. In critically reviewing Korean audience research,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ceptual problems embedded in Stuart Hall’s decoding model, which has been aggravated in the wake of John Fiske’s concepts. Specifically, this paper seeks to differentiate the concept of ‘oppositional reading’ from that of ‘resistant reading’, and clarify what it means by ‘activeness’ of audience. Furthermore, it attempts to rectify the misunderstanding of ‘the polysemy of text’ for the guarantee of audience autonomy or resistance, as if Fiske argued so. This paper also examines possible analytical frameworks which can accomodate various decoding modes and audience attitudes in the multi-dimensional levels of decoding. Finally, it criticizes the intellectual propensity of the over-emphasis on the ideological evaluation of audience readings found in Korean audience studies, which may set an obstacle in understanding audience’s various meanings.

      • KCI등재

        <친구> 영화 텍스트에 대한 수용자의 의미 해석

        박길자 한국교육인류학회 2003 교육인류학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수용자가 미디어 텍스트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하고 수용해가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이것은 수용자인 학생들을 비판적 사고와 의사소통 능력을 가진 민주적 시민으로 육성하려는 교육적 목적을 탐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영화 <구> 선정하여 수용자들이 이 영화에 대한 해독의 관점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틀은 홀이 제시하고 있는 선호적 해독, 교섭적 해독, 저항적 해독의 세가지 가설에 기반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 홀의 가설은 수용자들이 누리는 텍스트 읽기의 즐거움의 문제를 간과하고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수용자들이 미디어 텍스트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맥락에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입장에서 미디어의 의미를 해석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러한 사실은 수용자가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미디어 텍스트의 의미를 해석하고 있으며, 자기와 견해가 다른 사람들과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시도하고 있음을 말해 준다. This easy is to describe how audience decodes decodes media text. Audience decoding is related to the theory of cultural studies. On that theory, Stuart Hall insists three hypothetical decodings of the meanings of media text. The first is the dominant-hegemonic decoding. This is the case that audience decodes the meaning of the includes a mixture of adaptive and oppositional elements. The third one is oppositional decoding. It is possible for audience to understand the connotative meanings of the media text perfectly. But Hall’s model is criticized that three hypothesis are missing the code of pleasure. Therefore, I focus on the media tetx in terms of Hall’ three hypothetical decodes and the code of pleasure. It is shown that audience do not accept media naxt blindly but decode the text actively and creatively. It tells us that audience try communicating with others with creative thinking.

      • KCI등재후보

        포토저널리즘 사진과 캡션의 의미작용에 대한 연구

        정홍기 한국언론정보학회 200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8 No.-

        본 연구는 하나의 주제를 다룬 다섯 장의 사진과 캡션을 통해, 포토저널리즘의 구성단위인 사진과 글에 대한 수용자의 해독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민속지학적 방법과 의미분별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은 기호의 의미작용과 해독의 의미작용을 분리시켜, 기호와 해독의 관계를 고찰할 수 있는 기호학적 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번째, 하나의 의미로 고정되지 않고 다의성을 띤 사진이미지에 캡션이 첨가됨으로 수용자의 해독에 변화가 있었다. 두번째, 해독에 있어 수용자의 문화적 배경이 중요한 번수로 작용했다. 세번째, 포토저널리즘 영역에서 사진만으로는 사실을 재현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수용자의 문화적 코드를 바탕으로 한글이 들어감으로써, 포토저널리스트와 수용자간의 보다 성공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표토저널리스트가 재현한 현실과 그것을 해독하는 수용지간의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을 보여주고자 했고, 이것이 성공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기본 전제에 대한 고찰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This is a study about the audience's aspect of decoding the photography and words comprising photojournalism. For this study, the way of audience's decoding five pictures depicting a foreign worker's death and the captions for each were analyzed. Ethnographic method was used to find distinctive features of the audiences in decoding the pictures. Picture images without any title and caption shown to audiences bring quite different decodings from those of picture images titled and captioned. This led to the following three conclusions. First, picture image added by caption transforms the way the audience decode. Second, the cultural background of an audience works as a major variable, which means how the audience decode the picture image depends on what sort of cultural background the audience has. Third, it is also learned that picture image not captioned would not be able to represent the reality faithfully. The author made an experimental trial in this thesis how the communication process works successfully in a reality that photojournalists tried to represent and the way the audience decode it for the successful communication in photojournalism.

      • KCI등재후보

        미디어 텍스트에 대한 수용자의 힘과 그 한계

        이오현(Lee Oh-Hyeon) 한국방송학회 2002 한국방송학보 Vol.16 No.4

        본 연구는 의미생산에 있어서 수용자의 능동성을 강조함으로써 미디어 텍스트에 대한 수용자의 힘(자율성 또는 저항)을 일반화하는 경향을 보이는 최근의 수용자 연구의 지배적 흐름에 문제를 제기하고, 의미생산을 미디어 텍스트와 수용자간의 상호작용의 산물로 보는 수용자연구의 기본입장으로 돌아가 경험적 연구를 행하였다. 미디어 텍스트로 일일드라마 〈보고 또 보고〉를 선정하였고 15명의 여성시청자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참여자들은 일상생활에서의 각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드라마에 대한 자신들의 의미를 생산해내는 능동성과 드라마가 반영한 지배가치체계에 저항적이거나 대안적인 의미를 생산해내는 힘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참여자들이 생산한 다양한 해석들 중에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 것은 드라마가 반영한 지배가치체계를 궁극적으로 강화하는 해석들이었다. 이러한 참여자들의 해석들은 참여자들의 이데올로기적 한계와 드라마의 지배문화를 위한 헤게모니적 힘의 상호작용에서 기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의미생산에 있어서 수용자들의 능동성은 수용자들의 힘의 강화만이 아니라 미디어 텍스트의 힘이나 지배문화의 강화를 위해서도 작동하였고 미디어 텍스트는 단독적으로는 아니지만 수용자들의 의미생산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수용자의 능동성의 강조를 통해 미디어 텍스트의 영향을 간과하고 수용자의 힘을 일반화하는 경향은 재검토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questions the recent tendency of audience studies to generalize audiences′ agency over media text in meaning production through emphasizing audiences′ activeness. This research conducts an empirical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early audience studies that regards meaning production as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media text and audiences. For this, Can′t Take My Eye Off You, a Korean everyday television drama, is taken as media text, and depth interviews with 15 female viewers are execu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articipants produces various meanings of the drama through their individual and social experiences. They also makes meanings resisting the dominant meaning system However, overwhelming numbers of the meanings that the participants produce are to reinforce the dominant meaning system. The production of these meanings is primarily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limitation in discursive capacity and the drama′s hegemonic power for dominant culture. In short, we should think that audiences′ activeness works to empower not only audiences' agency but also media text or dominant culture, and that media text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process of meaning production although not indetendently but through interacting with audiences′ limitation in discursive capacity. As a conclusion, we should avoid to, depending on audiences′ activeness, generalize audiences′ agency over media text and to ignore the power of media text over the process of meaning production.

      • KCI등재후보

        성찰적 TV 수용의 한계

        양정혜(Yang Jung-Hye) 한국방송학회 2002 한국방송학보 Vol.16 No.1

        본 연구는 남녀 시청자들이 TV 드라마 여인천하 텍스트를 어떻게 해독하는지 살펴보았다. 교육정도가 다른 남녀 각각 15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드라마 속 남녀 권력관계를 해독하는 데 체계적인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봄으로서 저항적 해독과 지배적 해독을 둘러싼 논의에 실제 증거를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인터뷰와 참여관찰 결과 수용자는 텍스트 바깥의 지식이나 경험, 혹은 텍스트 내부의 규칙을 전용해 대안적 의미를 생산하기보다는 지배적 가치관이 내재된 기존의 해석들에 의존해 친숙한 의미들을 재생산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male and female audience decode the meanings of “Yo-In Chon- Ha” a popular Korean history drama. By so doing, the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ideological power of television. This study focused on gender as an important axis of inequal relations of social power. Through the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15 women and 15 men the study examines how the patriarchal ideology embedded in the text is decoded by different gender groups. Findings revealed that regardless of gender position, the audience read the drama from patriarchal point of view. The respondents felt uncomfortable about relationships in which female characters exert power over male characters. Male respondents employed the strategy of denying the reality of the drama itself, thereby refusing to admit female power. In evaluating the characters, the respondents relied heavily on morality, stereotypical gender roles, which enhanced the dominant world views. When the respondents have unique personal experience, oppositional readings occurred. but those cases were rare. Some respondents who have relatively less discourse resources fail to engage with the discourse of the programme enough to deconstruct or redefine it. This, however, is not a type of oppositional reading but another form of dominant reading in that by refusing to involve with the text, these respondents shape fragmented pictures of the world leaving them with little discourse resources.

      • KCI등재

        KBS 1TV 〈아침마당〉의 '부부탐구' 텍스트와 수용 분석

        정재철(Chung Jae-Chorl),김송희(Kim Song-Hee),제갈춘기(Chekar Choonkey) 한국방송학회 2003 한국방송학보 Vol.17 No.1

        이 연구는 텍스트가 어떤 방식으로 의미를 생산하며 어떻게 수용되는 가를 텍스트와 수용의 상호작용의 맥락에서 규명해 봄으로써 능동적 수용자론이나 수용자의 개인적 심리분석에 치중되어 온 수용이론을 접목하여 기존 수용자 연구전통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한편 보다 균형 잡힌 텍스트와 수용연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 토크쇼 〈아침마당〉 ‘부부탐구’ 코너의 텍스트와 홈페이지 시청자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부부탐구’ 텍스트는 장르, 상호 텍스트적, 이데올로기적 코드 등 의도적으로 배치한 일련의 장치를 통해 기존 가부장적 보수담론을 재강화하는 의미를 생산, 이를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청자의 수용을 매개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수용자의 부부관계에 대한 직ㆍ간접적인 경험과 진행자, 상담자에 대한 개인적 기대지평임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텍스트는 부분적으로 텍스트가 독자의 반응을 통제한다고 보는 이저(Iser)의 주장처럼 저자의 의도의 산물이며 시청자의 자율적 해독을 통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용분석은 수용자의 선경험, 기대지평과 공동저자들이 해독에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고 시청자의 의미수용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골격 혹은 비판적 해독에 영향을 주는 매개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This research is initiated from the problematics that the present audience theory is biased on active audience theory or text analysis so we attempt to integrate text and reception analysis.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the counseling program of married couple of 〈Achim Madang〉, representative audience participant talk program, which has offered discursive space to the issue considered as very private. We analyse audiences' opinion on this program in bulletin board of website of the program and discourse of it as well as its formality and characteristics as talk show. This research finds that the reception of audience is mediated by the in/direct experience of audience themselves and horizon of expectation on the Me and panelists. Text is the product of author's intention and it controls the reaction of audience but at the. same time, audience also shows the autonomy in interpretation.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양성애자를 재현하는 리얼리티 연애 프로그램의 함의: <좋아하면 울리는 짝!짝!짝!>에 관한 양성애자 시청자의 해독을 중심으로

        장서홍,박지훈 한국방송학회 2024 한국방송학보 Vol.38 No.4

        한국의 리얼리티 연애 프로그램에서는 드물게 <좋아하면 울리는 짝!짝!짝!>에서 양성애자의 서사가 주요하게 다루어졌다. 본 연구는 양성애자 시청자들이 국내 리얼리티 연애 프로그램에서 재현된 양성애를 해독하는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양성애자가 미디어와 사회에서 어떻게 위치하고 있는지, 이때 리얼리티 프로그램이라는 장르적 특성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논의한다. 참여자들은 양성애자가 과소재현되는 현실과 프로그램의 퀴어베이팅을 지적하며 양성애자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 재현을 우려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퀴어 인물과 서사로 당사자들의 갈증을 해소시키지만, 정상성과 이성애로 환원하는 것처럼 보이는 결말은 이성애규범주의를 강화할 수 있다. 그럼에도 이 프로그램은 현실성과 진실성을 표방하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을 통해 양성애자에 대한자연스러운 재현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 결과는 성소수자에 대한 고정관념 형성을 경계하고 성소수자의 다양한 삶과 차이를 충분히 검토한 섬세한 재현방식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In a rarity for Korean reality dating shows, the bisexual narrative in <Love Alarm Clap! Clap! Clap!> was featured prominently. This study analyzes the ways in which bisexual viewers decode the representation of bisexuality in domestic reality dating shows, discussing how bisexual individuals are positioned within media and society, and how the genre-specific characteristics of reality programs influence this process. Participants were concerned about the underrepresentation of bisexuals and the program’s queerbaiting, pointing to a distorted image of bisexuality. While <Love Alarm Clap! Clap! Clap!> quenches the thirst of the queer community by featuring queer characters and narratives, the conclusion, which seems to revert to normalcy and heteronormativity, can reinforce heteronormative ideologies. Nevertheless, this program holds significance as a natural representation of bisexuality through the genre-specific traits of reality programs, which emphasize realism and authentic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need for cautious portrayal that avoids reinforcing stereotypes about sexual minorities and calls for a more nuanced representation that thoroughly considers the diverse lives and differences within the LGBTQ+ community.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KBS 1TV <아침마당>의 '부부탐구' 텍스트와 수용분석

        정재철,김송희,제갈춘기 한국방송학회 2003 한국방송학보 Vol.17 No.1

        This research is initiated from the problematics that the present audience theory is biased on active audience theory or text analysis so we attempt to integrate text and reception analysis.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the counseling program of married couple of <Achim Madang>, representative audience participant talk program, which has offered discursive space to the issue considered as very private. We analyse audiences' opinion on this program in bulletin board of website of the program and discourse of it as well as its formality and characteristics as talk show. This research finds that the reception of audience is mediated by the in/direct experience of audience themselves and horizon of expectation on the MC and panelists. Text is the product of author's intention and it controls the reaction of audience but at the same time, audience also shows the autonomy in interpre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