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용자연구의 해독모델과 존 피스크에 대한 재평가

        김수정(Sujeong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0 언론과 사회 Vol.18 No.1

        본 논문은 문화연구 내 수용자연구를 비판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수용자연구의 이론적 논의를 활성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스튜어트 홀의 해독모델에서 주요 개념들이 지닌 모호성이 존 피스크의 이론적 개입 이후 더욱 증폭되어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을 국내 수용자연구들을 통해 점검하고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구체적으로는, ‘반대적 해독’과 ‘저항적 해독’의 개념을 명확히 구분하고, 수용자의 ‘능동성’의 의미를 천착하였다. 또한, ‘저항적 즐거움’과 ‘텍스트의 다의성’ 개념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고, 그 과정에서 피스크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하였다. 그 다음, 수용태도와 해독양식을 여러 상이한 수준에서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며, 이를 반영할 수 있는 통합적 분석틀이 어떤 것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수용자연구에서 수용자 해독을 분석할 때 흔히 발견되는 이데올로기 중심주의가 수용자의 다양한 의미를 이해하는데 오히려 장애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theoretical state of audience studies in cultural tradition and open the theoretical discussions for it. In critically reviewing Korean audience research,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ceptual problems embedded in Stuart Hall’s decoding model, which has been aggravated in the wake of John Fiske’s concepts. Specifically, this paper seeks to differentiate the concept of ‘oppositional reading’ from that of ‘resistant reading’, and clarify what it means by ‘activeness’ of audience. Furthermore, it attempts to rectify the misunderstanding of ‘the polysemy of text’ for the guarantee of audience autonomy or resistance, as if Fiske argued so. This paper also examines possible analytical frameworks which can accomodate various decoding modes and audience attitudes in the multi-dimensional levels of decoding. Finally, it criticizes the intellectual propensity of the over-emphasis on the ideological evaluation of audience readings found in Korean audience studies, which may set an obstacle in understanding audience’s various meanings.

      • KCI등재

        트랜스미디어 담론에 대한 집단지성론적 고찰

        김기홍(Kim, Ki-Ho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5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0

        젠킨스(Henry Jenkins)에 의해 재구성되어 유포된 트랜스미디어(Transmedia) 담론은 하나의 이야기 세계가 다양한 미디어를 넘나들며 확장되는 것을 의미하며, OSMU나 미디어믹스 등과의 유사성에 의하여 산업론적 관점에서 다루어진 경우가 많았다. 본 논문은 이 연구담론의 초기 기획의도를 중심으로 버밍엄에서 비롯된 서구 문화연구의 전통에서 이 담론을 고찰하고 의미 있는 시사점을 추출하고자 했다. 트랜스미디어 담론은 기존 문화연구의 능동적 수용자(active audience) 연구의 전통에서 출발하고 있으나, 비판이론적 연구 전통의 고전적 프레임인 미디어에 의한 권력 은폐문제와 수용자의 능동성 문제, 지배/피지배, 순응/저항 등의 이분법적 패러다임과는 다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레비(Pierre Levy)의 집단지성 개념에 크게 영향을 받아 수용자의 ‘능동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 가능성을 열고자 한것이다. 문화의 상품성에 대한 인정이나 고전적 문화연구의 주요 관심사였던 수용자의 ‘고유의 정치적 활동’ 가능성 등에 대한 논제들의 해명에서 레비의 영향이 도드라진다. 그러나 무엇보다 담론의 철학적 기저에 있어서 집단지성론은 특유의 유토피아적 접근을 통해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집단 참여를 새롭게 해석했다는 점에서 트랜스미디어 담론에 크게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미디어컨버전스와 트랜스미디어 담론의 배경에 대해 고찰하며, 디지털시대 미디어의 변화양상과 수용자에 대한 기본적 가정들을 살펴보았다. 이는 트랜스미디어론과 집단지성 개념에 의한 수용자 위치의 재규정으로 연계되어, 기존 문화연구의 맥락에서 행해졌던 연구의 전제와 시각을 기존으로 트랜스미디어 담론에서 제시하는 변화된 양상을 자세히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연구의 비판이론적 프레임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이러한 시각적 변화의 요구 내지는 실천에 대해 그 양상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특히 집단지성론이라는 철학적 기저에 대한 고찰을 통해 디지털미디어의 시대 수용자를 보는 새로운 연구 관점과 패러다임 변화에 대해 논의하며, 문화연구적 가치를 밝힘으로써, 관련 연구를 다양화하고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ransmedia has become a significant theme in the media studies sector and an academic discourse itself since its wide diffusion through Henry Jenkins" seminar book Convergence Culture. The aim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authentic intention of the proposer to understand its profound meaning and value in the research discourse. Firstly, Transmedia has originated as a part of the convergence culture research context, which is an identical approach in the "active audience" research tradition. Thus, a history of the research in terms of Birmingham Cultural Studies tradition and its implication is scrutinized. Secondly, in respect of Pierre Levy"s "collective intelligence" which mad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aking of the Convergence Culture and Transmedia Storytelling, the meaing of the transmedia discourse is studied. Thirdly and finally, the implication of this concept as a critical theory or Critique in the Cultural Studies tradition, which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 revelation of the binary oppositions and structures of dominance/resistance,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role of the collective intelligence idea in the transmedia discourse, is studied.

      •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나미수(Misu Na) 한국언론학회 200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 No.2

        본 연구는 수용자 연구에 대한 질적 연구방법으로 확산되고 있는 민속 지학적 연구의 특성과 경향을 살펴봄으로써 수용자 연구에 있어 민속지학적 접근방법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17편의 국내 민속지학적 수용연구사례에 대한 검토를 통해 민속지학적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살펴보았는데, 특히 분석대상 논문들의 연구 참여자 및 연구대상 매체, 이론적 논의와 방법론 그리고 연구 경향 등을 분석, 평가해 보았다. 분석결과 이들 연구사례에서 나타난 몇 가지 공통된 방법론적인 문제들로는 연구방법 선택의 근거나 타당성, 그리고 연구 설계와 절차에 대한 설명이 미비하고 연구자 관여와 같은 방법론적 이슈 및 성찰성에 대한 논의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내 민속지학적 수용연구의 경향을 크게 텍스트 해독 연구, 미디어 소비 연구, 하위문화 연구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텍스트 해독 연구는 전반적으로 텍스트 자체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해독문제를 사회적인 과정으로 연결시키지 못하고 있음에 따라, 미디어 수용행위가 포함된 수용자의 일상생활 구조에 대한 복합적인 이해라는 민속지학적 속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디어 소비 연구와 하위문화 연구사례들에서 텍스트의 문제에서 맥락(context)의 문제로 관심의 비중이 이동하면서 하나의 사회적 과정으로서 미디어 수용행위를 둘러싼 일상생활 맥락을 분석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엿보이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경향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 연구들에 대한 반성과 함께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의 방법론적 쟁점을 실증주의 관점과 인류학적인 민속지학으로부터 제기되는 문제를 중심으로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가 갖는 의미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This article trie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an ethnographic approach in the field of media audience studies.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reviewed 17 studies which conducted ethnographic audience research, and which were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from 1994 to 2005. As a result, those studies tended to take little notice of methodological issues such as the effect of the presence of the researcher and informants' interaction with the researcher, the discussion of research design and procedures, and self-reflexivity. Also, a few studies applied triangulation considered important to secure the validity of qualitative research, while most of the studies employed interview alone as a method. In addition, the research trend of those ethnographic audience studies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at is, audience interpretation of text, media consumption and sub-culture study. The studies on text interpretation neglected to understand media reception in the context of audiences' daily life, showing a text-centered tendency. However, research focus, particularly in studies on media consumption and sub-culture study, moved from text to context in which media reception as a social process was analyzed in the context of everyday life. Finally, this article, on the basis of review on 17 studies, discussed methodological issues which have been particularly criticized from the perspectives of positivism and anthropological ethnography.

      • KCI우수등재

        문화이론을 활용한 문화콘텐츠학의 수용자 질적 연구방법론

        김소영 인문콘텐츠학회 2022 인문콘텐츠 Vol.- No.66

        바야흐로 현대사회는 디지털 미디어를 기반으로 문화콘텐츠의 생산·전달·향유의 방식이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수용자 혹은 향유자의 역할 변화이다.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상, 수용자라는 용어 자체를 재검토해야 할 정도로 그것의 능동적 참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주지하듯 수용자 연구는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나, 본고는 문화이론을 활용하여 문화콘텐츠학에서 수행 가능한 수용자의 질적 연구방법론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활용할 문화이론은 다음과 같다. 하나는 사회구조 속에서 자아의 두 가지 역할을 논증한 조지 허버트 미드(Goerge H. Mead)의 ‘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actionism)’이며, 다른 하나는 내부적 상호작용(intra-action)으로 존재화되는 개체들의 얽힘을 강조하는 캐런 바라드(Karen Barad)의 ‘행위적 실재론(agential realism)’이다. 본 연구는 상기한 양자의 동시 활용을 전제로 한다. 이는 복수의 방법론적 도구를 단순히 혼용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다중 자아와 비인간적 요소의 역할 등과 같은 사회적 맥락을 고려한 복합적 연구방법이라 할 수 있다.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단일한 수동적 수용자에서 복수의 능동적 수용자로의 전환을 뒷받침할 것이며, 행위적 실재론은 새로운 독립체로서 수용자의 존재론적 위상과 상호 작용을 규정하는 데 활용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내용은 급격히 변화하는 기술 중심 시대 문화콘텐츠 수용자의 변화에 주목하고, 문화콘텐츠학의 관점에서 차별적인 연구 방법론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문화이론을 활용한 문화콘텐츠학의 질적인 수용자 연구는 문화콘텐츠를 표면적 결과물이 아닌, 한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와 시스템을 반영한 통합적 접근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문화콘텐츠학의 수용자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문화콘텐츠, 수용자’라는 세 층위가 교차되며 간섭하는 환경을 다각적으로 논증하는, 에드가 모랭(Edgar Morin)의 표현대로 지식의 연쇄적 재조직인 ‘지식의 재패러다임화’, 이른바 ‘복잡성 학문(complexity discipline)’을 지향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문화이론을 통한 문화콘텐츠학의 수용자 연구가 타 학문의 그것과 차별화된 지점이다. Recently cultural contents industry is rapidly changing based on digital media.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is situation is the change in the role of the consumer. This is because, due to the nature of digital media, active participation in it is made to the extent that the term itself needs to be reexamined. As is well known, researches on consumers have been mostly conducted in media and communication areas. However this paper intends to propose a qualitative research direction for complex consumers that can be performed in cultural content studies using cultural theories. The cultural theories to be used specifically are as follows. One is Goerge H. Mead’s symbolic interactionism, which argues for the two roles of the ego in social structure, and the other is Karen Barad’s agential realism which made into existence as an intra-action that emphasizes the entanglement of objects that become. This study is not a simple mixing of multiple methodological tools, but a complex research method that takes into account social contexts such as the role of multiple selves and inhuman factors in the digital media era. First, symbolic interactionism will support the transition from a single self of passive consumer to a plurality selves of active consumers, and agential realism will be utilized to define the ontological status and interaction of the consumer as a digital entities. As such, th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onsumers of cultural content studies using cultural theories can be said to be an integrated approach that reflects all elements and systems constituting a society, rather than a superficial result of cultural content. Therefore, research on consumers in cultural contents studies is different from ‘reparadigmization of knowledge’, which is a chain reorganization of knowledge, which argues in multiple ways that the three layers of ‘digital media, cultural contents, and audience’ intersect and interfere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it should aim for a ‘Complexity discipline’. This is the point that differentiates the research on consumers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through cultural theories from those of other studies.

      • KCI등재후보

        미디어 텍스트에 대한 수용자의 힘과 그 한계

        이오현(Lee Oh-Hyeon) 한국방송학회 2002 한국방송학보 Vol.16 No.4

        본 연구는 의미생산에 있어서 수용자의 능동성을 강조함으로써 미디어 텍스트에 대한 수용자의 힘(자율성 또는 저항)을 일반화하는 경향을 보이는 최근의 수용자 연구의 지배적 흐름에 문제를 제기하고, 의미생산을 미디어 텍스트와 수용자간의 상호작용의 산물로 보는 수용자연구의 기본입장으로 돌아가 경험적 연구를 행하였다. 미디어 텍스트로 일일드라마 〈보고 또 보고〉를 선정하였고 15명의 여성시청자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참여자들은 일상생활에서의 각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드라마에 대한 자신들의 의미를 생산해내는 능동성과 드라마가 반영한 지배가치체계에 저항적이거나 대안적인 의미를 생산해내는 힘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참여자들이 생산한 다양한 해석들 중에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 것은 드라마가 반영한 지배가치체계를 궁극적으로 강화하는 해석들이었다. 이러한 참여자들의 해석들은 참여자들의 이데올로기적 한계와 드라마의 지배문화를 위한 헤게모니적 힘의 상호작용에서 기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의미생산에 있어서 수용자들의 능동성은 수용자들의 힘의 강화만이 아니라 미디어 텍스트의 힘이나 지배문화의 강화를 위해서도 작동하였고 미디어 텍스트는 단독적으로는 아니지만 수용자들의 의미생산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수용자의 능동성의 강조를 통해 미디어 텍스트의 영향을 간과하고 수용자의 힘을 일반화하는 경향은 재검토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questions the recent tendency of audience studies to generalize audiences′ agency over media text in meaning production through emphasizing audiences′ activeness. This research conducts an empirical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early audience studies that regards meaning production as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between media text and audiences. For this, Can′t Take My Eye Off You, a Korean everyday television drama, is taken as media text, and depth interviews with 15 female viewers are execu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articipants produces various meanings of the drama through their individual and social experiences. They also makes meanings resisting the dominant meaning system However, overwhelming numbers of the meanings that the participants produce are to reinforce the dominant meaning system. The production of these meanings is primarily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limitation in discursive capacity and the drama′s hegemonic power for dominant culture. In short, we should think that audiences′ activeness works to empower not only audiences' agency but also media text or dominant culture, and that media text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process of meaning production although not indetendently but through interacting with audiences′ limitation in discursive capacity. As a conclusion, we should avoid to, depending on audiences′ activeness, generalize audiences′ agency over media text and to ignore the power of media text over the process of meaning production.

      • KCI등재

        인터넷과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

        조영한(Young-Han Cho)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1 No.-

        본 연구는 인터넷에서 발생하는 문화적 실천 및 현상, 그리고 사회적 담론의 생성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인터넷 에스노그라피(Internet Ethnography)를 제안하고, 방법론으로서의 인터넷 에스노그라피의 이론적 그리고 실천적 측면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문화연구 내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의 흐름을 점검하고, 두 번째로 온라인 공간에 대한 개인적인 연구 경험과 성찰을 통해 구체적인 인터넷 에스노그라피의 방법론을 설계해 본다. 특히 인터넷 에스노그라피를 설계하는 연구자의 위치, 현장과 주체라는 연구대상, 그리고 연구 과정 가운데 부딪히는 실질적 난관과 재현성이라는 세 영역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통해 인터넷 에스노그라피가 인터넷 공간에서 발생하는 수용자의 일상적 실천, 문화적인 요소들, 그리고 그곳에서 생성되는 담론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연구 방법임을 제안한다. 궁극적으로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가 미디어 텍스트의 이데올로기 그리고 수용자의 반응에 관한 연구를 넘어서 인터넷 공간을 통하여 매개되는 한국 사회의 문화적 현상과 국면적 이슈들에 관한 연구로 나아가야 함을 주장한다. Given the new media landscape precipitated by new technologies, I suggest Internet ethnography as an appropriate methodology for observing and making contacts with people who use the Internet as a venue not only for media consumption but also for interaction with others. Firstly, I review several academic trends which employ ethnography as their major methods both in Western and Korean academic contexts. Based my experiences both on the process of deciding the online community as my research subject and on my several researches on it, secondly, I explore three key questions of conducting ethnography on the Internet: the roles of ethnographers in the Internet, the natures of Internet space as the field site, and practical and representational issues in conducting ethnography on the Internet. Conclusively, I suggest that ethnographic intervention in the Internet is not only an efficient method of unraveling how people are engaged with the media technologies in their daily lives, its uses are imperative.

      • 문화이론을 활용한 문화콘텐츠학의 수용자 연구에 관한 제언

        김소영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2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6

        바야흐로 현대사회는 디지털 미디어를 기반으로 문화콘텐츠의 생산·전달·향유의 방식이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수용자 혹은 향유자의 역할 변화이다.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상, 수용자라는 용어 자체를 재검토해야 할 정도로 그들의 능동적 참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주지하듯 수용자 연구는 커뮤니케이션학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나, 본고는 문화이론을 활용한 문화콘텐츠학의 융·복합적 수용자 연구 방향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활용할 문화이론은 상호작용과 커뮤니케이션으로 형성되는 자아의 역할을 논증한 조지 H. 미드(Goerge H. Mead)의 ‘상징적 상호작용론(symbolic interactionism)’과, 내부적 상호작용(intra-action)으로 존재화되는 개체들의 얽힘을 강조하는 캐런 바라드(Karen Barad)의 ‘행위적 실재론(agential realism)’이다.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단일한 수동적 수용자에서 복수의 능동적 수용자로의 전환을 뒷받침하며, 행위적 실재론은 새로운 독립체로서 수용자의 존재론적 위상과 상호작용을 규명하는 데 활용된다. 문화이론을 활용한 문화콘텐츠학의 질적인 수용자 연구는 문화콘텐츠를 표면적 결과물이 아닌, 한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와 시스템을 고려한 통합적 접근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문화콘텐츠학의 수용자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문화콘텐츠, 수용자’라는 세층위가 교차되며 간섭하는 환경을 논증하는 지식의 연쇄적 재조직인 ‘지식의 재패러다임화(reparadigmation)’, 달리 말해 ‘복잡성 학문(complexity discipline)’을 지향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문화이론을 통한 문화콘텐츠학의 수용자 연구가 타 학문의 그것과 차별화된 지점이다.

      • 음악방송과 인공지능의 협업 : 엠넷 AI 음악 프로젝트 <다시 한번> 수용자 연구

        이지이(Lee, JiYi) 아시아문화콘텐츠연구소 2021 문화·경영·기술 Vol.1 No.1

        이 글은 대중가요를 다루는 음악방송에서 인공지능의 협업의 성과인 엠넷 AI 프로젝트 <다시 한번>이 수용자들에게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 라는 연구 문제를 시작으로 첫째, 수용자는 공연콘텐츠의 요소로서 감정적 유대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 둘째, 수용자는 자신의 기억을 소환하거나 기억을 생성하는 방식으로서 노스탤지어를 수용하는가. 셋째, 수용자는 보는 음악, 공연콘서트에서의 인공지능의 영향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자전적 수용자 입장의 참여 관찰과 방송 내 방영을 위한 랜선 콘서트에 자발적 참여 의사를 보인 관객들, 적극적 수용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하였다. 인공지능의 성장과 공연콘텐츠로의 활용, 홀로그램이라는 매개로 인한 수용자들이 느낀 감정 등이 어떤 영향을 끼쳤으며 4차 산업에서 대중가요 관련 공연콘텐츠는 어떤 변화와 수용을 거듭할지에 대해 연구해보았다. 본 연구로 인해 인공지능이 대중가요와 공연콘텐츠에서 얼마나 활약할 수 있는지에 대한 수용자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데 일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How did the Mnet AI project Once again affect viewers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popular music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irst, starting with the research question, do you think emotional bonding is necessary as an element of performance content? Second, do viewers accept nostalgia and memory as a way of reviving them or creating them? Third, viewers learned how they felt about the eff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t music and performance concerts they saw.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methodology. In-depth interviews were held for viewers and audience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online concerts with the aim of participating in autobiographical inmates and broadcasting. It studied how the growth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use of it as performance content, and the emotions of inmates due to hologram media affected the change and acceptance of performance contents related to popular music in the fourth industry. I think this study will help broaden participants perspectives on how much artificial intelligence can play in popular music and performance content.

      • KCI등재

        “내가 좋아하는 먹방 BJ는요……”

        문영은(Young Eun Moon),심지수(Ji Soo Shim),박동숙(Dong Sook Park)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7 언론과 사회 Vol.25 No.2

        2000년대 후반 인터넷방송이 유행함에 따라, 새로운 방송 콘텐츠인 ‘먹방’이 등장했다. 면대면 형식으로 많은 양을 차려놓고 먹는 BJ 먹방은 이제 하나의 고유한 방송 콘텐츠로 자리매김하였다. 먹방에는 전통미디어 콘텐츠의 인기요소-아이돌 스타의 출연, 화려한 영상미, 스토리의 개연성 혹은 흡입력 있는 각본과 같은 요인들이 전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먹방 콘텐츠가 젊은 세대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끄는 이유는 무엇인가? 수용자들로 하여금 지속적으로 먹방 콘텐츠를 소비하도록 만드는 원동력은 어디에서 오는가? 이러한 현상을 탐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유튜브로 BJ 먹방 콘텐츠를 시청하는 20∼30대 남녀 수용자 14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왜 먹방을 보는가?”라는 초기의 질문에서 시작된 연구는 인터뷰가 진행됨에 따라 수용자와 BJ의 상호작용에 주목하게 되었고 최종적으로 “수용자는 BJ를 통해 어떻게 몸매강박에 대한 위안을 얻는가?”라는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먹방 시청 현상에 대한 해석 작업을 시도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날씬한 몸매를 유지해야 한다는 사회적 억압을 자연스레 개인화된 부담으로 떠안고 있었으며, 그러한 억압은 이들로 하여금 음식과 식욕을 늘 절제의 대상으로 여기게 하였다. 따라서 이들은 비정상적으로 엄청난 양과 금기시된 고열량의 음식을 태연하고도 맛있게 먹어 주는 BJ를 통해 몸매 유지를 강요하는 사회에 대리적으로 저항해 주기를 기대했다. 그와 동시에 수용자들은 자신들이 통제하기 쉬운 순하고 착한 캐릭터의 BJ를 선호하였는데 이는 역할전이를 통해 그들을 통제하고 감시함으로써 자신들에게 가해진 통제와 억압으로부터 일시적이나마 벗어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들은 BJ와의 가상적 관계를 통해 BJ에게 사회적 억압에 저항할 수 있는 권리를 이양하고 가해자의 역할을 맡아 봄으로써 일시적 위안을 얻기도 하지만, 결국 본인은 식욕을 참음으로써 몸에 대한 억압에 순응하는 모습을 보이며 다시 자발적으로 억압의 굴레로 되돌아가고 있었다. 역설적이게도 연구 참여자들에게는 BJ를 통한 대리적 저항과 나에게도 부여된 통제권을 즐길 수 있는 BJ 먹방 시청 시점이 또다시 순응적으로 몸매관리 프로젝트에 자발적 참여를 재개하게 되는 새로운 출발점이 되었다. With the rise of internet broadcasting in the late 2000s, a new form of broadcasting content called “Mukbang” became very popular in South Korea. Mukbang is a form of online broadcasting content in which the broadcasting jockey (BJ) consumes large quantities of food while interacting with his or her audiences. It has become a distinctive and popular style of broadcasting content in South Korea. It lacks the usual entertainment factors of traditional media content such as the casting of celebrities, sophisticated filmography, plausible storyline, or an addictive plotline. Nevertheless, Mukbang is extremely popular, which brought us to two interesting questions: “Why has Mukbang become so popular in South Korea?” and, “What is the driving force behind Mukbang that attracts the audiences to view it repeatedly?” To explore this phenomenon, this study focuses on the specific situations and contexts in which interactions between Mukbang audience members and BJs occur. This is a qualitative research that utilizes in-depth interviews to examine 14 people in the 20∼30 age group who watched Mukbang BJs on YouTube. Focusing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Js and viewers as the interviews proceed, the central research question is, “How are the audiences vicariously comforted through BJs while audiences themselves are enduring their appetites to stay ‘fit’?” All research participants were under the social oppression of maintaining slim figure that Korean culture demands, hence treating food and appetite as subjects of abstinence. Therefore, participants regarded the BJs-who consumed large quantities of food and inordinately high calories without a care in the world-as a proxy who would revolt against the social norm that forced abstinence of food consumption. Simultaneously, the viewers preferred BJs who are kind, gentle, polite and easily manipulated, as the viewers were able to temporarily forget about their oppressed status by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BJs, putting the audiences themselves on the other side of oppression. However, though viewers obtained momentary satisfaction via this virtual relationship, the viewers returned to the brink of oppression at the end of the program. Paradoxically, for audience, the most intriguing part of watching Mukbang-which includes vicarious resistance through BJ and retaining control and power over the BJ-was inversely creating a new starting point for their voluntary participation in maintaining a slim figure as mandated by the societal norm.

      • <신기생뎐> 수용자의 즐거움에 대한 연구

        최지희(Choi Ji Hee) 동서언론학회 2013 동서언론 Vol.16 No.-

        선정적이고 비상식적인 소재를 다루거나 개연성 없는 스토리 전개를 보여 주는 텔레비전 드라마를 막장 드라마 라고 표현한다 이러한 막장 드라마는 비판을 받으면서도 대부분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인기리에 방영된다. 본 연구는 수용자들이 왜 막장드라마를 욕하면서도 보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에서 시작하여 수용자들은 막장드라마를 어떻게 해독하고 어떠한 즐거움을 느끼고 있는지 <신기생뎐> 의 수용자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수용자들이 드라마를 선택할 때 드라마 작가에 대한 개인적인 선호도가 크게 작용하고 있으며 작가에 대한 기대감이 드라마에 대한 기대감으로 연결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용자들은 개개인의 경험과 관련하여 세분화된 즐거움의 층위를 발견하고 재미를 느끼고 있었다 하지만 드라마가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 을 보여주고있고 수용자들이 그러한 부분에 대해 수긍하고 인정하는 점은 수용자들의 적극적인 드라마 해독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수용자들이 텔레비전 드라마를 선택하고 드라마의 장르적 특성을 인식하는 데 있어서 드라마 작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히고 수용자들이 작가주의적 관점으로 드라마를 수용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는 점 그리고 수용자가 드라마를 통해 느끼는 즐거움의 층위가 다양하다는 것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Television dramas that have their grounds on suggestive contents and storytelling with no ties to probability or causality are called "Mak-jang dramas". Notwithstanding the criticism, most of those "Mak-jang dramas" receive popularity and have high viewing rates when aired. This study wanted to show how audiences understand and feel when watching such dramas by interviewing audiences of Sin-gisaeng-jeon, starting from the primary issues that they watch them with complaining. In a research, it shows that when audiences choose drama they usually prefer the drama which was written by their favorite drama writer, and even more, the expectancy with the writers are linked with the expectancy with the drama. Also they find themselves entertained based on specific joy in their individual experiences. But when drama reflects "roll of women in patriarchy society", the point that most of the audience agree and admit shows limitation of audience"s active participance. This study has meaning because it shows that drama writers have important roll for audiences to choose what drama they should watch, discovers the fact that they accept these dramas in concept of "auteurisme", and finds out that audiences have variety of layers of joy in watching dram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