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로수용소의 설치 및 해제와 주민들의 고통: 제주 통영을 중심으로

        전갑생 ( Jeon Gab-seang ),김민환 ( Kim Min-hwa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8 탐라문화 Vol.0 No.58

        본 연구는 제주도와 통영에서 토지 수용과 수용소 건설 과정을 통해 주민들의 소개, 소개민 수용소 생활, 복귀 및 복구 등 주민공동체 변화가 어떻게 이뤄졌는지 검토했다. 첫째, 포로수용소가 어떤 과정을 통해 설립되고 건설되는지를 분석했다. 두 지역은 후방지역이며 음용수의 수급이 원활하고 섬이라는 공통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제주도는 이미 포화상태의 피난지이며 제1육군훈련소와 두 곳의 비행장을 보유하고 있었다. 통영군 용초와 봉암(지금의 추봉도)은 거제도와 가까운 거리에 있었지만 군사기지가 없는 전형적인 어촌이었다. 둘째, 포로와 피난민 정책의 변화에 따라 기존 민간인들이 거주하는 지역에 포로수용소와 소개민 수용소가 동시에 설립되는데, 이 과정에서 일어난 토지 수용과 주민공동체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1952년 4월 이후 포로 재분류에 따라 여러 지역에 새로운 수용소가 건설되었다. 하지만 수용소 추가 건설은 기존 민간인들을 ‘강제 소개’해야 하는 문제를 낳았다. 토지수용 과정에서 발생한 이주와 이산은 주민공동체 변동을 가져 올 수밖에 없었다. 셋째, 소개민들의 복귀와 복구 및 배상 문제에서 토지수용과 공동체가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분석했다. 휴전협정 체결 전후 포로교환이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소개당한 주민들은 다시 복귀해 마을을 복구해야 했다. 주민들은 국방부에 강제 수용된 토지를 ‘해제’하고 보상할 것을 요구했다. 소개민들의 복귀와 복구, 보상 문제는 토지수용과정에서 낳은 여러 난제가 한꺼번에 터져 나오는 계기로 작용했다. 두 지역의 토지수용 과정과 반환과정을 알 수 있는 토지대장, 주민들이 소장한 징발해제 관련 자료, 소개 주민들의 구술 등을 활용해 토지수용과 반환 과정에서에서 발생한 공동체 변화 등을 현재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residential communities such as the evacuation of residents, evacuatees’ camp life, their return to homes, and recovery through the expropriation of land and camp construction in Jeju-do and Tongyeong. First, this study will analyze how POW camps are established and constructed and examine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commonalities of wartime prisoners in Jeju and Tongyeong, which are both rear areas with drinking water and island. Jeju-do was already saturated with refugees and had Command Center of the 1st Army Training Center and several airfields, rather than logistics base to support large-scale foremost troops. In contrast, Yongcho and Pongam (presently Choobongdo) in Tongyeong were typical fishing villages without a military base although they were close from Jeju. Second, wartime prisoner and evacuatees’ camps were installed at the same time in the existing civilian residences with the changes of POW and refugee policy, inevitably causing land expropriation and changing the residents’ community. After April 1952, POW and refugee camps were built in many places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of wartime prisoners but setting up additional camps brought the issue of having to forcefully evacuate the existing residents. Migration and separation of families caused during land expropriation could inevitably change the residents’ community. Third, this paper will analyze what changes that expropriation of land and community brought during the evacuatees’ return, recover, and compensation. Residents who were forced to evacuate near the end of POW exchange after signing the armistice treaty returned to their hometown and recover the village. The residents demanded the release of land expropriated by the Ministry of Defense and to give them compensation. The issues of evacuatees’ recover, and compensation caused the various difficulties during the land expropriation of land to explode at once. Overall,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analyze the changes of communities during the expropriation of land in the military facilities of two areas based on the land registers, land release data owned by the residents, and the talks of evacuated residents from the present perspective.

      • 폴란드 수용소 문학(Literatura Obozowa)에 나타난 역사적 현실의 미학적 구현방식에 관한 연구 (1) : 나치 수용소를 다룬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최성은(Choi Sung Eun)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10 동유럽발칸학 Vol.12 No.1

        나치즘과 공산주의라는 두 전체주의가 충돌한 폴란드 땅에서 탄생한 ‘수용소 문학’(나치 수용소 및 소비에트 강제 노동수용소 관련 문학)은 과거를 기억하는 방식과 미적인 체험의 양식이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고찰해 볼 수 있는 독특한 장르이다. “아우슈비츠 이후 시(詩)를 쓴다는 것은 비인간적이다”라는 독일의 사회철학자 아도르노(T.W. Adorno)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바로 그 아우슈비츠의 현장, 폴란드에서는 유대인 학살과 집단수용소를 소재로 한 문학작품들이 꾸준히 집필되어져 오며 그 맥을 이어왔다. 이 연구는 나치 수용소를 테마로 한 다양한 장르의 문학작품들을 살펴봄으로써 아우슈비츠 이후 폴란드에서 문학은 어떤 방식으로 존재해 왔는지, 저항적인 행동주의와 예술적 결실의 조화는 가능한 것인지를 진단해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폴란드에서 나치 수용소 및 유대인 학살을 예술적으로 형상화한 작품들은 시, 소설, 수필, 에피소드, 우화, 대담록, 체험수기, 전기, 자서전, 일기, 회고록 등 다양한 형태를 빌려 서술되었다. 수용소 문학의 경우 픽션과 논픽션의 경계가 무너지고, 허구와 진실 사이의 단선적 구분이 와해되면서 일반적인 장르론의 분류 기준이 엄격히 적용되지 않는다는 특징을 나타낸다. 또한 폴란드에서 나치 수용소를 소재로 한 문학 작품은 작가가 직접 수용소를 체험하고 실상을 고발한 체험 문학과 자료 및 문헌 조사와 인터뷰 등을 바탕으로 문학적 상상력을 통해 재구성한 비체험 문학으로 나눌 수 있다. 수용소 문제에 있어 ‘방관자’ 혹은 ‘목격자’이면서 ‘제 3의 생존자’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또 다른 희생자’에 해당하는 폴란드의 특수한 현실은 아우슈비츠를 다룬 문학 작품에서 보다 객관적인 서술과 입체적인 시각을 가능케 했다. 개별적인 수용소 체험 여부를 초월하여 상당수의 폴란드 문인들은 수용소 및 집단학살 문제를 다룬 일련의 문학작품들을 꾸준히 집필했고, 그 속에서 역사성과 예술성의 조화를 모색하는 전후 폴란드 문학의 새로운 모형을 창출해냈다. 특히 유대인 출신이 아닌 폴란드 작가들이 쓴 수용소 관련 기록들은 피해자의 증오가 빚어내는 감상적인 서술에서 한 발자국 물러남으로써 ‘정형화된 기억’을 새롭게 재편하고,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Nazi concentration camp literature in Poland can be divided into Experience literature and Non-experience literature. Experience literature is a work written by a writer who has direct experience in the concentration camp, informing the reality of the place. Non-experience literature is a work written by a writer who restructured the facts through his or her imagination based on data, documentary investigation, interviews, and so on. 1. Nazi concentration camp literature written by Jewish-Polish writers based on experience: The outstanding characteristics of writers who have experience the Nazi concentration camp is ‘documentary character’ emphasizing ‘examination of truth’. Writers who directly experienced the concentration camp endow absolute value with historical character, accuracy of description, realism in depiction while in their narration. It is because they cannot help being serious as alive historical witnesses thinking that literal imagination can distort history. Documentary character and realism are actually important elements which 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ion camp literature. They also focus on promoting ‘solidarity of memory’. However, the point which should not be disregarded when analyzing Jewish writers' works regarding the concentration camp is that their works should not be regarded as wholly realistic and objective simply because of the fact that they had direct experience. Memory of an individual is always optional, therefore, the survivor's reproduction by his current memory may supposedly be diverged from the original “truth”. If literature is viewed by wholly relying on the view of the victim, it cannot overcome the limit of personal experience, and eventually, history can be interpreted in a limited way and it might fail to arouse common sympathy. 2. Nazi concentration camp literature written by Polish writers not based on experience: Polish writers wrote their works through imagination based on interviews with survivors regarding experience as witnesses, related records, and so on. Such works offers various possibilities for approach concerning problems of concentration camps through fiction, but if imaginations are thoughtlessly used, it contains danger of distorted facts in the works being accepted as truth. Instead, they become meaningful in the fact that prejudiced subjectivity, blind victimized state, or deification of certain groups can be cautioned. Among the concentration camp works by Polish writers, Z. Nałkowska's『Medallions』(1947) or T. Nowakowski's 『Concentration camp of all saints』(1957) attach importance to the value of ‘witness’ and ‘accusation of reality’ as much as works by Jewish writers. They tried to contribute to thorough examination of truth as witnesses who witnessed the brutality of the Nazi. Additionally, regardless of genre, most works criticize the immoral actions of Polish people who could not help supporting the Nazi to survive,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morally reflect themselves as Polish people who could not help being an “observer”. The terrible memory of the Holocaust goes through “a period of testimony”, “a period of condolence” and “a period of history” and finally reaches “a period of reconciliation”. The II World War and the Auschwitz raised an extreme tension not only between reality and literature, but also between history and art.

      • KCI등재

        수용자의 탄생과 경험: 독자, 청취자, 시청자 : 다중 미디어 시대의 기막에 관한 시론적 연구

        임종수(Jongsoo Lim)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0 언론정보연구 Vol.47 No.1

        이 글은 수용자의 탄생과 그를 둘러싸고 존재했던 수용자의 정체성 논의, 그들의 고유한 경험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미디어 수용자, 그들은 누구이고 어떤 고유한 경험적 실체를 가지고 있는가? 이들 각기 다른 수용자에는 어떤 흐름이 존재하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수용자를 이해함은 물론 근대성을 규명하는 좋은 방법 중의 하나이다. 근대사회는 이른바 ‘읽고’, ‘듣고’, ‘보는’ 수용자들의 인지와 경험이 개인적 삶은 물론 사회적 담론과 의미결정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먼저 서구사회에서 오랫동안 유지해 왔던 미디어 수용자에 대한 담론을 살펴본다. 그런 다음 우리 사회에서 독자, 청취자, 시청자의 탄생과정과 경험, 그 의미를 살펴본다. 논의 시기는 일제 식민시기에서 조국 근대화 프로젝트가 나름 성과를 보이고 텔레비전이 전성기에 이르던 1970년대까지가 될 것이다. 이를 토대로 이 연구는 미디어 수용자의 다중 미디어 이용성, 다시 말해 수용자들이 일상의 매체에 어떤 궤적으로 서로 접했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여기에서 다층적 미디어 소비에 있어 수용자-문화자본의 위계화와 개인화의 논리를 설명할 것이다. This paper would like to speak about the births of audiences, reader-listener-viewer, the identity discourse and their unique experiences. Who are the media audiences, and what do they keep the specific experimental reality? What flow do they have? Answering to this question, it will be a good way to not only understand the audiences but also examine the modernity closely. Because cognition and experiences of audiences reading, listening, viewing in modern society have intimately connected with social discourse and meaning determination as well as individual ways of life. Firstly, this paper examines the discourse of media audiences in western society keeping with for a long time. Next, we will consider the births, experiences and the meanings of reader, listener, viewer in our society. Periodically, it would be from Japanese Colonial Era, 1910-1945 to 1970s, when the national-modernization project had nearly accomplished and come to the television golden age. Especially, it will be a core period when each medium was firstly emerged and had popularity. This study will ultimately turn toward argue upon the multiple media usability, how the audiences have articulated with these media. Here, we will explain the logic of the audience-cultural capital hierarchy, individualization in multiple media consumption.

      • FTA와 토지보상법제

        황지은 한국토지보상법연구회 2016 土地補償法硏究 Vol.16 No.-

        수용과 동등한 효과를 초래하는 정부의 규제행위로 인하여 투자자가 손실 을 입은 경우 이를 보상하도록 하는 간접수용은, 지금까지 우리 법에 규정된 바가 없는 개념이라는 이유로 세계 최대시장과의 무역협정인 한미 FTA 체결 과정에서 가장 문제가 된 이슈 중 하나이다. 이러한 간접수용의 개념은 미국 의 규제적 수용으로부터 유래되어 그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아 오늘날 각종 투자협정에서 널리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간접수용의 개념은 정부의 규제행위가 보상을 요하지 않는 규제권 의 범위에 속하는 것인지 아니면 보상을 요하는 것인지의 문제를 다루고 있 다는 점에서, 우리 헌법 제23조 제3항과 접점을 가지고 있다. 한미 FTA에서 도 간접수용을 판단하는 기준에 우리 헌법의 재산권의 사회구속성과 공용침 해를 구별하는 기준인 ‘특별한 희생’을 추가하고 있으며, 헌법재판소의 결정 에서 제한으로 인하여 현저한 재산적 손실이 발생한 경우 원칙적으로 사회적 제약의 범위를 넘는 수용적 효과를 인정하여 이에 대한 보상을 하여야 한다 고 한 것 또한 간접수용과 공용제한이 크게 다르지 않음을 뒷받침한다. 또한 한미 FTA의 발효로 우리 사법부가 간접수용에 대한 보상문제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법체계를 통해 이에 대한 보상의 근거, 기준, 방법과 수단, 불복절차 등의 적용에 관하여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간접수용에 대한 보상문제를 근본적이고 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서는 우리 보상법제, 특히 보상법제의 근간을 이루는 토지보상법제도가 글로 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방향으로의 변화를 모색하여야 할 시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공시지가제도, 매수청구권 제도 등을 국제적인 기준에 부합하도록 정비하고, 토지수용위원회의 역할 확대를 통해 외국인투자자의 손실보상에 대한 재결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국제법 및 국제관계 분야의 전문가를 포함 시켜 전문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Indirect expropriation is aimed at giving compensation to investors who suffer damages from governmental regulatory measures that bring in effects equivalent to expropriation. As the concept of indirect expropriation has not been stipulated by Korean laws, it was the most thorny issue during the negotiations for the Korea-United States free trade agreement. Indirect expropriation, derived from the U.S. regulatory expropriation and largely affected by its cases, has been widely acknowledged by a number of international investment pacts. The concept of indirect expropriation handles the issue whether or not the government has the right to regulate without compensation. At this point, indirect expropriation meets the Korean Constitution Article. 23. (3). The KORUS FTA adds a new concept - 'special sacrifice,' a criterion that distinguishes social binding of property rights and eminent domain. It also requires the government to compensate investor for their losses that exceeds what they should be expected to endure for public interest due to a decision by the Constitutional Court. These show that the concepts of indirect expropriation and the public restrictions are not very much different.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US FTA, the Korean authorities can possibly face foreign investors' compensation claims related to indirect expropriation issues. Thus, they have suggested theoretical evidences on applying grounds, standards, means and relief procedures for such compensation. to the existing Korean laws. However, in order to solve the compensation issues related to indirect expropriation fundamentally and ultimately, it is the time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have the Act on Acquisition of and Compensation for Land for Public Works, which gives guidelines on the country's state compensation claims, meet the global standards. Therefore, it has to upgrade the public land price system and the purchase claim rights system to match international standards in the field. The government also has to expand the role of the state expropriation committee and let them decide to grant compensation for the loss of foreign investors. Experts in international law or international affairs should be allowed to participate in the committee in a bid to strengthen expertism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 KCI등재

        한국과 일본 수용자의 방송콘텐츠 수용 특성과 인식에 대한 비교연구

        유승관 ( Seung Kwan Ryu ),정성호 ( Seong Ho Chong ),안수근 ( Soo Geun Ahn ),이화행 ( Hwa Haeng Lee ),김채환 ( Chae Hwan Kim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9 언론과학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한일 양국 수용자의 상대국 드라마나 영화 등 방송콘텐츠를 수용하는 일반적인 행태와 시청 동기를 수용과정을 통해 분석했다. 연구결과 양국 수용자의 방송물 수용동기와 선호이유는 차이가 있었고, 세대별로도 다른 점이 발견되었다. 일본 드라마의 한국 내 수용에 있어 일본의 수용자가 동양적 가치, 윤리, 정서에 대한 선호취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면, 한국의 수용자는 정형화된 전통적 가치보다는 다양한 문화적 현상을 수용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드라마의 영상이나 캐릭터의 화려함 보다는 진솔한 스토리와 사실적 배경을 선호하고 있었다. 이는 국내 드라마 소재에서 비현실적인 스토리와 이질적인 경제생활 등에 대해 괴리를 느끼는 반면 일본의 드라마를 통해서는 현장감 있고 사실적인 배경에 흥미와 진지함을 느끼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일본 수용자는 한국의 방송콘텐츠가 일본과 비교해 볼 때 근접성과 이질성을 모두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고, 특히 일본이 근대화 과정에서 잃어버린 가족애, 순수함과 같은 가치나 생활양식을 재현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인식은 일본의 장년층에서 더 뚜렷했지만, 젊은층 수용자의 일부도 가족적인 사랑을 자식에게 교육시키기 위해서 일부러 한국 드라마를 보고 있으며, 앞으로도 한국 드라마를 그러한 측면에서 자주 볼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다시 오지 않을 세계에 대한 동경이나 호기심에서 한국드라마를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본 드라마에서 다루고 있지 않는 소재와 메시지를 한국 드라마에서 충족하고 있고 복원하고 싶어 하는 욕구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as well as commonness of viewers` general patterns, characteristics, and recognition of broadcasting contents, based on qualitative study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between Korean and Japan.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ies in using broadcasting contents. Koreans like to view Japanese broadcasting contents mainly because of curiosity stemming from the heterogeneity of Japanese TV dramas and movies. They tend to recognize and feel more reality and simplicity than those of Korean. However, elder Japanese prefer family relations and innocence of Koreans` views of traditional values to Japanese`s views of present values than younger generation. This might be explained by cultural proximity. Generally speaking, both Korean and Japanese viewers, are recognized to the possibility of more active cultural interchange due to local nearness. However, quality broadcasting contents is needed and at the same time both governments need not to hinder free exchange of broadcasting contents under the name of protection of national culture.

      • KCI등재

        사인수용에 대한 미국연방정부와 주정부의 법적 대응

        정하명(Jeong Ha-Myoung) 한국비교공법학회 2010 공법학연구 Vol.11 No.4

        미국연방대법원은 2005년의 Kelo 판결을 통하여 경제개발을 위한 사인수용을 합헌이라고 판시하였고 그 후 2009년까지 약 42개 주정부에서 경제개발과 낙후지역 재개발을 위한 사인수용을 제한하는 헌법수정이나 의회입법을 하였다. 연방대법원 Kelo 판결 이후에도 오하이오주 대법원은 City of Norwood v. Horney 판결(2006)을 통하여 사인수용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판결을 하였다. 연방정부 차원에서는 부시대통령이 지난 2006년 6월 23일에 집행명령(E.O.) 13406호를 발표하여 연방정부에 의한 사용수용은 금지한다는 것을 명백히 밝히고 연방헌법에서 규정한 공적 목적(Public Use)과 정당보상(Just Compensation)의 요건을 갖춘 공용수용권의 행사만을 인정한다는 것을 명백히 하고 있다. 특히 플로리다 주에서는 2006년 11월 주헌법을 개정하여 상 · 하 양원의 5분의 3 의원들이 찬성한 법률에 의한 경우가 아니면 원칙적으로 사인을 위한 수용을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연방대법원의 Kelo 판결에 대한 이러한 미국연방정부와 주정부의 대응조치들은 재산권보장을 핵심으로 하는 헌법체계 속에서 공용수용은 공적 사용 혹은 공적 목적을 위한 경우에만 일반 국민의 재산권을 최대한 보장하는 속에서 최소한으로 허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좀 더 명확히 한 것이라고 할 것이다. 이러한 견해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우리나라에서 공용수용의 근거가 되는 ‘공공필요’개념을 확대해석하여 국가안전보장, 질서유지, 공공복리와 함께 국가 또는 지역경제상의 이익도 포함하는 것으로 보아 소위 ‘사인을 위한 수용’도 인정된다고 보는 견해는 재산권자보호를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고 하겠다. 헌법재판소에서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제22조 제1항의 “사업시행자”규정에서 민간기업을 수용의 주체로 하고 있는 것을 합헌(헌재 2009.09.24, 2007헌바114)이라고 하였고, 「주택법」제18조의 2 위헌소원(헌재 2009.11.26, 2008헌바133)에서도 민간인에게 완화된 형태의 공용수용권인 매수청구권을 인정하고 있는 주택법조항에 대해서 합헌성을 인정하였다. 이러한 헌재의 결정례들은 현대사회에서의 공용수용권의 확대현상과 ‘공공필요’의 개념의 확장현상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한편으로는 공용수용권의 남용우려와 국민의 재산권의 침해에 대한 우려를 가지게 하는 결정례들이라고 할 것이다. 미국에서 연방대법원의 Kelo 판결 이후에 나타난 여러 가지 대응정책들을 살펴보면 여러 가지 정책적 이유에서 사인수용을 인정할 수 밖에 없는 경우라도 남용을 우려를 불식할 수 있는 공법적 제어장치를 함께 두는 가운데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제한적으로만 인정하는 것이 국민의 기본권인 재산권의 보장과 공용수용을 통한 공익실현 사이에 형평성을 잃지 않는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The U.S. Supreme Court ruled the use of eminent domain to transfer land from one private owner to another to further economic development constitutional in Kelo v. City of New London(545 U.S. 469 (2005)). The Supreme Court held that the general benefits a community enjoyed from economic growth qualified such redevelopment plans as a permissible “public use” under the Takings Clause of the Fifth Amendment. However, the redeveloper was unable to obtain financing and had to abandon the redevelopment project, leaving the land as an empty lot. There have been several public reactions to the Supreme Court's decision. On June 23, 2006, President George W. Bush issued executive order 13406 instructing the federal government to use eminent domain “...for the purpose of benefiting the general public and not merely for the purpose of advancing the economic interest of private parties to be given ownership or use of the property taken.” By 2009, 42 states had enacted some type of reform legislation in response to the Supreme Court's Kelo decision. Some states enacted laws that severely inhibited private to private takings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other states enacted laws that place some limits on the power of municipalities to invoke eminent domain for economic development allowing blighted area redevelopment project. There is several laws allowing private takings in Korea.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ruled private takings for industrial complex project constitutional takings in 2007HunBa114(2009) and It also ruled private takings for redevelopment land for housing consitutional in 2008 HunBa133(2009). There is several laws allowing private takings in Korea. The pro-cautionary safeguards are needed to protect fundamental property rights from overreaching private takings in Korea.

      • KCI등재

        수용권 남용에 관한 시론적 고찰(대상판결: 대법원 2011. 1. 27. 선고 2009두1051 판결)

        정기상 사법발전재단 2014 사법 Vol.1 No.27

        This paper is a commentary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09Du1051 decided January 27, 2011. This decision held that in a case following the authorization of taking a business where ① the business does not have public interest any more, ② balancing of interests does not satisfy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③ the operator of the public business does not have intent or ability to carry out the business any more, it is not permissible to exercise eminent domain vested by authorization of taking of the business. This decision suggested a means to deny the effect of 'authorization of taking' substantially by disallowing the exercise of eminent domain. This decision called this principle 'the abuse of eminent domain'. But this decision also has inherent limitations. It restricted the scope of ‘abuse of eminent domain’ to cases that defects as abuse of eminent domain occur ‘after authorization of taking for the business’. Only when the business satisfies public interest is it justifiable to take lands without the owners' will. Exercising eminent domain over businesses without public interest must be prevented, and the principle of ‘abuse of eminent domain’ can be widely us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control over exercise of eminent domain. I believe that there is no rational reason for restricting the scope of ‘abuse of eminent domain’ to cases where abuse of eminent domain occur ‘after authorization of taking for the business’. 일정한 사업의 시행을 위하여 사인(私人)으로부터 재산권을 강제로 취득할 필요성과 사유재산의 보장이념은 서로 충돌하는 국면에 있고, 헌법 제23조 제3항은 이러한 상충국면을 조율하고자 당해 사업에 ‘공공필요’가 있는 경우에 정당한 보상을 거쳐서 재산권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공공필요’의 존재는 사인의 재산권을 강제로 취득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기능하는 셈이고, 수용절차에서 공익성의 검증은 수용의 존립근거를 확인하는 것으로서 그 절차 전반에서 견지되어야 한다. 일정한 사업을 공익사업으로 인정하여 사업시행자에게 수용권을 부여하는 처분인 사업인정은 목적사업에 관한 공익성 판단의 집적체이다. 따라서 공익성의 검증기제 역시 사업인정의 효력을 다투는 것을 중심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이해관계인에 대한 사업 관련 정보의 제한적 제공, 사업인정과 수용재결의 엄격한 분리(단절) 등과 같은 현실적·법리적 제약들은 사법심사에 의한 공익성 통제의 영역을 상당히 좁혔다. 사업인정의 내용이나 사업의 목적 등에 관한 토지소유자 등 이해관계인의 충분한 이해와 논의가 없는 상황에서 제소기간의 경과 등으로 더 이상 사업인정의 취소를 구할 수 없게 되었다면, 그 이후에 이루어진 수용재결의 효력을 다투는 방법으로 당해 사업의 시행을 불가능하게 할 수 없다는 결론이 공고히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대상판결은 ‘공익성의 흠결’을 들어 수용재결의 효력을 다투는 방법으로 사업인정을 무력화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였고, 그것이 ‘수용권의 남용’ 법리이다. 이로써 사법심사에 의한 공익성 검증영역의 실질적인 확대를 도모할 수 있는 이론적인 근거가 마련되었으나, 사업인정 이후에 발생한 공익성 흠결의 하자, 즉 후발적 하자만을 수용권 남용의 법리 내로 포섭한 대상판결의 결론에는 아쉬움이 남는다. 당초 공익성을 결한 사업의 시행을 위하여 수용절차를 강행하는 것이 부당하다는 데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는 이상, 그 존립근거를 찾을 수 없는 수용권의 집행을 배제하는 이론적 근거로서 수용권 남용의 법리가 폭넓게 활용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영향 요인 : 중2-고2 시점을 중심으로

        김동진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敎育問題硏究 Vol.32 No.3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from 8th grade to 11th grade. A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increased from 8th grade to 11th grade continuously. Second,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affected intercept valu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relationships with peer and teachers had a positive impa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for all time points from 8th grade to 11th grade. Third, student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multicultural acceptance from 8th grade to 10th grade. Fourth, previous visit experience for overseas had a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for all time points. Fifth, the gender of 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cept valu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slope valu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으로 조사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를 활용하였으며(N = 2,280),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2 시점부터 고2 시점까지 우리나라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은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관계 변수 중에서 부모와의 관계는 다문화수용성의 초기값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또래와의 관계 및 교사와의 관계는 중2 시점에서 고2 시점까지 모든 시점의 다문화수용성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과 학업성취는 고2 시점을 제외한 중2 시점부터 고1 시점까지의 다문화수용성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청소년의 해외방문 경험은 모든 시점의 다문화수용성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청소년의 성별이 다문화수용성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을 효과적으로 함양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함양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은 우리 사회가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수용을 기초로 하여 더욱 민주적인 사회로 발전하도록 하고, 미래 청소년들이 문화적 차이를 긍정할 수 있는 시민으로 성장하는데 밑거름이 될 것이다.

      • KCI등재

        KLIWC를 이용한 수용자 자살유서 특성에 관한 전수조사 연구 : - 일반인 유서와의 비교를 통해 -

        최재란,서종한 아시아교정포럼 2020 교정담론 Vol.14 No.2

        본 연구는 수용자 자살 유서의 차별화된 언어 및 심리학적 특 징을 탐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89개의 수용 자살 사망자와 276개의 일반 자살 사망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언어분석 프로그 램(KLIWC)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미결 수용자는 기결 수용 자에 비해 유서에서 억울함 내용을 더 많이 드러냈다. 또한 집단 간 개별 t-검증을 실시하였을 때, 일반인과의 언어학적 변인 차 이를 살펴보면 수용 자살 사망자는 형태소, 어절, 문장을 더 많 이 사용한 것이 특징적으로 보여졌고, 이는 일반인에 비해 수용 자가 유서를 더 길게 쓴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리 학적 차원에서 보면 수용자의 자살유서에서는 추론/추정, 기대, 불안/공포 내용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재 수 용자 자살이라는 심각한 수준의 사회적 문제를 수용자가 처해있 는 환경과 개인적인 인지, 성격 및 정서적 특징을 언어심리학적 (psycholinguistic)인 관점에서 탐색한 데 의의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탐색적 수준에서 분석하였기에 수용 자살 사망자만의 독특한 특성에 따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이들의 자살 원인과 예방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추가연구의 필요성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find differences or similarities to compare the suicide notes of prisoners to those of the public using KLIWC that counts function words and content words. Eighty-nine prisoners were compared with 276 common people( as a comparing group) by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As a result, the suicide notes of prisoners were distinctively more likely to show morphemes, phrases, and sentences in linguistic dimension. It suggests that prisoners wrote the texts down at greater length compared to the public just before committing suicide. Furthermore, the two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dimension, especially showing more deduction, expectation and anxiety/fear among prisoners’ suicide notes. This study suggests scientific and quantitative findings on unique features of suicide notes of prisoners in terms of psycholinguistic view.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a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후보

        수사ㆍ재판을 받는 미결수용자의 사복착용을 제한하는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 제24조 제1항과 제82조의 위헌성 검토

        정영훈 대한변호사협회 2009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93

        미결수용자의 법적 지위와 처우에 대한 국제인권기준은 ‘무죄추정의 원칙’과 미결수용자의 권리를 규정하고 있다. 특히 국제연합의 피구금자 최저기준규칙 제88조는 미결수용자가 청결하고 적당한 사복을 입을 수 있는 권리를 규정하여 미결수용자가 수형자와 다름없다는 오명(汚名)과 편견을 처음부터 제거함으로써 공정한 수사와 재판을 받도록 하고 있다. 우리 ‘수용자 처우법’ 제82조도 미결수용자의 출정 시 사복착용을 허용하고 있으나 현재 수사ㆍ재판을 받기 위해 출정하는 미결수용자 대부분은 수의를 착용하고 있다. 그 원인은 구 행형법 제22조 제2항이 미결수용자의 사복착용에 ‘자비부담’과 ‘소장의 허가’라는 제한을 두었기 때문이고 이러한 제한은 2008년 12월 22일부터 구 행형법을 대체 시행하는 ‘수용자 처우법’ 제24조 제1항과 제82조에도 그대로 승계되어 있다. 수사ㆍ재판을 받는 미결수용자가 사복착용을 할 경우 ‘자비부담’을 전제하는 ‘수용자 처우법’ 제24조 제1항이 국가예산을 고려한 입법취지는 인정된다. 그러나 우리 대한민국의 경제력 규모에 비추어보거나 또는 각 가정에서 버려지는 헌 옷을 활용하는 방안 등을 고려해보면 수사ㆍ재판을 받는 미결수용자의 사복을 마련할 다른 수단이 얼마든지 있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본권 보호의 필요성이 현저한 수사와 재판절차에서 경제력의 유무를 전제로 미결수용자의 사복착용 여부를 결정하게 만드는 것은 국가가 자비부담의 능력이 없어 사복을 입고 나올 수 없는 미결수용자를 자비부담의 능력이 있어 사복을 입는 미결수용자나 언제나 사복을 입을 수 있는 불구속 피의자ㆍ피고인에 비하여 불리하게 처우하는 것이고 반대로 수형자와 다른 처우를 받아야 하는 미결수용자를 수형자와 동일하게 처우하게 하여 불합리하다. 그리고 ‘소장의 허가’라는 제한을 규정한 ‘수용자 처우법’ 제82조의 입법목적이 비록 중형에 해당하는 자의 도망 방지라고 할지라도 이는 “계구의 사용이나 계호 인력을 늘리는 등의 다른 수단에 의할 것이지 기본권 보호의 필요성이 현저한 수사ㆍ재판에서 사복을 입지 못하게 하는 것은 정책수단으로서의 적합성과 합리성을 결여한 것이다.” 수사ㆍ재판에서의 미결수용자의 사복착용권리는 우리 헌법과 국제인권법 등에서 인정되는 무죄추정의 원칙에 의해 그 보호의 필요성이 특히 강조되는 권리라는 점에서 ‘수용자 처우법’ 제24조 제1항과 제82조가 추구하는 법적 이익보다 우월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미결수용자의 출정 시 사복착용에 ‘자비부담’을 전제하는 ‘수용자 처우법’ 제24조 제1항과 ‘소장의 허가’라는 제한을 가한 동법 제82조는 그 입법수단이 부적합 또는 불필요하거나 과잉된 것으로 기본권 제한원리인 헌법 제37조 제2항의 비례의 원칙에 위반되어 헌법상 무죄추정의 원칙에 반하고 이로 인해 미결수용자의 평등권, 인격권과 행복추구권,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 등을 침해한 위헌적 규정이라고 할 것이다. 수사ㆍ재판을 받기 위해 출정하는 미결수용자의 사복착용권이 수사ㆍ재판과정에서 미 결수용자의 중요한 헌법상 권리라고 한다면 헌법상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존중해야 할 헌법적 의무가 있는 국가로서는 미결수용자의 출정 시 사복착용을 제한하는 ‘자비부담’과 ‘소장의 허가’라는 제한을 없애고 국가예산으로 미결수용자에게 필요 ... International human rights standards about legal status and treatment of pretrial detainees state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and their right. Especially, Article 88 of ‘the Standard Minimum Rules for the Treatment of Prisoners’ states that they have the right to wear plain clothes and therefore they can take fair trial and investigation by excluding dishonor and prejudice which they are similar to prisoners from the beginning for the provision. Article 82 of the Criminal Administration and Detainee’s Treatment Act also permits them to wear plain clothes during a trial or an investigation. But presently, most detainees wear jail uniform during a trial or an investigation. It is because Article 22(2) of the old Criminal Administration Act restricts with ‘self-payment’ and ‘prison director’s approval’ when they wear plain clothes during a trial or an investigation. Such restrictions succeeded like that in Article 24(1) and 82 of the Criminal Administration and Detainee’s Treatment Act which interchanges the old Criminal Administration Act and enforces from 22 Dec. 2008. The purpose of legislative policy of Article 24(1) of the Criminal Administration and Detainee’s Treatment Act of restricting their right to wear plain clothes during a trial or an investigation with ‘self-payment’ may be justified in respect of the limit of a state’s budget. But, taking into account the scale of economic power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method that collects and utilizes an castoff clothing, it can be another way that they obtain plain clothes. If their right to wear plain clothes during a trial or an investigation where the need for protection of basic rights is compelling depends on the degree of economic power, it is to lack the rationality of a political measure in that a state treat discriminatively them who can’t do ‘self-payment’ against them who can do ‘self-payment’ and nonrestraint suspects and the accused who can always wear plain clothes and adversely treat them who is treated differently with the prisoner as him. And the purpose of legislative policy of Article 82 of the Criminal Administration and Detainee’s Treatment Act that restricting their right to wear plain clothes with ‘prison director’s approval’ may be justified in respect of the prevention of escape of the detainees investigated or tried for serious crimes. However, despite the prevention of a escape can be achieved by use of instruments or additional guards, restricting them to wear plain clothes during a trial or an investigation where the need for protection of basic rights is compelling is to lack the rationality and suitability of a political measure. Their right to wear plain clothes is especially emphasized the necessity of protection in light of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recognized by our constitution and international law of human rights. And so their right’s legal interest is more superior than that of the restrictions of Article 24(1) and 82 of the Criminal Administration and Detainee’s Treatment Act. Therefore, Article 24(1) and 82 of the Criminal Administration and Detainee’s Treatment Act of restricting their right to wear plain clothes with ‘self-payment’ and ‘prison director’s approval’ violate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Article 37(2) of the constitution for being inconsistent or unnecessary or excessively restricted and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the rights to equality, personality and pursuit of happiness derived from human dignity and worth, and right to fair trial. If their right to wear plain clothes during a trial or an investigation is important constitutional right, a state which respects and protects the constitutional basic rights must remove restrictions of ‘self-payment’ and ‘prison director’s approval’ of Article 24(1) and 82 of the Criminal Administration and Detainee’s Treatment Act and accept everyone to wear plain clothes prepa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