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문제아동의 수업참여와 주의집중 증진 방안에 대한 고찰 : 통합학급의 국어 읽기수업을 중심으로

        서선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3

        수업시간에 학습문제를 가진 아동이 보이는 소극적인 활동참여와 잦은 과제이탈행동은 이들이 학업에 도움이 되는 기술을 습득하고 숙달하는 데 있어 큰 걸림돌이 되어 왔다. 그러므로 이 아동들의 수업 참여와 과제에 대한 주의집중을 높이는 것은 이들의 학업 수행과 성취를 향상시키고 나아가 학교생활에 보다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국어의 읽기 영역은 학습문제를 가진 아동의 상당수가 가장 많은 어려움을 보이는 교과의 한 분야로, 학습문제 아동이 읽기에 별로 흥미를 갖지 못하고 쉽게 수업 활동에 몰입하지 못하며 주의집중을 유지하기 어려워한다는 연구결과는 우리로 하여금 이들이 읽기수업에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주의집중을 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수전략에 관심을 돌려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최근 통합학급에 학습문제 아동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에서 이러한 관심은 더욱 더 중요하다. 본 고에서는 학습문제 아동이 포함된 읽기수업에서 매우 뛰어난 학생참여와 주의집중을 이끈 일반 및 특수교사의 수업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학습문제 아동이 읽기교과에서 보다 적극적인 학습자로 거듭나도록 도와줄 수 있는 7가지 교수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학습문제 아동의 읽기수업 참여와 주의집중을 촉진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은 (1) 흥미롭고 실생활에 관련이 있는 이야기, 활동, 예시를 활용하고 (2) 아동에게 참신하고 다양한 과제와 활동을 쓰며 (3) 필요한 읽기 기술을 직접 교수하고 읽기에 필요한 학습전략을 가르치며 (4) 읽기 수업에서 학생이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5) 수업의 학습목표와 활동목표를 명확히 제시하고 (6) 학생의 읽기 수행에 대하여 칭찬, 보상과 함께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며 (7) 국어, 읽기 학습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있다. 이상의 교수전략을 실행하기 위하여 읽기를 가르치는 교사는 무엇보다도 아동이 가지는 학업적 어려움과 이에 수반하는 사회-정서적 고충 및 학습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수업참여와 주의집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전략을 통일성 있고 체계적으로 활용한 수업을 구성하고 모든 아동의 학습을 격려하고 지원하는 학급 내 학습 공동체를 구축하며 학부모와 학교 내 다른 영역의 전문가(예 특수교사 혹은 일반교사)와 협력적 관계를 수립해야 할 것이다.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often suffer from engaging in learning activities and tasks, which often result in poor academic performance and/or low academic achievement. Teachers of these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particularly, have difficulty in engaging them into class instruction. It is needed for teachers to know which instruction can be effective in facilitating the student engagement of their students including those with learning problems. Thus, this paper is designed to examine effective approaches for enhancing the student engagement of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in inclusive elementary classrooms, especially in reading. Relevant research findings show that follow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student engagement: (1) using relevant and interesting tasks and/or activities,(2) using novel tasks and activities, (3) applying direct instruction and strategy instruction, (4)supporting student autonomy, (5) identifying instructional goals and objectives, (6) using reinforcement with clear feedback, and (7) creating an instructional environment that is conducive to reading. Teachers in inclusive classrooms should understand these students' difficulties and their learning characteristics, implement effective instruction using strategies listed above cohesively, build a learning community, and collaborate with the parents and other educators in order to facilitate the student engagement of all students.

      • KCI등재

        수업참여와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상호 관계와 변화 양상: 다차원 수업참여 모형

        박민애(Minae Park),김난옥(Nanok Kim),이빛나(Bitna Lee),손원숙(Wonsook Soh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8 교육평가연구 Vol.31 No.1

        적극적인 수업참여는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수업 및 학습의 질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이다. 수업참여는 단순히 수업에 출석한다는 의미를 넘어서 행동, 정서, 인지적 차원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참여를 행동, 정서, 인지적 참여 등 다차원으로 정의하고 수업참여 하위요인과 학업성취와의 종단적 상호관계와 변화 양상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2012-2014년(중3-고2) 두 시점 종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업참여 하위요인인 행동, 정서, 인지적 참여는 학업성취에 모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또한 수업참여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수업참여와 학업성취는 상호 간 촉진시키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수업참여 하위요인 간 종단적 상호관계는 서로 유의하여 세 하위요인 간의 상보적 인과관계가 파악되었다. 특히, 인지와 행동적 참여 간 상호효과 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정서적 참여는 상대적 효과크기가 작았으며 교과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수업참여 각 하위요인의 상대적 안정성은 중간 수준이었고, 잠재평균분석 결과 중학생에 비해 고등학생은 행동적 참여가 낮고 인지적 참여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 및 제언을 추가하였다. Student engagement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predicting student achievement and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present study, student engagement is defined as behavioral, emotional, and cognitive eng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interplay between student engagement and achievement, and their stability across two years from 9 th to 11 th grades us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ARCL) mod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rlier behavioral, emotional and cognitive engagement had the significant effects on later achievement. Also, achievement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three kinds of student engagement.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 engagement and achievement are factors that would promote reciprocal development. Second, we found the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kinds of student engagement. Especially, our findings showed that the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between cognitive and behavioral engagement were the largest. The effect size of emotional engagement was relatively small and inconsistent across subjects. Third, the relative stability of student engagement was found to be moderate. According to the latent mean analyses where 9 th grade was used as a reference group, 11 th graders showed lower mean values in behavioral engagement but higher ones in cognitive engagement. Finally,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체육수업 참여척도 타당화 검증: 현장적용 및 활용방안

        송용관(SongYongGwan),천승현(CheonSungHyeon),김보람(KimBo-ram),존마샬리브(JohnmarshallReeve)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4

        이 연구는 기존의 연구(Reeve, 2013)에서 활용된 수업참여모형을 토대로 개발된 수업참여척도를 국내 체육상황에 적용하여 그 타당도를 검증하고 국내 체육수업 참여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둔다. 다차원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수업참여의 구성요인은 정서참여, 행동참여, 인지참여, 그리고 주체적 참여로 학습자의 수업참여의 질을 측정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중학교 및 고등학교 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n=488)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새롭게 적용된 체육수업 참여척도의 초기 신뢰도와 타당도는 우수한것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에 대한 신뢰도는 상당히 양호한 수준을 보였으며, 다차원적으로 구성된 수업참여의 4요인에 대한 구인과 모형의 적합도 역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구인이 검증된 체육수업 참여척도와 관련변인들과의 상관에 기초하여 예측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체육수업 참여는 기술발달과 여가시간 신체활동 의도(방과 후 신체활동 의도)를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설명력 역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체육수업 참여척도는 체육현장에서 교사들이 학생들의 수업참여를 개념적으로 이해 및 파악하고, 실제적으로 체육수업 내 학생들의 수업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교수전략들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함에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sychometrically evaluate and validate a measure of classroom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PE) which was originated from the Classroom Engagement Model by Reeve (2013). Ultimately, our goal is to offer newly-developed classroom engagement scale in Korean physical education. Classroom engagement consists of multidimensional factors-namely, emotional engagement, behavioral engagement, cognitive engagement, and agentic engagement-which measure the quality/degree of student classroom engagement. For this study, 48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Seoul and Kyounggido in South Korea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Based on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the results suppor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lassroom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Scale (CEPES). Each of four classroom engagement scales on the CEPES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scale as a whole demonstrated good factorial and predictive validity in physical education setting. In conclusion, CEPES will be useful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PE teachers) to understand PE classroom engagement conceptually and to observe students‘ in-class engagement practically as well as to develop better motivational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to enhance students’engagement in PE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수업참여 프로파일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

        유신복(Yu Shin-bok),신이나(Shin Yina)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5

        본 연구는 다차원적인 특성을 지닌 수업참여를 개인 중심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수업참여 프로파일의 특성과 학교 급의 이동에 따른 수업참여 프로파일의 전이 및 이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중학교 3학년(2012년), 고등학교 2학년(2014년) 학생들에게 실시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데이터를 연계하여 총 9,563명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수업참여의 프로파일은 동일하게 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즉, 모든 수업참여 경향이 가장 낮고, 특히 인지적 참여가 매우 낮은 프로파일인‘인지적결핍형(중3, 고2: 2.8%, 2.7%)’, 수업참여의 모든 하위요인이 평균이하를 나타낸 ‘낮은참여형(중3, 고2: 31.0%, 27.0%)’, 수업참여의 하위요인이 모두 높게 나타난 ‘높은참여형(중3, 고2:8.3%, 7.7%)’ 그리고 수업참여가 모두 평균수준을 나타낸 ‘평균참여형(중3, 고2: 57.8%, 62.6%)’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수업참여 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성취도 양상은 수업참여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수업참여 프로파일의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53%의 학생들은 프로파일을 이동하여 안정적이기 보다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업참여의 가단성을 경험적으로 증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전이 양상에 따른 학업성취도와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수업참여의 향상은 학업성취도에 적응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가적으로 이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longitudinal study is to identify features of student engagement profile as consisting of multiple distinguishable features, including behavior, emotion, and cognition using person-centered approach and to identify transition of student engagement profile and the dfference of achievement according to transition patterns of student engagement profile. Survey data and achievement scores were obtained from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database. The NAEA date includes samples of 9th grader, and 11th grader from all over the country. Our final sample was 9,563 students. By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four classes of students were equally identified across middle and high school: relatively cognitive disengagement group(middle schooler: 2.8%, high schooler: 2.7%), low engagement group(middle schooler: 31.0%, high schooler: 27.0%), high engagement group (middle schooler: 8.3%, high schooler: 7.7%), moderate engagement group (middle schooler: 57.8%, high schooler: 62.6%). Second, pattern of achievement depending on student engagement profile was the following. the higher engagement was, the higher achievement was. Third, malleability of student engagement variance was confirmed. student engagement profiles showed a little bit change rather than stability. Finally, to explore the features of the latent transition and stability, their relationships with achievement were compared. the high engagement group showed higher achievement. Additional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교 수학 수업의 학생 참여와 협력적 문제해결 실태 분석

        김부미(Bumi, Kim),김윤민(Yunmi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생 참여 수학 수업의 질 제고를 위해 중학교 학생 참여 수학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협력적 문제해결 수학 수업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협력적 문제해결과 학생 참여형 수학 수업 실태 조사를 위한 설문 문항을 개발하여 전국 중학교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지필설문과 온라인 설문을 병행하여 조사하였다. 최종 응답 인원은 60명이었고 조사 결과는 빈도 분석, 교차 분석하였고, 리커트 척도 문항은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결과 학생 참여 수학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그 운영 실태, 협력적 문제해결을 위한 학생 참여 수학 수업의 운영 실태, COVID-19 대응 원격수업에서의 학생 참여 수업 현황, 협력적 문제해결을 위한 학생 참여 수학 수업의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았다. 또한 학생 참여형 수학 수업에서 실시하는 협력적 문제해결 활동 유형을 인지적 기능을 가진 활동과 사회적 기능을 가진 활동으로 구분하여 그 활용 정도를 살펴보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 참여 수학 수업의 질 제고 방안으로 학생 참여형 수학 수업 핵심 요소 선정 및 수업 개선 지표로 활용, 협력적 문제해결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및 학습 과제 개발, 교사학습공동체의 구축 지원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engaged instruction mathematics classes and the operation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mathematics classe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tudent-engaged instruction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Methods Questionnaires o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d student-engaged instruction in mathematics classes were developed, and a paper-based questionnaire and an online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concurrently with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s. The final number of responses was 60 peopl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cross-analysis, and Likert scale items were analyzed by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Results Teachers perception and operation of student-engaged instruction in math classes, the operation of student-engaged instruction in math classes for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were investigated. We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student engagement in distance learning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ways to activate student-engaged instruction math classes for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nclusions As a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student-engaged instruction mathematics classes, it was suggested to select key elements of student-engaged instruction mathematics classes and use them as indicators of class improvement,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learning tasks to promot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d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teacher-learning community.

      • KCI등재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한 학생-교사애착관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김남희(Nam Hee Kim),김종백(Jong Baeg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1 敎育心理硏究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학생이 지각한 교사지지와 자율성, 유능성 및 관계성을 포함하는 기본심리욕구, 수업참여, 학업성취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사지지에 기반한 기본모형에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적 측면을 보다 강조하는 학생-교사애착관계요인을 포함시켰을 때 연구변인들 간 관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교사지지와 학생-교사애착관계의 개념차이를 확인 하고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학생-교사애착 관계를 포함한 연구모형이 성별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10개 중학교 1, 2학년생 664명이었으며,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다중집단분석을 활용하여 전술한 연구문제를 검토하였다. 기본모형과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편이며 연구결과는 첫째, 기본모형에서 교사지지와 학업성취 간에 수업참여의 매개효과가 있었고 교사지지와 수업참여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부분매개효과 또한 검증되었다. 그러나 교사지지와 학업성취 간에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는 수업참여를 거치지 않고서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기본심리욕구의 하위요인들 모두는 수업참여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연구모형에서는 기본모형에서 교사지 지로부터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로 가는 직접적 영향력은 사라지고 학생-교사애착관계 요인이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교사-학생 관계요인이 교사지지와는 다른 독립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모형에서 교사-학생관계와 학업성취를 매개하는 유의미한 수업참여효과가 발견되었으며 기본심리욕구의 매개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심리욕구 요인은 오로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하여서만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교사애착관계와 수업참여 간에 기본심리욕구의 하위요인들 각각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모형에서 남녀 학생집단 간 모형의 차이가 없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교사애착관계 모형이 성별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지지와 더불어 학생-교사애착관계의 독립적 영향력을 확인하고 학생과 교사 관계요인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교사와 학생 관계 요인은 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를 통해서 학업성취를 신뢰롭게 설명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among teacher support that students perceived, basic psychological needs including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lso, we identified differences in the meaning and functions of teacher support and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and then verified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by analyzing how those relationships changed when a teacher support model involved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factor that emphasized aspect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Furthermore, we examined gender difference whether female students, who were relationship-oriented, were more affected than male students in student-teacher relationship. 664 students took part in this study. They were the first and the sophomore year of 10 different middle schools in Chungcheong-do and Gyeongsang-do. We examined aforementioned subjects for inquiry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All models in this study such as basic model and research model were acceptable for their goodness of f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confirmed that there was not only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between teacher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model based on teacher support, but also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relationship of teacher support and academic engagement. On the other hand,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teacher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without academic engagement was not significant, and all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cademic engagement. Second, we analyzed a research model involved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Results showed that direct influence of teacher support to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disappeared from the basic model, but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factor directly affected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It means teacher-student relationship has an independent influence different from teacher suppor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that mediated betwee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onsequence of verification about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in research model includi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 But no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was found because direct influence from basic psychological needs to academic achievement was not significant. It turns out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only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cademic engagement. Each of sub 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and academic engagement had partially mediating effect. Third, we examined whether there was gender difference in the research model includi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 by using multiple group analysis and we fou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t means research model including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gender. In this study, we clarified the structure of relationships among teacher support,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that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Also, we identified an independent influence of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and the importance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s well. In addition, we demonstrated that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had significantly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of students.

      • KCI우수등재

        중고등학생의 수업참여와 부모, 교사, 학생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유지혜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 of parents, teacher, student variables related to student engagement of class in middle and high school. This study divided student engagement into three parts: cognitive engagement, affective engagement, behavioral engagement, and analyzed each engagement model. The current study analyzed 1163 data from 7-11th grade students who are currently enroll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cademic expectation, parental academic support, teacher's class behaviors, student's competence had meaningful positive effects on student engagement directly. Also parental academic expectation and teacher's class behaviors would influence on student engagement indirectly mediating competency. However, parental emotional support only indirectly influenced on student engagement. Second, parental academic expectation, teacher's class behaviors would influence on cognitive engagement indirectly mediating competency. Also cognitive engagement was influenced directly by competence need and indirectly by parental emotional support mediating competence need. Third, parental academic support, teacher's class behaviors, autonomy, competency had meaningful positive effects on affective engagement directly. Parental academic expectation and teacher's class behaviors also would influence on affective engagement indirectly. Parental emotional support, however, influenced on affective engagement indirectly. Finally, parental academic expectation, teacher's class behaviors had effects on behavioral engagement directly and indirectly. And parental academic support and student's competency directly, parental emotional support indirectly influenced on behavioral engagemen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학교 수업참여와 관련된 부모, 교사, 학생 변인과 학생들의 수업참여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참여를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행동적 참여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전체 수업참여 뿐만 아니라 각 하위영역의 참여 모형을 각각 설정하여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 소재한 일반계 중․고등학교의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학생 1,163명이며,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하여 변인 간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수업참여 모형에서 부모의 학업기대와 학업적 지원, 교사의 수업행동, 학생의 유능성 욕구는 수업참여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의 학업기대와 교사의 수업행동은 유능성 욕구를 매개로 수업참여에 간접적인 영향 또한 미쳤다. 반면 부모의 정서적 지원은 수업참여에 간접적인 영향만 미쳤다. 둘째, 인지적 참여 모형에서 부모의 학업기대와 교사의 수업행동은 인지적 참여에 직접적인 영향 뿐만 아니라 각각 유능성을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 또한 미쳤다. 또한 인지적 참여에 대해 학생의 유능성 욕구는 직접적으로, 부모의 정서적 지원은 유능성 욕구를 매개로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쳤다. 셋째, 정의적 참여 모형에서 부모의 학업적 지원, 교사의 수업행동, 학생의 자율성 욕구, 유능성 욕구는 정의적 참여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의 학업기대, 교사의 수업행동은 간접적인 영향 또한 미쳤다. 반면 부모의 정서적 지원은 간접적인 영향만 미쳤다. 마지막으로 행동적 참여 모형에서는 부모의 학업기대와 교사의 수업행동은 행동적 참여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의 학업적 지원과 학생의 유능성 욕구는 직접적인, 부모의 정서적 지원은 간접적인 영향만 미쳤다.

      • 교실목표구조와 수업참여의 관계: 학생-교사 애착관계와 관계성 욕구 충족의 순차적 매개효과

        신현숙,김나영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교육연구 Vol.40 No.1

        이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교실목표구조와 수업참여의 관계에서 학생-교사 애착관계와 관계성 욕구 충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G광역시 소재 6개 중학교에서 표집한 2학년 491명(남학생 231명, 여학생 260명)에게 교실목표구조(숙달목표구조, 수행목표구조), 학생-교사 애착관계, 관계성 욕구충족, 수업참여와 수업이탈을 측정하는 중학생용 자기보고형 평정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부트스트래핑 절차를 실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달목표구조와 수업참여의 관계, 숙달목표구조와 수업이탈의 관계, 수행목표구조와 수업참여의 관계, 수행목표구조와 수업이탈의 관계에서 학생-교사 애착관계와 관계성 욕구 충족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할 것으로 기대한 연구모형이 완전매개효과를 기대한 경합모형보다 경험적 자료에 더 적합하였다. 둘째, 숙달목표구조와 수업참여의 관계, 숙달목표구조와 수업이탈의 관계, 수행목표구조와 수업참여의 관계, 수행목표구조와 수업이탈의 관계에서 학생-교사 애착관계와 관계성 욕구 충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실목표구조가 중학생의 수업참여와 수업이탈에 직접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학생-교사 애착관계와 관계성 욕구 충족을 통해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준다는 점을 의미한다. 즉, 숙달목표구조가 직접 수업참여를 높이고 수업이탈을 낮추기도 하지만, 숙달목표구조가 학생-교사 애착관계를 강화시키고 관계성 욕구를 충족시키는 과정을 거쳐 수업참여의 증진과 수업이탈의 감소에 기여하기도 한다. 또한 수행목표구조가 직접 수업참여를 낮추고 수업이탈을 높이기도 하지만, 수행목표구조가 학생-교사 애착관계를 약화시키고 관계성 욕구를 좌절시키는 과정을 거쳐 수업참여의 감소와 수업이탈의 증가를 초래하기도 한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가 중학생의 수업참여 증진과 수업이탈 예방에 주는 시사점, 이 연구의 제한점, 후속연구의 주제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대학수업의 운영방식과 참여구조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김민성(Min Seong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의 맥락에서 학생의 참여를 진작시키는 수업의 운영과 상호작용방식을 살펴보기 위해 질적 다중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지방 사립대학교인 C대학교에서 학생들로부터 우수한 수업평가를 받으면서 동시에 학생의 수업참여가 활발하다고 알려진 세 강좌를 선택하여 각 강좌당 한 학기 동안의 참여관찰과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과정에서는 지속적 비교방법을 통해 범주와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사례연구의 특성 상 각 사례의 구체적인 맥락이 드러날 수있도록 하였다. 학생의 수업참여와 관련하여 세 강좌 모두, 학생의 수업참여를 위한 ‘여백’을 확보하기 위해 수업의 핵심내용을 중심으로 수업을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학생의 참여로 이루어지는 수업활동이나 수업참여구조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학생들이 수업참여에 대한 마음가짐과 태도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개별학생을 기억하고 그들의 의견을 수용하여 의미 있게 만드는 교수자의 상호작용방식이 학생들로 하여금 더욱 편안하게 수업에 참여하도록 이끌어 주었다. 학생들은 수업참여로 인해, 수업내용에 대해 스스로 생각하게 되고 수업과 관련된 분야에 대해 흥미와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다른 학생과 자신을 더 잘 이해하고 알아가는 변화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의 수업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교수자의 역할이 중요하며, 학생들의 참여 양상은 강좌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학생들의 수업참여로 인한 학습은 교사-수업내용-학생과의 연계를 풍부히 함으로써, ‘배움’이 일어날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multiple-case study on the participation structure and interactions in three college courses with student participation frequently made.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the instructors and students were made during a semester for each course. A constant-comparative method for analysis was used with the context of each course considered. The findings showed: for student participation in class, the three courses 1) restructured the curriculum of the course focusing on its critical elements, 2) consistently applied their own structure of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s, resulting in students’ preparing themselves for classroom participation, and 3)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individual students’ participation by calling on their names, accepting, and connecting students`` opinions to class. From classroom participation, students thought, for themselves, more about class and made deep understanding of other students and themselves. Sever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made about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 the context of college education.

      • KCI우수등재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학습동기와 수업참여의 종단적 관계

        임성애(Lim, sung ae)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4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내재동기와 외재동기, 수업참여 간 종단적 상호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2013 자료 중 3차년도(중1, 2015년), 5차년도(중3, 2017년), 7차년도(고2, 2019년)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총 6,550명이며,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시점에 걸쳐 내재동기와 외재동기, 수업참여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내재동기와 외재동기, 수업참여가 각각 이후 시점의 내재동기와 외재동기,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이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기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수업참여는 시간의 흐름에 안정적인 특성을 보였다. 둘째, 내재동기와 외재동기는 종단적 상호효과를 보였다. 이전 시점의 내재동기는 이후 시점의 외재동기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이전 시점의 외재동기 또한 이후 시점의 내재동기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내재동기와 외재동기는 각각 수업참여와 종단적 상호효과를 보였다. 이전 시점의 내재동기는 이후 시점의 수업참여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이전 시점의 수업참여는 이후 시점의 내재동기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전 시점의 외재동기는 이후 시점의 수업참여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이전 시점의 수업참여는 이후 시점의 외재동기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수업참여 사이의 종단적 상호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학습동기가 수업참여에 유의미한 종단적 영향을 미치는 것과 동시에, 수업참여 또한 학습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nd engagement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the 6,550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2013 panel data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grade 7), third year of middle school (grade 9), and second year of high school (grade 11). The results of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self-regression coefficients of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nd engagement at three time points, it was found that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nd engagement were stable over time. Second, in the case of the cross-lagged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previous intrinsic motivation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extrinsic motivation, and vice versa. Third,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each showed reciprocal longitudinal effects with engagement. Previous intrinsic motivation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ngagement, and vice versa. On the other hand, previous extrinsic motivation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engagement, and vice versa. Finall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nd engagement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