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남용적리더십이 구성원의 수동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계약위반과 분노반추의 직렬다중매개를 중심으로

        구자규,신제구 한국기업경영학회 2021 기업경영연구 Vol.28 No.3

        직장 내에서 구성원 또는 조직에 피해를 끼칠 의도를 가지고 적절한 행동을 보류하거나 하지 않음으로써 적대감을 표현하는 수동공격성이 능동적 형태의 공격성보다 훨씬 더 일반적이고, 이러한 태도가 초래하는 은밀 한 형태의 유해 행동이 최근에 점차 증가하고 있음에도 그것이 초래되는 과정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남용적리더십이 수동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구성원의 심리적 계약위반 인식과 분노 반추의 직렬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직원 300인 이상이 근무하는 기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72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구성원의 남용적리더십 인식은 수동공격성에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원의 남용적리 더십 인식과 수동공격성 간에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성원의 남용적리더십 인식과 수동공격성 간에 분노반추의 매개효과는 정(+)의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성원의 남용적리더십 인식과 수동공격성 간에 심리적 계약위반과 분노반추는 정(+)의 직렬다중매개효 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남용적리더십이 구성원의 수동공격성을 초래하는 심리적 상태에 대한 매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가 갖는 한계 와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Although passive aggressive which involve withholding appropriate actions with the intention of harming someone or an organizational entity is much more prevalent than active aggression and the covert form of misbehaviors caused by the passive aggressive member in the organization has increased in recent year, research on the process in which it results is not enough.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serial multi mediated effects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anger rumination in the process of abusive leadership on passive-aggressive. To verify the hypothesis, an online survey of members of companies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was conducted and 372 respondents were used in the analysis. Analysis results show that firstly, abusive leadership has a positive relationship to passive-aggressive. Secondl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was not significant between abusive leadership leadership and passive aggressive. Thirdly, anger rumination between abusive leadership leadership and passive-aggressive has a positive mediating effect. Lastly,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anger rumination between the abusive leadership leadership and passive-aggressive have positiv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s.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s the mechanism of abusive leadership o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anger rumination. Based on the findings, we pres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scus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수동공격성의 선행요인과 경계조건에 관한 연구: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조직아노미, 리더신뢰의 역할2

        구자규,신제구 리더십학회 2021 리더십연구 Vol.12 No.2

        Passive-aggressive is much more prevalent in workplace than active aggression, and covert forms of misbehavior caused by the passive-aggressive members in the organization have increased in recent years. Despite the fact, research on this is insufficient. Based on trait activation theory,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antecedents and boundary conditions of passive-aggressive at individual level.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372 questionnaire collected from office workers at domestic companies with 300 or more employee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main effect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passive-aggressive was significa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anomie was not significant. Third,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anomie and trust-in-leader was significant. This study empirically identified the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passive-aggressive and boundary conditions of passive-aggressive by revealing the complex effects by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rganizational anomie and trust-in-leade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were presented. 직장 내에서 수동공격성이 능동적 형태의 공격성 보다 훨씬 더 일반적이고, 이러한 태도가초래하는 은밀한 형태의 유해 행동이 최근에 더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발생되는과정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특성활성화이론을 바탕으로 구성원의 수동공격성의 선행요인과 경계조건을 밝히고자 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300인 이상의 기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72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수동공격성에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수동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첫 번째 조절변수인 조직아노미의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두 번째 조절변수인 리더신뢰의 3원 상호효과가 수동공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조직아노미, 리더신뢰의 3원 상호작용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수동공격성 간 인과관계및 경계조건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연구가 갖는 한계점을 제시하고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