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논박술(elenchos)과 플라톤의 방법론

        김석완 ( Suk Wan Kim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8 No.-

        지금까지 소크라테스의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플라톤의 초기대화편이 역사적 소크라테스에 대한 기록이라는 검증되지 않은 가설에 근거해서 이루어져 왔다. 『소크라테스의 변론』에서 『메논』까지를 초기대화편으로 설정하고 이 대화편들을 관통하는 일정한 패턴을 탐구함으로써 사람들에 대한 캐물음과 검사를 통해 혼을 염려하고 사람들을 도덕적 삶으로 이끄는 소크라테스 방법론의 실체를 규명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초기대화편이 허구적 성격을 띤 문학적 창작의 산물이며 따라서 역사적 소크라테스를 회상하고 그의 실제 모습을 객관적 기록으로 남기기보다 플라톤 자신의 철학을 전개하기 위한 의도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는 주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주장에 따르면 역사적 소크라테스에 대한 비교적 사실적인 기록은 『소크라테스의 변론』이 유일하며 나머지 작품들에서는 소크라테스의 철학과 그 상속인을 자처하는 플라톤의 사유가 혼재되어 그 경계를 확정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연구자는 초기대화편이 문학적 허구의 성격을 지닐 뿐만 아니라 초기대화편에서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사유와 철학 방법론을 구분할 수 있고 또 마땅히 구분되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주장에 근거해서 지금까지 역사적 소크라테스와 등장인물 소크라테스의 방법론을 구분하지 않고 무원칙하게 혼재시키는 오류를 비판하고 역사적 소크라테스의 논박술을 `실존적 방법`으로, 플라톤의 철학적 방법론을 `전문가적 방법`으로 새롭게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Socrates` elenchos. The research into elenchos up to the present has been based on the unverified hypothesis that Plato`s dialogues of the early period are the historical documents about Socrates. It would have been thought that one can find out the substance of the Socratic method, if one investigated a regular pattern through the earlier works. But Charles Kahn puts forward the claim that Plato`s earlier writings are a fictional form in which there is no reason to look for the philosophy of the historical Socrates are a literary fiction, and in which Plato intended to develop his own philosophy instead. According to his opinion the only one document about the historical Socrates is just Apology. I`ll try to reconstruct elenchos, the philosophical method of the historical Socrates, criticizing the misinterpretation to mix Socrates` with Plato`s method imprudently. In Apology Socrates insists that he has no wisdom about good life and the unexamined life, however, is not worth living. He obviously has a few of standards to which he appeals in making his examinations of others: his interlocuters must say only what they believe; the discussants must agree on the moral proposition of Socrates-one must not in any circumstances do wrong; eventually he examines their lives. Socrates is interested, not merely in the truth or falsehood of what people say or believe, but rather in the ways in which they live. This examining method of life is called elenchos, the practical method which aims at perfection of the Self through anxiety about soul and care for the Self. Elenchos is not a systematic but a very individual method which is applied according to ones personal history and character differently. I will call it `existential method`. Plato identified oneself as the heir of Socratic philosophy, but had to solve its dilemma at the same time. He needed to bridge the discrepancy between his ignorance of wisdom and his moral belief and practice on the one hand, to develop the personal and unsystematic method of Socrates on the other hand. Plato proposed craftsman`s method as an alternative of his individual method, succeeding the Socratic life to search for wisdom. As trainer and doctor care for bodily health by making advantage of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so Plato`s method needs a specialist to care for health of soul with his moral knowledge. This method had already been conceptive for the dialogues of definition which announce the idea of the good as nature and essence of virtue.

      • KCI등재후보

        소크라테스식(문답식) 교수법

        하재홍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0 法學論集 Vol.14 No.4

        Socratic method as Elenchus is well-known, but not widespread for practicing as ordinary and basic method in legal education. In fact we seem to have some kinds of knowledges of socratic method, but it’s not strong and enough to lead our practice, that is the reason and apparent weak loophole in researches so far.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truth of the basic idea of questioning and answering, as it were, examining knowledges by Socrates, and introduce several types of questioning and the ways how to organize questionings through Plato’s Dialogues and other reliable authorities. Socratic method requests interlocutor to define ideas of whatever he knows in words, because every knowledge, as it is a knowledge, definitely gets expressions in human languages. But the problem is that every kinds of human languages is unsatisfactory one to convey and reveal the truth wholly, because it always gets infections of human imperfectness, falls into corruptions to lead false judgements, acts. So to get pure knowledge, we need examine knowledges, that means examining linguistic expression of knowledge, ‘dialogue(dialectics)’. And some rules of the interrogatory method, Socrates stressed, to achieve aims of dialogues are classified and given proper explanations in this article. 소크라테스식(문답식) 교수법을 실천하는데 있어 아직 어려운 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소크라테스식 대화법의 구조는 어느 정도 밝혀져 있는 듯한데, 소크라테스식 교수법을 실천하고 있다는 예는 쉽게 찾기 어렵다. 소크라테스식 대화법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논박형 대화가 주를 이루는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에 집중되었다. 또한 종래 연구는 논박형 문답의 구조를 해부해 보였을 뿐, 산파형 문답을 포괄해서 질문의 유형이나 원리가 무엇인지, 질문들을 조직하는 방식이나 맥락은 어떠한지에 대해서는 거의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초기 대화편에 국한하지 않고 여러 전거들을 기초로 소크라테스 대화법을 추적해 보았다. 소크라테스식 대화법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질문의 유형들을 5가지로 구분해보고 이를 분석하였으며, 또 이러한 질문들의 맥락과 조직원리, 전개방법을 살펴보았다. 소크라테스식 대화법은 문답을 통한 앎의 음미라 할 수 있는데, 이 앎의 음미라는 것은 결국 앎을 붙잡고 드러내려 한 말을 문답을 통해 다듬는 것이라는 점, 이러한 목적이 달성되려면 대화상대방은 법정에서 변론하듯, 또는 연설하듯이 대답하는 것이 아니라 묻는 질문에 짧게 예, 아니오로 답하여야 하며, 스스로 숙고한 바를 솔직하게 답하여야 하고, 논박당하는 점에 대해 수용적 자세를 취하여야 하며, 사례제시형 논증으로 대답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등의 문답규칙을 설명하였다. 아울러 질문자는 문답과정에서 상대방에 어떤 태도를 취하여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교수법에 나타난 교육 개혁 -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와 증여로서의 교육을 중심으로

        조흥만 ( Cho Heung-man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3

        본 논문은 소크라테스의 독특한 교수법(敎授法)을 탐구함으로써 그의 무지 고백 및 교사 부인과 관련된 직접적이고 명백한 진술들 간의 상충 관계를 해명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교육 체제를 변화시키려는 플라톤의 교육 개혁을 천착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를 둘러싼 오랜 편견과 오해를 불식시키는 선행적 분석 작업이 긴 호흡으로 논의될 것이다. 이에 덧붙여서 소크라테스가 “소크라테스적 방법”의 최고의 실천가이자 유일한 참된 교사라는 플라톤의 선언에는 `선물 경제`에 토대를 둔 새로운 “철학”의 발명에 교육 개혁 프로그램이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이를 위해 아이러니의 어원적 뿌리인 그리스어 `에이로네이아`(eironeia)에 대한 전통적인 표준적 해석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소크라테스의 eironeia의 몇 가지 독특한 형태를 규명하고, 이 과정에서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에 똬리를 틀고 있는 선행하는 중대한 오해를 제거한다. 먼저 관련 텍스트 분석을 통해 고대 그리스에서 eironeia의 표준적 형태에 `의도적 기만`이나 `부정직성`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과 eironeia의 화신으로 평가받는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를 그렇게 해석할 경우 그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원천적으로 봉쇄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후속 분석 작업을 통해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는 의도적 기만이 전혀 없는 `조롱 아이러니`와 `복합 아이러니` 로 세분하여 논증된다. 다음에서 이러한 예비적 고찰에서 얻은 `복합 아이러니`를 통해 소크라테스의 지혜 및 교사 부인 문제가 구체적으로 검토된다. 우선 그의 무지 고백이 다른 사람의 지식에 대한 인정이나 자신의 지식에 대한 간헐적인 승인 주장 그리고 그가 지혜로운 자라는 진술들과 어떻게 양립이 가능한지가 논의된다. 또한 같은 맥락에서 소크라테스의 교사 부인 논변에도 불구하고 그가 훌륭한 스승이라고 칭송받는 이유가 탐구된다. 플라톤의 새로운 “철학” 관념의 발명과 이를 “소크라테스적 방법”을 통해 실천하는 소크라테스의 모습은, 교육비를 거절하여 철학함의 자유를 향유하면서 스스로를 `신의 선물`로 주장하는 데에 착안하여 선물 경제에 입각한 소크라테스의 교육관과 시장 경제에 기초한 소피스테스의 교육의 상업화가 대비되어 논의된다. 소크라테스의 철학함의 자유정신은 “철학”을 선물로 간주했던 지적 태도의 산물인데, 선물 경제에 입각한 소크라테스적 교육의 현재적 의미와 한계는 자본으로 환원되지 않은 교육 영역의 확보와 자본의 논리에 포섭된 교육 문제를 풀기 위한 플라톤의 원리적인 교육 개혁의 해법으로 각각 설명된다. In this paper, I set out not only to explain away apparent contradictions between direct statements related to his disavowal of knowledge and of teaching by exploring the teaching method of Socrates but also to examine the educational reformation of Plato to change the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re will be discussed an analytic work to correct the old misconception rooted in `Socratic irony`. Moreover, it will be demonstrated that in Plato` statement that Socrates practising “Socratic method” of achieving moral improvement of interlocutors besides never taking pay is an authentic teacher, Plato`s invention of a new “philosophy” based on a gift economy includes the program of educational reformation. When we go back to the Greeks, we discover that the intention to deceive, so alien to our word for `irony`, is normal in its Greek eironeia. But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an alternative use of eironeia which is completely free of an intentional deceit and is used at times by Socrates in Plato. Besides, I will show that Subsidiary in the use of the parent word in classical Greece, eironeia as a mockery without the least intention of deceit now becomes the standard use. As a result, it will be argued that Socrates played the critical role in the mutation of eironeia into irony as a speech used to express a meaning that runs contrary to what is said. It is explored that unlike `simple irony` such as `eironeia with an intentional deceit` and `mocking eironeia`, Socrates`s disavowal of knowledge and of teaching is intelligible only as a `complex ironies`, what is said both is and isn`t what it meant. For example, when Socrates professes to have no knowledge he both does and does not mean what he says. In contrast to divine wisdom the human knowledge of Socrates seems to be identical to ignorance, but in another sense of knowledge identical to JTB(justified true belief) there are many propositions he does claim to know. On the other hand Socrates` parallel disavowal of teaching should be understood not in the conventional sense of teaching as `knowledge transfer` but in the sense of teaching related to an elenctic argument to make his interlocutor him aware of his own ignorance. Next, it is indicated that the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e Socratic manner of teaching and the Sophists` method of teaching consists in if one takes pay for wisdom. Socrates` assertion never to have been anyone`s teacher at 33a5 in Apology turns out to be that he charged no fee for conversing with other people. The Sophistic practice of selling wisdom for money were notorious and the sophists` physicalist model of transferring goods from one person to another simply should not apply to “goods” such as wisdom and virtue. In addition, in having Socrates declare himself “the god`s gift”(Apology 30d-c) to the city, Socrates is situated in a distinctive gift economy instead of a market economy based upon exchange attempted to show in connection with the preliminary discussion in Republic I between Socrates and Thrasymachus. Finally, it is concluded that Socrates` philosophizing as a free spirit resulted from the intellectual attitude of “philosophy” as a gift. The central concern of Socrates` life is “care for the soul.” The limit and meaning of Socratic teaching based on a gift economy for “care for the soul” is drawn from Plato`s program of educational reformation both ensuring educational sphere never reduced to logic of capital and solving the educational problems fettered to a market economy.

      • KCI등재

        악법과 법준수의무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입장

        최봉철 한국법철학회 2013 법철학연구 Vol.16 No.3

        This paper aims at the analysis of Crito in regards to several questions. First, does Socrates define the status of evil laws as law or not? Second, do we have the absolute obligation to obey the law or not? Third, who are Athenian city and laws which make a speech in the mouth of Socrates? Are they identical to Socrates? Fourth, how do we understand his acceptance of death? Does he recommend us to act like him?I maintain that Socrates regards evil laws to belong to the category of law. It can be proved by examining the pertinent texts of Plato and Aristotle. The formula of strong natural law theories which read the maxim ‘unjust laws are no laws’ in the literal sense are rarely found except St. Augustine, Radbruch after Nazism, Robert Alexy among the well-known philosophers and thinkers. I also suggest that Socrates justifies non-observance of extremely evil laws which commands to do wrongdoing to others. Thus, he denies the absolute obligation to obey the law. I tried to make clear the structure of Crito, and concluded that Socrates and the Athenian Laws are not same. I argued that Socrates does not answer to their questions though he answers to the two questions that are easy enough for none to refute directly. He keeps in silence to the three controversial questions of Athenian laws, but he asks Crito whether he agrees instead. The reason is that he disagrees to the speech of Athenian laws and that he wants to know how Crito is being persuaded by it. In addition, I agree to the interpretation of Corybantes by scholars such as Ernest Weinreb and Roslyn Weiss. They interpret that he sees Corybantes’ performance to be a boom which gives no effects to him. My final problem of Crito is his acceptance of the death execution. Does Plato want the innocent to act like Socrates? Ordinary people cannot do the same thing as Socrates did. I suggest the test case of when escaping the jail is justified should not be Socrates’ case but the case of the hero in the movie named the Fugitive. 이 논문은 3가지 문제를 다룬다. 첫째, 소크라테스가 악법의 법적 지위를 부정하였는가, 둘째, 소크라테스와 아테네의 법들과의 관계는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셋째, 소크라테스의 탈옥에 대한 이론은 권장할 만한 것인가이다. 우선 첫 번째 문제부터 말하자면 소크라테스는 ‘악법도 법’이라는 입장을 취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하여 악법에 대한 절대적인 의무를 주장한 것은 아니다. 법이론을 살핀다면 효력과 준수의무를 분리하는 이론이 다수를 점하고 있다. 아퀴나스의 약한 자연법론이나 하트의 법실증주의가 대표적인 예이다. 소크라테스의 입장 역시 그러한 이론의 하나로 이해되어야 한다. 두 번째의 문제란 『크리톤』에 등장하는 대화자가 몇 명인가의 문제이다. 이는 소크라테스와 아테네의 법들을 동일한 인물로 볼 것인지 별개의 인물로 볼 것인가에 대한 판단에 의존한다. 필자는 소크라테스와 아테네의 법들은 별개의 인물로 대화자는 3명이라고 본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테네의 법들은 진리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실정법으로서 권위를 주장하는 것뿐이다. 실정법의 권위주장이라는 것은 복종의 요구이며, 실정법의 주장을 수용해야 하는가는 또 다른 문제이다. 둘째, 소크라테스의 주장과 아테네 법들의 연설 간에는 모순이 존재한다. 소크라테스는 법 준수의무의 한계를 말하지만, 아테네의 법들은 법에 대한 절대적인 복종의무를 주장하기 때문이다. 셋째, 마무리 부분에서 소크라테스는 법의 연설을 코리반츠의 춤에 비유한다. 코리반츠의 춤이란 밀교적인 의식으로 우리의 굿과 유사한 것이라고 해석한다면, 성찰된 삶을 살려는 소크라테스에게 감동을 주었다고 보기 어려울 것이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소크라테스가 든 탈옥 거부의 사유에 대해서는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당시의 상황에 대한 역사적인 고찰이 행해져야 할 것이지만, 직관적으로 말한다면 외화 『도망자』의 주인공의 탈옥 정도는 도덕적으로 더 나아가 법적으로도 면책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

        소크라테스와 윤리적 이기주의

        이영환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22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9

        Ethical egoism is often attributed to Socrates. Given the common-sense notion of egoism, this attribution of ethical egoism to Socrates would seem perplexing to ordinary readers outside the academic circle. Even among the scholars who attribute ethical egoism to Socrates, there is a considerable controversy on what kind of ethical egoism is at issue. I go over some of the recent scholarly contributions on this subject and discuss whether Socrates is an ethical egoist and, if he is, in what sense of ethical egoism and eventually whether the ethical egoism attributed to Socrates is to be named egoism. I take sides with Vlastos in construing the relation between virtue and happness to be non-instrumental. Given this interpretation in which the content of happines is filled with virtues, Socrates’ eudaimonism does not imply egoism. Scholars who adopt the egoistic interpretation of Socrates suggest that Socrates’ egoism is benign egoism, that is, egoism in which an agent’s interest does not conflict with that of others. I raise doubt as to whether it is adequate to describe such a view as egoistic. I argue that the framework of egoism and altruisim, as opposed to the framework of eudaimonism, is not adequate to approach Socratic ethics and brings more harm than good. 소크라테스는 종종 윤리적 이기주의자로 분류되곤 한다. 하지만 이기주의에 대한 상식적인 이해에서는 소크라테스가 윤리적 이기주의자라는 주장은 쉽게 이해되는 주장은 아니다. 사실 소크라테스를 윤리적 이기주의자로 이해하는 학자들 사이에도 그 때 윤리적 이기주의가 어떤 의미인지에 대해서는 상당한 이견이 존재한다. 이 논문에서는 소크라테스와 윤리적 이기주의에 대해 최근에 제기된 몇몇 연구를 일별하고 소크라테스가 윤리적 이기주의자인지 그리고 혹시 소크라테스를 윤리적 이기주의자로 분류한다 하더라도 그 때의 윤리적 이기주의는 과연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를 다룬다. 필자는 블라스토스를 따라 덕과 행복의 관계를 비-도구적인 관계로 이해하는데 그렇게 행복의 내용을 덕이 채우게 될 경우 소크라테스가 행복주의eudaimonism, 즉 모든 인간은 행복을 자신의 모든 행위의 궁극적인 목적으로서 욕구한다는 주장을 받아들인다고 하더라도 이 사실은 소크라테스가 이기주의를 받아들인다는 결론을 함축하지 않는다. 소크라테스를 이기주의자로 이해하는 연구자들은 소크라테스의 이기주의를 양성 이기주의benign egoism, 즉 각자의 이익이 서로 상충하지 않는 형태의 이기주의로 이해할 것을 제안하는데 사실 추구하는 좋음들의 본질적인 성격 때문에 각자가 추구하는 좋음들이 서로 상충하지 않는다면 그런 사상을 굳이 이기주의로 이해하는지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학자들이 ‘윤리적 이기주의’를 학문용어로서 약정적으로 정의하는 한에서는 소크라테스에게 적용시킬 수 있다 하더라도 애초에 행복주의와는 달리 이기주의/이타주의의 틀로 소크라테스를 접근하는 것이 부적절한 만큼 소크라테스를 윤리적 이기주의와 연관시키는 것은 득보다 실이 많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역사적인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활동에 관한 소고

        서영식 ( Suh Young-sik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7

        역사적인 소크라테스의 문제는 서양철학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었고, 불행히도 아직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로 남아있다. 일각의 해석과 달리 플라톤의 초기대화편들을 역사적인 소크라테스의 활동이 기록된 문서로 간주하기는 어려운데. 그 근본적인 이유는 작가 플라톤의 자기이해에 연유한다. 그에게 있어 철학함이란 교조적인 가르침을 일방적으로 받아들인다거나 선배 사상가들에 대한 단순한 회상이 아니라, 공동의 탐구가 바탕이 되어 개인 각자가 지속적으로 노력할 때 조금씩 진전을 경험하는 사유의 여정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플라톤이 단지 철학사가나 역사적 인물의 전기작가로 이해되기를 원하지 않는다는 점은 그의 대화편들의 논쟁적 성격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대화편들은 결코 선대 철학자들의 생각이 묘사된 장소가 아니라, 플라톤이 그들과 격렬한 논쟁을 벌이며, 그 과정이 드라마적인 형태로 기록되는 사유실험의 무대이다. 즉 소크라테스를 포함해서 동시대인들과 동명의 인물들이 다수 등장하는 대화편의 사실적인 작품구성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모두 가공적으로 기획된, 즉 문학적으로 창작된 철학저술 속의 등장인물들이다. 대화편들 속에서 소크라테스의 다양한 역할들도 이와 같은 배경 하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대화편 등장인물들의 역사적 신빙성과 역할은 플라톤의 자기이해 및 작품들의 기능에 대한 그의 내면적 의도와 연관해서 판단해야 할 것인데, 여타의 등장인물들과 그 명제들이 반드시 역사적인 사실을 나타내지는 않듯이, 플라톤이 초기대화편들에서 묘사하고 있는 소크라테스도 역사 속의 인물로 이해되기는 어려울 듯하다. 초기대화편들에 기초한 소크라테스 탐구의 난점들로 인해, 몇몇 연구자들은 『변론』의 사실성에 기초해서 역사적인 소크라테스의 상을 재구성하는 시도를 수행하였다. 예컨대 『변론』에서 소크라테스는 행위를 위해 절대로 동요되지 않는 확실한 규범을 제공하는 보편타당하며 확실한 인식을 거부하는 대신, 순간적으로는 확실해 보일 수도 있겠지만, 추후에 변경을 필요로 한다는 점이 드러나는 부분적이며 임시적인 앎만을 인간에게 가능한 것으로 받아들였다는 해석입장(되링)은, 지혜추구로서의 철학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요구가 절대적인 것에 대한 완벽한 파악이 아닌, 자기인식, 선행 등과 같은 덕목들을 가능한 한 실천하려고 노력함에 있었다는 인식과 연결된다. 대다수 아테네 시민들이 착각 속에서 자신의 의견을 그릇되게 인식으로 믿는 반면에 자신은 적어도 모르는 바에 대해 알고 있다고 착각하지는 않을 만큼의 작은 지혜를 가지고 있다는 소크라테스의 자기인식에 대한 언급이 이와 같은 해석의 근거로 제시될 수 있다. 자기 자신에 대한 정확한 이해로서의 이 작은 지혜는 그가 아고라 광장에서 청년들과의 철학적 탐구를 게을리 하지 않게 만드는 자극제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당시의 혼란스런 현실정치 상황 속에서 죽음을 무릅쓰고 정의를 위해서 싸울 용기를 부여한 것이다. 역사적인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작업에 관한 논의를 방법론적으로 『변론』에 국한시킨다면, 다음의 추론이 가능할 것이다. 비록 소크라테스는 평생 동안 자기인식과 인간의 한계에 대한 이해에 전념했지만, 인간학적인 탐구기반을 통해 인간의 본질을 해명하려 시도하지는 않았다. 이 단계는 플라톤에 의해 비로소 완성되는데, 그는 자신의 영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델피 신탁이 요구하는 바의 완전한 학문적 이해에로 나아갔기 때문이다. 어쨌든 『변론』에 등장하는 소크라테스가 동명의 역사적인 인물의 행적을 반영하는가, 혹은 이를 바탕으로 자기인식 및 인간에 대한 이해와 관련된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차이를 실제로 구분할 수 있는가와는 별도로, 그의 출현과 자기인식에 대한 철학적 가르침이 아테네 사람들을 열광시켰다는 점은 분명하다. Unabhangig von der Faktizitat der historischen Figur des Sokrates in der Apologie ist jedenfalls klar, dass seinerzeit die Athener (einschließlich der Sokrates-Schuler wie Aischines, Antisthenes, Aristipp, Phaidon und Platon) vom Auftritt des Sokrates begeistert waren, dessen Gesprache mit den Jugendlichen auf Eigenstandigkeit und Selbstbestimmung als philosophische Grundlagen fur ein gesundes Gemeinwesen(polis) hinzielten. Und hinsichtlich des Sachverhalts, dass sich die Schuler darum bemuhten, in eigener Art und Weise die Auftritte ihres gemeinsamen Lehrers der Nachwelt zu uberliefern, ist es wohl unbestreitbar, dass man in den Schriften seiner Schuler das Ideal des historischen Sokrates finden kann, eine nicht vertrocknete Quelle des geistigen Gesprachs. Die Beantwortung der Frage, ob man Platons Sokrates-Darstellung fur historisch nehmen darf, ist im strengen Sinne negativ. Eine absolute Sicherheit uber die Historizitat des Sokrates laßt sich durch Platons Dialoge leider unmoglich erreichen. Die Schwierigkeit, einen klaren Unterschied zwischen dem platonischen und dem historischen Sokrates zu machen, geht auf das Interesse Platons zuruck, in seinen Schriften die Entwicklung des eigenen originellen Gedankengangs festzuhalten. Dieser Sachverhalt legt nahe die Fruhdialoge nicht als "reflections of a historical Socrates", sondern eher als "prefigurations of the mature Plato" zu bestimmen.

      • KCI등재

        소크라테스, 삶이 되는 윤리와 예술이 되는 삶

        조수경(Jo, Su-Gyong)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79 No.1

        본 논문은 다양한 학자들의 논의를 관통하며 플라톤의 색을 탈피한 소크라테스 즉 “소크라테스의 소크라테스”를 탐색한다. 연구자들은 플라톤 초기의 저작들 특히 그 중에서도 “소크라테스의 재판”이 가장 소크라테스적인 모습이 담긴 텍스트라고 말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존적이고 역사적인 소크라테스와 함께 그의 논의를 뫼비우스의 띠처럼 엮을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소크라테스 자신이 단 한권의 저작도 남기지 않았고, 플라톤의 텍스트 속에 등장하는 소크라테스의 언표는 플라톤 자신의 사상을 침윤시킨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논의의 과정에서 니체가 소크라테스를 향해 가한 비판의 내용에 관해서도 의견을 개진한다. 즉 니체의 비판은 우리가 말하고 있는 “소크라테스의 소크라테스”가 아니라, 박제화된 소크라테스 즉 “플라톤의 소크라테스”를 겨냥한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 자신은 삶과 유리된 윤리를 주장한 적이 없다. 그가 이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또한 그것을 위해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한 문답의 과정을 거치는 것은 이성자체, 개념자체를 위한 것이 아니다. 그의 관심사는 “삶” 즉 어떻게 살 것인가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소크라테스가 설파한 삶의 윤리를 세 가지 방향에서 살펴본다. 진실함,실천성 그리고 개인이 주체로 서는 정립의 과정이 그것이다. 그런 지점에서 보면, 소크라테스는 니체가 주창하는 예술적인 삶에서도 유리되지 않는다. 첫째, 소크라테스의 문답이라는 진실된 과정은 상대를 기만하는 기술인 수사학과 차별성을 갖는다. 소크라테스 문답의 겨냥점은 답에 있지 않다. 그것은 오직 물음을 물어가는 과정을 통해서 대화의 대상이 스스로 주체로 서기를 바란다. 둘째, 탈출의 가능성 앞에서도 죽음을 택한 소크라테스의 행보를 푸코는 ‘파르헤지아’라고 칭한다. 즉 소크라테스의 말과 행동 사이에는 일점의 간극도 없다. 다시 말해 그의 말이 곧 행동인 것이다. 셋째, 알려진 바와 달리, 소크라테스의 방점은 공동체에 있지 않다. 그는 니체와 마찬가지로 개인이 먼저 자신의 현상태를 깨닫는 노력을 하는 것을 윤리의 출발점에 둔다 “너 자신을 알라”, “음미되지 않는 삶은 살 가치가 없다” “철학자는 기꺼이 죽으려 한다” 등 그가 남긴 경구는 그것을 예증하고 있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오늘날 우리의 관점에서도 여전히 열린 텍스트이며, 길어야 할 지혜의 샘물인 것이다. 우리의 삶에서 “-란 무엇인가?” 라는 윤리적이고 실존적인 물음이 계속되는 한 그는 우리 곁에 머문다. This study starts from asking little questions, why there are so many interpretations concerning Socrates who was the first ethicist and why those interpretations are so much different from one another. For example, Platon, Xenophon, Diogenes Laertios, Hegel and Kierkegaard all depicted that Socrates was the first ethicist and great philosopher. According to them, Socrates is the first scholar who speculated on man and human life. In other words, those philosophers found that it was not before Socrates when a question, “how should we live?” was raised and efforts to answer that question began. In contrast, Nietzsche and Aristoteles saw Socrates as negative. Going through these different arguments,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exploring “Socrates’ Socrates”, a figure beyond the color of Plato. Researchers say that Platon’s early writings, especially “Socrates Against Athens” are texts showing who was most Socratic. Socrates’ behaviors in the legal action were nearly same as what he was an existential being. Much of them truly represented his apologies for himself. Thus, this study can’t avoid tieing existential, historical Socrates with his arguments like the Mobius strip. This is because Socrates didn’t leave any of his writings and his statements found in Platon’s texts are what were penetrated into by Platon’s thoughts. This study also discusses how Nietzsche criticized Socrates. Seemingly, that criticism focused on “Plato’s Socrates” who was dogmatized and stuffed, not on “Socrates’ Socrates” Socrates did never make any argument about ethics isolated from life. He thought of logos as important, and proposed the Catechetic Method to clearly determine its concept. But this has nothing to do with logos or that concept itself. The focus of his concerns was “life”, that is, “how should we live?” This study discusses Socrates’ ethics of life in three directions, that is, sincerity, practicality and individuals’ establishment of themselves as the subject. In this sense, Socrates was not isolated from artistic life as suggested by Nietzsche. First, the Catechetic Method of Socrates, a process towards truth is discriminated from rhetoric as the skills of deception. That method didn’t aim to get answers. Instead, it only wanted people to establish themselves as the subjective being by asking questions to them over and over again. Second, Socrates chose to die despite he was possible to escape. Foucault called that choice as ‘Parresia’. In other words, Socrates didn’t show any gap between what he said and what he did. His words were always equal to his actions. Third, as already known, Socrates didn’t put focus on community itself Like Nietzsche, Socrates suggested the starting point of ethics lies in individuals’ awareness of their present state. This is supported by his epigrams like “Know yourself”, “The unexamined life is not worth living” and “The philosopher is willing to die.” Thus, Socrates is still an open text and fountain of wisdom when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today. As long as an ethical, existential question “what is ~ ?” lasts in our life, Socrates is always with us.

      • KCI등재

        플라톤의 〈테아이테토스〉와 소크라테스적 삶의 철학적 변론

        박성우(Sungwoo Park) 한국정치학회 2010 한국정치학회보 Vol.44 No.3

        소크라테스는 아테네의 배심원 법정에서 자신의 삶 전체를 훌륭한 삶으로 설득시키는 데 실패했다. 그러나 그의 실패는 그의 정치적 심판이 부여한 수사학적 한계에 기인한 바 크다. 소크라테스에 대한 정치적 심판이 이와 같이 불리한 조건에서 이뤄진 것이라면, 소위 철학적 심판의 장에서 그의 삶은 성공적으로 변호될 수 있었을까? 논문은 플라톤의 〈테아이테토스〉 대화편의 분석을 통해, 소크라테스가 철학적 심판이라는 가정적 조건 하에서 자신의 삶을 어떻게 변호할 수 있었는가를 검토한다. 〈테아이테토스〉는 전통적으로 형이상학적, 인식론적 주제만을 다룬 대화편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논문은 이 대화편의 극적 요소가 소크라테스의 재판과 죽음을 암시하고 있음에 주목하고, 이 대화편이 소크라테스적 삶의 철학적 변론의 장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논문은 이대화편의 두 부분, 즉 소크라테스가 자신을 산파로 소개하는 부분과, 철학자와 수사가를 비교하는 여담 부분에 특히 주목한다. 논문은 첫 번째 부분의 해석을 통해, 소크라테스가 자신의 삶을 산파와 비교하면서 아테네의 젊은이들을 타락시켰다는 기왕의 비난을 성공적으로 변호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논문은 또한“여담”의 해석을 통해,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삶이 자연철학자나 소피스트의 삶과 구분되는 훌륭한 삶이었음을 변론하는 데 성공했음을 보인다. 결론적으로, 논문은 철학적 심판이라는 가정적 조건 하에서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삶을 성공적으로 변론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Socrates failed to persuade the jury in the Athenian court that his philosophical life was the worthiest way of life. His failure, however, was primarily due to the rhetorical condition in which his political trial situated him. Now the paper asks the question whether he would succeed in presenting his life as good life, if his trial took place in the philosophical atmosphere. To answer the question, the paper turns to one of the Plato’s dialogues, “Theaetetus,”that has been traditionally regarded as dealing with metaphysical and epistemological theme. The paper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dramatic elements of the dialogue in order to show that the dialogue contains philosophical defense of Socrates’life. In particular, the paper examines closely two specific parts of the dialogue: argument for midwifery and digression. In the midwifery part, Socrates succeeds in rejecting the traditional criticism that Socrates himself corrupted the young, whereas in digression he succeeds in presenting his life as differentiated from the lives of Sophists or natural philosophers. In sum, the paper concludes that Socrates succeeds in presenting philosophical defense of his life in Theaetetus.

      • KCI등재

        다가서는 에우튀프론, 물러서는 소크라테스

        김유석(Kim, Iou-Seo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3 철학사상 Vol.50 No.-

        이 글의 목적은 플라톤의 『에우튀프론』에 나타난 드라마적 성격, 특히 대화자들의 대화 태도와 감정을 살펴보고, 그 안에 들어있는 소크라테스에 대한 변호론적 성격(apologetic character)을 드러내고 재구성하는 데 있다. 플라톤이 초기 대화편들에서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삶과 실천을 옹호하는 이른바 변호론적 성격을 작품 속에 강하게 투영시키고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에우튀프론』에서 플라톤은 전통적인 덕목 가운데 하나인 경건(to hosion)의 본성을 탐구하면서, 자신의 스승을 불경으로 몰아 죽음에 이르게 한 세간의 비난과 고발이 불합리하고 부당한 것이었음을 여러 각도에서 다양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주목하려는 것은 흔히 소크라테스적 논박술로 알려진 철학적 논변보다는, 오히려 대화자인 에우튀프론과 소크라테스의 감정과 정서태도라는 드라마적 요소들이다. 지금까지 『에우튀프론』에 전개된 논박술의 위상과 가치, 그 안에 내재된 변호론적 성격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반면, 작품의 드라마적 요소가 갖고 있는 변호론적 기능은 거의 아무런 주목도 받지 못한 게 사실이다. 그렇지만 『에우튀프론』의 드라마적인 장치와 요소들은 단순한 문학적 장식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철학적 논변들의 배후에서 논변들을 감싸며 논박술을 통해 정당화된 변호론적 성격을 한결 더 풍부하고 생생하게 보여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처럼 보인다. 우리는 특히 이러한 모습을 논변의 교환 속에서 소크라테스와 에우튀프론이 서로에 대해 보여주는 상반된 태도를 통해 한결 더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대화의 처음부터 끝까지 에우튀프론은 소크라테스를 향해 공감과 연대감을 표하며 다가가려 하는 반면, 소크라테스는 끊임없이 뒷걸음질 치며 에우튀프론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려 한다. 사실 소크라테스의 이런 태도는 대화자와의 심리적 거리감을 없애기 위해 상대에게 다가가고 상대와 닮은 점을 부각시키곤 하는 다른 대화편들과는 매우 대조적인 모습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이러한 거리두기를 통해서 그가 추구했던 철학적 경건을 전통적인 덕목으로서의 경건과 한결 더 분명하게 대비시키는 한편, 소크라테스의 경건이 결코 대중들의 무반성적인 경건과 섞일 수도 없고, 또 그것에 의해 비난 받을 수도 없음을 역설하는 데 성공한 것처럼 보인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and reconstruct Plato’s apologetic strategy developed in the dramatic characters of the Euthyphro. It is well known that Plato tries to defend Socrates’ life and his philosophical practice. Especially in his early dialogues, Plato depicts Socrates as a model of virtue. And in doing so, Plato wants to show from various angles that Socrates was innocent and that the accusation aimed at Socrates was false and unjust. His apologetic intention is particularly conspicuous in the Euthyphro where, in trying to define piety (to hosion), Socrates appears to be the most pious man. By this description, Plato seems to argue that the accusation against Socrates under the pretext of impiety cannot be justified at all. It is also worth noticing that these apologetic characters lie not only in the dialectical arguments (i.e. socratic refutation) but also in the dramatic elements (e.g. the emotional interactions between Socrates and Euthyphro). Whereas the philosophical meanings of the refutation were studied by many scholars, the importance of dramatic elements was relatively neglected for a long time. But it seems to me that the apologetic role of dramatic elements is particularly important: lying behind the philosophical argument, the dramatic characters of the interlocu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enforcing the apologetic character of the dialogue. It is in this remark that the paper focuses on the emotional attitudes between Socrates and Euthyphro: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dialogue, Euthyphro reveals incessantly a feeling of sympathy and steps towards Socrates; in contrast, Socrates wants to keep at a distance and steps back carefully from the former. In fact, Socrates’ attitude in the Euthyphro is somewhat unusual in comparison to other dialogues where Socrates is always approaching his interlocutors by using his peculiar ironical flattery. Our suggestion is this: the only way to explain his unusual behavior is to interpret that Socrates’ keeping at a distance is Plato’s device to show the innocence of Socrates. On a philosophical level, Socrates refutes Euthyphro’s concepts of piety which are nothing other than public opinions. But with a philosophical refutation, it is not enough to defend Socrates. On a dramatic level, Plato made Socrates maintain a distance from Euthyphro. By keeping at a distance, Plato shows us successfully that socratic piety cannot be confused with Euthyphro’s piety, which lacks philosophical examination.

      • KCI등재

        ‘소크라테스적 전형’에 따른 ‘소크라테스 대화’의 이론적 정당화에 관한 비판적 고찰

        이재현 대동철학회 2021 大同哲學 Vol.94 No.-

        본 논문의 목표는 라우파흐-스트레이가 넬손과 헥크만의 전통에 따라 계승·발전된 ‘소크라테스 대화’의 이론적 근거로 제시한 ‘소크라테스적 전형’을 플라톤에 의해 전승된 ‘소크라테스 철학’으로부터 어떻게 이론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 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소크라테스 대화’와 관련해서 ‘소크라테스적 전형’이 제시 된 이유를 우선 살펴보고, 9가지 요소들로 구성된 ‘소크라테스적 전형’을 하나씩 소개한 후, 이를 ‘플라톤의 소크라테스’를 통해 정당화할 것이다. ‘소크라테스적 전형’의 9가지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1) 철학함의 장소로서 아고라: 소크라테스 대화의 개방성과 공공 성, (2) 경험에 근거를 둠: 소크라테스 대화의 방법론적 원리, (3) 반독단주의: 가르침에 대한 포기, (4) 이성의 자기 신뢰: 로고스-원칙, (5) 산파술: 소크라테스 대화의 절차, (6) 정당화 계획: 역행적 추상과 상기설, (7) 진리 합의의 대화 목적: 인간적 지혜와 오류가능 성주의, (8) 대화 공동체: 진리 탐구와 진리 합의의 주체, (9) 인간상: 수평적 인간관계.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critically how the Socratic paradigm that Raupach-Strey sets up for the theoretical justification of the Socratic Dialogue in the tradition of Nelson and Heckmann can be theoretically justified by the Socratic philosophy handed down from Plato. For this I first consider the reasons for the presentation of the Socratic paradigm in relation to the Socratic Dialogue, then introduce each of the nine elements of the Socratic paradigm, and then justify this by means of the platonic Socrates. The nine elements of the Socratic paradigm are as follows. (1) ‘agora’ as a place for philosophizing: openness and publicness, (2) the anchorage in experience: the methodological principle of Socratic Dialogue, (3) the anti-dogmatism: renounce teaching, (4) the self-reliance of reason: the logos-principle, (5) Maieutics: the process of Socratic Dialogue, (6) the concept of justification: the regressive abstraction and the theory of anamnesis, (7) the goal of dialogue as the consensus of truth: human wisdom and fallibilism, (8) the community of dialogue: the search for truth and the subject of the consensus of truth, (9) the image of human being: the horizont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