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소외감과 박탈감이 소비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분석

        허경옥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 스타일, 소비자소외와 소비자 박탈감이 소비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이들 변수가 소비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공변량구조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취업 소비자, 고졸 소비자, 50대 이상, 300만원 이하의 가계소득을 가진 소비자, 대체로 가게생활비 액수가 적은경우 소외감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박탈감 수준의 경우 300만원 이하의 가계소득을 가진 소비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50세이상 소비자와 300만원을 초과하는 가계소득을 가진 소비자가 소비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 50세이상 고연령 소비자의 경우 소비자소외감도 높으며 소비생활만족도도 높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대체로 고소득자는 소비자소외감은 낮고 소비생활만족도는 높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소외감과 박탈감을 매개변수로 소비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공변량구조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소비자가 느끼는 소외감은 취미적극형의 라이프 스타일을 가진 소비자의 경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취미활동에 적극적이며 능동적인 소비자가 소외감을 적게 느낌을 알 수 있다. 또한,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이 긍정만족형인 경우 상대적으로 박탈감을 덜 느끼는 반면 사회정치관심형은 박탈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자신의 삶에 만족하며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소비자는 박탈감을 덜 느끼는 반면 사회와 정치에 관심이 많고 정치적 의견이 강한 소비자일수록 박탈감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 소외감과 박탈감 수준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소비생활만족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소외와 박탈감은 소비자의 소비생활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life style, alienation, and deprivation of consumer and satisfaction of consumer's life by the consum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is examined the effects of life style, alienation, and deprivation of consumer and satisfaction of consumer's life by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below. First, it is more likely to be alienated when consumers were in unemployment, high school educated, ages over 50's, and having family income over 3,000 thousands Won. The level of deprivation of consumer were high in consumers who had family income over 3,000 thousands Won. Seco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consumer's life was high in consumers who's age over 50's, and income under 3,000 thousands Won, and having lower family expenditure for a living. The result showed that consumers over 50 years old were more likely to be alienated and have high satisfaction of consumer’s life. However, overall, consumers with high family income were less likely to be alienated, but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in consumption life. Third, as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 level of consumers' alienation was lowest in active lifestyle focusing hobby. It implies that consumers engaged in active hobby life are less likely to feel alienation. In addition, consumer's positive and satisfied lifestyle effect negatively in deprivation relatively, but consumer's interested in social problem effects positively in deprivation. It implies that consumers who are satisfied in his/hers life, recognized positively for themselves, but consumers who interested in social and political agenda and have strong ideas politically were more likely to be in deprivation. Forth, the high level of consumer's alienation and deprivation decrease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consumer's life. It implies that consumers' alienation and deprivation effects negatively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consumer's life.

      • 소비자소외와 소비합리성에 대한 관련성 연구

        허경옥,이현진,김유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09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5 No.2

        본 논문에서는 경제성장과 소득증대, 매스미디어의 발달과 소비의 다양화 등 현대 소비사회에 있어서의 상대적 박탈감으로 인해 크게 인식되고 있는 소비자소외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하며, 소비자소외가 구매시 소비합리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소비자소외와 관련된 연구들을 고찰하여 소비자소외의 개념정의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또한 소비자소외가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소비자소외가 구매시 소비자의 합리적 소비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조사결과로는, 첫째, 소비자소외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교육수준과 핵가족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졸이하, 그리고 핵가족의 소비자소외에 대한 평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자율성과 상대적 박탈감은 소비자소외에 영향을 미치는데, 자율성이 낮을수록, 상대적 박탈감이 높을수록 더 높은 소비자소외 성향을 보였다. 셋째, 소비자소외는 구매시 소비자의 소비합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소비자소외 성향이 높을수록 보다 높은 소비합리성 성향을 나타냈다. 각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해 보면, 소비합리성에 가장 영향력을 크게 미치는 변수는 소비자소외였고, 다음으로 결혼여부, 자율성의 순이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ubject of consumer alienation that is increasingly emerging as a potential problem along with economic growth, development of the mass media, sense of deprivation associated with them, etc., and also looked into the effects of consumer alienation on their reasonable consumption behaviors. As part of our efforts, we have first examined the paststudies on consumer alienation conducted at home and abroad, and also worked on the definition of consumer alienation. After having studied how consumer alienation differs based on socio-demographic factors, we continued to delve into the specific effects consumer alienation has on their reasonable consuming behaviors. The followings are a summarized description of the results.First, among a variety of demographic elements, consumer alienation was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The average of consumer alienation was higher among the high-school graduates or less than among the college graduates or higher, and that of nuclear families was higher than that of extended ones. Second, autonomy and the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also influenced consumer alienation; the lower their autonomy, and the higher their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the higher their inclination for consumer alienation grew. Third, consumer alienation was shown to affect their rationality in consumption, and, as their inclination for consumer alienation becomes higher, their consumption rationality also grew higher. Compar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each variable, the most decisive variable affecting consumer rationality was consumer alienation, and it was followed by marriage and autonomy.

      • KCI등재

        디지털 시장에서의 소비자소외 개념화에 대한 연구

        이유림,정재은 한국소비자학회 2022 소비자학연구 Vol.3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시장에서의 소비자소외 양상의 하위차원과 관련 개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1 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이론적 주제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NVivo를 활용하였다. 첫째, 심층인터뷰 결과 ‘무력감,’ ‘무의미,’ ‘불신,’ ‘문화적 소원,’ ‘사회적 소원,’ ‘자기소원,’ ‘능동성 상실,’ ‘인간성상실,’ 그리고 ‘소유감 상실’의 9개의 디지털 시장에서의 소비자소외 하위차원이 도출되었다. 현재 시장은 디지털 기술로 인해 기존 소비자소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던 1970년대의 시장과 달라져 있으며, 기존 소비자소외 연구에서 밝혀졌던 다섯 가지 하위차원보다 폭넓은 소외 양상이 나타난 본 연구결과는 소비자소외 연구에서 디지털 환경을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 둘째, 시장으로부터의 소외에 초점을 맞춘 기존 소비자소외 연구와는 다르게 현재 소비자는 디지털 시장에서 획득한 재화 및 서비스를 일상에서 이용하는 과정에서 소비문화, 사회 주류, 타인, 그리고 자기 자신으로부터의 소외를 경험하고 있었다. 특히 일상에서 경험한 사회적 소원, 자기소원, 인간성 상실, 그리고 소유감 상실은 소외에 대한 철학적 담론을 제기한 연구들에서 주장한 소외 현상을 소비자가 실제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은 동일한 디지털 시장에서의 소비자소외 양상이라고 하더라도 소비자 개인적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수준의 소비자소외 수준을 지각하였다. 이는 소비자의 지각된소비자소외 양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각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에 맞춘 소비자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디지털 시장에서의 소비자소외는 디지털 정보역량이 낮은 소비자뿐만 아니라 디지털 정보역량이 높은 소비자 또한 지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의 디지털 정보역량 수준에 따른 소비자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정보역량이 높은 소비자에게는 맞춤형 광고에 노출되지 않기 위한 방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디지털 정보역량이 낮은 소비자에게는 공공서비스 앱과 같은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디지털 서비스 이용법을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금융시장에서의 소비자소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서가연 ( Seo Gayeon ),최현자 ( Choe Hyuncha ),한지형 ( Han Jihy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5

        본 연구는 보다 포괄적이고 소비자지향적인 금융포용의 달성을 위한 연구로, 기존의 금융소외가 고려하지 않았던 소비자가 금융시장에서 느끼는 심리적 소외감을 설명할 수 있는 금융시장에서의 소비자소외의 개념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소비자소외’개념을 차용하여 금융시장에서의 소비자 소외를 정의하였으며, 금융시장에서 소비자들이 느끼는 소비자소외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금융시장에 대한 소비자들의 주관적 인식을 살펴보고, 그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전반적인 금융시장에서의 소비자소외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73점으로 나타나 금융시장에서 소비자소외 수준이 평균을 상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두 차원인 ‘구조적 소외’와 ‘개인적 소외’에 대해, 전자에 대한 응답은 5점 만점 중 평균 3.88점, 후자는 3.58점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은 소비자소외의 두 가지 요인 중 구조적 소외를 시장에서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소비자소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요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소비자소외 변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적으로 정책 대상의 기준이 되는 성별, 연령, 소득 수준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혹은 재무적 특성 외에 금융이해력, 위험수용성향 변수의 영향력 크기가 정적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소비자가 금융거래 역량을 강화하도록 하는 노력에 대한 정책적 지지와 함께 시장의 전반적인 환경과 금융회사들이 보다 소비자 지향적으로 변화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With increasing interest in financial inclusion, various entities are trying to bring up solutions to protect vulnerable consumers in financial markets. Most of these policies are generally targeting consumers who are in relatively vulnerable positions based on certain criteria such as low-income or young people in society.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nature of the financial market that financial products are complicated and the range of information that can be understood by consumers is limited, there must be more general efforts to embrace both vulnerable consumers and other consumers. In other words, in addition to the policy for vulnerable consumers, efforts to improve the whole market environment itself are required. This study started with the idea that the majority of consumers who are not eligible for qualified policies in the financial market may also experience various proble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nancial market mentioned above. In that matter, it has been examined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financial markets by measuring the level of consumer alienation, which consumers feel in the financial market. In this study, financial consumers in their 20s and 60s were selected as a sample to measure the level and causes of consumer alienation. The sampling was conducted based on gender, age, and residence among Korea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total of 529 copies were collected by the online survey method, and 526 responses were selected except for unfaithful respon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the concept of consumer alienation is composed of various dimensions such as powerlessness, meaninglessness, and normlessness, etc. In this stud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consumer alienation from various dimensions. It was divided into two sub-dimensions: one is ‘normlessness’ and the other is ‘meaninglessness.’ ‘Normlessness’ means that companies are not responsible for social values and focus on pursuing monetary values. ‘Meaninglessness’ indicates that consumers experience difficulties in making effective decisions as they feel that they are not able to access certain information or services. However, to match the right words for the original meanings, those concepts have been renamed as ‘structural alienation’ and ‘personal alienation.’ Based on this concept structure,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overall level of consumer alienation in the market. The level of consumer alienation was 3.73 out of 5, indicating that the level of consumer alienation exceeded the average in the financial market. Looking at each dimension in detail, the structural alienation dimension is 3.88 out of 5 points and the personal alienation dimension is 3.58 points. These results show that consumers evaluate that negative experiences in financial markets are more derived from financial companies than themselves. Therefore, consumers are expected to conduct unsatisfactory financial activities because financial companies do not operate in a consumer-centric manner. Nex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factors affecting consumer aliena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listed below: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including income, house-ownership, gender, age, education and also financial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such as financial literacy, risk tolerance, etc. It turned out that age, financial literacy, cost burden for continuous transactions, and technology usage capacity. If consumers who are financially affordable or have needs and higher financial literacy, they tend to be more unsatisfied driven by profit-oriented business behavior or selective information provision from financial companies in financial markets. This implies that inequality in the trading position, which is a typical problem in the financial market, still exists today.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find various alternatives to overcome this gap in the financial marke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personal alienation, the level of alienation was higher in the case of women, feeling a high-cost burden for continuous financial transactions, having the higher technology usage capability or greater dissatisfaction in the market. On the other hand, if consumers have more tendency to pursue risk or stronger belief that they can do their financial transactions, the level of personal alienation went lower.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factors such as confidence or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necessary to make decisions to determine the level of alienation. Besides, considering that investment products tend to have a significant tendency to increase personal alienation,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establish a proactive and ex-post consumer protection system. Finally, in the time of increasing non-face-to-face transactions with the advent of the fintech, the result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technology use, the higher the level of consumer dissatisfaction, implies that apps for financial transactions are not friendly enough for consumers to use. This study has its own strength in terms of measuring the level of dissatisfaction that consumer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financial transactions. Moreover, it was the first trial to adopt the concept of consumer alienation to the financial market. In future studies, it is essential to constitute a more sophisticated scale to measure consumer alienation from a deeper perspective.

      • 소비자소외의 개념에 관한 연구

        허욱재,김난도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0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2 No.2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blem of ‘consumer alienation,’ which forms and impedes the welfare of consumers in modern consumption society. In order to reconceptualize the consumer alienation, the paper delves into the existing discussions by philosophers including Hegel, Marx, Lukacs, Fromm, and the Frankfurt School, and positivists such as Seeman, Dean, and others. By rediscovering existing discussions of alienation, the paper defines consumer alienation as “the heteronomic phenomenon that instrumentalize consumers to function as means to fulfill the capitalisim, which results in the impedement of consumers’ autonomic decision-making.” The authors expect that the study contribute to the conceptualization of various problems evolved from modern consumer society by employing the concept of consumer alienation.

      • KCI등재

        생물학적 연령과 주관적 연령의 인지가소비가치와 소비자소외감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오혜영 ( Hye Young Oh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5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실제 생물학적 연령과 주관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주관적 연령 간의 차이가 추구하는 소비가치와 소비자 소외감 지각 정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만 나이를 기준으로 생물학적 연령을 20대, 30-40대 및 50대 이상으로 연령집단을 구분하고, 스스로 지각하는 주관적 연령을 기준으로 20대, 30-40대 및 50대 이상의 연령집단을 구분한 후, 각각의 연령집단별로 추구하는 소비가치와 소비자소외감 지각을 유형별로 비교분석하였다. 또, 생물학적 연령과 주관적 연령 지각 간의 차이가 소비가치와 소비자 소외감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연령 인식이 소비자 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가치 유형에 대해 실제 나이 기준 연령집단별로 나이가 들어갈수록 윤리적 가치와 진정성 가치를 중시하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주관적 인지연령 집단별로는 감정적 가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스스로 실제나이보다 더 젊다고 생각하는 소비자들은 윤리적 가치, 사회적 가치 및 진정성 가치 유형에 대해 유의하게 높게 평가하였다. 소비자소외감 유형에 대한 실제 나이와 주관적 인지연령 집단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실제 나이와 주관적 인지연령 간의 차이 정도에 따라 나이 차이를 6세 이상 크게 지각하는 소비자들은 문화소외와 손실경험/피해의식 유형에서 소비자소외감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실제 나이를 기준으로 한 연령집단과 주관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연령집단별로 추구하는 소비가치와 소비자소외감 지각에 있어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또 실제 연령과 주관적 인지연령 간 차이의 방향성(더 나이 들게 인지 vs. 더 젊게 인지)이 소비가치 추구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실제 연령과 주관적 인지연령 간 차이의 크기(6세 이상 크게 차이 vs. 5세 이내 적은 차이)가 소비자소외감 지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intergenerational difference of consumption values and of perceived consumer alienation. To attain this aim, the study classifies the generations based on the chronological age and perceived subjective age into 20s, 30s-40s, over the 60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classified consumption values with six types as per ethical value, social value, emotional value, epistemic value, economic value and authentic value and perceived consumer alienation with four types as per normlessness/meaningless, powerlessness/technical estrangement, cultural estrangement and loss/victim mentality by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Second, the intergenerational difference for consumption values based on the chronological age was significant for ethical value and authentic value but intergenerational difference based on the perceived subjective age was significant for emotional value only. Also, consumers who think younger than the real ag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ethical value, social value and authentic value. Third, the intergenerational difference of perceived consumer alienation was not significant but consumers who have bigger gap over the 5years from real age were significantly high for culture estrangement and loss/victim mentality. Finally, as per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nsumption value types and perceived consumer alienation types, ethical value and epidemic value types were related to loss/victim mentality, social value and emotional value types were related to powerlessness/technical estrangement, economic value was related to cultural estrangement and authentic value was related to normlessness/meaningless. It demonstrates that the two types of intergenerational difference between chronological age and perceived subjective age were significant for consumption values and perceived consumer alienation and also the distance and the direction of age gap between chronological age and perceived subjective age had significantly different effect.

      • KCI등재

        소비자소외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특성 요인에 대한 구조분석

        허경옥 ( Kyungok Huh ),차경욱 ( Kyung Wook Cha ),이신애 ( Shin Ae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소비자구매성향, 소비자박탈감과 소비자만족도가 소비자소외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소비자구매성향의 유형을 브랜드추구, 충동구매, 합리적 구매로 구분하고, 소비자박탈감과 소비자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소비자구매성향 유형이 소비자소외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 관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구매성향 유형과 소비자박탈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충동구매성향만이 소비자박탈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추구와 합리적 구매성향은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소비자구매성향 유형과 소비자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브랜드추구, 충동구매, 합리적 구매성향 모두 소비자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박탈감은 소비자만족도에 부적인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넷째, 소비자박탈감은 소비자소외의 하위영역인 무력감, 무규범성, 무의미성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비자만족도는 무력감, 무규범성, 무의미성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소비자소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충동구매성향과 소비자박탈감임을 알 수 있다. Consumer alienation is one of the serious problems in the consumption oriented society, and should be solved for the consumer satisfaction and welf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structural model for the relationship of purchasing propensity and the consumer alienation, and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 deprivation and consumption satisfaction. Data for this study were from a questionnaire completed by adult consumers lived metropolitan. From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the purchasing propensity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brand seeking propensity, impulse buying propensity, and rational purchasing propensity. The consumer alienation was divided to three factors: powerlessness, normlessness, and meaninglessnes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supported the fit of measurement model consisting of latent variables. And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purchasing propensity, consumer deprivation, consumption satisfaction, and consumer alienation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mpulse buying propensity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onsumer deprivation. The brand seeking propensity, impulse buying propensity, and rational purchasing propensit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onsumption satisfaction. And consumer depriv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evel of consumption satisfaction. The consumer deprivation had positive impacts on three categories of consumer alienation, i.e. powerlessness, normlessness, and meaninglessness. However, consumption satisfac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sumer alienatio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to understand properly and to resolve the consumer alienation problem.

      • KCI등재

        소비자의 금융소외에 관한 연구: 금융상품과 거래채널을 중심으로

        서가연 ( Seo Gayeon ),최현자 ( Choe Hyuncha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2

        금융소외란 ‘소비자가 금융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금융상품에 접근하지 못하고 가입이 좌절되어 금융거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는 과정’으로, 본 연구는 특정 상품이나 소비자 집단에 한정하지 않고 종합적으로 금융소외 현상을 다룰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금융시장에서 발생하는 금융소외가 상품 특성 및 거래채널 별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그 원인을 규명하였다. 20대에서 60대 금융소비자 52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약 65%가 금융소외 집단에 속하였고 금융상품과 거래채널에 따라 금융소외의 양상과 원인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상품별로 금융소외는 투자성 상품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다음으로 보장성, 대출성, 예금성 상품 순으로 나타났다. 기존 선행연구에서 금융소외의 원인으로 지목된 재정적 결핍 혹은 신용 제한과 같은 요소뿐만 아니라 개인 심리적인 측면, 금융상품의 특성 역시 소비자의 금융소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거래채널의 측면에서 금융소외의 양상과 원인은 대면거래와 비대면 거래간 차이를 보였는데 기술역량과 함께 금융상품에 대한 선택 역량이 디지털 디바이드(digital divide)에 대한 영향요인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financially excluded consumers in the Korean market. The data of financial consumers from the twenties to the sixties has been collected via online survey. The result shows that about 65% of the respondents have experienced financial exclusion at least once. In detail, 67.7% of respondents have most experienced in investment products, followed by insurance products(42.7%), loans(21.6%), and savings accounts(21.3%). Psychological factors affected financial exclusion of the investment products market. The burden on transaction costs and the selection confusion in various products variables were distinguishing in insurance products. Considering that the level of financial literacy and the subjective financial transaction competency were high in the group of financial exclusion in loans, it could be assumed that the influence of an external transaction environment caused the financial exclusion. In terms of transaction method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ce-to-face and non-face to face transactions. The selection confusion and the age variables had positive effects on financial exclusion of non-face to face transaction groups. Based on the results, the financial exclusion has not been caused by not only a monetary deficit or a limitation of credit use, however, also the factors such as low conf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products. In conclusion, aspects and causes of financial exclusion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financial products and transaction methods, thu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attempt to define financial exclusion as an expanded concept in this study was effective.

      • KCI등재

        소비자의 행복한 공간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내러티브 분석을 통한 소비자장소 경험의 진화 모형 도출

        라선아 ( La Suna ),김지호 ( Kim Gho ),이준영 ( Lee June-young ),김소연 ( Kim So-yun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5

        본 연구는 인간의 존재방식 및 삶의 질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공간’을 소비의 대상으로 보고, 소비자가 행복감을 느끼는 공간경험의 본질과 과정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행복한 공간경험에 대한 소비자의 실제 경험을 기록한 에세이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총 38건의 에세이 내러티브를 수집하여, 부정적 경험을 표현한 3건을 제외한 35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소비자의 공간-장소 경험의 진화 모형’을 도출하였다. ‘공간(space)’은 아직 의미를 부여받지 못한 물리적 범위에 불과하나, 소비자가 공간을 경험하면서 의미를 부여함에 따라 ‘장소(place)’로 재탄생한다. 소비자는 특정 공간에서 ‘장소감’을 느낀 후 그 장소를 개인화, 인격화, 내면화하는 과정을 거쳐 ‘장소애착’을 형성한다. 애착을 느끼는 장소에 장소동일시, 장소소속감, 장소주인의식을 갖게 되면서 장소충성도가 형성된다. 장소충성도는 그 장소를 위한 소비자의 (과잉)상호호혜적 보답행동이나, 장소경험을 재생산 및 의례화하려는 행동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소비자의 장소행동은 장소의 보존과 번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그 과정에서 소비자는 ‘장소행복감(place happiness)’을 얻게 되는데, 이 행복감은 소비자의 장소경험 사이클을 추진하고 강화한다. 장소는 나름의 수명주기를 가지며, 소비자 요인 및 외적 요인의 영향을 받아 변화한다. 장소변질이나 장소소실이 발생하면 소비자는 장소소외감과 장소노스탤지어를 느끼게 되어 대안장소에 대한 추구행동을 보인다. 요컨대, ‘소비자의 공간-장소 경험’은 역동적 진화과정으로, 소비자의 삶의 질과 행복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장소감’ 형성의 요건으로 ‘현장’, ‘사람’, ‘이벤트’의 장소 3요소를 적용하여, 소비자 공간-장소 경험의 본질과 과정을 심도 있게 분석하며, 소비자 공간경험을 위한 체험마케팅 믹스로 기존의 5믹스인 감각, 정서, 인지, 행동, 관계 차원에 기억, 문화의 두 차원을 추가한 체험마케팅 7믹스를 제안한다. 또한, 공간 내 사람요소의 중요성을 반영한 ‘소비자장소의 사회적 생태계’ 모형을 도출하였고, 기존의 공간분류 모형도 확장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행복 연구의 광활한 지평에서 ‘공간’과 ‘경험’이 겹쳐질 때 창출되는 ‘소비자장소’의 가능성을 여는 데 공헌하였고, 민간기업과 공공부문에서 소비자행복을 높일 수 있는 공간계획과 운영에 기초자료로 참조할만한 시사점도 제공하고 있다. The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substance of consumer experience of ‘place happiness’ by adopting the perspective that ‘space’ is one of consumption objects in modern world. Space is considered as a factor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way of human existence and quality of life. For data collection,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write an essay that would describe the real consumer experience of a space which rendered feelings of happiness to him/herself. Thirty-eight essays were collected including three negative episodes which were eventually eliminated on the final stage of narrative analysis. The analysis provided an comprehensive model that showed a dynamic process of consumer space-place experience over time. Space is defined as a meaningless geological spatial area, but once it is given a meaning by a consumer, the space is converted to a place. A place is a new version of a space, which means a rebirth of the space. When a consumer feels a sense of place and goes through processes of place personalization, place personification and place internalization, the consumer develops emotional attachment to the specific place. As the consumer begins to develop place identification, place belonging, and place responsibility toward the specific place that he/she feels emotionally attached to, place loyalty burgeons. The essence of place loyalty is characterized by (over)reciprocity, place reproduction and place ritualization. Loyal behaviors may play a positive role in preservation or prosperity of the place, and also create the consumer’s place happiness. Place happiness reinforces a positive cycle of consumer place experience. A place follows its own life-cycle, which could be affected not only by the consumer factor but also by the other factors from outside. Some places become deteriorated or lost over time, which might cause consumers feel place alienation or place nostalgia. If a consumer feels alienated from the existing place or feels nostalgia for the lost place, a new cycle of consumer space-place experience will be initiated, which is triggered by consumers’ searching efforts for an alternative place. In sum, consumer space-place experience is a dynamic cycle which affects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of the consumer. The study provides in-depth analysis on three elements of place, that is, loci, people, and event, by presenting related narrative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and a framework of seven dimensions of experiential marketing mix for creating happy experience of consumer place: senses, feeling, thinking, activity, relation, memory and (sub)culture. Also, the study proposes a model of social ecosystem in consumer place and an extended model of space typology. The study contributes to consumer happiness research and yields implications to management of consumer place across private and public sectors.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consumer-place evolution dynamics shown in < Figure 1 >. This picture demonstrates the holistic process of how a space creates a place to a consumer and evolves to place happiness i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onsumer and the place.

      • 소비자금융의 저소득, 저신용자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이현돈 한국항공경영학회 2013 한국항공경영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13 No.-

        소비자금융(서민금융)시장에서 저소득 · 저신용계층에 대해 정부와 민간기구의 서민금융지원현황과 개선방안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해 연구하였다. IMF의 금융지원이 있었던 1997년 이후 서민층의 가계경제는 서민금융시장 붕괴로 이어지면서 금융의“부익부빈익빈”현상을 심화시켰다. 또한 사각으로 내몰린 금융소외계층은 대부업체와 사채의 이용이 크게 늘어났고, 심각한 사회 양극화 현상이 극심해지자 2005년 정부는 서민금융활성화 대책을 내놓았으나, 제2금융기관을 독려하는 수준에 머물며, 실질적인 지원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후 2006년“서민금융활성화 및 사금융피해방지 대책”이 발표되면서 가시적인 결과들이 나오기 시작했고, 사회연대은행 등 금융소외계층을 지원하기 위한 민간기구들이 자생적으로 만들어지는 시기이기도 했다. 특히, 정부 · 공공기관 지원사업으로 무상지원제도, 고금리 피해자들을 위해 한국자산관리공사 기금을 이용한 대환대출, 금융감독원과 은행이 공동으로“희망홀씨대출” 등을 통해 금융소외계층에게 자금지원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아직도 서민금융기관들의 참여가 저조하고, 정부와 민간기구들의 지원이 모두 제각각 이루어지다 보니 효율적인 지원 및 운영이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저소득 · 저신용계층의 효율적인 지원을 위해 마이크로 크레딧(Micro-Credit)과 같은 대안금융 활성화를 위해 통합운영 기구를 설립하여 원스톱 상담 및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고, 퍼주기식 지원 보다는 금융소외계층이 자생력을 갖출 수 있는 근본적인 사회안전망을 갖추는 것이 더욱 시급한 문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