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외국음식 소비와 문화

        정형식(Jung, Hyung-Shik),박종철(Park, Jong Chul),이규현(Lee, Kyu Hyun),김영심(Kim, Young Shim)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2

        음식소비는 문화와 깊이 관련된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외국전통음식을 섭식하는 태도와 행동에 식생활라이프스타일과 문화적 고유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은 최근 6개월 이내에 외국음식을 먹어본 21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중 미각추구형은 주관적 규범 및 섭식태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건강추구형은 이들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다양성추구성향은 주관적 규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국음식 섭식태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국전통음식 문화와 관련된 다양성 추구성향은 타인에게 영향을 받기보다는 개인적 성향으로 인한 결과로 이해된다. 셋째, 외국전통음식에 대한 접근성이 주관적 규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국전통음식을 접할 수 있는 환경이 편리할수록 주변사람들의 영향도 높아짐을 나타냈다. 넷째, 외국음식의 문화적 고유성은 주관적 규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국전통음식 섭식태도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주관적 규범이 외국전통음식 섭식태도에는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규범이 향후 외국전통음식 지속 이용의사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국음식 섭식태도가 향후 지속적인 외국음식이용의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의 외국전통음식 섭식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긍정적 태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중 미각추구형보다는 건강추구형이 외국전통음식 섭식태도에 유의적 영향을 나타내 최근 소비자의 음식의 섭식태도가 건강지향적으로 바뀌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국전통음식은 한 국가의 문화와 민족에 대한 정체성이 담겨져 있어 단순한 음식으로서 이해하기보다는 문화적인 고유 특성으로 인한 섭식태도가 형성되고 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recent influx of diverse foods from foreign nationshas increased accessibility to foreign foods from different cul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sumer food-related lifestyles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food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 consumption, and subsequently, the effects of the consumer attitudes on subjective norm and intent to consume foreign foods. 210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following are the main findings: 1) As to food-related lifestyles, health-seeking significantly affected the subjective norm and the consumption attitude, while taste-seeking had no influence over either of them; 2) consumer"s variety-seeking tendency affected the consumption attitude but not the subjective norm, which implies that consumer"s variety-seeking tendency for foreign foods becomes influenced by personal traits more than by opinions of others; 3) accessibility of foreign foods affected the subjective norm, indicating that other people in an environment influence consumers to a greater extent when foreign foods are easily available; 4) the cultural authenticity significantly affected consumption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s but not the subjective norm; 5) consumer"s subjective norm affected both consumption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s and the intent to continue foreign food consumption; and 6) consumption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 to continue foreign food consumption,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form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 consumption in increasing foreign food consum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ealth-seeking, rather than taste-see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s toward the foreign food consumption, which denotes the recent movement toward health-conscious consumption. The foreign foods encompass the culture of their country of origin as well as the identity of the ethnic group. Therefore, foreign food consumption attitude seems to be formed based on their cultural authentic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nsumer attitudes can be utilized to increase their intent to continue to consume foreign foods. 음식소비는 문화와 깊이 관련된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외국전통음식을 섭식하는 태도와 행동에 식생활라이프스타일과 문화적 고유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은 최근 6개월 이내에 외국음식을 먹어본 21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중 미각추구형은 주관적 규범 및 섭식태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건강추구형은 이들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다양성추구성향은 주관적 규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국음식 섭식태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국전통음식 문화와 관련된 다양성 추구성향은 타인에게 영향을 받기보다는 개인적 성향으로 인한 결과로 이해된다. 셋째, 외국전통음식에 대한 접근성이 주관적 규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국전통음식을 접할 수 있는 환경이 편리할수록 주변사람들의 영향도 높아짐을 나타냈다. 넷째, 외국음식의 문화적 고유성은 주관적 규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국전통음식 섭식태도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주관적 규범이 외국전통음식 섭식태도에는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규범이 향후 외국전통음식 지속 이용의사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국음식 섭식태도가 향후 지속적인 외국음식이용의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의 외국전통음식 섭식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긍정적 태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중 미각추구형보다는 건강추구형이 외국전통음식 섭식태도에 유의적 영향을 나타내 최근 소비자의 음식의 섭식태도가 건강지향적으로 바뀌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국전통음식은 한 국가의 문화와 민족에 대한 정체성이 담겨져 있어 단순한 음식으로서 이해하기보다는 문화적인 고유 특성으로 인한 섭식태도가 형성되고 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recent influx of diverse foods from foreign nationshas increased accessibility to foreign foods from different cul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sumer food-related lifestyles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food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 consumption, and subsequently, the effects of the consumer attitudes on subjective norm and intent to consume foreign foods. 210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following are the main findings: 1) As to food-related lifestyles, health-seeking significantly affected the subjective norm and the consumption attitude, while taste-seeking had no influence over either of them; 2) consumer"s variety-seeking tendency affected the consumption attitude but not the subjective norm, which implies that consumer"s variety-seeking tendency for foreign foods becomes influenced by personal traits more than by opinions of others; 3) accessibility of foreign foods affected the subjective norm, indicating that other people in an environment influence consumers to a greater extent when foreign foods are easily available; 4) the cultural authenticity significantly affected consumption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s but not the subjective norm; 5) consumer"s subjective norm affected both consumption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s and the intent to continue foreign food consumption; and 6) consumption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 to continue foreign food consumption,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form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 consumption in increasing foreign food consum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ealth-seeking, rather than taste-see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s toward the foreign food consumption, which denotes the recent movement toward health-conscious consumption. The foreign foods encompass the culture of their country of origin as well as the identity of the ethnic group. Therefore, foreign food consumption attitude seems to be formed based on their cultural authentic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nsumer attitudes can be utilized to increase their intent to continue to consume foreign foods.

      • KCI등재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에 관한 질적 연구

        이영선,신은주 한국마케팅학회 2011 ASIA MARKETING JOURNAL Vol.12 No.4

        This research attempted to present the efficiency of culture marketing to the organizations producing culture-art products and to the companies utilizing art and suggest the practical viewpoints to the culture and art policy agencies. The methodology used was to take an in-depth look at the consumer value cognition and benefits of culture-art products in contemporary consumption culture from a social context by conducting a total of 12 Focus Group Interviews, consisting of 58 males and females in their 10s~50s who can represent culture-art product consumers. The culture-art products refer to the artist's spiritual, actual act of creating or to the end products with economic exchange value. They are also sense goods and merit goods that affect the mental state of consumers. By looking at culture-art products as consumer merit goods, this research examined consumer value cognition of culture-art produc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culture-art products. As a result, this research determined that consumers view culture-art products largely as ‘aesthetic and sensuous merit goods’, ‘actual and individual merit goods’, and ‘social public property’. As ‘aesthetic and sensuous merit goods’, culture-art products are considered as the products of an artist’s creative activities; as ‘social public property’, culture-art products have a public value in terms of ownership; and as ‘actual and individual merit goods’, culture-art products act on the spirit and reality of a consumer in terms of consump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enefits of culture-art product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consumer value cogn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benefits of culture-art-product consumption are chiefly divided into ‘aesthetic character-oriented’, ‘social relationships-oriented’, and ‘individual benefits-oriented’ depending on how consumers see culture-art products. A 3-conceptional structures model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value cognition of culture-art products and the benefits. This research revealed that consumers who pursue the aesthetic value or sense of beauty as the central reason experience culture-art products themselves, enjoy intellectual quests, and pursue their satisfaction by expressing affection for and interests in culture-art products. On the other hand, consumers who pursue social value as the central reason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y perceiving culture-art products as a public property of society, pursue sympathy with people close to them through the symbolic power of culture-art product consumption or the joy of self-display. Consumers who perceive art products as spiritual and actual merit goods and pursue consumer value as a central reason want to express their own personality, develop themselves, and differentiate themselves or identify themselves with others in the context of social relations for the ultimate goal of living a happy and satisfied life while pursuing to satisfy imminent and actual necessities as emotional stability and rest. The fact that culture-art product benefits could vary according to how a consumer perceives them implies that consumer value cognition of culture-art products and their benefits significant affect consumers' decision in choosing and consuming various culture-art products. It turned out that such benefits from the consumption of culture-art products reflect the complex contemporary consumption culture of rational consumption, symbolic consumption, experiential consumption, and social reflective consumption. This research identified conceptional structures of consumer value cognition on culture-art products and benefits that can be used for studying and understanding culture-art products consumers who pursue a variety of consumption values. They can also be used by private companies in utilizing art, as well as by national agencies in enhancing the population’s quality of life. However, since this... 본 연구는 문화예술상품 소비자 연구를 위한 개념적 구조를 마련하고, 문화예술상품 생산기관 및 문화예술정책기관과 문화예술을 활용하는 기업의 문화마케팅의 효율성을 위하여 문화예술정책기관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현대소비문화 속에서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을 사회적 맥락에서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문화예술상품 소비자를 대표할 수 있는 10대부터 50대까지의 남녀 58명을 1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총 12회에 걸친 표적집단면접(FGI)를 실시하였다. 문화예술상품은 예술가의 정신적․관념적 창작행위나 그 결과물인 작품에 경제적 교환가치가 부여되어 소비되는 상품이다. 문화예술상품의 특성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의 개념구조를 알아본 결과 ‘실제적․개인적 가치재’, ‘사회적 공공재’, ‘미학적․감각적 경험재’로 나타났으며, 경험적 소비재의 관점에서 문화예술상품 소비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를 알아본 결과 ‘예술적 특성지향’, ‘사회적 관계지향’, ‘개인적 유익지향’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상품 소비에 대한 이와 같은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는 합리적 소비, 기호 상징적 소비, 경험적 소비, 반성적 소비라는 복합적인 현대소비문화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에 따라 추구혜택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의 특성을 형성하며, 소비를 결정하고 문화예술상품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로 나타난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는 문화예술상품 소비자 연구의 측정도구 개발에 사용될 수 있으며, 기업의 효율적인 문화예술마케팅 전략 및 소비자 중심의 문화예술상품 생산과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국가기관의 정책 수립에 필요한 소비자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빅데이터 기법을 통한 기업 문화마케팅을 위한 문화소비자의 가치 요소 연구

        오세종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1

        기업 문화마케팅은 기업의 문화적 이미지를 제고하거나 문화를 통해 기업의 이미지를 전달하는 마케팅 수단이 다. 문화소비자 가치 분석은 개인의 소비 행동에 담긴 삶의 가치 및 추구를 확인하고, 문화소비자의 선택 행동을 설 명하는데 중요한 예측 데이터이며, 의사결정의 기준이 된다. 연구 방법은 빅데이터의 텍스트 마이닝과 오피니언 마이 닝 기법으로 연관어, 긍정어, 부정어, 중립어를 추출했다. 분석 대상은 국내 소비자 대상인 현대카드 ‘슈퍼콘서트’와 해외 소비자 대상인 CJ ENM ‘KCON’에서 콘서트를 참여하는 문화소비자들이다. 기업 문화마케팅의 문화소비자 가 치 요소에서 ‘가치 일치성’은 기본 조건이며, ‘공감대 소통(감수성 표현)’, ‘참여성 공유(VIP 소속감)’, ‘사회적 변화 이 슈’, ‘서비스의 차별화’, ‘가격 할인 혜택’, ‘장소의 품격’으로 도출되었다. 앞으로 예술경영 기획, 문화 투자, 문화 유통, 복합문화공간 운영, 기업문화, CSR, Kpop 마케팅, 체험마케팅 등의 소비자 참여 분야에서 기업의 이익 추구와 브랜 드 가치 제고를 할 수 있는 ‘문화기술마케터’ 양성과 실무적인 적용 방법이 필요하겠다. Corporate Culture Marketing is a marketing tool that enhances a company's cultural image or conveys its image through culture. Culture Consumer value analysis is important predictive data in identifying the value and pursuit of life in individual consumption behavior, explaining the choice behavior of culture consumers, and serves as the basis for decision making. The research method was linked to the text mining and opinion mining techniques of big data, and extracted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words. The analysis targets culture consumers participating in concerts at Hyundai Card’s ‘Super Concert’, which is subject to domestic consumers, and CJ ENM’s ‘KCON’, which is subject to foreign consumers. The culture consumer value elements of corporate culture marketing are the basic conditions, and they were derived as ‘Consensus Communication (Expression of Sensibility)’, ‘Participation Sharing(VIP Belonging)’, ‘Social Change Issue’, ‘Differentiating Services’, ‘Price Discount Benefit’ and ‘Location Quality’. In the future, we will need to foster ‘Culture Technology Marketers’ and apply them in areas such as arts management planning, cultural investment, cultural distribution, cultural space, Corporate Culture, CSR and K-pop marketing to enhance corporate interests and brand value and enhance brand value.

      • KCI등재

        소비문화의 차원화 및 척도개발 -서울, 뉴욕, 스톡홀름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김선우 ( Sun Woo Kim ),김난도 ( Ran So Kim ) 한국소비자학회 2011 소비자학연구 Vol.22 No.4

        소비문화 연구에 대한 관심이 학문적으로는 물론 비즈니스 실무적 접근을 위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실증적 소비문화 연구를 위하여 소비문화의 차원화를 시도하였다. 소비문화연구의 사적 고찰을 통하여 소비문화는 소비재를 매개로 한 의미의 상호작용으로 발현된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소비문화의 주요한 분석단위로 의미와 상호작용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소비문화는 의미성에 따라 기능과 상징의 범주, 그리고 상호작용성에 따라 개인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범주로 구분될 수 있다. 각 범주를 두 개의 축으로 삼아 개인적 기능, 개인적 상징, 사회적 상징, 사회적 기능의 네 개의 소비문화 차원이 도출되었다. 소비문화의 각 차원은 두 개의 하위차원으로 구성 되는데, 개인적 기능 차원은 경제성과 검약지향, 개인적 상징 차원은 향유와 자기표현지향, 사회적 상징 차원은 타자승인과 유명선호지향, 그리고 사회적 기능 차원은 친사회와 친환경지향의 하위차원으로 이루어진다. 소비문화 차원의 척도 개발을 위하여 대한민국 서울, 미국 뉴욕, 스웨덴 스톡홀름의 세 도시 20-40대 소비자 각 500명 등 총 1,500명을 대상으로 2006년 9월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소비문화의 차원 측정을 위하여 총 20개 문항의 조사도구가 최종적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소비문화의 두 차원인 의미성과 상호작용성에 기반하여 소비문화를 실증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상징적 의미 범주에 속하는 차원간 및 기능적 의미 범주에 속하는 차원간의 상관관계가 각각 매우 높게 나타나 기능과 상징이 소비문화 차원화를 위한 명확한 기준임을 확인하였으며 사회적 기능 차원은 상징적 의미 범주와 정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어 일정 부분 상징적인 의미를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를 활용하여 향후 각 국가별 소비 문화 비교분석 및 그 원인파악에 대한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It is demanding to understand a consumer culture for academic interests and for the business success as well. This research tried to find dimensions and measures of consumer culture, which enable consumer culture researchers to conduct an empirical cross-cultural comparison study with elaborated tools. To develop an internationally applicable measures, authors selected three representative countries with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al differences in economic level and economic system; south Korea, USA, and Sweden. While both USA and Sweden are included in the western culture and have a GDP of 40,000 US dollars, USA adopts a typical free market economy and Sweden is the representative of adjusted market economy. South Korea is originally embodied with the Asian culture and has a GDP of 20,000 US dollars. Consumer culture is a whole body of consumer lifestyle, which addresses all the consumptionrelated practices in our everyday lives. Through the historical review of consumer culture studies, authors found that the meaning of consumer culture expanded from the functional to the symbolic. While the original nature of consumption is to fulfill functional needs, more focus is putting on the capability to create a symbolic meaning of consumption in the modern consumer society. In addition, consumption includes social interaction. The meaning of consumption goods have a movable nature and function as media of communication. Social interaction through consumption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individual dimension such as hedonic symbol and social dimension such as social distinction. In the modern consumer society, consumption is more getting to imply the relations between peoples. Sustainable consumer culture,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alternative consumer cultures, functions positively to the society and to the environment as well. Moreover, sustainable consumer culture implies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 and the society as well as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the environment. Authors found that a consumer culture is an interaction of meaning via consumer goods, and herein, a meaning and an interactivity can be the main analysis unit. A consumer culture is classified into two dichotomies by meaning and interactivity; functional-symbolic and individualsocial. These two dichotomies are combined into a 2×2 cross-classification, and four-celled dimensions of consumer culture are produced; individual-functional, socio-functional, individualsymbolic and socio-symbolic. Each dimension has two sub-dimensions; ``economical efficiency`` and ``frugality``(individual-functional dimension), ``fun pursuing`` and ``self expression``(individualsymbolic dimension), ``approval by others`` and ``brand-good preference``(socio-symbolic dimension), and ``pro-social action`` and ``pro-environmental action``(socio-functional dimension). To validate the measure of consumer culture dimension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September 2006. The respondents were 1,500 consumers in their 20`s to 40`s of three metropolitan cities in Republic of Korea, USA and Sweden: Seoul, New York, and Stockholm. As a result of survey, a questionnaire with 20 questions was developed to measure consumer culture dimensions. A consumer culture was apparently dimensionalized by the meaning category, functional-symbolic with a high corelation between the dimensions in symbolic and in functional meaning category separately. In addition, a socio-functional dimension provides symbolic meaning to consumers with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ymbolic meaning category. The symbolic nature of the consumption in the socio-functional dimension gives us an insight for the sustainable consumer culture expansion. If the symbolic meaning of the consumption in the socio-functional dimension can be discovered by country/cultural level, the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s can be triggered voluntarily by consumer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field of empirical cross-cultural consumer research by establishing the dimensions and by developing measures of a consumer culture. The dimensions and measures of consumer culture are expected to be a start point to understand of the each country`s consumer culture and compare consumer culture with another one. For further consumer culture study, a phenomenal research can be combined with to explore the origins and the roles of the meaning of consumer goods and the direction of the interaction through the consumption.

      • KCI등재

        남성 팬덤 소비문화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이준영,노영준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4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여성 아이돌 그룹에 열광하는 남성 팬덤의 소비문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팬덤 구성원들의 소비행태및 상호작용 등에 대한 심도 깊은 조사를 위해서, 온라인 게시물 분석을 병행하는 한편, 팬클럽에 실제 가입하여구 성원들과의 활동 등을 통해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제 팬덤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 다. 이러한 조사 결과들을 토대로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개념을 범주화여 정리․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팬덤 문화를 구성하는 주제묶음은 ‘창조적 소비’, ‘계급과 권력’, ‘정보 교류’, ‘의식과 상징’, ‘자발적 소비문 화’ 로 도출되었다. 다섯 가지 주제묶음에 따른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팬덤 구성원들은 대중문화를 소비 하고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인 동시에 능동적․생산적 콘텐츠의 확산을 이루어내는 프로슈머 이다. 둘째, 팬덤 내부에는 위계적 구조와 권력이 존재하며 이를 통해 질서 있는 팬덤 문화를 스스로 형성해나간 다. 셋째, 인터넷과 SNS의 발달로 팬덤 소비자의 정보 획득 및 확산의 속도가 빨라져서 과거에 비해 팬덤의결속 력은 높아지고 그 다양성은 더욱 확장되며 스타와 팬 사이의 거리를 좁히고 있다. 넷째, 팬덤 문화는 일종의하위 문화로서 다른 집단들과 차별화된 그들만의 공동체적 의식과 언어, 상징을 통해 자신들의 정체성을 공고히한다. 다섯째, 팬덤은 스타에 대한 애정을 통해 자생적으로 활동을 시작하며 스스로 자발적 소비문화를 실천해나간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consumption values among malefans of female idol group and further understand consumption patterns and interactions amongfandom members.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used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 method ofjoining fan clubs and engaging in fan club activities, conducting one-on-one in-depth interviewsof fandom consumers, and analyzing online postings. After conducting all the research, thestudy categorized and analyzed concepts using Colaizzi’s phenomenology analytical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fandom culture consists of five themes: creative consumption, classand power, information exchange, rituals and symbols, and voluntary consumption culture.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five themes are as follows: First, fandom members are consumersof mass culture who influence the entertainment industry and prosumers who distribute activeand productive content. Second, fandoms contain internal hierarchy and power structures, suchas those typically found in a bureaucratic society, which create an orderly fandom culture. Third,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which speed up theacquisition and spread of information, strengthens fandom solidarity, enhances fandom diversity,and bridges the gap between celebrities and fans. Fourth, fandom culture is a subculture inwhich members consolidate their identities through their own community rituals, language,and symbols. Finally, fandom members voluntarily engage in fandom activities based on theiraffection for celebrities and practice self-creating consumer culture.

      • KCI등재후보

        소비의도와 동기성향이 문화예술소비에 미치는 영향 - 기회비용 인지를 중심으로

        정보람,김휘정 한국예술경영학회 2013 예술경영연구 Vol.0 No.25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influence of consumers’ intention and regulatory focus on the awareness of the opportunity cost accompanied by the arts consumption. Specifically, we classified participants into symbolic consumers or authentic consumers according to their arts consumption behaviors. Also we classified them into promotion focus or prevention focus based on their responses to the regulatory goal. Then we measured the relationships of consumers’ intention as well as their regulatory focus with the degrees of the difficulty in choosing between the arts consumption and other leisure activities. The results of analytical research are as follows. Mostly consumers were not linked to the decision of arts consumption in spite of their high desire for arts enjoyment, because they had conflicts with the financial cost accompanied by the arts consumption. In other words, most consumers were not willing to pay for the arts products, because of the uncertain satisfaction factor with regards to the arts produc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more authentic the consumers of the arts products were, they had less conflicts in choosing arts consumption, as their awareness of the opportunity cost was relatively low.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the more symbolic the consumers of arts products were, they had no concern with the awareness of the opportunity cost accompanied by the arts consumption. Furthermore, it was shown that the more inclined toward the preventative focus the consumers of arts products were, they had much conflict in choosing arts consumption, as their awareness of the opportunity cost is relatively high. Finally, the implications on the practical level are drawn from the study.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and further research is proposed as well. 본 연구는 여가활동의 대안 중에서 소비자가 문화예술을 소비하기로 선택할 때, 포기해야 하는 기회비용에 대한 갈등이 소비의도와 동기성향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먼저 소비자의 소비의도를 ‘상징성’과 ‘진정성’으로 구분하고 동기성향을 ‘향상 주안점’과 ‘예방 주안점’으로 구분하여 측정한 다음, 문화예술 소비를 선택함에 있어서의 갈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화예술향유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는 증가하는 데 반하여, 실제 문화예술 소비로 연결되지 못하는 주요 원인은 경제적 지출에 대한 갈등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예술상품의 수준이나 소비 시의 만족감에 대한 불확실성과 상품의 가격책정에 대한 보편타당한 기준의 부재가, 소비자로 하여금 비용을 기꺼이 지불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진정성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문화예술소비에 수반되는 기회비용에 대한 인지도가 낮아서 문화예술소비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갈등도 낮지만, 상징성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문화예술소비의 기회비용에 대한 인지도와는 유의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징성이 높은 소비자는 합리적인 기준에 의거, 문화예술소비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감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들은 일회적인 소비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마지막으로 예방 주안점의 동기성향을 지닌 소비자들은 문화예술 소비를 선택하게 됨으로써 포기해야 하는 시간가치를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문화예술의 소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세분화된 문화예술상품을 개발하여 상징적인 소비 의도를 가진 소비자에게 진정성을 부여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경제적 지출이 없을지라도 문화예술소비의 기회비용을 높게 인지하는 소비자에 대해서는, 매력적인 문화예술상품을 개발·제시함으로써 이들의 문화예술소비에 대한 가치 인식을 유익한 것으로 전환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소비자학 분야의 소비문화 연구에 대한 소고

        이성림(Lee Seonglim) 한국소비문화학회 2006 소비문화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학 분야의 소비문화 연구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소비문화의 개념과 소비문화의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학의 소비문화는 바람직하고 건전한 소비가치와 소비자 복지와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소비문화를 구축한다는 규범적이고 실천적인 목적을 지향한다. 둘째, 소비문화 연구는 주로 사회적으로 심각한 소비문화 문제를 진단하고 치료책을 제안하는 소극적인 방향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이러한 소극적인 소비문화 연구 경향으로 인해 연구 대상과 주제가 몇 가지로 한정되는 한계점이 발견된다. 셋째, 현대 소비사회에서 소비자는 상징과 기호에 대한 욕망과 상품의 상징을 통해 자아정체성을 구성하는 특징이 있고 이로부터 왜곡되고 무한한 욕망과 자아상실이 소비사회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넷째, 소비사회 비판을 극복하기 위해 소비자 복지와 기업 이윤을 동시에 추구하는 소비문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intended to define the concept of consumption culture in the context of consumer sciences and to identify the problems faced by consumers living in the society of consumption culture. The major conten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 study of consumption originally stared with the investigation of the level and standard of consumption and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was enhancing economic status of the household. Second, the three different concepts of consumption culture in the fields of sociology, anthropology, and consumer sciences were identified. Third, based on Hofsted’s four elements of culture, the new concept of consumption culture was proposed. Forth, the problems faced by consumers in the consumption culture were around consumption desire, self-identification, and alienation between self and things consumed. Fifth, the future study of consumption culture in the field of consumer sciences was needed to be centered on the improvement of both comsumer welfare and firm’s profit.

      • 빅데이터를 활용한 문화소비 분석 사례 : 네이버 데이터랩(Datalab)을 활용하여

        정지수,김상헌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0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1

        최근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문화소비활동을 분석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국내 빅데이터 툴인 네이버 데이터랩을 활용해 문화소비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화소비활동 중 주요 분야인 여행, 공연관람, 영화관람 등의 검색지수 추이를 확인한 결과, 여행, 공연관람, 영화관람(오프라인) 지수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확산된 2020년 2-3월 급감한 반면, 영화관람(온라인) 지수는 상승하면서 반대 추이를 나타냈다. 각 문화소비 관련 검색지수와 국내 공공자료인 통계청 오락·문화 소비지출 간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OLS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화관람 검색지수가 온라인, 오프라인 모두 오락·문화 소비지출에 양(+)의 부호로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소비 관련 검색이 실제 소비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은 사실을 시사하며, 향후 문화소비활동 분야에 빅데이터 분석을 적극 활용한다면 보다 속보성 있는 분석과 예측 등이 가능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라 소비자의 문화활동이 다양한 형태로 바뀌는 만큼 정교한 빅데이터 자료와 추정기법을 활용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다문화가족의 소비자교육 현황 및 소비자교육 내용별 필요도 연구

        박혜영(Park, Hye-Young),김시월(Kim, Si-Wuel) 한국소비문화학회 2012 소비문화연구 Vol.15 No.3

        현재 다문화가족인 결혼이민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한국사회 적응을 위한 여러 분야에서의 교육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 중 소비자로서 한국사회에 적응을 위한 기초적인 교육이 바로 소비자교육이며 이러한 시민으로서의 소비자교육은 매우 필요하다. 실제, 전국 8개 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족의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경제, 소비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중 76.4%가 소비자경제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재 결혼이민자들이 한국생활에 잘 적응하기 위한 교육들이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것에 비해 이들에 대한 소비자교육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다문화가족의 결혼이민자들에 대한 소비자교육에 관한 연구들은 매우 드물며, 결혼이민자들 또는 다문화가족들과 접촉하며 그들의 한국생활 정착과 안정을 위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그 종사자들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의 소비자교육 실태와 소비자교육 내용별 필요도는 어떠한지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하고, 그에 따른 영향요인을 분석한 뒤 다문화가족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의 시행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과 현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및 매뉴얼을 구체화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소비자교육 현황에서 담당자는 관련 교수, 외래강사 등과 같은 전문가를 통한 교육이 62.3%였고, 단체 종사자 중 소비자학 전공자는 3.3%에 불과하여 다문화가족들에게 전문적 소비자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전문적인 인적자원의 확보가 요구되었다. 둘째, 소비자교육용 자료는 ‘강사에게 교육용 자료를 분담’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소비자단체 등과 연계된 체계적인 교육용 자료가 필요한 현실이다. 소비자교육 필요 이유로 ‘실생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의 실현’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다문화가족을 위한 실생활에서 직접 응용할 수 있는 체험적 소비자교육이 매우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종사자가 인지하는 소비자교육 내용별 필요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척도개발 및 검증을 해 본 결과, 본 연구의 척도가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확인한 결과, 소비자 문제의 해결, 공동체와 소비자, 소비문화 트렌드, 구매의사결정과정과 구매, 사용이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소비자교육의 내용별 필요도에 유의하게 나타났고, 각 측정문항들도 각각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국내에 증가하는 다문화가족의 소비자교육 실행을 위한 종사자들의 요구도 분석의 척도를 구성하고 검증하였으며, 이를 활용하면 관련 정책 및 지원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다문화가족을 위한 체험적 소비자교육의 필요성을 알 수 있다. In that sense, the present study has examined the status and contents need of consumer education i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analysed relevant influence factors with a view to providing basic data applicable to prevent administrative waste resulting from applying programs to multi-cultural families, to implement practical programs necessary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develop consumer-education programs and manuals to be used in the establishe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his study has found the following points. First, 62.3% of consumer education is performed by experts like professors and external instructors. No more than 3.3% of employees working in organizations for multi cultural families majored in consumer sci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pecialized human resource needs obtaining as soon as possible to educate consumers from multi cultural families. Second, regarding materials for consumer education, most respondents said they had instructors take care of those materials. This finding implies that systematic materials for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consumer organizations are highly necessary. Concerning why consumer education is needed, most respondents chose ‘the education should be immediately applicable to actual living,’ which indicates that applicability in real life is highly required for consumer education provided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in view of necessary content related to consumer education, ‘decision-making process, purchase and use’ have been found highly necessary with 4.45 points and the other content areas have scored above 3.5 points. This suggests that every content associated with consumer education is much needed.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문화예술경험에 따른 문화예술 소비성향 분석 : 문화예술 인식에 따른 차이분석

        소은혜(So, Eun Hye) 한국예술경영학회 2021 예술경영연구 Vol.- No.60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 인식에 따른 문화예술 경험이 문화예술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함이다. 이에 문화예술 소비자의 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소비성향은 문화예술 마케팅 전략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으며,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소비자의 행동을 측정하였다.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문화예술 소비자의 경험과 소비성향을 설문조사하였으며, 연구자료는 판단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회적 거리두기로인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행동, 감성, 관계요인이 쾌락적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행동, 감성, 감각, 관계 요인이 과시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행동, 감성적 요인은 계획적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를 통한 시사점은 첫째, 관계요인이 전반적인 소비성향에 부(-)의 영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문화예술을 향유할 때 소비자의 불안감이표출되었음을 시사한다. 둘째, 문화예술을 제공하는 아티스트에게 양질의 컨텐츠를제작할 수 있도록 기업 및 소비자로부터 후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에는문화예술을 향유하는 소비자 뿐 아니라, 문화예술을 제공하는 공급자, 아티스트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연구한다면 문화예술 생태계를 보다 심도 깊게 이해할 수 있을것이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art and culture experience according to art and culture perception on art and culture consumption. Accordingly, the perception expressed through the experiences of consumers was defined as the delivery of art and culture marketing strategies, and the behavior of consumers enjoying art and culture was measured. The research data were analyzed through an online surve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ense, rel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edonistic factor, and the act, sense, emotion and rel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other’s consciousness, and the behavioral and emotional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al factors. The implication from the experience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all factors, which means to be the result of consumers’ anxiety in enjoying art due to the pandemic.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online business model for consumers who naturally avoid it, and to narrow the gap between online and offline art and culture. Second, it is thought that sponsorship from companies is necessary so that artists who provide art and culture can produce high-quality contents. In the future, if it was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not only consumers who enjoy art and culture, but also suppliers and artists who provide art and culture, it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culture in-dep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