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문과 권력

        이숙인(Lee, Sook-I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40 No.-

        이 글은 16세기 중·후반의 조선에서, 학계와 정계에 풍파를 일으킨 한 사족 부인의 음행 소문을 재조명한 것이다. 소문의 주인공 함안 이씨는 상당한 재력을 가진 晋州의 진사 하종악의 후처로 들어와 28세의 나이에 과부가 되었다. 家奴와 음행을 저지른다는 그녀에 대한 소문은 곧 獄事로 전개되었다. 이에 이씨 배후의 ‘권력’과 南冥 曺植(1501∼1570)의 ‘권력’이 충돌하면서 陰謀說과 庇護說이 제기된 가운데 논쟁으로 격화되었다. 여기에 경상 지역의 명사들은 물론 중앙 정계의 인사들이 대거 참여하게 되는데, 이 논쟁은 조선의 주연급 인사들이 총출연한 한편의 드라마를 연상케 한다. 한 여성에 관한 사소한 소문이 공론화되고 지역적으로 확대되면서 다양한 권력 관계를 함축하는 사건이 된 것이다. 함안 이씨의 사건은 남명의 편지글과 정인홍의 글 그리고 진주 옥사에 대한 조정의 회의 기록, 퇴계의 편지글 등을 통해 그 대강을 파악할 수 있다. 소문에서 촉발된 이 사건은 그 자체로 존재하기보다 각자의 방식대로 재구성되고, 인용의 인용을 통해 끊임없이 생성되었다. 소문의 구성은 여성의 性(sexuality)이 소재가 되지만, 혈연과 학연에 따라 입장과 주장이 서로 대립되었다. 이씨의 소문에 대해 남명으로 대표되는 하종악 전처 측근과 李楨(1512∼1571)으로 대표되는 하종악 후처 측근이 서로 달랐고, 남명 문인과 퇴계 문인이 서로 달랐다. 소문 사건 이후에는 소문 그 자체의 문제보다 소문이 사건화되면서 발생한 문제들에 대한 상반된 기억과 주장들이 제기되었는데, 남명과 이정의 손자들의 조부 옹호론과 노론계열 인사들의 ‘남명론’이 있다. 소문을 보는 관점과 내용의 차이는 시간이 흐를수록 첨가되고 각색되는 양상을 보인다. 소문은 사회의 도덕적 기준과 이데올로기를 생산하고 유통시키는 매개역할을 하는데, 특히 여성에 관한 소문은 성별화된 위계질서를 지지하는 지식과 권력의 긴밀한 공조 속에서 이루어진다. 그런 점에서 함안 이씨의 소문 사건은 여성의 性에 대한 유교의 정치학과 사림 정치가 열리는 16세기 후반의 사회적 특성을 통해 의미화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ttempted to reexamine the rumor of a woman’s adultery, which raised a disturbance in academic and political sectors in the 16th century Chosun Dynasty period. The woman, whose family name is Lee and whose family clan is Haman, and is directly concerned with the rumor, became the second wife of Ha Jong-Ak, a rich, upperclass man in Jinju(晉州) county in Kyung-sang province. She became a widow at the age of 28. The rumor that she had engaged in an obscene act with her slave developed into a great controversy between those who advocated for her and those who opposed her. Cho Sik(曺植, 1501-1570), a great scholar, was a representative of the group that opposed her. Many political leaders of the central government, including prominent figures of Kyung-sang province, also took part in the controversy. This great dispute reminds of a drama in which all of the major figures of the Chosun Dynasty appeared. A trivial rumor about a woman increasingly expanded into public opinion, and finally developed into an affair, which had various political implications. This paper explored the meaning of this rumor and affair by concentrating on the social context of the latter part of the 16th century.

      • KCI등재

        조선 말 조선인들의 연해주 이주를 유인하는 소문과 월경에서 드러나는 조선인들의 사회적 연대 연구 - 1864~1877년까지를 중심으로 -

        최성운(Choi, Sung-woon)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 장서각 Vol.- No.45

        1864년부터 정착하기 시작한 연해주의 조선인 농민들의 성공담은 ‘토지의 공여’, ‘세금의 면제’ 및 이로 인한 ‘경제적 성공’을 핵심 내용으로 하여 농업이민을 유인하는 소문으로 사회적 연결망과 소문이 유통되는 익명적 소통구조를 통해 널리 퍼진다. 1867년부터 연해주의 조선인 공동체에서 소문을 내는데 개입하기 시작하며, 조선인들이 경작할 연해주 농지에 대한 구체적인 소개, 役畜과 종자 및 직접적인 금전적 지원에 대한 소문 역시 이 당시에 퍼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물질적 유인과 관련된 소문에는 인부 모집과 관련된 내용도 존재하며 인부로 와서 정착하는 월경민 또한 1870년대에 매우 증가하였다. 1869년의 대규모 월경사태는 사회적 연결망과 이를 넘어서는 소문의 익명적 전파기제, 사포영·연해주 공동체·조선인 자치조직의 소문 생산 및 유포, 월경에 대한 적극적 개입 그리고 마지막으로 조선과 연해주의 조선인 간에 일어났던 집단적 차원에서의 교섭이 결합되며 발생했다. 1869년의 대규모 월경사태 및 이후의 정착과정 중에 러시아 정부에서 시행했던 구호정책과 조선인들을 정착시킬 때 소와 말 등의 역축까지 제공하며 시행한 인도주의적 정책으로 인해 월경조선인 6,500명이 러시아 白帝의 신민으로 복속한다. 1870·1871년경부터 이와 같은 사실은 러시아의 정치체제가 樂土라는 소문으로 조선 내에 퍼지며 두드러진 월경 원인으로 부상하게 된다. 1869년의 대규모 월경사태를 통해 대폭 확대된 ‘친인척과 지인의 사회적 연결망’과 ‘소문이 유포되는 익명적 의사소통구조’는 ‘犯越罪’와 ‘妖言을 지어내고 유포하는 죄’에 맞서 조선인 백성들이 서로를 보호하는 광범위한 사회적 연대의 기전으로 작동하게 되었다. The success stories of Korean peasants moving to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since 1864 spread widely through rumors of ‘allocation of farming land’, ‘tax exemption’ and ‘economic success,’ which were facilitated by the social network and the anonymous communication structure of spreading the rumors. The Korean community in Siberia intervened in producing and spreading the rumors from 1867 and this led to the wide spread of the specific description of the farming areas throughout the Maritime Province as well as the provision of work cattle, seeds and financial support from the Russian government. There also existed rumors about recruiting of construction workers in Siberia, which added to the number of Korean immigrants there. The large-scale Korean migration of 1869 occurred due to the following factors: the closely-knit social network; the anonymous communication structure of rumors;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rumors and the aggressive intervention in migration by the Korean civil militia·community of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self-governing organization; the collective dimension of negotiation between the Korean people in Joseon and Russia. As many as 6,500 Korean emigrants became the loyal subjects of the Russian Tzar by the enforcement of relief and settlement policies for the miserable mass emigration in 1869. That was followed by the idealization of Tzar and the Russian empire from 1870·1871, along with the widespread of the facts that the poor and helpless Koreans were provided with military provisions and work cattle to reclaim the wild forest and that brought them great wealth. The social network of the Koreans in both Korea and Siberia spread rumors that Tzar Russia is a paradise and this propelled massive emigration of Koreans to Russia. The extensive social network and the anonymous communication structure of rumors during the large-scale migration of 1869 came to function as a mechanism of strong social solidarity which protected the Korean migrants from the capital offense of the unauthorized migration through the border crossing and false rumors.

      • KCI등재

        고려가요에 나타난 소문의 시적구현양상과 화자의 태도 - 〈쌍화점〉·〈정과정〉을 중심으로 -

        이정선(Lee, Jeoung-Se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한국민족문화 Vol.71 No.-

        본고는 고려가요에 나타난 ‘소문’이라는 문화적 현상을 주목하여 〈쌍화점〉과 〈정과정〉에서 드러난 소문의 구현양상과 화자의 태도를 살펴보았다. 소문을 통해 우리는 당대의 사회현상을 볼 수 있다. 소문의 문학적 장치는 작품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고에서 다룬 두 작품은 여타의 고려가요 작품보다도 ‘소문’과 관련된 직·간접적인 화자의 발화가 언급된다. 그러나 소문을 감당하는 방법과 반응이 각각 다르다. 〈쌍화점〉은 소문의 정치적 수사가 텍스트 내부에 직접 들어와 있다. 반면 〈정과정〉은 소문의 실체가 텍스트 외부에 자리한다. 〈쌍화점〉에서는 화자가 소문을 이용하여 자신의 부정적인 행위를 담대하게 드러낼 뿐 아니라 오히려 자신을 남들과 다른 자랑의 한 단면으로 부각시키는 점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마치 화자 자신만이 알고 있는 것처럼 떠들었던 것이 이미 공론화(公論化)된 사실이라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정과정〉은 저자가 분명하고 창작된 배경이 역사적 자료에 자세하게 설명된 작품이다. 본고에서는 텍스트의 시대적 배경을 배제하여 작품만을 놓고 소문을 대하는 화자의 모습과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고려하였을 때의 화자의 태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화자가 소문을 접하고 대응하는 태도는 소문을 전적으로 부인(否認)하고 자신만이 진실하다는 항변으로 일관하고 있다. 화자의 해명을 사료라는 검증과정을 거칠 때 화자의 소명이 진실보다는 변명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cript focus on the ‘rumor’ about cultural phenomenon in the aforementioned three papers. Which is visualization and Speaker’s attitude of the rumor. We may see the social phenomenon nowadays through the rumor. The literary device of the rumo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work. The two papers mentioned in this script have different considerations. The direct and indirect speech related to the spoken word is mentioned rather than work. 〈Ssanghuajeom〉 refers to the political rhetoric of rumors directly in that script. However, in 〈Jeonggwajeong〉, the author expressed his feelings about the outside rumor about himself, So in the text we may figure out each speakers have different response to rumors. In 〈Ssanghuajeom〉, the speaker not only boldly reveals his negative behaviors by using rumors, but also finds himself in an aspect of the pride that is different from others. However, it also secretly confirmed the fact that only the speaker himself was already publicized. 〈Jeonggwajeong〉 is a work in which the author’s background is explained in detail with historical materials.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the appearance of the rumor about the work and the other is the attitude of the speaker when consider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The speaker was exposed to rumors, the attitude that he responded was totally denying the rumor and his claim is true.

      • KCI등재

        소문에 대한 복수, 복수로서의 소문-이청준 소설의 소문 연구-

        박다솜 ( Park Da-so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7 No.-

        이 글은 이청준의 소설에서 소문이 기능하는 양상을 살피고, 나아가 소문과 이청준 고유의 문학관과의 연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간 소문에 관한 논의들은 거짓/진실이라는 이분법적 틀 안에서 다루어져 왔다. 소문의 내용이 전적으로 허구인지 혹은 모종의 사실을 기반으로 하는지가 중요하게 여겨졌던 것이다. 그러나 거짓과 진실의 대립은 소문에 선재하는 실체가 아니며 소문 이후에야 비로소 중요해진다. 거짓과 진실, 사실과 허구라는 대립 구도는 소문의 효과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거짓/진실이라는 이분법적 대립 구도에서 벗어나 소문이 현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청준의 소설은 소문의 진위 여부에 연연하지 않는다. 소문의 내용이 진실인지 거짓인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으며, 심지어는 거짓임을 알면서도 소문에 충실하는 인물들도 있다. 이청준 소설에서 소문은 ‘상징적 진실’로서 기능한다고 말할 수 있다. 비록 그것이 허위인 경우에도 소문은 인물들의 현실을 통제하고 구조화하는 것이다. 진위 여부와는 무관하게 기정사실처럼 작용한다는 것이 소문의 본질적 특성이다. 이청준의 소설 「뺑소니 사고(1974)」에서는 소문의 이런 특성과 대결하려는 의지가 드러난다. 하지만 「용소고(1990)」에 이르면 이 의지는 좌절되고 만다. 소문으로 인해 살인을 하는 이야기(「소문과 두려움(1971)」)에서 소문에 대한 대결 의지(「뺑소니 사고」)와 그 좌절(「용소고」)을 거쳐 소문 속에서 삶의 의미를 찾는 이야기(「이상한 선물(2007)」)까지, 소문을 바라보는 작가의 인식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차츰 변화했다. 소문에 대한 이러한 인식 변화를 이청준 고유의 문학론인 ‘복수로서의 문학’과 연관시켜 읽을 수 있다. 소문의 의미 변화와 ‘복수로서의 문학론’의 호응 양상을 살피는 일은, 세상에 복수하기 위해 소설을 쓰게 되었다는 이청준의 문학론이 ‘소문에 대한 복수’에서 ‘복수로서의 소문’으로 깊어져 갔음을 알 수 있게 한다. Discussions about rumors have been handled within the frame of the dichotomy of false/truth. However, the contrasting composition of false and truth, fact and fiction is only the effect of rumors. Therefore, when discussing rumors appearing in literary works, it is necessary to have an attitude not to focus on the authenticity of the contents. This paper aims to break away from the binary opposition of false/truth and examine how rumors affect reality. For this purpose, analyzed the rumors of Lee Cheong-jun’s novel. In Lee Cheong-jun’s novel, rumors function as ‘symbolic truth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rumors is that they act as if they were established fact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true or not. In “Hit-and-Run Accident(1974)”, the will to confront this characteristic of rumors is revealed. However, when you reach “Yongsogo(1990)”, this will is frustrated. From the story of murder caused by rumors(“Rumors and Fears(1971)”) to the will to fight the rumors(“Hit-and-Run Accident”) and its frustration(“Yongsogo”), and the story of finding the meaning of life in the rumors (“Strange Gift(2007)”), the author’s perception of rumors has gradually changed over time. This change of perception can be read in connection with Lee Cheong-jun’s own literary theory, ‘literature as revenge’. Examining this relationship shows that Lee Cheong-jun’s literary theory that he wrote a novel to revenge on the world has changed from ‘revenge for rumors’ to ‘rumor as revenge.’

      • KCI등재

        소문의 정치학 : 마가복음과 소문

        김동성(Dong-Sung Kim)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0 신학사상 Vol.0 No.188

        본 논문은 마가복음 속에 나타난 소문 모티브를 사회 과학적 연구를 통해 새롭게 조명한다. 지금까지 마가복음에 나타난 소문 모티브는 신약성서 분야뿐만 아니라, 마가 학회에서도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서 소문 모티브는 마가복음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모티브임을 주장함과 동시에, 이 소문의 중심에 예수가 있으며, 소문의 장치를 통해서 마가는 예수의 사회정치적 힘을 증폭시키고 있다는 것을 논증한다. 현대 루머 이론은 그레코-로만 시대의 소문뿐만 아니라, 마가복음에 나타난 소문을 수면 밖으로 끄집어내게 하는 중요한 이론적 도구이다. 논문은 이 루머 이론을 통해서 소문의 핵심적인 특징(집단성, 변용성, 확산성, 익명성, 표출성, 정치성)을 살펴볼 뿐만 아니라, 소문이 고대 사회에서 사람들의 일상의 삶과 사회-정치적 활동에 깊은 영향을 미치는 매체임을 증명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논문은 마가복음 안에 (1) 소문은 직간접적으로 50여 차례 이상 등장하고, (2) 소문의 다양한 특징을 보여주며, (3) 소문을 통해서 예수의 명성과 평판의 증가는 그의 사회-정치적 권력의 증가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밝힌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otif of rumor in Mark’s Gospel from the social scientific perspective. Markan scholarship has failed to pay attention to the rumor motifs in the Gospel. However, I argue that the rumor is one of the central motifs in Mark and that it penetrates the whole Gospel, Jesus is at the center of the rumor, and by means of rumor, Mark increases Jesus’ socio-political power. Modern rumor theories that show what characteristics rumors have offer a theoretical framework in which one can assess rumors in the Greco-Roman world, and can help us recognize rumors hidden in the Gospel. In this paper, I maintain that (1) rumors appears approximately fifty times, (2) rumors display their collective, elaborative, rapid, anonymous, expressive,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and (3) Jesus’ increased fame through rumors is closely associated with his socio-political power.

      • KCI등재

        소문의 서사와 불안의 주체- 박완서 소설을 중심으로

        우현주 한국현대소설학회 2018 현대소설연구 Vol.- No.70

        일상에서 창조되고 유포되는 소문 서사는 대중의 혼란을 유발하는 매체 보도, 비윤리적이고의도적인 루머나 험담, 시중에 떠도는 이야기의 형태로 소설과 결합하여 재탄생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소문의 서사가 빈번히 소설을 통어하는 박완서 소설을 대상으로 한다. 연속적으로 진행될 본 연구는 ‘텍스트인 소문-창작자인 주체/대상인 타자- 수용 및 저항 정동의 공동체’의 세 층위를 설정하고 그 중 텍스트인 소문과 창작자의 관계 탐색을 목표로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소문의 발생과 유포 단계에서 기층 대중의 무의식적 심리에 착종된 불안의 양상과 소문서사의 발현 과정을 고찰한다. 이 과정에서 본고는 소문서사에 의해 반영되는 사회 메커니즘과 인물의 수행적 특징 및 길항 관계를 검토하면서 박완서 소설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한다. 박완서 소설에서 국민개조를 위한 감정의 기획에 복무하던 70년대 관변 잡지나 혼란과 공포를 조장하던 80년대 미디어 전략은 제도적 채널이 소문의 서사로 이데올로기화되어 주체의 일상에 편재함을 의미한다. 일상에 잔존한 주체의 습속은 근대적 미디어 기획과 마찰하며 전근대성으로 규정되는 과정에서 도태되지 않기 위한 주체의 불안은 배가된다. 완벽한 대타자를 향해 스스로를 균열의 소문으로 전시하거나 비윤리적인 낙인에 앞서 상상적인 소문의 생성으로 죄책감을 은폐하려는 주체의 도착적 수행은 불안을 제거하기 위한 시도이지만 실패로 귀결된다. 집단 내부에서 공유되는 소문의 서사 속에서 계급적인 불안정성과 신분 상승의 제약, 권력을 향한 욕망, 상징적인 권위의 상실은 현실의 자유와 선택에 대한 책임을 모두 개인에게 전가하며 불안을 유발한다. 박완서는 소문을 발생시키고 공유하는 집단과 그들의 욕망이 투사된 대상 사이에 작가 의식과 밀착된 중개적 인물을 설정한다. 그들은 비합리적· 비윤리적 소문의 확장을 중재하고 소문 발생 집단과 거리감을 두면서 독자의 신뢰감을 높인다. 소문을 생성· 공유하면서도 그것에 지배받는 주체는 일상의 불안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지만 끊임없이 벗어나려 시도하는 아이러니함으로 소문의 서사를 추동한다. 이렇듯 박완서 소설은 소문의 배경을 의심하고 소문의 진위를 파악하는 길항 과정에서 사회적 균열의 필요성을 상기시키며 불화의 건강성에 대해 재사유하게 한다. Novel by Wanseo Park makes the narration of rumors by combining the media herald instigating the public, intentional rumor for the moral belittlement, and rumors widely talked ab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three layers: rumor which is the text, Subject who is the creator/ Other who is the victim, community of acceptance and resistance affect,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umor which is text and the creator. The rumor is composed of the ‘occurrence’ including the incubation period, ‘distribution’ that all classes of society can be the subject, and exercise of violence that changes abruptly to the form of social ‘behavior’. In this study, the aspect of anxiety combined with the people’s unconscious psychology and the progress process of the rumor narration are considered in the stages of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the rumor. The rumor is a process of purification that emancipates the subject’s anxiety and has the double-sidedness that intensifies the anxiety. The rumor strategy by media which planed the emotion to renovate people in 1970s and made the confusion and fear in 1980s shows the social mechanism seizes the subject’s daily life by becoming the ideology. The convention of the subject remaining in the daily life is defined as the pre-modernism as colliding with the modern media plan. At this time, the subject which worries about falling behind collapses before the perfect pinch hitter or makes the imaginary rumor before being stigmatized unethically to conceal the past. The paraphilic performance of this subject is the attempt to remove the anxiety but it fails. The narration of rumor shared inside the group is made because of the hierarchical instability, restriction of status rise, desire for the power, and anxiety caused by the loss of symbolic authority. Wanseo Park sets a mediation figure who conveys the author’s consciousness between the group triggering and sharing the rumor and the target in which their desire is reflected. They raise the reader’s credibility as mediating the spread of the unreasonable and unethical rumor and keeping their distance from the rumor-causing group. Like this, the subject of anxiety that makes and distributes the rumor narration of the Wanseo Park’s novel structures the powerful meaning of the everyday life where the common sense and senselessness coexist.

      • KCI등재

        추문의 데마고기(Demagogy)화, 수사학에서 정치학으로-송계월의 소문 대응 양상을 중심으로-

        진선영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여성문학연구 Vol.30 No.-

        Generally, Song, Gye-wol is known a woman journalist of 'Gae-Beok' magazine and woman writer. However, with her personal background, she's been known as a good-looking woman journalist, a love story with fellow writer, an unmarried childbirth, and died young with suffering numerous conjectures and rumors. Looking at the result, suffered by numerous rumors, blamed herself, despaired, and finally she'd drove herself to the death defamed her pure heart of life that she tried to retain her life combatively and dynamically as a social worker, woman journalist, and woman writer. Considering Song, Gye-wol's responsive against a rumor based on the attitude of her life, I try to understand her life and literary work aggressively and productively,in this study. The reason why Song, Gye-wol corresponded strongly to the rumor was she had an experience of suffering a rumor that she'd called 'Hamgyung-do Gisaeng' when she was in school. The truth that Song, Gye-wol's deal with the rumor was not a excessive neurotic symptoms should be back dated. Song, Gye-wol was revealed on the rumor for a long time and suffered torments, but when she struggled with second rumor, she controverted aggressively and offensively. Song, Gye-wol resisted on rumors about her through a literary criticism. Thereby she handled with value of rumor's production,dominance and recessive, and good and bad in critic territory, she criticized the rumor producers, Demagogy, and commercialistic journalism over the first purpose of rumor refutation. Both to offense about the rumor producer directly and to criticize bourgeois journalism that put a rumor on the magazine in the name of Gossip bring forward journalism conscience and moral responsibility to yellow journalism and rumor producer. That rumors justify it not to the subject but to the rumor producers(journalism, distributor) step by step means Song, Gye-wol makes an issue of rumor politically, not rhetorically. This kind distinctive correspondence to scandals disproves Song,Gye-wol's strong identity, resistant tendency, and squeamish, and it is an evidence that her literary work should be re-interpreted aggressively with her life. 본고는 신여성과 소문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소문에 대항하는 여성주체의 개별적 반응에 집중함으로써 저항적 차이에 대한 이해로 나아가야 한다는 전제하에 송계월의 소문 대응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송계월은 개벽사 여기자, 여류문인 정도로 알려져 있지만 개인적 이력과 함께 미모의 여기자, 동료 문인과의 연애담, 처녀 출산, 갖가지 억측과 소문에 시달리다 요절한 것으로 대중에게 각인되어 있다. 하지만 온갖 소문에 시달리면서 자책하고 절망하였다는, 결과론적으로 죽음을 논할 때 송계월이 사회주의 운동가로서, 여기자로서, 여류문인으로서 얼마나 전투적이고 역동적으로 살았는지에 대한 삶의 태도는 훼손될 수밖에 없다. 이에 본고에서는 송계월의 삶의 태도를 기저로 소문에 대응하는 양상을 고찰하여 송계월의 삶과 문학을 좀 더 적극적이고 생산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송계월이 소문에 강경하게 대응한 것은 이미 여학교 시절 ‘함경도 기생’이라는 소문에 고통받은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소문에 대응하는 송계월의 반박이 과도한 신경과민이 아니라는 사실은 이 사건에서부터 소급되어야 할 것이다. 송계월은 오랫동안 소문에 노출되어 큰 고통을 받았으며 두 번째로 소문에 휩싸이자 적극적인 반박과 공격의 자세를 취하게 된다. 송계월은 자신과 관련한 소문을 평론의 형태로 저항한다. 소문 생산의 가치,우열, 선악을 비평의 영역에서 다룸으로써 소문의 반박이라는 일차적 목적을 넘어 소문의 생산자인 데마고그(Demagogue)와 상업주의적 저널리즘을 비판한다. 이는 송계월이 직업적 경험으로 데마고기(Demagogy)가 제작되는 메커니즘에 대한 깊이있는 통찰이 있었다는 증거이다. 자신과 관련한 소문이 개인적 목적과 선동을 위한 데마고기였다는 사실, 데마고기의 생산자를 실명화 하여 공론화된 소문의 재생산을 차단하고 비판하는 것은 송계월의 정치성이며, 이러한 변전(變轉)을 통해 도덕적 책임의 소재를 전환시킬 수 있었다. 소문의 생산자에게 직접적인 공세를 벌임과 동시에 소문을 가십이라는 이름으로 잡지에 실은 부르주아 저널리즘을 비판함으로써 황색저널리즘(Yellow journalism)과 소문의 생산자에게 저널리즘적 양심과 윤리적 책임을 제기하는 것이다. 소문이 대상자가 아닌 실명의 생산자(저널리즘,유포자)에게로 되돌아감으로써 송계월은 소문을 수사학이 아닌 정치학으로 쟁점화한 것이다. 이처럼 추문에 대항하는 독특한 대응방식은 송계월의 강렬한 주체성과 저항성, 결벽성을 반증하며 그녀의 삶과 관련하여 작품을 좀 더 적극적으로 재해석해야하는 증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박태원의 「천변풍경」 속 ‘소문’으로 읽는 근대의 풍경

        엄숙희(Eom Suk-hui)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1 No.-

        이 논문의 목적은 당대의 세태를 잘 반영하고 있는 「천변풍경」 속 ‘소문’의 양상에 주목하여 그것이 보여주는 근대의 풍경을 읽어보는 데 있다. 박태원의 「천변풍경」 속 생활상은 다채롭다. 그만큼 천변에는 항상 갖가지 소문이 무성하다. 「천변풍경」 속에서 이처럼 사람들 사이에서 유포되는 갖가지 소문들은 당시의 세태를 반영하고 있다. 소문은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 어디에서나 시작되고 퍼져나간다. 인간의 역사 속에서 생성된 소문들은 인간을 해석할 수 있는 도구가 된다. 따라서 소문은 시대적 연관관계 속에서 해석된다. 소문의 성격이 이와 같다고 했을 때 「천변풍경」 속에서 그려지고 있는 소문의 의미는 단순하지 않다. 소설 속의 소문은 천변 주변의 인물들 사이에서 생성되고 유포되는 단순한 이야깃거리가 아니라 당시 천변을 생활의 터전으로 삼고 살아가는 기층민들의 사유체계와 그 사유체계를 만들어내고 있는 당시의 불확실한 시대상을 표현하고 있다. 그래서 「천변풍경」에서 유통되는 소문들도 단순한 이야깃거리만은 아니게 된다. 그럴 때 「천변풍경」 속 소문의 풍경을 들여다보면 그 모습은 잔잔하지 않다. 「천변풍경」 속 대부분의 소문은 불행한 여인들이나 남성들의 불륜에 관한 것이다. 이런 가운데 근대식 교육을 받은 남녀의 연애와 결혼에 대한 소문은 기층민들의 삶과 대조되면서 그네들의 비극성을 부각시킨다. 이런 식으로 「천변풍경」에서 유포되고 있는 소문에는 근대의 도시 공간에서 불안하게 살아가고 있는 불안한 근대인의 내면이 투영되어 있다. This study’s purpose is to consider the landscape of modern from the view point of rumor in the ChunByunPoongKyung. The image of life in the Park Tae-won’s ChunByunPoongKyung was varied and ever-changing. So, the riverside were full of rumors. The varied rumor in the ChunByunPoongKyung reflected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times. The rumor are built up everywhere and spread out. The rumor can be a useful tool which interpret human. So, the rumor were interpreted in the historical connections. In that sense, the meaning of rumor are not simple. In that case, The rumor in the ChunByunPoongKyung are not still. That rumor was about unhappy woman and adultery of man. In the center, the rumor of love with new man and woman which received modern education made the humble classes more tragic. Like this, the rumor in the ChunByunPoongKyung were reflected internal consciousness of modern people which were living in modern urban space.

      • KCI등재

        「강로전」의 서술 양상과 소문 활용법

        김영미(Kim, Young-Mi)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6

        「강로전」은 실제 역사 인물 강홍립의 참전기를 서사화한 작품인데 본고는 「강로전」의 서술 양상과 소문 활용법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보면 「강로전」의 서술 양상과 소문 활용법은 동심원적인 구조를 보인다. 즉 강홍립을 점차 악인으로 서사화하는 서술 양상은 소문이 확산되어 사실적 차원으로 확정되는 과정과 하나의 사이클로 돌아가고 있다. 그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기대를 한몸에 받던 대원수 강홍립이 어떻게 서서히 역적이 되어가는지, 즉 역적 서사가 어떤 양상으로 진행되는지 분석했다. 역적 서사는 주인공 강홍립을 중심으로 많은 주변 인물들이 등장과 퇴장을 반복하며 강홍립에 대한 비난을 쏟아내며 완성되고 있다. 이는 일종의 일대다(一對多)의 관계 속에서 강홍립을 철저히 악인으로 만드는 서사 형태인데, 극단적 선악 대립을 선보이는 영웅 서사와 이 점에서 차이가 난다. 다음으로 「강로전」에서 ‘소문’이 어떤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작가 권칙은 「강로전」의 모든 내용이 정체를 특정할 수 없는 ‘어느 노승에게 들은 이야기’라고 한다. 이렇게 ‘누구에게선가, 어디에선가 들었다’는 것은 소문을 전달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간접인용의 틀이다. 소문은 사람들이 기존에 갖고 있는 믿음이나 이념에 부합될 때 더 쉽게 받아들이게 되는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적 경향을 보이는데, 「강로전」에서 기댄 편향적 이념은 바로 ‘대명 의리’이다. 「강로전」 이야기는 ‘대명 의리’를 바탕으로 역사적 사실이나 진실 여부와 상관없이 재구(再構)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는 기억과 연결된 문제이기도 하다. 과거의 인물과 사건을 완벽하게 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작가 권칙의 자기 변명의 의도와 조선 후기 사회의 시대적 관념 속에서 ‘강홍립’은 기억되고 재구되는 것이다. 그런데 소문의 틀을 원용하고 소문의 편향성을 기반으로 했던 허구로서의 「강로전」은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사실’의 차원으로 나아간다. 「강로전」에서는 이야기 전달자 노승을 등장시켜 강홍립 이야기가 일종의 소문임을 밝혔었던 것에 비해 후대 이건(李健, 1614∼1662)의 「강로전」이나 유한준(兪漢雋, 1732∼1811)의 「강홍립전」에 이르러서는 이야기 전달자를 없애고 한문의 ‘전(傳)’ 양식을 띠게 된다. 그에 따라 역사적 사실로 수용되지 못하고 ‘소문’의 속성이 강했던 강홍립 이야기는 조선 후기로 갈수록 소문의 수용 문턱(thresholds)을 지나 범사회적으로 수렴되면서 점점 ‘사실’로 고착된다. 권칙에 의해 서술된 ‘강홍립’이 소문의 확산과 맞물려 ‘사실’ 차원에서 악인의 대표적 표상이 되는 것이다. Gangro-jeon tells the story of Gang Honglib who fought against the Qing army. In this paper, I analyze narrative modes of Gangro-jeon and its use of rumors. The story follows General Gang who gradually turns out to be a traitor. Gang stands in the middle of the stage, and several characters come in and go out of it in turn. They severely criticize him and accomplish their goal in the end. This many-on-one unidirectional relationship makes him a helpless villain. The story is different from that of a hero wherein some extreme antagonism is shown between the good and the evil. Rumors are tactfully utilized in Gangro-jeon. Gwon Chik, who wrote Gangro-jeon, tells us that he heard the whole story from an old monk whose identity he could not specify. This is a typical frame of indirect quotation from someone somewhere. If people hear a rumor which corresponds to their belief or ideology, it results in a confirmation bias. The ideology of Gangro-jeon is based on the idea of obligation to the Ming dynasty. Gangro-jeon’s plot does not care whether it is true to historical facts but simply reorganizes them in accordance with its ideology. Furthermore, it reveals how memorization works in a novel. It is impossible to represent infallibly what a historical character did and what happened to him. Gang Honglib was memorized and reorganized in the matrix of social ideology of Gwon Chik and the Joseon dynasty. Gangro-jeon, which adapted the frame and bias of rumors, began to be accepted as the story of real facts. The old monk whom Gwon Chik introduced to reveal the source of his story disappeared off the plot in later versions. One of them, Lee Gun’s Gangro-jeon, resembles a biography. Rumors were the source of the story of Gang Honglib, which was a fiction at first, but it was accepted and fixed as the record of historical fac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umors that passed through social thresholds were collected by the general public. Once the argument that Gang was a turncoat, or a traitor, was received, it made him a typical villain.

      • KCI등재

        소문의 타자와 정동의 윤리

        우현주 ( Woo Hyun-ju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5 No.-

        문학 작품 속에서 서사화된 소문은 그것의 생산자와 대상의 직접적 관계만이 아니라 소문의 전제가 되는 외부 담론과 그것의 의도, 공명-확산-전환에 따른 공동체의 영향 관계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본고는 소문 서사에 내재된 사회 메커니즘과 그에 대응하는 주체의 수용 및 타자의 대항 정동에 대한 분석을 목표로 한다. 1970년대 ‘일하는 여성’에 대한 담론은 여성에게 경제적 의무를 부여하고 절대적인 모성의 표상으로 여성을 공동체에 각인시키면서도 국가 가부장에 의해 여성을 배제하거나 성적 일탈로 공동체를 오염시키는 인물로 그들을 경계하게 만들었다. 박완서 소설 속에서 행상하는 과부나 식모에게 적용된 소문은 이 부분을 정확히 드러내면서 무성화되고 불결한 인물로 그들을 대상화한다. 이후 2000년대에 이르면 자본주의의 일상 속에서 정당한 분배에 대한 담론이 유산, 보상금, 공공 복지에 이르는 불로소득의 개념 속에서 확장된다. 생산성이 부재한 노년의 인물에게 부여된 불로소득으로 인해 대상자는 소문을 통해 반인륜적인 도덕성 결여의 인물로 재현된다. 이렇듯 당대 일상의 지배적 권력 담론은 소문의 공동체에 무의식적으로 내재화되어 지속적으로 공동체의 혐오 감정을 양산하고 이들에 의해 타자로 배제되는 인물들은 인간/비인간으로 대별되며 존재가 부정된다. 그러나 소문의 서사에서 주로 타자로 낙인찍히는 박완서 소설의 여성 인물은 여성성의 가시화, 사랑, 몸의 고통, 감정의 교신이라는 정동의 언어로 공동체의 혐오에 전략적으로 포획되거나 그것을 반향하면서 대항한다. 공동체에서 억압받고 배제된 타자가 자신의 목소리로 소문을 해명하거나 그들의 정동 언어가 공동체에 전이된다는 점에서 박완서 소설은 차별화된다. 무엇보다 박완서 소설의 소문 서사는 소문의 공동체와 대상 타자 사이에 반성적 성찰의 인물을 설정한다. 타자와의 교집합 속에서 중개적 인물들은 타자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자신의 무능을 확인하면서 공동체의 새로운 윤리 재건에 기반이 되는 것이다. 이는 소문의 발화 진원지가 붕괴되는 과정과 그런 소문에 저항하는 타자의 정동 언어가 공명하는 지점에서 공동체의 윤리를 재사유하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박완서 소설의 특징을 드러낸다. In literature, rumors should take into account not only the relations of their producers and objects, but also complex ones, such as external discourse, rumor intentions, and resonance-diffusion-transition. In this study, the social mechanisms inherent in the rumored narrative of Park Wan-seo’s novel, and the corresponding Subject’s acceptance and counter-affect of the other were analyzed. The dominant power discourse in everyday life is unconsciously embedded in the rumor-making community, constantly arousing hate to the other. Characters excluded by community as the other are identified as non-human and denied existence. In general, the other of the novel is suppressed by rumors and excluded from the community. However, Park Wan-seo’s novel is different from other novels in that the other explain the rumors in their own voice and their affective language is transferred to the community. Above all, the rumored narrative of Park Wan-seo’s novel establishes a reflective character between the community of rumors and the target other. They listen to the voices of the other and ascertain their incompetence, which is the basis for the renewal of ethics in th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