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소규모 건설현장을 중심으로 -

        허정(Huh, Jeong),신만중(Shin, Man Joong) 한국공공사회학회 2023 공공사회연구 Vol.13 No.2

        현재 건설현장의 추세는 산업안전과 보호에서 중대재해의 예방과 처벌의 강화로 변화해가고 있고, 중대재해는 최근 마련된 중대재해처벌법이 있어 더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특히, 건설업의 중대산업재해는 대부분이 영세업체가 시행하는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21년 산업재해 현황을 보면 건설업의 중대산업재해는 전체 산업재해의 50.4%, 그 중 50인미만 소규모 사업장은 42.5%, 5인미만 초소규모 사업장은 38.4%이며, 공사금액별로는 50억원 미만의 소규모 건설현장은 71.5%로 중대산업재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4년부터는 소규모 건설현장들도 중대재해처벌법을 전면적용하게 되는데, 소규모 건설현장은 중·대규모 건설현장들과는 달리, 안전관리자 배치기준의 미적용 등 안전관리체계가 미흡하고 건설업에 미등록된 업체의 시공 참여, 고령 및 외국인 근로자의 미흡한 근로체계,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부족 등 다양한 제한적인 특성이 있다. 이렇듯 건설산업재해 대부분을 차지하고, 법 및 제도, 예산적 제한 등 다양한 문제를 갖고 있는 소규모 건설현장에 중대재해처벌법을 전면 적용하기에는 많은 전제조건을 해결해야 한다고 본다. 여기서는 ’21년까지의 중대산업재해 현황과 유사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소규모 건설현장에 중대재해 처벌법을 적용하기 위해서 소규모 건설현장이 갖는 구성의 취약점과 법·제도, 예산, 근로체계의 미흡함 등의 특성과 ①보호·적용대상 범위의 확정, ②산업안전보건법과의 관계, 사업주·법인의 중대재해 발생시 안전경영책임자 선정여부, ③경영책임자의 역할과 책임, ④실질적인 지배의 의미해석 등 중대재해처벌법의 적용체계의 문제점에 맞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중대산업재해 발생시 예방보다는 처벌에 중점을 둔 중대재해처벌법이 영세한 건설업체들이 대부분 종사하고 있는 소규모 건설현장에 전면 적용되기 전에 예상되는 문제점별로 사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소규모 건설현장에 적합한 중대산업재해 저감방안을 제시하였다. Currently, the trend of construction sites is changing from industrial safety and protection to prevention and strengthening of punishment for serious accidents, and serious accidents require more special attention due to the recently established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In particular, most of the major industrial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occur in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implemented by small businesses.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s in 2021, major industrial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ccount for 50.4% of all industrial accidents, of which less than 50 people Small-scale businesses accounted for 42.5%, micro-scale businesses with less than 5 employees accounted for 38.4%, and by construction amount,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with less than 5 billion won accounted for 71.5%, accounting for most of the major industrial accidents. Starting in 2024,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will be fully applied to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Unlike medium- and large-scale construction sites,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have insufficient safety management systems, such as non-application of safety manager placement standards, and construction by companies not register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e are various limiting characteristics such as participation, insufficient labor system of elderly and foreign workers, and lack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expenses. As such, it seems that many prerequisites must be resolved to fully apply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to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that account for most of the construction industrial accidents and have various problems such as laws, institutions, and budget limitations. Here, in order to apply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to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major industrial accidents by 2021 and similar research data,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of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and the lack of laws, systems, budgets, and labor systems and ①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protection and application, ② Relationship with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whether or not a person in charge of safety management is selected in case of a serious accident of the business owner or corporation, ③Role and responsibility of the person in charge of management, ④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practical control, etc.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s suitable for the problems of the application system. In the event of a major industrial accident,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which focuses on punishment rather than prevention, is fully applied to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where most of the small-scale construction companies are engaged. Suggested measures to reduce major industrial accidents.

      • KCI등재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관리방안 연구 -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중심으로 -

        임종록,박찬영,윤성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1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jor risk factors and accident types of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with the highest accident rate among construction works, an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ccident prevention measures. 550 construction accident cases analysis and a survey of 30 construction site experts of small and medium construction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nd accident types. From the analysis results, collapse accidents occurred most frequently in reinforced concrete works, and majority of accidents were caused by inappropriate construction operations. The causes of safety accidents in terms of project participants were different. The respondents except for the workers answered that safety training program should be strengthened for preventive measure. The analysis results in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source of information on detailed safety management measures for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 KCI등재

        소규모건설현장 안전관리를 위한 기술지도 사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임형철,백낙규,김대영,정성춘 한국건설관리학회 2018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9 No.6

        정부와 안전보건공단에서는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저감을 위하여 감독·점검, 기술지도·재정지원 등의 안전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왔으나, 건설현장의 재해자수는 매년 증가추세에 있으며, 특히 소규모 건설공사를 위주로 전체 재해자수의 8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건설공사 현장에서의 안전·보건관리의 이행현황을 조사하고 해당 사업장에 정부의 적정한 기술지도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으며, 소규모 건설공사 현장에서의 재해를 줄이고 기술지도사업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건설현장에 부합하는 기술지도 최적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율 감소를 위한 위험성평가 방안

        장윤라,고성석,Jang, Yun-Ra,Go, Seong-Seo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8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19 No.5

        Government needs a risk assessment method that is effective in preventing accidents as a part of the three principal projects of the government for protecting the people's lives for establishing preventative measures to prevent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sites, which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all accidental mortality accidents, and promote the safety-oriented culture for making fundamental changes. Accidents at the medium and small sized construction sites accounted for 88.9% of the total construction accidents. The data indicates that improper management and lack of advanced safety measures due to the absence of a safety supervisor are the biggest problems. It is believed that active measures to evaluate and prevent risks at construction sites are necessary for preventing accidents in the medium and small sized construction sit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ey risk items of common accident causes and propose a practical, preemptive, and improved risk assessment method by evaluating the problems in the safety management of construction sites for reducing the accident rate in the medium and small sized construction sites. 정부의 국민생명 지키기 3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전체 사고성 사망사고의 절반이상을 차지하는 건설현장에서의 재해예방을 위한 감소대책과 근본적인 변화를 위한 안전 중시 문화 확산을 위해 사전예방의 실효성 있는 위험성 평가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건설재해 중 중 소규모 현장의 재해는 전체 건설 재해의 88.9%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안전관리감독자의 부재로 인한 관리소홀과 사전 안전조치 미흡이 가장 큰 문제점이라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중 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예방을 위해서는 현장의 위험성을 평가하고 예방할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건설재해의 발생빈도가 높은 중 소규모건설현장의 재해율 저감을 위해 건설현장 안전관리 문제점을 도출 분석하여 재해다발요인의 중점 위험항목과 선제적이고 실천 가능한 위험성 평가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KCI등재

        건설분야 사고성 재해예방 민간위탁사업 참여기관의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개선방안

        김은정,안홍섭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6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12) 자료에 의하면 공사금액 3억원 미만의 영세규모 건설현장의 재해자수와 사망자수도 각각 건설업 전체의 43.3%와 31.6%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이러한 소규모 현장 재해예방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안전보건공단을 통하여 ‘사고성 재해예방 민간위탁사업’을 매년 확대 시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재해 발생건수에서 비중을 크게 차지하는 공사금액 3억원 미만의 소규모 현장을 대상으로 감성지원과 밀착지원의 두 가지 방식으로 집행되고 있다. 이 사업이 소기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민간위탁기관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효과적인 관리의 근간은 합리적인 평가방식의 운용에 달려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 건설현장에 기술을 지원하는 민간위탁기관에 대한 합리적인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우수한 민간위탁기관의 효과적인 기술지원 업무 수행을 통한 건설재해의 효과적인 재해감소에 기여하는데 있다. According to the report published by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2012), the number of workers wounded and died from accidents in the small scale construction sites of less than 300 million Won of construction cost accounted for 43.3% and 31.6%, respectively, of those of the whole industry. In recognition of the serious needs to prevent disasters from small scale construction sites, the korean government instructed the agency to expand the contracting-out of the work-related accident prevention project to larger extent every year. This project has been executed in two ways-affective and specific supports-with priority given to the small scale construction sites of less than 300million Won of construction cost which used to occupy bigger portion in terms of the number of accidents. In order to achieve success from this project, it is needed to effectively manage the contracting-out organizations, which would heavily depend on how reasonably it would be evalu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us to suggest reasonable value indices and evaluation methods for the private contracting-out organizations which impact small scale construction sites with technical support so that they can contribute to reducing construction accidents effectively by means of effective technical support.

      • KCI등재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거푸집 공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조예림,신윤석,신재권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7 No.6

        The construction industry generates the greatest number of disasters. Laborer injury at construction sites is mostlyreported by small and mid-sized construction sites. Moreover, of the injuries, the greatest number is related to formwork.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hecklist of the risk factors of formwork, in which industrial injuries occurmost frequently in small and mid-sized construction sites, with which safety management can be done thoroughly. Riskfactors and preventive measures are derived by analyzing 9,396 industrial disasters occurring at construction sites inKorea. The checklist drawn in this study was reviewed by five specialists in safety management, and applied toconstruction sites to verify its applicability. In a result, applying the checklist to the site showed that the safetymanagement system of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sites were insufficient.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effective safety management of small and mid-sized construction sites. 건설 산업은 전체산업분야들 중에서 가장 많은 재해사망자를 발생시키는 산업분야이다. 국내 건설업의 사고부상자는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거의 대부분 발생한다. 또한 전체공종 중 거푸집 공사에서 가장 많은 재해자가 발생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재해에 취약한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거푸집 공사에 대하여 안전점검사항을 제시하고 어떤 항목을 중점적으로 관리해야하는지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연구가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전의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중소규모 사업장에 대하여 국내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중 가장 많은 재해가 발생하는 거푸집 공사의 위험요소에대한 점검사항을 명확히 제시하고 중점적으로 안전관리를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제안하였다. 연구 방법은 국내 건설현장에서 발생했던 재해 사례 70,618건을 분석하여 위험요인 및 사고 예방 대책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점검 항목을안전관리전문가 5명에게 검토 받은 후 현장에 직접 적용함으로써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실제로 발생했던 재해의 위험 요인을 도출하여 만든 체크리스트이기 때문에 현장의 작업자들에게 잘못된 점을 명확히 지시하여 시정하는 것이 가능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중소규모 건설현장에 대한 효율적인 안전관리를 수행하고 재해율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최근 5년간 소규모 건설 현장의 산업재해특성 분석(2010년부터 2014년까지)

        이형도 ( Lee Hyung Do ),송규진 ( Song Kyu Jin ),원정훈 ( Won Jeong-hun )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2016 建設技術論文集 Vol.35 No.2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재해의 70~80%는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다. 소규모 사업장의 재해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재해지표를 분석하여야 하나, 소규모 사업장의 재해지표를 세부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건설 현장의 산업재해 예방대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건설업의 산업재해 현황분석 자료를 분석하였다. 2010년에서 2014년까지 5년 동안의 산업재해현황 자료를 근거로 사업장 규모에 따른 재해율, 사망만인율, 재해발생형태별 사망자 수, 뇌심혈관 사망자 수, 소규모 건설현장의 여성근로자 재해 등을 상세하게 분석한 결과, 건설 현장의 전체 재해율과 사망만인율은 300인 미만 사업장의 재해율과 사망만인율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나, 300인 인상의 대규모 사업장의 재해율과 사망만인율은 변화폭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업장 규모가 감소될수록 재해율은 증가하며, 연도별 재해율의 변화폭도 큰 것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소규모 사업장의 재해 감소가 건설업 재해 감소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재해 형태별 분석결과도, 모든 재해 형태에서 사업장 규모가 감소될수록 재해자 수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뇌심혈관 사망자와 여성근로자의 재해도 300인 미만 사업장에서 대부분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ccidents in the small construction workplace(SCW) account for 70~80 percent of all construction workplac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ccident characteristics of SCW, accident statics should be analyzed first.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accident statics of SCW in detail. This paper analyzed the accident characteristic of SCW using the “Analysis on the Industrial Accident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which is helpful for drawing accident prevention methods. Base on the accident data from 2010 to 2014, various statics such as accident rate, rate of fatal injuries, the number of accident victim according to accident type, the brain cardiovascular deaths, and accidents of female workers by considering the size of workplace. Results show that the accident rate and rate of fatal injuries in workplace with less than 300 employees showed similar trend to those in total construction workplace. However, the accident statistics such as accident rate and rate of fatal injuries in the workplace with 300 employees or more represented little variation along with annual data. In addition, as the size of workplace decreased, the accident rate increased and the variations were more pronounced. Therefore, the decrement of accidents in the SCW will be effective to reduce the accident rate in the total construction workplace. Considering the accident type, the number of accident victim in all accident types was increased with the decrement of the size of workplace. The brain cardiovascular deaths and accident of female worker were found to occur mostly in the workplace with less then 300 employees.

      • KCI등재

        AHP기법을 활용한 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요인 분석

        김은정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4 No.1

        The need to prevent disasters at small construction sites is emphasized more than ever in the recent increasing trend of small construction sites, and prevention of small construction sites, which account for more than 80% of all disasters, must be preceded to reduce the accident rat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rive disaster factor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construction sites, identify the importance, and selectively manage them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Therefore, in this study, first, 24 disaster factors affecting small construction sites were selected.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30 construction managers, safety managers, and workers each, and priorities were presented by comparing each factor in pairs using AHP. As a result of each pair of comparison, construction managers lack safety awareness, safety managers lack management supervision, and workers do not comply with the necessary public safety rules as the main disaster factors at small construction sites. Based on these results, safety manag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priorities of disaster factors is expected to help prevent disasters at small construction sites.

      • 소규모 건설현장의 떨어짐 재해 감소방안에 대한 연구

        홍하나 한국재난정보학회 2019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9

        본 논문에서는 업무상 사고 재해자와 사망자가 가장 많은 공사금액 20억 원 미만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떨어짐 재해를 줄이는 방안을 제시하여 전체 건설현장의 재해 감소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기반이 되는 이론(하인리히 법칙, 버드의 도미노 이 론과 하베이 3E이론)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료를 분석하고 국내·외 사례를 통해 선행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떨어짐 재해 발생원인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근로자의 안전·보건의식이 부족하다. 둘째, 떨어짐 방지 안전시설이 미비한 현장이 대다수이다. 셋째, 위험성평가 제도의 현장 적용이 난이하다. 또한, 사례연구 분석을 통해 2015년~2016년 OO지역의 떨어짐 재해가 발생한 공사금액 20억 원 미만 약 15개소 소규모 건설현장을 방문하여 현장 소장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사금액 20억 원 미만 소규모 건설현장의 떨어짐 재해를 줄이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자발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근로자 교육, 떨어짐 방지 안전시설을 지원해주는 정부지원 그리고 위험성평가 간소화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소규모 건설현장을 고려한 특별안전보건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최혁락,오태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4

        건설업은 타 산업 대비 재해율이 매우 높으며 안전관리자가 미선임 되는 공사금액 50억 미만의 중소규모의 건설현장의 경우에는 건설업 전체 재해율의 68%를 차지하고 있고 안전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이에 관한 관심이 필요하다. 따라서, 건설업의 재해율을 상당 부분 줄이기 위해서는 중소규모의 건설현장에 적합한 안전관리 및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초안전보건교육 제도와의 통합 운영을 통해 중소규모 건설현장에 적합한 특별안전보건교육 제도를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조사와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중소규모의 건설현장의 특별안전보건교육의 현황 및 개선점, 기초안전보건교육와의 통합에 대한 선호도가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