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조필규(Cho, Pil-Kyu),김은유(Kim, Eun-You) 한국토지공법학회 2020 土地公法硏究 Vol.90 No.-

        최근 도시정비사업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더불어, 주택가격 급등과 이를 막기 위한 부동산 정책이 강화되고 있다. 특히, 정부에서는 “소규모주택정비사업” 추진을 통해서 도심 내 주택공급과 노후 주거지의 주거환경을 위해서 “소규모주택정비법”을 제정하고, 동시에 도심 내 주택공급 활성화를 위해 각종 제도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개선의 특징을 보면, 주로 공공성 요건 충족 시 공기업의 공동시행자로서의 사업참여 허용, 확정지분제 도입, 저렴 주택공급, 난개발 방지 등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사업 추진과 사업대상지 조건 및 지원 등의 내용을 위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사업 초기에 공공성 확대와 사업확대를 지원하고 건축규제 완화를 통해 사업지원을 강화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향후 보다 효율적이고 추진 주체(주민)의 입장을 고려한 “소규모주택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소규모주택정비법” 제도개선을 시작으로 “소규모주택정비사업” 관련 타법의 제도개선 사항도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o the critical perception on the “Urban Improvement Project”, the real estate policies to prevent the skyrocketing housing prices and to restrict it has been strongly enforced. Especially, the government enacted the new law,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Un-occupied House or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in order to supply enough housing in the city-center and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old residential areas through the promotion of the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various institutional improvements for promoting housing supply in the inner city. Analyz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institutional improvements, it is mainly focused on the conditions and support for the project targets and the macroscopic point of view such as permitting business participation as a joint operator of public enterprise when the requirements of public purpose are met, introducing a defined equity system, supplying cheap housing, and preventing sprawling development. Of course, in the early stages of the polic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haracteristics as a public purpose and encourage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as well as strengthen project support by deregulation of constructions. However, in order to revitalize the “Small Housing Improvement Project” in consideration of effectiveness and the perspective of the principal subjects(residents)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the “Small Housing Improvement Act,” other institutional reforms related to the “Small Housing Improvement Project” should be also introduced further.

      • KCI등재

        소규모주택정비법의 체계정당성과 규범성에 관한 연구

        최용전,김남욱,김 명 엽,배명호 한국토지공법학회 2019 土地公法硏究 Vol.88 No.-

        저출산・고령화 영향과 구도심의 빈집 증가는 쓰레기 무단투기와 범죄발생 등 도시의 주거여건 악화를 야기하였으며, 장기적으로는 도시의 공동화와 인구소멸로 주거기능을 상실하게 될 우려가 있다. 구도심의 빈집 방치는 도시의 미관을 훼손하고 헌법상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여야 할 국가의 책무를 소홀히 할 뿐만 아니라 토지의 효율적인 활용 면에서 국가적인 손실로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기존의 「도시정비법」은 대규모 도시주거환경의 정비사업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어서 저소득층의 거주환경개선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017년 2월에 「소규모주택정비법」이 제정되어, 2018년 2월에 시행되었다.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대규모 정비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도입된 제도로서, 건축규제 완화, 사업 절차 간소화 등의 이점이 있다. 그러나, 소규모사업이다 보니, 높은 공사단가로 인한 사업추진비용 부담의 증가로 사업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최근 부동산 규제강화로 인하여 부동산시장이 냉각되면서, 사업 활성화의 동력이 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고,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을 활성화시키고자, 관련 법제도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법체계정당성의 측면에서, 「도시정비법」과 「소규모주택정비법」은 일반법과 특별법의 지위를 가지므로, 「소규모주택정비법」에서 소규모주택정비사업상의 특성을 반영하여 제도를 개선할 것을 제안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조합설립을 위한 임의기구로서의 추진위원회, 주민대표회의 또는 공공관리 강화 등을 고려해 볼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빈집의 정비・관리는 「소규모주택정비법」, 「농어촌정비법」 그리고 「건축물관리법」이라는 3개의 법이 해체나 철거의 처분권한과 처분절차에 관하여 대동소이한 대집행절차를 직접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법규정의 간소화차원에서 「행정조사법」과 「행정대집행법」을 준용하여도 되는 부분은 준용하도록 하고, 해당 법률상의 절차에 특별한 것만을 규율하여, 법령의 내용을 간략히 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빈집’ 혹은 ‘빈 건축물’에 관한 구체적인 규정이 가장 잘 정비되어 있는 「소규모주택정비법」을 기본법으로 보고, 필요한 부분은 「소규모주택정비법」을 준용하도록 법체계를 정비하는 것도 한 방편이다. 둘째, 세제 개선의 측면에서 자율주택정비사업과 빈집상속 등에 있어서 양도소득세를 비과세 혹은 감면하거나 해야 할 부분들을 제시하였으며, 「지방세법」상 빈집에 대한 재산세 과세합리화와 「지방세특례제한법」에 따른 취득세 감면대상 조정 및 조합원 분양분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제 적용 등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기타 개선방안으로는 소규모정비사업과 관련된 부담금(광역교통시설부담금) 감면범위, 보조금 지급의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Low birth rates, aging populations, and the increase of vacant homes in old towns have worsened the urban living conditions, including fly tipping and crime. In the long run, there is a fear that the housing function will be lost due to the urban empiness and depopulation. Negligence of unoccupied houses in the old city neglects the duty of the nation to create a constitutional pleasant living environment, and it is also a national loss due to the inefficient use of land. The existing Urban Redevelopment Act is mainly focused on the maintenance of large-scale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there is a lack of institutional support for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for low-income famili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mall-Scale House Improvement Act was enacted in February 2017 and was implemented in February 2018. The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was introduc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stly and time-consuming large-scale maintenance projects. It has the advantages of easing building regulations and simplifying business procedures. However, since the cost of construction is high because it is a small project, the business value is low due to an increase in business promotion cost. In addition, as the real estate market has cooled due to the recent tightening of real estate regulations, the driving force of business activation is falling. In order to improve this phenomenon and to revitalize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the relevant legal system will be analyzed and improvement plans will be proposed. First, in terms of the System Legitimacy, the Urban Improvement Act and the Small-Scale House Improvement Act have the status of general and special law.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o improve the system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ll-Scale House Improvement project in the Small-Scale House Improvement Act. As a specific example, it is suggested to consider the promotors’ committee as an arbitrary organiz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association, a residents representatives’ committee, strengthening public management system in improvement projects. And the improvement and management of unoccupied house has three Small-Scale House Improvement Act, the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Improvement Act, and the Building Management Act, which directly define similar the disposal rights and disposal procedures of vicarious execution. Therefore, in order to simplify the legisl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Act and the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Act be applied mutatis mutandis, and the contents of the legislation should be simplified by regulating only those specific to the legal procedures. In addition, the Small-Scale House Improvement Act, where the specific rules for 'unoccupied house' or 'unoccupied building' are best maintained, is considered the basic law. In some cases, the legal system is adapted to comply with the Small-Scale House Improvement Act. Second, in terms of taxation improvement, non-taxation, reduction, exemption and transfer of income tax is suggested in an autonomos housing improvement project and unoccupied housing inheritance. In addition, the taxation rationalization of property tax on unoccupied housing under the Local Tax Act, the reduction and exemption of acqusition tax under the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Act, and the application of VAT exemption on the units allocated to association members. Finally, other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to increase the scope of reduction and exemption from charges for the Metropolitan Transportation Facilities, subsidies for the Small-Scale House Improvement project.

      • KCI등재

        소규모주택정비사업 활성화 과제에 관한 연구 : 가로주택정비사업을 대상으로

        한상훈(Han, Sang Hoon) 대한부동산학회 2021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9 No.3

        소규모 주택 정비사업은 기존 도시 내부의 저층·불량주거지역에 대한 계획적 정비를 가능 하게 하는 제도이자 주민주도의 사업으로서 주민 개개인의 여건과 지역적 특성을 반영할 수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가로구역으로 둘러싸인 한정된 범위에서 정비사업이 추진 됨으로써 사업성 확보가 어렵다는 본질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소규모 주택 정비사업은 저소 득층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저층·고밀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경제적 여력이나 전문적 지식이 부족한 주민들 스스로 추진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어 공공의 다각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소규모 주택 정비사업에 관한 그동안의 정부 대책들의 당위성은 일부 인정된다. 그러나 그동안 정부대책들은 소규모 주택 정비사업을 통한 신규주택의 공급 촉진에만 집중된 반면 해당 사업지구의 주거환경개선과 같은 정비사업 본래의 목적달성을 위한 지원은 매우 부족하였다. 선행연구 결과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의 성공 여부는 주민들의 수요를 얼마나 충실하게 반영하여 해당 사업의 사업성을 확보하느냐에 달려 있다. 따라서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해당 사업지구의 특성에 가장 적합한 지원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소규모주택정비사업에 적용 가능한 지원방안별 사업성 시뮬레이션은 기존 가로주택정비사업에 보도 등 공공시설을 설치하여 추가로 용적률 등의 인센티브를 확보하는 경우 기존 가로주택정비사업과 비교하여 사업성이 분명히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앞으로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추진에 있어서 공공시설 확보를 전제로 하는 추가 인센티브 부여 방안은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사업성을 제고하는 한편 으로 사업에 따른 정비사업의 효과를 제고하는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has some merits to control and maintenance of the low and blighted and enables to consider personal condition of the residents and local characteristics from the planning perspectives. However, it has certain limitation for reserving necessary financial feasibility because of its spatial boundary established by the city block. In addition, most of the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are applied to the highly-densed low rise built-up district and it seems reasonable to provide public support in terms of the technical and financial assistance both in the establishment and running the project. However, various government policies were oriented for the provision of new housing throughout the promotion and vitalization of the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rather than to support those activities for achieving the promotion of living environment in the city. As we showed in the literature review, the success of the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depends on whether it could reserve necessary financial feasibility and satisfy the resident’s needs. Because of these reasons, it is important to find most adequate support method for project area for the promotion and vitalization of the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hows some scenarios for the simulation of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based on different incentives and we expect that these simulation methods could contribute to select the most appropriate project for the area.

      •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의 사업성 제고 방안

        김효훈(Hyo Hoon Kim),권대중(Dae Jung Kwon)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2021 부동산융복합연구 Vol.1 No.3

        소규모정비법은 난개발 및 대규모 개발사업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소규모주택의 공급활성화를 통한 주거 안정을 위해 시행되었지만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은 사업성 저하로 인하여 활성화 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중랑구 D·S 연립 가로주택정비사업 구역과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L맨션 소규모재건축구역을 대상으로 비례율 방식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사례와 결과를 토대로 사업성 향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아 이를 개선하여 사업성 제고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소규모주택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한 사업성 제고 방안으로 분양가 및 공사비 최적화, 시공자선정을 사업시행인가 이후 선정하여 공사비의 변동을 최소화, 체계적 사업비 관리시스템 적용으로 사업 기간의 단축을 통한 사업비 절감, 가로주택정비사업의 경우 층수 제한 완화를 통한 사업성 개선, 난개발 방지를 위한 지구단위계획 사전수립의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 Small-Scale Improvement Act was implemented to complement the problems of reckless and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and to stabilize housing through the supply of small-scale housing, but the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was not revitalized due to the decline in business feasibility.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in the proportional ratio method for the D·S row housing maintenance project area in Jungnang-gu, Seoul and the small-scale reconstruction area of L-mansion in Michuhol-gu, Incheon. Based on research cases and results, it found out factors affecting business feasibility and sought for ways to enhance business feasibility by improving them. In consequence, it presented the following ways to enhance the business feasibility to vitalize the small-scale home improvement project: Changes in construction costs should be minimized by optimizing the sale price and the construction cost and selecting a constructor after approval for project implementation. The project cost should be reduced by applying a systematic project cost management system and shortening the project period, and in the case of street housing maintenance projects, business feasibility should be enhanced by easing the limit on the number of floors, and district unit plans should be established in advance to prevent reckless development.

      • KCI우수등재

        서울시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의 개발특성에 관한 연구

        전주혜,김지엽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in Seoul and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To do this, 23 research sites were analyzed as site characteristics, planning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Major finding of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when implementing a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it is expected that a plan for securinginfrastructure in the block or above spatial unit is necessary. Second, it is expected that a separate incentive plan will be needed accordinglydepending on the use of buildings developed for each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Third, it is expected that additionalsupplementation of municipal ordinances related to Seoul will be neede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items to ease construction regulationsstipulated in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unoccupied house or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본 연구는 서울시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중 사업이 완료된 구역 23개소의 입지적, 건축적, 제도적 차원에서의 특성과 사업활성화를 위한 제도의 활용성 측면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지적 특성으로는 서울시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의 대상지는 대부분 제2종 일반주거지역에 입지하고 있으나, 가로주택정비사업과 자율주택정비사업의 사업 조건 차이 사업구역, 세대수 등 추가에 의해 자율주택정비사업이 가로주택정비사업보다 다양한 용도지역에서 추진되었으며, 자율주택정비사업의 경우 인동간격, 접도조건, 대지경사가 가로주택정비사업보다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었다. 계획적 특성으로 가로주택정비사업과 자율주택정비사업은 개발되는 건축물 용도의 차이로 인한 1층 용도, 건폐율 및 용적률, 층수, 공동이용시설 및 부대·복리시설, 세대당 주차대수 등 계획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었다. 자율주택정비사업의 경우 대상지 내 조경이나 공지가 대부분 확보되지 않았으며, 조경이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가로주택정비사업과 자율주택정비사업 모두 완충역할로만 계획되어 오픈스페이스는 확보되지 않고 있다. 또한, 세대당 주차대수가 1대에 못 미치고 있어 주차시설도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제도적 특성으로는 서울시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의 경우 서울시 조례에 의한 층수제한에 따라 용적률 상한 적용이 불가능하여 전반적으로 건축규제 완화를 적용받은 대상지가 미비하였다. 그러나, 사업기간은 대부분 단축되었으며, 공공의 사업비 융자 지원을 받아 사업을 진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를 통해 볼 때,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은 저층 주거지역 내 노후·불량주택의 정비를 통한 주택 공급에는 기여를 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현재 노후 저층주거지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점은 일조 및 프라이버시 침해, 오픈스페이스 및 기반시설, 주차시설 부족 등으로 지적되고 있는데(Hong, M. & Lee, S. 2010),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역시 기존의 저층주거지역의 문제점을 크게 개선하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 항목이나 제도도 일부 활용이 미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우수등재

        소규모주택 정비 방안 연구

        박기범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6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mall-scale housing, which has been constructed since the mid-1980s. Through an analysis of the evolution of small-scale housing, this study identified urban and architectural issues associated with existingstructures, as well as institutional barriers that hinder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In response, a comprehensive plan was proposed torevitalize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with a focus on increasing business feasibility and enhancing public appeal, including diverseusage options, street revitalization, and community recovery. To ensure the economic viability of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it isnecessary to revise the limitations on the floor area ratio. An analysis of virtual land indicated that the floor area ratio could be increased byup to 350%. However, it is recommended to restrict the application of increased floor area ratios to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within cityblocks, which can contribute to enhancing public appeal by incorporating underground parking facilities, mixed-use developments, andcommunity spaces. Additionally, cost reduction measures for underground parking installation were proposed, such as revising parking lotregulations and promoting joint construction initiatives involving the local government. The feasibility and public appeal of small-scalehousing improvement projects were proactively assessed through an analysis of comparable development cases. This study is expected toinform policy revisions and legislation for future revitalization efforts concerning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본 연구의 목적은 1980년대 중반 이후에 지어진 소규모주택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소규모주택의 변천에 대한 연구를 토대로 기존 소규모주택의 도시건축적 문제점을 찾아냈으며 소규모주택정비사업 추진의 장애 요인도 파악하였다. 연구는 소규모주택 정비 사업의 활성화 방안 뿐만 아니라 용도의 다양성, 가로활성화 그리고 커뮤니티 회복과 같은 공공성 증진 방안도 함께 제안하였다.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의 사업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용적률 상한 규정의 개정이 필요하다. 가상의 대지에 대한 분석은 용적률 상한을 350%까지 상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의 용적률 상향 대상을 지하 주차장 설치, 용도 혼합, 커뮤니티 공간의 확보 등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으로 제한할 것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지하 주차장 설치 비용을 줄이기 위해 주차장법 개정과 민관협력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소규모주택정비사업에 대한 사업성과 공공성은 유사 사례를 통해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마련이나 법규 개정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김종수 한국감정평가학회 2022 감정평가학논집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ssues related to the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and to discover improvements. A major problem is that the main participants such as unions lack driving capacities like business promotion conditions, expertise and so on. Second, the project is economically infeasible because of high taxes, miscellaneous charges, and high cost of construction. Third, there are fears of a potential mismatch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urthermore, there are concerns that there could be vacancies or unsold houses due to low social preference. Lastly, the related ordinance, which is a special law, is inadequate in terms of business implementation or promotion and support. One of the improvement plans is to increase the expertise of principle participants and to establish and distribute standard conventions. The second is the profitability provisio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verific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cost reasonableness and seek expense savings through joint bids for construction work. Also, concerning the construction charges or taxes for small-scale housing projects, the government should give an equal or higher level of grants compared to similar businesses. Third, businesses pursuing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hould be encouraged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related plans. Fourth,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preference of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differentiate each housing estate from others simultaneously. Fifth, related laws concerning the Small-scale Reconstruction Project, such as giving union member the status of grantee after the approval of the union establishment and claim for sale to local landowners, should be reorganized. Lastly, public support should be expanded to support initial project expense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 union. 본 연구는 소규모주택정비사업에 대하여 여러 쟁점에 관한 문제들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요 문제점으로는 첫째, 조합 등 사업 주체는 사업추진여건, 전문지식 등의 추진역량이 부족하다. 둘째, 시공비용이 높고, 각종 부담금 및 세금 등으로 경제성이 부족하다. 셋째, 주변환경과의 부조화가 우려된다. 넷째, 사회적 선호도가 낮아 공실, 미분양 등이 우려된다. 다섯째, 특례법인 해당 법령이 사업추진 및 지원 등에서 미흡한 규정이 있다.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사업 주체의 전문성을 높여야 하고, 표준정관 등의 작성 및 보급 등이 필요하다. 둘째, 경제성 제고이다. 특히 공사비용의 적정성 검증시스템 도입, 공동의 공사입찰로 공사비용 절감 등을 추구해야 한다. 또한,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의 부담금, 세금은 정비사업과 동등 이상의 특례를 부여하여야 한다. 셋째, 관련 계획과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주변환경과 조화로운 사업을 시행하여야 한다. 넷째, 근린환경의 선호도를 높이고, 개별주택단지만의 차별화를 추구해야 한다. 다섯째, 소규모재건축사업의 조합설립인가 후 양수자에 대한 조합원 지위 부여, 소규모재건축사업의 주택단지 외 지역 토지 등 소유자에 대한 매도청구 등 관련 법령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여섯째, 조합설립 등 초기사업비용에 대한 공공의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 KCI등재

        영국의 소규모주택 정비사업방식 및 계획기준 연구

        김건(Kim, K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8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9 No.5

        한국은 2000년 후반 세계금융위기를 겪으면서 도정법, 도촉법에 의해 추진되어오던 대규모 신규주택공급 사업계획들이 와해되는 상황을 맞게 되었고 그 수는 2012년 재개발, 재건축 일몰제와 조합해산신청제가 도입되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중앙정부는 2013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2018년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등을 차례로 도입하면서 소규모주택의 정비 및 공급을 장려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적절한 설계지침이나 안정적인 공급체계가 마련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영국에서 추진되고 있는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의 과정을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저층 주거지역에 적용 가능한 한국형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의 발전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시사점을 정리해보면 우선, 지자체별로 소규모 주택설계지침을 마련하여 이를 최적의 주거환경 확보를 유도하는 기준으로 활용해 볼 수 있다. 그리고, 개인과 공공사이에서 윤활유 역할을 하는 제 3섹터 조직들의 활동을 지원하는 제도적 장치를 설치하여 다양한 형태의 소규모주택 정비사업 추진을 장려할 수 있다. 또한, 우수 소규모주택 사례를 발굴하고 홍보함으로써 사업주체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공공의 설계지침을 준수할 수 있는 소규모주택 사업문화 조성도 필요하다. In South Korea, many large-scale housing projects has been revoked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the late 2000s. The introduction of the Sunset Clause in 2012 has facilitated the revocation process and led to the establishment of new national Acts to promote small-scale housing projects. However, the new Acts still remain declaratory without clear framework of housing design standards and its supply system. In this regard, this paper aims to gain an insight into how to develop the framework of small-scale housing redevelopment in Korea’s low-rise residental areas by analysing cases in the UK. The findings highlight each local authority needs to make an effort to create design standards on small-scale housing redevelopment to ensure good living conditions. There is also an emphasis on the state’s institutional supports that enable third sectors to join diverse types of small-scale housing development projects. Finally, it is suggested to create a new business environment that can encourage developers to comply with new framework of small-scale housing redevelopment by awarding and disseminating the best cases.

      • KCI등재

        자율주택정비사업 추진의 지역별 격차 분석

        김종근 한국지도학회 2021 한국지도학회지 Vol.21 No.1

        자율주택정비사업은 노후저층주거지 개량을 위한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의 유형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자율주택정비사업이 일부 지역에 편중되어 시행되는 점을 확인하고 현재까지 추진된 사업 세부내용의 지역별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사업추진의 지역차 가 발생하는 원인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접근방법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자율주택정비사업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자율주택정비사업 및 관련 분야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2018년 이후 준공된 전국 자율주택정비사업 추진현황 을 지역별로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사업 특성 중 사업면적, 사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업 소요기간이 지역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이론적으로 이러한 지역 격차는 중앙정부의 정책을 지방정부의 도시관리자가 실현하는 과정에서 지역에 내재한 제약과 행위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결과는 향후 자율주택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한 법령 등을 개정할 때 직접적이고 실증적인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As one of the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autonomous housing improvement project is planned for ameliorating or constructing a detached house or multi-household house.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compare the regional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autonomous housing improvement projects implemented in different regions, and to explore a proper approach that can explain what causes such regional difference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In order to do so, this paper review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 and studies prior research regarding the policy. Regional analysis on the completed projects that began since 2018 reveals that there are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in building area, the characteristics regarding project feasibility, and project duration. A theoretic approach for explaining such regional differences is that urban managers implement central government’s policy reflecting limitations and actions intrinsic to the region.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as empirical data when reforming the legislations regarding autonomous housing improvement project.

      • 소규모주택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한 공공지원 방안 연구

        장윤배,조하영 경기연구원 2019 정책연구 Vol.-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alternatives for activating the policy for renewal of deteriorated detached houses in Gyeonggi-Do. First, the law and policies were reviewed which are related to the governmental support for renewal of these houses.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Unoccupied House or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is to facilitate improving unoccupied houses and detached houses, and contents about funding, support for facilitating projects such as subsidies and loans, relaxing the building regulation are included in this act. In case of the New Deal Project for Urban Regeneration, utilization of the housing&urban fund is guaranteed for the renewal project of deteriorated detached houses. Second, support projects of local government and institutes were reviewed. Bucheon city in Gyeonggi-Do has been operating AtoZ team since 2016 and providing public services including feasibility analysis and safety diagnosis. SH corporation of Seoul supports the financial part by cooperating with HUG(Korea Housing&Urban Guarantee Corporation) and developed the own support model for decreasing the risk about unsold houses after the end of project. In addition, GICO of Gyeonggi-Do has been supporting feasibility analysis, and KAB(Korea Appraisal Board) has been operating support center to consult residents. In Gyeonggi-Do, currently, it is estimated that there are about 197 sites in which the old low-rise houses are concentrated. On the contrary,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planned for only 45 sites as the New Deal Proj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renewal projects actively for the small-sized sites which have the dense old low-rise houses. Even though GICO is one of the support organizations for housing maintenance, the role is limited to “th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in a City Block”. In case of “the Autonomous Housing Improvement Project”, KAB is in charge of that for the whole country. Accordingly, for facilitating urban regeneration of residential areas, the range of governmental support should be expanded at Gyeonggi-Do level. For example, connecting with private rental housing supported by government could be an alternative to this. Private organizations can be the main subject to supply the rental housing, and also the housing&urban fund can be utilized for this. Furthermore, supporting the consulting expanse is necessary for reinforcement of the role of GICO. Lastly, the operation form of GGURSC(Gyeonggi Urban Regeneration Support Center) should be changed as an independent corporation for facilitating urban regeneration and small-sized urban maintenance. If GGURSC could perform a role of support organization as an independent corporation, the promotion of projects and supply and maintenance of rental housing, management of urban regeneration can be activated by GGURSC more than n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