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음파검사에서 갑상샘 결절의 세침흡인세포검사 결과에 따른 분석

        곽종길(Jong-Gil Kwak),한재복(Jae-Bok Han),송종남(Jong-Nam Song),문일봉(Il-Bong Moon),최남길(Nam-Gil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5

        본 연구는 직장건강검진 수검자의 갑상샘 초음파 검사에서 발견된 결절 중 1 cm 보다 큰 결절이거나 초음파상 악성을 시사하는 경우의 세침흡인세포검사 결과를 1군으로, 결절의 크기와 상관없이 초음파상악성을 시사하는 경우의 세침흡인세포검사 결과를 2군으로 나누어 세침흡인세포검사가 필요한 결절 양상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1군에서 15.8%가 악성이었고 2군에서는 28%에서 악성으로 나왔다. 악성을 시사하는 소견은 양성과 악성 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결절의 크기가 1 cm 이상이지만 고위험 인자를 동반하지 않으면서 초음파검사 결과 스폰지(spongiform) 형태 소견을 보일 때에는 거의 대부분 양성이므로 세침흡인세포검사가 불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이러한 초음파 소견의 의미는 갑상샘 결절에 대한 세침흡인세포검사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된다. 현재 갑상샘 결절에 대한 세침흡인세포검사 시행은 결절의 크기가 1 cm 이상이면 스폰지 형태라도 환자의 불안감에 편승하여 행하여지는 경우가 흔하다. 그러나 양성과 악성 결절을 감별하는데 있어서 갑상샘 초음파 소견을 정확히 숙지한다면 불필요한 세침흡인세포검사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features of the nodules requiring a fine needle aspiration, which were found in thyroid ultrasonography of the employee health check-up examinees. Based on the fine needle aspiration results, over 1 cm nodules or those implying malignancy on the ultrasonography were categorized into the 1st group. Whereas, regardless of the size the fine needle aspiration results implying malignancy on the ultrasonography were categorized into the 2nd group. In the 1st group, 15.8% were malignant, and in the 2nd group, 28% were malignant. The findings implying malignan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even though the nodules were larger than 1 cm, when the nodules were not accompanied by a high risk factor and showed a spongiform structure in the ultrasonographic results, most of them were benign, and a fine needle aspiration was not required.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are important rationales in making a decision on whether or not a fine needle aspiration is required for thyroid nodules. Currently, the fine needle aspiration for thyroid nodules is commonly performed when the size of the nodule is larger than 1 cm, even though it has a spongiform structure, to relieve the patients anxiety. However, if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thyroid are correctly understood in differentiating malignant from benign nodules, unnecessary fine needle aspiration can be avoided.

      • 유방 종괴의 감별진단에서 이학적 검사시 시행한 유방초음파검사의 의의

        송영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9 忠北醫大學術誌 Vol.9 No.2

        연구목적: 만져지는 유방 종괴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외과 외래에서 이학적 검사와 동시에 시행하는 유방초음파검사의 진단적 가치와, 이 결과를 유방외과의가 어떻게 유방 종괴의 진단적 접근에 이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충북대학교병원 외과에 1997년 1월부터 1999년 8월까지 만져지는 유방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여 이학적 검사시 유방초음파검사(외래초음파검사)를 받고 조직학적으로 섬유선종 또는 유방암으로 최종진단된 여성환자 1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학적 검사, 외래초음파검사, 이학적 검사와 외래초음파검사의 종합적 판단(이학-초음파적 검사)의 결과를 최종진단에 따라 각 검사방법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세침흡인세포진검사의 진단적 가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초회의 검사에서 섬유선종 또는 유방암으로 세포진단된 예만을 대상으로 하여 최종진단과 비교하였다. 결과: 대상환자 130명 중 유방암은 52명에서 섬유선종은 78명에서 조직학적으로 진단되었다. 세 가지 임상적인 유방암 진단방법 가운데 민감도와 특이도, 그리고 정확도가 이학-초음파적 검사방법에서 각각 98.1%, 96.1%, 96.9%로 모두 가장 높았다. 이학적 검사는 각각 90.4%, 89.7%, 90.0%였으며 초음파검사는 각각 94.2%, 89.7%, 91.5%였다. McNemar chi-square 검정에서 최종진단과의 정확도가 유의하였던 검사법은 세 가지 가운데 아무 것도 없었다. 그러나 비율검정(analysis of proportion difference)을 이용하여 세 가지 진단방법의 정확도를 서로 비교한 결과, 이학-초음파적 검사는 이학적 검사, 초음파검사 각각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은 진단 정확도를 보였다(P<0.05). 그리고 초회의 세침흡인세포진검사에서 섬유선종 또는 유방암으로 세포진단을 내릴 수 있었던 경우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검사의 진단적 민감도는 96.9%, 특이도는 100%, 섬유선종으로 세포진단된 경우 섬유선종으로 최종 진단될 기대치는 100%였다. 결론: 만져지는 고형성 유방 종괴의 진단에서 이학적 검사와 동시에 유방초음파검사를 시행하여 내린 종합적인 임상진단은 높은 진단적 정확도를 보이며, 이를 토대로 한 초진에서의 선택적이고 적극적인 진단적 접근은 조기에 최종진단을 얻을 수 있기에 환자의 시간적 손실 그리고 시간 지체 동안의 심리적 불안감을 줄일 수 있어 유방외과의 외래에서는 초음파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학-초음파적 검사에서 양성으로 보이는 종괴는 세침흡인세포진검사에서 그 결과가 섬유선종이라고 특이적 세포진단이 내려진다면 안전하게 추적 관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virtues of the comprehensive diagnostic approach, engaging both physical examination and ultrasonogrphy simultaneously, in the evaluation of solid palpable breast masses were studied. Materials and Method: One hundred thirty patients with a palpable breast mass that were diagnosed histologically as fibroadenoma or breast cancer between January 1997 and August 1999 were included. The diagnostic values of physical examination, outpatient office-based ultrasonography, and physico-sonic examination which combines findings of physical examination and ultrasonogrphy were compared. Diagnostic values of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were calculated. Results: Fibroadenoma was diagnosed in 78 patients, while carcinoma was established in 52 patients histologically.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rate were 90.4%, 89.7%, and 90% for physical examination: 94.2%, 89.7%, and 91.5% for ultrasonography: 98.1%, 96.1%. and 91.5% for physico-sonoic examination, respectively. The diagnostic accuracy of physico-sonoic examin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hysical examination and ultrasonography (p<0.05). Specificit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or fibroadenoma diagnosed as fibroadenoma cytologically were all 100%.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simultaneous practice of both physical examination and outpatient office-based ultrasonogrphy is a useful method in evaluating breast masses. Benign masses confirmed cytologically as fibroadenoma could be followed up safely without further complicated diagnostic approaches.

      • 방사선에 노출된 환자에 발생한 갑상선결절의 세침흡인세포학적 소견

        임성철,구자봉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2002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7 No.2

        배경 : 두경부의 각종 질환치료에 사응되는 방사선 조사는 갑상선암종의 발생위험을 높이고, 여러 가지 세포학적 변화를 초래한다고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보고는 임상적, 방사선학적 및 병리학적 소견에 집중되고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의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세포학적소견을 절제생검된 조직과 연계하여 문헌고찰과함께 보고한다. 방법 : 세침흡인 세포검사는 초음파 유도하에 이루어졌고, 이어 시행된 절제 생검조직을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에 바탕하여 고찰하였다. 결과 : 환자는 55세 여자로 21개월전에 진단된 혀의 편평세포암종으로 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을 받았으며, 내원 14개월전에 치료를 마쳤다. 또한 환자는 영아기에 흉선비데가 있어 방사선치료를 받은 과거력이 있다. 환자는 화학요법후 최근에 발생된 갑상선 기능저하증을 제외하고는 특별한 이상소견 없이 잘 지내왔다. 최근 갑상선 좌엽의 결절이 발견되어 세침흡인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도말상 군집을 이루거나, 산재된 갑상선 여포세포들이 심한 세포학적 이형성을 보이며 관찰되었으나, 유사분열이나, 괴사의 소견은 없었다. 결론 : 세포학적 소견이 방사선조사에 의한 것에 부합되지만 여포병변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서 갑상선 전절제술을 시행하였는데, 피막에 잘 싸여진 여포선종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갑상선 전체에서 관찰되는 상피세포의 이형성은 악성변화와는 무관하며 방사선조사효과에 부합된다고 판단하였다. BACKGROUND. It is well known that any kind of radiation used to treat benign or malignant conditions in the head and neck area results in an increased risk of thyroid cancer and a cytomorphologic changes. Most of the reports have been described the clinical, radiolog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but cytology of FNA has not. In the current study the authors report the cytologic findings in FNA specimens with literature review and attempt to correlate the cytologic features with the excisional biopsy findings. METHODS. FNA was performed with ultrasound guidance. Corresponding subsequent excisional biopsy tissue was reviewed in conjunction with the cytologic findings. RESULTS. A case of FNA cytologic atypia of the thyroid gland in radiation exposed patient. She is 55-year-old with history of a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tongue, diagnosed in 21 months ago, and underwent chemotherapy, followed by radiation therapy, which was completed in 14 months ago. She also has a history of thymus enlargement in infancy, which was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She has done well since chemotherapy except most recently developed hypothyroidism. She was found to have a left lobe thyroid nodule for which she has undergone fine needle aspiration. Smears showed clusters as well as scattered thyroid follicular cells with marked cytologic atypia. Areas with microfollicular arrangement and colloid were present. There was no evidence of mitosis or necrosis. CONCLUSION. Although the findings were compatible with radiation changes, the possibility of an underlying follicular lesion could not be excluded. She underwent total thyroidectomy and showed well-encapsulated follicular adenoma. The entire thyroid contained epithelial atypia consistent with radiation therapy effect.

      • 세침흡인 세포검사로 진단된 폐 선암 2예 : 양성병변과의 감별에 대한 고찰

        정화숙,이건국,송형근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6 忠北醫大學術誌 Vol.6 No.1

        경피적 세침흡인 세포검사는 수술전 진단방법의 하나로 환자에게 큰 부담이 되지 않으며, 비교적 빠르고, 정확하고, 값이 싼 검사로, 최근에 보편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세포학적 소견만으로는 감별진단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있어 가끔 오진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폐 선암의 진단시 감별해야할 병변으로 반응성 혹은 화생성 상피변화, 선종, 이형성 선종성 증식, 중피종 및 유암종과 그 외에 전이성 선암 등이 있다. 저자들은 건강진단 검사상 우연히 발견된 폐 종괴의 세침흡인검사를 진단시, 양성병변, 특히 유암종(carcinoid tumor) 및 반응성 상피변화와의 감별이 어려웠던 폐 선암 2예를 경험하였기에 일반적 폐 선암의 세포학적 특징에 대한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ercutaneous fine-needle aspiration cytology is a well-established diagnostic tool, because it provides an accurate assessment with minimal morbidity, mortality, and cost. Sometimes,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denocarcinoma of the lung is difficult and then misdiagnosed. The differential diagnosis includes reactive and metaplastic epithelial changes, adenoma, atypical adenomatous hyperplasia, carcinoid, mesothelioma and metastatic adenocarcinoma from extrapulmonary sites. Here, We present two cases of pulmonary adenocarcinoma resembling benign lesion in 55-year-old and 59-year-old women of which cytologic feature mimiked those of carcinoid and reactive epithelial changes, respectively.

      • 성인여성에서 발생한 유방의 분비성 암종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 - 1예 보고 -

        김나래,고영혜,오영륜,Kim, Na-Rae,Ko, Young-Hyeh,Oh, Young-Lyun The Korean Society for Cytopathology 2000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11 No.1

        유방의 분비성 암종은 관 기원으로 통상의 침윤성 관암종보다 예후가 좋은 드문 종양이다. 현재까지 분비성 암종에 대한 세침흡인 세포검사의 세포학적 소견에 대해 보고한 영문보고는 소수이며 국내에는 단 1예의 보고가 있다. 최근 저자들은 세침흡인 세포검사로 진단한 유방의 분비성 암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한다. 세포학적 소견은 약호산성의 분비성 물질로 이루어진 배경에 종양세포들이 판상구조를 보이며 개개로 떨어지는 세포는 거의 없었다. 레이스양 세포질의 다공성 변화는 간혹 반지 양 모양을 이루기도 하여 분비성 암종에 합당하였다. 본 증례에서 알 수 있듯이 분비성 도말 배경과 점액으로 채워진 소낭성 공간 및 간혹 관찰할 수 있는 관상피세포의 이형성은 유방의 드문 종양인 분비성 암종의 정확한 세포학적 진단에 매우 유용한 소견이다. Secretory carcinoma of the breast is a rare tumor of the ductal origin with a more favorable prognosis than the conventional ductal carcinoma.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are a few reports on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NAC) of secretory carcinoma in the English literature and one in the Korean literature.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secretory carcinoma of the breast performed by FNAC. The cytologic smears revealed several clusters and sheets of cohesive neoplastic cells in eosinophilic secretory background. Individually scattered cells were rarely found. Intracytoplasmic vacuolization and occasional signet rung cells with lacy cytoplasm were detected. To make the diagnosis and differentiation of this rare, tumor, an identification of the secretory background and microcystic spaces filled with bluish mucin and occasional nuclear atypism of tumor cells is crucial.

      • 갑상선 촉지 종괴에서 시행한 세침흡인세포검사법, 동결절편검사법 및 초음파검사법의 진단적 유용성

        이병길(Byoung Kil Lee),정성후(Sung Hoo Jung)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02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18 No.2

        Objectives: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diagnostic efficacy of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NA), frozen section biopsy (FSx) and ultrasonography in a palpable thyroid mass. Materials and Methods: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999 to March 2002, the medical records of 98 patients who underwent a thyroidectomy for thyroid mass,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Ninety eight cas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FNA cytological diagnosis inadequate, benign, suspicious, or malignant and the FSx diagnosis benign or malignant and the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was benign, suspicious, or malignant. The diagnostic correlations of ultrasonography, FNA cytology, frozen section, and both FNA cytology and frozen section with definite histologic diagnosis were evaluated. Results: According to the FNA cytological interpretation, 76 cases were diagnosed as benign, 6 cases suspicious, 13 cases malignant, and 3 cases inadequat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FNA were 86.3% and 95.9% and for FSx 95.5% and 100% respectively. The diagnostic accuracy of FNA and FSx were 93.5% and 98.9% respectively. Based on a definite histologic diagnosis, the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had a sensitivity and a specificity of 77.2% and 78.9%. Conclusion: The results confirm that FNA cytology is a reliable and useful tool in the initial evaluation of a palpable thyroid mass compared to the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Intraoperative FSx is a valuable diagnostic procedure to confirm the cytological diagnosis with undetermined or unsatisfactory cytological diagnosis.

      • KCI등재후보

        갑상선 우연종에서 초음파 유도하의 세포검사: 병리 소견과의 비교

        남궁일성,김하영,공경엽,이호규,홍석준,김원배,송영기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03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3 No.2

        Purpose: There are many reports that diagnostic accuracy of fine needle aspiration (FNA) of thyroid is improved with ultrasound guidance, especially for impalpable nodules. Despite its general acceptance, routine use of ultrasound 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USGFNA) has been the source of much controversy due to the lack of large-scale studies and lack of data on the natural course of well-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of small size. Method: The aim of our study was to define the rate of malignancy in relatively large numbers of patients with incidentally detected impalpable thyroid nodules and to assess the extent of disease in patients with suspicious or malignant cytology on USGFNA of thyroid nodules by surgery.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e 267 patients who underwent USGFNA of incidental thyroid nodules from January 2000 through December 2001. Results: Three hundred and seventeen nodules from 267 patients were aspirated. The average size of nodules was 0.9⁑0.3 cm, a range of 0.2 cm to 1.5 cm. All 317 lesions were impalpable. Cytological diagnosis included 101 inadequate specimen (32%), 139 benign (44%), 29 indeterminate (9%), 4 suspicious of follicular or Hrthle cell neoplasm (1%), 42 papillary carcinoma (13%), and 2 others. The size of the nodule was not related to the probability of getting an adequate specimen for cytological diagnosis. Forty of 48 patients with suspicious or malignant cytology underwent surgery. All 35 patients with a cytological diagnosis of papillary carcinoma were confirmed to have papillary carcinoma on histological results. One of 3 patients with a cytological diagnosis of follicular neoplasm had a follicular carcinoma. In 36 patients with well-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extrathyroidal extension was observed in 44% (16/36),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was found in 50% (18/36), and multifocal tumors were found in 39% (14/36). Conclusion: The rate of malignancy in incidentally detected impalpable thyroid nodules was 12% in retrospective analysis of our patients. Among those, 69% (25/36) of patients had either extrathyroidal extension or regional node involvement and 39% had multifocal tumors at surgery. This suggests that the small size itself could not guarantee a good prognosis in incidentally found thyroid cancers. USGFNA is a useful diagnostic method in those patients. (Korean J Endocrine Surg 2003;3:127-135) 목적: 갑상선 결절의 세포검사시 초음파 유도는 진단적 정확도를 높혀주며 특히 촉진되지 않는 결절의 경우는 실제 검사를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그러나 촉진되지 않는 작은 결절에서 실제 일상적으로 초음파 유도하에 세포검사를 할 필요가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며 이는 작은 크기의 갑상선암의 자연경과가 아직 분명하지 않는 것에도 원인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은 촉진되지 않는 갑상선 우연종에서 갑상선암의 빈도를 알아보고 이를 수술하여 병리학적인 병변의 범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0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초음파유도하에 세포검사를 받은 갑상선 우연종 환자 267명의 기록을 확인하였다. 결과: 267명에서 317개의 촉진되지 않는 결절을 대상으로 초음파 유도하에 세포검사를 시행하였다. 결절의 평균 크기는 0.9 cm이었고 0.2 cm에서 1.5 cm 사이의 크기였으며 모든 317개의 결절이 촉진되지 않았다. 세포검사 결과로는 139명(44%)에서 양성, 29명(9%)에서 중간형, 4명(1%)에서 여포성 종양, 41명(13%)에서 유두선암, 2명에서 기타의 악성종양의 소견이었고 101명(32%)은 검체가 적절하지 못하였다. 결절의 크기는 세포검사에서 적절한 검체를 얻는 것과 관계없었다. 악성으로 진단되거나 의심스러운 48명 중 40명에서 수술이 시행되었으며 세포검사상 유두선암으로 진단되었던 35명은 전원 유두선암으로 확진되었고 세포검사상 여포성 종양으로 진단되었던 3명중 1명에 여포선암을 가지고 있었다. 분화된 갑상선암 36명중 갑상선 피막외로 침윤을 보인 경우는 16명(44%), 국소 림프절 전이를 동반한 경우는 18명(50%) 다발성 병소를 지는 경우는 14명(39%)이었다. 결론: 저자들의 후향적 연구결과 촉진되지 않는 갑상선 우연종에서 악성의 빈도는 12%였다. 이중 69% (25/36)는 수술결 과 갑상선 피막외 침윤, 국소 림프절 전이 또는 다발성 병소 등의 소견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우너발 병소의 크기가 작아도 우연히 발견된 갑상선암이 항상 좋은 예후를 보인다고 말하기 어렵게 한다. (Korean J Endocrine Surg 2003;3: 127-135)

      • KCI등재후보

        갑상선 여포증식성 병변의 세침흡인 세포검사

        홍순원,Soon Won Hong,M,D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08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8 No.3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follicular proliferative lesions is sometimes very difficult because these types of lesions share common morphological features. Due to this, even the histological diagnosis of these lesions is also difficult or impossible. Bearing this in mind, some helpful diagnostic methods of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will be discussed. <B>(Ko</B><B>rean J Endocrine Surg 2008;8:159-166)</B>

      • KCI등재후보

        갑상선 결절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세침흡인세포검사의 진단적 유용도

        김형주,정파종,Hyoung-Ju Kim,M,D,and Pa Jong Jung,M,D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01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1 No.1

        Purpose: Fine-needle aspiration cytology (FNA) and Frozen section biopsy (FS) have been used to distinguish benign lesions from malignancies and for deciding the extent of operative procedures to be used in the management of thyroid nodules. We performed this study in order to determine the diagnostic value of FNA, the need for FS in intraoperative procedures, and their value in deciding the extent of surgery.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365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undergone surgery for thyroid nodules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Hanyang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 1996 and Dec. 1998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Both FNA and FS were performed on all patients who underwent thyroid surgery during this period. Among these, 35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insufficient for diagnosis by FNA were excluded. Results: Definitive histopathological diagnosis revealed benign lesions in 232 patients and malignancies in 98. A borderline group consisted of patients whose specimens were interpreted as follicular neoplasms by FNA and FS. The overall results for FNA and FS were as follows: sensitivity, 98 versus 100; specificity 97 versus 99; and diagnostic accuracy, 97 versus 99%. Fiv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benign lesions by FNA were rediagnosed by FS as having malignant lesions. The final diagnosis was papillary carcinoma. Of the 45 patients who were interpreted borderline by FNA, 7 patients had benign lesions and 38 were borderline by FS. Finally, 34 patients were diagnosed as having benign lesions and 11 as having malignancies. Conclusion: FNA has a high diagnostic accuracy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thyroid nodules. FS may be unnecessary for patients whose FNA results indicate malignancy, particularly in cases of papillary carcinoma, therefore the routine use of FS for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as having a papillary carcinoma by FNA may be omitted. If FNA results are borderline, FS may be helpful in confirming a follicular neoplasm. If FNA indicates a benign status, FS seems to be necessary to decide the extent of surgery. (Korean J Endocrine Surg 2001;1:73-77)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