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4년 개편된 국가유산법제와 유네스코 체계의 정합성 -국가유산⋅세계유산⋅문화유산⋅자연유산⋅무형유산의 개념을 중심으로-

        석광현 국제거래법학회 2024 國際去來法硏究 Vol.33 No.1

        대한민국은 1962년 문화재보호법 제정 이래로 유지된 문화재 정책의 한계를 극복하고, 변화된 정책 환경과 유네스코 등 국제기준과 연계하기 위해 재화적 성격이 강한 ‘문화재(文化財)’ 명칭을 ‘국가유산’으로 바꾸고, ‘국가유산’을 ‘문화유산’, ‘자연유산’, ‘무형유산’으로 구분하여 각 유산별 특성에 맞는 관리체계를 구축하였는데, 이 신 국가유산법제(“신법제”)는 2024. 5. 17.부터 시행되었다. 이 글에서는 신법제의 배경과 주요 내용(Ⅱ.)에 이어, 신법제의 전반적인 문제점으로 세계ㆍ문화ㆍ자연ㆍ무형 유산 개념의 일원화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 방향(Ⅲ.)을 소개하고, 이어서 국가유산기본법과 개별 법률들(세계유산법, 문화유산법, 자연유산법과 무형유산법)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Ⅳ.-Ⅷ.) 및 유네스코협약 이행방법 간의 정합성(Ⅸ.)을 논의한 뒤 맺음말: 신법제의 개선 방향 정리(Ⅹ.)로 마무리한다. 이 글에서 다루는 주요 쟁점은 아래와 같다. 국가유산, 문화유산, 자연유산과 무형유산은 한국적 유산에 한정되는가. 국가유산기본법ㆍ자연유산법은 자연유산을 문화적 유산이라고 정의하나 이를 자연물과, 인간의 활동과 자연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조성된 ‘유산’이라는 취지로 수정할 필요가 있다. 신법제상 세계유산, 문화유산, 자연유산과 무형유산의 개념이 국제협약의 그것과 다른 것은 불가피하다. 그러나 국내법이 유산 개념을 일원화한 것은 문제가 있다. 세계유산법이 세계유산 개념을 일원화한 것은 정당하나 협약에 따르지 않고 독자적으로 정의한 것은 의문이다. 문화유산법과 자연유산법의 경우는 이행법률이 아니므로 일원화는 원칙적으로 문제가 없다. 이행법률의 성격과 한국 무형유산법이라는 이중적 성질을 가지는 무형유산법의 경우 무형유산 개념을 이행법률 영역에서는 협약의 개념을 따르고, 한국 무형유산법 영역에서는 독자적 개념을 사용하는 식으로 이원화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한국이 가입한 3개 유네스코협약들(1970년 협약, 세계유산협약과 무형문화유산협약)의 이행방법 간에 정합성을 논의한다. 세계유산법은 이행법률의 성격을 비교적 명확히 하고 있으나, 문화유산법과 자연유산법은 이행법률이 아니고, 무형유산법은 이행법률로서는 불충분하다. 한편 1970년 협약은 국가유산기본법이 이행하고 있는데, ‘문화재의 불법거래 방지와 직접 관련된 의무’를 규정한 1970년 협약(제7조)을 이행하는 국가유산기본법 제30조는 개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30조에서는 1970년 협약에 충실하게 외국문화재라는 개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법제에서 ‘문화재’라는 용어를 완전히 버릴 이유는 없다. In order to overcome limitations of the cultural property policy that had been maintained since the enactment of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in 1962, and to align with the changed policy environment and international standards established by UNESCO, the Republic of Korea substituted ‘national heritage’ for ‘cultural property’, term of property nature, and divided ‘national heritage’ into ‘cultural heritage’, ‘natural heritage’, and ‘intangible heritage’ to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tegory of heritage. This new national heritage law regime (“New Regime”) took effect as of May 17, 2024. This article discusses the following: the background and main contents of the New Regime (Section Ⅱ), the overall problems of the New Regime due to the unification of the concepts of world, cultural, natural, and intangible heritage under Korean law an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Section Ⅲ), followed by the problems and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Heritage and individual heritage laws, i.e., the World Heritage Act, the Cultural Heritage Act, the Natural Heritage Act, and the Intangible Heritage Act (Sections Ⅳ to Ⅷ), consistency between the methods of implementation of the UNESCO’s conventions in Korea (Section Ⅸ), and finally the concluding remarks: summary of directions of improvement of the New Regime (Section Ⅹ). The main issues this article deals with are as follows: Are national heritage, cultural heritage, natural heritage, and intangible heritage limited to Korean heritage? While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Heritage and the Natural Heritage Act define natural heritage as cultural heritage, this needs to be revised as it is not cultural heritage. It is inevitable that the concepts of world heritage, cultural heritage, natural heritage, and intangible heritage under the New Regime differ from those in the relevant UNESCO conventions. However, there is a problem with the use of a single concept of heritage in the individual Heritage Acts. While it is justified for the World Heritage Act to unify the concept of world heritage, it is wrong to define it independently of, rather than in accordance with,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i.e., 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In the case of the Cultural Heritage Act and the Natural Heritage Act, since they are not implementing acts, there is no problem in principle with unification. In the case of the Intangible Heritage Act, which has the dual nature of being an implementing act and the Korean law on intangible heritage, there is a need to dualize the concept: the concept of intangible heritage needs to follow the concept in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the area of ​​implementing act and use an independent concept in the area of ​​Korean intangible heritage act. Lastly, the article discusses the consistency between the implementation methods of the three UNESCO conventions which Korea has joined (the 1970 Convention, i.e., Convention on the Means of Prohibiting and Preventing the Illicit Import, Export and Transfer of Ownership of Cultural Property,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and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nvention). While the World Heritage Act makes its nature of implementing act relatively clear, the Cultural Heritage Act and the Natural Heritage Act are not implementing acts, and the Intangible Heritage Act is insufficient as implementing act. The 1970 Convention is implemented by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Heritage, and its Article 30, which implements Article 7 of the 1970 Convention providing for a duty to act against the illicit trafficking of cultural property needs to be revised.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use in Article 30, the concept of foreign cultural property in accordance with the 1970 Convention. There is no reason to...

      • KCI등재

        무형문화조사사업의 의미와 아리랑유산 지정

        이창식 한국민요학회 2012 한국민요학 Vol.36 No.-

        Now the center of a war of cultures appears to be placed on the Arirang. Review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of Arirang and received a positive assessment of the reassignment of UNESCO. The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been proven to be. Verification is at the heart of the Korean Arirang’s tradition and identity can be said to retool for the strengthening of. Therefore, you should review the regional aspect of the Arirang again. Arirang'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not an asset of a particular individual KoreansJoint assets. This gave us as heritage of the locality, the universality,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current surname. New aspects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 checking for the Arirang more desirable method of succession would have to be started. In particular, details on the verification measures are needed. In this respect, the current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arried out in the “national archives on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nline all survey” ICHPEDIA when a proper business. So far, the discussion has never been more popular and cultural properties preservation as dropouts from measures provided. Participating researchers to build a service that is equally valuable, saying archive. Arirang’s case lies in the full Edition and distribution through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phases. In addition, in the course of history, Arirang’s sound punishment, a succession of organizations, communities, local authorities, inventorying, etc. seems to participate. Just in the course of the intangible, the lack of expression of the limits that, due to the condition of the missing, including the context of judging authenticity, turned out to be fossilized. Complement and follow-up action is necessary. The ICHPEDIA is an extension of the project by expanding the discussion in seven different proposals were presented. 아리랑 자체가 세계무형문화유산 목록으로 등재되었다. 아리랑은 문화전쟁의 중심에 있는 듯하다. 아리랑의 무형문화재의 재검토 및 전승과정은 유네스코의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등재와 관련하여 세계무형문화유산의 입증은 쉽지 않았다. 아리랑은 한민족의 공동체적 자산이듯 아리랑유산의 지역성, 보편성, 현재성을 고려해야 한다. 문화재청 차원에서 문화재형 아리랑유산의 새로운 전승양상에 대한 국가문화재 지정 과제, 전승집단의 현지적 점검과 보다 바람직한 전승 방법을 지속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이 글은 아리랑 세부항목 관리를 고려하여 아카이브 구축의 문제점을 살폈다. 문화재청에서 시행하였던 ‘2010~2012년 국립무형유산원 아카이브와 무형유산 온라인 전수조사’는 시의적절한 사업이다. 아카이브 구축과 앞으로 시행하게 될 서비스 자체는 값진 일이고 앞으로 무형유산 관리에서 매우 긴요하다. 온라인 전수조사에서 예비목록 확보와 대중적 소통 및 문화재적 보존책까지 마련할 가능성이 찾아진 점이다. 아카이브 구축으로 아리랑과 같은 세부항목에 대한 분포, 현재상황, 전승주체 등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특히 조사된 아리랑 사례만 보아도 전체 판도와 분포 속에 무형문화재로서 위상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기록 과정에서 아리랑소리꾼, 전승단체, 전승공동체, 지자체 등 참여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보인다. 전북대에서 시행한 이치피디아(ICHPEDIA) 작업의 조사와 수록 진행과정에서 무형문화유산의 한계, 문제의식의 부족, 프로젝트 조건 때문에 누락, 현장 결여, 진위 판정, 화석화된 문맥, 세부항목의 오류 기술 등을 노출하였다. 이는 보강과 후속 과업이 필요한 까닭이기도 하다. 이번 전수조사로 보면, 아리랑에 대한 계승과 더 바람직 방법을 확인하고 문화유산 관리에 더 많은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더구나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지속적인 관리와 추가 조사가 있어야 할 것이다. 향후 무형유산 아리랑과 같은 무형유산 세부목록을 위한 과제를 일곱 가지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지식재산권법적 접근과 경계의 변화 검토-보호대상 비교와 분쟁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서재권 국립무형유산원 2022 무형유산 Vol.- No.12

        While bot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intellectual property derived from humankind’s intellectual efforts, the approaches for safeguarding or protec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how much difference. Emphasizing the role of indigenous communities, groups, and individuals, the UNESCO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cognize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elps to enrich cultural diversity and human creativity. However, it limits its application to the extent not affecting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States Party deriving from any international agreement relating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uch as Paris Convention, Berne Convention and TRIPs. Meanwhile, WIPO also has tried to protec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IGC. Though the legal frameworks of intellectual property are internationally standardized, the conflicts between developed countries and developing countries have persisted in defining traditional knowledge and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and deciding the methods giving legal effect on them. This article compares the subject matter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and the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And it further reviews cases of intellectual property conflicts on traditional knowledge, traditional patterns, traditional dance, traditional tales, and trademark of the community’s name. The results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ntellectual property conflicting wit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e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kinds of legal disputes. This is partly due to the absence of a compelling international agreement on the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cently both UNESCO and WIPO have been taking a more flexible attitude to solve these problems. UNESCO recommends applic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to safeguar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its directives. WIPO also considers new approaches deviating from basic principles like non-formality rule for the protection of copyrighted work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related authority of Korea consider a more flexible approach such as introducing Formality rule or differentiating protection period to protec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ffectively. 무형문화유산과 지식재산권은 모두 인간의 지적 활동으로 생성되었다는 점과 인류의 삶을 풍요롭게 가꾸어 나가는 데 일조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지만, 무형문화유산은 공적 개념으로 접근하는 반면, 지식재산권은 배타적인 사적(私的) 권리 개념으로 접근하고 있어서 권리의 생성, 행사, 구제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국제협약에서 도드라지게 나타난다. UNESCO 무형문화유산협약에서는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공동체 또는 국제사회에서 무형문화유산을 존중할 것을 요구하면서도 지식재산권 또는 생물학·생태학적 자원의 이용에 관한 국제 문서에 따른 당사국의 권리와 의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무형문화유산과 결부된 지식재산권과의 관계가 법률적으로 해결되기 어렵다는 것을 방증한다. 한편 WIPO에서의 고민은 조금 다르게 나타난다. 지식재산권 제도는 국제적으로 통일되어 있고 더욱이 WTO의 부속협정으로 포함되어 있어서 집행력도 다른 조약에 비해 강하다. 이 때문에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지식재산권법적 보호를 논의할 때 보호대상과 보호방법을 정하는 데 회원국간 갈등이 좁혀지지 않았다. 최근에는 두 기구 모두 과거보다 발전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UNESCO는 운영지침을 통해 무형문화유산의 지식재산권법적 접근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고, WIPO는 전통적인 지식재산권 제도의 틀에서 벗어나 보호대상과 보호방식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한편 현실에서는 무형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지식재산권법적 분쟁이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전통지식, 전통문양, 전통무용, 전통설화, 고유명칭에 관한 분쟁사례를 검토하였는데, 무형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지식재산권법적 분쟁의 특성과 해결 과정은 유형문화재를 대상으로 한 분쟁과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메타버스 등 디지털 전환 시대에는 무형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콘텐츠의 창작과 유통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무형문화유산은 전통 공연이나 의식을 그대로 실연하는 것뿐만 아니라 현대 적 의미로 재해석하거나 새로운 창작의 원천으로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지식재산권과의 접점은 더욱 확대 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될 당시부터 무형문화재를 보호대상으로 하고 제도를 발전시켜 오고 있으나 지식재산권법의 접근에 대해서는 여전히 국제사회에서 논의되는 쟁점과 방향을 주시하는 입장으로 보인다. 최근 무형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대중문화 콘텐츠의 성공사례를 고려하면 지식재산권법적 보호가 가능한 무형문화유산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전통적인 지식재산권법 체계에서 벗어나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WIPO보다 더욱 유연한 접근을 하나의 정책 방향으로 마련해 둘 필요가 있다. 무형문화유산 유형별로 방식주의를 도입하거나 보호기간을 차별하여 저작권법적 보호를 꾀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 하다. 이러한 고민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문화환경에서 우리 무형문화유산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것에 더불어 문화강국으로서 국제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 KCI등재

        한국음식의 세계무형문화유산 등재전략에 관한 연구

        김은희,이광옥,이웅규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5

        본 연구는 지중해·멕시코·프랑스 등 세 지역의 음식 문화가 유네스코가 선정하는 세계무형문화유산에 일제히 등재되면서 "먹는 문화"에 대한 관한 관심이 고조된 것을 계기로 한국음식의 세계무형문화유산 등재전략을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음식문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올라간 것은 이번이 처음이기 때문에 각국의 음식문화의 문화유산 등재전략에 대한 사례분석을 하고 있다. 음식 자체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이들 지역은 식재료를 얻는 방법, 요리법 전수 방식, 식사법, 요리에 대한 전설 등을 아우르는 음식 문화 전반을 올려서 등재가 된 것을 계기로 음식문화를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올리기 위한 각국의 경쟁은 한층 더 가열될 전망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무형문화유산 등재관련 선행연구에서 지적한 무형문화유산 관련 법의 제정과 정부 및 민간의 지속적인 관심 등을 중심으로 한국 음식문화의 유구한 역사와 철학, 그리고 풍부한 이야깃거리를 지니고 있는 한국음식의 세계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외국의 선행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진행되는 세계 각국의 음식문화전쟁에 임할 구체적인 전략을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가장 중요한 것은 등재 추진국가의 사례분석결과에서처럼 철저한 사전조사와 전략적인 접근, 그리고 대폭적인 정부지원과 전국민적인 관심이라는 점이다. 이제 시작된 음식문화전쟁을 고려할 때 앞으로 정부의 높은 관심과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더욱더 적극적이고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구체적인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해당 음식에 대한 발 빠른 문화재 지정 등 국가의 지원이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French, Mediterranean, and Mexican cuisines were added to the list of the UNESCO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aly, Spain, Greece and Morocco jointly applied for Mediterranean cuisine. Thoug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cludes oral culture, cultural festivals, and traditional music and dance, this was the first time for food culture to be selected. Since cuisine itself cannot be put on the list, the countries focused on procuring food resources, table manners and setting, or cuisine-related stories. This research was installed to raise people's pride and interest in cultural heritage and conservation as well as to promote the registration as a heritage. This study method consists of literary investigation and case analysis. Literary investigation includes theses on regional newspaper articles, food management books, culture and society books, investigation data and publications of related agencies, etc. Through the theoretical and case study on the Korean food for registration of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result was obtained as follows. First, to analysis the identity of Korean food. Second, to raise the public's consciousness on the Korean food. Third, to assign a national policy projects. Fourth, to promote making a law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inally, to revitalize the seminar and festivals for the registration of world cultural heritage in the Korean food. Korean food development needs to be connected with the registration of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which the potential energy of Korean food will possibly be discovered and redefined.

      • KCI등재

        판소리의 유네스코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 경위와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

        최동현(Tong hyon Choe) 판소리학회 2023 판소리연구 Vol.56 No.-

        이 논문은 판소리가 유네스코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Proclamation of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에 선정된 경위와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에 대해 정리하고자 집필되었다. 2008년 6월 무형문화유산 당사국 총회에서는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협약 운영 지침’이 제정되었다. 이 지침은 총 3장으로 되어 있는바, 긴급보호목록(Urgent Safeguarding List)과 대표목록(Representative List) 등재 절차, 기금과 국제기금, 협약에 참가한 기관 및 단체 등을 자세하게 규정하였다. 이에 따라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 사업이 시작되었다. 그 경위는 다음과 같다. 2000년 10월 17일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정식 신청 종목 한 종목과 잠정목록 5종’을 선정하였다. 이에 앞서 ‘사단법인 유네스코 순천협회’ 이태호 회장은 2000년 7월 <건의서 - 무형문화재 구전문화(판소리), UNESCO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위한 사업계획(안)>을 만들었다. ‘유네스코연맹 전북협회’(회장 윤석길)에서도 2000년 9월 14일 ‘걸작 등록 추진에 따른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2000년 10월에는 남원에서 ‘유네스코 한국위원회’가 주최하는 ‘무형문화재 보존을 위한 워크숍’을 개최했다. 문화재청이 판소리를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에 신청하기로 결정한 다음 전라북도는 판소리학회와 손을 잡고 사업을 진행했다. 신청서를 작성하기 위해서 판소리학회 회장 대행을 맡고 있던 김진영 교수가 집필위원을 구성하였다. 집필위원은 김진영 교수, 최동현 교수, 김종철 교수, 김현주 교수, 박일용 교수 등 5명으로 구성되었고, 이보형 선생이 자문을 했다. 영어 번역은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생이었던 나수호(본명 Charles La Shure. 현 서울대학교 국문과 교수)에게 맡겼다. ‘관리’와 ‘실천 계획’은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에 요청해서 받은 ‘한국의 무형문화재 보호정책’과 ‘보존관리와 활용에 관한 문화재 기본 계획’을 토대로 작성하였다. 전라북도와 문화재청은 2002년 2월 6일 ‘걸작 등록신청서 작성 관련 회의’를 갖고, 신청서 및 사진첩 제작은 전라북도가 담당하고, 영상물 제작은 전라남도와 문화재청이 담당하는 것으로 결정을 했다. 사진첩 제작은 ‘한국유네스코연맹 전북협회’가 맡았다. 영상물 제작은 KBS의 최공섭 PD가 담당했다. 문화재청과 외교통상부는 2002년 6월 14일 판소리의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 후보 신청서를 제출하였다. 본래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은 2003년 6월 30일에 이루어질 예정이었으나 지체되어 11월 7일에야 이루어졌다. 판소리가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선언된 것을 언론이나 판소리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창조적인 인간 천재의 걸작으로서의 뛰어난 가치”에 주목한다. 그 결과 마치 걸작 선언이 자국문화의 상대적 우수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조치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다. 물론 그런 뛰어난 가치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이것이 다른 문화에 대한 우월성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님을 깊이 인식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summarizes how pansori was proclaimed a “Masterpiece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by UNESCO and its value as world cultural heritage. In June 2008, UNESCO’s General Assembly of the Parties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nacted the “Guidelines for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se guidelines consist of three chapters: the first stipulates in detail the procedures for registration, an urgent safeguarding list, and representative list; the second concerns funds and international funds; and the third chapter lists th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the agreement. Accordingly, the Proclamation of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project was launched. The process for pansori was as follows. On October 17, 2000, one officially applied list and five provisional lists of Masterpieces of Human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were selected. Prior to this, in July 2000, Lee Tae-ho, the Chairman of the UNESCO Suncheon Association, created a plan for registration of pansori as UNESCO World Heritage. On September 14, 2000, the UNESCO Federation Jeonbuk Association (Chairman Yoon Seok-gil) held a “policy meeting according to the promotion of masterpiece registration.” In October 2000, a workshop hosted by the UNESCO Korean Committee was held to preserv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ft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decided to apply for the registration of pansori as a Masterpiece of Human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Jeollabuk-do teamed up with the Pansori Society to implement the project. In order to complete the application, Professor Kim Jin-young, who was acting chairman of the Pansori Society, formed a writing committee consisting of five members: Professors Kim Jin-young, Choi Dong-hyun, Kim Jong-chul, Kim Hyun-joo, and Park Il-yong, with Lee Bo-hyung consulting. The English translation was entrusted to Na Soo-ho (real name Charles La Shure), currently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at that time a graduate student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management and action plans were prepared based on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Policy” and “Basic Cultural Heritage Plan on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received upon request from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vision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Jeollabuk-do a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eld a meeting on February 6, 2002, where it was decided that Jeollabuk-do would be in charge of the applications and photo albums, while Jeollanam-do a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ould produce the videos. The photoalbums were produced by the Korean UNESCO Federation Jeonbuk Association. KBS producer Choi Gong-seop was responsible for producing the video. On June 14, 2002,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submitted an application for pansori to be included in the Proclamation of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The proclamation was originally scheduled to take place on June 30, 2003, but it was delayed and only took place on November 7. When pansori was declared a “Masterpiece of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the media and pansori lovers noted the statement of its “outstanding value as a masterpiece of creative human genius.” Furthermore, there is a tendency for a masterpiece declaration to be taken as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measure of the relative excellence of its culture. Of course, while it is true that this recognition indicates great worth, it is necessary to remember that this does not presuppose superiority over other cultures.

      • KCI등재

        <아리랑>의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목록 등재로 비롯된 한중간 문화갈등 배경 연구 - 중국 조선족 문화의 이중정체성을 중심으로 -

        이정원,공정배,김용범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40 No.-

        This paper is the study about the background of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and trends and prospects of the expected future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that were originated from listing folksong <Arirang> in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of UNESCO.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raised by China's Northeast Project 'research projects in 2002 is surfaced as <Gangneung Dano festival> in korea is listed in the Unesco in 2005 and showed contending aspect as China listed <Dragon Boat Festival>, changing the name, in 2009. What is more, when the 「Tonguibogam 주제어 : 중앙아시아 고려말, 종결어미, 대화 등급, 중앙아시아 고려인 소설, ≪레닌기치≫, ≪고려일보≫of Korea is listed in 2009, China listed <Chinese Sewing Kit> in 2011. And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is being run in contending aspect for preoccupancy of item while China listed <Nongak> of Korean race as <Farmer's Dance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in 2006.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Chinese Ministry of Culture selected <Arirang>, <Pansori>, <Gayageum art> as China's national cultural heritage material through the notification of State Council for the third national cultural heritage materials registration in 2011. China is claiming to advocate the policies that protect minorities' cultural heritage, but behind them the intention that lead the flow of the East Asian cultural identity through preoccupancy of listing heritage that is shared by South Korea, North Korea, and China in Unesco is laid. In its origin, there is ethnic Koreans with different cultural double identity in China as a Chinese citizen in national identity and as Koreans in ethnic identity. And, the conflict that takes place and is overlapped with korea in process ethnic Koreans represent the position of China in culture terrain of international society is the source of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The problem is the fact that the cultural conflict which encircles <Arirang> is just beginning. Korea and China share 17 ethnic Koreans' cultural heritage among three Northeastern provinces of the country's cultural heritage materials in China. The number of cultural heritages that are shared by two countries is increased to 60 when a level is lowered to district cultural heritage material. District cultural heritage material is upgraded to national cultural heritage material through evaluation in any time. When upgrading is regarded as a being listed, the ethnic Koreans' cultural heritages are the factors of cultural conflicts between Korea and China. 본고는 민요 <아리랑>의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목록 등재로 비롯된 한중간 문화갈등 원인 및 배경과 향후 예상되는 양국 간 갈등 추이 예측에 관한 연구이다. 2002년 중국의 ‘동북공정’ 연구 사업으로 불거진 한중 문화갈등은 2005년 한국의 <강릉단오제>가 유네스코에 등재됨에 따라 양국 간 문화마찰이 표면화되고 뒤이어 2009년 중국은 <용선축제>로 이름을 바꿔 등재하는 경합 양상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2009년 한국의『동의보감』이 등재되자 2011년 중국은 <중국침구>를 등재했고, 2006년 중국이 한민족의 농악을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족의 농무>라는 이름으로 등재하는 등 경쟁적 아이템 선점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11년 중국 문화부는 제3차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 등록에 대한 국무원 통지를 통해 <아리랑>, <판소리>, <가야금예술>을 중국의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으로 선정하였다. 중국은 국가 차원에서 자국 소수민족의 문화유산을 보호하겠다는 정책을 표방하고 있으나, 그 이면에는 한국 중국 북한이 공유하는 문화유산의 유네스코 등재 선점을 통해 동아시아 문화정체성에 대한 흐름을 주도하려는 의도가 내재되어 있다. 그 근원에 중국 국민으로서 국가정체성과, 한민족으로서 민족정체성이 상이한, 문화적 이중정체성을 지닌 조선족이 존재하며, 이들이 국제사회 문화지형 내 중국의 입장을 대변하는 과정에서 한국과 중첩되어 벌어지는 갈등이 한중 문화갈등의 근원이다. 문제는 <아리랑>을 둘러싼 한중 문화갈등이 시작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중국 동북3성의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 중 17개의 조선족 문화유산을 한국과 중국이 모두 공유하고 있다. 한 단계 아래의 성급비물질문화유산으로 내려가면 한중 양국이 공유하는 문화유산의 수는 60개로 늘어난다. 성급비물질문화유산은 언제라도 심사를 거쳐 국가급비물질문화유산으로 승급할 수 있으며, 승급이 유네스코 목록 등재를 전제한다고 볼 때 조선족의 문화유산은 한중간 문화갈등의 잠재 요소들이다.

      • 농업유산 등재기준에 따른 농촌 무형유산 분류체계 연구

        정명철 ( Myeong Cheol Jeong ),문효연 ( Hyo Yun Mun ),김미희 ( Mi Heui Kim ) 한국농업사학회 2014 농업사연구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농촌 무형유산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유네스코의 민속과 무형문화유산,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의 전통지식, 그리고 우리나라 문화재청의 무형문화재와 민속문화재에 대한 정의를 비교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농촌 무형유산의 위상과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의 농업유산 2개를 포함한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31개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GIAHS에 등재된 세계 각국의 무형유산은 전통지식과 기술이 통합된 형태를 띤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는 유사하지만, 지역의 환경과 집단의 적응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농촌 무형유산 분류체계를 설정하기 위해, 먼저 GIAHS의 5가지 등재기준인 “식량·생계수단의 확보”,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의 기능”, “전통적 지식·농업기술의 계승”, “농업문화와 사회제도·관습”, “수려한 경관, 토지·수자원 관리특성”을 분석하여 무형유산과 관련된 세부내용을 추출하였다. 이와 함께 유네스코와 한국의 무형유산 관련 제도의 등재기준과 그 내용을 분석하였고 농촌진흥청의 한국전통지식자원분류안(kTKRC), 국립 민속박물관의 민속아카이브 등의 분류체계와 세부목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농촌 무형유산 분류체계는 GIAHS 등재기준의 표준정의와 해당범위를 준용하여 크게 5가지로 대분류하였으며, 유네스코와 우리나라의 무형유산 분류와 세부내용을 참조하여 하위항목을 설정하였다. 분류안의 구조는 열거형 분류법을 채택하였는데, 이 방식이 주제에 맞게 범주화하기 용이하고, 계층적으로 전개하여 항목 간의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무형유산이 지닌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본 연구에서는 농촌무형유산을 식량안정성, 생물다양성, 생업기술, 농업문화 및 사회제도, 경관관리로 대분류하고, 하위항목을 중분류 19개, 소분류 50개로 구분하여 그 세부목록을 정리하였다.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rural intangible heritage : the definition of the folklore(UNESCO), the defini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UNESCO), the definition of the traditional knowledge(WIPO), the defini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nd folk cultural property of korea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n, we surveyed 31 cases of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GIAHS) including the two agricultural heritages of Korea to analyze the status and contents of rural intangible heritage. Through this, We found it fundamentally similar that the intangible heritages of the world listed on GIAHS had the integrated form of traditional knowledge and skills. Also, we could confirmed that their diversities had been made according to adaption ways of ethnic groups in different environment. First, we investigated the five selection criteria of GIAHS which include “food and livelihood security”, “biodiversity and ecosystem function”, “knowledge systems and adapted technologies”, “Culture, value systems and social organizations” and “remarkable landscapes, land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features” to set up a classification scheme of intangible heritage, and extracted contents relevant to it. In addition, we analyzed the selection criteria and the materials of the Intangible heritage related institutions of UNESCO and Korea. And aside from this, we went over the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Resource Classification (kTKRC) of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he Folklife Archives of the National Folk Museum. We classified the rural intangible heritage largely into five main categories in compliance with the standard definition and the corresponding scope of the GIAHS criteria. Afterward we configured sub-items with reference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UNESCO and of Korea. Finally, we divided the rural intangible heritage into food security, biodiversity, livelihood technologies, agri-culture, social systems and landscape management as subsection. And we arranged them after subdividing 19 class and 50 subclass.

      • KCI등재

        문화의 세계화와 민족주의 담론: 제주해녀(잠녀)문화의 유네스코 등재 사례를 중심으로

        안미정(An, Mi-Jeong) 부산경남사학회 2020 역사와 경계 Vol.117 No.-

        1990년대 중반 한국 사회의 세계화 담론은 한국 문화의 세계화라는 화두를 제기하였다. 한국문화의 정체성에 대한 규명과 더불어 과거의 역사적 경험이 재해석되면서 세계화 담론은 민족문화의 위기 담론과 함께 형성되어 왔다. 2016년 제주해녀문화의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는 한국 사회에서 문화의 세계화가 어떻게 수용, 전개되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제주해녀문화의 등재 과정에서 문화의 세계화 담론은 변화를 겪었다. 2000년대 초반부터 제주해녀문화는 한일 양국에만 있다는 고유함과 사라질 수 있다는 문화 위기론으로 말미암아 양국이 공동 등재가 제기되었고 일본의 아마(해녀)들과의 국제교류도 이뤄졌다. 그러나 2010년을 전후하여 실질적인 등재 절차가 이뤄지면서 국가 간 경쟁구도의 양상으로 바뀌었다. 2013년 제주에서는 단독 등재 추진이 공식화 되고 국제교류는 중단되었으며, 문화유산의 선점적 경쟁 논리가 대두되고 민족주의 담론이 확산되었다. 등재과정에서 해녀문화를 보호하기 위해 모색된 공동등재 방안은 민족문화를 보호하기 위한 한국의 단독등재로 전환되었고, 지역 전통문화가 민족문화로 담론이 바뀌어 갔다. 이것은 일제의 식민통치에 대한 한 ․ 일간의 역사문제가 양국의 갈등문제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계화의 국가적, 지역적 수용 양상은 유네스코의 문화 보호 정책이 지향하는 목적을 실현하기 위함에 있어 해당 당사국들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관계와 인식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음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또한 1990년대 중반 이후 한국사회의 문화의 세계화가 민족 문화의 위기담론으로 형성되었던 것처럼 제주해녀문화도 민족문화의 위기담론과 쉽게 결합되었다. 자칫 민족주의 담론은 자문화중심주의로 인해 그 문화의 세계성을 축소, 왜곡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 아직까지 양국 해녀들이 주도하는 국제적 교류가 전개되고 있지 못함은 아쉬운 일이다. 이 문화를 둘러싼 담론들은 생업종사자인 여성들이 국민국가 담론을 넘어 평화적 문화 연대로 나아갈 때 이들에 의한 새로운 담론이 등장하리라 본다. In the mid-1990s, the globalization discourse of Korea society raised the topic of globalization of Korean culture.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and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past, the globalization discourse formed a crisis discourse of national culture. The inspiration of Jeju women-divers (jamnyeo, or haenyeo)’s culture as a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ICH) is an example of the globalization of culture in Korea society. The discourse of the uniqueness that women’s diving culture can only be seen in Korea and Japan and this culture can disappear have been formed in Korean society since the 1990s. In the 2000s, Korea and Japan began to discuss UNESCO’s ICH inspiration and international event for women divers. However, as the inspiration process was carried out around 2010, it changed to a competition between Korea and Japan. In 2013, the Jeju provincial government officially announced the inspiration of Jeju haenyeo’s culture and the nationalism discourse expanded. In the process of inspiration the jointly inspiration, which was considered to protect women-diver’s culture, was converted to the inspiration of Korea national culture, also the discourse of the local traditional culture was changed to the national culture. This change was influenced by the history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refore, the historical relationship and recognition of countries are important when the state and local society accept the UNESCO’s cultural policies. In addition, Jeju haenyeo’s culture was easily combined with the crisis discourse of national culture, like this the 1990s globalization discourse of Korean culture has been formed as a crisis discourse of national culture. It should be noted that nationalism discourse can reduce or distort the globality of the culture due to ethnocentrism. Unfortunately, there has been no international exchange led by Japanese and Korean haenyeo yet. Beyond national discourse, the discourse surrounding this culture is expected to lead to new discourse by women-divers’s cultural solidarity.

      • KCI등재

        한국음악, 무형문화유산 그리고 세계의 인식

        막스 피터 바우만(Max Peter Bauman) 국립국악원 2009 국악원논문집 Vol.19 No.-

        The dynamic flow of globalization and digitalization entails a dissolution of boundaries in ethnic-cultural behavior in Korea just as everywhere in the world. The locally embodied traditions from historical times are converted nowadays into ubiquitous global availability; the earlier times of calendrical rites and customs have been altered to omnipresent staged performances at arbitrary digitalized times, in different countries and on the world wide web. The values of cultural identity, once based on localconcepts, dissolve bounderies and turn into a possible modern patch-work identity of selectively perceived performance techniques. De-temporalization, de-nationalization, and de- and re-identification come along with interculturally concepts of such performative actions. With the initiative of the Korean Wave hallyu (hanryu) the Korean government has launched a strategic paradigm bringing together different artistic expressions of Korean identity. The strategy is driven now by the recognition that in global competition, last but not least, the culture industry of a country is market-determined for the future of a national economy. This discussion necessarily led to a new, partly antagonistic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ness referring to regional and national as well as international approaches. Antagonism exists between the concepts of purists, traditionalists, and nationalists on one hand, and modernists and syncretists on the other hand; between older and younger generations, and between idealists, commercial entrepreneurs, and global players. The policy of self-determination and the policy of acceptance are prerequisites for a fair discourse. The latter shows two dimensions, an intracultural one relating to the Other in their own culture, and an intercultural one relating to foreign cultures. Instead of defining culture as an intellectual and value-oriented unit, culture can be better understood as a conglomerate of deep differences, a plurality of social affiliations and ways of living, a deep diversity. This deep diversity is composed of conflicting and contrasting perspectives in terms of local, regional, national or cross-national identities and their strategies. Precisely because of these inner conflicts regarding tradition, modernity, and globalization, a reflexive dynamic is the outcome releasing democratic and anti-hegemonic forces. De-identification and re-identification are always coupled to this potential alterity and the pressure coming from cultural outside. Accepting and affirming a diversity of perspectives provides the possibility for growing awareness and free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a world peace policy. It is not necessary to choose between only preserving the tradition (in terms of an orthodoxly conceived Cultural Heritage Asset) and only promoting new creativity. Rather both, the One and the Other, go together, just as inclusive Asian thinking tends to unite complementary opposites. It is compartmentalization as well as complementarity that once had enabled maintaining both the left as well as the right music at the court of the Joseon Dynasty. It may be just as well that in today s usual practice Korean shamanism, Daoism, Confucianism, and Buddhism continue as the four major wisdom traditions of Korean society, despite all the ambivalent historical relationships with one another and among themselves. Faced with the Western world with Western music, Christianity and Western technology and science -these four major Asian traditions of wisdom remain inexhaustible reservoirs of knowledge, experience, philosophical depth and transcultural beauty. They remain essential for a deep-rooted dialogue for understanding cultures and the world in a transnational and transcultural context. In this connection the dialogue of cultures should rather emphasize what connects us instead of what separates us. 세계화 및 디지털화의 흐름은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민족-문화적 행동 습성 경계의 붕괴를 일으켰다. 역사상의 시간 내에서 지역적으로 구체화된 전통은 오늘날 세계적으로 편재하는 유효성으로 바뀌었고, 초기의 달력에 따른 제례와 관습은 제멋대로의 디지털 사회에서 서로 다른 나라 및 웹 상 어디에나 존재하는 무대 공연으로 바뀌었다. 집단의 지역적 개념에 바탕을 둔 문화 정체성 가치의 경계 또한 현대 사회에서 몇몇 소수에 의해 이해 가능한 공연 테크닉의 하나인 소위 마구잡이로 주워 모은 정체성으로 변화하였다. 반지속적이고, 반민족주의적인 반동일화(또는 재 동일화)는 그러한 수행 활동의 이종 문화 개념과 함께 수반되어진다. 한류 를 필두로 한국 정부는 한국의 정체성에 대한 다양한 예술적 표현을 종합하는 전략적 전형 계획에 착수하였다. 현재는 세계적 또는 국제적인 경쟁 사회에서는, 한 나라의 문화 산업이 곧 그 국가의 미래 경제 시장을 가늠하는 지표가 될 것이라는 인식 아래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담론은 또한 한국적인 것이라는 용어가 지니는 지역적·국가적 그리고 국제적 의미에 대한 다소 상반적이고 새로운 분석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상반되는 의견은 전통주의자들 및 그에 상대하는 다른 한 편에 속한 현대주의자 사이에서 존재하며, 또한 구세대와 신세대 간 및 이상주의자들과 기업가(사업주) 및 국제 사업가 간에도 존재한다. 자주적 결정권 과 승인권 은 공정담론의 전제 조건으로, 후자는 각각 두 개의 중요성을 띄고 있는데, 하나는 같은 문화 내에서 존재하는 타 문화에 대한 문화상호간 및 동 문화권 내의 해외문화에 대한 문화간의 세계문화가 그것이다. 문화는 그 대상을 지적이고 가치 지향적인 실재로 정의하기 보다는 폭 넓은 다양성의 복합체, 사회적 기원의 귀속인정의 차, 삶의 방식, 그리고 중대한 다양성으로 볼 때 더욱 잘 이해되어 질 수 있다. 이렇듯 중요한 문화 다양성은 서로 그 의미가 상충하며 반대되는 시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특정 고장, 지역, 국가 또는 국가간 교역의 정체성 및 그와 관련된 전략이 그것이다. 엄밀히 말해 이러한 전통·현대화 및 국제화에 따른 내부적인 갈등은 또한 그에 반응하여 민주적이고 반패권적인 힘의 배출을 야기하는 원동력이 된다. 반일체화 및 재일체화는 항상 이 두 가지 잠재 가능성의 변화 및 외부 문화에서 야기되는 압력과 수반된다. 관점의 다양성에 대한 인정 및 긍정은 인식의 성장 및 세계 평화 정책과 발맞추어 자유로운 성장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것은 전통을 보존하는 것(정통적으로 얻어진 무형문화유산과 같은)과 새로운 것을 창조해 나가는 것 사이에서 반드시 하나를 골라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오히려 동양의 오랜 철학 정신에서 보여지듯, 서로를 보완해 줄 수 있는 두 가지 상반되는 요소를 하나로 결합하여 함께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류 및 상보성(相補性)은 조선조 궁중에서 좌방악 및 우방악의 유지를 가능하게 했던 요소이다. 이러한 특성은 현재까지도 무속이나 도교, 유교 그리고 불교의 네 가지 종교의 큰 뿌리가 서로 대응하는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 내에서 정신적으로 중요한 가르침의 전통을 이어오는 점에서도 보여진다. 서구 사회·서양음악·기독교 및 서구의 과학·기술에 노출된 오늘날에도 앞서 언급한 네 가지 큰 지혜의 가르침은 지식·경험·철학적 깊이 및 다문화 미의 마르지 않는 저장고로서 남아있다. 이러한 종교철학적 가르침들은 다국적 및 다문화적인 맥락에서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와 그 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로서, 깊게 뿌리 내리고 있는 담론의 근원으로 남아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문화간의 소통은 각각의 문화를 서로로부터 나누는 것이 무엇인가가 아닌, 그것들을 서로 연결해 주는 것이 무엇인지에 주목할 때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선(先)이상적이거나 퇴행하는 것이 아닌 다(多)이상적이고 온전한 사고로서 진보하고자 할 때에 우리는 지도패권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다층적 독재와 반대 방향으로 나아가 인류의 미래에 자리 잡고 있을 발전에 대하여 감각적으로 대응을 하는 모습으로의 인식의 발전이 요구되어 진다.

      • KCI등재

        세계의 문화유산 등재 전쟁과 우리의 문화재 정책 방향 검토- WIPO 지식재산 제도와 UNESCO 문화유산 제도의 이념과 운영에 기초하여 -

        서재권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22 No.3

        Intellectual property system of WIPO and cultural heritage system of UNESCO have common features in that the two systems have widened their subject matters and managed with registr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or list of world heritages. However,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two management systems in regard of legal effect. Registration is a preposition for the legal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in principal, while listing world heritages does not guarantee an outstanding universal value of the heritages or protection of diversity of cultural contents. In this respects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excessive competition for listing World Heritage results in damaging UNESCO’s philosophy and examines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policies. Generally, it is estimated that Korean cultural heritage legal system is in accordance with the cultural heritage system of UNESCO. However, there are two points we need to inspect more carefully, City·Do-registration system of 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State·City·Do-designation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under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City·Do-registration system of 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newly implemented at the end of 2018, which a Mayor·Do Governor may register as City·Do-registered cultural heritage deemed worthy of preservation. However, the standard of ‘deemed worthy of preservation’ could be construed too widely so that this system may be degraded to the means of tourism promotion. More clear guideline needs to be established before this system takes effect.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order for the structure of transmission to be transpare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need to be grouped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legal policies related to them such as designation of item, recognition of possessor, and subsidies for transmission are differentia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이 연구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둘러싼 각국의 과도한 경쟁이 UNESCO가 지향하는 근본이념과 배치된다는 점을 지적하고 우리 문화재 제도의 바람직한 정책 방향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UNESCO 근본이념은 보편적 가치 보존에서 문화다양성 보장으로 변화해 왔는데, 이러한 이념적 변화가 회원국 간 문화유산 등재 경쟁을 일으키고 우리의 문화재 정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등재제도가 문화유산의 보존과 전승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는 있으나, 그 수단이 강조되다 보면 문화유산의 보호이념이 변질될 위험이 있다는 점에서 우리의 문화재 정책 방향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WIPO 지식재산 제도와 UNESCO 문화유산 제도를 그 이념과 운영 측면에서 대비하여 분석하고, 우리 문화재 제도가 문화유산의 보호이념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WIPO 지식재산 제도와 UNESCO 문화유산 제도는 보호대상을 확대해 오면서 등록과 등재라는 유사한 관리방식을 취하고 있다. 등록과 등재의 법적 효력은 분명히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국은 마치 권리를 선점하듯이 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노력하고 있고 우리의 문화재 정책 또한 이러한 경쟁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이다. 또한 최근 문화다양성을 표방한 UNESCO의 이념이 단일성 논리로 흐른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가운데 우리의 문화재 관련 법제도가 문화유산의 보존과 전승이라는 근본이념에 충실한지 검토하고 법정책적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론으로는 우리나라 문화재 관련 법제도는 UNESCO 문화유산 제도와 합치하고 있지만, 문화유산의 보호이념을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 유형문화재의 보존 측면에서는 시·도등록문화재 제도를, 무형문화재의 전승 측면에서는 보유자 등의 인정제도를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시하였다. 먼저 등록문화재는 지정문화재보다 시설변경이나 활용이 쉽다는 점에서 2019년 말 시행을 앞둔 시·도등록문화재 제도가 지방자치단체의 관광 사업으로 지나치게 활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무형문화재 보유자 등의 인정제도는 그 폐쇄성과 불투명성을 개선하기 위해 무형문화재 종목을 종목별 특성에 맞게 재분류하고, 현재 보유자 중심의 전승구도가 해당 종목의 특성에 따라 개선될 수 있도록 보유자 인정 유무와 지원체계를 차별화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