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욕주의와 아우구스티누스의 성과 결혼:『결혼의 유익에 관하여』을 중심으로

        김경수 ( Kyung Soo Kim )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5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35

        아우구스티누스의 성과 결혼의 유익에 대한 사상은 역사적 공백상태에서 출현한 것이 아니라, 당시 로마사회에 종교문화적인 현상으로 출현했던, 특히, 기독교 내외에 만연했던 엄격한 금욕주의에 반하여 온건한 금욕주의의 입장에서 발전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성과 결혼의 유익과 순결에 대한 그의 설명은 엄격한 금욕주의에서 보일 수 있는 교만과 그로 인한 죄에 대한 경계를 나타내며 온건한 금욕주의의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그의 온건한 금욕주의적 관점과 북아프리카의 종교문화적인 상황은 동시대의 조비니아누스에 대한 논박으로 이끌었을 뿐만 아니라, 마니교주의자들이나 히에로니무스가 엄격하게 금욕적으로 성과 결혼이해를 한 것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도록 아우구스티누스를 이끌었다. 결과적으로, 4세기 말과 5세기 초에 아우구스티누스는 북아프리카와 로마세계의 엄격한 금욕주의가 유행했던 정황에서 성, 결혼, 그리고 순결의 순기능을 교회 안과 밖을 위해 온건한 금욕주의적 입장에서 설명할 필요성이 있었고, 이런 설명을 통해 부부의 연합과 사회적 기능을 강조할 수 있었다. Augustine’s thought of the goodness of marriage came out of his historical context, and developed his idea of sexuality and marriage in the perspective of moderate asceticism against strict asceticism appeared as religio-cultural phenomena in his Roman society. His expression of sexuality and marriage warned that strict asceticism as a superior religious behavior might reveal pride and its sin, holding moderate asceticism. His idea of moderate asceticism and the religio-cultual context in North Africa led Augustine to differentiate not only from Jovinianus’ idea of marriage but also from Manicheans and Jerome’s interpretation of sexuality and marriage based on strict asceticism. As a result, in the end of 4th century and the early 5th century, Augustine needed to explain the positive functions of sex and marriage in human society, and through that explanation he could emphasize the bond of marriage and its social function.(Korea Nazarene University/KyungsooKim@kornu.ac.kr)

      • KCI등재

        에라스무스와 성 아우구스티누스 : Enchiridion Militis Christiani (1503)와 De Doctrina Christiana (396/426)1)

        오흥식 ( Oh Hungshik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5 서양고대사연구 Vol.42 No.-

        이 논문은 에라스무스의 저서 Enchiridion Militis Christiani (1503)에 미친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서 De Doctrina Christiana (『그리스도교 교양』, 396, 426/7)의 영향을 구명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에라스무스의 『엥키리디온』과 아우구스티누스의 『그리스도교 교양』은 모두 성경해석에 관한 책이다. 두 사람 모두 고대 학문이, 특히 플라톤 철학이 성경의 해석에 사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 에라스무스는 플라톤 철학이 “예언서들과 복음서의 정신에”(CWE, v. 66, p. 33) 그리고 플라톤주의자들의 비유라는 표현법이 “성경의 언어에”(p. 69) 매우 가깝다고 보았다. 에라스무스는 “신비를 밝히려 할 때, 마음대로 추측해서는 안 되며... 『그리스도교 교양』의 저자인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해 전해 내려온 방식과 기술을 배울것”(p. 127)을 역설한다. 그는 스콜라 철학자들은 “문자에 더 얽매이고 신비를 해석하기보다는 소피스트적 섬세함에 얽매인다”(pp. 34-35)고 비판하며, 스콜라 철학자들보다 교부들의 “경건(pietas)이 더 입증되었는데... 그들의 해석은 신성한 신비에 더 적합하기 때문이다”(p. 35)라고 그 이유를 밝히고 있다. 그의 경건은 그의 성경해석론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셈이다. 『엥키리디온』의 1518년판에 서론 격으로 덧붙여진 Hugshofen(훅스호펜) 수도원장 폴 볼츠에게 쓴 헌정 편지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한 그것(주: 그리스도의 철학)을 모든 사람에게 쉽고도 열려 있는 것으로 돌려주어야 합니다(ut eam quam fieri potest, reddamus facilliman, omnibus expositam). 우리의 목적은 우리 자신의 학식을 자랑하는 것이 아니라, 할 수 있는 한 많은 사람을 그리스도의 삶으로 이끄는 것이어야 합니다(sed ut quamplurimos ad Christianam vitam pelliciamus)”(p. 9). 그가 스콜라 철학을 비판한 궁극적인 이유는 그것이 평신도를 위한 사목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지 않은 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가 ‘그리스도의 철학’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한 저서는 그의 신학성경 연구서인 Novum Instrumentum 초판(1516)의 서론으로 쓴 Paraclesis (παράκλησις)라고 한다. ‘그리스도의 철학’이라는 개념의 일부가 사목에 관련된 것이라면, 그 개념이 적어도 『엥키리디온』에까지는 거슬러 올라가 형성되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그리스도교 교양』의 마지막 권인 제4권의 서두에서 “성경 연구 전체가 달려 있는 사안이 둘 있다. 깨달아야 할 바를 파악하는 방법(modus inueniendi quae intellegenda sunt)과 깨달은 바를 전달하는 방법(modus proferendi quae intellecta sunt)이 그것이다. (『그리스도교 교양』, 4.1.1)” 그는 설교에서 수사학의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역설한다. “수사학의 기술을 통해서 진리 또는 허위를 (상대방에게) 설득시키는 것이라면 (Nam cum per artem rhetoricam et uera suadeantur et falsa), 허위에 대항해서 진리를 옹호하는 사람들을 (수사학의 기교로) 무장시킬 필요가 없다는 말을 누가 감히 하겠는가?(4.2.3)” 아우구스티누스가 『그리스도교 교양』에서 성경해석론에 관한 1-3권의 저술에 그치지 않고 설교술에 관한 제4권까지 저술했다는 것은 그가 평신도를 위한 사목을 얼마나 중시하였는가를 보여준다. 결국 그의 성경해석이 신학자들 사이의 논쟁에 그치지 않고 최종적으로는 에라스무스의 표현대로 “할 수 있는 한 많은 사람들을 그리스도의 삶으로 이끄는 것”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에라스무스는 자신의 ‘경건’의 개념을 형성하는 데에 아우구스티누스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았고, 그 개념의 토대에는 평신도를 위한 사목도 깔려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study the influence of St. Augustine’s De Doctrina Christiana (396/c.426) upon Desiderius Erasmus’ Enchiridion Militis Christiani (1503). Both books are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Erasmus insisted on the allegoric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nd quoted St. Augustine: “In bringing the mysteries to light you must not follow the conjectures of your own mind, but you must learn the method and the art, so to speak, which was handed down... by Augustine in his De Doctrina Christiana (CWE, v. 66, p. 69).” Both men had the same opinion that ancient learning, expecially Platonism, can be useful to interpret the Bible. Erasmus said that Platonists were the closest “to the spirit of the prophets and of the gospel (ad propheticam evangelicamque figuram, p. 33)” and their mode of expression of allegory were very close to “to the language of Sacred Scripture (ad propheticam evangelicamque figuram, p. 69).” St. Augustine said, “Moreover, if those who are called philosophers, and especially the Platonists, have said aught that is true and in harmony with our faith, we are not only not to shrink from it, but to claim it for our own use (in usum nostrum) from those who have unlawful possession of it (De Doctrina Christiana, 2.40.60).” While Erasmus criticized scholastics as follows that “modern theologians are too willing to stick to the letter and give their attention to sophistic subtleties rather than to the elucidation of the mysteries(pp. 34-5),” St. Augustine(2.31.48) also warned against the danger of the theological debate: “The science of reasoning (disputationis disciplina) is of very great service in searching into and unravelling all sorts of questions that come up in Scripture, only in the use of it we must guard against the love of wrangling (Tantum ibi cavenda est libido rixandi), and the childish vanity of entrapping an adversary. For there are many of what are called sophisms (sophismata), inferences in reasoning that are false, and yet so close an imitation of the true, as to deceive not only dull people, but clever men too, when they are not on their guard.” Erasmus related the patristic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o the piety(pietas): “their piety is more proven, their learning more profuse and more experienced, their style neither jejune nor impoverished, and their interpretation more fitted to the sacred mysteries (sacris mysteriis).” In the preface to a new edition of the Enchiridion Militis Christiani, printed in 1518, Erasmus says that “it is right... to make it as easy and as open to all men as we possibly can; and our object should be not to show off our own attainments but to attract as many as we can to the Christian life (sed ut quamplurimos ad Christianam vitam pelliciamus).” The ultimate reason why Erasmus prefers Church Fathers to scholastic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is related to the ministry for the laity. St. Augustine(4.1.1) says in the beginning of the book 4, the last book of De Doctrina Christiana: “There are two things on which al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depends: the mode of ascertaining the proper meaning (modus inueniendi quae intellegenda sunt), and the mode of making known the meaning when it is ascertained (modus proferendi quae intellecta sunt).” He put emphasis on the art of rhetoric of the sermons: “Now, the art of rhetoric being available for the enforcing either of truth or falsehood (Nam cum per artem rhetoricam et uera suadeantur et falsa), who will dare to say that truth in the person of its defenders is to take its stand unarmed against falsehood?... That the former are to tell their falsehoods briefly, clearly, and plausibly, while the latter shall tell the truth in such a way that it is tedious to listen to, hard to understand, and, in fine, not easy to believe it? (4.2.3)” The fact that St. Augustine wrote not only three book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but also one book on the art of rhetoric of the sermon shows how he emphasized the ministry for the laity. After all his interpretation of the Bible is for the ministry beyond controversies between theologians, as Erasmus said, “to attract as many as we can to the Christian life.” Erasmus was greatly influenced in forming the concept of his piety (pietas) by St. Augustine, and the concept is based upon the ministy for the laity as well as the allegoric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 KCI등재

        필리오케에 대한 교부신학적 재고:95 니사의 그레고리우스와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를 중심으로

        이충만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0 성경과신학 Vol.96 No.-

        In the long history of the filioque controversy, East and West have managed to reach remarkable agreement. Nevertheless, they have still failed to ach- ieve rapprochement on several crucial remaining points, leaving the con- troversy unresolved. This article examines the trinitarian theology of Gregory of Nyssa and Augustine of Hippo on two points in particular – namely, the precise definition of monopatrism and the definition of the Son’s role in the Spirit’s procession. Regarding the first point, I argue that Augustine’s application of the term ‘principium’ to the Son did not contra- dict his monopatrism, according to which the Father is the only cause for the generation of the Son and the procession of the Holy Spirit in eternity. As such, I propose that Augustine approaches the monopatrist view of Gregory, who emphasiz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 (αἰτία) and the other hypostases (αἰτιατα). Regarding the second point of the Son’s role in the Spirit’s procession, I argue that Gregory used the notion of the Son’s mediation (μεσιτεία) in order to distinguish the hypostasis of the Holy Spirit from that of the Son more clearly and to express the Spirit’s personal property as Spirit of the Father and the Son. The role Gregory assigned to the Son by the notion of mediation in turn finds echoes in Augustine’s thought when he applied the term ‘principium’ also to the Son. The convergence between Gregory and Augustine on these points chal- lenges the common assumption that they stand at the head of two opposing traditions in the filioque controversy. ‘필리오케’(filioque)에 대한 장구한 논쟁사에서 동서방교회는 상호이해를 위 해 의미 있는 성과들을 이루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서방교회의 신학 자들은 381년의 보편공의회 신조에 첨가된 이 용어와 관련하여 진전된 화해 를 이루기 위해 해결해야 할 여러 문제점들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남겨져 있는 문제들 중, 본 논문은 ‘성부의 단일원인성(monopatrism)을 어떻게 정의 할 것이가’라는 문제와 ‘성령의 발출에서의 성자의 역할을 어떻게 규정할 것 이가’라는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은 동서방교회의 삼위일체론 전통의 토대를 놓았다고 평가 받는 니사의 그레고리우스(Gregorius Nyssenus, 335/40-394)와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Hipponensis, 354-430)를 연 구함으로써, 두 교부들이 제기된 두 가지 질문에 대해 유사성을 가지고 있었 음을 보이고자 한다. 첫 째 질문과 관련하여, 본 논문은 아우구스티누스가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레고리우스와 마찬가지로 성부께서 성자의 출생과 성령의 발출에 유일한 ‘원인’이심을 강조하였음을 보여준다. 특히, 아우구스티 누스가 ‘프린치피움’(principium)을 성자에게도 사용하였지만, 이것이 그가 강 조하는 성부의 단일원인성을 훼손하지 않음을 본 논문은 논한다. 성령의 발 출에서의 성자의 역할에 대한 두 번째 질문과 관련하여, 본 논문은 그레고리 우스가 성자에게 돌린 중재(μεσιτεία)의 역할을 강조한다. 니사의 주교는 성 부의 단일원인성 안에서 성자의 위격으로부터 성령의 위격을 보다 분명하게 구분하고 성령의 위격적 독특성을 규정하기 위해 성자께서 성령의 발출에서 중재의 역할을 하신다고 설명하였다. 이러한 그레고리우스의 생각은 아우구 스티누스가 ‘프린치피움’을 성자에게 사용할 때에 동일하게 나타난다는 것 도 논의된다. 제기된 두 질문에 대해 두 교부들에게서 찾아지는 이와 같은 유사성은 현재도 진행되고 있는 필리오케 논쟁에서 동서방교회가 보다 깊은 상호이해로 진전하는 것에 기여한다.

      • KCI등재

        미겔 몰리노스와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신비: 『영적안내』와 『고백록』을 중심으로

        차영선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5 문학과종교 Vol.20 No.1

        몰리노스의 정적주의 사상은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 의 핵심메시지를 근거로 하고 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신의 삶과 회심 이야기를 들려주면서 정 적주의 테마를 설명하는데, 자신의 삶속에서 겪은 여러 사건들을 성찰한 후 그 리스도교인의 삶에 관하여, 특히 내적인 삶과 기도에 관한 명상을 했다. 고백 록 은 여러 세기에 걸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몰리노스는 아우구스티누 스 영성의 직속 후계자로서 그의 영적안내 에는 아우구스티누스의 반향을 짙 게 찾아볼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신안에서 쉬도록 되어있는 아우구스티누스의 교리가 어떻게 몰리노스의 내적인 삶 가운데 작용하는지 살펴볼 것이다. 몰리노 스에 의하면 신이 우리 안에서 행하는 일은 그 분께 해야만 할 일을 우리에게 보여주는 일로서 신과의 통교는 자기 부정과 신안에서의 휴식의 중요한 측면이 다. 명상에서 가장 중요한 행위는 신의 음성을 들을 수 있는 것이며, 또 신이 전 하는 뜻을 듣고 들으려 한다는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와 그의 후계자 몰리노스 가 제안하는 신앙여정의 결론은 신에 대한 신뢰, 자아포기, 명상이며, 그럼으로 써 크리스천이 아우구스티누스가 약속한 성령 안에서 휴식과 쉼을 얻도록 그들 을 초대하고 있다. The idea of quietism is based on the central message of St. Augustine’s Confessions. St. Augustine exposes the theme of quietism in telling the story of his life and conversion. After having examined the events of his life, Augustine reflects on the Christian life, especially the interior life and prayer. The Confessions have had great influence through the centuries, and Molinos is a direct heir of Augustinian spirituality. In his Spiritual Guide, one often finds echoes of St. Augustine. Molinos clarifies how Augustine’s Doctrine (having been made to rest in God) operates in the inner life. In this context, the communication with God is the crucial aspect of self-denial and rest in God. In prayer, the most important act is to listen to the voice of God. The prayer is so closely connected to self-denial and love of God. What is the result suggested by Augustine and his heir Molinos? Trust in God, renunciation and prayer lead Christians into the rest promised by Augustine. The rest is the greatest possible happiness for humans, filled with delight and joy.

      • KCI등재

        ST. Augustinus의 영성교육론

        정희숙 韓國宗敎敎育學會 2001 宗敎敎育學硏究 Vol.13 No.-

        이 연구의 목적은 성 아우구스티누스 영성교육의 관점에서 진정한 교육의 지평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 영성의 의미와 아우구스티누스의 영성교육의 본질과 방법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그 살펴본 내용을 염두에 두고 진정한 교육과 방향을 어떻게 설정해야 할 것인가를 논의하려 한다. 결론적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영성교육은 교사와 학생간의 대화교육방법을 제시했으며, 믿음, 소망, 사랑을 본질로 했다는 점에서 교육의 본질적 지평이 된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 guideline for the real education on the point of St. Augustinus's Spirituality view. So, the first of all, I will review the meaning of spirituality and the essence and the method of Augustinus's Spiritual Education. And also, it is going to discuss how to build the character and direction of education in time. As a result, I found that Augustinus's Spiritual Education practice to dialogue's method of education between teather and learner, and it has guideline three factor, that is, faith, hope, love in essence.

      • KCI등재

        한나 아렌트의 정치사상에서의 신학적 사유와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신학적 유산: 확장된 신학적 지평에서 조명하는 아렌트의 탄생성과 행위

        김정숙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3 신학과 사회 Vol.37 No.3

        This paper addresses the impact of St. Augustine’s theological ideas upon Hannah Arendt's political thoughts. Arendt's political thoughts emerged within the context of the tragic periods of the early 20th century, marked by two world wars, the dominance of totalitarianism, and the Holocaust. Throughout times of crisis, Arendt's efforts to comprehend and overcome the present and envision the future were driven by her sense of responsibility and love for the world. In this process, the concept of Saint Augustine's new principle of beginning is reinterpreted and applied within Arendt's political thought. It is noted that these theological concepts from Augustine's work laid the foundation for Arendt's mature political concepts. As such, Augustine's theological ideas played a crucial role in shaping Arendt's political thoughts. Consequently, exploring the theological ideas of Augustine embedded in Hannah Arendt's political thoughts reveal the bridging and expansion of boundaries between realm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perceived as separate: politics and religion, the worldly and the Christian, the secular and the ecclesiastical, divine love and worldly affection, as well as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and theological frontiers. Through Arendt's works, theological ideas that were previously confined within church doctrines and traditions extend beyond the walls of Christianity, finding reinterpretation and expansion in the language of various scholarly terms and in the events of the world and daily life, thereby gaining renewed vitality.

      • KCI등재

        페로동화의 기독교적 정체성 연구

        김정란 ( Jeong Lan Kim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0 동화와 번역 Vol.20 No.-

        『교훈이 첨가된 옛이야기』로 1697년에 출판된 페로동화는 민중문화와 기독교문화의 만남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페로동화는 기독교적 동화로의 정체성이 논의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페로동화의 기독교적 정체성을 인물중심으로 해석해본 시도이다. 사용된 기본 도구는 기독교 진리의 기본 계명인 사랑, 구체적으로는 마가복음 l2장 30절의 말씀, 즉 마음과 혼과 정신과 힘을 다하여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라는 말씀과 인간의 제자리는 사랑의 자리라는 성 아우구스티누스의『고백론』에 나타난〈제자리 사랑론〉이다. 분석결과 작중 인물들은 이야기 시작에서는 모두 제자리의 사랑 안에 있지 못한 불안한 상태의 인물이다. 그러나 은총으로 선택된 주인공들은 (기독교화된)요정의 명령이나 예언에 순종하여 마음과 혼과 정신이 건강하게 제자리를 찾아가도록 변화하는 인물이고 적대자들은 딴자리를 제자리로 삼아 변함없이 욕망이나 사망의 길로 간 인물들이다. 페로동화는 교육적 가치가 큰 기독교적 진리를 나타내기에 모두에게 생명의 양식이 된다. 그러나 아우구스티누스도 언급하였듯이 성경이 단단한 밥이라면 동화는 우유이고 당의정이다. 그러므로 동화 속 인물들은 아직 참 진리를 소화할 수 없는 어린 인물들이라 동화속 진리는 영적어린이를 위한 우유나 당의정 같은 것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동화나라 역시 참왕국의 모형이기에 동화에서의 제자리란 아직은 최고의 진리와 영원한 행복에 다다른 제자리가 아니라 영생의 제자리 사랑의 길로 들어선 시작이라는 뜻이 된다. 동화세계는 이처럼 보이지 않는 참 진리의 세계를 상상의 모형으로 보여주는 나라이기에 잠시 머물러야 하는 세계이다. 그렇지만 페로동화를 기독교화된 옛이야기이자 옛이야기화한 진리의 이야기로 행복을 선사하는 복음의 전도서로 인식한다면 페로동화는 20세기에 나타난 판타지동화의 그림자나라와 기독교문화의 맥을 이으며 옛부터 전수되었고 영원히 전수되어야 할 진리로서의 생명력을 이어갈 것이다. Histoires Ou Contes Du Temps Passe, Avec Des Moralites est un recueil de contes ecrits par Charles Perrault et publies en 1697. Ils illustrent la rencontre de la culture chretienne avec les traditions populaires de l`epoque. Toutefois, il n`existe que tres peu d`articles traitant de la dimension chretienne des contes de Perrault. Nous proposons donc, a travers la presente etude, de revisiter cette uvre dans une perspective chretienne. Pour cela, nous decrivons et nous analysons les caracteristiques des personnages principaux en nous appuyant sur deux references theoriques: Les Confessions d`Augustin Hippone(dit <<Saint Augustin>>), et l`Evangile selon Marc Chapitre 12, verset 30: "Tu aimeras le Seigneur, ton Dieu, de tout ton coeur, de toute ton ame, de toute ta pensee, et de toute ta force." Dans Les Confessions, ce sont les themes de l`appartenance(<<`etre a son lieu propre>> vs <<ne pas etre a sa placev>> et du repos qui retiennent notre attention. Pour Saint Augustin, l`etre ne peut trouver le repos que lorsque qu`il se trouve a l`endroit ou il appartient. Il explique cela par le besoin de se retrouver en Dieu. En effet, le cur des hommes, charge de leur amour, tend naturellement vers Dieu. Les contes de fees traitent de la quete de l`amour et de la richesse, et surtout du chemin metaphorique qui permet de sortir de la foret afin de retrouver la securite et la quietude du foyer. Dans les contes de Perrault, les personnages sont en general deconnectes de leurs racines au debut de chaque recit. Seuls les personnages capables de controler leur coeur et leurs emotions peuvent trouver le lieu qui leur est propre et par consequent le bonheur et le repos. A l`oppose, les personnages incapables de faire la preuve de la noblesse de leur coeur et de leurs sentiments sont condamnes a errer dans des lieux ou ils n`ont pas leur place. Ils font alors l`experience d`une vie miserable, voire de la mort. Comme l`ecrit Perrault dans sa `Preface` des Histoires Ou Contes Du Temps Passe, Avec Des Moralites, "Partout la vertu y est recompensee, et partout le vice y est puni." La portee spirituelle et la visee educative contenues dans les contes de Perrault se rejoignent pour former la moralite, issue des preceptes du christianisme, tandis que la finesse de l`ecriture et l`intensite de la narration captivent le public, aussi bien les enfants que les adultes. Reconnaitre la dimension chretienne des contes de Perrault et s`en inspirer pour guider sa vie assure le lecteur d`une existence en accord avec les principes de la Bible.

      • KCI등재

        Réflexion sur les monstres et l’écriture réflexive chez Montaigne

        이충훈(Lee, Choong Hoon) 프랑스학회 2013 프랑스학연구 Vol.64 No.-

        르네상스 시대 작가와 예술가들은 괴물을 단골소재로 삼았다. 정상과 다른 외형을 지닌 괴물은 인간의 이해력을 벗어난 존재이다. 그러므로 괴물은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공포와 매혹의 대상이 되었다. 이 시기 리코스테네스, 보에스튀오, 파레의 괴물 이야기는 큰 성공을 거두고 널리 회자되었다. 그들은 괴물이 왜 출현하는지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었기 때문에 자연의 운행을 주관하는 초월적 존재의 개입으로 이를 이해하고자 했다. 괴물의 탄생은 인간의 오만과 타락에 대한 신의 경고나 징벌로 해석되었으며, 다가올 중요한 정치적 사건에 대한 전조로 간주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과 같은 시대 사람인 몽테뉴는 이러한 괴물의 해석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는 『에쎄』 2권에 실린 「괴물아기에 대하여」라는 제목의 짧은 장에서 하복부에 머리가 없는 쌍둥이가 붙은 기형아를 관찰했다. 몽테뉴는 이런 종류의 괴물에 대해 내려지곤 했던 종교적이고 도덕적인 교훈을 성급하게 이끌어내려고 하지 않았다. 대신 『에쎄』의 초판에서 몽테뉴는 신중하게 관찰하는 것으로 만족했고, 1588년 이후에 덧붙인 최종 판본에서는 성 아우구스티누스와 키케로를 직간접적으로 인용하면서 괴물에 대한 유연한 시각을 보여주었다. 몽테뉴는 이 장에서 이러한 기형을 가진 존재 역시 자연 질서를 일관되게 따른 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연구자에 따라 이러한 의견을 몽테뉴의 기독교로의 회심으로 해석하는 입장도 있고, 지식이 확장되어감에 따라 괴물의 원인이 밝혀지기를 기대하는 회의주의의 시각으로 해석하는 입장도 있다. 『에쎄』의 다른 장과 비교해서 괴물 아기 이야기에 저자의 신중한 침묵이 두드러지며, 이러한 기술 방식이 2세기 후에 성립될 근대적 기형학을 예감케 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몽테뉴는 단 하나의 사례를 드는 것으로 만족하면서 이를 통해 괴물을 일반화하려들지 않고, 하나의 특수 사례로만 언급한다. 또한 이 낯선 존재 앞에서 느낄 수 있는 놀라움과 매혹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하고 객관적 기술로 일관하면서 정상과 비정상의 근본적 ‘차이’에 대한 판단을 중단하고자 했다. 이러한 몽테뉴의 괴물에 대한 성찰과 그의 글쓰기 방식을 연관시켜볼 수 있다. 몽테뉴는 대단히 기이한 형태를 갖고 태어난 아기를 관찰하고 기록하면서 그 기형의 존재에게서 자기 자신을 발견했다. 괴물 아기는 몽테뉴의 자아가 비치는 일종의 거울이며, 그는 괴물의 모습을 하고 있는 자기 자신의 모습을 그 거울로 들여다보는 것이다.

      • KCI등재

        Réflexion sur les monstres et l’écriture réflexive chez Montaigne

        이충훈 프랑스학회 2013 프랑스학연구 Vol.64 No.-

        르네상스 시대 작가와 예술가들은 괴물을 단골소재로 삼았다. 정상과 다른 외형을 지닌 괴물은 인간의 이해력을 벗어난 존재이다. 그러므로 괴물은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공포와 매혹의 대상이 되었다. 이 시기 리코스테네스, 보에스튀오, 파레의 괴물 이야기는 큰 성공을 거두고 널리 회자되었다. 그들은 괴물이 왜 출현하는지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었기 때문에 자연의 운행을 주관하는 초월적 존재의 개입으로 이를 이해하고자 했다. 괴물의 탄생은 인간의 오만과 타락에 대한 신의 경고나 징벌로 해석되었으며, 다가올 중요한 정치적 사건에 대한 전조로 간주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과 같은 시대 사람인 몽테뉴는 이러한 괴물의 해석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는 『에쎄』 2권에 실린 「괴물아기에 대하여」라는 제목의 짧은 장에서 하복부에 머리가 없는 쌍둥이가 붙은 기형아를 관찰했다. 몽테뉴는 이런 종류의 괴물에 대해 내려지곤 했던 종교적이고 도덕적인 교훈을 성급하게 이끌어내려고 하지 않았다. 대신 『에쎄』의 초판에서 몽테뉴는 신중하게 관찰하는 것으로 만족했고, 1588년 이후에 덧붙인 최종 판본에서는 성 아우구스티누스와 키케로를 직간접적으로 인용하면서 괴물에 대한 유연한 시각을 보여주었다. 몽테뉴는 이 장에서 이러한 기형을 가진 존재 역시 자연 질서를 일관되게 따른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연구자에 따라 이러한 의견을 몽테뉴의 기독교로의 회심으로 해석하는 입장도 있고, 지식이 확장되어감에 따라 괴물의 원인이 밝혀지기를 기대하는 회의주의의 시각으로 해석하는 입장도 있다. 『에쎄』의 다른 장과 비교해서 괴물 아기 이야기에 저자의 신중한 침묵이 두드러지며, 이러한 기술 방식이 2세기 후에 성립될 근대적 기형학을 예감케 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몽테뉴는 단 하나의 사례를 드는 것으로 만족하면서 이를 통해 괴물을 일반화하려들지 않고, 하나의 특수 사례로만 언급한다. 또한 이 낯선 존재 앞에서 느낄 수 있는 놀라움과 매혹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하고 객관적 기술로 일관하면서 정상과 비정상의 근본적 ‘차이’에 대한 판단을 중단하고자 했다. 이러한 몽테뉴의 괴물에 대한 성찰과 그의 글쓰기 방식을 연관시켜볼 수 있다. 몽테뉴는 대단히 기이한 형태를 갖고 태어난 아기를 관찰하고 기록하면서 그 기형의 존재에게서 자기 자신을 발견했다. 괴물 아기는 몽테뉴의 자아가 비치는 일종의 거울이며, 그는 괴물의 모습을 하고 있는 자기 자신의 모습을 그 거울로 들여다보는 것이다.

      • KCI등재

        삼위일체론의 교육학적 의미

        임일호 한국도덕교육학회 2014 道德敎育硏究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christian doctrine of the Trinity from the educational point of view. The christian doctrine of the Trinity in which God is Father, Son, and Holy Spirit helps to clarify the mystery of education. Paul’s thinking about the Holy Spirit help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different from the daily experience. It is not a simple experience something or anything which is temporally prior to the experience of the students. The educational experience reveals reality and being, and links both of them. In this respect, the educational experience can be a kind of the Holy experience. Augustine’s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is not only the specific experience which is not different from Paul’s experience of the Holy Spirit, but also the explanation of that experience in itself. Such understanding is not a logical explanation but a testimony or confession of faith on the Trinity. Faith and reason are related reciprocally. They are co-implicated and in Augustine’s view, it is an error to divorce them. The subject-matter is not only the object we understand, but we believe. The students can enter, possess and enjoy the world of subject-matter only in seeing and trying to imitate their teacher. When the teacher shows and indicates the unutterable world constantly, the educational contents is transformed into the methods, and the educational methods is transformed into the contents. The teacher’s existence actualizes the harmony of faith and reason in his teaching. 교과의 의미와 가치는 교과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교사의 존재방식과 삶의 자세를 통해 구체적으로 전달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은 교사와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이 하나이며, 무엇보다도 내용이 곧 방법이 되도록 하는 교사의 특별한 존재론적 지위를 설명하는 개념이다. 바오로의 성령론에 비추어 볼 때 교육적 ‘경험’은 오직 그 경험을 통해서만 드러나는 존재와 존재가 대면한 실재(res, objectium)가 있다는 점에서 일종의 신비체험에 해당한다. 무엇보다도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은 수업에서 교과내용을 전달하는 일의 의미를 ‘이해’하는 행위가 지니는 교육학적 의미를 밝히는 데 기여한다. 교육적 경험을 이론으로 설명하는 일은 그것이 설명하고자 하는 바로 그 경험에 해당하는 신비와 무관하게 수행될 수 없다. 교과를 가르치는 일은 교사 스스로 교과공부를 신앙과 이성이 하나인 관계 안에서 마주하고 있을 때 가능하며, 학생은 그와 같은 태도로 교과를 공부하고 가르치는 교사를 통할 때 비로소 교과의 실존적 의미를 배울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