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여 林川郡 城隍祠와 庾黔弼

        김효경(Kim, Hyo-gyou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 No.26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 위치한 成興山城 안에 고려 太師 庾黔弼을 모신 사우가 있다. 이 사우는 고려시대로부터 행정관청에서 주관하던 城隍祠로 추정된다. 임천군은 통일신라시대로부터 국가 祀典의 하나인 小祀의 제장으로 인식되어 종교적인 공간으로 인식되었고, 금강의 주요 물길과 직접 연결되어 군사적, 행정적 요충지로 백제시대로부터 부각되었다. 이러한 토대 속에 고려의 후 삼국 통일 후 요구되는 사회적인 욕구 즉 지역 내에 면면히 흐르고 있던 후백제의 극복이라는 정치적 측면까지 복합되면서 유금필이라는 인물이 신령으로 좌정하게 된다. 후백제의 잔당의 횡포로 인해 피폐해진 지역사회를 회복시키는 공을 세웠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지역의 신령은 인간적인 치적보다는 종교적인 심성을 자극할 수 있는 것이 계기가 되어야 한다. 많은 지역에서 실존인물이 신령으로 좌정하는 경우에 그의 역사적 인물평이나 공적 보다는 지역민에 대한 선행이 원인이 되었다. 유금필 역시 동일한 차원에서 주신으로 봉안된 것으로 여겨진다. 백성에 대한 진휼, 즉 사회적으로 가장 절실한 문제를 극복해준 존재였기에 신령으로 탄생된 것이다. 유금필을 모신 성황사는 변화를 겪으면서도 지금까지 존속되었다. 『東國輿地勝覽』(15세기 중반)에는 백제 때 축성된 성흥산성 안에 위치했다. 그러나 『與地圖書』(18세기 중반)에는 산성 밖으로 옮겨지고 건물로 이루어진 성황사에서 제단의 형태인 성황단으로 바뀐다. 『湖西邑誌』(19세기 후반)에 수록된 지방도에 성황사와 성황단 모두 표기되어 있다. 산성 안의 성황사에는 유금필 태사가 모셔져 있는데, 주민들 사이에서 오래도록 숭앙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렇다면 성황단이 건립된 후에도 여전히 성황사가 존속했으며, 그 신당의 主神은 여전히 유금필이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 남아 있는 성흥산성 안의 유금필 사당은 고려시대로부터 조선후기까지 줄곧 관치제가 베풀어지던 성황사이며, 그 주신은 고려의 개국공신이자 태사직을 수행한 유금필이다. 현재의 사당 안에는 유금필과 더불어 그 가족이 신령으로 봉안되어 있다. 부인을 비롯하여 아들 1명, 딸 2명이 봉안되어 있는데, 이것은 실제의 가족관계와는 무관하다. 그러나 부모와 아들, 딸로 구성된 조화로운 가족구성원은 화평하고, 안정된 가정의 본보기가 된다. 이러한 신령의 존재는 결국 화평과 안정을 이끄는 존재로 간주되며, 그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군민들은 그러한 신령의 영향속에서 동일한 화평의 세계를 맞게 된다. 이처럼 신령으로 탄생된 유금필은 그가 지닌 인간적인 武人으로서의 모습이 아닌 주민의 어려움을 돌보고, 지역을 돌보는 자애로운 성격을 지니게 된다. 부인을 비롯하여 아들과 두 딸을 거느린 여느 가정의 가장처럼 고을의 좌장이 되어 지역신으로 숭앙되고 있다.

      • 조선시대 강릉의 성황사(城隍祠)와 단오제

        채미하 한성사학회 2014 한성사학 Vol.29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 강릉의 성황사와 단오제를 통해 현재 강릉단오제의 주신인 범일의 정체성과 현재적 의미를 생각해 보았다. 조선시대 강릉의 성황사는 국가의 사전 정책에 따라 ‘강릉부성황지신’이라는 신위만을 모셨지만, 조선전기 음사 규제에 따라 ..신증동국여지승람.. 이후 단오제와 관련 있었던 김유신사가 성황사에 합쳐졌다. 하지만 허균이 구경한 단오제에는 김유신을 모셨고, 이것은 대관산신사와 관련 있었다. 이후 대관산신사의 주신은 ..임영지..를보면 승속이신-국사-승속이신으로 바뀌었다. 허균이 구경한 단오제에서는 신을 부사에 모신 반면 ..임영지..에서는 성황사에 안치하였다. 이것은 강릉 단오제가 정사화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성황사에 승, 범일을 모셨다는 기록은 없지만, 범일은 갑오개혁을 전후로 하여 단오제에서 승=범일로 여겨졌으며 국사성황의 자리도 차지할 수 있었다. 이것은 성황사에 합사되었던 김유신사가 1884년 독립된 사묘가 된 것이며 성황사의 신위가 갑오개혁때 땅에 묻힌 것과 관련있다고 하였다.

      • KCI등재

        古文獻을 통한 梁山 城隍祠의 位置와 祠神 比定

        金聲振(Kim, Sung-Ji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1 동양한문학연구 Vol.58 No.-

        이 논문은 梁山 城隍祠의 위치와 각종 고문헌에 사신으로 기록되어 있는 김인훈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新增東國輿地勝覽』을 비롯한 각종 인문지리지, 양산군수를 지낸 權萬과 李晩燾등의 詩文, 그리고 梁山의 古地圖 등이 본고의 주된 논거가 되었다. 본고에서는 성황사와 관련된 기존의 논의에서 소홀히 되어온 厲祭壇 관련 기록을 함께 살펴보았고, 고문헌의 기록과 고지도에 표시된 위치를 비교 검토하였다. 그리고 궁예가 摩震 개국 후 城隍의 수리를 관장하는 障繕府를 설치한 것이 『삼국사기』에 실려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성황사상의 전래시기를 고려 성종대에서 후삼국시대로 앞당겨야 함을 밝혔다. 이는 양산 성황사 사신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도 하다. 근년에 양산 성황사와 관련된 良州帥의 良州가 경기도 楊州의 오기였을 가능성까지 제기된 바 있지만, 본고에서는 후삼국의 세력권 변동 기록에 의거해서 良州帥의 良州는 현재의 梁山임을 논증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 所載 양산 성황사조에는 祠神 사항이 별도로 수록되어 있다. 이는 「祠廟」가 아닌 「人物」에서 祠神을 다룬 것을 포함하더라도 7,8곳에 불과한 특이한 사례이다. 양산은 城隍山을 鎭山으로 삼고 있을 뿐 아니라, 城隍山城을 고을의 外城으로 하고 있다. 이는 왜구의 침탈과 하천의 범람이 빈번했던 양산의 지리적 특징으로 인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 특징이 양산 성황사의 위치와 사신을 비정함에 있어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보고, 이를 비중 있게 다루었다. This study is on the position of Yangsan Tutelary Shrine, that is, Sunghwang-sa, Yangsan, and on Kim Inhoon recorded as its tutelary deity in different ancient literatures. The main bases of this study were supported by several human geographical records such as Shinjung Dongkuk Yeoji Seungram, that is, Chosun’s Newly Augumented Human Geographical Records, by literary works written by Kwon Man and Yi Mando, who served as governors of Yangsan, by an old regiional map of Yangsan and so on. Through Samgooksagi, that is, a historical book of the Three Kingdoms, Jansungbu in charge of repairing Sunghwang was confirmed to be installed after Gookye’s founding Majin Dynasty. Therefore, the Sunghwang idiology should be estimated to be transmitted in the Later Three Kingdoms Era, that is, long before the Moonjong Era of Goryeo Dynasty. This origin wa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tutelary deity of Sunghwangsa in Yangsan. This study examined the position of Sunghwang-sa comparing the records of ancient literatures and the spot marked on an old map, along with dealing with records about Yeoje-dan, that is, a praying altar for calming down plagues, which had not received proper attention in previous researches. A possibility was recently suggested that Yang-ju, Kyunggi-do was miswritten as Yang-ju in the record of Yangju-soo, that is, the govenor of Yang-ju, related with Sunghwang-sa, Yangsan. However,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Yang-ju in the record of Yangju-soo was the present Yangsan on the basis of power change records of the Post Three Kingdoms. In the section of Sunghwang-sa, Yangsan in Shinjung Dongkuk Yeoji Seungram, the tutelary deity was separately mentioned. It was a peculiar case, considering the facts that tutelary deities were mentioned in only seven or eight literatures including the discussion of tutelary deities in the section of ‘People’ not in the section of ‘Ancestral Shrines’ Yangsan has Sunghwang-san as a guardian mount, and Sunghwangsansung, that is, Sunghwang Fortress Wall as a outer wall in addition. This was due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Yangsan, which was frequently under Japanese invasions and floodings from a local streams. This study highlighted these two characteristics as they could be an important clue in confirming comparatively the position of Sunghwang-sa, Yangsan and its tutelary deity.

      • KCI등재후보

        울진 12령 샛재[鳥嶺] 城隍祠와 褓負商團

        김도현(Kim Do-Hyeon) 실천민속학회 2010 실천민속학연구 Vol.16 No.-

        12령 길은 고대부터 경상북도 내륙지방과 울진 지역을 연결한 주요 교통로였다. 필자는 울진 鳥嶺 城隍祠 내에 걸려있는 현판 분석과 현지 조사를 통해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12령 길을 통하여 울진과 봉화를 동서로 연결하는 상업 교류가 활성화되면서 이들 지역 장시를 아우르는 보부상 조직이 존재하였음과, 이들 보부상이 일제 강점기에 이르러 해체되면서 선질꾼으로 그 명맥이 이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12령을 중심으로 활동한 이들 보부상[이후 선질꾼]들의 신앙 구심체 역할을 하였던 곳은 샛재 성황사인데, 제당의 운영이 지닌 의미는 첫째, 샛재 성황사에 모신 ‘鳥嶺城隍神’을 통해 보부상들이 안전과 싱압 활동의 번성을 기원하였다. 이와 함께 산'간이나 고갯마루에 있는 제당과 여기에서 모시는 신령의 변화과정을 ‘산신당의 산신→산신당의 성황→○○山[○○○嶺] 성황사의 성황’으로 설정한다면 샛재 성황사에서 모시는 ‘鳥嶺城隍神’은 지역의 전통을 반영하여 마지막 단계에 해당한다고 볼 수도 있다. 둘째, 각종 중수 현판의 제목을 보면 당시 보부상단에서 샛재 성황시를 신앙 공간으로서의 기능과 함께 선배 보부상들을 위한 齋舍로 활용하려는 의지가 투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일제 강점기에 접어들면서 샛재성황사 重修와 유지, 제사에 보부상단의 후예들과 선질꾼으로 대표되는 행상단들이 지속적으로 관여함으로써 보부상단의 전통을 이어가려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지역을 오가며 장사를 하였던 상단들이 쇠퇴하면서 자연스럽게 인근 마을 주민들에 의해 유지되었으나, 지금은 경제ㆍ사회ㆍ지형적인 영향으로 인해 그 명맥이 끊어져서 정기적으로 제사를 지내지 않는다. 울진 샛재성황사는 12령을 오가며 장사를 하였던 보부상단에 의해 유지되고, 이들을 위한 신앙 구심체 역할을 하였기에 자연 마을 내에 있는 제당 운영과는 구분될 수 있는 마을공동체 신앙의 한 형태를 보여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aeje Seongwhangsa of The Twelve Paths which was located in Uljin. The Seongwhangsa, Uljin saeje was the center of rituals for peddlers. The peddlers who conducted business between Uljin and Bonghwa prayed for security and prosperity of commercial activities leaning on Saeje Seongwhangsin. Judging from the 〈Jaesojungsubalgiin>, written on the board hanging in the Seongwhangsa, Uljin saeje, Seongwhangsa is believed to have been used as a village shrine, and as the shrine for the ancestral spirits of the peddlers. Although the formal organization of the peddlers disintegrated, the tradition of the peddlers has been well preserved by the reconstruction of Seongwhangsa, Ulgin satje and the rituals.

      • KCI등재

        조선 초기 城隍祠의 立地와 治所

        최종석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5 동방학지 Vol.131 No.-

        The City-god temple(ch‘enghuang miao 城隍廟) in China, located in Chou-hsiench‘eng(州縣城), had a close ties with chiso(the provincial administrative office, 治所). It was called sŏnghwang(city-god) temple in the early Chosun. However, spatial changes of the chiso in during late Goryeo to early Chosun led some of early Chosun city-god temples to be linked to earlier chiso while others were tied to contemporary chiso. In other words, the former city-god temples persisted through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even after they were established while the latter were ones that were built after the chiso were relocated. Since pre-Chosun chiso were located in chiso-sŏng(治所城) which were placed in mountain, the first city-god temples were also either located within mountain fortresses(sansŏng, 山城) or on mountains where fortresses were nearby. In contrast, contemporary chiso were located in fields resulting in latter city-god temples to be located in fields as well.

      • KCI등재

        大興 蘇都督祠와 邑治 城隍祠

        강성복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9 百濟硏究 Vol.49 No.-

        Daeheong area of Chungnam province is the last fortress where Baekje Dynasty fought the allied forces of Silla and Dang Dynasty. Interestingly, there has long existed ‘Sododoksa(蘇都督祠)’ that worships Sojeongbang(蘇定方) who is the leader to destroy Baekje Dynasty in this area. Also, in Daeheong area, except Sododoksa, there is another temple called ‘Seonghwoangsa(城隍祠)’ where people worshiped Sojeongbang as their village guardian. That is to say, one village had two temples to worship Sojeongbang, which seems difficult to understand. This paper is a field report to demonstrate existence of Sododoksa in Daeheong and Seonghwoangsa in Eupchi.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aejam Island(大岑島) where Sododoksa was allegedly located did not exist and it was built near a river eastern part of Bongsu Mountain(Imjon fortress). This place is located in Songjiyeon(宋之淵) area opposite of Jeongdang village of Sangjeong-ri. Sododoksa that was already destroyed in mid-sixteenth century is seen desolate near the pond. Meanwhile, Seonghwoangsa in Daeheong is located in the bottom of the mountain called Jeongdang beneath Imjon Fortress. It is confirmed that by the last nineteenth century, rituals for village gods hosted by female shamans and village officials were held here for several days. It is clear that the purpose of building Sododoksa and Seonghwoangsa were different from the first. Until the two temples were destroyed in Daeheong area, they played a role as separate shrine. Therefore, the recent assumption that Sododoksa became a part of Seonghwoangsa after King Sejong's temple reform is not convincing. Although in the early Josun Dynasty, there was an local atmosphere that people wanted to worship Sojeongbang as their village guardian, this was not dominant in Daeheong area before seventeenth century after Sododoksa was abolished. It verifies that along with termination of Sododoksa, popular belief on Sojeongbang as a village guardian rapidly disappeared. 任存城이 위치한 충남 대흥은 백제 부흥군이 나당연합군과 항쟁을 벌인 최후의 보루이다. 흥미롭게도 이곳에는 백제 멸망의 주역인 소정방을 모신 ‘蘇都督祠’가 오랜 세월 존재했다. 소도독사는 고려시대 나라에서 사신을 파견하여 춘추로 香祝을 내린 중요한 제사였고, 조선시대에는 지방관으로 하여금 그 제향을 받들게 했다. 이 글은 대흥의 소도독사와 읍치 성황사의 실체를 규명하기 위한 현장론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소도독사와 읍치 성황사의 위치 비정 및 상호 관련성을 밝히는데 역점을 두었다. 그 결과 소도독사가 위치했던 大岑島는 실재한 섬이 아니라 흡사 섬처럼 보이는 임존성 동쪽의 시냇가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이곳은 임존성 맞은편에 위치한 宋之淵 일대로, 16세기 중엽에 이미 무너져 내린 소도독사는 연못가에 황폐화된 채 쓸쓸하게 남아 있었다. 이에 반해 대흥의 성황사는 임존성 아래 속칭 중당으로 불리는 산기슭에 위치했으며, 19세기 후반까지 향리와 무당이 국태민안을 기원하는 성대한 굿이 베풀어졌다는 사실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따라서 소도독사와 성황사는 애당초 전혀 다른 사당으로 건립되었음이 분명하고, 대흥지역에서 그 기능을 다할 때까지도 각각 별도의 사당으로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세종의 祀典 정비 이후 소도독사가 성황사에 통합되었다는 최근의 주장은 성립하기 어렵다.

      • KCI등재

        유교적 신격과 무속적 신격의 공생 현장 -여수 돌산 군내리 당집과 당제를 중심으로-

        나경수 ( Kyung Soo Na ) 남도민속학회 2015 남도민속연구 Vol.30 No.-

        여수시 돌산읍 군내리에서는 매년 음력 섣달그믐에 당제를 모셔오고 있다. 당제를 모시는 당집은 1898년 성황사로 지어진 건물이다. 조선시대에 성황사는 국가의 공식종교에서 제사를 모시던 곳이었다. 그러나 1908년 성황사를 비롯하여 관청에서 모시던 지방의 제사제도가 혁파되었다. 더 이상 지방관들이 제사를 모시지 않게 된 성황사를 민간에서 받아들여 민간신앙의 건축물로 사용하게 되었다. 군내리의 당집도 본래 지방관이 제사를 모시는 성황사였지만, 지금은 마을에서 제사를 모시는 당집으로 사용되고 있다. 제사를 모시는 주체의 변화에 따라서 신봉되는 신격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주신이었던 성황신이 한쪽으로 밀리면서 중앙은 3존의 여신상이 자리를 차지했다. 당집 속의 여신상은 마을의 풍수지리와 일맥상통한다. 그러나 여신상을 모시게 된 계기가 풍수지리와 관련이 있었다고 할지라도, 지금 모셔지고 있는 의미로 보면 거리가 있다. 오히려 3여신상은 무속적인 신격으로 간주되며, 풍요다산과 부귀다남이라는 마을사람들의 집단적 소망을 표상한다. 일종의 성신앙적 생산신 또는 지모신의 성격이 두드러진 것이다. Traditionally, on the eve of the Lunar New Year, Koreans perform the dangje.a ritual where the people of a village gather to wish for a year of bountiful harvests and good health. A notable performance of dangje lives on in Yeosu in southwest Korea, in the village of Gunnae in Dolsan Township. Dangjip, the ritual house where the dangje is held, was built in 1898 as part of Seonghwang temple. Throughout the latter Joseon dynasty, it was host to local performances in service of the state religion, Confucianism, but in 1908 reforms disestablished Seonghwang and the site became used for folk religion. Governors working in Dolsan used the building for commemorative rites, but today is used for religious services for local residents. The subject of worship has changed as well. In the center of the site, the male patron god of Seonghwang was replaced by three female goddesses. The goddess statues have roots in Chinese Feng Shui, yet while the original reason to worship the goddesses was born of Feng Shui tradition, they have been remodeled as objects of worship in a way befitting Korean shamanism. They represent the collective hopes of the village: fertility, fecundity, and wealth. Faith in and worship of the goddesses for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Mother Earth are the most pronounced.

      • KCI등재

        유교적 신격과 무속적 신격의 공생 현장-여수 돌산 군내리 당집과 당제를 중심으로-

        나경수 남도민속학회 2015 남도민속연구 Vol.30 No.-

        Traditionally, on the eve of the Lunar New Year, Koreans perform the dangje–a ritual where the people of a village gather to wish for a year of bountiful harvests and good health. A notable performance of dangje lives on in Yeosu in southwest Korea, in the village of Gunnae in Dolsan Township. Dangjip, the ritual house where the dangje is held, was built in 1898 as part of Seonghwang temple. Throughout the latter Joseon dynasty, it was host to local performances in service of the state religion, Confucianism, but in 1908 reforms disestablished Seonghwang and the site became used for folk religion. Governors working in Dolsan used the building for commemorative rites, but today is used for religious services for local residents. The subject of worship has changed as well. In the center of the site, the male patron god of Seonghwang was replaced by three female goddesses. The goddess statues have roots in Chinese Feng Shui, yet while the original reason to worship the goddesses was born of Feng Shui tradition, they have been remodeled as objects of worship in a way befitting Korean shamanism. They represent the collective hopes of the village: fertility, fecundity, and wealth. Faith in and worship of the goddesses for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Mother Earth are the most pronounced. 여수시 돌산읍 군내리에서는 매년 음력 섣달그믐에 당제를 모셔오고 있다. 당제를 모시는 당집은 1898년 성황사로 지어진 건물이다. 조선시대에 성황사는 국가의 공식종교에서 제사를 모시던 곳이었다. 그러나 1908년 성황사를 비롯하여 관청에서 모시던 지방의 제사제도가 혁파되었다. 더 이상 지방관들이 제사를 모시지 않게 된 성황사를 민간에서 받아들여 민간신앙의 건축물로 사용하게 되었다. 군내리의 당집도 본래 지방관이 제사를 모시는 성황사였지만, 지금은 마을에서 제사를 모시는 당집으로 사용되고 있다. 제사를 모시는 주체의 변화에 따라서 신봉되는 신격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주신이었던 성황신이 한쪽으로 밀리면서 중앙은 3존의 여신상이 자리를 차지했다. 당집 속의 여신상은 마을의 풍수지리와 일맥상통한다. 그러나 여신상을 모시게 된 계기가 풍수지리와 관련이 있었다고 할지라도, 지금 모셔지고 있는 의미로 보면 거리가 있다. 오히려 3여신상은 무속적인 신격으로 간주되며, 풍요다산과 부귀다남이라는 마을사람들의 집단적 소망을 표상한다. 일종의 성신앙적 생산신 또는 지모신의 성격이 두드러진 것이다.

      • KCI등재

        군현 제의 공간 변화의 상징적 의미 해석 -의성군의 성황사와 진민사, 오토산을 중심으로-

        김덕현 ( Kim Duk-hyu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7 嶺南學 Vol.0 No.62

        이 연구는 의성군의 지리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여, 의성의 지역 공동체 제의 공간인 성황사와 진민사의 입지 변화를 해석하고, 오토산 김용비 묘에 대한 전통 지리학적 이해를 추구했다. 경상분지 안의 소분지인 의성읍과 금성면은 의성군의 대표적인 역사적 생활공간으로 의성군의 제의 시설이 집중된 곳이다. 의성군 금성면 고분군과 의성읍의 성황사ㆍ진민사는 모두 초월적 세계와 소통하여 공동체의 번영을 기원하고 정체성을 확인 강화하는 지역공동체의 제의 공간으로 시작되었다. 성황사에서 기원하는 충렬사와 진민사는 조선시대의 유교적 제의화 과정에서 쇠퇴하거나, 성격을 바꾸어 발전하는 상반된 적응 현상을 나타냈다. 조선시대 후기에 진민사는 운영 주도 집단이 의성읍민(향중)에서 의성김씨(문중)으로, 입지는 의성 읍내에서 김용비의 묘소가 있는 오토산으로 이동하는 추세를 보였다. 전통지리학적 관점에서, 의성군의 지리는 산줄기 계통으로 설명된다. 오토산은 금성 모양의 토산으로 풍수적으로 자손을 번성시키고 많은 백성을 보살피는 명당으로 알려졌다. 현대 사회에서 전통적 제의는 지역공동체 축제의 문화적 기초이다. 금성산 고분과 비봉설화, 그리고 오토산 풍수형국은 산을 매개로 자연과 감통(感通)하여 천인합일(天人合一)하고자 하는 우리 전통지리 사상이 현대 한국인과 다시 친근해지는 스토리텔링의 소재가 된다. Based on the understanding geography of Uiseong-gun, this study focuses on the historical geography of shrine to the village deity, Jinminsa, and the traditional geographical interpretation about the location of Kim Yong-Bi's tomb on Autosan. Uiseong-gun is a small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Small basins such as Uiseong-eup and Geumsung-myeon are representative historical living spaces of Uiseong-gun. I examined the changing trends of regional commemorative rite such as Chungyeolsa and Jinminsa. Jinminsa, the shrine that made a commemorative rites for the Uiseong-Kim’ prime ancestor developed successfully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by movement of its location. In late Joseon dynasty, the hegemonic group of Jinminsa was changed from regional community to clan community of Uiseong-Kim and the location of Jinminsa moved from inner city to mountain area of Kim Yong-Bi's tomb on Autosan. In the standpoint of traditional Korean geography, The advantageous positions of Uiseong-gun were studied and fengshui perception about Autosan explored. In contemporary societies, traditional place and story offer cultural foundations of the Community Festival. Also, it is a useful material of storytelling to the Korean people who want to become familiar with the nature.

      • KCI등재

        조선시대 읍치 성황제의 이원성과 순창의 향리 사회 그리고 이들의 역사 서사로서 성황대신사적기

        이훈상 진단학회 2022 진단학보 Vol.- No.138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라도 순창의 성황사의 현판에는 1563년, 1633년, 1743년, 1754년 그리고 1823년에 작성한 기문들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중에는 고려시대인 1281년과 1297년의 성황 첩문도 수록하여 일찍부터 많은 관심을 모았다. 그런데 이 기문의 서술 주체는 순창 향리로서 향리들이 주재하는 성황제와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이 기문들은 향리들의 시점과 목소리를 담은 역사적 서사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 같은 전제 아래 중요한 역사적 현실을 담고 있는 1563년과 1743년의 기문에 초점을 맞추어 순창 향리들의 변화하는 현실에 대한 대응 노력과 그 의미를 밝혔다. 그 결과 1563년의 기문은 조선왕조의 祀典에 기초한 성황제의 표준화에 대응하여 향리 중심의 오랜 성황제를 암묵적으로 인정받고 이를 드러내는 등 읍치 성황제의 이원성의 역사를 보여주는 기념비적인 작업으로 보았다. 그리고 1743년의 것은 17세기 이후 향리사회의 종족화에 따른 가계 분화 및 율생들의 증가에 따른 이서집단의 이원화와 1728년 무신난 이후 지방 통제에 따른 향리들의 긴장과 불안이 성황사 중수 프로젝트를 통한 문화적 통합 노력으로 이어졌음을 알려준다고 이해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