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봉암사 결사의 정신과 퇴옹성철의 역할

        서재영 한국선학회 2007 한국선학 Vol.18 No.-

        봉암사 결사는 1945년 ‘부처님 법대로’라는 기치아래 문경 봉암사에서 행해진 스님들의 수행 결사를 말한다. 현대 한국불교의 서막을 열었던 이 결사는 4명의 조계종 종정과 7명의 총무원장을 비롯해 여러 명의 고승들을 배출한 기념비적 사건이다. 이는 봉암사 결사에 참여했던 인물들이 현대 한국불교의 근간을 이루어 왔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봉암사 결사의 정신과 수행전통은 이들에 의해 조계종의 종풍(宗風)으로 계승되면서 한국불교의 보편적 전통으로 확산되었다. 이 같은 의미를 지닌 봉암사결사에서 성철스님의 역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성철스님은 청담스님과 함께 봉암사 결사를 주도적으로 조직하였다. 청담스님 역시 봉암사 결사의 준비와 운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1947년 봉암사 결사가 출범할 당시에는 동참하지 못했다. 따라서 봉암사 결사를 조직하고 결사의 기틀을 잡은 것은 성철스님의 주도로 진행되었다. 둘째, 성철스님은 ‘전체적으로나 개인적으로나 임시적 이익관계를 떠나서 오직 부처님 법대로만 살아보자’라는 것을 결사의 원칙으로 내세웠다. 당시 시대적 상황은 일본불교의 영향으로 대처승(帶妻僧)들이 교단의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갖가지 미신과 비불교적 요소들이 만연해 있었다. 성철스님은 이 같은 상황을 일소하고 정법(正法)을 회복하기 위해 ‘부처님 법대로’라는 사상적 원칙을 통해 봉암사 결사의 정신적 근간으로 삼았다. 셋째, 성철스님은 공주규약(共住規約)이라는 엄격한 수행규칙을 통해 쇠락한 불교의 교법을 복구시키고자 했다. 모두 18개 조항으로 구성된 공주규약은 봉암사 결사의 성격을 고스란히 담고있으며, 당시의 수행생활을 생생히 보여주고 있다. 공주규약은 헤이해진 승가의 규율을 바로잡고 결사의 정신을 대중들과 공유하는 근거가 되었다. 넷째, 성철스님은 봉암사 결사를 통해 깨달음을 위해 매진하는 올곧은 수행자의 모습을 정립했다. 당시 승려들은 갖가지 기복적 의례를 행하는 것을 출가자의 중심적 역할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것은 부처님께서 부정하셨던 제사장의 역할에 매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성철스님은 각종 기복적 의례를 폐지함으로써 왜곡된 출가자의 이미를 혁파하고, 수행자 본연의 모습을 확립하고자 했다. 다섯째, 성철스님은 봉암사 결사에 참여한 수행자들에게 세속적 가치와 질서로부터 초연한 탈속적 승가상을 확립했다. 출가자라면 누구나 생사윤회로부터 해탈하겠다는 원대한 꿈을 가져야 하며, 세속적 가치와 질서로부터 자유로워야 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정신적 원칙을 통해 시대적 혼돈으로부터 불교를 지켜내고 불교의 정신을 재정립했다. 여섯째, 성철스님은 봉암사 결사를 통해 노동과 수행을 병행하는 선농일치(禪農一致)의 가풍(家風)을 되살렸다. 봉암사 대중들은 의례를 통해 얻어지는 시주물을 거부하고 사찰 소유의 토지에서 나오는 소작료도 거부했다. 대신 걸식과 노동을 통해 자급자족하는 선종의 수행전통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상과 같은 봉암사 결사의 정신과 전통은 왜색불교(倭色佛敎)로 인해 와해된 승가상을 다시 복원하고 한국불교의 정통성, 나아가 불교의 정통성을 확립해 내는 계기가 되었다. 나아가 이 같 은 결사의 전통은 조계종의 사상적 근간으로 수용되면서 현대한국불교의 전통으로 자리 잡았다고 평가할 수다. In 1945, under the banner of 'living like the Buddha's dharma' an association was formed at Bongamsa in Mungyeong. The Bongamsa association that heralded modern Korean Buddhism is a landmark event that produced four supreme patriarchs, seven presidents, and several illustrious monks of the Jogye order. This means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association played fundamental roles in developing modern Korean Buddhism. They passed down the spirit and practice tradition of the association as the spirit of the Jogye order, establishing it as universal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This study summarized the monk Seongcheol's role in forming the Bongamsa association as follows. First the monk Seongcheol, along with Cheongdam, played a leading role in organizing the association at Bongamsa. But the monk Cheongdam failed to participate in the foundation of the association, though h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reparing the foundation. Thus, the monk Seongcheol led the organization and initial development of the association. Second, the monk Seongcheol established the principles of the association that tell people to 'live like the Buddha's dharma' beyond individual or group's temporary interests. At the time, due to the influence of Japanese Buddhism, married monks became mainstream. In addition, a variety of superstitions and non-Buddhist factors were prevalent across the nation. Therefore, in an effort to sweep away such inappropriate practices and restore dharma, he set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association called 'live like the Buddha's dharma'. Third, the monk Seongcheol tried to restore degraded Dharma through strict rules of conduct called Gongjugyuyak. Gongjugyuyak which consists of 18provisions is the embodiment of the features of the Bongamsa association and vividly shows the way people practiced Buddhism at the time. Gongjugyuyak tightened the relaxed rules of Buddhism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share the spirit of the association with the public. Fourth, the monk Seongcheol established the appropriate attitudes of monks to ceaselessly make efforts to gain enlightenment. At the time, lots of monks regarded performing a variety of rituals seeking blessing as their main role. This indicates monks were preoccupied with administering rituals which were denied by Buddha. The monk Seongcheol tried to abolish all kinds of rituals to lead monks to discard the distorted attitudes of monks and establish themselves as proper followers. Fifth, the monk Seongcheol established the unworldly image of the monk who was not disturbed by the value and order of the material world. That was because he believed every monk should dream of being liberated from an ongoing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and be free of the value and order of the material world. Based on this principle, he protected Buddhism from turbulent social situations and reestablished the spirit of Korean Buddhism. Sixth, the monk Seongcheol restored the monk-farmer principle, under which monks were required to practice Buddhism and, at the same time, work for food. Monks at Bongamsa refused donations made through rituals and did not receive rent income gained from the property of the temple. Instead, they tried to follow the traditional way of Zen Buddhist practice to gain food by working or begging. The spirit and tradition of the Bongamsa association became an opportunity to resuscitate the image of monk degraded by Japanese Buddhism and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Korean Buddhism. Furthermore, the tradition of the association developed into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Jogye order, establishing itself as the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 KCI등재

        현대인의 정신적 위기 극복으로서의 성철(性徹)의 간화선 사상

        김선근 ( Sun Keun Kim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4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0 No.1

        필자는 이 논문에서 현대인의 정신적 위기 극복으로서의 성철(性徹, 1912∼1993) 간화선 사상을 考究했다. 오늘날 우리는 기능적 가치관과 시장형 인간관으로 인간 존엄성 상실과 소외, 핵전쟁의 공포, 인구증가에 따른 식량의 문제, 공업화에 따른 빈부의 격차, 자원의 고갈, 환경의 오염 등으로 인류의 미래를 예측하기 어렵게 하는 위기의 문제들에 봉착하고 있다. 이런 현대인의 정신적 위기의 뿌리인 見濁(drsti-kasaye, the decay of views)을 치유할 수 있는 중도의 정견(samyagdrsti)을 성철(1912∼1993)의 간화선 사상에서 찾고자 했다. 이를테면 혜능(638∼713)이나 대혜(1089∼1163)의 禪은 그들의 시대에 있었던 문제의식과 그것에 대한 해결책이었다. 禪이 표방하는 중생이 곧 부처라는 명제는 시간과 공간을 일관하는 초시간적이고 초공간적인 禪적 진리이다. 스님께서 주장하는 중도는 단순히 교학적 이론이 아니라 궁극적 실재를 증득한 깨달음의 경지로 인식해야 한다. 그래서 중도는 깨쳐야만 알 수 있는 증지소지비여경(證知所智非餘境)이다. 중도는 깨달아야 아는 경지이므로 성철 스님은 화두를 참구하는 간화선 수행을 철저히 강조하셨다. 또한 성철 스님은 다음과 같이 불공의 의미와 방향을 분명하게 말씀하셨다. 우리 불교에서는 근본 생활을 불공하는 데 두어야 합니다. 모든 존재, 모든 상대가 부처인 줄 알면서 부처님으로 섬기고 존경하고 봉양한다면 극락세계를 따로 갈 필요가 없습니다. 이대로가 극락세계가 아닐래야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러니 모든 인간이 모든 생명이 본래 부처라는 것부터 알아야 됩니다. 스님은 부처님의 가르침은 자성(自性)을 바로 깨치는 길, 즉 깨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근본이다라고 새삼스럽게 강조 하셨다. 이런 강조는 스님 당시의 기복중심적인 신앙풍토 속에서 부정되고 사라져 버린 자각(自覺)의 전통을 다시 일깨우려는 뜻이다. 스님의 시대적 상황은 종단 내적으로나 국가적 차원으로나 무서운 병은 분열과 갈등이었다. 원효(元曉, 617-686)스님이 화쟁(和諍)의 원리로써 삼국의 분열과 갈등을 치유했던 것처럼, 스님이 중도(中道)와 불공(佛供)사상을 강조한 것은 전체 불교사를 재정립한 것이며 시대를 향도(嚮導)한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Seong- cheol`s Ganhwa Seon Thought as a Principle of reconcilation of the Mental Crisis of Modern Man. During the last few decades there have been enormous develop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have practically changed the face of the earth. But in spite of the great achiev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we find that there prevails a certain chaos and confusion at all levels - individual, social, moral, religious, politic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We find people going from bad to worse everyday. There is confusion and anarchy at all levels of human existence. In the face of these circumstances the need of the hour is the spiritual regeneration of human society. Master Seong-cheol(1912-1993) was a mentor who lived with us in the same age. In the Seonmun- jeongro, he delivered the preaching of the middle path. From the viewpoint of Seong-cheol Seon,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 is incomplete theory of Enlightenment. Nevertheless, it has been regarded as a guiding principle of Seon practice for last over 8 hundred years of Korean Seon. Therefore Seong-cheol criticize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strongly, and expounded the true meaning of ultimate Enlightenment which can be attained only through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The meaning of Seong-cheol Seon in the history of Buddhism lies in the fact that he clarified the supreme principle of Buddhim is the Middle Path in his Dharma Teachings. The distinguishing points in His understanding of the Middle Path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him, the meaning of the Middle Path is blocking up of both sides of one`s viewpoint, that is, giving up relative contradiction entirely. To get the great freedom of one`s mind, one must leave from both sides of the practical world, and then one can reach a point where both the sides are illuminated totally. This world of the Middle Path is regarded as ``a realm without hindrance``. Second, according to Master Seong-cheol, all beings of the world are empty.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that they are nothingness. All beings are empty in the sense of the Middle path, that is, that are empty beyond the contradiction between affirmation and negation. It is because not only all living beings have Buddha-nature but also their own nature is empty that we can see Self-nature and realize nirv?na from sa?s?ra by means of removing avidy? or fundamental ignorance. Since Buddha resides in every home, your parents are Buddha. So serving your parents is a genuine Buddhist offering. Since Buddha lives on every str eet, the poor and the weak are Buddha. So serving them is a genuine offering. Since Buddha is everywhere, we have an eternity of incalculable offerings to make. The joy of living can be found in serving and making offerings to all these countless Buddhas! Serving Buddhas everywhere is the noble vow of all Buddhas and Bodhisattvas, and the very basis of Buddhism. So we should be eternally grateful to the Buddha S?kyamuni for teaching us this noble law, and we should lead a life full of genuine Buddhist offerings. The Middle Path and Buddhist offering form the crux of his philosophy and represent the metaphysics and ethics he preached and practised. Hence I prefer to call Seong-cheol`s philosophy metaphysical ethics.

      • KCI등재

        봉암사 결사와 그 불교사적 의미

        이종수 한국선학회 2017 한국선학 Vol.48 No.-

        The Bongamsa Association, led by Buddhist monks Sŏngch’ŏl and Chungdahm, was started in the fall of 1947 as a way to live under Buddhism law and teaching. However, Sŏngch’ŏl left Bongamsa in the fall of 1949 when North Korean partisans invaded. That is when even Bongamsa plunged into war. Furthermore, the association eventually remained unfinished because many Buddhist monks left Bongamsa in the spring of 1950. The spirit of the association has strongly influenced Buddhism. Of the Buddhist monks who participated in the Bongamsa association there were four principal leaders of the Jogye Order and seven executive chiefs. The background of the Bongamsa Association could be the restoration of performance customs in Korean Buddhism, rejection of Japanese Buddhism, thorough practice asceticism of Sŏngch’ŏl, social religious belief, etc. In terms of the restoration of performance customs, there is referenced the System of Angeo of the three Kingdom period, performance customs of the Goryo and Joseon dynasties and practice asceticism of Buddhists in the Joseon dynasty as the background. Moreover, there is a narrated rejection of Japanese Buddhism in terms of meeting the demands of the times. There is also written the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cultivation as practice asceticism of Sŏngch’ŏl, and about sponsors of believers as the background of social religious belief. The historical meanings of the Bongamsa Association are written in six parts. There are three positive aspects as the former and three negative aspects as the latter. First, there is written recovery of the Buddhist priesthood precepts. Second, the focus is on restoration of performance custom in Korean Buddhism. Third is the establishment of Korean Buddhism identity focused on Ganhwaseon. Fourth, there is the written prelude of the Order schism (the Jogye Order and the Taego Order). Fifth is the tendency of education and scholarship contempt caused by excessive virtue. Sixth is the negligence of preservation of traditional culture in Korean Buddhism. 봉암사 결사는 “부처님 법대로 조사님 가르침대로” 살아보자는 취지에서 성철 스님과 청담 스님이 주도하여 1947년 가을에 시작되었다. 그러나 빨치산이 봉암사까지 침범하여 전쟁으로 치닫던 1949년 가을에 성철 스님이 봉암사를 먼저 떠나고, 그 이듬해 1950년 봄에 청담 스님을 비롯한 스님들이 봉암사를 떠나면서 결사는 미완성으로 끝나고 말았다. 하지만 그 결사의 정신은 지금까지도 불교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봉암사 결사에 참여했던 스님 중에 조계종의 종정 4명과 총무원장 7명이 배출되었다. 봉암사 결사의 배경으로는 한국불교 수행전통의 복원, 왜색불교의 배격, 성철 스님의 투철한 수행정신, 사회적 불교 신앙 등으로 정리할 수 있겠다. 수행전통의 복원이라는 측면에서는 삼국시대 이래의 안거 제도, 고려·조선시대의 수행전통, 조선시대 승려의 수행 정신을 그 배경으로 언급하였고, 왜색불교 배격에서는 시대적 요청의 부응이라는 측면에서 서술하였다. 그리고 성철 스님의 수행정신으로서는 돈오돈수를 들었고, 사회적 불교 신앙의 배경으로는 신도들의 후원에 대해 서술하였다. 봉암사 결사의 불교사적 의미에 대해서는 여섯 가지로 서술하였다. 먼저 긍정적인 측면 세 가지를, 뒤에 부정적인 측면 세 가지를 언급하였다. 첫째 승가 계율 정신의 회복, 둘째 한국불교 수행전통의 복원, 셋째 간화선 중심의 한국불교 정체성 확립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리고 넷째 조계종과 태고종으로 갈라지게 되는 종단 분열의 서막, 다섯째 지나친 선 중심으로 인한 교학 경시 풍조, 여섯째 한국불교 전통문화의 보존 소홀에 대해 서술하였다.

      • KCI등재

        성철스님의 차원별 법문과 『선문정로』의 위상

        강경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60

        우리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만나 그것을 믿고(信), 이해하고(解), 실천하고(行), 깨닫는(證) 경로를 걷게 된다. 그것은 혹은 순차적으로 혹은 동시에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성철스님의 법문에는 청법자의 단계를 고려한 흔적이 역력하다. 그리하여 믿음을 일으키는 법문에는 불필스님이 출가 전에 성철스님에게서 받은 『기신노트』와 대학생불교연합회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영원한 자유』 등이 있고, 이해를 심화시키는 법문에는 『백일법문』 등이 있으며, 실천을 이끄는 법문으로는 『선문정로』가 있다. 여기에 깨달음의 세계를 가감 없이 드러낸 『무엇이 너의 본래면목인가』의 법문이 더해진다. 물론 이 법문들이 단계별로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며, 심지어 각 단계는 다른 단계를 포함하기까지 한다. 무엇보다 신해행증의 모든 단계에 화두 참구를 강조하는 법문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철스님의 법문은 오직 하나의 주제로 통일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성철스님의 법문을 신해행증의 차원으로 나누어 이해하는 것은 스님의 법문을 넓게 수용하는 데 도움이 되고, 『선문정로』의 실천에 앞서 선행해야 할 학습 내용이 있다는 점을 확인하는 계기가 된다. 무엇보다도 스님의 법문 상호 간에 일어나는 충돌을 함께 수용할 수 있는 지평이 확보된다. 진리에 대한 귀의와 신심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기신노트』는 현상적 분별과 세간적 집착을 벗어나지 못한 차원의 세속인들을 불법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법문이다. 그러므로 사례 중심으로 흥미성을 높이는 한편, 위인전 방식으로 불법에의 성공을 꿈꾸도록 하는 언술전략을 취하고 있다. 나아가 속세적 삶의 유한성과 득도한 삶의 영원성을 대비시키는 방식으로 불법에 대한 믿음과 수행의지를 북돋우고자 하는 의도가 분명하게 드러나 있다. 불법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기 위한 법문은 주로 출가수행자를 대상으로 하는데 그 전형은 『백일법문』(1967.12.4.~1968.2.18)이다. 『백일법문』의 설법대상은 1967년 해인총림의 동안거 결재에 참가한 대중들이었다. 그 청법대상은 많은 대중, 젊은 출가승, 선방의 수좌들과 강원의 학인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법문이었기 때문에 『백일법문』은 깨달음의 종지, 과학성과 합리성의 강조, 교리로서의 중도와 깨달음으로서의 중도를 함께 보여주는 법문을 전개한 것이다. 성철스님은 믿음을 일으키고 이해를 심화시키는 선행법문을 전제로 하여 본격적인 화두 참구의 실천에 들어간 청법자들을 위해 『선문정로』를 설했다. 첫째, 교학적 지식과 이해, 즉 지해를 철저하게 배격하는 입장을 분명히 한다. 둘째, 『선문정로』는 불법교리의 의미범주를 극단적으로 축소하는 법문으로 일관한다. 셋째, 화두 드는 법에 대한 구체적 가르침이 없다는 것 또한 『선문정로』의 설법의 한 특징이다. 그것은 설법의 지향이 선의 ‘근본’을 밝히는 데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근본’이란 무엇인가? 성철스님이 강조한 바와 같이 “선문의 근본은 견성”에 있고, 『선문정로』의 근본사상은 ‘견성과 견성 아님’을 가르는 데 있다. We meet the Buddha's teachings and walk the path of believing, understanding, practicing, and realizing them. It may take place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Master Seongcheol's sermons clearly show traces of consideration of the stage of the listener. Sermons that generate faith include Notes for the awakening of faith(기신노트), which Bulpil received from Master Seongcheol before becoming a monk, and Eternal Freedom(영원한 자유), which was written for students of the University Buddhist Association. The sermons that deepen understanding include The 100 days of preaching(백일법문), and the sermons that lead to practice include The right path to Zen(선문정로). Here, the sermon of What is your true self(무엇이 그대의 본래면목인가), which reveals the world of enlightenment as it is, is added. Of course, these teachings are not clearly divided into stages, and each stage even includes other stages. Above all, in that it is premised on a teaching that emphasizes questioning(화두) at all stages, it can be said that Monk Seongcheol's teachings are unified by only one theme. Nevertheless, understanding Seongcheol's teachings by dividing them into dimensions is helpful in broadly accepting the monk's teachings. It serves as an opportunity to confirm that there are learning contents that must precede the practice of The right path to Zen(선문정로). Above all, a horizon that can accommodate the conflicts that arise between the Master Seongcheol' sermons is secured. the awakening of faith(기신노트) is a sermon aimed at attracting worldly people who are unable to escape from phenomenal discernment and worldly obsession into Buddhist law. Therefore, this sermon adopts a speech strategy that increases interest by focusing on cases and makes people dream of success in Buddhism in the form of biographies of great people. It seeks to encourage belief in Buddhism and the will to practice it by contrasting the finitude of worldly life with the eternity of enlightened life. Sermons to deepen understanding of Buddhism are mainly aimed at monastic practitioners, and the typical example is 100 days of preaching(백일법문). The listeners consisted of many members of the public, young monks, monks of Zen Buddhism, and scholars from Gangwon Province. Therefore, this sermon emphasizes the end of enlightenment, scientificity and rationality, and the doctrine of the middle way. Master Seongcheol preached he right path to Zen(선문정로) for believers who entered into the practice of full-fledged meditation on hwadu, assuming the stage of faith and understanding. Master Seongcheol preached the right path to Zen(선문정로) for practitioners who entered into full-scale meditation practice, assuming the stage of faith and understanding.

      • KCI등재

        성철스님의 차원별 법문과 『선문정로』의 위상

        강경구 ( Kang Kyong-ko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60

        우리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만나 그것을 믿고(信), 이해하고(解), 실천하고(行), 깨닫는(證) 경로를 걷게 된다. 그것은 혹은 순차적으로 혹은 동시에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성철스님의 법문에는 청법자의 단계를 고려한 흔적이 역력하다. 그리하여 믿음을 일으키는 법문에는 불필스님이 출가 전에 성철스님에게서 받은 『기신노트』와 대학생불교연합회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영원한 자유』 등이 있고, 이해를 심화시키는 법문에는 『백일법문』 등이 있으며, 실천을 이끄는 법문으로는 『선문정로』가 있다. 여기에 깨달음의 세계를 가감 없이 드러낸 『무엇이 너의 본래면목인가』의 법문이 더해진다. 물론 이 법문들이 단계별로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며, 심지어 각 단계는 다른 단계를 포함하기까지 한다. 무엇보다 신해행증의 모든 단계에 화두 참구를 강조하는 법문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철스님의 법문은 오직 하나의 주제로 통일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성철스님의 법문을 신해행증의 차원으로 나누어 이해하는 것은 스님의 법문을 넓게 수용하는 데 도움이 되고, 『선문정로』의 실천에 앞서 선행해야 할 학습 내용이 있다는 점을 확인하는 계기가 된다. 무엇보다도 스님의 법문 상호 간에 일어나는 충돌을 함께 수용할 수 있는 지평이 확보된다. 진리에 대한 귀의와 신심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기신노트』는 현상적 분별과 세간적 집착을 벗어나지 못한 차원의 세속인들을 불법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법문이다. 그러므로 사례 중심으로 흥미성을 높이는 한편, 위인전 방식으로 불법에의 성공을 꿈꾸도록 하는 언술전략을 취하고 있다. 나아가 속세적 삶의 유한성과 득도한 삶의 영원성을 대비시키는 방식으로 불법에 대한 믿음과 수행의지를 북돋우고자 하는 의도가 분명하게 드러나 있다. 불법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기 위한 법문은 주로 출가수행자를 대상으로 하는데 그 전형은 『백일법문』(1967.12.4.~1968.2.18)이다. 『백일법문』의 설법대상은 1967년 해인총림의 동안거 결재에 참가한 대중들이었다. 그 청법대상은 많은 대중, 젊은 출가승, 선방의 수좌들과 강원의 학인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법문이었기 때문에 『백일법문』은 깨달음의 종지, 과학성과 합리성의 강조, 교리로서의 중도와 깨달음으로서의 중도를 함께 보여주는 법문을 전개한 것이다. 성철스님은 믿음을 일으키고 이해를 심화시키는 선행법문을 전제로 하여 본격적인 화두 참구의 실천에 들어간 청법자들을 위해 『선문정로』를 설했다. 첫째, 교학적 지식과 이해, 즉 지해를 철저하게 배격하는 입장을 분명히 한다. 둘째, 『선문정로』는 불법교리의 의미범주를 극단적으로 축소하는 법문으로 일관한다. 셋째, 화두 드는 법에 대한 구체적 가르침이 없다는 것 또한 『선문정로』의 설법의 한 특징이다. 그것은 설법의 지향이 선의 ‘근본’을 밝히는 데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근본’이란 무엇인가? 성철스님이 강조한 바와 같이 “선문의 근본은 견성”에 있고, 『선문정로』의 근본사상은 ‘견성과 견성 아님’을 가르는 데 있다. We meet the Buddha's teachings and walk the path of believing, understanding, practicing, and realizing them. It may take place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Master Seongcheol's sermons clearly show traces of consideration of the stage of the listener. Sermons that generate faith include Notes for the awakening of faith(기신노트), which Bulpil received from Master Seongcheol before becoming a monk, and Eternal Freedom(영원한 자유), which was written for students of the University Buddhist Association. The sermons that deepen understanding include The 100 days of preaching(백일법문), and the sermons that lead to practice include The right path to Zen(선문정로). Here, the sermon of What is your true self(무엇이 그대의 본래면목인가), which reveals the world of enlightenment as it is, is added. Of course, these teachings are not clearly divided into stages, and each stage even includes other stages. Above all, in that it is premised on a teaching that emphasizes questioning(화두) at all stages, it can be said that Monk Seongcheol's teachings are unified by only one theme. Nevertheless, understanding Seongcheol's teachings by dividing them into dimensions is helpful in broadly accepting the monk's teachings. It serves as an opportunity to confirm that there are learning contents that must precede the practice of The right path to Zen(선문정로). Above all, a horizon that can accommodate the conflicts that arise between the Master Seongcheol' sermons is secured. the awakening of faith(기신노트) is a sermon aimed at attracting worldly people who are unable to escape from phenomenal discernment and worldly obsession into Buddhist law. Therefore, this sermon adopts a speech strategy that increases interest by focusing on cases and makes people dream of success in Buddhism in the form of biographies of great people. It seeks to encourage belief in Buddhism and the will to practice it by contrasting the finitude of worldly life with the eternity of enlightened life. Sermons to deepen understanding of Buddhism are mainly aimed at monastic practitioners, and the typical example is 100 days of preaching(백일법문). The listeners consisted of many members of the public, young monks, monks of Zen Buddhism, and scholars from Gangwon Province. Therefore, this sermon emphasizes the end of enlightenment, scientificity and rationality, and the doctrine of the middle way. Master Seongcheol preached he right path to Zen(선문정로) for believers who entered into the practice of full-fledged meditation on hwadu, assuming the stage of faith and understanding. Master Seongcheol preached the right path to Zen(선문정로) for practitioners who entered into full-scale meditation practice, assuming the stage of faith and understanding.

      • 퇴옹성철의 중도법문이 한국불교에 미친 영향

        서재영 ( Seo Jae-young ) 성철사상연구원 2021 퇴옹학보 Vol.18 No.-

        성철 스님은 1967년 해인총림의 방장에 추대된 이후 약 100일에 걸쳐 대중들을 대상으로 한 법문을 설했다. 시간적으로 백일 동안 설했기 때문에 이 법문을 백일법문(百日法門)이라고 한다. 백일법문의 중심 내용은 불교의 중도(中道)사상으로 불교사상을 종합한 것이다. 따라서 백일법문의 핵심은 중도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성철 스님이 중도사상을 설파하던 1960년대는 사회적으로나 교단적으로나 대립과 갈등으로 점철된 시절이었다. 사회는 진보와 보수, 남한과 북한, 친일과 반일, 비구와 대처와 같이 사회적으로 강제된 이슈에 의해 대립하고 갈등하고 있었다. 성철 스님은 당대의 시대적 고통은 서로를 갈라놓는 분열의 담론, 갈등과 대립이라는 극단적 사고가 고통의 근원적 원인이라고 파악한다. 따라서 성철 스님은 당대를 지배하던 이와 같은 고(苦)의 양상을 직시하고, 그 해법으로써 중도사상을 제시했다. 성철 스님은 불교의 중도사상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그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나아가 사회적 갈등을 치유하는 해법으로써 중도사상을 제시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Master Sungchol gave his sermons based on Buddhist textual tradition for approximately 100 days after his appointment as Bangjang(方丈) of Haeinchongrim(海印叢林) in 1967. Since his sermon continued for around 100 days, it was called "Sermon of One Hundred Days," in which he encompassed all Buddhist teachings based on Middle Path. The core content of this sermon is centered around the concept of Middle Path. In the 1960s when he spread his idea of Middle Path, there was a series of confrontation and conflict in Korean secular as well as religious society. In the society, people were confronting each other over issues on progressive or conservative, on pro-North Korea and anti-North Korea, and on pro-Japanese or anti-Japanese, and Bhikkhu and The married Buddhist monk. Master Sungchol has shown the fundamental cause of suffering as the division, conflict and confrontation to split up people and society. Looking straight at these patterns of suffering dominating those days, he proposed the practice of Middle Path as a solution. By rediscovering the value of Middle Path in Buddhism and by highlighting their importance, he established so-called Buddhist Studies System based on Middle Path. Furthermore, he proposed Middle Path as a fundamental solution to heal social conflicts.

      • KCI등재

        『禪門正路』 문장인용의 특징에 관한 고찰

        강경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5

        禪門正路 는 한국불교의 수행현장 및 학문토론의 장에서 지속적으로 화제를 이끌어온 중요한 문헌이다. 그런데 禪門正路 의 문장인용에 는 일반적인 직접인용 외에 문맥 및 의미의 조절, 생략, 추가, 수정, 문 장의 재구성 등과 같은 주목할 만한 특징들이 발견된다. 그것은 학문적 논리의 정합성을 중시하는 입장에서 보면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는 것 이며, 자칫 그 안목에 대한 의혹으로 연결될 수 있는 특징들이기도 하 다. 실제로 이에 근거하여 성철 스님의 수행론을 비판하는 경우도 없지 않았다. 그러나 禪門正路 의 문장인용에 그러한 학문적 비엄밀성이 발견된다 해서 그것이 그 진리와 수행에 대한 안목의 부재를 증명하는 증 거가 될 수 없다는 점은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 책의 문장인용 의 특징을 밝히고 그 의미를 고찰할 필요성은 여전히 남는다. 이를 통해 성철스님이 종지로 전달하고자 했던 것이 더욱 분명해질 수 있을 것이 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禪門正路 의 문장 인용에 문맥 및 의미의 조절, 요약형 생략, 추가, 수정 및 문장의 재구성 등의 특징이 보편적으로 발견됨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此文考察性徹禪師所著禪門正路的文章引用的主要特徵.具體有文脈及意義的轉換、縮寫、添加、修改、造文等一批特徵.考察的第一個主題是文脈及意義的轉換.性徹禪師引用文章時基於自己的體驗與觀點,對原文的文脈及意義進行加減工作.性徹禪師對於自己的修行體驗有絶代的信心,而對於語言文字具有相對自由的態度.那마因何進行文章的加減工作?主要因爲他與古尊宿之間有一半的相同和一半的分기,卽在頓悟方面的表現他與古尊宿完全一致,而在悟後修行方面兩者之間有分岐.性徹禪師見有古人的觀點與自己的有分岐,就進行一些加減工作,加强文章的說服能力.考察的第二個主題是關於縮寫,就是省略不緊要的文段來突出其核心意義.具體有刪掉重複文段、細致描寫、詳細說明、及比喩文章.第三個考察的內容是添加、修改、造文等的特徵.此例相對不多,但作者介入文本的程度更深,因此參豫文本的意向明顯表現出來,幷且不難發現性徹禪師深厚的敎學造詣.具體情況有以單獨詞彙代替長篇文章、用簡單文句來槪括前面文章或分開前後文章.

      • KCI등재

        < 연구논문 > : 『선문정로(禪門正路)』 문장인용의 특징에 관한 고찰(3)

        강경구 ( Kyong Koo Ka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3

        본 고찰은 『선문정로』인용문의 생략, 추가, 대체, 재구성 등과 같은문장의 조정에 발견되는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고찰은 「無上正覺」론을 중심으로 행해졌다. 성철스님은 인용문에 돈오선의 지향과 모순되는 구절이 나타나면 적극 개입하여 문장을 조정하였다. 지위와 점차를 인정하는 교학적 논의는 제1차적 조정의 대상이 된다. 인과적 논리전개를 특징으로 하는 구절, 부분적인 깨달음에 의미를 부여하는 구절 등에 대한 생략과 대체도 돈오선적 지향을 뚜렷하게 드러내기 위한 조정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문장을 단순화하여 설법의 취지를 부각시키고자 한 조정의 흔적이 뚜렷하다. 자세한 교학적 설명을 필요로 하는 구절, 해석상의 분기가 일어날 수 있는 구절, 이질적 문화풍토를 배경으로 하는 구절, 구체적 설명이나 형상적 비유가 나열된 구절 등에 대해 생략과 대체 등을 통해 그 조정작업이 행해졌다. 복문이나 두 문장을 단문으로 바꾼 경우,조건적 구절을 단순한 술어문으로 바꾼 경우 등도 이에 해당한다. 독자들의 수용적 측면을 고려한 조정의 흔적도 드물지 않다. 낯선 용어를 익숙한 용어로 대체한 경우, 오해할 수 있는 구절을 생략한 경우, 관용적 표현을 생략한 경우 등이 그것이다. 인용문을 다양하게 조정하면서도 한문문장의 구조적 완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도 발견된다. 생략으로 인해 흩어진 문장을 매끄럽게 다듬기 위해 문법적 기능어를 추가한 경우, 부분만을 따서 새로운 문장을 재구성한 경우 등이 이에 속한다. 성철스님은 인용문의 조정을 통해 그것을 독립시켜 『선문정로』의 설법에 유기적으로 녹아들도록 하였다. 그래서 현대적 방식으로 인용출처를 분명히 밝히면서도 원문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하는 구절들을 대부분 생략하였던 것이다. 결국 『선문정로』의 인용문은 모두 성철스님의 발언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원문과의 대비 또한 정확성 여부가 아니라 그 수증론의 특징을 고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This study looking into the fact that there was sentence adjustment like abridgment, addition, substitution and reconstitution, etc. and consider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Consideration was done around samma sambuddha(無上正覺). Master Seongcheol adjusted a sentence which was in conflict with the aim of Sudden Enlightenment(頓悟禪) by aggressively intervening in it. Naturally, educational discussion, which acknowledges the status and class, becomes a primary object for adjustment. The abridgment and substitution of the phrases characterized by causal logic development, and the phrases, which ascribe meaning to partial enlightenment, also belong to the adjustment for clearly exposing sudden enlightenment-based aim. Next, there appear clear signs of attempting to highlight the purpose of a Buddhist sermon by simplifying a sentence. Master Seongcheol``s adjustment work was done on a phrase in need of detailed educational explanation, a phrase that could cause an interpretative divergence, a phrase with a heterogenous cultural climate in the background, and a phrase which lists concrete explanations, or figurative analogies, through abridgment and substitution. Also, the case where a compound sentence, or two sentences were changed to a simple sentence, and a conditional phrase was changed to a simple predicate sentence belong to this. The trace of adjustment in the light of readers`` acceptive aspect is also discovered quite often; for example, the case where an unfamiliar term was replaced with a familiar term; the case a phrase having room for misunderstanding was abridged, and the case where an idiomatic expression was abridged, etc. explain such a trace. In addition, found are some measures to maintain the structural completion of Chinese characters even while adjusting quotations diversely; for instance, the case where a grammatical function word is added to trim the sentences, which are scattered due to abridgment, and the case where a new sentence is reconstituted by picking out only a part belong to this. Master Seongcheol managed to get the adjusted quotations to be organically melt into the Buddhist sermon of Seonmun-jeongno by making them independent from the original. That way, Master Seongcheol abridged mostly the phrases which aroused misgivings of the original even while making clear the source of a quotation in a modern way. Eventually, the quotations of Seonmun-jeongno should be understood as Master Seongcheol``s comments, and the contrast with the original should be made in the way of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its cultivation and certification other than for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accuracy.

      • KCI등재

        불교에서의 자성의 교육 : 선불교를 중심으로

        안경식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신학과 철학 Vol.- No.24

        이 논문은 불교의 영성적 가치인 자성(自性)이 무엇인지, 또 그 자성을 어떻게 대학교육에서 가르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현대 한국불교의 대표적 선승(禪僧)인 성철 스님(1912-1993)이 실제 대학생들에게 자성에 대하여 어떻게 이야기하였는지, 자성을 가르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성철 스님이 말한 자성은 불법(佛法)의 핵심적 내용으로, 인간은 그것을 알게 됨으로써 영원한 생명과 영원한 행복, 영원한 자유를 누릴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자성은 언어와 문자로 가르칠 수 없다는 교육상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선불교에서는 화두라는 것을 개발했다. 의심을 기초로 하는 화두는 자성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일종의 정신개발법인데, 학교교육에서 보편적으로 활용하는 논리적 설명방식을 배제한다. 화두는 기존의 지식의 전달을 위주로 하는 가르침과는 다른 교육전통을 제시한다. 화두를 통해 대학생 뿐 아니라 모든 사람은 우주만물의 실상(實相)을 파악할 수 있으며, 참 행복을 누릴 수 있으며, 대자유인이 될 수 있다. 화두는 동아시아 불교교육문화의 한 부분이지만 종교나 학력, 인종에 관계없이 보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종교교육 미디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what Jaseong, spiritual value of Buddhism, is and how to apply it on university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we closely looked into Venerable Monk Seong Chol(性徹, 1912-1993), the famous Seon(禪) monk in Korea, how he described what Jaseong is and what kinds of method he used to teach it, in front of university students. Seong Chol descirbes Jaseong as a vital content of the Buddha-dharma and by realizing it, human being can achieve eternal life, happiness and freedom. However Jaseong has a educational difficulty since it cannot be teached by languages and letters. To solve this problem, Seon Buddhism invented Contemplation of a Hwadu(話頭). Hwadu is kind of a mind development process to figure out what Jaseong, and it excludes logical explanation method, that commonly used in school education. Hwadu suggests another educational tradition that different from conventional teaching that focuses on transferring knowledge. Through Hwadu, not only university student but every people can understand Dharmata, seek true happiness and become Buddha. Even though Hwadu is a part of East Asian Buddhistic teaching culture, it can be a religious educational media that can be applied universally, regardless of religion, educational background or ethnicity.

      • 초기불교의 중도사상과 퇴옹성철의 이해

        황순일 ( Hwang¸ Soon-il ) 성철사상연구원 2020 퇴옹학보 Vol.17 No.-

        대승불교의 가르침을 역사적인 붓다의 가르침으로 볼 수 있을까? 이 질문은 불교경전들에 대한 서구의 문헌학적 방법론에 따른 연구결과에 대해서 한국불교가 대답해야 할 질문이다. 현대사회에서 법화경, 화엄경, 반야심경, 금강경을 역사적인 붓다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보는 사람은 거의 없다. 하지만 한국불교는 불단에 역사적인 붓다를 모시고 대승불교의 경전을 합송하는 전통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근현대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선승인 퇴옹성철은 이 부분에 대해서 심각하게 고민하고 스스로의 방법으로 그 해결책을 모색했던 선구자였다. 그는 1967년 8만대장경으로 유명한 해인사의 방장으로 취임했을 때 동안거와 하안거 동안 매일 아침 2~3시간씩 법문을 했었다. 이 법문은 모두 100일정도 계속되었으므로 이 법문의 녹음이 녹취되어 1992년 책으로 출판되었을 때 백일법문이란 제목을 가지게 되었다. 이 책을 통해서 우리는 퇴옹성철이 중도를 불교의 핵심적인 가르침으로 판단하고 초기불교이래 불교의 교리발달사를 면밀하게 검토하면서 이 교리들이 모두 중도를 중심으로 철학적으로 조직되었음을 설명하고 있다. 대승불교의 다양한 이론들이 중도를 중심으로 파악된다면, 중도에 입각한 대승불교의 가르침도 붓다의 가르침으로 볼 수 있다는 성철스님의 불설관이 확립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승불교 경전을 불설로 해석하려 했던 성철스님의 노력을 그의 중도해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몇몇 문제점을 분석해보려고 한다. Buddhist Awakening can not be established with words and letters. It is one of the most well known expressions you can hear from the Korean Seon (Korean equivalent of the Japanese Zen and Chinese Chan) Buddhist tradition. Korean Seon masters have hardly been concerned about the Buddhist philosophy and doctrinal history. What they prefer always has been a special meditation technique called Ganhwa, observing paradoxical questions. Master Sungchol (1912-1993),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contemporary Korean seon masters, was one of the exceptions. In 1967 he became the head of Haein temple known to be famous for preserving the 84,000 woodblocks of the Tipitaka Koreana. During the winter retreat, he gave dharma talks to the assembled monks and nuns together with laity for two to three hours in every morning. His sermons went on for almost a hundred days. These dharma talks were recorded and later in 1992 published as a book entitled ‘Sermon of One Hundred Days’. In this book, he clarified that the theory of the Middle Path could be the core of Buddhism, and he tried to explain all Buddhist philosophy and doctrinal history in light of the Middle Path. For him Middle Path cannot be explained through words and letters. It can only be awakened through the practice of meditation and be fully experienced only through our mind. In this paper, I am going to deal with Master Seongcheol’s idea of Middle Path in relation to justify the popular position of Korean Buddhism that the historical Buddha is responsible for the Mahāyāna Buddhist Canon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