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령자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이경준(Kyoung-Joon Lee),송희경(Hee-Kyong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4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자료는 국민노후보장패널 3차년도 부가조사, 4차년도 자료를 이용한 연구로서 3차년도 기준 50세 이상 64세 미만으로 남녀 중고령자 2,97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노후준비의 차이에서는 남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에서 남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성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남녀 모두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중고령자의 노후준비에 따른 삶의 만족도 영향에 대한 성별 비교를 통하여 성별에 따른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effect of preparation for aging on satisfaction of life by difference according to comparison of gender on the analysis. The 3th years additional research and 4th years of Korean Panel of retirement and longitudinal study was used.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was 2,970 for middle aged using based on over 50 years than 64 years. The explan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preparation according to comparison of gender th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men and women. Secondly, the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for both men and women showed th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ly, the preparation was confirmed that the results for both men and women is significantly difference comparison of gender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effects preparation for aging on satisfaction of life. As a result, the based on gender through a comparison of the effects preparation for aging on satisfaction of life in accordance with middle-aged ready to raise the preparation and satisfaction of life.

      • KCI등재

        성별에 따른 SNS사용유형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연구: 집단소속감, 지각된 사회지지, 부정적 사회비교의 매개효과

        이승욱,최윤영,이현우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negative comparison i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networking sites and depression. For this analysis, 483 samples were collected and conducted by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ollective identity was observed both in Facebook and in Internet Cafe activities. (2) Collective ident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social support, but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Also, negative comparison was positively related to depression. (3)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s, the Facebook activities were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for male while the internet cafe activiti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depression for female. Lastly, (4) The collective ident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negative comparison for female. 본 연구는 Social Networking Sites(SNS)의 사용유형과 우울감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지지와 부정적 사회비교의 매개효과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483명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다집단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고, 부트스트랩 분석으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로는 남녀 모두 SNS를 통해 집단소속감을 느끼며 높은 집단소속감은 높은 사회지지와 낮은 우울감으로 연결되었고, 높은 부정적 사회비교는 높은 우울감으로 연결되었다. 그러나 남성의 경우 집단소속감과 부정적 사회비교 간의 유의미한 관계는 나타나지 않은 반면 여성의 경우 집단소속감이 높을수록 부정적 사회비교 역시 높았고 이는 우울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SNS의 사용은 온라인 환경에서의 집단소속감을 가질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나, 성별에 따른 집단 내에서의 소속감은 부정적 사회비교에 서로 다른 영향을 주었고 이에 따라 우울감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소비자 성별과 세대별에 따른 모바일광고 비교소구 효과

        홍영일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6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

        본 연구는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수용자 태도를 살펴보았다. 즉 모바일 광고에서 노출되는 스마트폰 비교광고(비주얼 중심, 카피 중심, 비주얼+카피)를 만들어 소비자 성별(Gender)과 세대별(Generation)에 따른 수용자 태도(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를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성별에 따른 수용자의 태도를 살펴보면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 모두에서 소비자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소비자의 세대별에 따른 수용자의 태도를 살펴보면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서 세대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모바일 광고의 타깃 세분화 전략과 모바일 광고제작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research examined customers' attitude according to demographic feature. In other words, the study established customers' attitude(attitude toward advertising , attitude toward br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gender and generation of consumers by making comparative advertising of smartphone(visual oriented, copy oriented, visual+copy) exposed in mobile advertising. As a result of study, customers' attitude in gender of consumers showed lack of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 attitude toward brand, and purchase intention. However, customers' attitude in generationof consum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 attitude toward brand, and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useful implication in target subdivision strategy and production of mobile advertising.

      • KCI등재

        정당 대변인의 성별과 이미지가 유권자의 대변인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비교이론을 중심으로

        박재훈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5 No.-

        본 연구는 어떤 대변인이 적합한 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해 탐구하였다. 정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대변인의 영향은 매우 크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연구는 의미 있는 작업이며 특히 대변인에 대한 유권자의 반응을 심리적 메커니즘 차원에서 분석해 보는 일 또한 학문적으로도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정당 대변인의 경우 서민적인 이력을 가진 대변인이 있는가 하면 화려한 경력을 바탕으로 한 대변인도 있어온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유권자는 과연 어떤 이미지의 대변인을 선호하는 지와 대변인의 성별과 유권자의 성별에 따른 호감도의 차이와 원인을 규명하고 나아가 지지정당과 그 정당에 속한 대변인의 성별과 호감도 차이에 따른 유권자의 평가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 1에서 유권자는 탁월한 동성 대변인보다 평범한 동성 대변인을 더 선호하였고, 탁월한 이성 대변인을 평범한 이성 대변인보다 더 선호하는 비대칭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동성에 대하여 사회적 비교와 자아평가라는 인지적 과정을 통해 일종의 열등감 내지는 좌절감을 느끼는 것으로 파악된다. 실험 2에서 유권자는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에 속한 대변인은 탁월한 성취를 할수록 높게 평가하지만, 자신이 지지하지 않는 정당에 속한 대변인은 탁월한 성공인 일 경우 오히려 평범한 이미지보다 더 낮은 평가를 하였다. 이 결과가 증오에서 기인하는지 아니면 위협에서 기인하는지는 분명치 않지만, 반대 정당의 경우 탁월한 이미지는 오히려 정치 커뮤니케이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정당대변인의 선정과 훈련에 있어 유권자의 반응에 유념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이는 결국 유권자의 정당지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he research on what kind of spokesperson is appropriate and the reason behind. The impact of a spokesperson on political communication is enormous, therefore, the study on these people is very significant and especially analyzing the reaction of a spokesperson in terms of psychological mechanisms can also be academically meaningful thing. There has been a spokesperson with the common history and a spokesperson based on the brilliant career for the party spokesperson. So,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voters prefer on image of spokesperson and the cause of preferences on spokesperson and voter’s gender difference. Moreover, this study is aimed to assess the voter’s likability on party identification and its spokesperson’s gender differences. In experiment 1, voters prefer the common same-sex spokesperson than the outstanding same-sex and prefer the outstanding opposite-sex spokesperson than the common opposite-sex. This is believed to be a kind of inferiority or frustration complex against same-sex through social comparison and self-assessment in cognitive process. In experiment 2, voters highly evaluate spokesperson with outstanding achievement for the party they’re supporting, but they don’t endorse spokesperson with outstanding achievement than the common spokesperson for the party they aren't supporting. It is not clear to state that this result is based on the hatred or threats; however, it is noteworthy to state that the superior image of the opposite party can be negatively influenced by voters in political communica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party spokesperson’s selection and training should be determined by the reaction of voters and this ultimately affects the party identification of electorates.

      • KCI등재

        실직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정은석 ( Jeong Eunseok ),강상경 ( Kahng Sang Kyo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1

        기존연구는 자존감 수준이 성별과 취업여부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직업상황변화와 자존감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가 거의 없어서, 취업자가 실직을 당했을 때 자존감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또한 실직에 따른 자존감 변화가 성별에 따라서 다른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러한 한계를 염두에 두고 본 연구는 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자를 대상으로 (1) 자존감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2) 실직자와 취업유지자의 자존감 차이가 있는지, (3) 실직에 따른 자존감 차이가 성별에 따라 상이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 데이터는 한국복지패널 7차 년도와 8차 년도 자료이고, 연구대상은 7차 년도 기준으로 취업중인 경제활동인구 5,387명(남: 3,044명, 여: 2,343명)이다. 분석은 8차 년도 자존감을 종속변수로, 7차 년도 자존감을 통제한 상태에서 성별, 실직 여부, 성별과 실직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는 회귀분석을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취업자 사이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자존감이 높았고, (2) 실직자가 취업유지자에 비해 자존감이 낮았으며, (3) 남성 실직 경험자의 자존감이 여성 실직 경험자의 자존감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의 함의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 하였다. Previous research indicates that self-esteem tends to vary by both gender and employment status. As few studies empirically tes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loss and self-esteem,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job loss on self-esteem. Much less is known about whether the effects of job loss on self-esteem vary by gender. In order to address the gaps in previous research,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s of job loss on self-esteem vary by gender through testing (1) whether self-esteem varies by gender, (2) whether the effect of job loss on self-esteem is significant, and (3) whether the effects of job loss on self-esteem vary by gender. We used data from both 7th and 8th wave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Sample consists of 5,387(males: 3,044 and females: 2,343) individuals in labor force population as of 7th wave. Controlling for self-esteem in Wave 7, regression analyses were done not only to examine the main effects of both gender and job loss but also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ender and job loss on self-esteem in Wave 8.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Females presented higher levels of self-esteem than males. (2) Those who were continuously employed presented higher levels of self-esteem than those who lost their jobs. (3) The effects of job loss on self-esteem varied by gender, indicating males who lost their jobs presented much lower levels of self-esteem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정당 대변인의 성별과 이미지가 유권자의 대변인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비교이론을 중심으로

        박재훈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25

        This study is the research on what kind of spokesperson is appropriate and the reason behind. The impact of a spokesperson on political communication is enormous, therefore, the study on these people is very significant and especially analyzing the reaction of a spokesperson in terms of psychological mechanisms can also be academically meaningful thing. There has been a spokesperson with the common history and a spokesperson based on the brilliant career for the party spokesperson. So, this study investigates what voters prefer on image of spokesperson and the cause of preferences on spokesperson and voter’s gender difference. Moreover, this study is aimed to assess the voter’s likability on party identification and its spokesperson’s gender differences. In experiment 1, voters prefer the common same-sex spokesperson than the outstanding same-sex and prefer the outstanding opposite-sex spokesperson than the common opposite-sex. This is believed to be a kind of inferiority or frustration complex against same-sex through social comparison and self-assessment in cognitive process. In experiment 2, voters highly evaluate spokesperson with outstanding achievement for the party they’re supporting, but they don’t endorse spokesperson with outstanding achievement than the common spokesperson for the party they aren't supporting. It is not clear to state that this result is based on the hatred or threats; however, it is noteworthy to state that the superior image of the opposite party can be negatively influenced by voters in political communica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party spokesperson’s selection and training should be determined by the reaction of voters and this ultimately affects the party identification of electorates. 본 연구는 어떤 대변인이 적합한 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해 탐구하였다. 정치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대변인의 영향은 매우 크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연구는 의미 있는 작업이며 특히 대변인에 대한 유권자의 반응을 심리적 메커니즘 차원에서 분석해 보는 일 또한 학문적으로도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정당 대변인의 경우 서민적인 이력을 가진 대변인이 있는가 하면 화려한 경력을 바탕으로 한 대변인도 있어온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유권자는 과연 어떤 이미지의 대변인을 선호하는 지와 대변인의 성별과 유권자의 성별에 따른 호감도의 차이와 원인을 규명하고 나아가 지지정당과 그 정당에 속한 대변인의 성별과 호감도 차이에 따른 유권자의 평가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 1에서 유권자는 탁월한 동성 대변인보다 평범한 동성 대변인을 더 선호하였고, 탁월한 이성 대변인을 평범한 이성 대변인보다 더 선호하는 비대칭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동성에 대하여 사회적 비교와 자아평가라는 인지적 과정을 통해 일종의 열등감 내지는 좌절감을 느끼는 것으로 파악된다. 실험 2에서 유권자는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에 속한 대변인은 탁월한 성취를 할수록 높게 평가하지만, 자신이 지지하지 않는 정당에 속한 대변인은 탁월한 성공인 일 경우 오히려 평범한 이미지보다 더 낮은 평가를 하였다. 이 결과가 증오에서 기인하는지 아니면 위협에서 기인하는지는 분명치 않지만, 반대 정당의 경우 탁월한 이미지는 오히려 정치 커뮤니케이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정당대변인의 선정과 훈련에 있어 유권자의 반응에 유념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이는 결국 유권자의 정당지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과 일본 비혼 현상의 성별 차이

        김주현,이수진 한국인구학회 2019 한국인구학 Vol.42 No.1

        This study analyzes gender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non-marriages within a population who would potentially marry late based on the first marriage age. Late marriage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in Korea and Japan, and more importantly, among men and women alike. However, non-marriages appears to be developing differently by gender in both countries. Based on previous reports regarding gender differences in marriage factors such as age, education level and employment, this study analyzes the data of nationwide demographics in Korea and Japan. An analysis of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levels of singlehood in the population of both countries, from the average first marriage age to the age of 49, found that the appropriate marriage age had a sociocultural effect on women in Korea. The education level demonstrated contrary effects on gender differences in Korea and Japan. Men were less likely to remain single if they had a higher level of education, compared to men with a lower level of education. Unlike men, however, women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were more likely to remain single. Employment also demonstrated a common effect on gender differences in both countries. In the male group, employment was a factor that lowered the possibility of singlehood in Korea and Japan. Meanwhile, it was revealed that employed women were more likely to remain single than women who do not work. 본 연구는 초혼 연령이라고 하는 결혼의 시간적 기준을 중심으로 만혼의 가능성이 있는 인구 집단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혼인을 하지 않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성별 차이를분석한다. 만혼화는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남녀 모두에게 나타나고있는데 흥미로운 점은 성별로 비혼의 구체적인 상황이 다르게 전개되고 있는 듯하다. 이전 연구들에서 밝힌 결혼과 관련된 요인들, 연령, 교육 수준, 취업 등의 성별 차이에 대한 보고들을 바탕으로 현재 만혼화를 경험하고 있는 한국과 일본의 전국 규모의 인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다. 양국의 평균 초혼 연령 이후부터 49세까지 인구 집단의 비혼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연령 효과의 성별 차이에 있어서 한국은 성별로 비혼의 가능성이 떨어지는 정도가 연령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으로써 결혼 적령기에 대한 사회 문화적 효과가 여성에게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육 효과의 성별 차이는 한국과 일본이 동일한 양상을 보인다. 남성은 저학력에 비해서 고학력의 경우 비혼일 가능성이 줄어든다. 한편, 여성은 남성과 다르게 대힉원 이상의 학력의 여성은 비혼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경제 활동 중 취업효과도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성별 간의 영향 차이가 나타난다. 남성 집단에서는 취업이 한국과일본에서 동일하게 비혼의 가능성을 낮추는 영향 요인인 반면, 여성 집단에서는 일을 하는 여성은 일을 하지 않는 여성에 비해서 비혼의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고령자의 자기효능감이 돌봄로봇 수용에 미치는 영향: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윤희정,김하율,신혜리,김영선 한국노년학회 2023 한국노년학 Vol.43 No.6

        본 연구는 고령자의 자기효능감이 돌봄로봇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 집단에 따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희대학교 노인학과에서 실시한 ‘2022년 한국 고령자 기술수용도 패널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전국 60세 이상 고령자 506명(남성 203명, 여성276명)을 대상으로 전체 연구대상자 및 성별 집단을 구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는 STATA 17.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남성은 기술 자기효능감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돌봄로봇 수용이 높으며, 여성은 기술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육수준과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좋을수록 돌봄로봇 수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을일반적 자기효능감과 기술 자기효능감을 세분화하여 고령자의 돌봄로봇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으며, 성별 집단을 구분하여살펴봄으로써 고령자의 돌봄로봇 수용 연구를 확장하였다. 또한, 성별 집단에 따라 돌봄로봇 수용을 높이기 위한 별도 실천방안을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천적 함의를 가진다

      • KCI등재

        미국과 일본 게임의 플레이어 캐릭터 나이와 성별 비교 분석

        남기덕,윤형섭 한국게임학회 2017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17 No.4

        게임 플레이어 캐릭터는 사건의 중심에 있으며 몰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미국과 일본 게임시장의 소비자를 이해하기 위해 플레이어 캐릭터 기초 특성인 나이와 성별을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다. RPG와 어드벤처 장르에서 미국과 일본의 15년간 게임어워드 수상작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나이와 성별을 분류하고 비교분석하였다. 일본 게임은 나이와 성별을 명시한 설정된 캐릭터 비율이 94.3%, 88.6%로 압도적으로 높았으나 미국 게임은 나이를 명시하지 않고 설정된 캐릭터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미국과 일본 게임의 플레이어 캐릭터 나이와 성별에 설정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인식하게 하고 플레이어 캐릭터 설정의 가이드라인이 되어 게임 디자인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A player character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immers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sumers, it is necessary to compare age and gender of player characters, which is the most basic feature of the player character. We selected a prize winning work of 15 years of USA and japanese as research subjects(in RPG and Adventure), classified age and gender of player characters and analyzed the result. In the japanese games, the ratio of pre-set player characters was 94.3% for age and 88.6% for gender. In the USA games, It was the order of the pre-set character which did not specify the age and the customized type character. In this research, we would like to contribute guidelines for player character setting to successfully advance into the USA and Japanese game market.

      • KCI등재

        부모애착이 온라인 및 오프라인 비행에 이르는 경로연구-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중독의 이중매개와 성별비교-

        조춘범 ( Cho Choon Bum ),이현 ( Lee Hyun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8 청소년복지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온라인 및 오프라인 비행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중독의 이중매개를 검증하고 성별 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서·남부 지역의 중·고등학교 16개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얻은 총 801명의 유효응답을 대상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중독과 온라인 비행에서 성별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온라인 비행에 있어 남학생은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중독의 개별 매개 및 이중매개를 통한 경로가 검증되었고, 여학생은 이중매개를 통한 경로가 확인되었다. 셋째, 오프라인 비행에 있어서는 남학생에게 부모애착이 자기통제력의 매개를 통한 경로가 유의했고, 여학생은 부모애착의 직접적 영향 및 자기통제력과 스마트폰 중독의 이중매개를 거친 경로가 검증되었다. 위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비행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함에 있어 남녀의 성별차이를 고려한 개별화된 개입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비행의 예방과 치료책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both the serial mediation of self-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and gender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online and offline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801 students from 16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gender difference in smartphone addiction and online delinquency. Second, in terms of online delinquency, male students were mediated not only individually but also serially by self-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On the other hand, female students were mediated serially by only self-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Third, when it comes to offline adolescent delinquency, parental attachment influenced offline delinquency among male adolescents through self-control while parental attachment directly and directly affected online delinquency among female adolescents through the serial mediation of self-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considering gender are necessary. This study suggests depending on gender the prevention of online and offline delinquency among adolescent and the solution of delinquent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