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칼뱅의 교회론과 설교 -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중심으로-

        김선권 ( Sun Kwon Kim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4 조직신학연구 Vol.2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칼뱅의 교회론과 설교를 그리스도와의 연합의 관점에서 조명하며 칼뱅의 교회론과 설교의 특징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 둘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무엇보다도 칼뱅에게서 교회는 단순한 제도와 기관 혹은 일반 사람들의 모임이 아닌, 신적 피조물로서 그리스도와의 연합의 신비와 성도의 교제를 담아내는 그리스도의 신비한 몸이다. 우리 시대는 교회를 세속 집단들이 추구하는 것처럼 효율, 조직, 행정 등 과도하게 인간적 방식으로 접근하는 경향이 있지만 교회의 본질은 그리스도와의 연합 안에서 나타나는 영적 신비를 담아내는 데 있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며, 이 몸의 지체는 성도 각 지체들이며, 지체들의 머리는 그리스도이다. 교회의 본질은 언제나 그리스도 그 자신과의 올바른 관계성 안에서 발견된다. 교회는 하나님의 선택에 기초해서 어머니로서 그의 역할을 담당하고,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실현한다. 그리스도의 몸의 지체인 성도들은 서로 교제하면서 교회를 세운다. 즉 성도의 교제의 목적은 교회를 세움, 성도들을 자라게 함에 있다. 이 교제는 영적 교제와 물질적 교제를 포괄한다. 교회의 교회됨은 말씀과 성례전에 있다. 이 중 말씀은 하나님께서 그의 교회를 세우고, 강화시키고, 붙드는 은혜의 본질적 수단이다. 이 연구는 설교의 주체, 설교의 필요성, 설교가 하나님 말씀이 되는 이유 등을 함께 연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Calvin`s ecclesiology and preaching from the perspective of union with Christ and to explore the features of Calvin`s ecclesiology and preach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bove all, for Calvin, the Church is not a mere system, an institution, or the general public. Rather, the Church as God`s creation is the mystical Body of Christ that holds both the mystery of Christian unity of Christ and of the communion of saints. Today the Church tends to be evaluated on the basis of efficiency,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just as secular organizations are. However, the nature of the Church consists in the mystical union with Christ. The Church is the Body of Christ whose members are the saints. Christ is their head. The nature of the Church is always found in the right relationship with Christ. Based on divine election, the Church plays a maternal role and realizes the union with Christ. The saints, who are members of the Body of Christ, build up the Church through communion. That is, the purpose of the communion of saints is the edification of theChurch and spiritual growth of saints. This communion includes not only spiritual but also material communion. The marks of the true Church are the Word of God and sacraments. The Word of God is the essential means of grace that builds up, strengthens, and supports the Church. This study will also explore subjects of and the need for preaching and how preaching becomes the Word of God, etc.

      • KCI등재

        본회퍼의 교회론 중심의 죄론 ― 『성도의 교제』와 관련하여

        김현주 ( Kim¸ Hyun Joo ) 한국조직신학회 2020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1 No.-

        루터교 신학자인 디트리히 본회퍼는 20세기 세계에 죄와 악이라는 문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본회퍼가 그의 거의 모든 저작들을 통해 파헤친 죄와 악에 대한 깊은 신학적 통찰에도 불구하고 그의 죄론은 제대로 진지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본회퍼가 그의 전체 죄론의 신학적 기초를 놓고 있는 『성도의 교제』에 나타난 그의 초기 죄론을 고찰한다. 본 연구는 본회퍼가 『성도의 교제』에서 죄론의 출발점을 고전적 신론으로부터 교회론으로 전환시켰을 뿐만 아니라 그의 루터교적 신학적 자원을 바탕으로 사회적이고 윤리적인 관점으로 죄론에 접근함으로써 아우구스티누스의 원죄론을 재구성하고 있음을 논증한다. 우선 본회퍼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원죄론의 신학적 불충분성을 지적한다. 특히 원죄론이 그리스도를 통해 화해된 전인이자 그리스도의 현존인 교회공동체의 죄와 충분히 연계되지 않은 채 단편적으로 죄의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고 비평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회퍼는 다름 아닌 아우구스티누스의 “전인으로의 그리스도”라는 개념으로부터 유래한 “교회공동체로 현존하는 그리스도”라는 루터교적 교회론 개념을 그의 죄론의 신학적 전제로 삼는다. 분명히 본회퍼의 죄론의 가장 중요한 면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원죄론 그 자체를 재구성하기 위해 아우구스티누스의 또 다른 교리의 영역인 교회론의 개념을 그 시대의 사회학적 언어로 표현된 인격 개념을 통해 재구성하고 있다는 점일 것이다. 『성도의 교제』에 나타난 그의 초기 죄론에서 본회퍼는 교회공동체에 존재하는 죄인 공동체로서의 죄의 연대성을 지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발적으로 타인의 죄를 담당하는 “대리적 대표 행위”라는 개념을 통해 성도 공동체의 윤리적이고 관계적인 책임을 강조함으로써 원죄론에 내포된 신학적 불균형성을 바로 잡고 있다. As a Lutheran theologian, Dietrich Bonhoeffer offers a new angle for understanding the problem of sin and evil in the twentieth-century world. Despite Bonhoeffer's strong engagement with the doctrine of sin and evil throughout his works, his hamartiology is one of the least studied theological areas in Bonhoeffer scholarship.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Bonhoeffer's early doctrine of sin in his first dissertation, Sanctorum Communio, in which he sets out the theological foundation for his entire hamartiology. This study argues that Bonhoeffer’s hamartiology reconstructs the Augustinian doctrine of original sin by shifting the starting point from the classical doctrine of God to the doctrine of the church and approaching the concept of humanity from a socio-ethical perspective based on Bonhoeffer’s Lutheran tradition. Bonhoeffer points out the theological insufficiencies of the Augustinian doctrine of original sin, especially its one-sided description of sin and evil that does not engage with the reality of sin that is reconciled by the atoning work of God in Christ, who is present in the church community as a total person. To resolve this problem, Bonhoeffer takes the Lutheran ecclesiastical notion of “Christ existing as church community” which is rooted in Augustine’s concept of the total Christ, as the premise of his hamartiology.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Bonhoeffer’s hamartiology in Sanctorum Communio is his reformulation of Augustine’s doctrinal loci to reconstruct the Augustinian hamartiology per se through his sociologically articulated Christian personalism. Bonhoeffer not only points out the solidarity of sin in the church community as peccatorum communio but also corrects the inequilibrium embedded in the doctrine of original sin by emphasizing the ethical and relational responsibility of sanctorum communio through the notion of “vicarious representative action,” which is the voluntary bearing of the sins of others.

      • KCI등재후보

        기독교윤리 : 디트리히 본회퍼의 교회론적 윤리

        김성호 ( Sung Ho Kim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3 神學과 宣敎 Vol.43 No.-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 1906-1945)는 삶과 신학의 일치를 위해 늘 고민했던 목사이다. 그의 삶은 박사학위 논문이었던 『성도의 교제』, 교수자격 논문이었던 『행위와 존재』, 『나를 따르라』, 『신도의 공동생활』, 『윤리학』, 『저항과 복종』에 나타난 그의 신학적 견해들과 더불어 전개된다. 즉, 그의 저작들 속에는 그가 실제로 살았던 삶 속에서 신학적 고민이 고스란히 녹아들어가 있다. 그의 삶의 정황에 따라 개념적 어휘들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신학적 사고의 근본적인 틀은 유지되어 있다. 즉, 그의 관심은, 오늘, 여기에서(hic et nunc) ‘그리스도의 실존방식’이었고, ‘하나님과 세상의 현실이 그리스도 안에서 어떻게 하나되는가’에 있었다. 왜냐하면 본회퍼에 의하면, 창조주 하나님은 이 세상 가운데 어디서든 피조물들과 늘 교제하기를 원하시기 때문이다. 그 방법은 바로 ‘거룩한 공동체’, ‘성도의 교제’(Sanctorum Communio), ‘교회’(die Kirche)를 통해 이루어진다. 하나님의 뜻이 담긴 계명과 그것에 대한 성도들의 응답이라는 형태를 통해, 인류는 ‘하나님 앞으로의 삶’으로 인도된다. 본회퍼에 의하면, 이러한 ‘하나님 앞에서의 삶’은 추상적인 사고나, 경건을 위한 격리가 아니라, 일상에서 그리스도를 뒤따름(Nachfolge)을 통해서 실현된다. 이러한 본회퍼의 삶과 신학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그의 신학은 ‘교회론적 윤리’(die ekklesiologische Ethik)라고 재해석할 수 있다. 본회퍼의 ‘교회론적 윤리’는 ‘그리스도교적 인격’(die christliche Person) 개념으로부터 출발해, 기독론적이며 동시에 교회론적인 개념인, ‘공동체로 존재하는 그리스도’(Christus als Gemeinde existierend) 개념을 거쳐, 하나님 앞에서의 삶으로서의 응답이라는 ‘책임’(Verantwortung)의 개념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독교윤리적 개념들로 발전된다. 이러한 기독론적인 토대위에 형성된 ‘교회론적 윤리’는 한국교회의 윤리적 문제들을 풀 수 있는 다양한 해결방안들을 제시해 줄 것이다. It is fascinating to watch, in Dietrich Bonhoeffer (1906-1945), the coincidence between his person and his work. His life is consistent with his theological insights that he was able to express, e.g., in Sanctorum Communio, his doctoral dissertation, in Act and Being, the thesis qualifying him for academic teaching, in the books Discipleship and Life Together, in his manuscripts for an Ethics, and in his Letters and Papers from Prison. All of his writings are decidedly related to life as it is lived. Although his focus upon subjects shifted and his use of concepts differed as circumstances changed during his life,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his theological thinking remained the same. His concern was to ask how Christ is present for us today, and how the unity of God`s and the world`s reality is realized in Jesus Christ. Because God lays claim to the world, everyday life becomes the place where life is lived before God, and meeting a neighbor turns into an encounter with God. The way in which each individual relates to his or her own self and fellow beings does matter for the world, and thus also for the church and the believers. Bonhoeffer always strives for actual concreteness: By God`s specific commandment, and the believers` response to it, people are led to a life before God. This life before God does not take place in abstract thinking, or in pious isolation, but in everyday life following Christ in discipleship. When spelling out Bonhoeffer`s writings, already in his early works there are found concepts that provide roots from which his ‘ecclesiological ethic’ grew, such as Bonhoeffer`s Christian concept of person that informs his christological ecclesiological concept “Christ existing as church-community.” Bonhoeffer`s christologically grounded ecclesiological ethic can help to solve ethical problems of Church in Korea.

      • KCI등재

        조상제사 문제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한국 교회 영성 형성의 과제와 관련하여 -

        이정순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0

        한국 기독교인들이 갈등을 겪고 있는 조상제사 문제는 한국 기독교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과연 제사를 신학적으로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제사에 대한 목회적 선교적 대응방안은 무엇인가? 이 글에서는 유교적인 전통에서 비롯되어 현재 명절 때마다 행해지고 있는 조상제사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 개신교회의 독특한 상황과 연관하여 이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특히 제사에 대한 신학적인 이해에 토대하여 그것을 기독교의 예배의식과 비교하고자 한다. 이런 비교연구를 통해 바람직한 한국적 기독교의 형성, 한국적 영성을 형성하는 길을 모색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특히 제사의식은 단순히 배척해야만 하는 비기독교적인 우상숭배가 아니라, 오히려 한국 기독교인들의 예전적 영성(liturgical spirituality)을 형성하는 데 좋은 통찰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제사는 고조선 시대에 성행하는 천신(天神)숭배사상에서 비롯되었으며, 고려 시대에 『주자가례』가 전파됨으로써 지금과 같은 유교적 형식의 제사가 자리 잡게 되었다. 조상제사는 살아있는 후손이 조상들의 혼백(魂魄)과 특별한 의식을 통하여 조상의 은혜를 생각하고 기리는 의식이며, 후손들은 이 의식을 통하여 조상들과의 역사적인 연속성을 느낀다. 죽어서도 조상의 혼백은 후손들과 관계를 맺고 있으며 제사는 이런 독특한 인간이해에 기초하여 조상에 대한 효를 표현하는 의식인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제사 의식을 조상신(神)을 숭배하는 종교의식이 아니라 조상을 공경하는 효(孝)에 대한 표현, 조상을 생각함으로 자신의 역사적 현재성을 유지하는 독특한 인간관의 표현으로 간주한다. 이런 시각으로 접근할 때 제사 문제를 신학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제사를 반대하는 데 사용되는 대표적인 근거는 출애굽기 20:3-4에 나오는 십계명의 우상숭배에 관한 계명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말하는 우상숭배란 이스라엘의 해방자이신 야훼 하나님만을 섬기라는 표현으로서, 제사 의식을 조상에 대한 효의 표현으로 간주하는 현대 한국인에게는 문자적으로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 성서에서는 하나님을 조상들의 하나님으로 고백하며 과거와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전통이 있는데 이 점 역시 유교식 제사와의 접촉점을 모색할 수 있게 만든다. 제사를 죽은 조상과 살아계신 부모에 대한 효의 표현으로 간주할 때 초대 기독교의 “성도들의 교제”(Communion of Saints)라는 전통과 유사성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이로써 기독교에서 제사를 수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다. 지금은 사라졌지만 원래 이 전통은 죽은 성도들과 살아있는 성도들 모두의 연합을 의미했기 때문이다. 또한 제사 후 한 식탁에서 함께 음식을 나누는 전통은 예수의 나눔과 섬김을 계승하는 성만찬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이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렇게 제사를 긍정적으로 이해하게 됨으로써 예전적인 측면이 결여된 한국 기독교의 영성을 새롭게 형성하고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Many Protestant Christians in Korea still regard ancestor worship as heresy or idolatry because early Western missionaries in Korea taught Korean Christians a conservative and fundamentalist faith. Thus, ancestor worship is the issue with which Korean Christians have been struggling. It is significant to raise the question: “How do we understand it in with regards to Christian mission and ministry?” Ancestor worship, discussed in this article, is the most important part that puts Confucian moral and religious values into practice. It is my basic point that Korean Christians should embrace ancestor worship with a more positive attitude. This will be a significant way toward spiritual formation for Korean Christians living under the Confucian influence. The nature of ancestor worship is different from Christian notion of worshipping God but an expression of filial piety. Conservative Christians’ objection to ancestor worship is mainly based on the commandments in Exodus 20:3-4. However, the context in which the concepts of god were developed is different in two traditions, i.e., Jewish tradition and Confucian tradition. Other gods in Exodus 20:2 mean those who functioned as gods of oppression, i.e., ruling ideologies, in the ancient near Eastern countries. The Israelites were continually fighting against these false gods who oppressed human beings. More specifically, there is no such context in regard to the unique concept of god in Confucianism.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equate the biblical God in Christian tradition with gods in Confucian tradition. The ideas of filial piety which are sincerely expressed in the Confucian ancestor worship are also important in the biblical traditions. Therefore, I think that there is no problem in the acceptance of the ancestor worship for Christians in the matter of filial piety. Further,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wo positive functions of the ancestor worships. First, there is the tradition of ‘the communion of saints’ in the Apostles’ Creed that originally referred to the communion of the dead saints and the living Christians in the time of early Christianity. This tradition can help the Korean Church to meet and understand ancestor worship in a more positive way because both two traditions emphasize on the whole community of the living and the dead, the past and the present. Second, ancestor worship can have much in common with Christian Eucharist. Christians experience the mystical unity with God through the Eucharist and are called to be apostles of peacemaking and reconciliation in the world. I believe that the Eucharist as a symbol of sharing, serving, sacrificing, and human liberation has much relevance for an encounter with ancestor worship in the religiously pluralistic society of Korea. In conclusion, the positive understanding of ancestor worship as an expression of filial enables Christians to rightly live out their faith by fully understanding the essential meaning of Christianity as a religion among various religions. Ultimately, it will give us a new possibility of making a form of indigenized Korean Christianity and a newly enhanced ‘Christian liturgical spirituality’ in the Korean context.

      • KCI등재

        아프리칸 조상들의 사후 세계에 관한 개혁신학의 관점

        배춘섭 한국개혁신학회 2020 한국개혁신학 Vol.66 No.-

        본 논문은 아프리카의 사후 세계관과 가톨릭교회의 교리 간에 신앙적 공통분모를 공유하는 것을 논의한다. 아프리카 전통종교에서 조상은 ‘죽은 자들’(the living dead)로서 사후에도 여전히 후손들에게 영향력을 끼치는 중재자로 인식된다. 비슷하게, 가톨릭교회는 죽은 성도들(Saints)과 살아 있는 성도들 간의 관계를 인정하는 ‘성도의 교제’(Communion of Saints)의 교리를 주장한다. 그리고 이 교리는 ‘연옥교리’(Theory of Purgatory)와 죽은 자들을 위해 기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하지만 개혁주의 신학은 아프리카의 사후 세계관과 가톨릭교회의 연옥교리를 비롯해 죽은 성도들과 살아 있는 성도들 간의 성도의 교제를 인정하지 않는다. 특별히 사후 영혼의 중간상태와 관련해, 개혁교회는 안식교(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나 여호와의 증인(Jehovah’s Witnesses)이 주장하는 영혼멸절설(Annihilationism)을 비판한다. 특별히 개혁교회의 신앙고백서인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Westminster Faith Confession of Faith)와 제 2 스위스 신앙고백서(Second Helvetic Confession)는 영혼멸절설을 포함해 루터의 영혼수면설(Soul-Sleep Doctrine)과 가톨릭교회의 연옥교리 모두를 인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같은 논의는 기독교 선교에 있어 복음전파를 통한 개인의 회심과 문화변혁이 매우 중요하고, 특정 문화를 위해 신학이 상황화 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가를 경고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religious commonness and connections among the doctrine between the belief on afterlife in Africa and the doctrine of Catholic Church. In the traditional religion of Africa, ancestors are considered as ‘the living dead’, who are believed to have influences on the descendants as arbitrators. Like wise, in the belief of Catholic Church, the Communion of Saints, which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Saints, is considered. Such belief reflects the Theory of Purgatory and hints the validity of praying for the dead people. However, in the Reformed Theology, building of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living and dead, as believed in both the belief in afterlife in Africa and the Theory of Purgatory, is denied. Specifically, the Reformist Churches criticizes the Annihilationism, argued by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of the Jehovah’s Witnesses, in relation to the intermediate state of the soul after death; The Westminster Faith Confession of Faith in Reformist Church and the Second Helvetic Confession both deny Annihilationism and Soul-Sleep Doctrine of Luther as well as the Theory of Purgatory in Catholic Church. Accordingly, discussion on such topic alerts the importance of individual’s convincement and cultural reformation through spreading of the Gospel in the Christian missionary works, and also warns about the theological contextualization for certain culture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의 지속 가능한 교회

        김두환 ( Kim¸ Doohwan ),조철수 ( Jo¸ Chulsu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0 기독교사회윤리 Vol.48 No.-

        코로나19 팬데믹은 빠른 전염성과 치명적인 증상으로 사회의 많은 기능을 마비시켰다.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상태에서 사회적 거리두기와 비대면 접촉이 중요한 개인 방역이 되었다. 코로나 위기로 교회의 현장예배와 식사 교제가 금지되면서 주일예배와 성도의 교제가 어려워져 한인교회는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위기를 맞고 있다. 이런 상태에서 교회의 지속 가능성은 역발상적인 사역에서 대두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비대면 비접촉 상태에서 현장예배 대신에 온라인 라이브 예배를 드리며, 영상통화로 성도의 교제를 나누면서 그리스도의 한 몸 되는 공동체성을 지키고 있다. 본 논문은 가상공간에서의 온라인 예배 확대와 비대면 성도의 교제로 이루어지는 교회의 본질 회복과 공동체성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교회 지속 가능성의 발판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목회자와 평신도로 구성된 거버넌스는 교회 성장이나 종교성에 얽매이지 말고, 교회가 생명 공동체 임을 자각하고 현장과 가상공간에서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며 높은 도덕성을 가지고 교회 밖 사회와 새로운 관계성을 맺을 수 있도록 그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직면하는 교회의 지속 가능성은 유기적 예배와 교제를 통한 공동체성을 바탕으로 사회와 협력하는 관계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The COVID-19 pandemic has paralyzed many functions of society with its rapid infectious and fatal symptoms. In the absence of vaccines and treatments, social distancing and none-face-to-face contact became important personal quarantine. Due to the COVID-19 crisis, on-site worship and lunch fellowship are banned or limited in the church. The Korean church is facing a crisis that it has never been experienced. In this situation the sustainability of church is emerging from the reverse thinking. In a non-contact state due to social distancing, the church performs the online worship service instead of on-site worship and shares the fellowship through video calls to keep the communality of being one body of Christ. This paper will examine that the expansion of online worship and fellowship in a virtual space contribute to restore the essence of the church and the communality as the basis for church sustainability in the post COVID-19 pandemic era. In addition the governance composed of pastors and lay members should not fall into pursue church growth and religiousity, but try to realize that the church is the community of life, and to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with the society outside the church with high morality.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at the sustainability of the Korean churchfacing the post COVID-19 era can be achieved in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a society based on communality through the organic worship and fellowship.

      • KCI등재

        선교적 교회의 내적 동력으로서의 공동체성

        최동규(Dong kyu Choi) 한국선교신학회 2016 선교신학 Vol.44 No.-

        본 논문은 공동체성이 상실된 오늘의 교회 현실을 분석하고 교회의 본질을 추구하는 선교적 교회가 어떤 공동체를 지향하며 어떻게 그리스도 안에서 공동체적 삶을 체험하고 누릴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 근대주의와 자본주의의 영향 아래에 있는 교회는 점차 공동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그러나 선교적 교회는 근본적으로 공동체를 중시하며, 구성원들이 공동체성을 경험한 만큼 선교적일 수 있다.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공동체를 규정하는 대표적인 요소로 일반적으로는 동질성, 정서적 유대관계, 지역성을 꼽는다. 반면에 신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공동체는 제도적인 차원 곧 신앙, 성례전, 직무의 차원에서 이해되기도 하고 집단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삶의 차원에서 이해되기도 한다. 진정한 신앙공동체를 이루기 위해서는 이 두 가지가 모두 필요하지만 한국교회의 현실에서는 내적인 삶의 요소가 더 중요하다. 필자는 선교적 교회의 공동체성 함양을 위해서 몇 가지 현실적인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첫째는 신앙의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것이다. 이는 구성원들이 신앙에 기초한 동일한 가치와 비전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설교와 제자훈련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서 신앙의 공동체성에 관해서 분명하게 가르쳐야 한다. 둘째로는 선교적 교회의 정체성을 뚜렷하게 드러내는 실천적 과정을 통해서 공동체를 육성하는 것이다. 교회 조직 안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신앙의 과정들 곧 세례, 성만찬, 예배, 훈련, 교제, 증언 등은 새로운 삶의 방식에 대한 이런 공동의 인식 아래에서만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셋째로 필자는 신자들 사이의 공동체성을 함양하기 위한 코이노니아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1) 선교적 공동체 안에서 신자들은 서로를 진정한 형제자매로 생각해야 한다. (2) 식탁 교제, 상호 견책과 용서는 하나님의 가족공동체 안에서 구체적으로 공동체 의식을 높이는 방법이 된다. (3) 공허한 말보다는 서로를 돌보고 섬기는 실제적인 봉사가 요구된다. (4) 교회 안에 상호부조를 실천하는 구체적인 구조가 마련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ality of today’s church where the community is collapsed and to study what kind of community the missional church pursuing the essence of the church is and how to experience and enjoy the community life in Jesus Christ. Today, under the influence of modernism and capitalism, the church is gradually losing community spirit. However, the missional church is fundamentally focused on the community, and it can be as missional as the members have experienced communality.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necessary elements that define the community generally include homogeneity, emotional ties, and locality. On the other hand, from a theological point of view, the community is understood in terms of institutional dimension, that is, in the level of faith, sacrament, and office, and also in the level of life within the group. Whereas we need both of these to be true the community of faith, the element of inner life is more important in the reality of the Korean church. I have suggested several practical ways to cultivate communality in the missional church. Firstly, we must restore the community of faith. It means that members have the same values and visions based on faith. To do this, we must clearly teach what the community of faith is through various means such as preaching and discipleship training. Secondly, we must foster communality through practical processes that clearly demonstrate the identity of the missional church. The processes of faith in the church organization−baptism, the Lord’s Supper, worship, training, fellowship, and testimony−can only be meaningful under this communal understanding of the new way of life. Lastly, I have presented several plan of koinonia to cultivate communality among believers: (1) In a missional community, believers should consider each other a true brother or sister; (2) table fellowship, mutual reprimand, and mutual forgiveness are ways to increase communality specifically in God’s households; (3) actually, it is necessary to serve and care for each other rather than empty words; and (4) there must be concrete structures in the church to practice mutual assistance.

      • 칼빈과 디아코니아

        이신열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9 고신신학 Vol.- No.11

        본 논문은 칼빈의 디아코니아 개념에 관한 것인데 이를 효율적으로 고찰하기 위해서 먼저 가난과 부에 대한 그의 견해를 살펴보았다. 이 견해에 대한 중세 교회의 잘못은 이를 기독론적으로, 그리고 교회론적으로 왜곡한 데서 비롯된 것이다. 칼빈은 이에 대한 실제적 해결책으로 올바른 성도의 교제를 제시하며 이에 대한 이론적 근거로 형평성의 개념을 주장한다. 칼빈은 구체적 구호활동을 위해서 이에 대한 교리적 이해를 추구하였는데 그 핵심은 성화론의 관점에서 살펴본 자기 부정에 놓여 있었다. 또한 이러한 디아코니아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교회의 직분으로서 집사직에 대한 칼빈의 견해는 사실상 이중적 집사직으로 집약되어 나타난다. 즉 가난한 자들을 실제로 돌보는 오스피탈러와 이러한 업무를 행정적으로 관정하는 서무관들이 이에 해당된다. 칼빈은 이러한 이중직을 통해서 집사의 직분이 구호활동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중적 집사직은 당시 제네바의 구빈원의 활동에 작 적용되어 나타났다. 비록 칼빈과 직접적인 관련성은 없지만 이러한 디아코니아의 활동이 가장 구체적으로 드러난 것이 바로 프랑스 기금, 즉 부르스 프랑쉐아즈(Brouse francaise)에 해당된다. 이는 가난한 프랑스 피난민들이 재정적으로 독립할 수 있도록 돕는 기금이었을 뿐 아니라 이를 통해 프랑스에 서적행상인들을 파송하여 성경, 교리문답서, 그리고 시편 찬송가 등을 보급하는 선교적 활동에 동참하기도 하였다. This articles focuses on Calvin's concept of diakonia. In order to effectively explain this concept, attention was directed to Calvin's understanding of wealth and poverty because diakonia cannot be fully illuminated without these two concepts. Calvin argues that the Medieval church had misunderstood them from two perspectives: christological and ecclesiological. A practical solution to this misconception could be seen in communion of the saints along with suggestion for the concept of equity. In order to fully implement the idea of diakonia, it was crucial for Calvin to secure its doctrinal basis. Self-denial(mortificatio) as a means of sanctification and repentance was believed to be essential for a believer's almsgiving. Furthermore, Calvin advocated a two-fold function of deacon in the church. Procurators are the deacons in charge of administrating and managing activities for diakonia while hospitalers are the deacons actually involved with the work of helping the needy. Calvin's understanding of diakonia was fully implemented in two Genevan programs. First, it was the general hospital caring the sick as well as providing the necessary help for them. Second, Bourse francaise was the French fund helping the French refugees in Geneva. It was a specific fund designed to help people in need until the point of time in which they could support themselves. It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work of sending colporteurs back to France so that they could distribute Bibles, catechisms and psalters to Protestants still remaining in France.

      • KCI등재

        칼빈의 교회론이 학국교회에 주는 의미

        배경식 ( Kyung Sik Pae ) 한국조직신학회 2010 한국조직신학논총 Vol.26 No.-

        The ecclesiology of Calvin, in its doctrinal aspect, is ``the place where God`s word is preached rightly, where the Sacraments are performed correctly as the body of Christ. But when his ecclesiology is regarded as apologetic, the church should be the place where discipline is carried out in a trustworthy and sincere way. Here Calvin criticized the Mass, which in the Catholic church was focused on man`s worship of Mary, the Saints and even on holy treasures instead of God. He pointed out the unbiblical theory of salvation though the merit of the human being. He also criticized the seven Sacraments, the clergy`s selling of indulgences, and the false church politics and said they were harmful for the Christian faith. The remedies, presented by Calvin were rooted in God`s Word and on the habits and the standards of the early church. The foundation of the church is the Word of God. The ground of the church is based not on human judgment, the authority of the pastor, but on the apostles and the instruction of the prophets. But the position of the preacher is important: when the Word of God is preached effectively, the role of the Holy Spirit is evident. What is said by Calvin regarding the sacraments? It is one way to address our ignorance and dullness and another way to preach the Gospel of Jesus Christ. It is an outward sign by which the Lord seals on our consciences the promises of his good will toward us, seal in the writing on our hearts and reflected in the mirror of our lives in which we see the abundant grace of God in order to sustain the weakness of our faith. Calvin believed that regular discipline sustained the life of the church, just as it is needed also in the society, in the family and in the school. What is the purpose of the discipline? 1. Those who lead a filthy and infamous life may not be called Christians 2. The good are to separate themselves from the wicked, so as not to be corrupted by the constant company of the wicked, as commonly happens 3. Those overcome by shame for their baseness begin to repent. And he said that such severity as is joined with a ``sprit of gentleness``(Gal. 6:1) befits the church. The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reflected in the view of Calvin, are: l. the Korean church`s emphasis on love rather than justice means it becomes insensitive to sin 2. Christians are not well educated in the church. They are baptized without pre-formation 3. Churches are evaluated by quantity rather than quality 4. churches focus on trends and special events rather than worship in the church 5. church congregations seek to live Christian lives to gain recognition from the pastors rather than from God. When we establish the Korean church on Calvin`s ecclesiology, where: I. God`s word is preached rightly 2. the Sacraments are performed correctly as the body of Christ and 3. the performance of discipline is done sincerely, then church members will be satisfied in their Christian lives and God will be pleased with this and He will raise up the Korean church rightly and bless it without cea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