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격대학평가에 대한 전략적 성과측정 관점에서의 분석

        문근찬(Keun-Chan Moon) 한국조직경영개발학회 2008 조직경영개발연구 Vol.1 No.1

        오늘날 성과평가는 전략 내용을 커뮤나케이션 하며, 공통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개인과 조직, 복합 기능적 과제를 전략에 일치시키도록 하는 전략적 성과평가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으로 이행하고 있다. 그러나 비영리기관으로서 대학의 경우, 외적 요구에 의해 실시되고 있는 대학평가제도에 의한 성과평가는 개별 대학의 전략적 고려 없이 인위적인 서열화가 주된 목적이 되고 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대학의 성과평가에 전략적 성과측정의 접근을 적용하고자 할 때 현행 대학평가체계와 지표구성의 측면에서 어떤 차이를 보일 수 있을지 논의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2007년도에 실시된 원격대학평가를 대상으로 하여 종래 대학평가 체계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학평가에 대한 대안으로서 균형성과표 (BSC) 방식을 써서 전략적 성과평가를 시도한 사례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이 두 사례에서 유추할 수 있는 일반적 대학평가와 전략적 성과평가 접근의 주요차이를 도출함으로써, 대학평가가 전략적 성과평가의 수단으로 이용되기 위해 필요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치안성과평가에서 조정성과지표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치안만족도 지표를 중심으로 -

        박상주,이우권 한국경찰연구학회 2014 한국경찰연구 Vol.13 No.4

        최근 경찰은 치안성과평가 제도의 운영에 있어서 과거에 부작용을 초래했던 각종 활동실적 위주의 성과평가를 지양하고 국민 중심 및 고객만족 위주의 평가체계 구축에 노력하고 있다. 이는 치안성과평가의 강조점이 경찰의 활동 그 자체보다는 경찰의 활동이 국민에게 발생시킨 편익을 평가하는 방향으로, 즉 산출지향적인 성과평가에서 결과지향적인 성과평가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성과지표로서의 결과지표는 산출지표에 비해 피평가기관의 활동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약화된다는 문제가 있고, 따라서 결과지향적인 치안성과평가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경찰조직의 활동과 보다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성과지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치안성과평가에서 경찰조직의 활동 내지 노력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성과지표를 모색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조정성과지표’(APM)의 방법론을 소개하고, 이를 치안성과평가의 주요 영역인 치안만족도 분야에 시범적으로 적용해 봄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 치안성과평가의 한계와 더불어 조정성과지표의 원리를 고찰한 후, 이를 토대로 경찰서 치안만족도의 과거 조사결과인 2010년 데이터에 APM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과거의 조사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경찰서의 치안만족도에 대해 APM을 적용한 결과는 원점수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상당히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APM은 치안만족도에 대해 개별 경찰서의 통제가 불가능한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를 제거하고 경찰서의 노력이나 업적 등과 보다 직접적인 관련성을 띠는 형태로 산출되었다. 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APM을 활용하게 되면 치안성과평가의 타당성과 수용성의 제고 및 평가결과의 활용범위 확대 등이 기대되며, 평가결과의 경찰관서 간 비교를 어렵게 만드는 제약요인을 극복하여 전국 단위의 관서 비교를 비교적 무리 없이 할 수 있게 해주는 동시에 치안성과평가의 부작용 방지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다. Recently, the polic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is redirected at more people-centered and customer satisfaction-oriented performance measurement. This reorientation reflects an effort to avoid the various distortion effects of prior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which overemphasized outputs of police activities as performance indicators. In other words, the present police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more and more emphasizes outcomes rather than outputs of police activities. However, in the practice of performance measurement, values of outcome indicators are less likely to be directly related to the activities or efforts of the organizations.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outcome- oriented performance measures are as highly as possible correlated with police organizations’ activities or efforts. This study introduces the ‘Adjusted Performance Measures’(APM) to the field of police performance measurement as a solution to the above problem and tries an illustrative application of the APM to police satisfaction which is a major part of police performance measures. At first, the study reflects on the limits of existing police performance system and rationales of the APM. Based on these reflections, the study applied the APM model to the 2010 survey data of people’s satisfaction with the police stations and compares the results with the existing raw data. It is found that major differences appears between the APM scores and raw data scores of police satisfaction, and the APM scores are produced so as to remove correlations between the police satisfaction scores and the variables which are beyond the individual police stations. Instead, the APM scores of police satisfaction are produced so that they are more directly related to the police stations’ efforts, merits or net contribution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using APM may enhance validity and acceptability of the police performance measurement, make the results of police performance measurement have multiple uses, make it more reasonable and easier to compare performance values of police stations nationwide, and contribute to minimizing distortion effects of performance measurement.

      • KCI등재

        과제 특성에 따른 성과평가제도의 성과(인식) 차이 분석 : 정부업무평가제도에 대한 공무원 인식조사를 토대로

        윤기웅,김재근,공동성 대한지방자치학회 2015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7 No.3

        2006년에 제정된 「정부업무평가기본법」을 근간으로 하는 정부업무평가제도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의 성과를 평가하고 그 평가결과를 환류하여 정부 전체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이다. 그동안 본 제도에 대해 많은 수정·보완이 이루어졌으나 큰 골격은 그대로 유지되어 왔다. 특히 사업 또는 과제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획일적 평가제도의 문제점은 상존하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은 현재까지 미흡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업무평가제도의 평가단위인 관리과제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고려하지 않은 채 일률적인 평가기준을 적용할 경우 도리어 정부업무평가제도가 의도한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과제특성은 크게 업무특성(업무성격, 대상고객, 업무 대표성, 업무내용 반복성), 지표특성(계량화 용이성, 결과지표 측정 적절성), 측정특성(연말측정 적절성, 1년 주기 측정 적절성)으로 구분하고, 정부업무평가제도의 성과는 합리적 인사관리, 조직 구성원 역량강화, 업무개선, 지속적 성과향상, 중장기 비전 설정, 국민책무성 향상 등 6가지 세부성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담당하고 있는 과제특성에 따라 6가지 세부성과(인식)의 차이(부정적 vs. 긍정적)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제특성 중 업무 대표성과 결과지표 측정 적절성은 모든 세부성과(인식)의 차이를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판단컨대, 정부업무평가제도가 의도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향후 과제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더욱 정교화 될 필요가 있다. Many advocates on the "managing-for-results" in Korea often argue that ① the government agencies should use outcomes rather than outputs in measuring performance because outcomes are more meaningful to citizens than outputs. They also believe that ② each agency had better use quantitative indicators rather than qualitative indicators in order to assure the o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However, others argue that it is not so easy to use the outcome or quantitative indicators in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all agencies/programs and this study testify this argument. Findings are as follows: 1) Certain of public officials think that it is inappropriate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their own tasks/programs in using outcome or quantitative indicators. 2) Public officials, whose tasks/programs cannot be measured by outcomes, think that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does not work.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the problems stem from the above two assumptions that much of advocacy of performance activity rests on.

      • 개발기본계획의 전략환경영향평가 운영의 성과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사공희 ( Hee Sagong Et Al. ),주용준,이후승,이상윤,조공장,강유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8 기본연구보고서 Vol.2018 No.-

        It has been 40 years since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was implemented to minimize environmental impacts from proposed projects. In the early era of EIA, the Prior Environmental Review System(PERS), currently known as the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EIA), was implemented to avoid unpredicted shortcomings from applying the EIA. This study conducted a performance analysis of SEIA over 10 years. In addition, we surveyed stakeholders with respect to their perspectives on the SEIA system and recommended plans for improvement.We conducted analyses of the current situation with respect to implementation of the SEIA system in four different areas such as adjustment of assessment period, setting and evaluation of alternatives, EIA committee, and public participation.In terms of adjustment of assessment period, we conducted analyses of the current situation with respect to changes in the assessment period, review opinions, and types of assessment related tasks in order of effectiveness for the SEIA which was designed to assess environmental impacts earlier (planning phase) rather than later (project phase). Based on project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upport System from 1993 to 2017, we carried out quantitative performance analyses of the assessment period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for projects which can be traced back to the SEIA. In terms of the performance analysis of setting and evaluation of alternatives, EIA committee, and public participation, we relied on content analysis and the Delphi method for urban development projects.We found that the assessment period of the SEIA era tended to be lengthened compared to the assessment period of the PERS ear. However, there are two positive results. Not only did the assessment period become stable, but also the fluctuation of the assessment period for the EIA has shrunk.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EIA system has become stable and that assessment periods for both the SEIA and EIA have become more predictable. Since the SEIA deals with appropriateness of plan sites and the EIA deals with the minimization of environmental impacts from projects, the functions for the two systems have been clearly differentiated. This is the main reason why the assessment period for the EIA has been shortened.In terms of setting and evaluation of alternatives, we found that the diversity of alternatives, distinction among alternatives, feasibility of alternatives, and appropriateness of alternative assessment have been improved quantitatively. However, in-depth analysis of the contents revealed that it is difficult to claim that distinction among alternatives, feasibility of alternatives, and appropriateness of alternative assessment have been successful.Although the proportion of governmental officials and experts in the EIA committee tended to be greatest, this committee became diverse through more members appointed from the civic society and affected community in recent years. When we analyzed review opinions of EIA committee members, aside from members of official consulting and review agencies, other members were provided with inappropriate opinions which neither complied with objects for the EIA committee or assessment items. This finding indicates that it is import to appoint members who have technical knowledge pertaining to the EIA and understand the system well.An environmental index based on implementation of the SEIA is a direct indicator that shows if SEIA is accomplishing precautionary conservation of national land. We developed a list of variables that represent the environmental index and compared variables for an initial plan with variables for a final plan.In order to express implementation of the SEIA quantitatively, we computed the relative performance index, taking into account the assessment period. We also expressed contributions of the performance index based 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setting and evaluation of alternatives, EIA committee, and public particip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formance index for setting and evaluation of alternative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contributed the most and least, respectively, to the total performance index. The main reason why contribution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was the least was because the EIA system in Korea has remained stable over time. In other word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SEIA system, many guidelines related to sites and plans have been developed, and differences between intial and final plans in term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degree tend to be smaller in recent years.Although the public tends to express opinions related to compensation more than those related to environmental impacts in the SEIA process, this pattern was reversed during the EIA process. In addition, the number of public opinions related to environmental impact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which implies that public awareness and interest in the environment has strengthened.Experts reported that the SEIA has contributed to environmental conservation. Experts also said that procedural requirements of the SEIA system are the main reason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We found discrepancies between results from analysis of the performance index in four different areas and the perception of experts with respect to the performance index. While this can be explained, experts tend to think that the overall effects from introduction of the SEIA system and analysis of the performance index is based 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of individual projects. Although experts agreed that the setting and evaluation of alternatives in the SEIA era are more advanced than in the PERS era, such advancement failed to lead to the enhancement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Experts reported that the EIA committee can be strengthened by improving the provision of feasible alternatives and distinct assessment items. Finally, exper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llecting public opinions on behalf of project proponents and approval agencies, and noted this positively with respect to th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during the public participation process.Based on results from surveys on the perceptions of stakeholders and expert forums, we found several problems. In terms of problems associated with management of the SEIA system, we found a prolonged assessment period, lack of distinction between the SEIA and EIA guidelines, demand for information which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tage of plan, and ambiguous official consultations between the SEIA and EIA as problems. In terms of setting and evaluation of alternatives, we found lack of systematic reviews of alternatives, the time that alternatives are set, and the lack of site alternatives as problems. In terms of the EIA committee, we found written evaluations, lack of variations in EIA preparation documents, lack of information around affected areas, and a lack of distinctive functions between the SEIA and EIA committees as problems. In terms of public participation, we found a low effect from public participation, a lack of diverse public participation methods applied, and a lack of roles for approval agencies during the process as problems.We suggested several policy recommendations to enhance the SEIA system. First, we suggested that SEIA and EIA should be functionally differentiated through taking advantage of the simplified EIA system. Secondly, we recommended that the effectiveness and diversity of alternative assessments should be ensured via adjustment of the time when alternatives are set and provision of the third alternative. Thirdly, we suggested that the SEIA and EIA committees should be combined, scoping functions should be strengthened, and an agency which specializes in scoping should be established. Finally, we recommended that public particip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feedback route rather than a unidirectional route, and social research methods should be developed to be applied in the public participation process. 개발사업으로 인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환경영향평가 제도를 도입한 지 40년이 경과하고 있으며, 초기 환경영향평가 제도 운영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사전환경성검토 제도(현 전략환경영향평가 제도)가 도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략환경영향평가제도(구 사전환경성검토 포함)를 10여 년간 운영한 결과에 대한 운영 현황 및 성과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해관계자 인식조사를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전략환경영향평가 제도 운영에 대하여 1) 평가시기의 조정, 2) 대안설정 및 평가, 3) 환경영향평가협의회, 4) 주민참여의 4개 부문으로 구분하여 현황 분석을 수행하였다. 평가시기조정과 관련하여, 전략환경영향평가(구 사전환경성검토 포함)를 추가로 도입하면서 환경영향평가보다 앞선 계획 단계에서 환경평가를 수행함에 따라 제도 도입의 효과성을 알기 위해 평가기간의 변화, 검토의견의 변화, 평가 관련 업무의 변화에 대한 현황 분석을 수행하였다. 정량적 성과분석을 위하여 전략환경영향평가-환경영향평가로 이어지는 연계사업에 대해 평가기간 및 사업별 환경보전 성과를 분석하였다. 평가기간에 대한 분석은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시스템(EIASS)에 등록된 1993년부터 2017년까지의 사업 정보를 이용하였다. 대안설정 및 평가,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주민참여에 대한 분석은 도시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평가서 내용 분석 및 전문가 평가를 통해 실시하였다.전략환경영향평가 도입으로 인하여 사전환경성검토 시기보다 평가기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평가기간이 비교적 일정하며, 환경영향평가 평가기간의 변화폭도 작아지고 있다. 이는 전략환경영향평가 및 환경영향평가 협의기간을 예측할 수 있고 제도가 안정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연계사업의 경우 환경영향평가 평가기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었다. 이는 전략환경영향평가가 환경영향평가에 앞서 입지 및 계획의 적정성을 검토함으로써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는 저감방안 위주로 평가가 진행됨에 따라 두 제도가 점차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대안설정 및 평가에 있어 사전환경성검토 시기에 비하여 전략환경영향평가 시기에서 대안의 다양성, 대안간 차별성, 실행가능성, 대안평가의 타당성이 모두 증가하였다. 하지만 내용적 측면의 달성도는 대안간 차별성(50% 미만), 실행가능성(60% 미만), 대안평가의 타당성(30% 미만)이 모두 매우 저조한 수준이다.환경영향평가협의회의 위원구성은 관련 행정기관 공무원과 전문가의 비율이 가장 높으며 최근에는 시민단체와 주민대표의 참여가 늘어나면서 구성원이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심의의견에 대한 분석결과 환경청 및 KEI를 제외한 참여그룹에서 항목 및 협의회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심의의견을 제시하는 비율이 높으며, 평가결과는 50점 내외로 낮은 편이다. 이로부터 제도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전문성이 있는 심의위원의 확보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전략환경영향평가의 환경성 성과는 국토의 사전예방적 보전이라는 제도의 도입 목적에 관한 직접적인 지표이다. 사업유형에 따라 환경성을 나타내는 환경 지표를 선정하고 당초 및 최종 계획 사이의 변화량을 이용한 환경성과지수를 개발하여 상대 비교를 수행하였다.전략환경영향평가의 운영 성과를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평가기간과 연동한 상대적인 값으로 성과지수를 계산하였으며, 이를 환경보전, 대안설정 및 평가,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주민참여의 4개 부문으로 구분하여 성과기여도로 나타내었다. 부문별 성과기여도에서 대안설정 및 평가 부문의 성과기여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환경보전의 성과기여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환경보전 성과의 기여도가 낮은 것은 제도 도입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입지 및 계획 관련 가이드라인이 개발·보급되어 환경평가 과정에서 반영되어 왔기때문에 제도가 성숙된 현 단계에서는 제도 도입 초기에 비하여 개별사업 단위에서는 사업계획의 변화가 크지 않은 것에 기인한다.주민참여는 전략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는 보상과 관련된 의견의 제시가 많으나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는 환경과 관련된 의견제시가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근으로 올수록 환경 관련 의견 제시가 많아지고 있어 환경에 대한 주민의 관심과 의식수준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이해관계자 인식조사 결과에서는 전략환경영향평가 제도 도입에 따른 효과로서 자연환경의 보전에 대한 기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해관계자들은 전략환경영향평가가 환경성 강화에 기여하였으며, 제도화로 인한 절차의 강제성이 가장 큰 요인이라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이해관계자 인식조사 결과가 부분별 성과기여도와 상이한 것은 이해관계자 인식조사는 제도 도입에 따른 전반적인 효과를 반영하고 있는 반면, 성과기여도는 개별 사업에서의 환경보전 성과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대안의 설정 및 평가는 사전환경성검토시기에 비하여 발전했다는 점에는 동의하고 있으나 이로 인한 환경성 강화효과는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환경영향평가협의회의 운영과 관련하여 대안 제시 기능 및 차별적 평가항목 제시 기능이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주민참여와 관련하여 사업자 및 승인기관에서 주민의견 수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정보공개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이해당사자 인식조사 및 포럼 결과를 종합하여 운영주체별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전략환경영향평가 운영의 문제점은 평가기간이 장기간 소요된다는 점, 환경평가서의 작성 및 검토내용의 차별성이 부족한 점, 계획단계를 고려하지 않은 정보를 요구한다는 점, 전략환경영향평가와 환경영향평가 단계의 협의 기능이 모호하다는 점 등이다. 대안설정의 문제점은 체계적 대안검토가 미흡하고, 대안설정의 시기가 늦으며, 제3의 대안이 부족하다는 점 등이다. 환경영향평가협의회의 문제점은 서면평가, 천편일률적 평가준비서 등으로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환경정보 제공 및 대안설정 기능이 미흡하고, 전략환경영향평가 단계 및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의 협의회가 차별성이 부족하다는 점 등이다. 주민참여에서의 문제점은 주민의견의 실효성이 부족하고, 주민참여 방법론이 부재하며, 승인기관의 역할이 부족하다는 점이 있다.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전략환경영향평가 운영의 개선방향은 약식 환경영향평가의 활용 등으로 환경영향평가 절차를 간소화하며 전략환경영향평가와 환경영향평가의 기능을 분리하여 차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대안설정 및 평가 측면에서는 대안평가의 시기 조정과 제3의 대안 마련을 통하여 대안의 다양성과 대안평가의 실효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환경영향평가협의회 부문의 개선방향으로 전략과 환경영향평가 단계의 협의회를 통합하고 스코핑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협의회 운영을 전담기관이 담당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주민참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주민참여가 절차적 조건이 아니라 환경평가 각 단계별로 참여하고 결과를 제공받는 순환형으로 변경되어야 하며, 주민의견 수렴을 위한 방법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정부부처 성과평가에 있어 BSC의 한계에 대한 연구 : 해양경찰청 사례를 중심으로

        안경섭,유홍림 한국정책과학학회 2011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5 No.4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direc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 departments through essential critics on Balanced Scorecard (BSC). For this, the Korea Coast Guard, that has been highly rated for establishment and exemplary implementation of BSC among the government departments, was selected as the subject for the survey, whether BSC is functioning at its best as the representative technique of performance evaluation was investigated, and the problems of performance evaluation in the government departments, and illusions, etc. toward BSC, were carefully reviewed. The results from analysis of BSC revealed the following limitations: ① Incongruity between the whole items in performance evaluation and BSC ② Problems with establishment of causality in BSC ③ Limitation caused by quantification of performance indicators ④ Possibility of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for being a mere means for control and management. As improvement plan for these issues: First, the performance standards fitting into each organization should be figured out, and evaluation method and indicators accordingly need to be developed. Second, the internal performance indicators of BSC should be continuously managed in order to make it be in harmony with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organization concerned. Third, the managers have to remember that the purpose of performance evaluation is feedback, so then they should be able to assign the jobs reasonably to the members in their organization to have the members’ job ability improved further. Fourth, introduction and operating system of BSC should be built on the company-wide consensus. In this study, the illusions on BSC, which is one of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being most generally used, was disproved through actual cases on the ground of merits and demerits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and evaluation system. In addition, this research shall be meaningful methodologically as an exploratory study in the aspect of having carried out empirical analysis of the limitation of BSC by means of inductive reasoning on the basis of empirical data. 본 연구는 BSC(균형성과표)에 대한 본질적 비판을 통하여 정부부처 성과평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부처 중 BSC를 가장 모범적으로 구축·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를 받고 있는 해양경찰청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BSC가 성과평가의 대표 기법으로서 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정부부처에 있어 성과평가의 문제점과 BSC에 대한 환상 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균형성과표(BSC)는 (1) 전체 성과평가 항목-BSC와의 부조화, (2) 균형성과표(BSC)의 인과관계 설정의 문제점, (3) 성과지표의 계량화로 인한 한계, (4) 핵심성과지표(KPI)의 통제·관리 수단으로의 전락 가능성 등의 한계점을 지닐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첫째, 각 조직에 맞는 성과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평가방법과 지표를 개발해야 하며, 둘째, BSC 내부 성과지표를 해당 조직의 특성에 맞게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가야 한다. 셋째, 관리자는 성과평가의 목적은 환류에 있음을 기억하여 조직원들의 직무를 합리적으로 배정하고, 직무역량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BSC의 도입·운영을 위해서 전사적인 공감대 형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는 성과관리 및 평가 제도가 가지고 있는 장점과 단점을 토대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성과평가 방법의 하나인 BSC에 대한 환상을 실제 사례를 통해 반증해 보이고 있다. 또한 방법론적으로는 실증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귀납적 추론을 통하여 BSC의 한계에 대해 실증분석을 했다는 시론적 연구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정부 재정사업의 평가결과 활용과 성과 향상에 관한 연구

        임유미,하연섭 한국국정관리학회 2015 현대사회와 행정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정부재정사업 성과평가의 대표적인 정책수단인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의 평가결과 활용이 성과 향상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성과평가를 실시하는 근본적인 목적은 성과평가 활용을 통한 사업의 성과 향상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는 성과평가 결과를 예산배분에 직접적으로 연계시키면서, 이를 통해서 성과 향상을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 에서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의 평가결과 활용이 성과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관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가결과 활용이 사업의 성과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평가결과 활용 외에 사업의 특성이 성과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도 분석하고 있다. 분석결과, 평가결과의 활용 중 예산의 삭감이 예산의 증가보다 성과 향상에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에서는 평가결과와 예산의 연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재정사업의 성과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사업의 특성 중 사업의 규모가 대규모일 때 성과향상은 부정적인 반면, 사업의 나이가 5년 미만의 신생사업일 때 성과 향상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분석결과를 통해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에서는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성과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사회보장제도 평가 체계 내실화 방안 연구

        오윤섭,강지원,이세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보장제도의 효과성과 지속성을 보장하는 수단으로 평가 제도가 정착하기 위해서는 각종 평가 제도 내의 정합성을 높이고 평가 제도 간의 연계, 평가의 대상 및 방법 개선 등 사회보장 평가 체계의 내실화가 요구된다. 그러나 그동안 공공 부문 평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존재했지만 상대적으로 사회보장 분야의 평가 정책에 대한 분석은 많지 않다. 이 연구는 평가가 사회보장 분야에서 본질적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도화되고 시행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 현재의 사회보장 평가 제도의 현황을 살펴보고 평가 체계의 관점에서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내적·외적 체계의 내실화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2. 주요 연구 결과 제2장에서 살펴본 평가 이론과 평가 실무에서의 검토는 평가에 다음과 같은 쟁점이 있음을 보이고 있다. 첫째, 존재론적·인식론적 관점의 차이가 평가를 하는 방법의 차이를 만들며, 그뿐만이 아니라 평가자의 역할과 평가 결과의 활용 측면에서도 다른 입장과 태도를 만들어 낸다. 특히 사회보장과 같은 정부의 활동 영역은 투입되는 예산 등 자원의 규모가 방대할 뿐만 아니라 이해관계자의 입장 대립이 크고, 높은 정치성을 띠는 분야에서의 입장 차이는 더욱 클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정책 또는 사업을 대상으로 평가를 할 경우 평가의 정의·목적·방향, 평가자의 자격 및 권한, 평가 절차, 평가 후 활용 등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명시적으로 해야 한다. 둘째, 공공 부문에서 평가는 평가 자체로서보다는 성과 관리 수단으로 발전해 널리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성과 관리와 평가의 주체, 성과 관리와 평가의 대상, 성과 관리와 평가 결과 활용, 그리고 양자 간의 관계 설정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사회보장과 같은 특정 분야의 평가를 한다고 할 때 평가와 관련한 서로 다른 견해를 고려하여 평가 목적에 맞는 명확한 평가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보통 이러한 사항들은 평가 정책 (policy on evaluation)으로 집약할 필요가 있다. 제4장의 사회보장 평가 체계 분석 결과를 내적·외적 평가 체계의 문제점으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적 평가 체계의 문제점은 첫째, 성과 목표와 성과 지표 간의 적절성 부족으로 성과 지표 달성에도 정책에 대한 체감도가 낮다. 둘째, 개별 부처에서 자체적으로 작성하는 성과 목표와 성과 지표의 연계, 성과 지표 측정 산식 등의 한계도 존재한다. 셋째, 정부의 성과 관리 체계는 주관 부처와 법적 근거, 추진 체계 등에 차이가 있어 매우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다. 서로 다른 부서 혹은 팀에서 각각을 관리하고 있어 유사·중복적인 평가 대상 사업의 평가 지표가 다르거나 평가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넷째, 자체적으로 성과 관리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의 입장에서는 성과 관리를 위한 성과 관리 체계로 인한 피로감을 고민해야 한다. 다섯째, 특정한 사업(군)을 대상으로 하는 하향식 평가의 경우 평가 결과 활용 등에 강력한 기제가 마련되지 않으면 평가를 위한 평가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 여섯째, 현재 사회보장 분야의 평가와 관련된 사항들은 평가 대상 선정에서 평가자 선정, 평가 과정, 평가 결과, 평가 후 사후 관리 등과 관련한 거의 모든 단계의 정보가 공개되고 있지 않다. 외적 평가 체계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사회보장 시행 계획의 사업과 아동(또는 청소년) 등 분야별 복지시행 계획서상의 사업이 동일한 경우 이 사업은 서로 다른 평가 체계에서 유사하지만 서로 다른 배점으로 평가되는 불합리가 생겨난다. 동일한 사업임에도 각기 다른 평가단에서 다른 평가 프레임워크로 평가되어 위원회를 통해 차년도 시행 계획에 반영된다. 둘째, 이전의 재정 사업 자율 평가는 전 부처의 재정 사업을 대상으로 3년 주기로 전체 사업을 평가한 반면 간소화된 통합 재정 사??평가는 매년 전체 재정 사업에 대해 수행해야 한다. 이 통합 재정 사업 평가에 적용되는 평가 프레임워크는 사업 관리의 적정성과 목표 달성 및 성과 우수성 등 총 2개의 평가 항목에 4개의 세부 지표를 통해 재정 사업에 대한 평가를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의 기본은 이미 사회보장 평가에서 살펴보았던 평가 틀과 크게 다르지 않다. 또한 복지 관련 개별법에 근거를 두고 시행되는 시행 계획 평가의 평가 지표 체계와도 큰 차이가 없다. 셋째, 사회보장 기본계획에 근거한 시행 계획상의 관리 과제와 개별법에 근거하여 수립된 기본계획에 따라 수립된 시행 계획의 관리 과제, 재정 사업 자율평가의 대상 사업은 상당 부분 일치할 것이 분명하다. 그렇다면 동일한 과제 또는 사업이 한 번은 사회보장 시행 계획 평가에서, 다른 한 번은 개별법에 따른 시행 계획 평가에서, 그리고 재정 당국이 주체가 되어 관리하는 성과 관리제도 내 통합 재정 사업 평가 등 각기 다른 평가 제도에 따라 매년 평가되고 그 결과가 차년도 시행 계획 또는 사업 개선에 반영된다. 또한 동일한 사업을 각기 다른 평가 제도에 따라 평가하는 것도 문제지만 유사한 평가 프레임워크이면서 각 항목별 배점이 상이한 경우 동일 사업인데도 경우에 따라서는 평가 결과가 상이할 수가 있어 평가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통합 재정 사업 평가의 경우 평가 결과가 공개되고 있지만 사회보장 시행 계획 성과 평가의 경우 요약 보고만 공개되므로 사업별 평가결과는 확인할 수 없다. 각각의 평가 결과가 유사한지도 파악할 수 없다. 넷째, 사회보장 평가는 시행 계획 평가 외에 사회보장심의위원회 사무국 사회보장평가과가 주관하는 기본 평가와 핵심 평가가 있다. 이러한 평가는 성과 관리 제도의 일환으로 시행되고 있는 재정사업 심층 평가와 유사성이 있다. 다섯째, 지금까지 내적·외적 평가 체계의 문제점으로 각각 지적된 것외에 공통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는 사회보장 평가 정책이 부재하다는 점이다. 성과 평가든 기본 평가나 핵심 평가든 평가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평가와 관련한 제반 요소들, 평가 목적, 제반 법규, 평가 수행 체계, 평가 자원, 평가 과정, 평가 결과의 제시와 활용, 이해관계자와의 관계 등을 명확히 해야 한다. 그러나 사회보장 평가의 경우 「사회보장기본법」이나 개별법에 규정되어 있는 내용과 `사회보장위원회 운영계획`에 제시되어 있는 것이 전부이다. 현행 조건에서는 평가 대상 선정, 평가 과정, 평가 결과, 평가 결과의 환류, 평가 결과 공개 등 평가를 둘러싼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결국 앞에서 언급한 평가 정보의 비공개도 평가 정책의 부재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결론 및 시사점 사회보장 평가 체계의 개선 방향을 내적 체계 개선 방향과 외적 체계개선 방향으로 나누어 보면 아래와 같다. 내적 체계 개선 방안은 크게 여섯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사회보장기본법」에 평가 및 평가 결과의 환류를 명확하게 제시해야 한다. 사회보장 기본계획과 시행 계획에 대해 정책 목표 수립과 사업의 설계 및 관계 설정, 평가 결과의 환류 등을 명확하게 법에 명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보장 사업의 성과 관리 제도와 사회보장 사업의 평가를 분리하여 역할 분담을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보장 기본계획 및 시행 계획의 자율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사회보장 기본계획 및 시행 계획상의성과 지표, 부처 성과 지표, 재정 사업 자율지표 등과 연계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하되 평가 결과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 동일한 평가 지표는 반드시 명시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넷째, 평가 지표의 단순화가 요구된다. 기본 평가의 평가 지표는 기존의 성과 관리 및 정책 평가의 성과 지표(정부성과 관리, 재정 사업 자율 평가, 사회보장 기본계획 및 시행 계획 등)와 연계하고 부처별·사업별 자율 평가가 가능하도록 단순화(체크리스트)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사회보장제도 핵심 평가의 평가 대상 선정 방식을 제도화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핵심 평가는 기본 평가의 결과를 토대로 평가 대상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사회보장제도의 신설·변경 사업에 대한 사전 평가 제도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사회보장제도의 외적 평가 체계에 관한 문제를 「사회보장기본법」내에서 평가 제도와의 관계 설정, 「사회보장기본법」과 사회보장 관련 개별법에 각각 근거한 평가 제도 간의 관계 설정, 「사회보장기본법」과 사회보장 관련 개별법, 그리고 「정부업무평가기본법」과 「국가재정법」에 근거한 각종 평가 제도 간의 관계 설정 등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사회보장기본법」내에서 평가 제도와의 관계 설정의 경우에는 만일 성과 정보를 예산 또는 인사 등에 반영 가능하다면 평가 결과는 상보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둘째, 「사회보?掠羞뻘爻물?사회보장 관련 개별법에 각각 근거한 평가 제도 간의 관계 설정은 연계 또는 관계 설정보다는 성과평가 일원화를 통해 성과 관리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사회보장기본법」, 사회보장 관련 개별법 그리고 「정부업무평가기본법」과 「국가재정법」에 근거한 각종 평가 제도 간의 관계 설정은 가장 복잡한 사안이다. 이 경우에는 성과 관리제도와 평가 제도, 그리고 양자간의 관계 등 세 가지 차원에서 평가 제도의 연계를 고려해야 한다. 기본 평가는 생애주기별 사회보장정책의 효과성을 중심으로 평가한다 는 점에서 사회보장정책의 총괄기능 수행에 필요한 평가로 여겨진다. 그러나 핵심 평가와 심층 평가의 경우는 평가 조건이 유사할 수 있다. 사회보장위원회는 사회보장제도와 정책의 운영 관리, 기획재정부는 정부 재정의 효율적 관리라는 고유의 임무를 수행하므로 각자의 고유 업무 범위에서 평가 주제와 시기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다만 자율적으로 선정한 평가 주제 또는 시기가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양 기관의 조정 기제가 필요하다. 넷째, 사회보장위원회 사무국 사회보장평가과는 평가와 관련하여 평가 목적, 조건, 시기 등을 평가 지침 형태로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평가 지침을 기초로 평가 주제 설정, 평가 결과의 공유 등을 중심으로 기획재정부와의 협력 관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In the past, social expenditure increased continuously to 10.7% of GDP. Now, the effective design of the social policy and its implementation is the core business of the policy decision makers. At the same time, the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the policy became the part of the policy itself. With increasing demand for the socal intervention and also investment in this area, the performance management of policy gains its importance. It is regarded now also a necessary measure for assuring the sustainable the social securities, but it is suggested that it makes the policy makers big burdens.

      • 신정부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제도의 현황과 과제

        김성수,박소희,이창율,노상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정책자료 Vol.- No.-

        서론˚과학기술분야의 연구개발 성과가 국가의 경제성장에 기여한다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정부는 연구개발 투자를 확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옴 ˚2005년에는 성과평가법의 제정을 통하여 연구개발사업, 연구과제, 연구기관에 대한 평가의 방법 및 절차 등을 성과중심으로 전환하여 연구 수행주체가 사전에 성과목표와 지표를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달성여부를 중심으로 평가하는 성과평가 제도를 도입하게 됨 ˚신정부 출범 후에 평가간소화를 추진하면서 기존의 성과평가 제도에 대한 보완의 필요성이 대두됨 ˚본 연구는 과학기술분야 성과평가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질적인 개선과제로 활용할 수 있는 주요 이슈를 도출하여 활발한 논의의 장으로 이끌어내고자 함 R&D 성과평가 구축의 배경˚`80년대까지는 연구과제평가 중심이었으나, ‘90년 이후 연구개발사업이확대·다양화되면서 사업 및 기관에 대한 평가제도를 도입 ˚『과학기술기본법』제정(‘01.1), 국과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및 평가의 법적근거 마련(제12조) 과학기술혁신본부 출범(‘04.10) 이후 성과중심 평가제도 도입 ˚『연구개발성과평가법』 제정(‘05.12) 국가R&D 성과평가 추진현황˚2005년에 제정된 『연구개발사업등에관한성과평가및관리에관한법률』은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성과평가체계를 구축의 기본방향을 제시 R&D 성과평가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논의˚성과중심 평가제도의 전반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평가를 바라보는 다양한 참여자들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 성과중심 R&D평가체계 구축에 대하여 대다수 사람들이 바람직한 변화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아직 개선해나가야 할 과제들이 있지만 순조롭게 자리잡아가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음 ˚이전에 비하여 성과를 중시하는 풍토가 점점 정착해가고는 있으나 R&D분야의 특성상 결과에만 치중하는 분위기로는 흐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의견도 조사됨 ˚개선과제로는 평가위원의 전문성 확보를 통한 평가결과의 신뢰성과 수용도 제고가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남 ˚중요한 과제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평가위원, 평가단의 전문화와 인력 인프라 확보 ˚평가지표의 개선 및 현실화에 대한 요구도 꾸준하게 제기되고 있는 과제의 하나로 지표체계에 대한 점검의 중요성이 확인 ˚평가의 공정성과 객관성 확보를 통한 신뢰도 개선에 대한 요구가 있었으며, 효율적인 연구 성과 제고 및 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개선에 대한 지적도 조사됨 ˚평가결과 검증을 통한 평가와 예산의 조화, 평가 후 사후관리, 평가결과에 대한 평가자의 책임 강화 등에 대한 요구도 대응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해나가고자 현재 검토중인 향후 평가제도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됨 성과평가시스템의 발전방향 및 과제˚평가활동과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들을 OECD(1999)의 접근법을 바탕으로 3가지 전략과 9가지 수단으로 나누어 정리 ˚향후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위한 과제로 첫째, 성과평가제도의 구성요소간의 유기적 연계강화를 위하여 통일성 있는 평가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부처별 R&D 프로그램의 특수성을 인정하더라도 일정 부분에 있어서는 국가차원에서의 R&D평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제공함으로써 평가의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임. 또한 R&D 기획단계부터 평가계획과 실행, 사후관리에 대한 수립이 신중하게 다루어져야 함 결론 및 시사점˚본 연구는 과학기술분야 성과평가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질적인 개선과제로 활용할 수 있는 주요 이슈를 도출하여 활발한 논의의 장으로 이끌어내고자 시도됨 ˚이 과정에서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을 찾아보면, 우선 기초 자료의 가용도(availability)와 각 부처의 준비사항 및 평가역량을 고려하여 성과평가를 점진적으로 확대하면서 도입하는 것을 들 수 있음 ˚주어진 상황에 적절한 평가철학의 기초 위에 고도화된 평가방법론과 쌍방향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때 상호 신뢰회복을 이루고 평가라는 공동의 작품을 완성해나갈 수 있을 것임 목 차 요약 1 제1장 서 론 1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7 제2절 연구목적 및 범위 18 제2장 R&D 성과평가 구축의 배경 20 제1절 성과평가법과 성과평가 기본계획 20 제2절 성과평가제도 구축과정 23 1. 성과평가법 제정의 취지 23 2. 주요 내용 25 3. 성과기반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기본 방향 27 제3장 국가R&D 성과평가 추진현황 30 제1절 R&D평가제도 구축 30 제2절 성과평가체제로의 전환 33 제3절 2008년 R&D성과평가 추진 주요내용 37 1. 특정평가 38 2. 자체?상위평가 39 제4절 해외사례 및 시사점 42 제4장 R&D 성과평가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논의 47 제1절 인식조사결과 및 시사점 48 1. 조사개요 및 분석결과 종합 48 2. 항목별 분석결과 49 제2절 현재 논의중인 개선방향 57 1. 특정평가 57 2. 자체?상위평가 59 제5장 성과평가시스템의 발전방향 및 과제 62 제1절 성과평가시스템 개선의 핵심요소 62 1. 체계적인 평가기획(Getting the Most From Evaluations) 63 2. 원활한 평가활동 수행(Organizing the Evaluation Framework) 64 3. 평가결과의 효과적 활용(Building Effective Evaluations) 65 제2절 성과평가시스템의 발전과제 67 1. 기획-집행-평가-환류의 연계 강화 67 2. 평가방법의 질적인 수준 제고 68 3. 평가네트워크 구성원 사이의 교류강화 69 4. 평가단의 전문성 제고 및 책임성 확보 70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73 참고문헌 77 부 록 82 SUMMARY 87 CONTENTS 89

      • KCI등재

        성과평가에 있어서 평가대상별 평가항목의 중요도 분석 -AHP와 퍼지모형의 비교-

        박찬정 한국기업경영학회 2011 기업경영연구 Vol.18 No.4

        Because what gets measured gets improved, performance measures are critical for an organization’s success. But critical success factors contain many qualitative measures, there are lots of difficulties in performance evaluation. The challenge for management accountants is to measure the unmeasurable, to develop a set of measures that capture the true essence of critical success factors. Even though the link between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performance measures has been widely recognized,its implementation presents several pitfalls. More precisely, two major problems usually have to be addressed: ① measuring those critical success factors that are qualitative in nature (intangible critical success factors), such as, for instance, corporate image, technological competence, learning, culture,employee morale, ② proceeding from the various critical success factor measures, expressed in heterogeneous metrics, to an overall assessment of business competitiveness with respect to competitors and,thus, to determination of a company’s overall rank. This article is aimed at showing the potential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the fuzzy set theory for developing a composite index of the multiple measures in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he AHP is designed to solve complex problems involving multiple criteria. The process requires the decision maker to provide judgements about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of the criteria and then to specify a preference for each decision alternative on each criteria. The output of the AHP is a prioritized ranking indicating the overall preference for each of the decision alternatives. Indeed, the fuzzy model and AHP can effectively address both the above problems by allowing metrics to be defined which can evaluate intangible factors and deal with heterogeneous measures. This article presents two example case studies to illustrate how the AHP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criteria and how the fuzzy linguistic framework can assess business competitiveness on the basis of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performance measures. In consequence, synthesizing the AHP and fuzzy model for performance evaluation described in this article is superior to other approaches in management accounting. 성과평가에 있어서 계량적 및 비계량적 성과측정치들을 종합하여 평가항목별 중요도를 고려하여종합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과정은 조직이나 개인에 대한 성과평가의 핵심적 과제가 된다. 이에 대한 성과평가 모형으로 개발되어 있는 여러 가지 방법들 중 퍼지모형과 AHP는 가장 발달된 기법으로 평가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AHP와 퍼지모형을 각각 구체적으로 사례분석의 방법으로 소개하고, 이 방법들의 유용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AHP와 퍼지모형의 통합에 의한 보다 유용한 성과평가 모형의 개발을 모색하였다. 퍼지개념에 의한 성과평가모형은 무형요인들에 관한 경영자 판단의 모호성과 부정확성을 적당한 언어척도로모형화 함으로써, 이 요인들을 명시적으로 평가하고, 재무적 및 비재무적 성과측정치와 함께 통합될 수 있도록 해준다. 퍼지모형에 의한 성과평가 단계는 다음과 같다. ① 문제의 계층구조를 종합성과, 평가항목, 성과측정 등으로 파악하고, ② 평가항목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언어변수로 측정한 후, ③ 퍼지개념을 적용하여 성과측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질적 요인들은 언어변수로 측정하고, 계량적 요인들은 퍼지숫자를 정규화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마지막으로 ④ 평가항목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가중치로 해서 퍼지값으로 표현된 성과측정치를 가중평균 하여 기업성과의 종합지표를 개발하게 된다. 이 과정 중 마지막 단계인 평가항목들의상대적 중요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AHP가 매우 효과적이다. 성과평가에 있어서 AHP와 퍼지모형의 유용성을 중심으로 각 방법의 장단점을 전통적 평가방법과 동시에 비교해 보면, 두 가지 방법의 상대적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다. 요컨대, 비계량적이고 질적인 평가항목들에 대한 성과평가에 있어서는 퍼지모형을 적용하면 성과측정이 가능하게 되고, 평가항목들의 중요도 결정에 있어서는 AHP의 적용이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퍼지모형과 AHP를 동시에 적용하는 성과평가제도는 더욱 바람직한 평가제도가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