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목표관리(MBO) 기반 성과 모니터링 체제 개발 및 공공 연구기관 적용 사례 연구

        서민호,이수철,이용호,장홍석,이기원,서의호 한국경영정보학회 2015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1

        목표관리(MBO)는 조직의 상하 구성원들이 참여의 과정을 통해 조직 단위와 구성원의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그에 따라 활동을 수행하도록 한 뒤, 업적을 측정 및 평가함으로써 관리의 효율화를 기하려는 포괄적 조직관리 체제를 말한다. 성공적인 목표관리 제도의 운용을 위해서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목표성과의 달성현황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조직원들 스스로가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나, 실적 파악에 대한 업무 부담 등의 이유로 성과 달성 과정에 대한 모니터링은 활성화되기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목표관리 과정에 있어서 수시적 중간 성과 모니터링 체제에 대한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공공 연구기관의 성과목표 관리에 적용한 사례에 대해 다룬다. 공공 연구기관의 경우, 성과목표 체제가 경제적인 가치 뿐 아니라, 기술적, 공공적 성격의 가치를 표현하는 지표들, 및 즉시적으로 확인이 어렵고, 추가적인 조사를 통해 측정하여야 하는 지표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중간 과정에 대한 성과 측정 및 달성도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측면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 출연연 K 기관의 성과지표 특성을 파악하여, 특성에 맞는 중간 성과 달성도의 측정 시점, 측정 방법을 고안하여 제시한다. 측정된 지표의 값을 조직 관점에서 조직별 달성도로 표현할 수 있는 산식을 개발하여 제시하 고, 이를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체제를 제안한 다. 본 연구는 성과의 수시적 모니터링 측면에 초점을 두어 목표관리의 실제 적용시 효율성을 강화할 수 있 고, 조직 구성원들간에 목표의 달성과정 및 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합리적인 방법을 통한 중간 달성도 평가 및 이의 공유는 추진 과정상의 실적관리 및 결과 예측을 통한 위험성 회피 등에 활용될 수 있으 며, 구체적인 적용사례를 통해 개발된 성과 모니터링 체제가 작동 가능함을 보여준다. 합리적이고 직관적인 측정 방법 및 모니터링 체제가 개발되었다 하더라도, 이전의 연구에서 발견되었던 실적관리 업무부담에 의한 중간 모니터링 부재 또는 실패 원인이 제거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개발된 모니터링 체제를 어떻게 구성원들이 업무부담 없이 실적을 입력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스스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 할 것인가 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며,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개발이 진행중이 다.

      • 다차원의 협력적 모니터링과 보육서비스 성과 연구: 모니터링을 통한 대리인(Agent)에서 청지기(Steward)로

        유란희 한국정책학회 2020 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

        본 논문은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협력적 모니터링이 관리적 차원에서 보육서비스의 성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보육서비스의 성과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영향 요인을 구조적 · 과정적 측면에만 초점을 맞춘 한계를 나타내었다. 이에, 본 논문은 서비스 공급에서 행위자 간 관계를 설명하는 행정개혁의 패러다임과 청지기 이론(steward theory)에 근거한 모니터링이 보육서비스의 품질과 이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제공하는 2019년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육서비스의 물리적 · 상호작용 · 결과품질과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육서비스의 재정적 · 인적 · 조직적 측면과 모니터 링 측면으로 구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모니터링 영향력의 구체적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하여 서비스 공급자와 이용자, 관료 10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 단일의 통제적 모니터링은 일부 서비스 품질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용자가 참여하여 공급자와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협력적 모니터링이 이루어질수록 보육서비스의 품질과 이용자 만족도가 향상되었다. 보육서비스의 이해관계자들은 정부 중심의 모니터링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정부 모니터링에 이용자 참여를 보장함으로써 공급자 통제와 정부 모니터링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공급자와 이용자가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할수록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동기부여가 이루어지며 정부 모니터링의 비용 또한 줄일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이는 모니터링 개념의 외연을 이론적으로 확장하는 한편, 기존의 통제 중심 모니터링 제도의 한계를 지적함으로써,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고려하는 협력적 차원의 제도가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사회복지관 성과평가에 대한 탐색적 고찰

        이신정(Lee shin j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社會科學硏究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관의 책임성을 강화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효율성 그리고 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는 성과평가지표의 개발에 있다. 이를 위하여 성과평가에 관한 다양한 선행연구와 미국의 주요 동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관 성과평가를 위해 사회복지관의 투입, 과정, 산출, 결과에 대한 확장된 체계분석적 접근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학계 전문가들의 자문과 현장전문가의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해 최종 성과지표를 개발하였다. 성과평가지표는 기관의 성과목표를 중심으로 조직과 프로그램에 대한 성과모니터링 시스템 점검과 목표달성정도를 평가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develop the indicators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strengthening of the accountability of the center and upgrading the quality of serves, program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for this end, the study investigated a variety of previous studies and major international trends regarding performance evaluation. This paper utilised the expanded systematic analytical approach on institutional input, process, output, and outcome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developed the final performance indicators through advice from academic expert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field experts.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 is composed of these contents: evaluation of the achievement monitoring system of the organizations and programs, and evaluation of the degree of achievement, focused on the performance goals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 SCOPUSKCI등재
      • KCI등재

        ODA사업 평가 및 모니터링 시스템과 성과 간의 관계 분석

        윤수재(尹秀栽) 한국공공관리학회 2016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0 No.4

        최근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는 ODA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완전히 전환한 모범적인 사례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성과관리 및 평가 개념이 확립되고 있는 최근에 와서 개발원조에 대한 철저한 평가나 모니터링이 선진국에 비해 미흡하다는 ODA사업에 대한 문제 제기가 시작되고 있다. 본 연구는 ODA사업이 확대되고 보다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 ODA사업 평가 및 모니터링 시스템이 수원국에서 성과를 도출하였는지, 그리고 수원국에서 도출된 성과가 공여국인 우리나라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원국에서의 1차적 성과를 빈곤 감소, 교육수준 개선, 여성인권 신장, 아동사망률 감소, 질병사망률 감소 등 MDGs의 1차 목표로 개념정의 하였고, 이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2차적 성과는 수혜자의 삶의 질 개선, 수원국 전반적인 삶의 질 개선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수원국에서의 성과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국내, 즉 공여국에서의 ODA성과로 수원국내와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으로 조작적 정의하였다. 전문가 164명의 설문조사 응답결과를 토대로 ODA사업 평가 및 모니터링 시스템 수준이 수원국에 대한 1・2차적 성과를 매개로 공여국인 한국에서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이들 간에 인과관계가 있다는 점을 통계적으로 입증하였다.

      • KCI등재

        목표관리 기반 성과 모니터링에서의 성과지표 유형 및 관리 체계 개발

        이기원,서의호,이용호,이수철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6 지역산업연구 Vol.39 No.1

        목표관리제는 효율적인 경영활동을 위해 조직의 구성원들이 조직의 목표에 부합하는 개별 목표를 토의를 통해 설정한 후, 목표설정 및 생산활동에 대해 평가자와 조직원간 의견을 교환하여 다음 목표설정에 반영하는 체계적 조직관리제도이다. 이러한 목표관리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목표를 수행하는 단계에서 실제 목표 달성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고, 그 성과를 모니터링 하는 실질적 관리 측면의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목표관리제에 대해 연구한 선행연구들은 주로목표의 평가를 위한 성과지표의 수립 및 목표관리 운영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 조사에 집중되어실제 목표관리를 실천하는 과정이나 실질적 관리 측면에서는 한계점을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한 정부출연연구기관 사례를 토대로 목표관리제에 입각한 성과 모니터링을 중심으로기존에 설정된 성과목표 유형을 분류하고 목표 달성도를 도출하는 체계를 개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 내 성과 모니터링을 통한 목표 진도 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anagement by Objectives (MBO) is an organization management model, which is a process of defining objectives, monitoring and evaluating performance, giving reward to employee, and reviewing objectives. Among the steps of MBO process, performance monitoring becomes an important stage to manage an organization by checking achievement of targets. However, previous researches mainly focused on the define objectives or awareness of adapting MBO model rather than practical issue in terms of performance monitoring. Therefore, we develop criteria for classifying performance indicators and performance metrics in suitable for MBO.

      • KCI등재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인상관리동기가 피드백추구행동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셀프모니터링의 조절효과 -

        박혜선 한국항공경영학회 2024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2 No.1

        항공사 간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항공사의 대표적 인적자원인 객실승무원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국내 선행연구에서 인상관리와 관련하여 가식적인 행동, 또는 정치적인 동기로 그 결과가 부정적인 연구가 많았다. 이 연구는 서비스 조직에서 성과와 연결되는 인상관리의 긍정적인 측면과 필요성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항공사와 같은 서비스조직에서 인상관리동기, 피드백추구행동, 직무성과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고, 둘째, 인상관리동기와 피드백추구행동과의 관계에서 셀프모니터링의 조절 효과를 검증한다. 항공사 객실승무원 38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첫째, 인상관리동기와 피드백 추구행동과의 관계에서 인상관리동기가 높을수록 피드백 추구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상관리동기는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드백 추구행동을 많이 할수록 직무성과가 향상되고 인상관리동기와 직무성과 사이에서 피드백 추구행동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셀프모니터링 수준은 인상관리동기가 피드백추구행동을 하는데 있어 정(+)의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항공사와 같은 서비스 조직 내에서 인상관리동기는 피드백추구행동이라는 성과와 관련된 조직 내 긍정적인 행동을 통하여 조직원의 직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인상관리와 관련된 긍정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여 이론적인 확장에 기여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인상관리동기를 지닌 구성원의 피드백 추구와 같은 인상관리행동이 직무성과 향상이라는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므로 구성원들의 인상관리동기를 강화시킬 수 있는 인상관리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과 연구 결과와 같이 직무성과의 선행요인인 피드백 추구행동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통해 조직 내 긍정적인 행동을 유도할 환경을 조성해야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As competition between airlines intensified, it become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cabin crews, the airline’s representative human resource. In previous domestic research, there were many studies in which the results were negative due to pretentious behavior or political motives related to impression management.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positive aspects and necessity of impression management related to job performance in service organiza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first, we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relationship between impression management motivation, feedback-seeking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in service organizations such as airlines, and second, we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monito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ression management motivation and feedback-seeking behavior. As a result of a survey of 386 airline cabin crew member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ression management motivation and feedback-seeking behavior, the higher the impression management motivation, the more feedback-seeking behavior was shown. Second, impression management motivation gives a positive (+) effect on job performance. Third, as feedback seeking behavior increased, the job performance was improved. Thus, the feedback seeking behavior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impression management motivation and job performance. Lastly, the level of self-monitoring gives a positive effect on moderating the impression management motivation and feedback-seeking behavior. This study gives a significant meaning by extending the positive results on theory on impression management motivation that impression management motivation can improve the job performance of service organization members, such as airline crews, through the positive behavior related to feedback-seeking behavior. Since such feedback-seeking behavior of individuals having the impression management motivation shows positive results on improving job performance, it gives a necessity to establish strategy on enhancing the individuals’ impression management motivation, and provide the job environment leading positive behavior by giving proper rewards on feedback-seeking behavior which is predisposing factor of job performance as the study result shown.

      • KCI등재

        일반논문 : 중앙행정기관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권오영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5 정부학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중앙행정기관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정치적 현저성과 목표 모호성이 정부기관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앙행정기관은 국정감사를 통한 성과에 대한 감시와 대통령의 기관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수록 정부기관 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중매체의 지나친 관심은 오히려 정부기관의 성과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정부기관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고 평가적 목표가 명확할수록 이는 성과를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반면, 지시적 목표 모호성과 같이 법이나 규칙 등이 모호할 경우, 유연한 판단의 여지는 정부기관 성과 향상을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 상담성과 모니터링을 적용한 상담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이화실,이혜은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Vol.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nd explain the process of counseling in progress by utilizing Outcome Rating Scale and Session Rating Scale. In this research, researchers performed the role of both a participant and an observer. As observers, we observed and recorded the changes in counseling process, the client’s reactions and the counselor’s experiences. Two clients who met the criteria for this study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described how the monitoring process using Outcome Rating Scale and Session Rating Scale occurred and what happened to counselors and clients in this process. From the result of the research, we found that utilization of ORS & SRS in the process of counseling can promote effective counseling progress. This research also suggests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precautions of using ORS & SRS. 본 연구는 성담성과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상담을 진행하는 과정을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연구 참여자와 관찰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였는데 관찰자로서의 연구자들은 상담과정의 변화, 내담자의 반응, 상담자로서의 경험 등을 관찰 및 기록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연구자들이 상담을 진행하는 내담자들 중, 본 연구의 내담자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내담자들 가운데 연구 참여의사를 밝힌 내담자 2인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상담성과 평가도구를 사용한 첫 회기부터 종결 회기에 이르기까지의 상담 장면에서 상담성과 평가도구를 활용한 모니터링 과정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이 과정에서 내담자와 상담자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서술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상담성과 평가 결과를 상담 과정에 반영하는 것은 효과적인 상담의 진행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또한 상담성과 평가 도구 활용의 장단점과 주의할 점이 무엇인지를 상담 실제를 바탕으로 심층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환경평가 모니터링을 통한 환경영향평가 제도 성과 검증 연구

        강유진 한국환경연구원 2021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21 No.-

        ■ 연구의 주요 내용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지금까지의 환경영향평가 성과평가는 환경영향평가 과정을 통한 친환경성의 변화량을 정량화하는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음. 이는 사업 시행 전에 예측된 값을 사용한 환경영향평가 성과의 추정치임.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실제 사후환경영향조사를 통한 사업 이행 이후의 자료를 비교하여 환경영향평가의 성과를 검증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 ○ 환경영향평가 성과 분석 및 검증 체계 도출 - 본 연구에서 환경영향평가의 성과는 동일 사업 내에서 환경영향평가 협의 과정을 거쳐 변화한 여러 환경지표의 친환경성으로 정의함. 이후 환경영향평가 항목별 주요 환경지표의 정량화 가능 여부, 관련 타법에서의 기준과의 비교 가능 여부, 사후환경영향조사 자료의 대응 가능 여부 등을 검토하여 주요 부문의 성과를 분석하고 검증하는 방법을 제안함 - 성과로 확인된 환경지표의 친환경성의 증대분은 부문별 환경가치 연구의 환경편익 원 단위를 활용하여 경제적 가치로 환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정책 제안 ○ 환경영향평가의 불확실성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환경영향평가 시 예측, 계획한 내용을 비교할 수 있도록 사후환경영향의 조사 방법과 작성 방식, 그리고 사후환경영향조사 계획을 구체화하여야 함. 사후환경영향조사의 환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환경영향평가 시 예측의 불확실성에 대한 원인 분석과 사후환경영향조사 단계에서의 보완 방향을 연계한 검토가 필요함 ○ 장기적으로는 환경영향평가 시 예측, 계획한 모든 사항과 대응하는 사후환경영향조사 자료, 환경영향평가 외에 여타 사후관리 절차에서 이행·점검되는 부문별 관리 현황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할 필요가 있음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