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설화 교육 방안 연구 - <아기장수 우투리>와 <반쪽이>를 중심으로 -

        류명옥 ( Ryu Myeong Ok ),조유영 ( Jo Yu-young ) 백록어문교육학회 2024 백록어문교육 Vol.33 No.0

        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고전 서사 문학 작품들이 교육 자료로 수록되어 있다. 그중에서 설화는 신화, 전설, 민담이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교육 제재로 활용되고 있다.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는 설화 작품을 보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비해 설화 작품 수가 2배로 늘어나는 양적 측면의 확대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대부분의 설화 작품들은 참고자료나 추가 읽기 자료로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읽기 영역’에서 요약하기를 중심으로 학습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한계점을 보인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과 ‘문화 향유 역량’ 함양을 위한 설화 문학 작품의 특징을 활용할 수 있는 측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설화 문학 작품을 비문학적 성격으로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새롭게 개정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역량 함양과 설화 문학 작품의 특징을 반영한 설화 교육 방안을 새롭게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가장 많이 수록되었던 <아기장수 우투리> 설화는 영웅적인 능력을 지녔지만,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여 비극적 죽음을 맞이하는 설화로 널리 알려져 있다. <아기장수 우투리> 설화는 전국적으로 널리 전승되는 광포 전설로 전승되어 중요한 설화 문학 작품으로 인정받아 중학교 1학년∼3학년의 국어 교과서에 모두 수록되었지만,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지 않았다. ‘민중적 영웅’에 대한 비판적·창의적인 성취기준과 학습 목표에 적절하지 않아 교과서에 수록되지 않았다. 영웅에 대한 사회ㆍ문화적 맥락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되지 않는 교육 제재로 활용되어 온 한계점이 문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사회ㆍ문화적 맥락을 기반으로 작품을 이해해야 하는 설화 문학 작품의 특성과 입으로 구비전승되는 구술성을 지니는 설화는 새롭게 개정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함양을 위해 교육 제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기장수 우투리> 설화와 비슷한 구조를 지니지만, 장애라는 한계를 극복하는 긍정적인 결말로 이야기되는 <반쪽이> 설화와의 비교를 통해 고난과 시련을 극복하는 방법, 차별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비판적ㆍ창의적 사고 역량’을 함양하는 기반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입으로 전승되는 설화가 가지는 ‘낭독’의 특징은 설화 작품의 팟캐스트 창작 활동을 통해 ‘디지털ㆍ미디어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제재로 활용되어 교육적 가치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Classical narrative literature works are included as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Myths, legends, and folktales are used as educational sanctions in middle school official language textbooks. Looking at the folktales contained in middle school official language textbook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aw a quantitative expansion in which the number of folktales doubled compared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However, most of the folktales are limitedly used as reference materials or additional reading materials, and learning activities are limited in the reading area. In addition, despite the fact that there is an aspect that can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folktales’ literary works to cultivate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competencies’ and ‘competencies to enjoy culture’ required b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school education field approaches folktales literary works as a non-literary charact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newly seek a way to educate folktale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folktales’ literary works that can cultivate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newly revised 2022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s tory of < Baby Longevity Uturi >, which was most often included in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has heroic abilities, but is widely known as a story that leads to a tragic death by failing to demonstrate one’s abilities. The story of < Baby Longevity Uturi > has been widely handed down throughout the country and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literary work, so it was included in all Korean textbooks for the first to third grades of middle school, bu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nly one was included in the literature textbook. It may not be included in the textbook because it is not appropriate for critical and creative 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ing goals for “people heroes,” but the limitation that has been used as a material for folktales that does not support an understanding of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heroes is a problem. Therefore, folktales that require understanding of works based on various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nd oral traditions can be used as folktales to cultivate the competence of the newly revised 2022 curriculum. It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 Baby Longevity Uturi > folktales, but through comparison with the < Pajjoki > folktales, which are told as a positive end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disability, how to overcome hardships and trials, and a correct understanding of discrimination can lay the foundation for cultivating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competencie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of folktales that are handed down through the mouth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educational value by being used as an educational sanction to cultivate “digital and media competencies” through podcast creation activities of folktales.

      • KCI등재

        설화교육의 수준별 적용과 한계 : 초․중등교과서에 수록된 설화를 중심으로

        서해숙 한국구비문학회 2006 口碑文學硏究 Vol.0 No.23

        구비문학 가운데서 설화는 여느 장르에 비해 교육 제재로 적극 활용되고 있다. 설화 가운데서도 특히 동화, 전설, 민담 등은 일찍이 문학 교재로 채택되어 교육적 수용의 좋은 모델이 되어 왔다. 이는 설화가 시대를 초월한 교훈과 윤리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이를 통해 문학교육의 중요한 목표인 상상력을 고양하고 수용자의 미적 체험과 세계관을 확장시킬 수 있다는 점, 여느 장르와는 달리 누구나 말하고 들을 수 있으며 이를 재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 제재로 적극 활용되고 있고, 다양한 교육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설화가 실제로 초&#8228;중등교과서에서 어떻게 교육되고 있는지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 국어의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교과서에서는 다양한 학습방법을 동원하여 점층적, 학년별, 단계별로 층위화하여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중등교육에서의 설화교육은 초등교육과는 달리 설화의 내용 이해, 서사구조 파악, 구비문학적 특성만을 탐색하는 것으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설화교육은 국어교육이나 문학교육과 함께 하면서도 설화의 본래적 기능과 상응할 때 비로소 교육적 효과가 증대된다. 초등교육에서 설화는 읽기, 말하기, 듣기, 쓰기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방법으로 궁극적으로 광의의 국어교육을 실현하고 있는 반면, 중등교육에서 설화는 내용, 구조, 개념, 특성 등을 파악함으로써 문학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장치로만 활용되고 있고 읽기 중심의 교수, 학습방법으로 획일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설화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 영역의 개발과 함께 이를 비판하고 이해하는 활동 그리고 자신의 사상이나 정서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언어활동 등이 교과과정에 지속적으로 적용되면서, 아울러 문학작품으로써 설화에 대한 세세한 분석과 이해가 병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생태학적 관점을 통한 설화교육 방안 모색 - <장자못> 전설을 중심으로 -

        박수진 ( Park Su-ji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4 고전문학과 교육 Vol.2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학의 원리와 사유 방식을 설화교육에 적용함으로써 설화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생태학의 관점 가운데 교육적 의미가 있는 주요 이론과 요소들을 선정, 구조화하고 이를 설화교육에 적용한다면, 어떠한 방향으로 설화교육이 전개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문학교육적 가능태를 제시하였다. 이는 생태학적 관점이 그 동안 설화교육 연구 방법에 전환을 꾀할 수 있다는 인식을 전제로 한 것이며, 설화의 고유한 장르적 특징과 문학성을 토대로 생태학과의 새로운 접점을 제시할 수 있다는 판단에 근거한 것이다. 생태학적 설화교육은 다음과 같은 문학교육적 함의를 지닌다. 첫째, ‘지금 여기’의 이야기로서 문학 작품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학습자는 자신이 살고 있는 ‘지금 여기’에 구체적인 증거물과 이야기로 남아 있는 설화 작품을 감상함으로써 문학적 상상력을 함양하고,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내용이 실생활에서 운용되고 있음을 경험하게 된다. 둘째, 다른 교과와의 상호의존 및 통합을 강조하는 교육 내용을 설계할 수 있다. 각 지역의 설화 작품을 활용하여 ‘문법’ 영역의 방언을 함께 가르칠 수 있고, 전설의 증거물로 언급되는 지형지물 및 역사적 인물을 통해 지리 및 역사 교과와의 통합을 실천할 수 있다. 셋째, 학습자는 자신이 속한 지역에서 전승되는 설화 작품을 감상함으로써 지역 문화를 존중하고, 소속감과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생태학적 설화교육의 방향과 목표가 타당함을 입증하기 위해 <장자못> 전설을 제재로 하여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설계, 제안하였다. 덧붙여 이상의 생태학적 설화교육이 타당하게 구현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지역화 및 통합교육이 제도적으로 설계되어야 하고, 설화의 향유․전승 방식에 입각한 교재 구성 방안이 교과서를 통해 실현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new direction of folktale education as applying ecological principle and thought to the education. For achieving this aim, the primary theories and factors that have educational value from an ecological standpoint are selected and categorized, and then dynamis of literary education about which direction we are going is suggested. This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recognition that ecological standpoint has been able to change way of methodology of folktale education, and on the estimation that the new nexus between characteristics of folktale and ecology is able to be suggested. Ecological folktale education creates values as follows: First,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appreciate literature and story occurred right here. The learners can experience that their literary knowledge is used in practical life and foster the interest of literary imagination as they appreciate folktale works that have concrete evidences of the landscapes of the works where they have lived in. Second, it can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that emphasize interdependence and integration among other subjects. With the utilization of regional folktales, it makes the learners study a regional dialect and other subjects synthetically. Third, the learners can develop a sense of belonging and identity, and will respect regional culture by appreciating regional folktales. This study, focused on Jangjamot, develops and suggests concrete educational contents in order to demonstrate this new direction of folktale education.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to realize the aforementioned education appropriately, the method for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 enjoyment and transmission of narrative should be realized by a textbook.

      • KCI등재

        설화교육의 수준별 적용과 한계- 초?중등교과서에 수록된 설화를 중심으로 -

        조해숙 한국구비문학회 2006 口碑文學硏究 Vol.0 No.23

        The Application and Limitation by Level in Narrative Education- Focused on the narration printed in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textbooks Seo, Hae Sug(Chonnam National University)This paper is about how to be educ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learning the narration printed in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textbooks, a way that we have recognized to be the educational signification and limitation. 구비문학 가운데서 설화는 여느 장르에 비해 교육 제재로 적극 활용되고 있다. 설화 가운데서도 특히 동화, 전설, 민담 등은 일찍이 문학 교재로 채택되어 교육적 수용의 좋은 모델이 되어 왔다. 이는 설화가 시대를 초월한 교훈과 윤리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이를 통해 문학교육의 중요한 목표인 상상력을 고양하고 수용자의 미적 체험과 세계관을 확장시킬 수 있다는 점, 여느 장르와는 달리 누구나 말하고 들을 수 있으며 이를 재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 제재로 적극 활용되고 있고, 다양한 교육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설화가 실제로 초중등교과서에서 어떻게 교육되고 있는지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 국어의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교과서에서는 다양한 학습방법을 동원하여 점층적, 학년별, 단계별로 층위화하여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중등교육에서의 설화교육은 초등교육과는 달리 설화의 내용 이해, 서사구조 파악, 구비문학적 특성만을 탐색하는 것으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설화교육은 국어교육이나 문학교육과 함께 하면서도 설화의 본래적 기능과 상응할 때 비로소 교육적 효과가 증대된다. 초등교육에서 설화는 읽기, 말하기, 듣기, 쓰기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방법으로 궁극적으로 광의의 국어교육을 실현하고 있는 반면, 중등교육에서 설화는 내용, 구조, 개념, 특성 등을 파악함으로써 문학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장치로만 활용되고 있고 읽기 중심의 교수, 학습방법으로 획일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설화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 영역의 개발과 함께 이를 비판하고 이해하는 활동 그리고 자신의 사상이나 정서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언어활동 등이 교과과정에 지속적으로 적용되면서, 아울러 문학작품으로써 설화에 대한 세세한 분석과 이해가 병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대립 구조를 활용한 설화 교육의 내용 연구 - <구렁덩덩 신선비>를 중심으로 -

        황윤정 ( Hwang Yun-jeo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8 문학교육학 Vol.0 No.59

        본고에서는 설화 교육이 설화가 지닌 자산에 비해 풍요롭게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는 현실을 지적하고, 설화의 논리와 의미를 드러내는 대립 구조를 활용한 설화 교육의 내용을 구안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설화의 대립 구조는 세계를 선명한 질서로 형상화하며, 그로써 세계에 대한 가치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그 선명성이 이야기의 전승력을 자연스럽게 높인다. 즉, 설화의 대립구조는 설화의 전승과 향유의 과정에 기능한다고 할 수 있다. 대립 구조를 중심으로 <구렁덩덩 신선비> 설화를 분석한 결과, <구렁덩덩 신선비>는 세 국면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는데, 첫 번째는 구렁이와 셋째딸의 대립, 두 번째는 남편 찾기의 여정과 셋째딸의 대립, 세 번째는 신선비와 셋째딸의 대립이다. 이러한 대립은 중첩적인 양상으로 드러나 대립항들이 지닌 의미가 서사가 진행될수록 더 강력해지지만, 서사의 중반부에 이르러서는 강력한 의미를 지니게 된 대립항의 위치를 서로 전환하여 의미의 전복을 낳고, 마지막에는 이 대립항들이 서로 결합하는 것으로 통합적인 가치를 이끌어낸다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이를 통해 설화 교육은 서사의 전형성, 의외성, 통합성을 그 내용으로 교재를 구성해 볼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서사의 전형성을 통해 설화의 전승력을 설명할 수 있으며, 서사의 의외성을 통해 전형적이나 진부하지 않은 이야기로서의 매력을 교육할 수 있으며, 통합성을 통해 가치 있는 이야기로서의 설화의 자격을 말할 수 있게 된다. 요컨대, 설화의 구조와 논리를 통해 설화라는 갈래의 본질과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pointed out that there is not a variety of current folk tales education. I saw that the antagonistic structure of the story played a role in inscribing the language as a monument. Therefore, we aimed to use this structure to construct the contents of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the story was often composed of the opposite structure. The opposing structure is to shape the world in a clear orde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judge the value of the world. In addition, the story can be widely handed down by its sharpness. As a result of this theoretical review, it was confirmed that the opposing structure of the story contributes to the tradition and enjoyment of the stor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arrative of < Gurongdongdong Sinsonbi >focusing on the opposition structure, the < Gurongdongdong Sinsonbi > can be divided into three. The first i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snake and the third daughter, the second is the journey of searching for the husband and the confrontation of the third daughter, and the third i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Sinsonbi and the third daughter. These confrontations appeared as overlapping patterns, and the meaning of the opposites became stronger as narrative proceeded. However, by the middle of the narrative, the position of the opposing positions which had a strong meaning turned into each other, resulting in the overthrow of meaning. At the end, we can confirm that these adversities lead to unified values. Through this, it is argued that the narrative education can be composed of the typicality, unexpectedness, and integration of narrative. The typicality of narratives makes it possible to memorize narratives, and the unexpectedness of narratives makes them more attractive as unburdened stories, and integration makes them valuable stories.

      • KCI등재

        멀티미디어시대 설화문학의 교육적 재구성 방안

        서해숙 ( Hae Sug Seo ) 남도민속학회 2013 남도민속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와 이야기판의 기능과 의미를 살피고 이를 토대로 설화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학습방안을 살핀 것이다.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따라 그리고 학습자의 유형과 단계에 따라 어떻게 교육하고 지도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특히 오늘날 멀티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설화문학에 있어서도 변화를 가져옴에 따라이런 변화를 교육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적 모색이 필요하다. 이에 ‘언어능력 향상’과 ‘상상력 증진’에 역점을 두고 멀티미디어와의 상호성 속에서 설화교육 내용을 크게 이해하기, 창작하기, 소통하기 3단계로 구분하였다. 이 과정에서 ‘멀티미디어’라는 현대 기술체계를 적극 수용하고 이를 활용하게 된다면 설화교육의 본래적 기능과 의미에 충실하면서도 이를 교육적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먼저 설화의 연행 현장인 전통적인 이야기판에서 소통과 공유가 어떤 양태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상호성에 대해서도 주목하였다. 이야기판에서 화자와 청자는 설화를 매개로 끊임없이 소통하고, 거기에서 산출된 사고와 가치를 함께 공유하며 문학적 상상력을 발휘한다. 이러한 이야기판은 설화의 구어적 소통, 쌍방향 의사소통을 온전히 보여주고 있으므로, 이를 화자와 청자 즉 구술 주체와 객체의 관계, 상황적 맥락등을 고려하여 교육의 장으로 적극 차용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이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이야기판과 이를 통한 설화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는데,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의사소통과 이야기판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설화교육 방안을 ‘계획단계 → 학습단계 → 내면화단계’로 크게 세분하고 이를 수업 이전, 수업, 수업 이후 단계로 구분하였다. 계획단계에서는 설화교육을 위한 사전 준비과정으로, 교수와 학습자간의 소통체계를 마련하는 과정이며, 학습단계는 크게 환경설정, 탐구하기, 감상하기, 소통하기, 평가하기 등으로 구분하여, 교육방법의 층위적 진행을 시도하였다. 이어 내면화단계에서는 학습단계의 내용을 인터넷에 탑재하여 향후 활용할 수 있는 과정으로 텍스트의 상호성과 개인적 체험의 심화에 역점을 두어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인 학습 적용으로 인물전설을 교육제재로 선정하고 중학생 1학년을 대상으로 한 1, 2차시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ciprocity and value of story-boards and considered educational feasibility via a lesson model for teaching folk-tales based on story-boards using multimedia technology. In teaching the folk-tale literature, having a new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values and accepting the means of ‘multimedia’ conforming to the conditions of the age would fit the functions and meaning of folk-tale teaching. To prove this in practice, this study focused on story-boards, where speakers and the audience would communicate and share continuously through storytelling. Today, the advancement of multimedia has caused changes in communication and brought inevitable changes in folk-tale literature. Active inquiries are needed to find out educational applicability of those changes. This study determined the relevance between communication and story-boards as an effort to give shape to the educational feasibility. Further, the present study built a folk-tale lesson model using multimedia on communication-based story-boards. The lesson model was largely subdivided into planning →learning →internalization phases so as to present relevant content systematically. The model aimed to apply multimedia to folk-tale teaching, and thus to realize two-way communication system via story-boards in lieu of one-way push method.

      • KCI등재

        멀티미디어시대 설화문학의 교육적 재구성 방안

        서해숙 남도민속학회 2013 남도민속연구 Vol.26 No.-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ciprocity and value of story-boards and considered educational feasibility via a lesson model for teaching folk-tales based on story-boards using multimedia technology. In teaching the folk-tale literature, having a new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values and accepting the means of ‘multimedia’ conforming to the conditions of the age would fit the functions and meaning of folk-tale teaching. To prove this in practice, this study focused on story-boards, where speakers and the audience would communicate and share continuously through storytelling. Today, the advancement of multimedia has caused changes in communication and brought inevitable changes in folk-tale literature. Active inquiries are needed to find out educational applicability of those changes. This study determined the relevance between communication and story-boards as an effort to give shape to the educational feasibility.Further, the present study built a folk-tale lesson model using multimedia on communication-based story-boards. The lesson model was largely subdivided into planning →learning →internalization phases so as to present relevant content systematically. The model aimed to apply multimedia to folk-tale teaching, and thus to realize two-way communication system via story-boards in lieu of one-way push method.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와 이야기판의 기능과 의미를 살피고 이를 토대로 설화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학습방안을 살핀 것이다.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따라 그리고 학습자의 유형과 단계에 따라 어떻게 교육하고 지도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특히 오늘날 멀티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설화문학에 있어서도 변화를 가져옴에 따라 이런 변화를 교육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적 모색이 필요하다. 이에 ‘언어능력 향상’과 ‘상상력 증진’에 역점을 두고 멀티미디어와의 상호성 속에서 설화교육 내용을 크게 이해하기, 창작하기, 소통하기 3단계로 구분하였다. 이 과정에서 ‘멀티미디어’라는 현대 기술체계를 적극 수용하고 이를 활용하게 된다면 설화교육의 본래적 기능과 의미에 충실하면서도 이를 교육적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먼저 설화의 연행 현장인 전통적인 이야기판에서 소통과 공유가 어떤 양태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상호성에 대해서도 주목하였다. 이야기판에서 화자와 청자는 설화를 매개로 끊임없이 소통하고, 거기에서 산출된 사고와 가치를 함께 공유하며 문학적 상상력을 발휘한다. 이러한 이야기판은 설화의 구어적 소통, 쌍방향 의사소통을 온전히 보여주고 있으므로, 이를 화자와 청자 즉 구술 주체와 객체의 관계, 상황적 맥락 등을 고려하여 교육의 장으로 적극 차용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이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이야기판과 이를 통한 설화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는데,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의사소통과 이야기판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설화교육 방안을 ‘계획단계→학습단계→내면화단계’로 크게 세분하고 이를 수업 이전, 수업, 수업 이후 단계로 구분하였다. 계획단계에서는 설화교육을 위한 사전 준비과정으로, 교수와 학습자간의 소통체계를 마련하는 과정이며, 학습단계는 크게 환경설정, 탐구하기, 감상하기, 소통하기, 평가하기 등으로 구분하여, 교육방법의 층위적 진행을 시도하였다. 이어 내면화단계에서는 학습단계의 내용을 인터넷에 탑재하여 향후 활용할 수 있는 과정으로 텍스트의 상호성과 개인적 체험의 심화에 역점을 두어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인 학습 적용으로 인물전설을 교육제재로 선정하고 중학생 1학년을 대상으로 한 1, 2차시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이주민 설화 조사를 통해 본 새로운 다문화교육 방안

        오정미 한국구비문학회 2017 口碑文學硏究 Vol.0 No.47

        The purpop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new paradig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multi-cultural folk-tales which were collected via interviews with multiracial immigrants. The multi-cultural literatures selected by the schools as teaching materials showed a standardized structure of narration. In this respect, immigrant’s folk-tales could present a new paradigm for education because of the diversity of the literature genre and work. Immigrant’s folk-tales provide excellent text to represent the concepts of “Integration” and “Building interest” asserted by James A. Banks. In terms of integration, it teaches understanding of different culture to permanent residents. It can also afford immigrants dignity and identity. Immigrant’s folk-tales may provide new education paradig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under the current system, in which learners are educated using creative children’s stories, contemporary novels and poems, which encourage true integration and building interest on diversity 이 연구는 이주민들이 구술한 다민족의 설화를 통하여 새로운 다문화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의 초·중·고 국어 교재에 텍스트로 선정된 이주민이 주인공인 다문화 문학은 정형화된 이주자와 정주자 혹은 서사구조를 가진 작품들이 대부분이다. 이주민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생산하는 다문화문학의 문제점을 개선할 새로운 교육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 특히, 다양한 교육 목표의 수립과 새로운 작품 선정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한국에서 정착하며 살아가는 이주민의 설화를 새로운 다문화교육 방안으로서 고찰하였다. 다문화교육자인 뱅크스(Banks)는 다문화교육에서 ‘공감’과 ‘관심의 함양’이라는 교육 목표를 강조한 바 있고, 오랜 세월동안 많은 다문화교육자들이 이를 실천하고자 하였다. 이주민의 설화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공감’과 ‘관심의 함양’을 실천하는 데 이주민의 설화가 매우 좋은 텍스트라 판단하였고 조사된 이주민의 설화를 통해 다문화교육 내용과 의의를 밝혔다. 우선, 공감과 관심의 함양이라는 측면에서 정주민 대상으로 타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다문화교육적으로 실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주민은 자신 혹은 부모에 대한 공감과 관심의 함양, 즉 자존감과 정체성의 확립을 ‘공감’과 ‘관심의 함양’의 측면에서 실천할 수 있었다. 이주민이 주인공인 창작동화와 현대소설 혹은 시가 주요 텍스트인 현재의 다문화교육에서 이주민이 직접 구술한 다국적의 설화에서 진정한 공감과 관심의 함양을 북돋게 하는 힘을 발견하였고, 상호문화 존중의 실천을 가능케 만드는 힘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문헌으로 번역된 다국적 설화와 달리 한국에서 살아가는 이주민이 직접 구술한 설화에는 ‘문화적응’이라는 다문화교육적 내용과 가치까지 발견되었다. 이주민 설화 조사를 통해 새로운 다문화교육의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설화의 활용 ― 설화 <선녀와 나무꾼>과 설화 <우렁각시>를 중심으로 ―

        오정미 한국구비문학회 2008 口碑文學硏究 Vol.0 No.27

        In this study, a program for the practical use of folktale at the educational filed where multi-culturalist is existing was suggested. A folktale can be used as a text for the neighbors had grown in the different cultural country and now would like to be newly adapted at Korea. An introduction and analyzing of a folktale based on the content understanding would be excellent material. The cultural adaption of the immigrated women, married with Korean men, is deeply related with the future of Korea. The cultural education could be requested for them somehow rather than the language education. However there has been only discussion about reason and necessary of the cultural education without the concrete direction for them. Hence, a folktale can be newly focused as a good text through the exported analyzing and this work for applying to the educational filed has significant meaning. Other research has reported that the immigrated women are focusing on the conjugal life among the family life. In this study, <The heavenly maiden and the woodcutter> (선녀와 나뭇꾼) and <Pond-snail bride> (우렁각시) were selected to show the cultural of Korean conjugal life and help the communication based on the cultural understanding for immigrated women. Expecially the cultural education for immigrated women should be compatible with their husband education to be effective. So each content of folktale was analyzed into for immigrated women and their husband. An education with a selection of analyzed and concrete folktale will suggest new direction in educational filed for the immigrated women. It is true that there has not been many researches about the literatures connected to the culture and/or customs for the immigrated women. In this point, this study shows the potential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a folktale in the educational filed. 이 논문에서는 다문화 상황 속에서 이주여성과 그녀들의 남편을 대상으로 설화의 문화 교육적 의미와 방안을 살피고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시론차원에서 조망하였다. 설화는 다양한 문화권의 이웃들에게 문화를 전달하는 텍스트로서 용이하기에 한국에서의 새로운 삶의 적응을 위해 활용된다. 설명이 아닌 이해를 바탕으로 한 설화의 소개와 분석은 상호적인 문화교육을 위한 훌륭한 자료인 것이다. 이주여성들의 경우는 한국남성들과 가정을 구성하며 평생 살아가는 이들로, 그녀들의 문화적응은 한국의 미래와도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이주여성들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언어교육이상으로 문화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문화교육은 당위성과 필요성에 관한 담론적인 논의만 형성되었을 뿐 구체적인 방안은 제시되지 못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설화가 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을 위한 효과적인 텍스트이며, 이를 위해 전문적인 설화 분석을 시도하여 교육현장에서의 활용을 유도하는 것은 의미가 있는 일이다. 이주여성들은 가정문화 속에서도 부부의 문제에 집중하고 있음이 여러 자료를 통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주여성 부부의 소통을 도모하기 위하여 한국 부부의 문제를 문화적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 작품으로 설화 <선녀와 나무꾼>과 설화 <우렁각시>를 선정하여 분석을 하였다. 특히,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을 위한 문화교육은 그녀들의 남편들을 대상으로 한 문화교육도 함께 병립되어야 효과적이기에 각각의 설화를 이주여성과 남편들로 구분하여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설화의 구체적인 작품 선정과 분석은 이주여성 대상의 교육 현장에서 실질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해 줄 것이다. 그동안 설화가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한 한계는 문화와 연결한 작품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지 못한 이유가 크다. 따라서 설화를 문화와 연결하여 분석하는 것은 이주여성을 비롯한 외국국적의 학습자들에게 설화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과 효용성을 조망하고 교육현장에서의 활용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아시아 설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이해 : 베트남 설화를 중심으로

        오정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a way to develop and use Asian folktales written in the Korean language by immigrants living in the Republic of Korea as resources for intercultural education. For this, the meaning of intercultural education from a survey on 1493 folktales provided by 134 immigrants from 28 countries was analyzed, focusing on Vietnamese folktales. After the analysis of the Vietnamese folktales including the Philippines and the Mongolia, this study examined what folktales should be chosen and taught for effective intercultural education. As a result, those with value culture, nature culture, living culture, and history culture were selected. At the same time, this study proposed an educational plan on how the four categories could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education using folktales. 이 글은 한국에 거주하는 이주민이 한국어로 구술한 아시아 설화를 상호문화교육 자료로써 개발하고 교육적으로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이다. 28개국 134명의 이주민을 통해 수집한 1493편의 설화중에서 베트남 설화를중심으로 이주민 대상의 설화 조사가 가지는 상호문화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아시아 설화의 대표 상징으로써베트남 설화를 중점적으로 살핀 후, 상호문화교육을 위해 어떤 설화를 선정하고 교육할지 베트남과 함께 필리핀과몽골 설화를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치문화, 자연문화, 생활문화, 역사문화가 서사에 잘 형상화된 설화를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작품으로 선정하였고, 동시에 4개의 항목을 주요 교육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베트남 및 필리핀과 몽골설화를 통해 4개의 항목이 어떻게 상호문화교육적으로 접근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한국의 상호문화교육을위한 아시아 설화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모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