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군혁명문학의 발명과 실재, 위기의 딜레마

        이지순(Yee, Ji-sun) 한국비평문학회 2019 批評文學 Vol.- No.72

        고난의 행군이라는 위기의 매트릭스는 선군과 선군혁명문학의 탄생지였다. 선군혁명문학의 첫 모습은 주체문학과 구분되지 않았다. 주체문학의 발전된 단계 내지 새 형의 문학으로 규정되던 선군혁명문학은 김정일 리더십을 구현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선군혁명문학의 전성기는 『선군혁명문학예술과 김정일』(2005) 출간시점이었다. 약하게 존속되다가 김정일이 사망한 이후 쇠퇴의 수순을 밟았다.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었던 ‘선군’은 생활의 모든 분야를 지배했지만 새로움은 자동화되었다. 선군혁명문학은 새로운 형식과 미학을 촉진하려 했으나, 주체문학론 같이 창작의 기율로 발전하지 못하였다. 선군혁명문학은 북한 문학사에서 김정일의 영도 업적과 그 결과물로 정리되었기 때문이다. The crisis matrix of Arduous March was the birthplace of military-first and military-first revolutionary literature. The first appearance of the military-first revolutionary literature was not distinguished from the Juche literature. The military-first revolutionary literature, which was defined as an advanced stage of Juche Literature or a new type of literature, focused on implementing Kim Jong Il"s leadership. The heyday of the military-first revolutionary literature was at the time of publication of military-first revolutionary literary arts and Kim Jong Il(2005). Since Kim Jong Il died, it has declined. The "military-first", which led to the paradigm shift, dominated all areas of life, but the newness was automated. The military-first revolutionary literature was written as the achievement of Kim Jong Il in North Korean literature and was separated from Kim Jong Un"s leadership. The military-first (revolutionary) literature did not develop into a criterion of creation like the Juche Literary Theory.

      • KCI등재

        김정은 시대 비핵화·경제발전 병진전략의 딜레마: 선군정치의 덫

        강채연(姜采延)(Kang Chae Yeon)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8 신아세아 Vol.25 No.3

        이 논문은 김정일-김정은시대 선군정치의 정치경제동학을 통해 현재 북한 비핵화 및 경제발전 병진전략의 딜레마를 분석한다. 김정일 시대 선군정치는 핵실험과 경제위기로 인한 국내외 위기관리수단으로 출현하였다. 그리고 선군경제건설노선은 핵무력건설을 위한 경제복원에 있었다. 김정은은 선군사상과 핵보유국의 공식화를 통한 헌법 개정으로 선군정치를 계승했다. 이러한 선군정치는 핵·경제발전병진노선의 유인(誘引)에 있었다. 그리고 김정은의 ‘비핵화 전략’은 선군정치를 바탕으로 하는 핵·경제발전병진노선의 연장선상에 있다. 결국 김정일시대 선군정치는 핵무력건설을 위한 경제복원의 추동력이고, 김정은시대 선군정치는 핵무력완성을 바탕으로 하는 경제발전의 추동력이다. 이것은 <총대위에 평화가 있다>고 주장하는 김정일-김정은 체제의 정통성이다. 따라서 북한은 병진정책을 떠받치고 있는 선군정치의 헌법적 지위를 절대로 포기할 수 없을 것이다. 북한 선군정치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올바른 이해는 북한 비핵화의 수단과 목표, 그 과정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다. 결과적으로 북한식 비핵화선언이나 부분적인 비핵화추진 복안은 실질적인 비핵화가 아닌 기만용 전략이다. 또한 북핵 폐기가 없이 북한의 자체적인 경제발전 노선은 실패 할 것이다. 앞으로도 북한은 미국, 한국을 상대로 선언적 비핵화를 담보로 하는 종전선언, 유엔사 해체, 한미동맹 약화, 한국사회 국론 분열 등을 유도하려는 전술을 지속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dilemma inherent in North Korea’s two-track strategy of denuclear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given the political and economic dynamics of military-first politics (MFP) in the Kim Jong-il and Kim Jong-un regime. In the Kim Jong-Il regime, the MFP emerged as a means of domestic and foreign crisis management following nuclear tests and economic crisis. The military-first economy construction line was carried out to restore the economy and establish nuclear armed forces. Kim Jong-un modified the MFP by constitutional amendment and formulation of the military-first ideology and nuclear power. North Korea’s MFP urged nuclear and economic development simultaneously on two-tracks. Kim Jong-un’s ‘Denuclearization Strategy’ is an extension of the nuclear-economic Byungjin (parallel) development based on the MFP. In the end, the MFP of the Kim Jong-Il regime was the driving force for the establishment of nuclear armed forces, and the MFP of the Kim Jong-un regime is the driving force of economic development after realization of nuclear armed forces. This provides legitimacy for the Kim Jong-Il and Kim Jong-un regime, which claims “there is peace through the gun.” Therefore, North Korea will never give up the constitutional status of the MFP that supports its two-track policy. North Korea’s declaration on denuclearization or partial denuclearization is a deceptive strategy, and it will not lead to genuine nuclear dismantlement. If North Korea does not dismantle its nuclear facilities, its economic reform measures will fail. North Korea will urge the US to declare an end of the Korean War, with the intent to make that the cornerstone of the effort to dissolve the United Nations Command, to weaken the Korea-US alliance, and to divide South Korean society.

      • KCI등재

        김정일의 선군영도체계 구축에 따른 선군정치의 기능 분석: 『로동신문』의 담론을 중심으로

        윤황 한국동북아학회 2010 한국동북아논총 Vol.15 No.4

        This article is design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First Politics" by analysing its function which was formulated in Kim Jung-il regime.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ontents of Military-First Politics are composed of its concept, ideological base, fundamental rule, principle, basic way, and Military-First way. The essential points of these contents include Kim Jung-il's creation of Military-First Politics, the basis of Juche Ideology and Military-First Ideology, the Gun-First Philosophy, the reinforcement of revolutionary army, the guidance of Military-First Revolution, the total integration of 'Leader=military=Communist Party= The State=People', the completion of general achievement of socialism, and the totalization of all society through Military-First. Secondly, the functions of Military-First Politics are enumerated as follows; strengthening the ability of survival and maintenance of 'Our Way of socialist system', justifying and rationalizing Father-Son inheritance, preventing people's desertion and strengthening control on state and society, maximizing mobilization of labor, people, and revolutionary strategy towards foreign countries and the South. Thirdly, in conclusion, Military-First Politics is characterized as a way of 'military autocracy'. The Communist Party cannot command its leading role. The military are standing in main front of politics in the way of Military-First Leader System.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김정일(金正日) 정권에 들어와 새롭게 구축된 북한의 선군영도체계 하에서 선군정치가 어떤 기능을 실행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선군정치에 관한 특징을 규명하는 데에 두고 있다. 이의 연구목적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선군정치의 내용체계는 개념, 사상적 기초, 원칙, 원리, 기본방식, 선군정치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내용체계의 요지는 김정일의 선군정치 창시, 주체사상과 선군사상의 기초, 총대철학(총관), 군사제일주의(군사선행·군사중시), 혁명군대의 강화, 선군혁명영도, ‘수령=군대=당=국가=인민’의 선군혼연일체화, 전반적 사회주의위업 추동, 온 사회의 선군일색화 등을 담고 있다. 둘째, 선군정치의 기능은 ‘우리식(북한식) 사회주의체제’의 생존·유지기능, 부자권력세습체제의 정당화·합리화기능, 북한주민의 이탈방지와 국가·사회의 통제 강화기능, 노력동원과 군중동원의 극대화기능, 대외·대남적 혁명전략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실행된다고 분석하였다. 이런 기능은 김정일의 독재권력을 유지ㆍ확대하기 위하여 군대를 앞세워 국가의 모든 영역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ㆍ확대하고, 군대의 힘으로 대내외적 위기관리를 이끌어 나가고, 군대를 이용해 자신의 권력을 유지ㆍ확대시키는 역할을 가진 것이라고 종합적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선군정치는 ‘군사독재정치방식’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재 북한체제는 당의 지도체계가 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군이 정치의 전면에 나서는 선군영도체계로 작동되고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 KCI등재

        주체사상과 선군사상의 상관관계

        부승찬 ( Seung Chan Boo )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社會科學硏究 Vol.19 No.2

        본 연구는 주체사상과 선군사상의 상관관계를 통치이데올로기의 대체, 양립, 그리고 하위담론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체사상의 체계화 과정과 유사하게 선군사상도 선군이라는 단순한 개념에서 출발하여 사상체계로까지 발전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선군사상 출현 이전의 통치담론들이 일시적으로 등장했다가 사라진 것과는 사뭇 다른 양상이다. 선군사상이 선군이라는 단순한 용어에서 출발하여 ``선군혁명령도``(1999), ``선군정치``(2000), ``선군사상``(2003), 그리고 ``선군사상교양``(2004∼)으로 심화 발전됨으로써 사상적 이론화가 시도되고는 있지만, 주체사상처럼 전일적 체계화를 이루지도, 독립적이고 배타적인 통치이데올로기로서 존재하지는 않는 듯하다. 즉 선군사상은 주체사상에 기초하고 있으며, 주체사상의 기본원리들을 전면적으로 구현하는 주체사상의 하위담론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선군사상이 통치이데올로기로서의 논리적 구조의 취약성과 유일성의 결여에도 불구하고 보편성의 추구를 통해 인민대중들에게 설득력을 제공하고 이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다는 점에서 일정 정도 실천이데올로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논리로 볼 때 주체사상이 순수 이데올로기로 격상되고, 선군사상이 실천이데올로기로 발전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다. 북한이 이러한 경로를 택하게 된다면 그것은 김정일과 그의 후계자인 김정은의 몫이 될 것이다. 통치이데올로기의 창시권과 해석권은 북한의 지도자와 그의 후계자의 고유권한이기 때문이다.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Juche and Songun (Military-first) idea in light of replacement, coexistence, and subordinate discourse. Similar to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Juche idea, the Songun idea has developed from a simple concept into political ideology in North Korea. This, mainly differentiates the Songun idea from the other short-lived governance discourse theories. Although the Songun idea has developed and materialized from an simple idea, into an applied policies such as "Songun-revolutionary leadership"(1999). "Songun-politics(2000), "Songun idea"(2003), and "Nationwide education campaign of Songun idea"(since 2004), it has not achieved the concrete status as Juche idea. In short, Songun will not develop into such degree of Juche idea because the basis of Songun idea lies in the principles of Juche ides, making it nothing more than a subordinate discourse of Juche idea. The Songun idea has continued to function as a practical ideology in despite of insufficiency logic in its structure and lack of distinctiveness because of its ubiquity, to the people of North Korea, the Songun idea effectively persuades people into its much needed participants. Looking at the correlation of Juche and Songun idea from such perspective, one cannot exclude the possibility in change of roles between Juche and Songun idea, Juche turning into a purely ideological form and Songun filling the role of practical ideology. If North Korea takes a such a route, it will purely be based on the decision of Kim Jong-Il and his heir Kim Jong-Un, since the privilege of interpreting and administrating such political ideology lies in the hands of Kim-Jong Il and his son.

      • KCI등재

        북한 통치담론의 재생과정에 관한 연구

        서유석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08 북한학연구 Vol.4 No.1

        In North Korea, the Juche process was a discourse that emerged from the combination of communist objective ideals, action plans and the regime for implementing the objectives. The objective ideals that were 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regime and the approach of explaining the ideals had already created an episteme by being fused with the historical structure. Kim Jong-il regime was launched amidst constant pressures to transform the existing discourse structure, including the fall of the Eastern Bloc, death of their leader and food shortage. The term 'Songun' emerged three years after the death of Kim Il-sung. North Korea established the concept of 'Songun Huro(army-first, labor-second)' in 1997, followed by 'Songun Politics' in 1998 and 'Songun' in 1999. The 'revitalization movement' was initiated through communication among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based on the 'Songun' code. North Korea began declared 'Songun' for reinforcing the blood ties among the party, the military and the people and emphasizing that revolution and construction are to be completed by the military and the people being one in body and spirit as well as the unification of mind and behavior. As of 2008, it seems that the Songun discourse has passed the theoretical systemization process and the public movement stage based on the revitalization of the Juche discourse. It seems that the North Korean regime has opted for the military, a social group that regards 'order' and 'rules' as its lifeline, as a powerful capacity of revolution that can overcome current crises. North Korea is positioning the 'revolutionary army' as the furnace that transforms people into socialist citizens and attempting to convert the private sector and its chaotic disorder into a realm of cosmic 'order'. 북한에서 통치담론은 전통적인 공산주의이데올로기의 도식과 북한체제의 역사적 기억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것은 북한체제가 주장하는 종국적 목적과 실천, 그리고 계획으로 이루어져 있다. 북한은 1970년대에 이러한 ‘주체사상’을 하나의 통치담론으로 적극적인 선전을 펼쳤고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론적 체계화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1980년대 말의 공산권의 붕괴, 소연방의 해체 등 일련의 대외적 악재와 내부적 예비의 고갈에서 이어진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은 새로운 통치담론인 ‘선군’을 제시하기 시작하였다. 북한은 ‘선군’을 1997년부터 제시하면서 과시적 군사활동과 과거의 경험을 끊임없이 되새기면서 현시대를 ‘선군’시대로 규정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북한에서 주장하고 있는 이러한 ‘선군’화가 통치담론의 ‘재생화’라고 전제한다. ‘선군’이 내포하고 있는 ‘과거지향적 성격’의 맥락은 역사적 실천이었던 ‘주체화’의 과정과 유사한 모습을 보인다. 실제로 1997년부터 등장한 ‘선군’이 2000년을 넘어오면서 ‘주체’와의 관계설정 속에서 그 기원과 창시자에 대한 해석이 점차 김일성으로 확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주체사상과 선군사상의 창시와 기원이 김일성의 역사로 정의되면서 선군정치만 김정일의 성과로 주장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재생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왈라스의 성찰을 빌어 설명하고자 한다. 왈라스는 이러한 재활운동의 과정을 안정의 단계(steady state), 개인적 압박의 증가시기(the period of increased individual stress), 문화적 왜곡의 시기(the period of cultural distortion), 재생의 시기(the period of revitalization), 새로운 안정화 단계(the new steady state)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북한에서 제시하는 통치담론의 ‘언술’ 내포적 의미는 모두 항일빨찌산시기에 생산된 경험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히 북한 통치담론의 특성이자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 북한은 ‘선군시대’에 ‘선군’을 실천하면서 첫째, 1998년 헌법개정을 통해 국가기구를 정비하였다. 이는 국방위원장을 중심으로 한 체제의 재정비작업이었고 북한은 이를 선군정치를 위한 제도적 장치의 완비로 설명하고 있다. 둘째, 북한은 자신의 통치담론이 전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음을 알리기 위해 제3세계국가를 중심으로 주체사상이 호평받고 있는 것으로 선전해 왔다. ‘선군’ 역시 2000년을 넘어오면서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선군정치가 연구되고 있으며 관련단체가 설립되어 있다고 선전하고 있다. 셋째, ‘선군’관련 대중운동과 신조어가 등장하고 있다. 북한은 이를 통해 ‘선군’을 새 시대의 코드로 부각시키고 있다. 또한, 북한은 강성대국론을 새로운 체제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이미 군사 및 사상강국은 이루었기 때문에 경제대국만 이루면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북한을 둘러싼 대내외의 상황과 경제강국을 이루고자 하는 북한체제욕망간의 간극은 점점 커지고 있다. 또한, 새롭게 제시하고 있는 통치담론인 ‘선군’의 대중화운동이 2008년부터 더 이상 활발히 전개되지 않는 현상은 선군담론이 그 동의기제를 상실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 KCI등재

        북한의 2009 헌법개정과 선군정치의 제도적 공고화

        장명봉(Chang, Myung-Bong) 한국헌법학회 2010 憲法學硏究 Vol.16 No.1

        북한은 2009년 4월 9일 최고인민회의 제12기 제1차회의에서 1998년 개정된 사회주의헌법을 다시 개정(수정 보충)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번 헌법개정의 주요 내용을 이루는 선군정치의 제도적 공고화에 관하여 서술하고 있다. 북한에서 선군정치체제는 국방위원장(김정일)이 북한의 최고영도자이며 국가의 전반사업을 지도한다고 명문화하는 등 2009년 개정헌법에서 더욱 공고화되었다. 2009년 개정헌법은 제3조에서 주체사상과 함께 선군사상을 북한의 공식 통치이데올로기로 명시하였다. 선군사상은 그동안 북한에서 그 일색화작업이 진행되어 왔으며, 이제 헌법상 혁명과 건설의 지도적 지침으로 격상되었다. 2009년 개정헌법은 ‘선군혁명로선’을 새로이 명시하였는데(제59조), 북한에서 선군혁명노선은 군대를 혁명의 주력군으로 앞세운 혁명노선이라는 것이다. 이번 개정헌법은 ‘선군혁명로선’을 관철하기 위한 국가 중요정책의 결정 권한을 국방위원회에 부여하고 있다(제109조 제1호). 북한의 2009년 개정헌법은 제100조에서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위원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령도자이다.”라는 국방위원장의 지위에 관한 새로운 규정을 비롯해 국가의 전반사업 지도권을 위시한 국방위원장의 권한 등에 관하여 5개 조항을 신설하였다(제100~105조). 2009년 개정헌법상 국방위원장의 지위와 권한은 1972년 사회주의헌법에 규정된 국가주석의 지위와 권한과 유사하다. 전반적 무력의 최고사령관이며 일체무력의 지휘통솔권, 명령 제정권, 특사권, 외국과의 중요조약 비준 및 폐기권 등이 1972년 사회주의헌법상 국가주석이 행사했던 권한이었던 점을 보면(1972년 사회주의헌법 제80조, 제93~96조 등), 1998년 사회주의헌법 개정과 함께 폐지되었던 국가주석제가 일부 부활한 것으로 평가된다. 2009년 개정헌법은 제106조에서 “국방위원회는 국가주권의 최고국방지도기관이다.”라고 지위를 명시하면서, 제109조에서 “선군혁명로선을 관철하기 위한 국가의 중요정책을 세운다.”(1호)는 규정을 비롯한 신설 권한으로 3개 사항을 규정( 1호, 3호, 4호)함으로써 그 권한이 강화되었다. 2009년 4월 최고인민회의 제12기 제1차회의를 통해 구성된 이번(김정일 3기 체제하의) 국방위원회의 구성원의 확대는 국방위원회의 위상 및 권한이 한층 강화된 결과라 볼 수 있다(제106조, 제109조, 제110조 참조). 이와 더불어 이번 헌법개정으로 국방위원회가 이른바 ‘선군혁명로선’ 관철을 위한 국가의 중요 정책을 수립하는 임무와 권한(제109조 1호)을 가짐에 따라 군사분야는 물론 정치, 외교, 경제, 사회분야에서 최고정책결정기관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엿보인다. 요컨대 국방위원장과 국방위원회의 헌법상 지위와 권한 강화, 선군사상의 지도사상화, 선군혁명노선의 명문화, 혁명의 수뇌부 보위 등의 규정을 볼 때, 이번 개정헌법은 명실공히 ‘군 중시의 국가정치체제’를 확고히 수립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선군정치 실현을 철저히 보장함과 아울러 1972년 사회주의헌법상 국가주석의 유일적 영도제와 유사한 국방위원장 중심의 유일적 영도체제를 확립하였다는데 이번 헌법개정의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한편 북한에서는 선군정치를 '우리식 사회주의의 생명선'으로 보고 있으며, 1990년대 중반 이후 ‘고난의 행군’을 이겨낼 수 있었던 것도 선군정치 때문이라고 한다. 북한은 1990년대 위기상황의 핵심을 정치사상적 동요와 패배주의 확산으로 정리하였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고난의 행군을 '총포성 없는 전쟁', 즉 '사상전'으로 규정하고 자력갱생, 간고분투의 혁명정신, 혁명적 낙관주의의 강화를 들고 나왔으며, 새로운 시대정신으로 '혁명적 군인정신'을 제기하였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우리식 사회주의’ 수호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유일적 영도체제’ 유지를 위해 선군사상을 지도사상으로 한 북한의 선군정치는 상당기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The amended socialist constitution of North Korea was adopted by the first session of the 12th Supreme People's Assembly on April 9, 2009. First of all, the revised constitution consolidates Institutionalization of the Kim Jong-il's 'Songun'(military-first) politics. It places Kim Jong-il's 'Songun'(military-first) idelogy on the same level as the nation's founding idelogy of 'Juche,' which was strongly promoted by his late father and the North Korea's founding leader, Kim Il-sung. In the revised constitution, Article 3 stipulates that North Korea "is guided in its activities by the Songun ideology and Juche idea, a world outlook centered on people and a revolutionary ideology for a achieving the independence of the masses." The newly revised constitution dramatically reinforces the authority and duties of the chairman of the National Defense Commission (NDC) and stipulates the power that have been executed by the NDC chairman(Kim Jong-il). Article 100 in the amended statutes says that the chairman of the NDC, a post held by Kim Jong-il since 1993, is the "supreme leader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DPRK)." While inarguably the most powerful figure in the reclusive socialist nation, the revisions mark the first official acknowledgment of this in the state's constitution. New articles on the role and authority of the NDC chairman were added in the revised constitution. Article 103 states that the chairman of the NDC "oversees all state affairs, appoints and dismisses major figures in the military sector, and also ratifies or abrogate important treaties with foreign nations." It stipulates the NDC chairman also maintains the authority to grant special pardons, and declare states of emergency and war or issue mobilization orders. North Korea revised its constitution in 1998 to strengthen the NDC as "the highest military leading organ of State power" in charge of all defense policies and military sactions, making Kim Jong-il the nation's leader under its 'Songun' Politics. The NDC holds the right to appoint and dismiss key military officials, and to declare war or issue mobilization orders. As mentioned above, new articles on the role and authority of the NDC chairman and the NDC were added in the newly revised constitution of 2009. In result, North Korea has revised its constitution to articulate that the NDC chairman is the supreme leader of the country, a virtual head of state.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Kim Jong-il is inarguably the paramount leader of North Korea as chairman of the NDC. In this respect, the new constitution seems to suggest that the new structure of state power is a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of 'Great Leader Kim Jong-il' as Chairman of the NDC. It can be said a mechanism of the military-first politics. In North Korea, the military-first politics is referred to regime crisis. Ever since the late 1980s when the socialist bloc collapsed, the North Korean system has been in an overall crisis. The regime continues to struggle to maintain itself. In short, the military-first political line is likely to be a survival strategy to maintain the regime and a lifeline of 'Socialism of Our Own Style' in North Korea. In sum, the military-first political system will be consolidated continuously.

      • KCI등재

        1998∼2007년 『로동신문』 분석을 통해 본 북한의 "선군정치" 논리

        정성임 평화문제연구소 2009 統一問題硏究 Vol.21 No.2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North Korea``s ``Military-first politics`` which Rodong-shinmun had represented from 1998 to 2007. ``Military-first politics`` is the way to accomplish the national strategy to construct strong and prosperous country, and its political basis lies in the party which is the general staff section and the army, the main power. And its social basis lies in the unity of the military forces and the civilians, and its ideological basis lies in ``Military-first ideas.`` ``Military-first politics`` can be characterized by a long-term strategy, the combination of politics and military, historicity and succession, and lastly, the emphasis of ideology in the contents. ``Military-first politics`` consistently emphasizes three points: A brand-new political (ruling) method by Kim Jong Il, the leading role of the party and the anti-imperialist and self-dependent characteristic. And this has evolved in two stages on the point of the year 2001. In the former stage, ``Military-first politics`` simply focused on explaining ``Military-first politics`` itself, in the latter stage, the explanations became concrete and exquisite and Military-first method had applied broader from domestic revolution·construction part to South Korea, Unification, and propaganda abroad and so on. North Korea has justified ``Military-first politics`` with good use of supporting reports from South Korea and abroad. In the economy area, ``Military-first type`` has been popularized to acquire the military ideologies and struggle spirits and make them part of life, then, applied to mobilize people. In addition, with the learning of ``Military-first politics``, North Korea has strengthened anti-Americanism among people and insisted its initiative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The recently amended North Korean constitution implies that North Korea continues to lead the state on ``Military-first politics`` method for a considerable time ahead. Accordingly, the contents of ``Military-first politics`` are continuously going to complement and revise, and play its certain role in justification of the succession planning. 이 논문은 1998.2007년 로동신문 에 나타난 북한의 선군정치 내용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군정치는 국가전략인 강성대국을 건설하기 위한 방법이며 정치적 기반은 참모부 당과 주력세력 군, 사회적 기반은 ``군민일치``, 사상적 기반은 선군사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군논리에서 지속적인 부분은 김정일의 새로운 정치방식, 당의 영도적 역할, 반제자주적 성격을 강조한다는 점이며 2001년을 기점으로 두 단계로 진화하여 왔다. 그 이전 시기가 선군정치 자체에 대한 단순한 설명에 그쳤다면, 그 이후는 설명이 보다 구체화, 정교화되는 한편 선군방식의 활용범위가 대내적 혁명·건설 부문을 넘어 대남, 통일, 해외 선전 등으로 확대되어 나타난다. 북한은 선군정치를 활용하기 위해 남한 및 해외에서의 지지 보도를 활용하여 선군정치를 정당화하여 왔다. 경제부문에서는 군의 사상 및 투쟁 기풍을 체화, 생활화하기 위하여 ``선군전형``을 대중화하여 인민들을 동원하여 왔다. 그리고 학습을 통하여 인민들가운데 반미 의식을 강화하는 한편 통일과정에서 북한의 우위를 주장하여 왔다. 최근 개정된 헌법을 보면 향후 상당기간 북한은 선군정치방식으로 국가를 이끌 것이다. 이에 따라 선군논리는 지속적으로 보완, 수정될 것이며 후계구도의 정당화를 위해서도 역할을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고려전기의 選軍

        전경숙(Jeon, Gyung-Sook) 숙명인문학연구소 2020 횡단인문학 Vol.6 No.1

        이 논문은 고려시대 군사제도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選軍에 대해 검토하였다. 고려는 군인을 선발하고 군인들에게 토지 지급을 업무를 담당하던 選軍司를 독자적으로 설치하였다. 후삼국이 대치하는 상황에서 국가의 존망과 직결되는 군사제도의 정비는 고려초부터 이루어졌다. 그 중 군인을 선발하고 그들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경제적 보수를 마련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였을 것이다. 태조는 군현제를 정비하면서 군역의 부과하기 시작하였고, 이를 토대로 혜종 때에는 군적이 작성되었다. 정종 때 30만 명의 군사가 광군이라는 이름으로 파악되었고, 광종 때는 시위군의 선발이 나타난다. 성종은 유교적 국가체제 확립이라는 거대 틀 속에 국내의 제도를 정비하였다. 군사제도 역시 정비되어 새로운 군적이 만들어졌고, 절충부를 통해 군인의 번상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성종 12년 최초로 이민족의 침입을 경험하면서 절도사체제로 정비하였다. 현종 때에는 거란과의 전쟁이 5번이나 치르면서 많은 군액이 손실되었다. 이에 군인을 선발하고 급여를 주관하는 선군사를 설치하였다. 선군사의 임무는 選軍給田이었고, 그 주된 선발 대상은 2군 6위 중 농민번상병으로 구성된 6위 소속군인들이었다. 이들은 일정 규모 이상의 토지를 소유한 정호층에서 선발되었다. 이후 군사제도가 와해되면서 정호층만으로는 채울 수 없어 백정층으로 대신하게 하였다. Koryo independently established Seongunsa(選軍司), which was in charge of selecting soldiers and responsible for paying land to soldiers. Taejo began to impose military system. Based on this, the army list was prepared during Hyejong period. During the reign of Jeongjong, 300,000 soldiers were identified under the name of Gwanggun. During the reign of Seongjong, creating new military register(軍籍), and soldiers were brought up(番上) through the Jeolchungbu(折衝府). However, in the 12th year of Seongjong, Koryo experienced the invasion of the ethnic group, and as a result, the military system was reorganized into the Jeoldosa(節度使) system. In the Hyunjong period, a large number of the troops were lost due to five wars against the Kitan. This leads to the installation of Seongunsa. The main selection target of Seongunsa was peasant soldiers belonging to Yugwi(六衛) consisting of Igunyugwi(二軍六衛). They were selected from the Jeonghocheung(丁戶層). Since then, Jeonghocheung alone could not fill the number of military units, so it was replaced by Paekjongcheung(白丁層).

      • 선군(先軍)시대 북한 무대예술의 특징과 전망 : 연극작품의 연기(演技), 무대(舞臺), 춤과 노래를 중심으로

        김정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3 신안보연구 Vol.- No.178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lementation of arts policy for stage arts works in the Kim Jong-il's ruling period, and based on th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forecast the Kim Jung-un's era. This study examines how the arts circles practiced Kim Jong-il ruling period's arts policy, represented by putting military first from the performance point of view, in terms of acting,direction and music. As, after Kim Il-sung died in 1994, North Korea's literary arts direction shifted to putting military first, literary arts works were referred to as military-prioritized revolutionary literature, military-prioritized music,military-prioritized fine arts, and military-prioritized film. Military prioritization became the main stream of creation of works, and the previous-time main stream Joseon people-prioritized nationalism was degraded to an important sub-stream. Also, discussion on military priorization signified the combination of military prioritization and emotion. This led to acting being combined with sincerity, comedy and humor. The reason for boosting comedy was to imbue people with the strong military spirit without the sense of rejection, and to overcome the challenging march with laughter. However, whatever the reason may be, it needs to be noted that actors who played comedy showed outstanding acting skills. Meanwhile,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stage and music and dance creation, although the 1980s' nationalism was maintained, a change was distinctively felt: on the stage, film scenes were positively introduced; in music, the screaming-like Sprechchor method by which to show military's valor was positively introduced; and in dance, soldiers and citizens mingled with each other, thus boosting the dynamics. After the mid-1990s,military-prioritized literary arts policy associated with military-prioritized politics involved the uniformity of protagonists in plays and strong dances and songs. The life of arts should consist in creativity and diversity, but North Korea's such uniform approach is only regretful. Then, in the Kim Jong-un's era, in which direction would North Korea's stage arts progress? Stage arts will likely be characterized by remembering Kim Jong-il, encouraging sciences, and emphasizing spectacles. However, North Korea's stage arts will be unpredictably changed by variables of politics. Such direction will only be watched 본 연구는 선군시대 북한 무대예술 작품의 특성 분석을 직접목적으로,이를 토대로 현재를 점검하고 김정은 시대를 전망해보는 것을 간접목적으로 한다 김정일 시대의 . 문예정책 자체에 대한 연구는 일부 진행되어왔으나 문예정책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공연적 관점’에서의 연구가 현재까지 유보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연적 관점’으로 선군으로 대표되는 김정일 단독 통치 시대의 문예정책을 무대예술계가 인물, 연기,연출, 음악에서 어떻게 실천했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1994년 김일성 사망 후, 북한의 문예담론은 ‘선군’으로 선회한다. 문학예술계는 ‘선군혁명문학/선군혁명음악/선군혁명미술/선군영화’로 지칭되었다. ‘선군’은 창작 원리로 흐르는 본류가 되었고, 이전 시기 강조되었던 ‘조선민족제일주의’ 역시 여전히 무게 있는 지류로 본류에 합류한다. ‘선군담론’은 ‘선군’과 ‘감성’의 결합을 의미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연기에서는 진지함과 희극성, 유모가 결합됨이 발견된다. 희극성의 강화 이유는 강한 군인정신을 인민들에게 거부감 없이 심어주기 위해서이며,고난의 행군을 웃음으로 극복하자는 정치적 맥락인 것이다. 그러나 이유가 무엇이든, 희극성을 구현하는 배우들의 연기는 모두 그 기량이 돋보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편 무대와 음악/춤의 창작 원리에서1980년대의 ‘민족성’은 그대로 유지되었지만 분명 변화가 포착된다. 변화로는 무대에서 ‘영상화면’이 적극적으로 도입된 점, 음악에서 ‘군’의기백을 보여주기 위해 외치는 듯한 슈프레히콜 방식이 적극 도입된 점,춤에서 군과 인민이 어울려 역동성이 강화된 점이 발견된다. 1990년대중반 이후 ‘선군정치’에 따른 ‘선군문예정책’은 연극에서 주인공의 획일화와 강력한 춤/노래로 그 구체적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예술의 생명이 ‘창조성’과 ‘다양성’에 있다면 북한의 이 같은 획일화된 행보는 안타까울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김정은 시대 북한 무대 예술은 어떤 방향으로 진행될까? 연구에 의하면 김정일을 추억하며, 과학을 장려하며, 스펙터클을 강조하며전개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예상은 예상일뿐이다. 북한의 무대예술은 정치의 변수와 함께 완만히/급하게 선회할 것이다. 그 방향이 어디를 향하든 관심 있게 지켜보고자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